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4746A - 터치스크린에 의한 직관적인 ui를 이용한 전력사용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에 의한 직관적인 ui를 이용한 전력사용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4746A
KR20130084746A KR1020120005534A KR20120005534A KR20130084746A KR 20130084746 A KR20130084746 A KR 20130084746A KR 1020120005534 A KR1020120005534 A KR 1020120005534A KR 20120005534 A KR20120005534 A KR 20120005534A KR 20130084746 A KR20130084746 A KR 20130084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ouch screen
power usage
control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5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4365B1 (ko
Inventor
윤재석
원광호
이상신
김재호
안일엽
송민환
류민우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05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4365B1/ko
Publication of KR20130084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4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4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4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32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4Exchanging control software or macros for 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6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Abstract

터치스크린에 의한 직관적인 UI를 이용한 전력사용 제어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전력사용 제어장치는, 전력 사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구역별로 구분하여 표시하며 사용자로부터 구역들 중 하나를 선택받는 터치 스크린, 분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모듈과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통신부 및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통해 선택된 구역에 대한 전원 공급 제어 명령을 통신부를 통해 제어모듈에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터치스크린에 의한 직관적인 UI를 통해, 전력 사용 현황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고, 전력 사용 제어 명령을 직관적으로 입력하여 에너지 절약을 위한 행동을 즉각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에 의한 직관적인 UI를 이용한 전력사용 제어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NERGY USAGE WITH INTUITIVE USER INTERFACE ON TOUCH SCREEN}
본 발명은 전력사용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전력 사용과 관련한 정보를 제공받고 전력 사용과 관련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전력사용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에너지 사용 피드백 시스템은 스마트 미터를 사용하거나 벽에서 나오는 전원부에 ZigBee 등의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모듈을 사용하여 해당 모듈에 연결된 전기기기들의 전력 소비 상황을 수집하여 IHD(In-Home Display) 등을 이용하여 댁내에서 전력 소비 정보를 피드백함으로써 댁내 거주자가 전기에너지 사용 현황을 효율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뿐만 아니라, 해당 모듈에 릴레이 등을 이용한 전력 차단기능을 추가하여 전기기기가 사용하지 않을 때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에너지 사용 효율을 높이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에너지 사용 피드백 및 제어 기능은 WiFi 와 3G/4G 기반의 스마트폰에서 가능하게 하여 댁내에 있지 않을 경우에도 원거리에서 댁내 전기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하지만, 댁내 거주자들이 전력사용 정보를 이해하는 데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며, 전력사용 정보를 이용하여 댁내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한 실질적인 행동을 어떻게 취해야 하는가에 대해 직관적인 해답을 찾기가 어렵다.
또한, IHD는 일반적으로 공용장소인 거실의 벽에 부착하는 경우가 많으며 초기 IHD 설치로부터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댁내 거주자들의 관심도가 떨어져서 에너지 사용에 대한 정보접근성 또한 떨어지게 된다.
스마트폰 앱 기반 에너지 사용 피드백 및 제어 방법 또한 모바일 기능을 제공함으로서 휴대형 인터페이스의 장점은 가지고 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해당 앱을 실행하는 빈도가 떨어지면서 에너지 사용 정보 및 제어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진다라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스크린에 의한 직관적인 UI를 이용한 전력사용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사용 제어장치는, 전력 사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구역별로 구분하여 표시하며, 사용자로부터 구역들 중 하나를 선택받는 터치 스크린; 분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모듈과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선택된 구역에 대한 전원 공급 제어 명령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어모듈에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전력사용 제어장치는, 도어의 실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전력 사용 구역과 전력 미사용 구역을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 사용 구역의 색상과 상기 전력 미사용 구역의 색상을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전력 사용 구역에 위치한 전력 사용기기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사용 제어방법은, 전력 사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구역별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표시단계에서 표시된 구역들 중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단계에서 선택된 구역에 대한 전원 공급 제어 명령을, 분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스크린에 의한 직관적인 UI를 통해, 전력 사용 현황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고, 전력 사용 제어 명령을 직관적으로 입력하여 에너지 절약을 위한 행동을 즉각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력사용 제어장치를 아파트 현관문에 설치하게 되는 경우, 입출입시에 댁내 거주자의 전력 사용 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외출시 출입문을 나서기 전에 특정한 구역(조명, 냉방, 난방)의 전력 사용 여부를 파악하고 사용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될 시에는 바로 해당 구역의 전력 사용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전력사용 제어장치의 위치가 분전반과 가까워, 설치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사용 제어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a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통해 전원 차단 명령을 입력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2b는 전원 차단 명령 실행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력사용 제어장치의 상세 블럭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사용 제어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사용 제어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사용 제어장치(100)는 현관문(10)의 실내측면에 부착된다. 부착 높이는 사용자의 시선 높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력사용 제어장치(100)는 제어 모듈(200)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도 1에서 전력사용 제어장치(100)와 제어 모듈(200)은 유선으로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전력사용 제어장치(100)는 터치스크린(110)을 구비하고 있어, 터치스크린(110)을 통해 전력 사용 현황을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한다. 또한, 전력사용 제어장치(100)는 전력 사용 현황을 구역별로 구분하여 표시한다.
