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2876A - System for managing road traffic based on virtual simulation - Google Patents

System for managing road traffic based on virtual simul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2876A
KR20130082876A KR1020110139203A KR20110139203A KR20130082876A KR 20130082876 A KR20130082876 A KR 20130082876A KR 1020110139203 A KR1020110139203 A KR 1020110139203A KR 20110139203 A KR20110139203 A KR 20110139203A KR 20130082876 A KR20130082876 A KR 201300828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target vehicle
road
information
t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92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양원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to KR1020110139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2876A/en
Publication of KR20130082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287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23Systems involving the acquisition of information from passive traffic signs by means mounted on the vehicl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road traffic management system is provided to charge a toll using virtual tollbooths which are installed in a virtual road network, based on a virtual simulation which is capable of charging a toll prior to arrival according to driving schedule information. CONSTITUTION: A road network establishment unit (300) establishes a virtual road network by making a plurality of nodes, virtual roads using a plurality of links connecting each node, and virtual road facilities. A vehicle location mapping unit (310) periodically receives the driving information of a target vehicle from the target vehicle. A virtual driving route generation unit (320) produces the virtual driving route of the target vehicle using the previous an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and indicates the produced virtual driving route on the virtual road. A toll calculation unit (330) checks the departure point and destination of a charging section, produces the toll information about the charging section which the target vehicle passed, and transmits the produced toll information to a toll charging unit. A vehicle generation unit (340) produces virtual vehicles which drive on the virtual road. An algorithm performance unit (350) simulates traffic on the virtual road by applying at least one information out of construction and accident information on a real road to the virtual road, and by driving the virtual vehicles on the virtual road according to the given vehicle driving algorithm. A driving schedul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360) accepts driving information input including the departure point and destination of the target vehicle. [Reference numerals] (300) Road network establishment unit; (310) Vehicle location mapping unit; (320) Virtual driving route generation unit; (330) Toll calculation unit; (340) Vehicle generation unit; (350) Algorithm performance un; (360) Driving schedul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Description

가상 시뮬레이션 기반의 도로교통 관리 시스템{System for Managing Road Traffic Based on Virtual Simulation}System for Managing Road Traffic Based on Virtual Simulation}

본 발명은 도로교통 관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시뮬레이션 기반의 도로교통 관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road traffic manage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simulation-based road traffic management.

대중적인 교통수단인 차량의 운행을 위한 도로 네트워크는 특정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영역 또는 특수시설로의 접근을 위한 일부의 도로를 제외하고서는 누구나 유로 또는 무료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Road networks for the operation of vehicles, a popular means of transportation, are freely available for use by anyone, for free or in euros, except for some roads for access to areas or special facilities owned by a particular individual.

이와 같이 도로는 누구나 이용할 수 있도록 자유롭게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많은 차량이 동일 시간대에 집중될 수 있어 도로의 사용이 효율적으로 스케줄링 되지 못하여 교통정체가 빈번하게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불필요한 연료 및 시간 낭비로 인한 이용자들의 불만은 물론, 차량의 배기가스로 인한 환경오염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As the road is freely open for anyone to use, many vehicles can be concentrated in the same time zone, and traffic congestion occurs frequently because the use of the road is not scheduled efficiently, resulting in unnecessary fuel and time wastage. As well as complaints from users,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the exhaust gas of the vehicle increases.

또한, 유로도로의 경우 종래에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의 진입부 설치된 자동식 또는 수동식 통행권 발행 시스템을 이용하여 통행권을 발행하고 도로의 진출부에 설치된 자동식 또는 수동식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을 이용하여 해당 통행권에 대한 통행요금을 징수하거나,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의 중간에 설치된 자동식 또는 수동식 요금 징수 시스템을 이용하여 해당 도로에 대한 통행요금을 징수하였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euro road, conventionally, as shown in FIG. 1A, the issuance of a ticket using an automatic or manual toll ticket issuing system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road, and an automatic or manual toll collection system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road are applicable. Tolls were collected for the right of toll, or tolls were collected for the road using an automatic or manual toll collection system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road,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유로도로의 수동식 요금 징수 시스템의 경우 요금 징수 처리 시간이 길어 교통정체를 증가시킴은 물론, 요금 징수를 위한 시설물 및 수 많은 인력의 요구로 인해 도로의 운영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manual fare collection system of the euro road, the fare collection processing time is long, which increases traffic congestion, as well as an increase in operating costs of the road due to the demand for facilities and a large number of personnel.

또한, 자동식 요금 징수 시스템의 경우 좁은 차로에 설치된 요금 징수 시스템으로 인한 차량간의 충돌 또는 추돌사고의 발생 위험이 있고, 요금 징수 시스템 통과 시 차량의 속도 제한으로 인해 교통정체가 증가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automatic toll collection system, there is a risk of collision or collision between vehicles due to the toll collection system installed in a narrow lane, and traffic congestion may increase due to the speed limit of the vehicle when passing the toll collection system. exist.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상의 도로 네트워크 상에 형성되는 가상의 요금소를 이용하여 통행료를 과금할 수 있는 가상 시뮬레이션 기반의 도로교통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irtual simulation-based road traffic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charging a toll using a virtual toll booth formed on a virtual road network.

또한, 본 발명은, 가상의 도로 네트워크 상에서의 통행량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라 적응적으로 통행료를 결정할 수 있는 가상 시뮬레이션 기반의 도로교통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irtual simulation-based road traffic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adaptively determining a toll according to a traffic simulation result on a virtual road network.

또한, 본 발명은, 주행 예정정보에 따른 통행료를 주행 전에 선지급 할 수 있는 가상 시뮬레이션 기반의 도로교통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irtual simulation-based road traffic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prepaying tolls based on driving schedule information before driving.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가상 시뮬레이션 기반의 도로교통 관리 시스템은, 도로 상에서 주행하는 타겟차량의 주행정보에 따라 상기 도로와 매칭되는 가상 도로 상에 위치하는 과금 구간의 출발지 및 도착지를 확인하고, 상기 타겟차량이 상기 가상 도로 상의 도착지를 통과하면 상기 타겟차량이 통과한 과금 구간에 대한 통행료 정보를 생성하는 시뮬레이터; 및 상기 시뮬레이터로부터 상기 통행료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타겟차량에 대한 과금을 수행하는 요금 징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rtual simulation-based road traffic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arting point of a charging section located on a virtual road matching the road according to driving information of a target vehicle running on a road. And a simulator for checking a destination and generating toll information on a billing section in which the target vehicle passes when the target vehicle passes the destination on the virtual road; And a toll collection unit that charges the target vehicle when the toll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simulator.

본 발명에 따르면, 가상 도로 네트워크 상에 형성된 가상의 요금소를 이용하여 통행료를 과금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제 도로 상에서는 통행료 징수를 위한 시간이 발생되지 않아 교통정체를 해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olls can be charged using a virtual toll booth formed on a virtual road network, traffic congestion can be eliminated because no time for tolls is generated on an actual roa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상 도로 네트워크 상에 형성된 가상의 요금소를 이용하여 통행료를 자동으로 과금할 수 있기 때문에 통행료 징수를 위한 징수 시스템의 설치 및 통행료 징수를 위한 인력이 요구되지 않아 도로 운영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oll can be automatically charged using a virtual toll booth formed on the virtual road network, the manpower for installing the toll collection system and collecting the toll is not requir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saved.

또한, 본 발명은, 가상의 도로 네트워크 상에서의 통행량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라 적응적으로 통행료를 결정함으로써 도로 통행량을 조절하여 도로 이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road utilization efficiency by adjusting the road traffic by adaptively determining the toll according to the traffic simulation results on the virtual road network.

