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4895A - 카나드를 구비한 날개 동체 결합 비행체 - Google Patents

카나드를 구비한 날개 동체 결합 비행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4895A
KR20130084895A KR1020120005824A KR20120005824A KR20130084895A KR 20130084895 A KR20130084895 A KR 20130084895A KR 1020120005824 A KR1020120005824 A KR 1020120005824A KR 20120005824 A KR20120005824 A KR 20120005824A KR 20130084895 A KR20130084895 A KR 20130084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lage
canard
wing
air supply
aircr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5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9199B1 (ko
Inventor
성홍계
성명훈
홍지석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05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9199B1/ko
Priority to PCT/KR2012/011437 priority patent/WO2013108999A1/ko
Publication of KR20130084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4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9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9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12Canard-type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00Fuselages; Constructional features common to fuselages, wings, stabilising surfaces or the like
    • B64C1/0009Aerodynamic asp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5/00Stabilising surfaces
    • B64C5/08Stabilising surfaces mounted on, or supported by, w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in aircraft; 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02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24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using steam or spr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33/00Arrangements in aircraft of power plant parts or auxilia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33/02Arrangements in aircraft of power plant parts or auxilia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combustion air int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00Fuselages; Constructional features common to fuselages, wings, stabilising surfaces or the like
    • B64C2001/0045Fuselages characterised by special sh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10All-wing aircraft
    • B64C2039/105All-wing aircraft of blended wing body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10Drag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카나드를 구비한 날개 동체 결합 비행체가 개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나드를 구비한 날개 동체 결합 비행체는, 주 날개와 동체가 일체로 이루어지며, 카나드를 구비한 날개 동체 결합 비행체로서, 상기 카나드는 상기 동체의 전방 영역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이격되게 마련되며, 상기 카나드와 상기 동체 사이에는 연결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동체를 측 방향으로 관통하지 않으면서 동체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이격되게 카나드를 마련함으로써, 카나드 주변의 동체 내부 공간을 확보하여 공간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카나드를 구비한 날개 동체 결합 비행체{BLENDED WING BODY AIRCRAFT WITH CANARD}
본 발명은, 카나드를 구비한 날개 동체 결합 비행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나드를 동체의 상측에 설치하여 동체의 내부 공간을 확보함과 더불어 비행시 외기가 동체 내부로 유입가능하도록 하여 동체 내부에 설치된 비행 동력원을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카나드를 구비한 날개 동체 결합 비행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Blended Wing Body 비행체라 함은 주 날개와 비행 동체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날개 동체 결합 비행체를 말하며, 이러한 종래 기술의 일 예가 미국등록특허 7,854,409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날개 동체 결합 비행체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BWB 비행체는, 동체에 주 날개가 일체로 마련된 구조를 갖고 있으며, 동체의 전방에는 비행체의 양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카나드(90)가 마련되어 있다. 미설명 도면부호 34는 주 날개 선단이고, 도면부호 38은 주 날개 상면이고, 도면부호 40은 주 날개 하면이며, 도면부호 42는 아우터(outer) 날개이고, 도면부호 92는 카나드 선단이고, 도면부호 94는 카나드 후단이다.
그러나, 이러한 카나드(90)는 관련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비행시 쉽게 벤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동체를 폭 방향으로 가로지르면서 동체를 관통하도록 마련된다. 즉, 카나드(90)의 일부 영역은 동체의 전방 내부 공간 내에 배치될 수 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동체의 전방측 내부 공간은 카나드(90) 및 별도의 내부 구조물에 의해 협소할 수 밖에 없게 된다. 이러한 경우, 동체의 전방 측 내부 공간 내에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게 되는 단점이 발생한다.
미국 등록특허 7,854,409호 (2010. 12. 21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동체를 관통하지 않는 형태로 카나드를 설치함으로써 동체의 내부 공간을 확보하여 공간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카나드를 구비한 날개 동체 결합 비행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행체의 비행 과정 중 외기가 동체 내부로 유입 가능하도록 하여 동체 내부에 설치된 비행 동력원을 냉각시키거나 동체 내부로 산소를 공급 가능하도록 하는 카나드를 구비한 날개 동체 결합 비행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주 날개와 동체가 일체로 이루어지며, 카나드를 구비한 날개 동체 결합 비행체로서, 상기 카나드는 상기 동체의 전방 영역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이격되게 마련되며, 상기 카나드와 상기 동체 사이에는 연결부가 마련된 카나드를 구비한 날개 동체 결합 비행체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동체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연결부 사이에는 상기 동체 내부로 외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연결부 사이에 위치한 상기 동체의 상면에는, 상기 공기공급구조의 일부로서 외부와 상기 동체 내부 공간을 연통 가능하게 하는 외기 공급홀이 형성되며, 상기 동체 내부에 마련되는 비행 동력원의 냉각, 및 상기 비행체가 고각(HIGH ANGLE OF ATTACK)일 때 발생하는 흐름 박리를 제어 가능하도록, 외기가 상기 외기 공급홀을 통해 상기 동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동체 내부에는, 비행 동력원으로서 수소 연료 전지 시스템이 탑재될 수 있다.