실제로,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터치스크린(110)에는 전력 사용 현황이 '안방', '거실', '방', '베란다' 및 '부엌' 별로 구분되어 표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음영으로 표시된 '안방'과 '부엌'은 현재 전력을 사용하고 있는 구역을 나타내고, 음영으로 표시되지 않은 '거실', '방' 및 '베란다'는 현재 전력을 사용하지 않고 있는 구역을 나타낸다.
도 1에서는 음영을 통해 전력을 사용하고 있는 구역과 전력을 사용하지 않고 있는 구역을 구분하여 나타내었는데, 음영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이들을 구별하여 나타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색상 구분을 통해 전력을 사용하고 있는 구역과 전력을 사용하지 않고 있는 구역을 구분하여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현재 전력을 사용하고 있는 구역은 "빨간색"으로 나타내고, 현재 전력을 사용하지 않고 있는 구역은 "녹색"으로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전력사용 제어장치(100)는 터치스크린(11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전원 공급/차단 명령을 입력받아, 제어 모듈(200)로 전달한다.
제어 모듈(200)은 분전반(30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여, 궁극적으로 옥내 전원 공급을 구역별로 제어한다. 제어 모듈(200)에 의한 분전반(300) 제어는, 전력사용 제어장치(10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 명령에 따른다.
분전반(300)은 현관문(10)으로부터 가까이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분전반(300)은 옥내의 구역별로 전원이 공급/차단되도록 스위칭 동작하며, 전력 사용량을 검침하고, 과부하 발생시 전원을 자동 차단한다.
전력사용 제어장치(100)의 터치스크린(110)을 통한 전원 공급/차단 명령과 이에 따른 전원 공급/차단 역시 구역별로 구분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10)에 나타난 구역들 중 '안방'을 터치하게 되면, 전력사용 제어장치(100)는 제어 모듈(200)에 '안방'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것을 명령한다.
이후, '안방'으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제어 모듈(200)이 분전반(300)의 스위칭 상태를 제어하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10)에서 '안방'의 음영이 사라지는데, 이는 '안방'에 전원 공급이 차단되었음을 의미한다.
한편, 터치스크린(110)을 통해 전원 차단 명령 외에 전원 공급 명령을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10)에 나타난 구역들 중 음영으로 표시되지 않은 구역(즉, 현재 전원이 차단된 구역)인 '거실'을 터치하게 되면, 전력사용 제어장치(100)는 제어 모듈(200)에 '거실'로 전원을 공급할 것을 명령한다.
이후, '거실'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 모듈(200)이 분전반(300)의 스위칭 상태를 제어하면, 터치스크린(110)에서 '거실'에 음영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는 '거실'에 전원이 공급되었음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전력사용 제어장치(100)의 내부 구성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력사용 제어장치(100)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사용 제어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10), 제어부(120) 및 통신부(130)를 구비한다.
터치 스크린(110)은 전력 사용 현황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로 기능하는 한편, 사용자로부터 전원 공급/차단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수단으로 기능한다. 그리고, 통신부(130)는 제어 모듈(200)과 통신 연결을 설정하고 유지한다.
제어부(120)는 터치 스크린(110)을 통해 전력 사용 현황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터치 스크린(110)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전원 공급/차단 명령을 통신부(130)를 통해 제어 모듈(200)로 전달하여 전력 사용을 제어한다.
이 과정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사용 제어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가 접근하였음이 감지되면(S410-Y), 제어부(120)는 터치 스크린(110)에 옥내의 전력 사용 현황을 구역별로 구분하여 표시한다(S420).
S410단계는 선택적인 단계로 생략가능하다. S410단계에서의 사용자 접근 감지는, 근접 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가능한데, 이는 현관문(10)이 있는 현관 조명을 자동 점등하기 위한 근접 센서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S420단계에서 터치 스크린(110)에는 전력 사용 구역과 전력 미사용 구역이 구분되어 나타나므로, 사용자는 옥외로 외출하기 위해 현관문(10)에 접근하는 순간에 옥내의 전력 사용 현황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며, 전원 공급이 불필요함에도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구역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사용자가 전원 공급이 불필요함에도 전원이 공급되고 있다고 인지한 구역을 터치 스크린(110)을 통해 선택하면(S430-Y), 제어부(120)는 S430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역에 대한 전원 차단 명령을 통신부(130)를 통해 제어 모듈(200)로 전송한다(S440).
이에, 제어 모듈(200)은 S440단계를 통해 수신한 전원 차단 명령에 따라 분전반(300)의 스위칭 상태를 제어하고, 완료시에는 선택된 구간에 대한 전원 차단 완료 응답을 전력사용 제어장치(100)로 전송한다.
제어 모듈(200)로부터 전원 차단 완료 응답을 수신하면(S450-Y), 제어부(120)는 S420단계를 재수행하여 변화된 옥내의 전력 사용 현황을 구역별로 구분하여 표시하게 된다.
S420단계가 재수행되어 터치 스크린(110)에는 S430단계에서 선택된 구역에 대한 전원 공급이 차단된 상태로 나타나는데, 사용자는 이를 통해 자신이 선택한 구역에 전원이 차단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S420단계 재수행시, 제어부(120)는 선택된 구역에 대한 전원 차단으로 에너지 효율이 얼마나 상승하였는지를 터치 스크린(110)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지금까지, 전력사용 제어장치 및 방법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다.
위 실시예에서 터치 스크린(110)에는 구역들만이 구분되어 표시되는 것을 상정하였으나, 구역들에 대한 세부정보를 더 표시하여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구역들을 구분하여 표시하되, 각 구역들에 위치한(각 구역들에서 사용되는) 전력 사용기기들에 대한 정보를 더 표시하여, 사용자가 전원을 차단할 구역을 선택함에 있어 참조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 현관문
100 : 전력사용 제어장치 110 : 터치 스크린
120 : 제어부 130 : 통신부
200 : 제어 모듈 300 : 분전반