또한, 본 발명은, 주행 예정정보에 따른 통행료의 선처리 여부에 따라 통행료를 차등적용 함으로써 도로의 이용을 분산시켜 도로의 이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교통정체의 해소 및 배기가스로 인한 대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the toll according to whether the toll according to the toll information pre-processing differentiall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utilization efficiency of the road by dispersing the use of the road, thereby eliminating traffic congestion and the atmosphere due to the exhaust ga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contamination.

도 1은 일반적인 유료도로의 통행료 징수 방법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시뮬레이션 기반의 도로교통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시뮬레이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
도 4는 가상도로 상에서의 통행료 징수를 위한 가상 요금소를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도로 네트워크 구축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
도 6은 가상 도로를 생성하는 방법을 도식화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도 2에 알고리즘 수행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
1 is a view conceptually showing a toll collection method of a general toll road.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oad traffic management system based on a virtual simu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imulator shown in FIG.
4 conceptually illustrates a virtual toll booth for toll collection on a virtual road;
FIG. 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road network building unit shown in FIG. 3.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ethod of generating a virtual road.
7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algorithm execution unit in FIG. 2.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시뮬레이션 기반의 도로교통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irtual traffic simulation-based road traffic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시뮬레이션 기반의 도로교통 관리 시스템(200)은 시뮬레이터(220), 데이터베이스(230), 및 요금 징수부(24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virtual simulation-based road traffic management system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mulator 220, a database 230, and a toll collector 240.

먼저, 시뮬레이터(220)는, 도로 상에서 주행하는 타겟차량의 주행정보에 따라 상기 도로와 매칭되는 가상 도로 상에 위치하는 과금 구간의 출발지 및 도착지를 확인하고, 타겟차량이 상기 가상 도로 상의 도착지를 통과하면 상기 타겟차량이 통과한 과금 구간에 대한 통행료 정보를 생성한다.First, the simulator 220 confirms the starting point and the destination of the charging section located on the virtual road matching the road according to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running on the road, and the target vehicle passes the destination on the virtual road. When the target vehicle passes the toll information is generat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타겟차량의 주행정보는, 타겟차량의 위치확인을 위한 타겟차량의 위치정보, 타겟차량의 식별을 위한 타겟차량의 식별정보, 및 통행료 과금을 위한 타겟차량의 결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타겟차량의 식별정보는 타겟차량 탑재된 차량 단말기(260)에 의해 직접 발생될 수도 있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 타겟차량의 식별정보는 도로 상에서 설치된 카메라 등을 통해 인식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for the location of the target vehic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for identification of the target vehicle, and payment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for toll charges can do. In this cas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may be directly generated by the vehicle terminal 260 mounted on the target vehicle, but in the modified embodimen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may be recognized through a camera installed on a road.

이러한 시뮬레이터(220)는 도 3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터(22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simulator 220 may include a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3.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simulator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뮬레이터(220)는, 도로 네트워크 구축부(300), 차량 위치 매핑부(310), 가상 주행경로 생성부(320), 및 통행료 산출부(330)를 포함한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im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simulator 220 includes a road network constructing unit 300, a vehicle location mapping unit 310, a virtual driving route generation unit 320, and a toll calculation unit 330.

먼저, 도로 네트워크 구축부(300)는, 복수개의 노드 및 각 노드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링크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가상 도로를 구성하고, 복수개의 가상 도로를 운영하기 위한 복수개의 가상 도로 시설물을 구성함으로써 가상 도로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이때, 가상 도로 시설물은 도로 통행권을 발행하기 위한 가상 통행권 발행소, 통행료를 징수하기 위한 가상 요금소, 휴게소, 또는 진출입 램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First, the road network construction unit 300 configures a plurality of virtual roads using a plurality of nodes and a plurality of links connecting the nodes, and configures a plurality of virtual road facilities for operating the plurality of virtual roads. Build a virtual road network. In this case, the virtual road facility may include a virtual toll issue office for issuing a road pass, a virtual toll station for restoring tolls, a rest area, or an entrance / exit ramp.

예컨대, 도로 네트워크 구축부(30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도로의 진입부에 가상 통행권 발행소를 형성하고, 가상 도로의 진출부에 가상 요금소를 형성하거나,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의 중간에 가상 요금소를 형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oad network construction unit 300 forms a virtual pass ticket issuing portion at the entrance of the virtual road, a virtual toll gate is formed at the entrance of the virtual road, as shown in FIG. 4A, or a road as shown in FIG. 4B. In the middle of the virtual tollgate can be formed.

이러한 도로 네트워크 구축부(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전처리부(510), 도로 데이터 생성부(520),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 생성부(530), 파라미터 데이터 생성부(540), 및 네트워크 형성부(55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5, the road network building unit 300 includes an image preprocessor 510, a road data generator 520, a road network data generator 530, a parameter data generator 540, and And a network forming unit 550.

영상 전처리부(510)는 지도 데이터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는 것으로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영상 전처리부(510)는 지도 데이터를 스캐닝함으로써 디지털 영상화된 형태의 지도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영상 전처리부(510)는 지도 데이터를 디지털 영상화된 지도 데이터로 변환함에 있어서 디지털 영상화된 지도 상에 생성될 도로와의 대비를 위해 디지털 영상화된 지도를 열화(Degrading)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The image preprocessor 510 converts the map data into a digital form.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image preprocessor 510 may convert the map data into digital image form by scanning the map data. The image preprocessor 510 may perform a task of degrading the digitally imaged map to contrast the road to be generated on the digitally imaged map in converting the map data into digitally imaged map data.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영상 전처리부(510)가 지도 데이터를 디지털 영상화된 형태로 변환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 영상 전처리부(510)는 디지털 형태로 제작된 지도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 영상 전처리부(510)는 포함되지 않거나, 포함되는 경우 수신된 디지털 형태의 지도 데이터를 열화시키는 작업만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image preprocessor 510 converts the map data into a digitally imaged form, but in the modified embodiment, the image preprocessor 510 may receive map data in a digital form. In this case, the image preprocessor 510 may not be included or, if included, may only perform a task of deteriorating the received map data in digital form.

도로 데이터 생성부(520)는 디지털 영상화된 지도 데이터를 화면상에 출력하고, 마우스나 키보드와 같은 입력수단(미도시)를 통해 디지털 영상화된 지도 데이터 상에서 입력되는 도로 생성요청을 수신하며, 수신된 도로 생성요청에 상응하여 디지털 영상화된 지도 데이터 상에 도로를 그래픽 형태로 생성한다.The road data generator 520 outputs the digitally imaged map data on a screen, receives a road generation request input on the digitally imaged map data through an input means (not shown) such as a mouse or a keyboard, In response to the road creation request, roads are generated in graphic form on the digitally imaged map data.

이때, 도로는 복수개의 노드 및 복수개의 노드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로 구성된다. 즉, 화면상에 배경으로 출력되는 디지털 영상화된 지도 데이터에 표시되어 있는 도로 상에서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노드 또는 링크 생성이 요청되면, 도로 데이터 생성부(520)는 노드 또는 링크 생성이 요청된 위치에 노드 또는 링크를 그래픽적으로 생성하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road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nodes and at least one link connecting the plurality of nodes. That is, when a node or a link generation is requested by using an input means on a road displayed on the digitally imaged map data output as a background on the screen, the road data generator 520 is located at a location where the node or link generation is requested. To create a node or link graphically.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로 데이터 생성부(520)는 노드 또는 링크를 생성함에 있어서 노드 또는 링크를 토폴로지(Topology)형태로 생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oad data generator 520 may generate the nodes or links in the form of a topology in generating the nodes or links.

