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3304A - 벽면 식생 장치 - Google Patents

벽면 식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3304A
KR20130083304A KR1020120004009A KR20120004009A KR20130083304A KR 20130083304 A KR20130083304 A KR 20130083304A KR 1020120004009 A KR1020120004009 A KR 1020120004009A KR 20120004009 A KR20120004009 A KR 20120004009A KR 20130083304 A KR20130083304 A KR 20130083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ase
wall
storage unit
water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4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생미
Original Assignee
박생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생미 filed Critical 박생미
Priority to KR1020120004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3304A/ko
Publication of KR20130083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33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에 식물을 식생하여 생장 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수(灌水)가 어려워 관리가 용이 하지 않은 건물의 벽면 및 경사진 축대에 항시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수분을 원활히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식물을 성장할 수 있도록 하여 생태면적을 넓히고, 콘크리트 및 석재로 미관상 안 좋은 벽면과 경사면에 조경을 함으로써 경관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관수를 지속적으로 하지 않고, 빗물 또는 관수를 저장하여 미세기공을 지닌 흡수세라믹을 통해 모세관 현상으로 물이 저장된 하부에서 지속적으로 수분을 공급 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관수 장치 없이 관수에 드는 인건비 및 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는 벽면 식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벽면 식생 장치 { Device for the growth of vegetation on the wall. }
본 발명은 벽면에 식물을 식생하여 성장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수(灌水)가 어려워 관리가 용이하지 않은 건물의 벽면 및 경사진 축대에 식물을 식생할 수 있도록 하여 생태면적을 넓히고, 콘크리트 및 석재로 미관상 안 좋은 벽면과 경사면에 조경을 함으로써 경관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관수를 지속적으로 하지 않고, 빗물 또는 관수를 저장하여 미세기공을 지닌 흡수세라믹을 통해 모세관 현상으로 물이 저장된 하부에서 지속적으로 수분을 공급 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관수 장치 없이 관수에 드는 인건비 및 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는 벽면 식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벽면이나 축대 등은 콘크리트 및 석재로 구성되어 경관을 삭막하게 하여 최근 벽화 등으로 치장을 하고 있다. 그러나 벼면 및 축대의 치장은 비용이 많이 들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나면 훼손되어 더욱 더 경관을 해치게 된다. 또한 콘크리트 및 축대는 여름철 열섬 현상을 가중시키고 있어 벽면 조경을 통해 녹화를 한다면 경관도 살리고, 열섬 현상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벽면 및 축대에 화분 등으로 녹화를 했을 때 관수에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특히 높은 곳에 위치한 화분은 관수를 제때 할 수 없어 식물이 고사하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화분에 물통을 만들고 그 물이 지속적으로 관수가 되게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여러 가지 방법의 아이디어를 만들고 있다. 그러나 물통에서 물을 화분에 지속적으로공급 하는 방법에 대한 실효성 있는 대안을 만들지 못하고 있다.
특히 특허 등록 번호 0904922의 “빗물을 이용한 벽면녹화공법장치”에서는 빗물을 이용하여 물을 물저장부에 저장하고 유도관을 활용하여 모세관 현상으로 공급하고 있으나 유공관이 막힐 우려가 있으며, 빗물이 장기적으로 공급이 되지 않을 때 관수량의 확인이 불가능하여 실제 사용에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 등록 번호 0278170의 “건축물의 벽면 녹화용 포트 박스 및 그 설치 시스템”에서는 상부에 물통을 별도로 두어 관으로 각 각의 화분의 개별 물통에 연결하고 심지로서 물통의 물을 식물에 공급하고 있다. 노출된 관이 미관에 좋지 않을 뿐 아니라, 심지의 소재가 불분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건물의 벽면 및 경사면에 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장치를 만듦에 있어 물을 저장 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그 곳에 빗물 및 관수를 담아 지속적으로 식물에 공급함으로써 장기간 저장된 물로서 식물을 생장 시킬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그에 따라 그에 따라 인건비 및 관리비 등과 같은 비용이 절감되는 벽면 식생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흡수 세라믹의 모세관현상을 통해 케이스의 물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토양으로 전달시키고, 물 저장부의 물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하고, 항시 토양을 습하게 하여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수분을 원활히 공급할 수 있는 벽면 및 경사면 식생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빗물 및 관수된 물이 모관수로 지속적으로 사용되도록 벽면 및 경사면(1)에 설치되는 식물(2)식생장치에 있어서,
상부에는 토양과 식물이 구비되는 식물식재공간(1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물저장부(13)가 있으며, 식물식재공간(11)의 넘치는 물을 물저장부(13)로 배수시키는 토양배수구(12)가 있으며, 후면부에는 벽면에서 흘러내리는 빗물 또는 물을 이송하는 유입관(16)이 있으며, 일면에는 물저장부(13)에서 넘친 물이 빠지도록 하는 넘침배수구(14)가 있으며, 또 다른 일면에는 물저장부(13)에 담겨있는 수량을 확인 할 수 있는 수량측정관(15)으로 이루어져 있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의 물저장부(13)의 물을 식물식재 공간(11)으로 모세관 현상으로 공급하는 미세기공으로 이루어진 흡수세라믹(20)과;
상기 케이스(10)를 탈부착이 되면서 고정시키는 고정턱(42)과 벽면 및 경사면(1)에 고정시키기 위한 앵커볼트(41)가 있는 장치 고정틀(40)과;
상기 케이스의 상단부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빗물 및 물이 벽면을 타고 케이스 내에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유입판(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식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벽면 및 경사면의 식생 장치는 건물의 외벽 및 축대의 미관을 향상시키며 저비용으로 식물을 식생 할 수 있게 함으로써 도시의 녹화면적을 늘릴 수 있다.
