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3637A - 차량공조기용 친환경 혼합냉매 조성물 - Google Patents

차량공조기용 친환경 혼합냉매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3637A
KR20130083637A KR1020120004361A KR20120004361A KR20130083637A KR 20130083637 A KR20130083637 A KR 20130083637A KR 1020120004361 A KR1020120004361 A KR 1020120004361A KR 20120004361 A KR20120004361 A KR 20120004361A KR 20130083637 A KR20130083637 A KR 20130083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weight
composition
temperatur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4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문
김기복
김윤금
Original Assignee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이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이에스티 filed Critical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04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3637A/ko
Publication of KR20130083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36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02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 C09K5/04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vapour or vice versa
    • C09K5/041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vapour or vice versa for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systems
    • C09K5/044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vapour or vice versa for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systems comprising halogenated compounds
    • C09K5/045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vapour or vice versa for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systems comprising halogenated compounds containing only fluorine as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9/00Acyclic 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atoms
    • C07C19/08Acyclic 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atoms containing fluor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05/00Aspects relating to compounds used in compression type refrigeration systems
    • C09K2205/10Components
    • C09K2205/12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05/00Aspects relating to compounds used in compression type refrigeration systems
    • C09K2205/10Components
    • C09K2205/12Hydrocarbons
    • C09K2205/126Unsaturated fluorinated hydrocarb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EU는 2011년부터 신형자동차 모델과 2017년부터는 모든 생산 차량에 들어가는 히드로플루오로카본계 냉매(HFC-134a)의 전면 폐기와 지구온난화(GWP)지수 150이하의 대체품 교체를 규제하고 있는 등 국내외 산업계 전반에서 국제적 환경규제에 대응한 친환경 대체물질을 적용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 에어컨 등에 주로 사용하는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계 냉매 R134a(CF3-CH3F)를 대체함에 있어, 종전의 차량공조기 시스템의 구조변경을 최소화하여 냉매량 조정만으로 곧 바로 적용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인 혼합냉매 조성물을 제공한다.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계 냉매 R134a를 대체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체 냉매 조성물에 대해, 15~25 중량%의 1,1-디플루오로에탄[HFC-152a(CHF2-CH3)]과 45~55 중량%의 2,3,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HFO-1234yf(CF3CF=CH2)] 및 15~25 중량%의 이소부탄[R600a{CH(CH3)3}] 그리고 냉동기 구성부품 중 증발기내에서 냉동유의 원활한 유동과 냉매의 체적냉동능력을 보완하기 위하여 5~15 중량%의 사이클로프로판(Cyclopropane) [RC270(C3H6)]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혼합냉매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공조기용 친환경 혼합냉매 조성물{The Composition Of Environmental Refrigerant Mixture For Car Airconditioner}
본 발명은 차량공조기용 친환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계 냉매 R134a(CF3-CH3F)를 사용하는 냉동기 시스템의 설계변경을 최소화하고 냉매량 조정만으로 곧 바로(Drop-in) 적용하기 위하여 체적냉동능력이 우수하고, 증기압특성이 동등 수준이며, 냉동 사이클상의 증발 및 응축과정에서 온도구배를 최소화하고, 냉매의 장기보관과 사용의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한 근사 공비혼합물 특성을 갖으며, 지구 오존층파괴와 지구 온난화지수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여 환경친화적인 특성을 갖는 차량공조기에 주로 사용되는 냉매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계 냉매 R134a를 대체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혼합냉매 조성물은 전체 냉매 조성물에 대해, 15~25 중량%의 1,1-디플루오로에탄[HFC-152a(CHF2-CH3)]과 45~55 중량%의 2,3,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HFO-1234yf (CF3CF=CH2)] 그리고 15~25 중량%의 이소부탄[R600a{CH(CH3)3}] 및 5~15 중량%의 사이클로프로판(Cyclopropane) [RC270(C3H6)]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차량공조기용 혼합냉매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냉동기 사이클(Cycle)은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팽창밸브, 드라이어, 오일(油) 분리기, 액(液)분리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냉동기는 열역학 제2법칙을 이용하여 압축기로 하여금 소정의 일을 수행시킴으로서 저열원(低熱源)에서 열을 흡수하여 온도가 높은 고열원(高熱源)으로 열을 이동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냉동 사이클에서 사용되고 있는 냉매는 증발기에서 저온(低溫)증발하여 주위의 열을 흡수하고, 압축기에서 고온(高溫), 고압(高壓)의 기체로 압축되며 응축기에서 다시 냉각되어 고압의 액상으로 상태변화한 것을 팽창밸브를 거치면서 감압되어 증발기내에서 증발함으로서 냉동기 사이클 내부를 순환하며 연속적으로 냉동작용을 한다.