이러한 도로 데이터 생성부(520)가 교통로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 6a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디지털 영상화된 지도 데이터 상에 표시되어 있는 실제 교통로 상에서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N1 내지 N4 노드의 생성 요청과 각 노드간의 제1 내지 제3 링크 생성 요청이 수신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노드와 각 노드간의 3개의 링크를 토폴로지 형태로 생성한다.Referring to FIG. 6A, the road data generation unit 520 generates a traffic route. The request for generation of N1 to N4 nodes using the input means on the actual traffic route displayed on the digital image map data is described. When the first to third link generation requests between the nodes and each node are received, four nodes and three links between the nodes are generated in the form of a topology, as shown.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로 데이터 생성부(520)는 교통로를 생성함에 있어서 교통로 생성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부가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도로 데이터 생성부(520)는 도로 데이터 생성을 위한 화면을 쉽게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체화면보기 기능, 미니맵 보기 기능, 패닝이동 기능, 확대축소 기능, 인쇄 미리보기 기능, 맵화면 인쇄 기능, 화면 내보내기 기능, 화면 불러오기 기능, 및 팝업식 제어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road data generator 520 may provide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in order to more easily perform the traffic path creation task in generating the traffic path. For example, the road data generation unit 520, in order to easily view the screen for generating the road data, full screen view function, mini map view function, panning movement function, zoom function, print preview function, map screen printing Function, screen export function, screen recall function, and pop-up control function can be provided.

또한, 도로 데이터 생성부(520)는 노드나 링크 등을 포함하는 객체를 보다 쉽게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노드 ID보기 기능, 링크 ID 보기 기능, ID 폰트 최적화 기능, 링크두께 최적화 기능, 링크헤드 최적화 기능, 모드별 객체 색상관리 기능, 및 그래픽 객체 찾기 기능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road data generation unit 520, the node ID view function, link ID view function, ID font optimization function, link thickness optimization function, link head optimization to make it easier to see objects including nodes or links, etc. It may also provide a function, a mode object color management function, and a graphic object search function.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 생성부(530)는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는 도로 데이터 생성부(520)에 의해 생성된 노드 및 링크의 위치정보와 노드 및 링크의 속성정보를 포함한다.The road network data generation unit 530 generates road network data, and in one embodiment, the road network data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of nodes and links generated by the road data generation unit 520 and attribute information of nodes and links. It includes.

노드 및 링크의 위치정보는 도로 데이터 생성부(520)에 의해 디지털 영상화된 지도 상에 생성된 노드 및 링크의 기하학적인 좌표정보를 이용해서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노드 및 링크의 속성정보는 토폴로지 형태로 생성되어 화면상에 출력된 노드 또는 링크의 선택에 의해 제공되는 데이터 입력창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node and the link may be obtained using geometric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node and the link generated on the map digitally imaged by the road data generator 520. In addition,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node and the link is generated in the form of a topology and can be obtained through a data input window provided by the selection of the node or the link displayed on the screen.

즉,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 생성부(530)는 노드 및 링크의 속성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화면상에 출력되는 노드 또는 링크가 입력수단을 통해 선택되면, 콤보박스나 텍스트 박스와 같은 데이터 입력창을 제공하고, 데이터 입력창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해당 노드 또는 링크의 속성정보로 이용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road network data generating unit 530 provides a data input window such as a combo box or a text box when a node or a link output on the screen is selected through an input means to obtain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node and the link. The data input through the data input window is used as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node or link.

이때, 노드의 속성정보는 해당 노드가 죤인지 여부, 교차로인지 여부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고, 링크의 속성정보란 해당 링크에 상응하는 차로 정보나 RMS(Ramp Mitering System) 정보, VMS(Variable Message Sign) 정보, 또는 검지기 정보 등을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node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whether the node is a zone, an intersection, etc., and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link includes lan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ink, Ram Mitering System (RMS) information, and Variable Message Sign (VMS). ) Information, or detector information.

이러한 노드 또는 링크의 속성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을 도 6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6a와 같은 토폴로지 형태의 노드 및 링크가 도로 데이터 생성부(520)에 의해 화면에 출력된 후 N1노드가 선택되면,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 생성부(530)는 N1노드의 속성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콤보박스 또는 텍스트 박스와 같은 입력창을 제공한다.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창에 해당 노드가 죤이라는 정보가 입력되면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 생성부(530)는 N1노드는 죤이라는 속성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동일한 방법을 통해 N3 및 N4노드도 죤이라는 속성정보를 획득하게 되고, N2 노드는 합분류 또는 교차로라는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6A, a method of inputting attribute information of a node or a link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A. When a node and a link in a topology form as shown in FIG. 6A are outputted to the screen by the road data generator 520, the N1 node is selected. The road network data generation unit 530 provides an input window such as a combo box or a text box for inputting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N1 node. When th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node is John in the input window through the input means, the road network data generator 530 acquires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node N1. Through the same method, the N3 and N4 nodes also acquire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John, and the N2 node acquires the information of the summation or intersection.

한편, 제1 링크의 경우 3개의 차로로 구성되고, 제2 링크의 경우 2개의 차로로 구성되며, 제3 링크의 경우 1개의 차로로 구성된다고 하는 경우,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 생성부(530)는 이러한 각 링크의 속성정보를 각 링크의 선택에 의해 제공되는 입력창을 통해 수신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link is composed of three lanes, the second link is composed of two lanes, and the third link is composed of one lane, the road network data generation unit 530 is such a Attribute information of each link is received through an input window provided by selection of each link.

이외에도,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 생성부(530)는, 가상의 도로를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가상 통행권 발행소, 통행료를 징수하기 위한 가상 요금소, 휴게소, 또는 진출입 램프 등과 같은 다양한 도로 시설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ad network data generation unit 530 may generate various road facility data such as a virtual toll issue office required to operate a virtual road, a virtual toll station for restoring a toll, a rest area, or an entrance / exit ramp.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 생성부(530)의해 생성된 상술한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형성부(550)는 가상의 도로 네트워크를 구축하게 되는데,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토폴로지 형태의 노드 및 링크의 경우 N1, N3, 및 N4 노드는 죤이었고 N2 노드는 합분류였으며, 제1 링크는 3차로로 구성되고, 제2 링크는 2차로로 구성되며 제3 링크는 1차로로 구성되므로, 도 6b와 같은 가상의 도로 네트워크가 네트워크 형성부(550)에 의해 생성된다.The network forming unit 550 constructs a virtual road network by using the road network data generated by the road network data generation unit 530. In the case of a node and a link in the form of a topology as shown in FIG. Since the N1, N3, and N4 nodes were John and the N2 nodes were concatenated, the first link consists of three lanes, the second link consists of two lanes, and the third link consists of primary lanes. A virtual road network is created by the network forming unit 550.

파라미터 데이터 생성부(540)는 교통흐름 시뮬레이션의 환경설정을 위한 각종 파라미터를 수신함으로써 파라미터 데이터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파라미터 데이터 생성부(540)에 의해 생성되는 파라미터 데이터에는 시뮬레이션 수행시간, 안정상태 조건, 통계 및 확률 모수, 시뮬레이션 반복횟수, 및 시뮬레이션 수행을 위한 옵션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The parameter data generator 540 generates the parameter data by receiving various parameters for setting the environment of the traffic flow simulation. In one embodiment, the parameter data generated by the parameter data generator 540 may include a simulation execution time, a steady state condition, statistics and probability parameters, a simulation iteration number, and option information for performing the simulation.