또한 관수를 받아 저장하여 장기적으로 식물에 공급할 수 있어 관리가 용이하여 그에 따라 인건비 및 관리비 등과 같은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흡수 세라믹의 모세관현상을 통해 케이스의 물 저장부에 저장된 관수를 토양으로 전달하여 항시 토양을 습하게 하여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수분을 원활히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벽면 식생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벽면 식생 장치를 나타낸 입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벽면 식생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벽면 식생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벽면 식생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벽면 식생 장치를 나타낸 후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벽면 식생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벽면 고정틀을 나타낸 입체도이고,
도 9는 도 3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수세라믹의 모세관 작용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빗물 및 관수된 물이 모관수로 지속적으로 사용되도록 벽면 및 경사면(1)에 설치되는 식물(2)식생장치에 있어서,
상부에는 토양과 식물이 구비되는 식물식재공간(1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물저장부(13)가 있으며, 식물식재공간(11)의 넘치는 물을 물저장부(13)로 배수시키는 토양배수구(12)가 있으며, 후면부에는 벽면에서 흘러내리는 빗물 또는 물을 이송하는 유입관(16)이 있으며, 일면에는 물저장부(13)에서 넘친 물이 빠지도록 하는 넘침배수구(14)가 있으며, 또 다른 일면에는 물저장부(13)에 담겨있는 수량을 확인 할 수 있는 수량측정관(15)으로 이루어져 있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의 물저장부(13)의 물을 식물식재 공간(11)으로 모세관 현상으로 공급하는 미세기공으로 이루어진 흡수세라믹(20)과;
상기 케이스(10)를 탈부착이 되면서 고정시키는 고정턱(42)과 벽면 및 경사면(1)에 고정시키기 위한 앵커볼트(41)가 있는 장치 고정틀(40)과;
상기 케이스의 상단부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빗물 및 물이 벽면을 타고 케이스 내에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유입판(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에서부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빗물 및 관수된 물이 모관수로 지속적으로 사용되도록 벽면 및 경사면(1)에 설치되는 식물(2)식생장치는 케이스(10)와, 흡수세라믹(20), 장치 고정틀(40) 및 유입판(60)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는 식물과 토양을 구비할 수 있는 화분과 같은 역할로써, 내부가 중공된 통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0)는 상부에는 토양과 식물(2)이 구비되는 식물 식재공간(11)과 하부에는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부(13)와 관수가 유입되는 유입관(16)으로 구획된다.
또한 상기 식물식재공간(11)과 물저장부(13)사이에는 다수개의 토양배수구(12)가 형성되고 관수시 식물식재 공간(11)으로 유입되어 식물(2)에 흡수되고 남은 물은 토양 배수구(12)를 통해 물 저장부로 유입된다.
상기 케이스의 벽면에 부착되는 면으로 유입관(16)이 설치되어 벽면 및 경사면을 타고 흐르는 관수를 물저장부(13)에 유입시킨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일단면에는 물저장부(13)에 저장된 물이 많아져 역류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넘침배수구(1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넘침배수구(14)는 물저장부(13)의 상부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또 다른 일단면에는 물저장부(13)에 저장된 물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수량측정관(15)이 물저장부(13) 최저 하단에 설치된다.
상기 수량측정관의 길이는 물저장부(13) 최저 하단면에서 최고 상단면까지의 길이를 갖으며 투명한 비닐관으로 이루어지며 케이스(10)에 부착된다.
상기 케이스(10)의 바닥엔 “ㄱ”자 홈이 있어 장치 고정틀(40)의 고정턱(42)에 연결되어 탈부착이 용이하면서 벽면에 고정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흡수세라믹(20)은 일반적인 모세관현상에 의해 물저장부(11)의 물을 식물식재공간(11)으로 이송시켜 토양을 항시 습하게 하여준다. 이렇게 물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어 건기 시나 오랜 기간 관리를 하지 않을 때 물을 식물(2)에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흡수세라믹(20)의 일측은 물 저장부(11)의 수중에 위치하고, 타측은 식물식재공간(11)의 토양 속에 위치한다.
