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2981A - 다중 단말간의 동영상 콘텐츠 동시 및 연속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단말간의 동영상 콘텐츠 동시 및 연속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2981A
KR20130082981A KR1020110142531A KR20110142531A KR20130082981A KR 20130082981 A KR20130082981 A KR 20130082981A KR 1020110142531 A KR1020110142531 A KR 1020110142531A KR 20110142531 A KR20110142531 A KR 20110142531A KR 20130082981 A KR20130082981 A KR 20130082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terminal
video
playback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2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진
강미란
김세영
김영일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42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2981A/ko
Publication of KR20130082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29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단말간의 동영상 콘텐츠 동시 및 연속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DLNA 기술 기반의 다중기기간의 동기화를 통해 하나의 기기에서 재생중인 콘텐츠의 URI 및 현재 재생시점을 이용하여, 다른 새로운 기기에서의 연속적으로 재생하거나, 현재재생중인 기기와 다른 새로운 기기에서 동시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 단말간의 동영상 콘텐츠 동시 및 연속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DLNA 기반의 동기화를 통해 콘텐츠서버부와 동영상재생단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명령신호를 통해 자체적으로 저장한 각각의 콘텐츠 URI 중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재생이력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콘텐츠 소스를 검색하여 동영상재생단말부에 전송하는 콘텐츠서버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요청신호를 통해 현재 재생하고 있는 재생이력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제1단말모듈 및 상기 콘텐츠서버부의 명령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재생이력정보에 해당하는 동영상 콘텐츠를 동시 및 연속재생하는 제2단말모듈을 포함하는 동영상재생단말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중 단말간의 동영상 콘텐츠 동시 및 연속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Playing Moving Picture Contents Simultaneously and Continuously Among Multimedia Device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다중 단말간의 동영상 콘텐츠 동시 및 연속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DLNA 기술 기반의 다중기기간의 동기화를 통해 하나의 기기에서 재생중인 콘텐츠의 URI 및 현재 재생시점을 이용하여, 다른 새로운 기기에서의 연속적으로 재생하거나, 현재재생중인 기기와 다른 새로운 기기에서 동시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 단말간의 동영상 콘텐츠 동시 및 연속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2000년대 중후반 스마트폰의 등장은 일반인이 일상에서 스마트 IT를 영위할 수 있는 보다 친숙한 계기를 마련했다.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TV, 노트북, 태블릿 PC 등 각 개인이 보유하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기가 많아지면서 사용자는 하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자신이 보유한 여러 기기에서 공유하고자 하는 욕구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욕구는 다양한 단말 환경에서 동일한 서비스 경험을 제공하는 N-스크린 서비스의 발전을 앞당기고 있다.
N-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댁내 멀티미디어 기기 간 콘텐츠 공유 및 제어가 가능한 기술이 요구되는데, 이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홈 네트워크 표준인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이다. 이 기술을 통해 사업자 및 제조사 구분 없이 댁내 다양한 기기 간 미디어 콘텐츠 공유 및 전송이 가능하다. 전에는 USB, 케이블 등을 이용하는 물리적 연결을 통하여 서로 다른 기기 간 콘텐츠를 공유하였지만, DLNA 기술을 이용하면 물리적 연결이 없이도 같은 IP 대역에 있는 기기들이 서로 네트워크를 통하여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이러한 N-스크린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서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09587호 (발명의 명칭: 이기종 단말 간의 동영상 콘텐츠 이어보기 방법 및 시스템)과,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20747호 (발명의 명칭: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는 이기종 내지 시간차를 두는 단말기 상에 이어보기 방법을 제공한다. 다만 이러한 발명들은 단말기간의 콘텐츠 이어보기에 중점을 두고 있는바, 복수 단말기간의 콘텐츠의 재생시점 동기화는 보장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중 기기간의 동기화를 통해 하나의 단말기에서 재생중인 콘텐츠를 다른 단말기에서도 이어보기가 가능한 다중 단말간의 동영상 콘텐츠 동시 및 연속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다른 단말기에서 이어보기 뿐만이 아니라, 원래 재생중인 기기를 포함하여, 같은 콘텐츠에 대해서 동시 재생이 가능한 다중 단말간의 동영상 콘텐츠 동시 및 연속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DLNA 기반의 동기화를 통해 콘텐츠서버부와 동영상재생단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명령신호를 통해 자체적으로 저장한 각각의 콘텐츠 URI 중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재생이력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콘텐츠 소스를 검색하여 동영상재생단말부에 전송하는 콘텐츠서버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요청신호를 통해 현재 재생하고 있는 재생이력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제1단말모듈 및 상기 콘텐츠서버부의 명령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재생이력정보에 해당하는 동영상 콘텐츠를 동시 및 연속재생하는 제2단말모듈을 포함하는 동영상재생단말부; 를 포함한다.