네트워크 형성부(550)은 상술한 도로 데이터,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 도로 시설물 데이터, 및 파라미터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상의 도로 및 가상의 도로 시설물을 포함하는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가상의 도로 네트워크를 생성한다.The network forming unit 550 generates a virtual road network for performing a simulation including a virtual road and a virtual road facility by using the above-described road data, road network data, road facility data, and parameter data.

이외에도, 도로 네트워크 구축부(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결성 검증부(5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ad network builder 300 may further include an integrity verifier 560 as shown in FIG. 5.

무결성 검증부(560)는 상술한 도로 데이터, 도로 네트워크, 도로 시설물 데이터의 무결성을 점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무결성 검증부(560)는, 도로 데이터 생성부(520)에 의해 도로 데이터가 생성되면, 생성된 돌 데이터의 무결성을 검증한다. 즉,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에 포함된 노드 또는 링크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도로의 노드와 링크간 정합성, 링크와 더미간 정합성, 또는/및 링크와 연결로간 정합성 등에 대한 무결성을 검증한다.The integrity verification unit 560 checks the integrity of the above-described road data, road network, and road facility data. In detail, when the road data is generated by the road data generator 520, the integrity verifier 560 verifies the integrity of the generated stone data. That is, the integrity of the node and the link of the road, the link between the link and the dummy, and / or the link between the link and the link path is verified with reference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node or link included in the road network data.

또한, 무결성 검증부(560)는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 생성부(530)에 의해 노드 또는 링크의 속성정보가 입력되면, 이를 바탕으로 노드와 노드 DB간 정합성, 링크와 차로간 정합성, 교차로 정보 완전성, 합분류 정보 완전성, 톨게이트 정보 완전성, 링크와 합분류간 정합성, 또는/및 링크와 교차로간 정합성 등에 대한 무결성을 검증한다.In addition, when the integrity information of the node or the link is input by the road network data generation unit 530, the integrity verification unit 560 matches the node and node DB, the link and lane consistency, the intersection information integrity, and the sum. Verify integrity for classification information integrity, tollgate information integrity, link-to-sorting consistency, and / or link-to-intersection integrity.

또한, 무결성 검증부(560)는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 생성부(530)에 의해 도로시설물의 종류 및 위치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도로 시설물의 종류 및 위치정보와 도로 네트워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도로 시설물이 위치해야하는 곳에 정확히 위치했는지 여부 등을 통해 도로 시설물 데이터의 무결성을 검증한다.In addition, the integrity verification unit 560, if the type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oad facilities by the road network data generation unit 530 is input, the corresponding road facilities by using the type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oad facilities and the road network data Integrity of road facility data is verified by whether it is located exactly where it should be.

이러한 과정을 통해 무결성을 검증한 결과, 도로 데이터,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 또는 도로 시설물 데이터에 결함이 존재하는 경우, 무결성 검증부(560)는 알림 메시지 생성을 통하여 결함발생 여부를 알림으로써 생성된 도로를 수정하게 하거나 새로 생성할 수 있도록 하고, 도로의 속성정보를 수정하거나 새로 생성할 수 있도록 하며, 도로 시설물의 종류나 위치를 수정하거나 새로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As a result of verifying the integrity through this process, if there is a defect in the road data, the road network data, or the road facility data, the integrity verification unit 560 generates a notification message to notify whether the defect has occurred or not. Allow to modify or create new, modify or create new property information of road, and modify or create type or location of road facility.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차량위치 매핑부(310)는, 상기 타겟차량의 주행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타겟차량의 주행정보에 포함된 타겟차량의 위치정보를 가상 도로 상에 매핑시킨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타겟차량의 위치정보는 타겟차량의 GPS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차량위치 매핑부(310)는 타겟차량의 GPS 좌표를 가상 도로 상에 표현할 수 있는 좌표 형식으로 변환함으로써 타겟차량의 위치를 가상 도로 상에 매핑시키게 된다.Referring back to FIG. 3, the vehicle location mapping unit 310 receives driving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and map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included in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on a virtual road. In one embodimen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may be GPS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In this case, the vehicle location mapping unit 310 maps the location of the target vehicle on the virtual road by converting the GPS coordinates of the target vehicle into a coordinate format that can be expressed on the virtual roa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위치 매핑부(310)는, 타겟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와 매칭되는 가상 도로 상에서 타겟차량이 확인되도록 타겟차량으로부터 타겟차량의 주행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vehicle location mapping unit 310 may periodically receive driving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from the target vehicle so that the target vehicle is identified on a virtual road that matches the road on which the target vehicle travels.

다음으로, 가상 주행경로 생성부(320)는, 타겟차량의 과거 위치정보 및 타겟차량의 현재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타겟차량의 가상 주행경로를 생성하고, 생성된 가상 주행경로를 가상 도로 상에 표시한다.Next, the virtual driving route generation unit 320 generates a virtual driving route of the target vehicle using the pas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and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and displays the generated virtual driving route on the virtual road. do.

이와 같이, 본 발명이 가상 주행경로 생성부(320)를 통해 타겟차량의 가상 주행경로를 생성하는 이유는, 타겟차량의 위치정보로 GPS 정보가 이용되는 경우, GPS 정보는 상대적으로 큰 오차범위를 갖고 있어 타겟차량의 GPS 정보만을 이용한다면 타겟차량의 정확한 현재위치를 표시할 수 없기 때문에, 타겟차량의 과거 위치정보 및 현재 위치정보를 모두 이용하여 차량의 가상 주행경로를 생성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the virtual driving path of the target vehicle through the virtual driving path generation unit 320. When the GPS information is used a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the GPS information has a relatively large error range. If only the GPS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is used, the exact current position of the target vehicle cannot be displayed, and thus, the virtual driving path of the vehicle is generated using both the past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통행료 산출부(330)는, 타겟차량의 가상 주행경로를 이용하여 가상 도로 상에 위치하는 과금 구간의 출발지 및 도착지를 확인하고, 타겟차량이 상기 가상 도로 상의 도착지를 통과하면 타겟차량이 통과한 과금구간에 대한 통행료 정보를 생성하여 요금 징수부(240)로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상 도로 상의 도착지는 가상 도로 상에 위치되는 가상 요금소일 수 있다.The toll calculation unit 330 checks the starting point and the destination of the charging section located on the virtual road using the virtual driving path of the target vehicle, and if the target vehicle passes the destination on the virtual road, the charging of the target vehicle has passed. Generates toll information for the section and delivers it to the toll collector 240. In one embodiment, the destination on the virtual road may be a virtual tollgate located on the virtual road.