이러한 냉매는 그 사용 온도에 따라서 크게 고온용, 중온용 및 저온용으로 구별되며, 저온용 냉매는 사용 온도의 범위가 약 -35 - -15℃이고, 중온용은 -15 - +5℃이고, 고온용은 -10 - +10℃ 정도이다. 냉매 R12 및 R134a는 냉장탑차와 같은 자동차용 냉매의 대표적인 물질로서 우수한 열역학적 특성을 갖추고 있으며 안전하여 주로 냉장고와 같은 가정용 중소형 냉동기에도 그 동안 널리 사용되어져 왔다. 하지만, R12 물질이 지구오존층 파괴와 지구 온난화의 주원인 물질로 규명되어 현재 사용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상기 R12 대체 냉매의 개발이 꾸준히 진행되어져 왔으며, 히드로플루오로카본계(이하 "HFC계")인 HFC-134a(또는 R134a) 또는 HFC-152a(또는 R152a), 탄화수소계(이하 "HC계") 냉매인 R600a, 유기화합물인 암모니아(NH3)가 제안되어져 왔다.
R12 대체냉매로 각광받아온 HFC계, 예를 들면, R134a(CH2FCF3)는 오존층에 대한 파괴의 정도가 낮아 1차적인 대체물질로 현재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지구 온난화지수가 높아EU는 2011년부터 신형자동차 모델과 2017년부터는 모든 생산 차량에 들어가는 히드로플루오로카본계 냉매(HFC-134a)의 전면 폐기와 지구온난화(GWP)지수 150이하의 대체품 교체를 요구하고 있다. 특히, HFC계 중 가장 광범위하게 상용화되었던 R134a는 R12 냉매보다 체적냉동능력이 저하되고 압축비가 커서 성능계수가 낮아 전기소비량이 많아진다. 또한, 냉동기유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광유와의 용해도가 낮아 냉동기유로 광유를 사용하지 못하고 특수 합성유인 에스터(Ester) 오일 또는 폴리알킬렌글리콜(PAG) 오일을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 오일은 대기중에 노출시 수분을 무한정 흡수하여 냉동기의 치명적 손상을 야기하여 압축기를 비롯한 냉동기 시스템 및 제조설비의 대대적인 보완 없이 곧바로 적용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지구온난화지수가 약 1,300(CO2=1, 100yr)으로 매우 커서 비환경친화적이다는 문제점이 있다.
R134a의 대체물질로서 탄화수소계 냉매는 우수한 열역학적 특성과 지구온난화 지수가 3(CO2=1, 100yr)으로 매우 작아 실용화를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이소부탄(R600a)을 냉매로 이용한 가정용 냉장고가 제안되고 있는데 우수한 열역학적 특성에도 불구하고 단위 체적당 냉동능력이 작아 압축기를 비롯한 냉동기 구성부품의 설계변경이 필요하고 가연성, 폭발성 등의 점에서 문제가 있다. 한편 프로판(R290)은 단위 체적당 냉동능력은 우수하나 증기압특성이 매우 커 압축기 모터를 비롯한 냉동기 시스템의 설계변경이 필요하고 가연성, 폭발성 등의 점에서 문제가 있다. 이소부탄과 프로판을 적절히 혼합한 냉매는 체적 냉동능력은 동등 수준이나 비공비 혼합물 특성으로 인하여 증발 및 응축과정에서 온도구배가 5∼6℃ 정도로 크게 나타나며 가연성, 폭발성 등의 점에서 문제가 있다.
