KR20130084957A - 포인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대상 장치들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포인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대상 장치들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4957A
KR20130084957A KR1020120062193A KR20120062193A KR20130084957A KR 20130084957 A KR20130084957 A KR 20130084957A KR 1020120062193 A KR1020120062193 A KR 1020120062193A KR 20120062193 A KR20120062193 A KR 20120062193A KR 20130084957 A KR20130084957 A KR 20130084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ontrolling
control target
pointing
targe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2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식
정성관
이원겸
박준석
신용철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20062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4957A/ko
Publication of KR20130084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49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 G02B27/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for imaging minute objects, e.g. light-po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제어 대상 장치들의 제어 방법은 제어 대상 장치들 각각의 동작을 배타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포인팅 장치가 상기 제어 대상 장치들 중에서 포인팅 된 제어 대상 장치와 페어링하는 단계, 및 상기 포인팅 장치가 페어링된 제어 대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포인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대상 장치들의 제어 방법{POIN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ARGET DEVICES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포인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어 대상 장치들 중에서 포인팅 된 제어 대상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포인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대상 장치들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IT(information technology)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전자 기기들이 개발되었다. 이에 따라, 한 명의 사용자가 복수의 전자 기기들을 소유하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가 되었다.
전자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remote controller)은 상기 전자 기기와 일방향 통신을 함으로써 상기 전자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하지만, 리모컨은 일방향 통신으로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때문에, 어떤 전자 기기가 제어되고 있는지 또는 전자 기기가 어떻게 제어되고 있는지 여부는 확인하기가 어렵다.
또한, 복수의 전자 기기들이 좁은 공간에 모여 있는 경우, 상기 리모컨이 어느 전자 기기를 향하고 있는지 확인하기가 어렵고,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전자 기기 외의 전자기기가 오작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제어 대상 장치들 중에서 포인팅 된 제어 대상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포인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대상 장치들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대상 장치들의 제어 방법은 제어 대상 장치들 각각의 동작을 배타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포인팅 장치가 상기 제어 대상 장치들 중에서 포인팅 된 제어 대상 장치와 페어링하는 단계, 및 상기 포인팅 장치가 페어링된 제어 대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페어링하는 단계는, 소프트웨어 핸드쉐이킹(software handshaking)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페어링하는 단계는, 상기 포인팅 장치가 상기 포인팅 된 제어 대상 장치로 포인팅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대상 장치가 수신된 포인팅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 대상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포인팅 신호는, 레이져 광선(laser beam)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포인팅 장치가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대상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화면을 이용하여 상기 페어링된 제어 대상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RF(radio frequency signal) 신호, 가시광 신호, 적외선 신호, 또는 초음파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빔포밍(beamforming) 방식을 이용한 통신을 통하여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대상 장치들 각각의 동작을 배타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포인팅 장치는 상기 제어 대상 장치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제어 대상 장치를 포인팅할 수 있는 포인터 및 포인팅된 제어 대상 장치와 페어링을 수행하고, 페어링된 제어 대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통신 모듈은, 빔포밍(beamforming) 방식을 이용한 통신을 통하여 상기 페어링된 제어 대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지향성 안테나(directional antenna)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포인터는 레이져 포인터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포인터가 포인팅하는 지점을 감지할 수 있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카메라가 감지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페어링된 제어 대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과 장치는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제어 대상 장치를 포인팅(pointing)을 통하여 선택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상기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상기 제어 대상 장치를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포인팅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대상 장치들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대상 장치들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다수개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모듈(module)이라 함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또는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또는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듈은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를 수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의 논리적 단위 또는 집합을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어 시스템(10)은 복수의 제어 대상 장치들(target device; 100)과 포인팅 장치(pointing device; 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어 대상 장치들(100) 각각은 포인팅 장치(2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제어 대상 장치들(100) 각각은 TV, 냉장고, 음향 기기, 조명 장치, 또는 컴퓨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제어 대상 장치들(100) 각각은 포인팅 장치(200)와의 쌍방향 통신을 통하여 복수의 제어 대상 장치들(100)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수신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포인팅 장치(200)의 구조 및 동작은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며, 수신 장치(300)의 구조 및 동작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포인팅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포인팅 장치(200)는 제어 회로(control circuit; 210), 포인터(pointer;220), 통신 모듈(communication module; 230), 메모리(memory;240), 인터페이스(interface;250), 카메라(camera;260), 디스플레이(display;2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210)는 포인팅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포인팅 장치(200)의 각 유닛(220 내지 270)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또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포인터(220)는 제어 회로(210)의 제어에 따라 포인팅 신호(SPNT)를 발생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포인팅 신호(SPNT)는 레이져 광선(laser beam)일 수 있다. 이 경우, 포인터(220)는 레이져 포인터로 구현될 수 있다.
포인팅 신호(SPNT)는 복수의 제어 대상 장치들(100) 중에서 포인팅 장치(200)가 포인팅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제어 대상 장치, 즉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제어 대상 장치에 포함된 수신 장치(300)로 전송될 수 있다.