또한, 다중 단말간의 동영상 콘텐츠 동시 및 연속재생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사용자로부터 동시 및 연속재생의 요청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동시 및 연속 재생한 동영상재생단말부의 단말기의 네트워크등록을 인지함으로서, 상호간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사용자로부터 동시 및 연속재생의 요청신호에 따라 현재 상기 동영상재생단말부로부터 상기 제1단말모듈의 단말기에서 재생하고 있는 콘텐츠의 재생이력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재생단말부가 제1단말모듈의 단말기의 재생이력정보를 제어부에 전송하는 단계; 수신된 재생이력정보를 상기 제어부가 상기 콘텐츠서버부에 전송하면서, 동시 및 연속재생명령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동시 및 연속재생명령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콘텐츠서버부가 상기 제1단말모듈의 재생이력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콘텐츠DB모듈의 콘텐츠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서버부가 상기 동영상재생단말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제1단말모듈및 제2단말모듈에서 동일한 콘텐츠의 동시 및 연속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중 기기간의 동기화를 통해 하나의 단말기에서 재생중인 콘텐츠를 다른 단말기에서도 이어보기가 가능할 수 있으며, 특히, 다른 단말기에서 이어보기 뿐만이 아니라, 원래 재생중인 기기를 포함하여, 같은 콘텐츠에 대해서 동시 재생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단말간의 동영상 콘텐츠 동시 및 연속재생하는 단말간의 도식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단말간의 동영상 콘텐츠 동시 및 연속재생 하기 위한 DLNA 모델의 도식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단말간의 동영상 콘텐츠 동시 및 연속재생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다중 단말간의 동영상 콘텐츠 동시 및 연속재생 시스템의 미디어 동기화 방법의 흐름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동영상재생단말부의 제1단말모듈 및 제2단말모듈의 도식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재생단말부의 동시 및 연속재생모습의 도식도
도 7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단말간의 동영상 콘텐츠 동시 및 연속재생방법의 흐름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중 단말간의 동영상 콘텐츠 동시 및 연속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7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단말간의 동영상 콘텐츠 동시 및 연속재생하는 단말간의 도식도이다. 즉, 본 시스템의 다중 단말간의 동영상 콘텐츠 동시 및 연속재생 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하면, 스마트TV에서 이미 재생되고 있는 영상을 다른 단말인 스마트폰, 테블릿PC, 노트북 등에 상기 스마트TV에서 재생되고 있는 동영상 콘텐츠를 이어서 재생하거나, 동시에 같은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단말간의 동영상 콘텐츠 동시 및 연속재생 하기 위한 DLNA 모델의 도식도이다.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전송 시스템에 기반하고 있는데, 홈 네트워크의 기본 개념은 가정 내의 기기들이 유무선 홈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누구나 기기, 시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홈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홈 네트워크 기술은 홈 플랫폼 기술, 유·무선 홈 네트워킹 기술, 정보가전 기술과 지능형 미들웨어 기술로 나눌 수 있다. 본 발명이 사용하고 있는 기술은 미들웨어 기술로 홈 네트워크를 구현하였으며, 미들웨어 기술 중 UPnP(Universal Plug and Play)를 이용하였다. UPnP는 IP 기반으로 이기종 플랫폼을 지원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미들웨어와 비교된다. 또한, XML을 이용하여 기기 간 상태 변화를 전달하기 때문에 개발자로 하여금 편리한 개발 환경을 제공한다. 각 기기의 별도 설치 과정 없이 자동으로 기기들을 검색하고 제공되는 미디어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기기 간 상호 작용을 위해 UPnP에서는 컨트롤 포인트와 디바이스 제어에 대해서는 UPnP 디바이스 아키텍처(UPnP Device Architecture)에, 미디어(Audio, Video) 관리에 대해서는 UPnP AV 아키텍처(UPnP AV Architecture)에 정의하고 이러한 규격을 준수한 기기 간에는 네트워크를 통해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UPnP를 기반으로 하는 DLNA는 세계 홈 네트워크 상용화를 선도해 나갈 공식적 협력체로 가이드라인에 따라 설계된 기기들이 홈 네트워크를 통해 미디어 콘텐츠를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다. 도 2 에 보이는 DLNA 모델은 UPnP 포럼의 기초적인 모델로부터 유래되었으며, DLNA 환경을 기반한 본 시스템은 제어부(100),콘텐츠서버부(200) 및 동영상재생단말부(300)를 포함한다.