즉, 통행료 산출부(330)는 타겟차량의 가상 주행경로가 가상 요금소를 통과하게 되면 타겟차량이 실제 도로 상에서 통행료를 징수해야 하는 지점을 통과한 것으로 판단하여 타겟차량이 통과한 과금구간에 대한 통행료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통행료 정보를 요금 징수부(240)로 전달하는 것이다.That is, the toll calculation unit 330 determines that the target vehicle has passed the point where the toll must be collected on the actual road when the virtual driving route of the target vehicle passes the virtual toll station, and the toll for the billing section where the target vehicle has passed. It generates information and delivers the generated toll information to the toll collector 240.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통행료 정보는, 타겟차량의 식별정보, 타겟차량이 통과한 과금구간에 대한 통행료, 및 타겟차량의 결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oll information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tolls for the billing section through which the target vehicle passed, and payment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시뮬레이터(220)를 통해 가상의 도로 네트워크에 설치된 가상 요금소를 이용하여 타겟차량의 통행료를 산출하여 과금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제 도로 상에 통행료 징수를 위한 요금소를 건설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 통행료 징수를 위한 인력도 불필요하게 되어 도로운영에 소요되는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oll of the target vehicle can be calculated and charged using the virtual toll installed in the virtual road network through the simulator 220, the toll for the toll collection on the actual road can be constructed. Not only is it necessary, but there is also no need for personnel to collect tolls, reducing the cost of road operation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상의 요금소를 이용하여 통행료를 징수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제 도로에 설치된 요금소에서의 통행료 징수를 위해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어 교통지체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oll can be collected using a virtual toll booth, the time required for toll collection at the toll booth actually installed on the road can be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traffic delay.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시뮬레이터(220)는 타겟차량이 통과한 과금 구간에 대한 통행량을 시뮬레이션하고, 시뮬레이션된 통행량에 따라 통행료를 차등 적용함으로써, 상기 과금 구간내의 통행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시뮬레이터(220)는, 통행량에 비례하여 통행료가 증가하도록 함으로써 통행량을 조절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imulator 220 may adjust the amount of traffic in the billing section by simulating the amount of traffic for the billing section that the target vehicle passed, and by applying a toll differentially according to the simulated amount of traffic. That is, the simulator 220 can adjust the traffic amount by making the toll increase in proportion to the traffic amount.

이를 위해, 시뮬레이터(2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생성부(340) 및 알고리즘 수행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simulator 220 may further include a vehicle generator 340 and an algorithm performer 350 as shown in FIG. 2.

차량 생성부(340)는, 타겟차량이 통과한 과금 구간에서의 통행량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가상 도로 상에 가상 도로를 주행할 가상 차량들을 발생시킨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 생성부(340)는 타겟차량이 통과한 과금 구간을 주행중이거나 통과한 차량 수에 상응하는 가상 차량을 가상 도로에 발생시킨다. 이때, 타겟차량이 통과한 과금 구간을 주행중이거나 통과한 차량 수는 상기 도로 상에 설치된 차량 검지기와 같은 장비에 의해 수집될 수 있다. 이때, 차량 수와 함께 해당 차량의 속도정보도 함께 수신될 수 있다.The vehicle generating unit 340 generates virtual vehicles that will drive the virtual road on the virtual road to simulate the traffic amount in the charging section that the target vehicle has passed. In one embodiment, the vehicle generation unit 340 generates a virtual vehicle on the virtual roa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vehicles running or passing through the charging section that the target vehicle has passed. In this case, the number of vehicles running or passing through the charging section passed by the target vehicle may be collected by equipment such as a vehicle detector installed on the road. In this case, speed information of the vehicle may be received together with the number of vehicles.

다음으로, 알고리즘 수행부(350)는, 실제 도로 상에서 발생된 공사정보 및 사고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가상 도로상에 반영하고, 가상 도로 상에서 가상 차량들을 미리 정해진 차량 주행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주행시킴으로써 가상 도로 상에서의 통행량을 시뮬레이션한다.Next, the algorithm performing unit 350 reflects at least one of construction information and accident information generated on the actual road on the virtual road, and drives the virtual vehicles on the virtual road by using a predetermined vehicle driving algorithm. Simulate traffic on the road.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통행료 산출부(330)는, 알고리즘 수행부(350)에 의해 시뮬레이션된 통행량이 기준 통행량보다 많으면 기본 통행료에 소정 금액을 가산한 금액을 통행료 정보로 생성하고, 시뮬레이션된 통행량이 기준 통행량보다 작으면 기본 통행료에 소정 금액을 감면한 금액을 통행료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통행량이 많은 과금 구간에서는 높은 통행료를 적용함으로써 차량의 수가 감소하도록 유도함으로써 통행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toll calculation unit 330, if the toll simulated by the algorithm execution unit 350 is larger than the standard toll amount, the amount to which the predetermined amount is added to the basic toll as the toll information, the simulation If the toll amount is smaller than the standard toll amount, the amount to which the predetermined amount is reduced to the basic toll amount may be generated as toll informa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amount of traffic by inducing the number of vehicles to be reduced by applying a high toll in a charging section having a large amount of traffic.

이러한 알고리즘 수행부(43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획득부(710), 알고리즘 선택부(720), 및 알고리즘 연산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7, the algorithm performing unit 430 may include a data obtaining unit 710, an algorithm selecting unit 720, and an algorithm calculating unit 730.

데이터 획득부(710)는 시뮬레이션 수행을 위해 필요한 파라미터 데이터, 도로 데이터,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 도로 시설물 데이터, 가상 차량 데이터, 및 교통모형 정보 등과 같은 데이터들을 획득한다.The data acquisition unit 710 acquires data such as parameter data, road data, road network data, road facility data, virtual vehicle data, and traffic model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simulation.

알고리즘 선택부(720)는 복수개의 알고리즘들 중 시뮬레이션에 이용할 적어도 하나의 차량주행 알고리즘을 선택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알고리즘 선택부(720)에 의해 선택되는 차량주행 알고리즘으로는 전방차량에 의한 운전행태를 시뮬레이션하는 차량추종 알고리즘, 가상 차량을 제1 차로에서 제2 차로로 이동시키는 차로변경 알고리즘, 가상 차량의 가속 및 감속에 대한 운전자 행태 알고리즘, 최단경로를 검색하기 위한 알고리즘, 신호제어를 위한 알고리즘, 차로 선택 알고리즘, 합분류를 위한 알고리즘, 물리운동을 위한 알고리즘 등과 같이 가상 도로 상에서 가상 차량을 주행시키기 위한 다양한 알고리즘이 있다.The algorithm selecting unit 720 selects at least one vehicle driving algorithm to be used for simulation among a plurality of algorithms. In one embodiment, the vehicle driving algorithm selected by the algorithm selection unit 720 includes a vehicle tracking algorithm for simulating driving behavior by a front vehicle, and a lane change algorithm for moving a virtual vehicle from the first lane to the second lane. The virtual vehicle on the virtual road, such as the driver behavior algorithm for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of the virtual vehicle, the algorithm for searching the shortest path, the algorithm for signal control, the lane selection algorithm, the algorithm for the classification, and the algorithm for physical motion. There are various algorithms for driving.

알고리즘 연산부(730)는 데이터 획득부(710)에 의해 획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알고리즘 선택부(720)에 의해 선택된 알고리즘을 연산함으로써 시뮬레이션 결과를 생성한다.The algorithm calculating unit 730 generates a simulation result by calculating the algorithm selected by the algorithm selecting unit 720 using the data obtained by the data obtaining unit 710.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알고리즘 수행부(350)는 알고리즘 연산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알고리즘 연산부(730)로부터 피드백되는 알고리즘 연산속도를 고려하여 알고리즘 연산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7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740)는 알고리즘 연산속도가 저하되거나 느린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알고리즘에 변경을 가하거나,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새로운 알고리즘으로 대체함으로써 알고리즘의 연산속도를 향상시키게 된다.In one embodiment, the algorithm execution unit 350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740 for controlling the algorithm operation speed in consideration of the algorithm operation speed fed back from the algorithm operation unit 730 to improve the algorithm operation speed. .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lgorithm computation speed is lowered or slow, the control unit 740 improves the algorithm computation speed by changing the algorithm or replacing the algorithm with a new algorithm that performs the same function.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시뮬레이터(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겟차량의 주행 예정정보를 입력 받고, 입력된 주행 예정정보에 따라 선처리 가능한 통행료 정보를 생성하는 주행 예정정보 처리부(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주행 예정정보는 출발지 정보, 도착지 정보, 및 주행 예정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3, the simulator 2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driving schedule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and generates a toll information that may be preprocessed according to the input driving schedule information 360. ) May be further included. In one embodiment, the driving schedule information may include departure information, arrival information, and scheduled driving time information.

