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3945A - 플렉시블 휴대폰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휴대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3945A
KR20130083945A KR1020120004577A KR20120004577A KR20130083945A KR 20130083945 A KR20130083945 A KR 20130083945A KR 1020120004577 A KR1020120004577 A KR 1020120004577A KR 20120004577 A KR20120004577 A KR 20120004577A KR 20130083945 A KR20130083945 A KR 20130083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allation groove
flexible
mobile phone
case
flexibl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4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9919B1 (ko
Inventor
지해성
유혜연
Original Assignee
유혜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혜연 filed Critical 유혜연
Priority to KR1020120004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9919B1/ko
Publication of KR20130083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3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20Optical components
    • H02S40/22Light-reflecting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의도나 선택에 따라 특정한 형태로 변형되어 사용 및 보관의 불편함이 원활히 해소되도록 하면서 다양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범위가 현저히 확대되도록 하는 플렉시블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 상기 휴대폰은 중간 부위가 얇고 상단과 하단이 중간 부위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고, 상단 및 하단보다 중간 부위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단의 상면에 제1 설치홈이 형성되고, 중간 부위의 상면에 제2 설치홈이 형성되며, 하단의 상면에 제3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설치홈의 둘레에 대응하여 배면에 제4 설치홈이 형성되는 굽힘 가능한 재질의 케이스와; 상기 제1 설치홈에 장착되는 스피커 모듈부와; 상기 제2 설치홈에 장착되는 굽힘 가능한 재질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3 설치홈에 장착되는 본체 모듈부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둘레에 대응하여 상기 제4 설치홈에 삽입되고, 상기 본체 모듈부에 의해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변형되는 전기활성 고분자 재질의 변형 부재와; 상기 제4 설치홈에 장착되어 상기 변형 부재를 고정하는 굽힘 가능한 재질의 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렉시블 휴대폰{FLEXIBLE MOBILE PHONE}
본 발명은 본체가 휘어질 수 있는 플렉시블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의도나 선택에 따라 특정한 형태로 변형되어 사용 및 보관의 불편함이 원활히 해소되도록 하면서 다양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범위가 현저히 확대되도록 하는 플렉시블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자동차 전화처럼 이동통신 지역 내를 임의로 이동하면서 무선 존(zone) 안의 기지국을 통해 일반 전화 가입자나 다른 이동통신 전화 가입자와 통화가 가능한 전화를 말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휴대폰은 최근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휴대전화,ㅇ핸드폰,ㅇ무선휴대폰,ㅇ무선휴대전화, 포켓전화 등 여러 명칭으로 불린다.
휴대폰은 처음에는 아날로그 방식도 쓰였으나, 유지하는 데 막대한 비용이 들고 수용 용량도 적어 현재는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휴대폰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또 같은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을 기본으로 하면서도 일반 디지털 휴대폰보다 주파수 대역이 높아 화상이나 동영상까지도 주고 받을 수 있는 피시에스(PCS:개인휴대통신) 전화기도 등장하는 등 하루가 다르게 성능이 향상된 휴대폰이 등장하고 있다.