상기 흡수 세라믹(20)은 점토 또는 황토에 무연탄을 채광한 부산물인 경석을 100에서 150메쉬로 분체한 분말 10-20중량%을 로울러밀에서 혼합한 혼합물을 진공토련기를 통하여 진공 압출 성형하여 소정의 규격으로 절단하여 성형체를 제조한다. 제조된 성형체는 상온에서 1일간 자연 건조한 후, 160℃에서 48시간 건조 및 800℃-900℃ 온도의 전기로에서 4시간 소성한 후, 냉각시켜서 흡수세라믹(20)을 제조한다.
상기 흡수 세라믹(20)은 소성시 자체 발화 성능이 있는 경석 분말이 타면서 유기물이 탄화되며 미세 기공을 형성하여 물의 모세관 현상을 유도하게 된다. 도 10는 흡수세라믹(20)의 모세관 현상에 의한 수분 흡수를 실험한 사진이다.
또한 상기 유입판(30)은 고무 및 플라스틱 재질로 유연성을 지녀 케이스와 벽면 사이에 설치되어 벽면의 틈새를 막아주면서 유입관(16)으로 빗물 및 관수를 유도한다.
이때, 상기 유입판(30)은 케이스의 유입관(16)상부면에서 벽면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빗물 및 관수가 원활히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장치고정틀(40)은 도8과 같은 형태로서, 벽면(1)에 케이스(10)를 탈부착시키도록 앵커볼트(41)와 고정턱(42)로 구성된다.
앵커볼트(41)는 벽면 식재 장치를 벽면 또는 경사면에 고정시키기 위해, 먼저 설치할 위치를 선정하여 드릴로 구멍을 만들어 앵커볼트(41)를 심고, 망치로 두드려 박아 넣고, 장치고정틀(40)을 끼워넣어 벽면에 너트로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고정턱(42)은 장치고정틀(40)에 단면상 “ㄱ”형태로 형성되어 케이스(10) 하단의 “ㄱ”형태의 홈과 비틀어 연결하도록 한다. 고정턱(42)으로 인해 케이스(10)는 장치고정틀(40)에 고정되어 상하좌우의 움직임이 없도록 고정된다.
1 : 벽면 및 경사면 2 : 식물
10 : 케이스 11 : 식물 식재 공간
12 : 토양배수구 13 : 물저장부
14 : 넘침배수구 15 : 수량측정관
16 : 유입관 20 : 흡수세라믹
30 : 유입판 40 : 장치고정틀
41 : 앵커볼트 42 : 고정턱

Claims (5)

  1. 빗물 및 관수된 물이 모관수로 지속적으로 사용되도록 벽면 및 경사면(1)에 설치되는 식물(2)식생장치에 있어서,
    상부에는 토양과 식물이 구비되는 식물식재공간(1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물저장부(13)가 있으며, 식물식재공간(11)의 물을 물저장부(13)로 배수시키는 토양배수구(13)가 있으며, 후면부에는 벽면에서 흘러내리는 빗물 또는 물을 이송하는 유입관(16)이 있으며, 후면에는 물저장부(13)에서 넘친 물이 빠지도록 하는 넘침배수구(14)가 있으며, 측면에는 물저장부(13)에 담겨있는 수량을 확인 할 수 있는 수량측정관(15)으로 이루어져 있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의 물저장부(13)의 물을 식물식재 공간(11)으로 모세관 현상으로 공급하는 미세기공으로 이루어진 흡수세라믹(20)과;
    상기 케이스를 탈부착이 되면서 고정시키는 고정턱(42)과 벽면 및 경사면(1)에 고정시키기 위한 앵커볼트(41)가 있는 장치 고정틀(40)과;
    상기 케이스의 상단부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빗물 및 물이 벽면을 타고 케이스 내에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유입판(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식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관수를 물저장부(13)에서 식물식재공간(11)으로 흡수세라믹(20)의 모세관현상에 의해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식생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물저장부(13)에 담겨있는 수량을 확인 할 수 있는 수량측정관(15)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식생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케이스(10)와 장치고정틀(40)을 고정턱(42)으로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식생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점토 또는 황토에 무연탄을 채광한 부산물인 경석을 100에서 150메쉬로 분체한 분말 10-20중량%을 로울러밀에서 혼합한 혼합물을 진공토련기를 통하여 진공 압출 성형하여 소정의 규격으로 절단하여 성형체를 제조하고, 제조된 성형체를 상온에서 1일간 자연 건조한 후, 160℃에서 48시간 건조 및 800℃-900℃ 온도의 전기로에서 4시간 소성한 후, 냉각시켜서 흡수세라믹(20)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식생 장치.