구체적으로, 주행 예정정보 처리부(360)는 타겟차량의 출발지 및 도착지 정보를 포함하는 주행 예정정보를 입력 받는다. 주행 예정정보가 입력되면, 주행 예정정보 처리부(360)는, 타겟차량이 주행할 도로와 매칭되는 가상 도로 상에 위치하는 과금구간의 출발지 및 도착지를 확인하여 타겟차량이 주행할 과금 구간에 대한 통행료 정보를 생성하여, 요금 징수부(240)로 전달한다.In detail, the driving schedule information processor 360 receives driving schedule information including starting and destin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When the driving schedule information is input, the driving schedul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360 checks the starting point and the destination point of the charging section located on the virtual road that matches the road to which the target vehicle will travel, and the toll for the charging section to which the target vehicle will travel. The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transferred to the toll collection unit 240.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타겟차량의 주행 전에 요금 징수부(240)에 의해 타겟차량이 주행할 과금구간에 대한 통행료가 선처리되기 때문에 실제 도로 상에서는 통행료 징수를 위한 요금소를 건설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 통행료 징수를 위한 인력도 불필요하게 되어 도로운영에 소요되는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toll for the billing section in which the target vehicle is to be driven is pre-processed by the toll collector 240 before the target vehicle runs, it is not necessary to construct a toll for toll collection on the actual road. In addition, manpower for toll collection may also be unnecessary, reducing the cost of road operations.

즉, 주행 예정정보 처리부(360)는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도로구간에 대한 주행을 미리 예약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해당 구간에 대한 통행료를 미리 지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로 이용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다.That is, the driving schedul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360 allows the user to reserve the driving of the road section to be used in advance, as well as to pay the toll for the corresponding section in advance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road use. will be.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는 경우, 상기 통행료 산출부(330)는 과금 대상이 되는 타겟차량의 주행 예정정보 및 통행료 선처리 여부가 데이터베이스(230)에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기록되어 있는 경우 해당 타겟차량의 통행료를 과금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toll calculation unit 330 checks whether or not the driving schedule information and toll preprocessing of the target vehicle to be charged is recorded in the database 230, and if the target toll is recorded We decide not to charge toll of vehicl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행료 산출부(330)는 타겟차량이 통과한 과금 구간의 출발지 및 도착지와 타겟차량의 주행 예정정보에 포함된 출발지 및 도착지의 동일 여부를 추가로 확인하고, 그 결과에 따라 타겟차량의 과금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oll calculation unit 330 further checks whether the starting point and the destination of the billing section that the target vehicle passed through are identical to the starting point and the destination included in the driving schedule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and the result As a result, the target vehicle may be charged.

즉, 타겟차량이 통과한 과금 구간의 출발지 및 도착지와 타겟차량의 주행 예정정보에 포함된 출발지 및 도착지의 동일한 경우, 통행료 산출부(330)는 해당 타겟차량에 대한 통행료를 과금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지만, 타겟차량이 통과한 과금 구간의 출발지 및 도착지와 타겟차량의 주행 예정정보에 포함된 출발지 및 도착지가 상이한 경우 해당 타겟차량에 대한 통행료를 과금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통행료는 해당 과금구간에 대한 통행료에서 선처리된 통행료를 감산한 금액으로 결정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starting point and destination of the charging section where the target vehicle has passed and the starting point and destination included in the driving plan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are the same, the toll calculation unit 330 determines that the toll for the target vehicle is not charged. If the starting point and the destination of the charging section passed by the target vehicle and the starting point and the destination included in the driving schedule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are different,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toll for the target vehicle is charged. In this case, the toll may be determined by subtracting the toll prepaid from the toll for the billing sec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주행 예정정보 처리부(360)는, 타겟차량의 주행 예정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타겟차량이 주행할 과금 구간에 대해 시뮬레이션된 통행량에 따라 선처리될 통행료의 과금여부를 결정하거나, 선치리될 통행료를 차등적용하여 상기 과금 구간내의 통행량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riving schedul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360 determines whether to charge the toll to be pre-processed according to the toll simulated for the charging section to be driven by the target vehicle based on the driving schedule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The toll to be pre-differentiated may be applied to allow the amount of toll in the charging section to be adjusted.

이를 위해, 주행 예정정보 처리부(360)는 타겟차량의 주행 예정정보를 상기 차량 생성부(340)로 전달하고, 차량 생성부(340)는 타겟차량의 주행 예정정보와 상기 타겟차량이 주행할 과금구간에서 현재 주행중인 차량 수에 상응하는 가상 차량들을 발생시키게 된다.To this end, the driving schedule information processor 360 transmits driving schedule information of a target vehicle to the vehicle generating unit 340, and the vehicle generating unit 340 charges driving schedule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and the charging of the target vehicle. Virtual vehicle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vehicles currently running in the section are generated.

이후, 알고리즘 수행부(350)는 가상 도로 상에서 가상 차량들을 미리 정해진 차량주행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주행시킴으로써 가상 도로 상에서의 통행량을 시뮬레이션하고, 시뮬레이션된 통행량을 주행 예정정보 처리부(360)로 전달하게 된다.Subsequently, the algorithm execution unit 350 simulates the traffic amount on the virtual road by driving the virtual vehicles on the virtual road using a predetermined vehicle driving algorithm, and transmits the simulated traffic amount to the driving schedule information processor 360.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주행 예정정보 처리부(360)는, 타겟차량이 주행 할 과금구간에 대한 통행량이 기준 통행량보다 많으면 해당 과금구간에 대해 선처리될 통행료를 기준 통행료보다 높게 설정하고, 타겟차량이 주행 할 과금구간에 대한 통행량이 기준 통행량보다 작으면 해당 과금구간에 대해 선처리될 통행료를 기본 통행료보다 낮게 설정하거나 통행료를 과금하지 않음으로써, 해당 과금구간에 대한 통행량을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driving schedul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360 sets the toll to be pre-processed for the charging section higher than the reference toll if the target vehicle has more tolls for the charging section to drive, and the target vehicle If the amount of traffic for the billing section to be driven is less than the standard toll, the toll to be pre-paid for the billing section is set lower than the basic toll or the bill is not charged.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주행 예정정보 처리부(360)는 타겟차량이 주행할 과금구간에 대해 선처리될 통행료의 과금여부나 차등적용을 통해 해당 과금구간에서의 통행량을 조절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타겟차량의 주행 예정정보 입력을 제한함으로써 해당 과금구간에서의 통행량을 조절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driving schedule information processor 360 adjusts the amount of traffic in the billing section by charging or differentially applying the toll to be pre-processed for the billing section in which the target vehicle is to travel. In the example, the amount of traffic in the charging section can be adjusted by restricting the input of the driving schedule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즉, 주행 예정정보 처리부(360)는 타겟차량이 주행 할 과금구간에 대한 통행량이 기준 통행량보다 많으면 해당 과금구간에 대해서는 더 이상 주행 예정정보를 입력할 수 없도록 하고, 타겟차량이 주행 할 과금구간에 대한 통행량이 기준 통행량보다 작은 경우 주행 예정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과금구간에 대한 통행량을 조절할 수 있다.That is, if the amount of traffic for the billing section to which the target vehicle is to travel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amount of traffic, the driving schedul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360 prevents input of the driving plan information for the billing section any more, and the target vehicle to the billing section to be driven. If the traffic volume is less than the standard traffic volum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traffic volume for the billing section by inputting the driving schedule information.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타겟차량의 주행 예정정보를 사전 발급되는 통행권 형식으로 관리하고, 주행 예정정보 처리부(360)는 타겟차량이 주행 할 과금구간에 대한 통행량에 따라 사전 발급 가능한 통행권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해당 과금구간에 대한 통행량을 조절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driving schedule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is managed in the form of a pre-issued ticket, and the driving schedule information processor 360 may determine the number of pre-issued tickets in accordance with the amount of traffic for the billing section to which the target vehicle will travel. By adjusting, you can control the amount of traffic for that billing segment.