새롭게 등장한 휴대폰 중의 하나인 스마트폰은 이동 중에 기지국을 통해 일반전화기 또는 이동통신단말기와 통화할 수 있는 휴대폰 기능과 무선인터넷이 접속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컴퓨터 지원기능을 통합시킨 휴대통신단말기를 말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휴대폰은 딱딱한 경질의 케이스로 구비되어 사용 및 보관이나 취급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인체에 착용하거나 책상 등의 상면에 거치하기 불편한 형태를 가지고 있어 사용상의 불편함이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최근에 그래핀 소재의 휘어지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는 단계에 이르렀으므로, 휘어지거나 변형되어 사용 및 보관상의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는 휴대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의도나 선택에 따라 특정한 형태로 변형되어 사용 및 보관의 불편함이 원활히 해소되도록 하면서 다양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범위가 현저히 확대되도록 하는 플렉시블 휴대폰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탄성링을 내장하여 변형 후에 원래의 상태로 탄성 복원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플렉시블 휴대폰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스의 배면에 보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이 보다 향상되도록 하는 플렉시블 휴대폰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스의 배면에 플렉시블 태양전지판을 설치하여 태양광에 의한 충전이 자체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플렉시블 휴대폰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휴대폰"은, 중간 부위가 얇고 상단과 하단이 중간 부위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고, 상단 및 하단보다 중간 부위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단의 상면에 제1 설치홈이 형성되고, 중간 부위의 상면에 제2 설치홈이 형성되며, 하단의 상면에 제3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설치홈의 둘레에 대응하여 배면에 제4 설치홈이 형성되는 굽힘 가능한 재질의 케이스와; 상기 제1 설치홈에 장착되는 스피커 모듈부와; 상기 제2 설치홈에 장착되는 굽힘 가능한 재질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3 설치홈에 장착되는 본체 모듈부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둘레에 대응하여 상기 제4 설치홈에 삽입되고, 상기 본체 모듈부에 의해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변형되는 전기활성 고분자 재질의 변형 부재와; 상기 제4 설치홈에 장착되어 상기 변형 부재를 고정하는 굽힘 가능한 재질의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휴대폰"은, 상기 변형 부재의 하면과 상기 커버의 사이로 상기 변형 부재의 하면을 따라 구비되는 탄성 복원 가능한 재질의 탄성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휴대폰"의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4 설치홈의 내측으로 상기 케이스의 배면에 형성되는 제5 설치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5 설치홈에 장착되는 굽힘 가능한 재질의 보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휴대폰"은, 상기 보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대신으로 상기 제5 설치홈에 장착되고, 태양광에 의해 전력이 생성되는 굽힘 가능한 재질의 플렉시블 태양전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의도나 선택에 따라 특정한 형태로 변형되어 사용 및 보관의 불편함이 원활히 해소되고, 다양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범위가 현저히 확대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링을 내장하여 변형 후에 원래의 상태로 탄성 복원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사용상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의 배면에 보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의 배면에 플렉시블 태양전지판을 설치하여 태양광에 의한 충전이 자체적으로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자체 충전에 따라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진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휴대폰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플렉시블 휴대폰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A-A 선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따른 B-선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휴대폰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휴대폰의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따른 플렉시블 휴대폰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휴대폰의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따른 플렉시블 휴대폰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종단면도,
도 10은 도 8에 따른 플렉시블 휴대폰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휴대폰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휴대폰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플렉시블 휴대폰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따른 A-A 선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따른 B-선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휴대폰은 연질의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상단에 장착되는 스피커 모듈부(20)와, 상기 케이스(10)의 중앙에 장착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와, 상기 케이스(10)의 하단에 장착되는 본체 모듈부(40)와, 상기 케이스(10)에 내장되는 변형 부재(50)와, 상기 변형 부재(50)를 가리는 커버(6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는 중간 부위가 얇고 상단과 하단이 중간 부위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고 상단 및 하단보다 중간 부위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합성고무나 실리콘 등과 같은 굽힘 가능하면서 탄성 복원되는 연질의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스피커 모듈부(20)를 포함하는 제반 부품들이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면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이런 부품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동시에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에 따라 중간 부위가 원활히 굽힘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케이스(10)는 그 상단의 상면에 제1 설치홈(11)이 형성되고 중간 부위의 상면에 제2 설치홈(12)이 형성되며 하단의 상면에 제3 설치홈(13)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설치홈(12)의 둘레에 대응하여 배면에 제4 설치홈(14)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설치홈(11)은 상기 스피커 모듈부(20)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2 설치홈(12)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제3 설치홈(13)은 상기 본체 모듈부(40)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4 설치홈(14)은 상기 변형 부재(50)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피커 모듈부(20)는 상기 제1 설치홈(11)에 장착되고 일반적인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폰의 상단측에 설치되는 제반 부품이 모듈화된 것으로써, 주로 스피커와 카메라 등이 모듈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스피커 모듈부(20)는 상기 본체 모듈부(40)와 전기 신호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 모듈부(4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된다.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는 상기 제2 설치홈(12)에 장착되는 것으로, 그래핀(graphene)과 같은 굽힘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 모듈부(40)의 제어에 따른 전원의 공급과 전기 신호의 수신에 의해 각종 영상을 화면상으로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그래핀은 탄소 원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원자 1개의 두께로 이루어진 얇은 막으로써, 휘어지는 디스플레이나 전자 종이에 사용되는 공지의 소재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는 사용상의 편의성을 위해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화면상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 모듈부(40)는 상기 제3 설치홈(13)에 장착되는 것으로, 일반적인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폰의 본체에 설치되는 제반 부품이 집적화되면서 모듈화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인쇄회로기판, 컨트롤러, 메모리, 충전지, 버튼 등이 설치된다.