암모니아(NH3)는 냉동 능력 등의 냉매 특성은 뛰어나지만, 독성 가스이고 가연성 및 폭발성이 있고, 공기 및 수분의 흡수에 의해 동 및 동합금을 부식시킨다는 단점에 의해 가정용 냉동기에는 사용되지 못한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0255477에 의하면 탄화수소계 냉매 중에서 프로판과 싸이크로펜탄을 사용하며 탄화수소계 냉매의 가연성을 억제하고자 트리플루오로 메틸아이오드(CF3I)를 혼합하고 주냉매로 사용하며 상기 혼합물을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실리콘 오일을 사용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트리플루오로 메틸아이오드는 할론-1301(Hallon-1301, CF3Br)을 대체하기 위한 소화물질로서 주로 사용되며 주냉매로 사용시 가격이 고가이고 분자량이 커서 탄화수소계 냉매의 장점인 냉동기에 사용되는 냉매 주입량을 줄이기는 커녕 오히려 그 사용량을 증가시키게 되며 냉동기에 적용시 냉동능력이 저하되고 프로판 및 싸이크로펜탄 등의 탄화수소계 냉매와 적정수준 이상으로 혼합시 증발 및 응축과정에서 온도구배가 2∼3℃ 정도로 크게 나타나는 비공비 혼합물 특성을 보인다. 이러한 비공비 혼합물 특성은 냉동기에 냉매의 상변화(액상/기상)에 따라 같은 질량 기준으로 냉매를 주입하였다 할지라도 성능특성이 다르게 나타나고, 냉동기 구성부품인 증발기와 응축기의 압력이 계속하여 변하는 시스템의 불안정을 가져오게 되며 따라서 제조현장에서 냉매의 유지관리가 매우 어렵게 된다. 또한 상기 특허에서 사용하고 있는 실리콘 오일은 항상 액체상태로 존재하여 냉동기 사이클 내부를 순환함으로서 냉동기의 증발기 부분에서 냉동능력을 저하시키며, 특히 저온 저압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증발기 부분에서 누적시 냉동기의 신뢰성에 치명적 영향을 주어 그 사용량을 엄격히 제한하고 있다. 또한 냉매를 제조한 후 장기간 용기 내에 보관할 때 냉매와 분리되는 특성으로 인하여 용기로부터 실제 냉매를 사용할 때는 가연성 개선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음을 예측할 수 있다.
