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1439A - 휴대 단말기에서 카메라 뷰 영역을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에서 카메라 뷰 영역을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1439A
KR20130081439A KR1020120002418A KR20120002418A KR20130081439A KR 20130081439 A KR20130081439 A KR 20130081439A KR 1020120002418 A KR1020120002418 A KR 1020120002418A KR 20120002418 A KR20120002418 A KR 20120002418A KR 20130081439 A KR20130081439 A KR 20130081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image
user
shape
viewing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2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7549B1 (ko
Inventor
김민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2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7549B1/ko
Priority to US13/736,187 priority patent/US9088720B2/en
Priority to EP13150508.3A priority patent/EP2613520B1/en
Publication of KR20130081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1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8Means for changing the camera field of view without moving the camera body, e.g. nutating or panning of optics or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카메라 뷰 영역을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사진 촬영이 요청되면, 상기 사용자의 형상을 포함하는 제1이미지를 수신하며, 상기 제1이미지 내에서 상기 형상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형상의 위치가 미리 지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 결과, 상기 확인된 형상의 위치가 상기 미리 지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의 형상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시야 방향과 시야각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시야 방향과 시야각을 이용하여 제2이미지를 촬영하는 제2카메라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에서 카메라 뷰 영역을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CAMERA VIEW AREA IN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기에서 카메라 뷰 영역을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발전으로 인하여, 배경이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투영되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은 유저의 위치에 따라 투영되는 배경이 다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카메라를 내장하고 있으므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는 카메라를 통한 이미지와 사용자가 바라보는 이미지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사진 촬영 시에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를 촬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을 참조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3)의 후면부에는 카메라(105)가 부착된다.
만약에 사용자(101)가 시야 방향(107)으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3)을 보는 경우, 사용자(101)는 제2영역(111)에 존재하는 피사체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3) 상에 투영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때, 사용자(101)에 의해 사진 촬영이 요청되면,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105)는 제2영역(111)이 아닌 제1영역(109)을 촬영하게 된다. 이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1) 상에 투영되는 이미지와 카메라(105)에 의해 촬영되는 이미지가 서로 동일하지 않으므로, 사용자(101)는 자신이 원하는 이미지를 촬영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방안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시야각에 따라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이미지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시야 방향과 시야각에 따라 카메라를 회전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이미지를 동일하게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휴대 단말기에서 카메라 뷰 영역을 표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부와, 사용자의 형상을 포함하는 제1이미지를 촬영하는 제1카메라와 회전 가능하며 제2이미지를 촬영하는 제2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사진 촬영이 요청되면, 상기 제1이미지를 수신하며, 상기 제1이미지 내에서 상기 형상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형상의 위치가 미리 지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 결과, 상기 확인된 형상의 위치가 상기 미리 지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의 형상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시야 방향과 시야각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시야 방향과 시야각을 이용하여 상기 제2카메라를 회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휴대 단말기에서 카메라 뷰 영역을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사진 촬영이 요청되면, 상기 사용자의 형상을 포함하는 제1이미지를 수신하며, 상기 제1이미지 내에서 상기 형상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형상의 위치가 미리 지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 결과, 상기 확인된 형상의 위치가 상기 미리 지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의 형상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시야 방향과 시야각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시야 방향과 시야각을 이용하여 제2이미지를 촬영하는 제2카메라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시야각에 따라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이미지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시야 방향과 시야각에 따라 카메라를 회전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이미지를 동일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카메라 뷰 영역을 표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카메라 뷰 영역을 표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에 카메라 뷰 영역이 표시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카메라 뷰 영역을 표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카메라 뷰 영역을 표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카메라 뷰 영역을 표시하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카메라 뷰 영역을 표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용이하게 이동 가능한 전자기기로서, 화상전화기,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단말기, E-Book, 휴대용 컴퓨터(Notebook, Tablet 등) 또는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등이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는 제어부(201)와 표시부(203)와 카메라부(205)와 메모리부(207)를 포함한다.
각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표시부(203)는 영상 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제어부(201)로부터 출력 요청되는 데이터를 표시한다. 만약에, 표시부(203)가 정전식 또는 감압식 등의 터치 표시 화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표시부(203)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그리고 메모리부(207)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데이터 메모리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부팅(booting) 및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 이하 'OS'라 한다)을 저장하고, 데이터 메모리는 휴대 단말기 동작 중에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그리고 카메라부(205)는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여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이미지를 제어부(201)로 출력한다.