상기 동체의 후방 영역에는, 상기 동체에 추력을 부여하기 위한 모터 및 프로펠러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카나드를 구비한 날개 동체 결합 비행체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동체를 측 방향으로 관통하지 않으면서 동체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이격되게 카나드를 마련함으로써, 카나드 주변의 동체 내부 공간을 확보하여 공간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둘째, 카나드 하측에 위치하는 동체의 상면에 외기 공급홀을 형성하여 비행체의 비행시 외기가 외기 공급홀을 통해 동체 내부 공간으로 유입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동체 내부에 설치된 수소 연료 전지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체 내부로의 산소 공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셋째, 비행체의 비행시 외기가 외기 공급홀을 통해 동체 내부공간으로 유입 가능함으로써, 비행체가 고각(HIGH ANGLE OF ATTACK)일 때 나타날 수 있는 흐름박리를 제어하여 고각에서도 안정된 양력 발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날개 동체 결합 비행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나드를 구비한 날개 동체 결합 비행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나드를 구비한 날개 동체 결합 비행체의 비행중 주변 영역의 압력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나드를 구비한 날개 동체 결합 비행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나드를 구비한 날개 동체 결합 비행체의 비행중 주변 영역의 압력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나드를 구비한 날개 동체 결합 비행체(이하, '비행체'라 한다)는, 통상적인 날개 동체 결합 비행체(Blended Wing Body Aircraft, BWB aircraft)에 카나드(canard)를 구비한 것으로서, 비행체의 양항비(lift-to-drag ratio)를 상승시켜 비행체가 좀 더 안정적으로 비행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부연하자면, 본 실시예는, BWB 구조의 비행체의 장점인 높은 양항비를 더욱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단점인 상하 동요(pitching) 운동량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특히 상승 기동시 내리 누름(down force)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신속한 기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는, 주 날개(100)와 동체(110)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날개 동체 결합 비행체로서, 동체(110)의 전방 영역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카나드(120), 및 카나드(120)와 동체(110)를 연결하는 연결부(1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종래와 같이 카나드(120)가 동체(110)의 좌우 측면에 동체(110)를 관통하는 상태로 마련되지 않고, 동체(110)의 전방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게 별도로 마련됨으로써, 즉 동체(110)를 관통하지 않으므로 작은 크기의 비행체에서도 동체(110)의 내부 공간을 증대시켜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갖게 된다. 구체적으로, 카나드(120)는 연결부(130)를 개재한 상태로 동체(110)의 상면에 연결되며, 연결부(130)는 동체(110)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한 쌍으로 마련된다. 한편, 동체(110)는 세미모노코크(semi-monocoque) 구조로 설계되되 무게 경감을 위해 발사나무(balsa wood) 및 항공합판을 이용하여 제조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동체(110) 내부에는 비행 동력원으로서 수소 연료 전지 시스템(140)이 탑재된다. 이러한 수소 연료 전지 시스템(140)은 일정 이상의 무게와 부피를 요구하는 것으로서, 동체(110) 내부에 일정 이상의 탑재 공간과 비행체의 충분한 양력이 있는 경우에만 실질적으로 적용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동체(110)를 관통하지 않으면서 동체(110)의 상측에 카나드(120)를 배치하여 동체(110)의 내부 공간을 확보함과 더불어 카나드(120)를 이용한 양력 증가를 통해 수소 연료 전지 시스템(140)을 보다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 가능하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체(110)의 후방 영역에는, 동체(110)에 추력을 부여하기 위한 모터(미도시) 및 프로펠러(150)가 장착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는 프로펠러(150)의 회전에 의한 pusher 타입으로 추력을 얻으며, 모터 및 프로펠러(150)가 비행체의 시위선(chord line) 선상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추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주 날개(100), 즉 주날개의 양단에 윙렛(160, winglet)이 구비된다. 