지금까지 제안된 대체냉매 물질을 사용하게 되면 냉동기 구성부품의 설계를 기본부터 변경할 필요가 있다. 이 설계변경은 막대한 비용이 들고 자원의 낭비가 된다. 냉매 R12 및 R134a를 사용한 기존의 냉동기 등의 효과적 적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들의 생산설비의 변경에 소요되는 비용은 헤아리기 힘들 정도로 막대하다
따라서, R134a 냉매를 사용하는 기존의 냉동기 시스템의 설계변경을 최소화하여 곧바로 대체할 수 있고, 체적냉동능력 및 성능계수가 우수하고, 증기압 특성이 우수하며, 냉동기유를 비롯한 냉동기의 각종 구성부품과 신뢰성이 확보되고, 증발 및 응축과정에서 온도구배가 발생하지 않는 공비혼합물, 지구온난화지수 규제에 대비한 대체물질이 요청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R134a 냉매를 사용하는 기존의 차량공조기 시스템의 설계변경을 최소화하기 위해 냉매량 조정만으로 대체할 수 있고, 체적냉동능력 및 성능계수가 우수하고, 증기압 특성이 우수하며, 냉동기유를 비롯한 냉동기의 각종 구성부품과 신뢰성이 확보되고, 지구온난화지수를 최소화하여 환경친화적이며, 증발 및 응축과정에서 온도구배 발생을 최소화한 차량공조기용 근사공비혼합냉매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계 냉매 R134a를 대체하기 위하여 전체 냉매 조성물에 대해, 15~25 중량%의 1,1-디플루오로에탄[HFC-152a(CHF2-CH3)]과 45∼55 중량%의 2,3,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HFO-1234yf(CF3CF=CH2)] 및 15~25 중량%의 이소부탄[R600a{CH(CH3)3}] 그리고 냉동기 구성부품 중 증발기내에서 냉동유의 원활한 유동과 냉매의 체적냉동능력을 보완하기 위하여 5~15 중량%의 사이클로프로판(Cyclopropane) [RC270(C3H6)]을 함유하는 혼합냉매 조성물을 제공함
본 발명에 따른 혼합냉매를 이용할 경우 몬트리얼 의정서에 의하여 지구환경 파괴 물질로서 규제 받고 있는 R134a 냉매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기존의 R134a를 사용하는 냉동기 시스템의 설계변경 없이 냉매량 조정만으로 곧 바로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기존의 냉동기 생산 설비의 추가적 보완이 불필요함으로서 냉동기 제품의 제조원가 개선에도 효과가 크다. 한편 냉매로서의 기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대기압 상태에서의 증발온도가 낮음. (b)응축 및 증발 압력이 기존냉매 대비 동등 수준임. (c)증발잠열이 우수함. (d)응고점이 낮음. (e)체적 냉동능력이 우수함. (f)임계온도가 높음. (g)냉동기유와 상용성이 우수함. (h)점도가 작고 열전달 특성이 우수함. (i)전기 절연성이 우수하며 전기 절연물질을 침식시키지 않음. (j)지구온난화지수를 30 수준으로 현저하게 개선하여 환경친화적인 특성을 보인다.. (k)환경 및 인체에 무해함. (l)기존의 냉매를 사용하는 냉동기에 설계변경 없이 냉매량 조정만으로 곧바로 적용가능하다.
도 1 은 차량공조기용 냉매에 관한 해석 및 측정조건을 압력-엔탈피 선도를 이용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오존층 파괴와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계 냉매 R134a의 대체물질로서,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R134a를 사용하는 냉동기의 시스템 설계 변경을 하지 않고 냉매량 조정만으로 곧 바로 적용 가능한 혼합냉매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R134a 대체를 위한 혼합냉매 조성물은 탄화수소계에서 선택되는 냉매가스와, 히드로플루오로카본계에서 선택되는 냉매가스 그리고 탄화불화올레핀계에서 선택되는 냉매가스의 혼합물을 함유한다.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계 냉매 R134a를 대체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혼합냉매의 조성물은 전체 냉매 조성물에 대해, 15~25 중량%의 1,1-디플루오로에탄[HFC-152a(CHF2-CH3)]과 45~55 중량%의 2,3,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HFO-1234yf(CF3CF=CH2)] 그리고 15~25 중량%의 이소부탄[R600a{CH(CH3)3}] 및 5~15 중량%의 사이클로프로판(Cyclopropane) [RC270(C3H6)]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르면, R134a를 대체하기 위한 혼합냉매 조성물은 20 중량%의 1,1-디플루오로에탄[HFC-152a(CHF2-CH3)]과 50 중량%의 2,3,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HFO-1234yf (CF3CF=CH2)] 그리고 20 중량%의 이소부탄[R600a{CH(CH3)3}] 및 10 중량%의 사이클로프로판(Cyclopropane) [RC270(C3H6)]을 함유는 조성물이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제공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R134a 냉매를 대체하기 위해 상기에 