즉, 해당 과금구간에 대한 통행량이 기준 통행량보다 많은 경우 해당 과금구간에서 사전발급 가능한 통행권의 개수를 감소시킴으로써 해당 과금구간에 대한 통행량을 조절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amount of traffic for the billing section is larger than the standard amount of traffic, the amount of traffic for the billing section can be adjusted by reducing the number of pre-issuable passes in the billing section.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230)에는 타겟차량의 주행 예정정보 및 주행 예정정보에 따른 통행료의 선처리 여부가 기록된다. 이때, 타겟차량의 주행 예정정보는 타겟차량의 식별정보와 매칭되어 기록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2, the database 230 records whether the toll is pre-processed according to the driving schedule information and the driving schedule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In this case, the driving schedule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may be recorded by match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주행 예정정보 및 주행 예정정보에 따른 통행료의 선처리 여부는 사전 발급된 통행권 정보 형태로 데이터베이스(230)에 기록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ther to pre-process the toll according to the driving schedule information and the driving schedule information may be recorded in the database 230 in the form of pre-issued toll information.

요금 징수부(240)는, 시뮬레이터(220)로부터 통행료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통행료 정보에 따라 타겟차량에 대해 통행료를 과금하거나 선처리한다. 또한, 요금 징수부(240)는 타겟차량에 대한 통행료 과금 결과를 타겟차량으로 전송하거나, 통행료의 선처리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The toll collection unit 240 receives the toll information from the simulator 220 and charges or preprocesses the toll for the target vehicle according to the received toll information. In addition, the toll collection unit 240 transmits the toll charge result for the target vehicle to the target vehicle, or provides the user with the result of preprocessing the toll.

다음으로, 차량 단말기(260)는, 타겟차량의 위치정보, 타겟차량의 식별정보, 타겟차량의 결제정보를 포함하는 타겟차량의 주행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 송수신장치(270)를 통해 시뮬레이터(220)로 전송하고, 데이터 송수신장치(270)를 통해 요금 징수부(240)로부터 과금결과를 수신한다.Next, the vehicle terminal 260 generates driving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payment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and generates a simulator 220 through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270. And receive the charging result from the charge collector 240 through the data transceiver 270.

일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 단말기(260)는 차량에 탑재된 차량용 단말기이거나 차량 소유주의 휴대용 장치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vehicle terminal 260 may be a vehicle terminal mounted on a vehicle or a portable device of a vehicle owner.

다음으로, 데이터 송수신장치(270)는 실제 도로 상에서 미리 정해진 위치에 설치되어 차량 단말기(260)로부터 수신되는 타겟차량의 주행정보를 시뮬레이터(220)로 전송하고, 요금 징수부(240)로부터 과금결과를 수신하여 차량 단말기(260)로 전달한다.Next, the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270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actual road and transmits driving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received from the vehicle terminal 260 to the simulator 220, and the charging result from the charge collection unit 240. Receives and delivers to the vehicle terminal 260.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above-described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200: 도로교통 관리 시스템 220: 시뮬레이터
230: 데이터베이스 240: 요금 징수부
260: 차량 단말기 270: 데이터 송수신부
200: road traffic management system 220: simulator
230: database 240: toll collection
260: vehicle terminal 270: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Claims (13)