이러한 윙렛(160)은 비행체의 비행중 주 날개(100) 부위에 발생하는 유도항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대적으로 비행체의 양력을 증가시켜 비행체의 안전 비행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주 날개(100) 전체 면적에 대한 카나드(120)의 면적 비율이 대략 0.4로 적용되며, 이러한 경우 비행체의 안정적 비행특성을 가져올 수 있게 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체(110)와 카나드(120)를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부(130) 사이에는, 동체(110) 내부로 외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구조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연결부(130) 사이에 위치한 동체(110)의 상면에는, 이러한 공기공급구조의 일부로서 외부와 동체(110) 내부 공간을 연통 가능하게 하는 외기 공급홀(111)이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비행 중 동체(110) 상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연결부(130)의 사이 영역에는 주변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압이 형성된다. 부연하자면, 비행체의 비행중 한 쌍의 연결부(130)의 사이 영역은 일종의 포켓(pocket) 구조와 유사한 성격을 띄며, 주변 영역에 비해 기류의 유속이 저감하면서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도 5는 동체 표면 및 동체를 반으로 나눈 단면의 압력 컨투어(contour)를 나타낸 것이고, 색의 정보는 범례(legend)에 나타낸 바와 같다. 범례에서 0은 표준대기압인 101.325 kPa이며 색깔로 상대 압력을 나타낸다. 또한 단면에 표시된 검은색 선(line)은 유선(streamline)이다. 압력분포를 더 자세히 나타내기 위하여 40 KPa에서 iso-surface를 표시하였다. 보는 바와 같이 유선의 흐름은 카나드(120)와 동체(110) 사이에 방해없이 흘러가면서 압력은 카나드(120)와 동체(110) 사이에서 40 KPa로 높은 압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카나드(120)의 하측 방향 동체(110)에 외기 공급홀(111)이 위치하면 압력차에 의해 이용하여 자연 흡기 구조를 구축할 수 있다.
즉, 비행체의 비행 중 한 쌍의 연결부(130) 사이를 통과하는 기류는 압력차에 의해 일차적으로 외기 공급홀(111) 측으로 유입된 후 동체(110) 내부로 유입 가능하다. 이때, 동체(1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동체(110) 내부에 마련되는 비행 동력원, 즉 수소 연료 전지 시스템(140)을 냉각 가능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는, 비행체의 비행 중 수소 연료 전지 시스템(140)을 자연스럽게 냉각하여 수소 연료 전지 시스템(140)의 과부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냉각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으며, 별도의 냉각을 위한 추가 냉각 구조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동체(110) 내부의 공간 활용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는, 동체(110) 내부로 외기 유입을 가능하게 하여 산소 공급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일 예로 동체(110) 내부에 비행사 및 비행 보조원의 탑승시 필요한 여압 장치에 효율적인 산소 공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외기 공급홀(111)을 통해 동체(110) 내부 공간으로 외기가 유입 가능하므로, 비행체가 고각(HIGH ANGLE OF ATTACK)일 때 나타날 수 있는 흐름 박리를 제어하여 고각에서도 안정된 양력발생이 용이하도록 하는 이점을 갖게 된다.
정리하자면, 본 실시예는, 카나드(120)가 동체(110)의 상측에 연결부(130)를 개재한 상태로 마련됨으로써, 종래에 비해 동체(110)의 내부 공간을 증대시켜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비행 중 주변 영역과의 상대적인 압력차에 의해 외기가 외기 공급홀(111)을 통해 동체(110) 내부로 유입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비행 동력원으로서의 수소 연료 전지 시스템(140)을 자연스럽게 냉각하여 과부하에 의한 비정상 작동 및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비행체는, 저속 활공 및 고속 비행이 가능한 군용 및 민간 무인기로 적용 가능하며, 동체(110)의 내부 공간이 일정 이상 크게 형성되는 경우 유인기로도 충분히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주 날개 110: 동체
111: 외기 공급홀 120: 카나드
130: 연결부 140: 수소 연료 전지 시스템
150: 프로펠러 160: 윙렛

Claims (5)

  1. 주 날개와 동체가 일체로 이루어지며, 카나드를 구비한 날개 동체 결합 비행체로서,
    상기 카나드는 상기 동체의 전방 영역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이격되게 마련되며,
    상기 카나드와 상기 동체 사이에는 연결부가 마련된 카나드를 구비한 날개 동체 결합 비행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동체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연결부 사이에는 상기 동체 내부로 외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구조가 마련되는 카나드를 구비한 날개 동체 결합 비행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연결부 사이에 위치한 상기 동체의 상면에는, 상기 공기공급구조의 일부로서 외부와 상기 동체 내부 공간을 연통 가능하게 하는 외기 공급홀이 형성되며,
    상기 동체 내부에 마련되는 비행 동력원의 냉각, 및 상기 비행체가 고각(HIGH ANGLE OF ATTACK)일 때 발생하는 흐름 박리를 제어 가능하도록, 외기가 상기 외기 공급홀을 통해 상기 동체 내부로 유입되는 카나드를 구비한 날개 동체 결합 비행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 내부에는, 비행 동력원으로서 수소 연료 전지 시스템이 탑재되는 카나드를 구비한 날개 동체 결합 비행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의 후방 영역에는, 상기 동체에 추력을 부여하기 위한 모터 및 프로펠러가 장착되는 카나드를 구비한 날개 동체 결합 비행체.