제시된 본 발명의 혼합냉매 조성물은 냉매로서 가장 중요한 특성인 열역학적 성질[예를 들면, 기존의 R134a 냉매 대비 우수한 냉동능력과 높은 성능계수(COP) 특성]이 우수하였으며, 환경친화적(즉 오존층파괴지수=0, 지구온난화지수=30 수준)임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혼합냉매 조성물은 증기압(증발/응축압력) 특성이 기존의 R134a와 거의 동등하여 R134a 냉매를 사용하고 있는 기존 냉동기의 설계를 변경하지 않고 냉매량 조정만으로 곧바로 적용(Drop-In)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혼합 냉매 조성물은 증발/응축 과정의 온도구배가 발생을 최소화한 근사공비혼합물 특성을 갖추고 있음으로 인해 일반적인 비공비 혼합물에 의해 발생하는 냉매의 상변화(액상/기상)에 따른 증발기와 응축기의 압력이 계속적 변화 이로 인한 시스템의 불안정을 해결하여 제조현장에서 냉매의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R134a 대체를 위한 혼합냉매 조성물의 제조는 통상의 혼합냉매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되며,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밀폐용기 내의 공기를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완전 진공상태로 하고, 이 밀폐용기 내에 탄화수소계 냉매가스와 히드로플루오로카본계 냉매 가스를 순차 또는 함께 주입하고, 소정의 시간동안 교반함에 의해 성취할 수 있다. 완성된 조성물은 밸브가 부착된 가스용기에 소정의 무게로 담아 출하한다. 상기 제조는 상온에서도 실행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혼합냉매 조성물은 성능계수가 높고 체적냉동능력이 우수하여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로 구성된 냉동기에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오일 분리기, 액분리기 등을 추가로 갖춘 냉동기에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혼합냉매 조성물은 증기압특성이 R134a와 유사하여 R134a를 사용하는 기존의 냉동기 시스템의 설계변경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R134a를 사용하는 왕복식, 회전식, 스크롤식 압축기 등 기존의 어떠한 압축기에도 시스템 변경 없이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혼합냉매 조성물은 압축기 등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냉동기유와 상용성이 우수하여. 국제표준화 기구ISO)에서 정한 규격품(ISO VG 10~50)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 냉동기유와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냉동기유로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어온 광유(Mineral oil)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혼합 냉매 조성물은 냉동 사이클의 응축기에서 버리는 열량을 난방에 사용하는 히트펌프(Heat Pump)방식의 냉동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실외에 있는 증발기에서 공기를 냉각시켜 실내에 있는 응축기에서 공기를 따뜻하게 하는, 즉 냉방과 난방이 모두 가능한 히트펌프식 에어컨 등에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보다 상세히 기술할 것이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본 발명의 자동차 에어컨용 친환경 혼합냉매 조성물을 [표1]과 같은 혼합비율로 제조한다.
Figure pat00001
실시예 2
실시예 1 에서 제조한 시편(단, 시편 1 ~ 5를 JER-10a ~ JER-10e로 명명)과, 비교의 목적하에, R134a와 비교하여 비등점, 독성, 인화점, 열전달율, 증발잠열, 오존층 파괴지수 및 지수온난화지수를 포함하는 각종 냉매의 열역학적 성질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2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혼합매 조성물(JER-10a 내지 JER-10e)은 냉동기유로 광유 또는 에스터계 오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오존층 파괴지수(ODP)가 0이고, 지구 온난화지수가 30 수준으로서 매우 우수하며, 독성이 없고 열전달 특성이 우수하며 분자량이 작아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3
R134a 대체냉매로 제시한 본 발명의 혼합냉매 조성물이 여러 가지 냉매와 비교하여 냉장탑차와 같은 중온용 냉동기 등의 사용조건에서 R134a를 곧바로 대체 적용할 수 있는지 검토하기 위하여 체적냉동능력, 성능계수, 응축 및 증발압력, 압축비, 온도구배, 토출 개스 온도 등의 이론 사이클 특성 해석을 수행하였다. 이론 사이클 특성 해석을 위한 표준 조건은 ASHRAE HBP 표준조건으로서 도 1에 제시된 응축온도, 증발온도, 과냉각 온도, 과열 개스 온도, 압축기 주위온도에 의하여 설정된다.