도로 상에서 주행하는 타겟차량의 주행정보에 따라 상기 도로와 매칭되는 가상 도로 상에 위치하는 과금 구간의 출발지 및 도착지를 확인하고, 상기 타겟차량이 상기 가상 도로 상의 도착지를 통과하면 상기 타겟차량이 통과한 과금 구간에 대한 통행료 정보를 생성하는 시뮬레이터; 및
상기 시뮬레이터로부터 상기 통행료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타겟차량에 대한 과금을 수행하는 요금 징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시뮬레이션 기반의 도로교통 관리 시스템.
Determine the starting point and the destination of the charging section located on the virtual road matching the road according to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running on the road, and when the target car passes the destination on the virtual road, the target vehicle passes A simulator for generating toll information on the billing section; And
And a toll collection unit configured to charge the target vehicle when the toll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simula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터는 상기 타겟차량이 통과한 과금 구간에 대한 통행량을 시뮬레이션하고, 상기 통행량에 따라 상기 통행료를 차등 적용하여 상기 과금 구간내의 통행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시뮬레이션 기반의 도로교통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imulator simulates the traffic volume for the billing section that the target vehicle has passed, and adjusts the traffic volume in the billing section by applying the toll differentially according to the traffic volu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도로 상의 도착지는 상기 가상 도로 상에 위치되는 가상 요금소인 것을 특징 가상 시뮬레이션 기반의 도로교통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destination on the virtual road is a virtual toll station located on the virtual roa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차량의 주행정보는 상기 타겟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와 매칭되는 상기 가상 도로 상에서 상기 타겟차량이 확인되도록 상기 타겟차량으로부터 상기 시뮬레이터에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시뮬레이션 기반의 도로교통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is periodically transmitted from the target vehicle to the simulator so that the target vehicle is identified on the virtual road that matches the road on which the target vehicle travels.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차량의 주행정보는 상기 타겟차량의 위치확인을 위한 위치정보, 상기 타겟차량 식별을 위한 식별정보, 및 상기 통행료의 과금에 필요한 결제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시뮬레이션 기반의 도로교통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target vehic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target vehicle, and payment information necessary for charging the toll.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터는, 상기 타겟차량이 통과한 과금 구간의 출발지 및 도착지와 상기 타겟차량의 주행 예정정보에 포함된 출발지 및 도착지의 동일 여부에 따라 상기 타겟차량의 과금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과금 구간내의 통행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시뮬레이션 기반의 도로교통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imulator determines whether to charge the target vehicle according to whether the starting point and the destination of the charging section passed by the target vehicle and the starting point and the destination included in the driving schedule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are determined to determine the amount of traffic in the charging section. Road traffic management system based on a virtual simula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adjust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터는, 상기 타겟차량의 주행 예정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차량이 주행할 도로와 매칭되는 가상 도로 상에 위치하는 과금 구간의 출발지 및 도착지를 확인하고, 상기 타겟차량이 주행할 과금 구간에 대한 통행료 정보를 생성하는 주행 예정정보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시뮬레이션 기반의 도로교통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imulator determines a starting point and a destination of a charging section located on a virtual road that matches the road on which the target vehicle is to travel according to the driving schedule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and tolls for the charging section to which the target vehicle will travel. Virtual simulation-based road traffic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driving schedul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터는 상기 타겟차량의 주행 예정정보를 기초로 상기 타겟차량이 주행할 과금 구간에 대한 통행량을 시뮬레이션하고, 상기 통행량에 따라 상기 통행료를 차등 적용하여 상기 과금 구간내의 통행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시뮬레이션 기반의 도로교통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imulator simulates a toll for a billing section to which the target vehicle will travel based on the driving schedule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and adjusts the toll in the billing section by applying the toll differentially according to the toll amount. Road traffic management system based on virtual simul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터는 상기 타겟차량의 주행 예정정보를 기초로 상기 타겟차량이 주행할 과금 구간에 대한 통행량을 시뮬레이션하고, 상기 통행량에 따라 상기 타겟차량의 과금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과금 구간내의 통행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시뮬레이션 기반의 도로교통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imulator simulates a traffic amount for a charging section in which the target vehicle will travel based on driving schedule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arget vehicle is charged according to the traffic volume and adjusts the traffic amount in the charging section. A road traffic management system based on virtual simulation.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차량의 주행 예정정보는 출발지, 도착지, 및 주행 예정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시뮬레이션 기반의 도로교통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8,
The driving schedule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includes a departure point, an arrival point, and a scheduled driving time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터는,
상기 타겟차량이 주행할 과금 구간 또는 상기 타겟차량이 통과한 과금 구간에서의 현재 차량에 따라 상기 가상 도로 네트워크 상에서 가상 차량을 발생시키는 차량 생성부; 및
상기 도로 상에서의 공사정보 및 사고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가상 도로상에 반영하고 상기 가상 도로 네트워크 상에서 상기 가상 차량을 미리 정해진 차량주행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주행시켜 상기 타겟차량이 주행할 과금 구간 또는 상기 타겟차량이 통과한 과금 구간에 대한 통행량을 시뮬레이션하는 알고리즘 수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시뮬레이션 기반의 도로교통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imulator includes:
A vehicle generation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virtual vehicle on the virtual road network according to a current vehicle in a charging section in which the target vehicle travels or a charging section in which the target vehicle passes; And
At least one of construction information and accident information on the road is reflected on the virtual road, and the virtual vehicle is driven on the virtual road network by using a predetermined vehicle driving algorithm to drive the charging section or the target vehicle Virtual simulation-based road traffic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lgorithm execution unit for simulating the traffic volume for the billing section passed by the vehi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터는,
복수개의 노드 및 각 노드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링크를 이용하여 구성된 복수개의 가상 도로 및 상기 도로의 운영을 위한 복수개의 가상 도로 시설물을 포함하는 가상 도로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도로 네트워크 구축부;
상기 타겟차량의 주행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타겟차량의 주행정보에 포함된 상기 타겟차량의 위치정보를 상기 가상 도로 상에 매핑시키는 차량위치 매핑부;
상기 타겟차량의 과거 위치정보 및 상기 타겟차량의 현재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차량의 가상 주행경로를 생성하여 상기 가상 도로 상에 표시하는 가상주행 경로 생성부; 및
상기 타겟차량의 가상 주행경로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차량이 상기 가상의 도로 네트워크에 설치된 가상 요금소를 통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타겟차량이 상기 가상 요금소를 통과하면 상기 타겟차량이 통과한 과금 구간에 대한 통행료 정보를 생성하는 통행료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시뮬레이션 기반의 도로교통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imulator includes:
A road network building unit for constructing a virtual road network including a plurality of virtual roads configured by using a plurality of nodes and a plurality of links connecting each node and a plurality of virtual road facilities for operating the roads;
A vehicle location mapp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driving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and map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included in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on the virtual road;
A virtual driving route generation unit generating a virtual driving route of the target vehicle using the pas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and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and displaying the virtual driving route on the virtual road;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arget vehicle passes through the virtual toll booth installed in the virtual road network by using the virtual driving path of the target vehicle. When the target vehicle passes the virtual tollgate, the target vehicle passes through the charging section. Virtual simulation-based road traffic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toll calculation unit for generating toll information f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차량에 탑재되어 상기 타겟차량의 주행정보를 생성하는 단말기; 및
상기 도로 상에서 미리 정해진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타겟차량의 주행정보를 상기 시뮬레이터로 전송하고, 상기 요금 징수부로부터 상기 과금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달하는 데이터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시뮬레이션 기반의 도로 교통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 terminal mounted on the target vehicle to generate driving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And
It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road further comprises a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from the terminal to the simulator, receiving the billing result from the toll collection unit and forwarding to the terminal A virtual simulation based road traffic management system.
KR1020110139203A 2011-12-21 2011-12-21 System for managing road traffic based on virtual simulation KR2013008287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203A KR20130082876A (en) 2011-12-21 2011-12-21 System for managing road traffic based on virtual simul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203A KR20130082876A (en) 2011-12-21 2011-12-21 System for managing road traffic based on virtual simul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2876A true KR20130082876A (en) 2013-07-22

Family

ID=48994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9203A KR20130082876A (en) 2011-12-21 2011-12-21 System for managing road traffic based on virtual simul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2876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01986A (en) * 2020-08-24 2020-11-27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Virtual lane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4084167A (en) * 2020-06-29 2022-02-25 莱德弗利士株式会社 Road network data gene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autonomous vehicle
CN117576915A (en) * 2024-01-16 2024-02-20 山东大学 Intelligent road design system based on virtual simulation technology
CN112001986B (en) * 2020-08-24 2024-05-28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Virtual lane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84167A (en) * 2020-06-29 2022-02-25 莱德弗利士株式会社 Road network data gene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autonomous vehicle
CN112001986A (en) * 2020-08-24 2020-11-27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Virtual lane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2001986B (en) * 2020-08-24 2024-05-28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Virtual lane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7576915A (en) * 2024-01-16 2024-02-20 山东大学 Intelligent road design system based on virtual simulation technology
CN117576915B (en) * 2024-01-16 2024-04-05 山东大学 Intelligent road design system based on virtual simulation technolog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222632A1 (en) Traffic simul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computer device and storage medium
WO2019165616A1 (en) Signal light control method, related device, and system
Yan et al. Crowdpark: A crowdsourcing-based parking reservation system for mobile phones
Ullah et al. Vehicular traffic simulation software: A systematic comparative analysis
Clements et al. Technologies for congestion pricing
Hu et al. Use of automated vehicle location data for route-and segment-level analyses of bus route reliability and speed
Sykes Traffic simulation with paramics
CN111986337A (en) Robot-based roadside parking charg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alukder et al. Trajectory-based signal control in mixed connected vehicle environments
Dressler et al. On the impact of human driver behavior on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Dogaroglu et al. Investigation of car park preference by intelligent system guidance
KR20130082876A (en) System for managing road traffic based on virtual simulation
KR101083159B1 (en) Apparatus for Simulating Traffic Flow Using Intelligence Traffic Network and System for Simulating Traffic Flow Comprising That Apparatus
Sun et al. Practical guidance for using mesoscopic simulation tools
Barceló et al. Modelling advanced transport telematic applications with microscopic simulators: The case of aimsun
Cui et al. Design of highway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to et al. A general simulator approach to ETC toll traffic congestion
Liu Design and application of real-time traffic simulation platform based on UTC/SCOOT and VISSIM
Bıyık et al.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in Turkish urban environments: a comprehensive review
Hadi et al. Application of dynamic traffic assignment to advanced managed lane modeling.
CN112581749A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obtaining vehicle resource occupation information and electronic equipment
TWI822018B (en) Optimizing method for deployment of charging stations and planning system for charging stations
Triebke et al. Pre-study and insights to a sequential MATSim-SUMO tool-coupling to deduce 24h driving profiles for SAEVs
Habibullah et al. Highway Toll Collection Method for Connected Automated Vehicle Platooning Using Spatio-Temporal Grid Reservation
Klein et al. IVHS architecture development and evaluation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