KR1020120004009A 2012-01-12 2012-01-12 벽면 식생 장치 KR201300833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009A KR20130083304A (ko) 2012-01-12 2012-01-12 벽면 식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009A KR20130083304A (ko) 2012-01-12 2012-01-12 벽면 식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304A true KR20130083304A (ko) 2013-07-22

Family

ID=48994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4009A KR20130083304A (ko) 2012-01-12 2012-01-12 벽면 식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3304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8283B1 (ko) * 2013-07-30 2014-03-26 에코앤바이오 주식회사 벽면장착형 플랜터 및 이를 이용한 벽면녹화시스템
CN104429690A (zh) * 2014-11-18 2015-03-25 成都格瑞思文化传播有限公司 景观墙结构
KR101538992B1 (ko) * 2014-11-06 2015-07-23 임윤숙 수밀용기를 이용한 단열과 방수가 가능한 옥상녹화시스템
CN106545105A (zh) * 2016-11-10 2017-03-29 南通理工学院 一种自生养植物墙及其支架
CN107938748A (zh) * 2017-10-17 2018-04-20 浦江县晶富农业科技有限公司 雨水收集设备
CN109680757A (zh) * 2019-01-31 2019-04-26 星景生态环保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墙面雨水收集利用装置
KR102103575B1 (ko) * 2019-09-19 2020-04-23 한국도시농업 주식회사 모듈식 플랜터 및 이를 이용한 벽면녹화 시스템
CN111648458A (zh) * 2020-05-25 2020-09-11 浙江鼎兴建设有限公司 一种市政广场雨水再利用系统
US20220000042A1 (en) * 2017-11-29 2022-01-06 Daniel S. Spiro Unitary plant shelf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8283B1 (ko) * 2013-07-30 2014-03-26 에코앤바이오 주식회사 벽면장착형 플랜터 및 이를 이용한 벽면녹화시스템
KR101538992B1 (ko) * 2014-11-06 2015-07-23 임윤숙 수밀용기를 이용한 단열과 방수가 가능한 옥상녹화시스템
CN104429690A (zh) * 2014-11-18 2015-03-25 成都格瑞思文化传播有限公司 景观墙结构
CN106545105A (zh) * 2016-11-10 2017-03-29 南通理工学院 一种自生养植物墙及其支架
CN107938748A (zh) * 2017-10-17 2018-04-20 浦江县晶富农业科技有限公司 雨水收集设备
US20220000042A1 (en) * 2017-11-29 2022-01-06 Daniel S. Spiro Unitary plant shelf
CN109680757A (zh) * 2019-01-31 2019-04-26 星景生态环保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墙面雨水收集利用装置
KR102103575B1 (ko) * 2019-09-19 2020-04-23 한국도시농업 주식회사 모듈식 플랜터 및 이를 이용한 벽면녹화 시스템
CN111648458A (zh) * 2020-05-25 2020-09-11 浙江鼎兴建设有限公司 一种市政广场雨水再利用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83304A (ko) 벽면 식생 장치
JP5133661B2 (ja) 壁面緑化植栽装置
CN201704889U (zh) 楼顶绿化装置
CN204518745U (zh) 一种应用于建筑物顶层的植物根部给水系统
CN108360761B (zh) 一种雨水利用和减载节水控根的屋顶种植方法
CN210275243U (zh) 一种绿色植被外墙
CN201919384U (zh) 立体植物栽培装置
CN104285719A (zh) 一种沙漠、荒山植树用容器
JP3172597U (ja) 空気の流通性保水性を高めた植木鉢
CN104264694A (zh) 一种膨胀土边坡及施工方法
CN203775761U (zh) 一种用于墙体绿化栽培装置
CN203961155U (zh) 一种屋顶生物节能保温系统
CN205266438U (zh) 一种种植箱
CN204132063U (zh) 一种沙漠、荒山植树用容器
CN202565895U (zh) 大树移植根系营养水分涵养调节装置
CN101513164B (zh) 一种节水蓄水花槽
CN201742761U (zh) 旱作物简易盆栽装置
CN115299266B (zh) 一种水气内循环花盆及其使用方法
CN201270687Y (zh) 壁挂式绿化容器
CN206371168U (zh) 一种苗木分隔种植盒
CN206542745U (zh) 一种户外绿化系统
CN202127683U (zh) 串联式多株苗木栽植节水灌溉装置
CN201509455U (zh) 方便浇水的室内花盆
CN103733900A (zh) 绿化用外墙砖以及建筑物外墙长效绿化系统
CN204860429U (zh) 一种智能化绿化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