이론 사이클 특성 해석을 위해 사용한 냉매 물성치 계산 프로그램은 기존 냉매의 경우 미국 냉동공조학회의 냉매물성 프로그램(NIST REFPROP 5.1)을 이용하였고, 본 발명의 새로운 혼합냉매(NR-452Series)의 열역학적 성질을 계산하기 위하여는 평형 실험장치를 이용한 포화 온도-압력 특성을 측정하고, 실험 데이터와 계산값의 오차가 최소가 되도록 온도에 따른 새로운 상호 작용계수를 도입하여 이 상호 작용계수와 CSD (Carnahan/Starling/DeSantis) 상태 방정식 및 열역학적 관계식들을 이용하여 첨가제가 혼합된 본 발명의 혼합냉매의 물성치를 계산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용하였다.
압축기의 체적효율 100%를 기준으로 위에서 언급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중량비 혼합비율에 따른 해석 결과를 표 3에 제시하였다.
Figure pat00003
상기 표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혼합냉매(JER-10 Series) 냉매는 체적냉동능력 및 성능계수가 모두 R134a 대비 매우 우수한 특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온도구배 특성을 살펴보면 단일냉매는 증발 및 응축 과정에서 온도구배 특성이 나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혼합냉매(JER-10 Series)는 온도구배가 0.08~1.0℃ 정도로서 단일냉매와 매우 유사한 근사공비혼합물 특성을 보인다. 그리고, 본 발명의 혼합 냉매(JER-10 Series)는 응축 및 증발압력이 R134a 대비 낮은 우수한 특성을 보이고, 특히 압축비가 R134a 보다는 매우 양호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혼합냉매 조성물(JER-10a 내지 JER-10e)은 냉동능력 및 성능계수를 포함한 성능 특성이 우수하여 차량공조기용 냉동기에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R134a 냉매와 증기압 특성이 유사하여 기존의 R134a 냉동기 시스템에 곧바로 적용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다. 또한 증발 및 응축과정의 온도구배가 작은 근사공비 혼합물 특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한국산업규격(KS B 6365-1987)에 준하여 2차 냉매 열량계법을 이용하여 제작한 열량계 실험 장치를 사용하여, 압축기를 이용한 여러 가지 냉매의 성능 및 증발/응축과정의 온도구배 그리고 압축기 토출개스 온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4
상기 표 4를 살펴보면 우선 냉동능력은 압축기의 체적효율의 영향 등으로 이론냉동능력의 60%~68% 수준을 보이고, 성능계수는 압축기의 기계 및 모터효율 등으로 이론 성능계수의 38%~48% 수준을 나타내었다. R134a는 고온용 조건에서는 냉동능력 및 성능계수가 비교적 우수한 특성을 보여 자동차 에어컨과 같은 고온용 냉동기에 있어 R134a 냉매를 적용하기는 비교적 용이하고 냉장고와 같은 저온용 냉동기에서 R134a 냉매를 적용하기가 매우 난이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혼합냉매 조성물(JER-10 Series)은 냉동능력 및 성능계수가 우수하며, 전류는 동등 수준의 결과를 보임으로서 매우 우수한 품질 특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증발/응축 과정에서의 온도구배 실험결과를 보면, 단일냉매 R134a는 증발 및 응축과정에서 온도구배 특성이 나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혼합냉매 시료는 증발 및 응축과정에서의 온도구배가 0.5~1.0℃ 수준으로서 단일냉매와 유사한 매우 우수한 근사공비혼합물 특성을 나타내었다. 즉 전체적으로 냉동능력 및 성능계수가 우수하고 근사 공비혼합물 특성을 나타내는 본 발명의 혼합냉매 조성물은 기존의 R134a 냉동기 시스템에 곧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