KR1020120005824A 2012-01-18 2012-01-18 카나드를 구비한 날개 동체 결합 비행체 KR101299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824A KR101299199B1 (ko) 2012-01-18 2012-01-18 카나드를 구비한 날개 동체 결합 비행체
PCT/KR2012/011437 WO2013108999A1 (ko) 2012-01-18 2012-12-26 카나드를 구비한 날개 동체 결합 비행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824A KR101299199B1 (ko) 2012-01-18 2012-01-18 카나드를 구비한 날개 동체 결합 비행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4895A true KR20130084895A (ko) 2013-07-26
KR101299199B1 KR101299199B1 (ko) 2013-08-22

Family

ID=48799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5824A KR101299199B1 (ko) 2012-01-18 2012-01-18 카나드를 구비한 날개 동체 결합 비행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99199B1 (ko)
WO (1) WO20131089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62626B2 (en) 2014-03-03 2020-02-18 Robert N. Dunn Tandem wing aircraft with variable lift and enhanced safety
CN104943847A (zh) * 2015-06-23 2015-09-30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西安飞机设计研究所 一种无人机机身及具有其的无人运输机
KR102121662B1 (ko) * 2018-08-31 2020-06-10 (주)두산 모빌리티 이노베이션 연료전지 파워팩의 공기 순환 구조
KR102121663B1 (ko) * 2018-08-31 2020-06-10 (주)두산 모빌리티 이노베이션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공기 순환 조절 구조
WO2021198964A1 (en) * 2020-04-02 2021-10-07 Ahmad Fareed Aldarwish Aircraft structure and associated tool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9338B1 (ko) * 1992-03-07 1995-08-21 이희우 동력행글라이더
KR970004389B1 (ko) * 1993-09-21 199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줌 장치
US5842666A (en) 1997-02-21 1998-12-01 Northrop Grumman Coporation Laminar supersonic transport aircraft
US6082670A (en) * 1997-06-26 2000-07-04 Electric Boat Corporation Method and arrangement for fluidborne vehicle propulsion and drag reduction
DE19821952C2 (de) 1998-05-15 2000-07-27 Dbb Fuel Cell Engines Gmbh Energieversorgungseinheit an Bord eines Luftfahrzeugs
US6848649B2 (en) 2000-10-03 2005-02-01 Charles Gilpin Churchman V/STOL biplane aircraf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9199B1 (ko) 2013-08-22
WO2013108999A1 (ko) 2013-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1033016U (zh) 一种可垂直起降的飞行器
CA2974992C (en) Airframe-integrated propeller-driven propulsion systems
KR101299199B1 (ko) 카나드를 구비한 날개 동체 결합 비행체
US20140217229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CN103158856B (zh) 可短距起降的轻型螺旋桨飞翼飞机
CN105314096A (zh) 独立气源供气的无舵面飞行器
CN207860452U (zh) 一种可垂直起降的联翼无人机
JP5290976B2 (ja) 主翼両持型飛行機
US11486306B2 (en) Flush fluid inlet designs for aero-acoustic tone mitigation of aircraft
CN103192981A (zh) 电动低噪短距起降连翼飞机
JP2012500157A (ja) 地面効果翼機の翼構造
CN108177777B (zh) 一种基于翼尖涡流增升的飞行器
CN105857579A (zh) 一种螺旋桨飞机
US11186367B2 (en) Multicopter with improved failsafe operation
CN107140208A (zh) 短距起降高载荷多轴扇翼无人机
CN107804469B (zh) 飞机
CN205186510U (zh) 独立气源供气的无舵面飞行器
CN103171758A (zh) 一种飞翼型飞机的增升方法
CN111792027A (zh) 一种双机身串列翼垂直起降布局的飞行器
CN112027080B (zh) 一种使用双模态动力舱的混电推进垂直起降无人机
CN213008721U (zh) 一种无尾式共轴双旋翼无人直升机
WO2017198082A1 (zh) 飞行器
CN108382589A (zh) 一种双发无人机的总体气动布局及其短距起降方法
WO2017198084A1 (zh) 飞行器
CN209126978U (zh) 一种双机身飞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