상기 스피커 모듈부(20)와 본체 모듈부(40)는 단단한 소재로 케이싱화됨으로써, 상기 케이스(10)의 상단과 하단을 견고하게 지지하면서 무게 균형을 잡아주고 충격에 약한 제반 전자 부품을 내장하여 보호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변형 부재(50)는 전기활성 고분자로 형성되고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의 둘레에 대응하여 상기 제4 설치홈(14)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 모듈부(40)에 의해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특정한 형상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케이스(10)를 특정한 형상으로 변형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전기 활성 고분자(Electro-active polymer, EAP)는 전기 자극에 의해 팽창, 수축 및 휨 현상을 재현성 있게 나타낼 수 있는 고분자를 말한다.
전기활성 고분자는 전기적인 자극을 가하면 기계적인 움직임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전기활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상기 변형 부재(5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본체 모듈부(40)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수축되거나 휘어짐으로써, 특정한 형태로 변형되고, 이와 같이 상기 변형 부재(50)의 변형에 따라 연질의 상기 케이스(10)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가 특정한 형상으로 변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변형 부재(50)는 상기 본체 모듈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변형 부재(50)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의 둘레를 따라 링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변형 부재(50)의 특정 부위에 전기 자극이 가해지면 전기 자극을 받은 부위가 굽혀지면서 이 부분에 대응되는 상기 케이스(10)의 특정 부위를 굽히게 된다.
상기 커버(60)는 굽힘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4 설치홈(14)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제4 설치홈(14)을 막아서 상기 제4 설치홈(14)의 내부로 상기 변형 부재(5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커버(60)는 상기 케이스(1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아울러, 상기 커버(60)는 상기 케이스(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상기 변형 부재(50)가 인서트된 상태로 내장되는 경우를 말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플렉시블 휴대폰은 사용자의 의도나 선택에 따라 특정한 형태로 변형되어 사용 및 보관의 불편함이 원활히 해소되도록 하면서 다양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범위가 현저히 확대되도록 하는 획기적인 발명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휴대폰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하여 상기 변형 부재(50)가 특정한 형상으로, 예를 들어 굽혀진 형상으로, 변형되도록 하는 명령을 실행시키면, 명령 신호를 입력받은 상기 본체 모듈부(40)가 상기 변형 부재(50)에 전기를 공급하여 상기 변형 부재(50)의 일부가 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조작에 의해 사용자는 상기 변형 부재(50)에 대한 전기의 공급을 통해 상기 케이스(10)를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시킬 수 있게 되고, 필요에 따라 손목에 착용하거나 책상 위에 올려놓는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케이스(10)의 상단 배면에는 카메라(C)와 같은 부품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카메라를 보다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휴대폰의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플렉시블 휴대폰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휴대폰은 상기 변형 부재(50)의 하면과 상기 커버(60)의 사이로 상기 변형 부재(50)의 하면을 따라 구비되는 탄성 복원 가능한 재질의 탄성링(70)을 더 포함한다.