본 발명의 혼합냉매 조성물 JER-10 Series를 적용한 냉동기 시스템의 신뢰성 검증을 위하여 냉동기의 핵심 부품인 압축기를 이용하여 신뢰성 평가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 실험은 미국 G.E사의 신뢰성 시험규격에 준한 과부하 마찰실험을 실시하였고 실험 장치는 일체형 응축/증발기, 송풍기, 팽창밸브와 모세관, 타이머, 수명 장치의 압력제어를 위한 기기로 구성된다. 이 실험 장치는 압축기의 흡입 및 토출압력 그리고 압축기 케이스 온도제어를 통하여 짧은 시간내에 가혹한 실험 조건을 만들어 압축기의 신뢰성을 판정하기 위하여 제작되었다. 흡입 및 토출압력 제어는 주로 팽창밸브와 모세관을 이용한 냉매의 유량을 조절함으로서 이루어지고, 일체형 응축/증발기의 표면 온도를 감지하여 송풍기의 회전속도를 추가적으로 제어함으로서 보다 정밀한 압력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 실험 장치의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증발기와 응축기를 일체화하였으며, 압축기 케이스의 온도제어는 송풍기를 이용하였다. 제한된 시간동안 압축기를 운전한 후 압축기를 분해하기 전에 냉동유를 비이커에 채집하여 전산가(total acid number), 수분, 색상을 분석한다. 최종적으로 압축기를 분해하여 신뢰성에 미치는 요소인 구동부의 마모상태, 유기자재의 유연성, 중량 및 크기변화 등을 평가하였다. 과부하 마찰실험은 주로 압축기의 구동부의 마찰 마모 상태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는데, 그 실험 결과는 표 5와 같다. 본 발명의 혼합냉매 조성물 JER-10 Series는 특히 냉동유로서 광유[Mineral oil(상품명, 4GSD-T)]와의 과부하 실험결과 전산가가 작아 매우 우수한 특성을 보이며, 밸브 및 기계 구동 마찰부의 마모 특성이 R134a 대비 동등 수준의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Figure pat00005
실시예 6
본 발명의 혼합냉매(JER-10 Series)에 대하여 온도에 따른 포화압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평형 실험장치를 이용하였다. 이 실험장치는 크게 평형장치, 냉매 회수용 탱크, 평형 장치의 온도제어를 위한 기기로 구성된다. 평형장치는 다시 평형 쉘과 마그네틱 펌프로 구성되어 있다. 평형 셀은 셀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사이트 글라스(sight glass)를 부착하였고, 마그네틱 펌프는 혼합냉매의 평형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기체와 액체 냉매를 순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평형 셀과 마그네틱 펌프는 항온조에 설치되어 있으며, 항온조의 온도는 외부 온도제어 장치에 의하여 조절된다. 항온조 내부의 열전달 매체로는 실리콘 오일이 사용되었다. 평형 실험을 위하여 먼저 항온조의 온도를 설정하고, 진공 펌프를 이용하여 사이클 내부를 진공(1 ㅧ10-5 torr) 시킨다. 진공이 얻어지고 항온조의 온도가 설정되면 혼합냉매를 액체 상태로 평형셀 체적의 1/3 정도가 되도록 주입한다. 냉매가 주입된 후 마그네틱 펌프를 작동시켜 혼합 및 상평형이 잘 이루어지도록 한다. 냉매 주입 후 상평형이 이루어지면 온도 및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온도에 따른 포화압력을 측정한다.