통신 모듈(230)은 포인팅 장치(200)가 복수의 제어 대상 장치들(100) 중에서 포인팅 된 제어 대상 장치와 페어링(paring)하기 위해 상기 제어 대상 장치에 포함된 수신 장치(30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230)은 페어링 된 제어 대상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어 대상 장치에 포함된 수신 장치(300)와 통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통신 모듈(230)은 RF(radio frequency) 통신, 가시광 통신, 적외선 통신, 또는 초음파 통신 등을 이용하여 수신 장치(300)와 통신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 모듈(230)이 제어 대상 장치(100)와 페어링하는 과정 및 통신 모듈(230)이 페어링 된 제어 대상 장치(100)를 제어하는 과정은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통신 모듈(230)은 수신 장치(300)와 통신하기 위한 안테나(antenna;232)를 포함할 수 있다.
포인팅 장치(200)가 포인팅 된 제어 대상 장치 외의 다른 제어 대상 장치들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다른 제어 대상 장치들의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다. 즉, 포인팅 장치(200)는 포인팅 된 제어 대상 장치로부터 일정 범위 내로 제어 신호를 전송할 필요가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안테나(232)는 지향성 안테나(directional antenna)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안테나(232)를 포함하는 통신 모듈(230)은 빔포밍(beamforming) 방식을 이용한 통신을 통하여 포인팅 된 제어 대상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240)는 제어 회로(21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메모리(240)는 포인팅 된 제어 대상 장치의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50)는 포인팅 장치(200)와 외부 장치, 예컨대 리모콘(remote controller) 사이의 데이터(또는 신호)의 교환을 인터페이싱(interfacing)할 수 있다.
카메라(260)는 포인터(220)로부터 출력된 포인팅 신호(SPNT)의 이동 방향을 추적하고, 추적 결과를 제어 회로(2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 회로(210)는 수신된 추적 결과에 기초하여 포인팅 된 제어 대상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포인팅 된 제어 대상 장치가 컴퓨터인 경우, 카메라(260)가 포인팅 신호(SPNT)의 이동 방향을 추적하고, 추적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 대상 장치, 예컨대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상에 나타나 있는 커서(cursor)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70)는 포인팅 된 제어 대상 장치에 포함된 수신 장치(300)로부터 전송된 제어 정보를 통신 모듈(230)을 통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대상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270)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정보는 포인팅 된 제어 대상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 정보는 포인팅 된 제어 대상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또는 포인팅 된 제어 대상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화면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포인팅 된 제어 대상 장치가 컴퓨터인 경우, 제어 정보는 상기 컴퓨터의 화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컴퓨터의 화면과 동일한 화면이 디스플레이(270)에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는 터치를 통하여 디스플레이(270)에 입력을 하여 포인팅 된 제어 대상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수신 장치(300)는 제어 회로(310), 센서(sensor;320), 통신 모듈(330), 메모리(340), 및 인터페이스(3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310)는 수신 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수신 장치(300)의 각 유닛(320 내지 350)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또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센서(320)는 포인팅 장치(200)로부터 전송된 포인팅 신호(SPNT)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제어 회로(31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포인팅 신호(SPNT)가 레이져 광선인 경우 센서(320)는 레이져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모듈(330)은 RF(radio frequency) 통신, 가시광 통신, 적외선 통신, 또는 초음파 통신을 이용하여 포인팅 장치(200)와 통신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 모듈(330)은 포인팅 장치(200)와 통신하기 위해 안테나(33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안테나(332)는 지향성 안테나가 아닌 일반적인 안테나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340)는 제어 회로(31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메모리(340)는 수신 장치(300)가 포함된 제어 대상 장치의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350)는 수신 장치(300)와 수신 장치(300)를 포함하는 제어 대상 장치(200) 사이의 데이터(또는 신호)의 교환을 인터페이싱(interfacing)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대상 장치들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포인팅 장치(200)는 복수의 제어 대상 장치들(100) 중에서 포인팅 된 제어 대상 장치와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S10).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페어링은 소프트웨어 핸드쉐이킹(software handshaking)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포인팅 장치(200)는 페어링된 제어 대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S12).
실시 예에 따라, 포인팅 장치(200)는 페어링된 제어 대상 장치의 전원의 온(on)/오프(off)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페어링된 제어 대상 장치가 TV인 경우, 포인팅 장치(200)는 상기 TV의 채널(channel) 또는 볼륨(volumn)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페어링된 제어 대상 장치카 컴퓨터인 경우, 포인팅 장치(200)는 상기 컴퓨터의 마우스 커서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포인팅 장치(200)는 페어링된 제어 대상 장치로부터 다른 제어 대상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 또는 복사하는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대상 장치들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포인팅 장치(200)는 복수의 제어 대상 장치들(100) 중에서 포인팅 된 제어 대상 장치에 포함된 수신 장치(300)로 포인팅 신호(SPNT)를 전송할 수 있다(S20).