DLNA 환경이란 본 시스템의 제어부(100),콘텐츠서버부(200) 및 동영상재생단말부(300)가 서로 통신하는 네트워크 방법이며, 연결방법은 이더넷, 802.11, 블루투스가 이용된다.
이 기기들은 UPnP 아키텍처 또는 DLNA 가이드라인을 따르는 오픈 소스 라이브러리들이 존재한다. UPnP 프로토콜 스택의 최하위 단계부터 개발자가 직접 구현할 필요 없이 제공되는 API로 상위 어플리케이션 단계를 바로 설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DLNA 모델에서는 사용자가 제어부(100)를 활용해 홈 네트워크상에 있는 DLNA 디바이스들을 발견한다. 디바이스들은 스스로의 정보를 제어부(100)에 광고하고 제어부(100)는 이러한 장치의 리스트를 저장한다. 제어부(100)는 저장된 리스트를 통해 콘텐츠서버부(200)와 동영상재생단말부(300)의 목록을 사용자에게 보여주고 그 중 콘텐츠서버부(200)가 가진 콘텐츠를 브라우징 한다. 사용자는 원하는 콘텐츠와 이를 재생시킬 동영상재생단말기를 골라 재생시킨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단말간의 동영상 콘텐츠 동시 및 연속재생 시스템의 블록구성도로서, 본 발명은 제어부(100), 콘텐츠서버부(200) 및 동영상재생단말부(300)를 포함한다.
제어부(100)는 DLNA 기반의 동기화를 통해 콘텐츠서버부(200)와 동영상재생단말부(300)를 제어하는 것으로, 동기화모듈(110), 단말제어모듈(120) 및 서버제어모듈(130)을 포함한다.
동기화모듈(110)은 DLNA 기술을 기반으로 콘텐츠서버부(200)와 동영상재생단말부(300)를 동기화한다.
DLNA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본 시스템은 UPnP에서 제공된 API를 이용하고 네트워크 내 기기들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원격 호출하는 방식이다. XML문서를 이용하여 기기 간 통신을 하고 미디어 콘텐츠의 동기화를 실현한다. DLNA 기반 스위칭 기법 시스템은 프레임을 통한 기기 간 이어 보기를 하는 동기화 방식인 것에 반해, 본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동기화 방법은 재생 시간을 통한 다중 기기에서 동시에 이어 보기를 가능하게 하는 동기화 방식이다. 본 시스템이 기존의 시스템과 다른 점은 새롭게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시킬 기기 뿐 아니라 원래 재생하고 있던 기기에서도 콘텐츠의 동시 재생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아래 표 1은 기존기술과 본 발명이 채용하고 있는 기술 간의 차이를 보여준다.
Figure pat00001
홈 미디어 콘텐츠 동기화 방법으로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를 기반으로 하는 방식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프레임을 이용한 동기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시간 정보로부터 동기화를 유도해내는 방식이다. 두 연구 모두 IP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된 미디어 신호 사이에 동기화를 제공하기 위해 RTP와 RTCP(Real-Time Control Protocol)를 활용한다. RTP는 주기적인 전송의 보장이나 서비스 품질에 대한 보장이 없기 때문에 RTP 세션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별도의 프로토콜로 RTCP를 사용해 데이터 전송의 품질을 보완하고 있다.
RTP 기반 프레임 기법을 이용한 콘텐츠 동기화 시스템은 이종매체간 연결 재생을 이용하는 VOD 서비스 모델을 기술했다. 연결 재생을 위해 JVM(Java Virtual Machine) 상에서 JMF(Java Media Framework)를 이용하여 세션 연결 및 동기화 모듈을 구현하였다. RTCP로부터 제공되는 SR(Sender Report)을 기반으로 세션 동기화 및 옵셋 데이터를 추출하여 다른 기기로 동일한 콘텐츠를 재생시킬 때 추출한 옵셋 값을 사용하여 서버에서 콘텐츠 시작 시점을 찾게 된다.
RTP 기반의 시간 정보를 추출하는 콘텐츠 동기화 시스템은 오디오와 비디오를 RTP 패킷화하여 전송할 때 RTP 패킷의 헤더에 기록되는 타임스탬프 정보를 이용한다. 압축된 AV 비트스트림을 RTP 패킷을 통해 IP 네트워크로 전달할 때, RTCP 패킷에 대한 전송 및 처리가 필요 없이 수신측에서 RTP 타임스탬프 값으로부터 AV 콘텐츠 각각에 대한 NPT 정보를 유도한다. 동일한 NPT 시점에서 AV 데이터를 출력하여 오디오와 비디오 간에 동기화를 제공한다.