Claims (6)

  1. 전력 사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구역별로 구분하여 표시하며, 사용자로부터 구역들 중 하나를 선택받는 터치 스크린;
    분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모듈과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선택된 구역에 대한 전원 공급 제어 명령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어모듈에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사용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사용 제어장치는,
    도어의 실내측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사용 제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력 사용 구역과 전력 미사용 구역을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사용 제어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 사용 구역의 색상과 상기 전력 미사용 구역의 색상을 다르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사용 제어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력 사용 구역에 위치한 전력 사용기기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사용 제어장치.
  6. 전력 사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구역별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표시단계에서 표시된 구역들 중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단계에서 선택된 구역에 대한 전원 공급 제어 명령을, 분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사용 제어방법.
KR1020120005534A 2012-01-18 2012-01-18 터치스크린에 의한 직관적인 ui를 이용한 전력사용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294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534A KR101294365B1 (ko) 2012-01-18 2012-01-18 터치스크린에 의한 직관적인 ui를 이용한 전력사용 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534A KR101294365B1 (ko) 2012-01-18 2012-01-18 터치스크린에 의한 직관적인 ui를 이용한 전력사용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4746A true KR20130084746A (ko) 2013-07-26
KR101294365B1 KR101294365B1 (ko) 2013-08-06

Family

ID=48995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5534A KR101294365B1 (ko) 2012-01-18 2012-01-18 터치스크린에 의한 직관적인 ui를 이용한 전력사용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43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99806A (zh) * 2020-10-09 2021-01-08 中国南方电网有限责任公司 电力二次屏柜能力描述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403B1 (ko) * 2008-08-06 2010-04-1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지능 자율 부하관리 장치 및 방법
KR100963161B1 (ko) * 2010-03-19 2010-06-10 벽산파워 주식회사 건물의 스마트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99806A (zh) * 2020-10-09 2021-01-08 中国南方电网有限责任公司 电力二次屏柜能力描述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4365B1 (ko) 2013-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4157B2 (en)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t least one electronic device
KR102045690B1 (ko) 지능형 주택 무선제어시스템
US10608837B2 (e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120532B2 (en)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t least one electronic device
KR101266078B1 (ko) 가정 내 소비전력 관리 시스템
CN104270518B (zh) 一种遥控终端内操作界面的切换方法
US20140067144A1 (en) Smart switch and smart home system using the same
JP6440064B2 (ja) 機器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3728906B (zh) 智能家居控制装置及控制方法
US10592062B2 (en) Control apparatus
KR100918923B1 (ko)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환경하에서의 스마트 에너지 제어장치 및 방법
CN203745876U (zh) 一种智能家居控制装置
CN204440151U (zh) 一种智能家居控制装置
CN104898453A (zh) 基于物联网的智能家居系统
TWM526148U (zh) 智慧型居家監測系統
KR20170130664A (ko) 스마트 멀티탭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멀티탭 시스템
KR20160028740A (ko) 홈 게이트웨이 및 그 제어 방법
CN104932283A (zh) 节能型家居控制系统
CN105068520A (zh) 新型智能家居系统、安装及控制方法
KR20140046152A (ko)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 시스템
CN204720712U (zh) 一种智能插排的控制电路及智能插排
KR101294365B1 (ko) 터치스크린에 의한 직관적인 ui를 이용한 전력사용 제어장치 및 방법
CN205049872U (zh) 一种热水器远程控制系统
KR101846740B1 (ko) 휴대 단말기로 제어 가능한 콘센트 제어기
CN204791750U (zh) 智能家居演示模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