상기 탄성링(70)은 탄성 복원 가능한 강선과 같은 것으로 구비되어 상기 변형 부재(50)에 의해 상기 케이스(10)가 특정한 형상으로 변형된 후에 상기 본체 모듈부(40)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케이스(10)가 원래의 형태로 복원될 때 탄성복원력을 가하여 상기 케이스(10)의 탄성 복원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탄성링(70)은 상기 케이스(10)의 중간 부분, 즉 상기 케이스(10)에서 휘어지는 부분에 대한 견고성을 향상시키는 역할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탄성링(70)은 탄성복원이 원활한 스프링강과 같은 금속 재질의 강선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탄성복원력을 가해는 다양한 재질과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휴대폰의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따른 플렉시블 휴대폰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종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8에 따른 플렉시블 휴대폰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휴대폰의 상기 케이스(10)는 상기 제4 설치홈(14)의 내측으로 상기 케이스(10)의 배면에 형성되는 제5 설치홈(1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5 설치홈(15)에 장착되는 굽힘 가능한 재질의 보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8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5 설치홈(15)은 상기 케이스(10)의 배면에 상기 보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80)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80)는 상기 제5 설치홈(15)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와 같이 그래핀(graphene)과 같은 굽힘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 모듈부(40)의 제어에 따른 전원의 공급과 전기 신호의 수신에 의해 각종 영상을 화면상으로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보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80)는 사용상의 편의성을 위해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화면상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가 상기 변형 부재(50)에 의해 변형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보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80)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본체 모듈부(40)에 명령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보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80)에 각종 영상이 표시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며 사용범위가 보다 증대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휴대폰의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휴대폰은 상기 제5 설치홈(15)에 장착되는 굽힘 가능한 재질의 플렉시블 태양전지판(90)을 더 포함한다.
상기 플렉시블 태양전지판(90)은 태양광에 의해 전력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와 같이 상기 플렉시블 태양전지판(90)에 의해 생성된 전기는 상기 본체 모듈부(40)에 공급되어 충전된 후에 본 휴대폰의 각종 기기의 작동에 사용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플렉시블 태양전지판(90)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와 같이 그래핀과 같은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굽힘 가능하면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10 : 케이스
11 : 제1 설치홈 12 : 제2 설치홈
13 : 제3 설치홈 14 : 제4 설치홈
15 : 제5 설치홈
20 : 스피커 모듈부
30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40 : 본체 모듈부
50 : 변형 부재
60 : 커버
70 : 탄성링
80 : 보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90 : 플렉시블 태양전지판

Claims (4)

  1. 중간 부위가 얇고 상단과 하단이 중간 부위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고, 상단 및 하단보다 중간 부위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단의 상면에 제1 설치홈(11)이 형성되고, 중간 부위의 상면에 제2 설치홈(12)이 형성되며, 하단의 상면에 제3 설치홈(13)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설치홈(12)의 둘레에 대응하여 배면에 제4 설치홈(14)이 형성되는 굽힘 가능한 재질의 케이스(10)와;
    상기 제1 설치홈(11)에 장착되는 스피커 모듈부(20)와;
    상기 제2 설치홈(12)에 장착되는 굽힘 가능한 재질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와;
    상기 제3 설치홈(13)에 장착되는 본체 모듈부(40)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의 둘레에 대응하여 상기 제4 설치홈(14)에 삽입되고, 상기 본체 모듈부(40)에 의해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변형되는 전기활성 고분자 재질의 변형 부재(50)와;
    상기 제4 설치홈(14)에 장착되어 상기 변형 부재(50)를 고정하는 굽힘 가능한 재질의 커버(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휴대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부재(50)의 하면과 상기 커버(60)의 사이로 상기 변형 부재(50)의 하면을 따라 구비되는 탄성 복원 가능한 재질의 탄성링(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랙시블 휴대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는, 상기 제4 설치홈(14)의 내측으로 상기 케이스(10)의 배면에 형성되는 제5 설치홈(1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5 설치홈(15)에 장착되는 굽힘 가능한 재질의 보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랙시블 휴대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80)의 대신으로 상기 제5 설치홈(15)에 장착되고, 태양광에 의해 전력이 생성되는 굽힘 가능한 재질의 플렉시블 태양전지판(9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랙시블 휴대폰.