프레임을 이용한 동기화 시스템처럼 시간 정보가 아닌 재생 프레임 정보를 수신하는데 각 영상 재생장치 사이에 프레임의 재생 시간 차이를 산출하고 상기 프레임의 재생 시간 차이 값을 전송하여 재생 영상을 동기화 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여러 기기에 동일한 콘텐츠 정보를 전송하더라도 요청한 시점이 아닌 데이터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특정 프레임부터 시작하는 동기화 시스템이 되었을 것이다. 이는 이어 보기를 위해 요청한 시점에 대한 정확한 동기화가 아니며 시간을 이용한 동기화 시스템보다 훨씬 복잡하게 설계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현재 많은 통신사들이 제공하고 있는 콘텐츠 동기화 시스템은 클라우드 기반의 N-스크린 서비스로, 클라우드 서버에 콘텐츠를 업로드하고 기기에 맞게 변환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자사의 플랫폼 안에서 제한적인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으며 용량의 확대 및 보안에 대한 사업자의 대비가 미비하다. 이에 반해, 상용화 되고 있는 DLNA 기반 스위칭 기법의 동기화 시스템은 와이파이 또는 3G망을 통해 동기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서비스를 이용하면, 원래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고 있던 기기에서 새로운 기기로 이어 보기가 가능하다. 하지만, 이러한 스위칭 기법의 동기화 시스템도 이전에 재생하고 있던 기기에서는 더 이상 콘텐츠가 재생되지 않는다. 결국, 새로운 하나의 기기에서만 콘텐츠 재생이 가능하며 여러 기기에서 동시 재생이 이루어지지 않는 한계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단말간의 동영상 콘텐츠 동시 및 연속재생 시스템은 새롭게 재생시키려 하는 기기뿐만 아니라 원래 재생을 하고 있던 기기에서도 동일한 콘텐츠를 동시에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정 내 AP를 이용하여 하나의 기기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를 네트워크에 연결된 여러 개의 디지털 기기에서 이어서 재생한다.
도 1 에서와 같이 홈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다중 기기에서의 동시 재생 모델은 가정 내 콘텐츠 유통의 중심인 스마트 TV가 미디어 콘텐츠를 가지고 재생하고 있으며 가정 내 무선 랜으로 연결된 재생기기에 현재 재생 시점과 콘텐츠의 URI 정보를 보내준다. 스마트 TV에서 콘텐츠 미디어를 정지시킨 것이 아니라 계속 재생을 시키고 있기 때문에 가져온 정보를 다중 기기에 전송하는 시간동안 스마트 TV의 재생 지점은 가져온 정보보다 앞서게 된다. 모든 기기 간 오디오 및 비디오의 동기를 맞추고 동시 재생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 재생중인 스마트 TV에도 같은 정보를 전송한다. 스마트 TV에서는 일부분 영상을 다시 재생하게 되지만, 이로 인해 다중 기기에서 동일한 콘텐츠를 공유하여 같은 장면을 동시에 이어 보기 할 수 있다.
가정 내에서 뿐만 아니라, 어디에서든 하나의 AP로 연결된 네트워크 안에서는 제안하고자 하는 시스템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스마트 TV가 아니더라도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중인 기기라면 PC, 노트북 등 다양한 기기가 그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
홈 네트워크에서 미디어 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기술로 RTP 기반과 DLNA 기반을 언급하였다. 상술한 [표 1]는 제안하는 연구를 포함하여 네 개의 시스템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RTP 기반의 시스템끼리 비교하면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동기화하는 방법이 RTCP SR 패킷과 같은 별도의 제어 정보의 전송 및 처리가 필요하지 않았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 구조를 훨씬 간소하게 설계할 수 있고 제어 정보 전달에 필요한 UDP 포트 생성과 과도한 네트워크의 대역폭 점유를 피할 수 있다.
DLNA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두 시스템은 UPnP에서 제공된 API를 이용하고 네트워크 내 기기들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원격 호출하는 방식이다. XML문서를 이용하여 기기 간 통신을 하고 미디어 콘텐츠의 동기화를 실현한다. DLNA 기반 스위칭 기법 시스템은 프레임을 통한 기기 간 이어 보기를 하는 동기화 방식이다. 한편, 이와 대비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재생 시간을 통한 다중 기기에서 동시에 이어 보기를 가능하게 하는 동기화 방식이다. 제안하는 시스템이 나머지 세 개의 시스템과 가장 크게 비교되는 점은 새롭게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시킬 기기 뿐 아니라 원래 재생하고 있던 기기에서도 콘텐츠의 동시 재생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다중 단말간의 동영상 콘텐츠 동시 및 연속재생 시스템의 미디어 동기화 방법의 흐름도이다. 모든 제어 요청은 제어부(100)에서 이루어지며 제어 메시지는 XML로 표현된다.