수신 장치(300)는 포인팅 신호(SPNT)를 감지하고, 포인팅 신호(SPNT)에 응답하여 수신 장치(300)가 포함된 제어 대상 장치에 관련된 제어 정보를 포인팅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S22).
포인팅 장치(200)는 수신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대상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27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24).
포인팅 장치(200)는 상기 화면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 대상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S26).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270)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터치함으로써 상기 제어 대상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제어 시스템 232, 332 : 안테나
100 : 제어 대상 장치 240, 340 : 메모리
200 : 포인팅 장치 250, 350 : 인터페이스
210, 310 : 제어 회로 260 : 카메라
220 : 포인터 300 : 수신 장치
230, 330 : 통신 모듈

Claims (11)

  1. 제어 대상 장치들 각각의 동작을 배타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포인팅 장치가 상기 제어 대상 장치들 중에서 포인팅 된 제어 대상 장치와 페어링하는 단계; 및
    상기 포인팅 장치가 페어링된 제어 대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대상 장치들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하는 단계는,
    소프트웨어 핸드쉐이킹(software handshaking)을 통하여 수행되는 제어 대상 장치들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하는 단계는,
    상기 포인팅 장치가 상기 포인팅 된 제어 대상 장치로 포인팅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대상 장치가 수신된 포인팅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 대상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대상 장치들의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팅 신호는,
    레이져 광선(laser beam)인 제어 대상 장치들의 제어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포인팅 장치가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대상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화면을 이용하여 상기 페어링된 제어 대상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대상 장치들의 제어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RF(radio frequency) 신호, 가시광 신호, 적외선 신호, 또는 초음파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 대상 장치들의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빔포밍(beamforming) 방식을 이용한 통신을 통하여 제어하는 제어 대상 장치들의 제어 방법.
  8. 제어 대상 장치들 각각의 동작을 배타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포인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대상 장치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제어 대상 장치를 포인팅할 수 있는 포인터; 및
    포인팅된 제어 대상 장치와 페어링을 수행하고, 페어링된 제어 대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포인팅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빔포밍(beamforming) 방식을 이용한 통신을 통하여 상기 페어링된 제어 대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지향성 안테나(directional antenna)를 포함하는 포인팅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는 레이져 포인터인 포인팅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가 포인팅하는 지점을 감지할 수 있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카메라가 감지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페어링된 제어 대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포인팅 장치.
KR1020120062193A 2012-01-18 2012-06-11 포인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대상 장치들의 제어 방법 KR201300849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193A KR20130084957A (ko) 2012-01-18 2012-06-11 포인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대상 장치들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873 2012-01-18
KR1020120062193A KR20130084957A (ko) 2012-01-18 2012-06-11 포인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대상 장치들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4957A true KR20130084957A (ko) 2013-07-26

Family

ID=48998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2193A KR20130084957A (ko) 2012-01-18 2012-06-11 포인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대상 장치들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49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986B1 (ko) * 2013-08-19 2014-09-25 한국과학기술원 멀티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적응형 포인팅 디바이스 기반 인스턴트 커플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986B1 (ko) * 2013-08-19 2014-09-25 한국과학기술원 멀티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적응형 포인팅 디바이스 기반 인스턴트 커플링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27012A1 (en) Determining user intent from position and orientation information
US20130194208A1 (e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information terminal device, and program
KR102004329B1 (ko) 좌표 표시 장치 및 좌표 표시 장치의 입력 위치를 측정하는 좌표 측정 장치
US20140035848A1 (en) Electronic pen input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c-type touch screen panel (tsp)
CN109029252B (zh) 物体检测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9772725B2 (en) Hybrid sensing to reduce latency
CN105094464A (zh) 红外触控装置
KR20210000974A (ko) 영역(zone)을 형성하여 전자 장치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11169626B2 (en) Transmitter, touch sensitive processing apparatus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system
CN102184062B (zh) 一种红外线触摸系统及其控制方法
US20130141391A1 (en) Touch control device, touch control system, and touching control method thereof
CN105931452A (zh) 终端设备抗红外信号干扰的方法、装置、系统及终端设备
KR20130084957A (ko) 포인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대상 장치들의 제어 방법
US11029798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52326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3132051B (zh) 减少电磁跟踪系统之间的干扰
KR101961786B1 (ko)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단말을 이용한 마우스 기능의 제공 방법 및 장치
TW201433942A (zh) 通訊協定系統及其可自動執行連線切換的方法
EP3173907B1 (en) Capacitive touchscreen, terminal, intercommunication method and corresponding program and carrier
CN114035759A (zh) 屏幕控制方法、控制终端、屏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362086B1 (ko) 인터넷에 연결된 사물 제어 시스템 및 사물 제어 방법
CN112929832A (zh) 位置追踪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US10185452B2 (en) Touch sensitive controlling method, touch sensitive processing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US10416852B2 (en) Display and interaction method in a user interface
CN112098929A (zh) 智能设备间的相对角度确定方法、装置、系统和智能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