KR1020120004577A 2012-01-16 2012-01-16 플렉시블 휴대폰 KR101449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577A KR101449919B1 (ko) 2012-01-16 2012-01-16 플렉시블 휴대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577A KR101449919B1 (ko) 2012-01-16 2012-01-16 플렉시블 휴대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945A true KR20130083945A (ko) 2013-07-24
KR101449919B1 KR101449919B1 (ko) 2014-10-13

Family

ID=48994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4577A KR101449919B1 (ko) 2012-01-16 2012-01-16 플렉시블 휴대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991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19829A1 (ko) * 2013-02-01 2014-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50108334A (ko) * 2015-03-30 2015-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WO2015163567A1 (ko) * 2014-04-22 2015-10-29 (주)닛시테크 모바일 단말기
KR20160069982A (ko) * 2014-12-09 2016-06-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변 소자 및 가변 소자 제조 방법
CN108881551A (zh) * 2018-07-06 2018-11-23 盐城市瑞祥龙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备用电源的手机
JP2019505830A (ja) * 2015-12-29 2019-02-28 クワントン オーピーピーオー モバイル テレ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コーポレイション リミテッド 折り畳み可能な端末
EP3728780A4 (en) * 2017-12-21 2021-09-22 Clearvue Technologies Ltd DEVICE FOR GENERATING ELECTRICAL ENERG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6965B1 (ko) * 2005-01-31 2006-01-26 (주)블루버드 소프트 모바일 단말기
US7760289B2 (en) * 2007-06-27 2010-07-20 Epson Imaging Devices Corporation Electro-optic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optic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US7956770B2 (en) * 2007-06-28 2011-06-0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Data input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482125B1 (ko) * 2008-09-09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19829A1 (ko) * 2013-02-01 2014-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9344672B2 (en) 2013-02-01 2016-05-17 Lg Electronics Inc. Mobile/portable terminal
WO2015163567A1 (ko) * 2014-04-22 2015-10-29 (주)닛시테크 모바일 단말기
KR20160069982A (ko) * 2014-12-09 2016-06-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변 소자 및 가변 소자 제조 방법
KR20150108334A (ko) * 2015-03-30 2015-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JP2019505830A (ja) * 2015-12-29 2019-02-28 クワントン オーピーピーオー モバイル テレ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コーポレイション リミテッド 折り畳み可能な端末
US10382600B2 (en) 2015-12-29 2019-08-13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Foldable terminal
EP3728780A4 (en) * 2017-12-21 2021-09-22 Clearvue Technologies Ltd DEVICE FOR GENERATING ELECTRICAL ENERGY
US11482966B2 (en) 2017-12-21 2022-10-25 Clearvue Technologies Ltd Device for generating electric energy
CN108881551A (zh) * 2018-07-06 2018-11-23 盐城市瑞祥龙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备用电源的手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9919B1 (ko) 2014-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9919B1 (ko) 플렉시블 휴대폰
CN102202478B (zh) 便携式电子设备
KR20180070095A (ko)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무선 헤드폰
CN108055869B (zh) 电子设备支架
KR101587092B1 (ko) 이동 단말기
KR101587138B1 (ko) 이동 단말기
JP6644375B2 (ja) 携帯端末のロック解除装置および携帯端末
CN102752416B (zh) 移动终端
US8903459B2 (en) Connecting terminal for a battery of a mobile terminal
EP3059657B1 (en) Input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provided therewith
US8055312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659030B1 (ko) 와치 타입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KR101976464B1 (ko) 이동단말기 및 이에 구비된 배터리를 성형하는 프레스 금형 장치
KR20130092366A (ko) 핸드폰용 배터리 외부연결장치와 이를 구비한 플립식 보호케이스
US20170265314A1 (en) Shell for mobile device and mobile device
CN210377061U (zh) 一种背面带接口的分体式智能手表
KR101187187B1 (ko) 단말기용 다용도 파우치
CN211557417U (zh) 一种家用办公音响
CN101599376B (zh) 按键结构
CN101442568A (zh) 具超长待机时间和自充电的直板式音乐手机
CN209982122U (zh) 带伸缩线结构移动电源
KR20180129724A (ko)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무선 헤드폰
KR20210103345A (ko) 핸드폰 케이스
KR20170047573A (ko) Nfc 스피커와 충전기를 갖는 핸드폰 케이스
CN209767180U (zh) 一种无线充组合移动电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