동기화모듈(110)에서 동기화하는 방법은 홈 네트워크에서 DLNA 및 UPnP 기술을 기반으로 제어부(100), 콘텐츠서버부(200) 및 동영상재생단말부(300)를 개발하고, DLNA모델 무선 미디어 공유 환경을 구축한다. DLNA 기반 기기들은 상호운용성을 보장하기 위해 UPnP 디바이스 아키텍처에서 정의한 6가지 단계에 맞추고 DLNA AV 아키텍처를 따라 각 기능을 구현하였다. 미디어 콘텐츠 동기화를 위한 제어는 UPnP 네트워킹 단계의 Step 3에 해당하며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프로토콜을 이용한다.
단말제어모듈(120)은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통해 제1단말모듈(310)에서 재생중인 콘텐츠의 재생이력정보를 요청하여, 이에 대한 재생이력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콘텐츠의 재생이력정보란 재생중인 콘텐츠 URI 및 현재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서버제어모듈(130)은 상기 단말제어모듈(120)에서 수신한 제1단말모듈(310)의 재색이력정보를 상기 콘텐츠서버부(200)에 전송하고, 상기 콘텐츠서버부(200)에 상기 동영상재생단말부(300)의 동시 및 연속재생의 명령신호를 전송한다.
단말제어모듈(120)은 제1단말모듈(310)로부터 재생이력정보를 이용하여, 제1단말모듈(310)과 제2단말모듈(320)을 제어하지만, 제1단말모듈(310)과 제2단말모듈(320)은 각각 다른 Instance ID로써 구별되기 때문에, 단말제어모듈(120)에 의해 제1단말모듈(310)과 제2단말모듈(320)이 각각 독립적으로 종료 및 음량 등에 대한 제어를 받을 수 있다.
콘텐츠서버부(200)는 상기 제어부(100)로부터 수신한 명령신호를 통해 자체적으로 저장한 각각의 콘텐츠 URI 중 상기 제어부(100)로부터 수신한 재생이력정보(특히 URI)를 기반으로 하는 콘텐츠 정보를 검색하여 동영상재생단말부(300)에 전송하는데, 콘텐츠DB모듈(210), 콘텐츠검색모듈(220) 및 송수신모듈(2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00)로부터 수신한 명령신호는 상기 제어부(100)가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상기 동영상재생단말부(300)에 포함된 복수개의 단말기의 동시 및 연속재생을 하도록 명령한 신호를 의미한다.
콘텐츠DB모듈(210)은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이며, 콘텐츠검색모듈(220)은 상기 제1단말모듈(310)의 재생이력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콘텐츠DB모듈(210)의 콘텐츠정보를 검색한다.
송수신모듈(230)은 상기 제어부(100)로부터 동시 및 연속재생의 명령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콘텐츠검색모듈(220)에서 검색된 정보를 상기 동영상재생단말부(300)로 전송한다. 이때, 콘텐츠 자체가 서버에서 단말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며, 오직 서버에서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동영상재생단말부(300)에는 스트리밍방식으로 서비스된다.
동영상재생단말부(300)는 상기 제어부(100)의 요청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재생하고 있는 제1단말모듈(310)의 정보를 상기 제어부(100)에 전송하고, 상기 콘텐츠서버부(200)의 명령신호를 수신하여 동영상을 동시 및 연속재생하는 것으로, 제1단말모듈(310)과 제2단말모듈(3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00)의 요청신호는 제어부(100)가 사용자로부터 동시 및 연속재생의 명령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현재 동영상 콘텐츠를 재생하고 있는 제1단말모듈의 재생이력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의미한다.
제1단말모듈(310) 및 제2단말모듈(320)은 DLNA 기반의 동기화가 가능한 단말기이면 충분하고, 스마트TV, 테블릿PC, 스마트폰, 노트북 등을 포함한다.
제1단말모듈(310)은 처음 동영상이 재생되는 단말기로서, 사용자로부터 동시 및 연속재생의 명령을 수신한 상기 제어부(100)의 요청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재생하고 있는 재생이력정보를 상기 제어부(1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재생이력정보는 현재 재생하고 있는 동영상의 URI와 현재 재생시점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제2단말모듈(320)은 DLNA 환경내에서 동시 및 연속재생하려는 나머지 단말기로서, 상기 콘텐츠서버부(200)의 동시 및 연속 재생 명령신호를 수신하여 제1단말모듈(310)에서 재생하고 있는 동영상을 동시 및 연속재생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재생단말부(300)의 제1단말모듈(310) 및 제2단말모듈(320)의 도식도로서, 제1단말모듈(310)은 한 개일 수 있으나, 이러한 정보를 수신하는 제2단말모듈(320)은 복수개일 수 있다.