상기 평형 실험장치를 사용하여 온도 -40℃~60℃ 범위에 걸쳐서 여러 가지 냉매와 비교하여 온도에 따른 포화압력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혼합냉매 JER-10 Series 냉매는 R134a 대비 전반적으로 매우 양호한 압력특성을 보였으며, 이는 냉동기 적용시 압축기 소비입력 개선에 따른 냉동기 시스템 에너지 소비절감으로 나타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Figure pat00006

Claims (2)

  1. 전체 냉매 조성물에 대해, 15~25 중량%의 1,1-디플루오로에탄(CHF2-CH3)과 45~55 중량%의 2,3,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CF3CF=CH2) 그리고 15~25 중량%의 이소부탄[CH(CH3)3] 및 5~15 중량%의 사이클로프로판(C3H6)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프레온계 냉매 R134a 대체를 위한 혼합냉매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조성물이 20 중량%의 1,1-디플루오로에탄(CHF2-CH3)과 50 중량%의 2,3,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CF3CF=CH2) 그리고 20 중량%의 이소부탄[CH(CH3)3] 및 10 중량%의 사이클로프로판(C3H6)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온계 냉매 R134a 대체를 위한 혼합냉매 조성물
KR1020120004361A 2012-01-13 2012-01-13 차량공조기용 친환경 혼합냉매 조성물 KR201300836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361A KR20130083637A (ko) 2012-01-13 2012-01-13 차량공조기용 친환경 혼합냉매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361A KR20130083637A (ko) 2012-01-13 2012-01-13 차량공조기용 친환경 혼합냉매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637A true KR20130083637A (ko) 2013-07-23

Family

ID=48994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4361A KR20130083637A (ko) 2012-01-13 2012-01-13 차량공조기용 친환경 혼합냉매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36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80649A (zh) * 2021-11-09 2022-01-2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混合制冷剂和空调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80649A (zh) * 2021-11-09 2022-01-2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混合制冷剂和空调系统
CN113980649B (zh) * 2021-11-09 2022-07-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混合制冷剂和空调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98620C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frigeration
KR20020019682A (ko) 고온용 혼합 냉매 조성물
CA2890628A1 (en) Low gwp heat transfer compositions
KR20160054519A (ko) 디플루오로메탄, 펜타플루오로에탄, 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 및 임의로 프로판을 포함하는 열전달 유체
WO2014076475A2 (en) Refrigerant additive
EP2885367A1 (en) Low gwp heat transfer compositions
KR100439277B1 (ko) 저온용 혼합 냉매 조성물
KR100696806B1 (ko) 프레온 대체를 위한 비가연성 혼합냉매 조성물
KR100924426B1 (ko) 친환경 오픈 쇼케이스 혼합냉매 조성물
KR101200579B1 (ko) 친환경 혼합냉매 조성물
KR101107045B1 (ko) 저온수송 차량용 친환경 혼합냉매 조성물
KR20130083637A (ko) 차량공조기용 친환경 혼합냉매 조성물
KR100534480B1 (ko) 환경친화형 혼합냉매 조성물
KR100405104B1 (ko) 고온용 혼합 냉매 조성물
KR100582453B1 (ko) Hc/hfc계 혼합냉매 조성물
KR100394696B1 (ko) 환경친화적인 비가연성 냉매 혼합물
KR20130090529A (ko) 차량공조기용 극저 지구온난화지수 혼합냉매 조성물
KR100414761B1 (ko) 공비적 특성을 갖고 인화성이 개선된 냉매 r-500 대체용혼합 냉매 조성물
KR101242977B1 (ko) 냉장탑차용 환경친화형 혼합냉매 조성물
KR100696805B1 (ko) 환경친화형 저온저장시스템 혼합냉매 조성물
KR100439278B1 (ko) 냉매 r-502 대체용 혼합냉매 조성물
KR100582824B1 (ko) 환경친화형 차량공조 혼합냉매 조성물
KR100414762B1 (ko) 냉매 r-500 대체용 혼합 냉매 조성물
KR101049612B1 (ko) 반도체 산업용 냉동기 혼합냉매 조성물
KR20090077995A (ko) 친환경 중소형 쇼케이스 혼합냉매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113

Effective date: 2014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