동영상재생단말부(300)는 수신한 콘텐츠 URI를 기반으로 HTTP 방법(method)를 통한 스트리밍을 요청한다. 상기 콘텐츠서버부(200)에서 스트리밍 된 URI 기반 콘텐츠 소스는 동영상재생단말부(300)의 URI 디코더에 넘겨져 원래 상태의 미디어로 디코딩되고, 오디오 시스템 및 비디오 시스템 각각을 위한 큐에 전달된다. 큐에서 적정 사이즈로 양을 늘린 데이터들은 제어부(100)로부터 받은 재생시점을 이용하여 콘텐츠의 특정 재생 지점을 찾는다. 사용자의 요구에 맞춰 오디오와 비디오 프로세싱 단계를 거친 후 오디오 및 비디오 출력단과 연결된 싱크로 전송되어 여러 개의 동영상재생단말부(300)에서 동일한 콘텐츠를 동시에 이어 보기한다.
제1단말모듈(310)은 특정 시점부터 다시 재생하게 되면서 일시적으로 일부분의 영상이 반복되지만 제1단말모듈(310)과 제2단말모듈(320)이 동시에 같은 시점부터 이어 보기하는 동기화를 가능하게 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재생단말부의 동시 및 연속재생모습의 도식도이다. 먼저 제1단말모듈(310)에서 특정의 콘텐츠가 재생(a)되는데, 이때 재생되는 단말기는 DLNA 기반의 동기화가 가능한 단말기이면 충분하고, 스마트TV, 테블릿PC, 스마트폰, 노트북 등을 포함한다. 그 후 상술한 본 발명의 시스템을 통하면 다른 제2단말모듈(320)에서 제1단말모듈(310)과 동일한 콘텐츠가 재생(b)된다. 제2단말모듈(320)은 복수개의 단말기로 될 수 있으며, 다른 제2단말모듈(320')에서도 제1단말모듈(310)과 동일한 콘텐츠가 재생(c)된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단말간의 동영상 콘텐츠 동시 및 연속재생방법의 흐름도이다.
제어부(100)는 사용자로부터 동시 및 연속재생의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현재 동시 및 연속 재생한 동영상재생단말부(300)의 단말기의 네트워크등록을 인지한다(S10)하여, 그 후, 사용자로부터 동시 및 연속재생의 요청신호에 따라 현재 재생하고있는 제1단말모듈(310)의 재생이력정보를 요청한다(S20). 이때, 재생이력정보는 현재 제1단말모듈(310)에서 재생중인 콘텐츠의 URI와 재생시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S20 단계 이후, 제1단말모듈(310)은 제1단말모듈(310)의 재생이력정보를 제어부(100)에 전송한다(S30).
그 후,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S30 단계에서 수신한 제1단말모듈(310)의 재생이력정보를 상기 콘텐츠서버부(200)에 진송하면서, 동시 및 연속재생명령신호를 전달한다(S40).
상기 콘텐츠서버부(200)는 상기 S40 단계의 동시 및 연속재생명령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단말모듈(310)의 재생이력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콘텐츠DB모듈(210)의 콘텐츠정보를 검색한다(S50).
상기 S50 단계 이후, 상기 콘텐츠서버부(200)는 상기 S50 단계에서 검색된 정보를 상기 동영상재생단말부(300)로 전송(S60)하여, 제1단말모듈(310) 및 제2단말모듈(320)에서 동일한 콘텐츠의 동시 및 연속재생이 가능하도록 한다(S70). 이때, 콘텐츠 자체가 서버에서 단말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며, 오직 서버에서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동영상재생단말부(300)에는 스트리밍방식으로 서비스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제어부 110; 동기화모듈
120; 단말제어모듈 130; 서버제어모듈
200; 콘텐츠서버부 210; 콘텐츠DB모듈
220; 콘텐츠검색모듈 230; 송수신모듈
300; 동영상재생단말부 310; 제1단말모듈
320; 제2단말모듈

Claims (11)

  1. 다중 단말간의 동영상 콘텐츠 동시 및 연속재생 시스템에 있어서,
    DLNA 기반의 동기화를 통해 콘텐츠서버부(200)와 동영상재생단말부(300)를 제어하는 제어부(100);
    상기 제어부(100)로부터 수신한 명령신호를 통해 저장된 동영상 콘텐츠 URI 중 상기 제어부(100)로부터 수신한 재생이력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콘텐츠 정보를 검색하여 동영상재생단말부(300)에 전송하는 콘텐츠서버부(200);
    상기 제어부(100)로부터 수신한 요청신호를 통해 현재 재생하고 있는 재생이력정보를 상기 제어부(100)에 전송하는 제1단말모듈(310) 및 상기 콘텐츠서버부(200)의 명령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재생이력정보에 해당하는 동영상 콘텐츠를 동시 및 연속재생하는 제2단말모듈(320)을 포함하는 동영상재생단말부(300); 를 포함하는 다중 단말간의 동영상 콘텐츠 동시 및 연속재생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0)는,
    DLNA 기술을 기반으로 상기 콘텐츠서버부(200)와 상기 동영상재생단말부(300)를 동기화하는 동기화모듈(110);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통해 상기 동영상재생단말부(300)에 제1단말모듈(310)의 단말기에서 재생중인 콘텐츠의 재생이력정보를 요청하여, 제1단말모듈(310)로부터 요청한 재생이력정보를 수신하는 단말제어모듈(120); 및
    상기 단말제어모듈(120)에서 수신한 재생이력정보를 상기 콘텐츠서버부(200)에 전송하고, 상기 콘텐츠서버부(200)에 상기 동영상재생단말부(300)의 동시 및 연속재생의 명령신호를 전송하는 서버제어모듈(130); 를 포함하는 다중 단말간의 동영상 콘텐츠 동시 및 연속재생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모듈(110)은
    상기 DLNA 기술을 기반으로 하되, UPnP 디바이스 아키텍처에서 정의한 6가지 단계에 맞추고 DLNA AV 아키텍처를 따라 구동되고,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단말간의 동영상 콘텐츠 동시 및 연속재생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서버부(200)는,
    동영상 콘텐츠를 저장하는 콘텐츠DB모듈(210);
    상기 제1단말모듈(310)의 재생이력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콘텐츠DB모듈(210)에 저장된 콘텐츠를 검색하는 콘텐츠검색모듈(220); 및
    상기 제어부(100)로부터 동시 및 연속재생의 명령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콘텐츠검색모듈(220)에서 검색된 콘텐츠정보를 상기 동영상재생단말부(300)로 전송하는 송수신모듈(230); 를 포함하는 다중 단말간의 동영상 콘텐츠 동시 및 연속재생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모듈(230)은,
    상기 제어부(100)로부터 수신한 콘텐츠 정보 중 콘텐츠 URI를 기반으로 HTTP 방법(method)를 통한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단말간의 동영상 콘텐츠 동시 및 연속재생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이력정보는,
    현재 재생하고 있는 동영상의 URI와 현재 재생시점에 대한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단말간의 동영상 콘텐츠 동시 및 연속재생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재생단말부(300)
    상기 콘텐츠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재생이력정보를 이용하여 동영상 콘텐츠를 URI 디코더를 통해 원래 상태의 미디어로 디코딩하고, 오디오 시스템 및 비디오 시스템 각각을 위한 큐에 전달하여, 상기 재생이력정보에 맞춰 오디오와 비디오 프로세싱 단계를 거친 후 오디오 및 비디오 출력단과 연결된 싱크로 전송되어 여러 개의 단말기에서 동일한 콘텐츠를 동시에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단말간의 동영상 콘텐츠 동시 및 연속재생 시스템.
  8. 제어부(100), 콘텐츠서버(200) 및 동영상재생단말부(300)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이용한 다중 단말간의 동영상 콘텐츠 동시 및 연속재생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제어부(100)가 사용자로부터 동시 및 연속재생의 요청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동시 및 연속 재생한 동영상재생단말부(300)의 단말기의 네트워크등록을 인지함으로서, 상호간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제어부(100)가 사용자로부터 동시 및 연속재생의 요청신호에 따라 현재 상기 동영상재생단말부(300)로부터 상기 제1단말모듈(310)의 단말기에서 재생하고 있는 콘텐츠의 재생이력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 이후, 상기 동영상재생단말부(300)가 제1단말모듈(310)의 단말기의 재생이력정보를 제어부(100)에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서 수신된 재생이력정보를 상기 제어부(100)가 상기 콘텐츠서버부(200)에 전송하면서, 동시 및 연속재생명령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e) 상기 (d) 단계에서 동시 및 연속재생명령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콘텐츠서버부(200)가 상기 제1단말모듈(310)의 재생이력정보에 기반하여, 콘텐츠DB모듈(210)에 저장된 콘텐츠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f) 상기 (e) 단계에서 검색된 정보는, 상기 콘텐츠서버부(200)가 상기 동영상재생단말부(300)로 전송하는 단계; 및
    (g) 제1단말모듈(310) 및 제2단말모듈(320)에서 동일한 콘텐츠의 동시 및 연속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 단말간의 동영상 콘텐츠 동시 및 연속재생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의 상호간의 동기화방법은,
    상기 DLNA 기술을 기반으로 하되, UPnP 디바이스 아키텍처에서 정의한 6가지 단계에 맞추고 DLNA AV 아키텍처를 따라 구동되고,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프로토콜을 사용함으로써 제어부(100), 콘텐츠서버(200) 및 동영상재생단말부(300)간에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단말간의 동영상 콘텐츠 동시 및 연속재생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상기 (e) 단계에서 검색된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콘텐츠정보의 URI를 기반으로 HTTP 방법(method)를 통한 스트리밍 방식으로 상기 동영상재생단말부(300)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단말간의 동영상 콘텐츠 동시 및 연속재생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는,
    상기 콘텐츠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재생이력정보를 이용하여 동영상 콘텐츠를 URI 디코더를 통해 원래 상태의 미디어로 디코딩하고, 오디오 시스템 및 비디오 시스템 각각을 위한 큐에 전달하여, 상기 재생이력정보에 맞춰 오디오와 비디오 프로세싱 단계를 거친 후 오디오 및 비디오 출력단과 연결된 싱크로 전송되어 여러 개의 단말기에서 동일한 콘텐츠를 동시에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단말간의 동영상 콘텐츠 동시 및 연속재생방법.
KR1020110142531A 2011-12-26 2011-12-26 다중 단말간의 동영상 콘텐츠 동시 및 연속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829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531A KR20130082981A (ko) 2011-12-26 2011-12-26 다중 단말간의 동영상 콘텐츠 동시 및 연속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531A KR20130082981A (ko) 2011-12-26 2011-12-26 다중 단말간의 동영상 콘텐츠 동시 및 연속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2981A true KR20130082981A (ko) 2013-07-22

Family

ID=48994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2531A KR20130082981A (ko) 2011-12-26 2011-12-26 다중 단말간의 동영상 콘텐츠 동시 및 연속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29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7029A (ko) * 2016-02-29 2018-10-26 로비 가이드스, 인크. 복수의 디바이스 상에서의 미디어 자산 재생을 동기화하는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7029A (ko) * 2016-02-29 2018-10-26 로비 가이드스, 인크. 복수의 디바이스 상에서의 미디어 자산 재생을 동기화하는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79512B2 (ja) 適応ビデオ通信用システム及び方法
US9088635B2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audio and/or video
US830007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video
US8607284B2 (en) Method of outputting video content from a digital media server to a digital media renderer and related media sharing system
KR100601670B1 (ko)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의 제어 방법, 미디어 랜더러 장치및 미디어 소오스 장치
US20140139735A1 (en) Online Media Data Conversion Method, Online Video Playing Method and Corresponding Device
WO2013063941A1 (zh) 家庭网络中dlna终端的屏幕共享方法及系统
CN104219551A (zh) 一种智能设备屏幕共享与远程控制的方法
CN105323628B (zh) 基于dlna跨屏播放的方法及系统、浏览器端装置和播放装置
WO2022089088A1 (zh) 显示设备、移动终端、投屏数据传输方法及传输系统
WO2015042961A1 (zh) 媒体数据传输方法及设备
WO2016110169A1 (zh) 一种显示处理方法及装置
WO2015035742A1 (zh) 一种数字电视的音视频共享方法、终端及系统
EP2661877B1 (en) System and method for video distribution over internet protocol networks
JP5552171B2 (ja) ライブメディアストリームの時間シフト
US9635082B2 (en) Method of saving content to a file on a server and corresponding device
US9137553B2 (en) Content server and content providing method of the same
US20100250778A1 (en) UPnP AV DEMUX
TW201220782A (en) Method and system for playing multimedia fil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ing the method
KR20130082981A (ko) 다중 단말간의 동영상 콘텐츠 동시 및 연속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5169005A1 (zh) 共享屏幕和操作控制的方法、系统和主共享端
US8255556B2 (en) Multicast and synchronization emulation for content transformed streams
US20130060910A1 (en)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content reproduc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024788A (ko) 클라우드 시스템상의 컨텐츠를 디엘엔에이로 연결된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TWI538493B (zh) Multimedia system, cross - platform real - time sharing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