특히, 카메라부(205)는 복수의 카메라(미도시)를 포함하며, 복수의 카메라 중에서 제1카메라는 휴대 단말기의 전면부에 위치하며, 전면부에 위치하는 피사체를 촬영한다. 그리고 복수의 카메라 중에서 제2카메라는 휴대 단말기의 후면부에 위치하며, 후면부에 위치하는 피사체를 촬영한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전면부의 앞에 위치하는 경우, 제1카메라는 사용자를 촬영하여 사용자의 형상이 포함된 제1이미지를 생성하며, 제2카메라는 후면부에 위치하는 피사체의 형상을 포함하는 제2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1이미지와 제2이미지를 제어부(201)로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201)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제어부(201)는 제1이미지에 포함된 사용자의 형상이 미리 지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에, 확인 결과, 사용자의 형상이 미리 지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201)는 사용자의 시야각과 시선 방향에 따라 제2이미지의 가로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하고 시야각 조절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사용자의 시야각과 시선 방향에 따라 제2카메라를 회전한다.
여기서, 미리 지정된 영역은 제1이미지의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일정 범위를 포함하는 영역을 말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카메라 뷰 영역을 표시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에 카메라 뷰 영역이 표시된 도면이다.
이제부터, 도 3과 4를 참조하여 휴대 단말기가 제1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에서 카메라 뷰 영역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303)의 전면부에는 제1카메라(305)가 부착되고, 후면부에는 제2카메라(307)가 부착된다.
만약에 사용자(301)가 시야 방향(309)으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303)을 보는 경우, 사용자(301)는 제2영역(313)에 존재하는 피사체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303) 상에 투영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여기서, 제2영역(313)은 사용자(301)의 시야 방향(309)에 위치하는 영역을 말한다.
이때, 사용자(301)에 의해 사진 촬영이 요청되면, 휴대 단말기의 제2카메라(307)는 제2영역(313)이 아닌 제1영역(311)을 촬영하게 된다. 이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303) 상에 투영되는 이미지와 제2카메라(307)에 의해 촬영되는 이미지는 서로 동일하지 않으므로, 사용자(301)는 자신이 원하는 이미지를 촬영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사용자(301)가 원하는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301)에 의해 사진 촬영이 요청되면, 제2카메라(307)에 의해 촬영될 이미지를 사용자(301)에게 미리 제공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제어부(201)는 사용자(301)에 의해 사진 촬영이 요청되면, 카메라부(205)의 제1카메라(305)로부터 제1이미지를 수신하고, 제1이미지를 분석함으로써, 제1이미지 내에서의 사용자(301) 형상의 위치를 확인한다. 이때, 제어부(201)는 안면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301) 형상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01)는 사용자(301) 형상의 위치가 제1이미지의 미리 지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미리 지정된 영역은 제1이미지의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일정 범위를 포함하는 영역을 말한다.
확인 결과, 사용자(301) 형상의 위치가 미리 지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면, 제어부(201)는 제2카메라(307)로부터 제2카메라(307)를 통해 촬영될 제2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2이미지를 크기 조절하지 않고 표시부(203)를 통해 출력한다.
이와 달리, 사용자(301) 형상의 위치가 미리 지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으면, 즉, 다른 영역 내에 존재하면, 제어부(201)는 제1이미지를 이용하여 사용자(301)의 시야각을 계산한다. 여기서, 시야각은 제1카메라의 촬영 방향에서부터 사용자 형상의 시야 방향까지의 이동 각도
Figure pat00001
를 말한다. 그리고 제1카메라의 촬영 방향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과 직교하는 방향을 말한다.
한 가지 방식으로, 제어부(201)는 안면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301) 형상의 좌측 눈의 가로 길이와 우측 눈의 가로 길이의 비율을 계산하고, 계산된 비율에 대응하는 사용자(301)의 시야 방향과 시야각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좌측 눈의 가로 길이와 우측 눈의 가로 길이의 비율이 2인 경우, 제어부(201)는 사용자(301)의 시야 방향을 오른쪽으로, 시야각을 약 45도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좌측 눈의 가로 길이와 우측 눈의 가로 길이의 비율이 0.5인 경우, 제어부(201)는 사용자(301)의 시야 방향을 왼쪽으로, 시야각을 약 45도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방식으로, 메모리부(207)는 이동 픽셀 개수 별 시야각을 나타내는 시야각 테이블을 저장하며, 제어부(201)는 제1이미지 내의 사용자(301) 형상의 위치를 제1이미지 내의 중앙 영역으로 이동할 때의 이동 방향과 이동 픽셀 개수를 계산하며, 이동 방향을 사용자(301)의 시야 방향이라고 결정하고, 시야각 테이블을 참조하여 이동 픽셀 개수에 대응하는 사용자(301)의 시야각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시야각 테이블은 실험에 의해 미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이미지의 전체 가로 픽셀 개수가 400이며, 이동 픽셀 개수가 100이고, 시야각 테이블에서 이동 픽셀 개수 100이 시야각 30도에 대응되는 경우, 제어부(201)는 시야각 테이블에서 이동 픽셀 개수 100에 대응되는 시야각 30도를 검색하고, 검색된 시야각 30도를 사용자(301)의 시야각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01)는 계산된 시야각에 따라 제2이미지의 가로 길이를 조절한 후, 표시부(205)를 통해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201)는 계산된 시야각에 따라 제2이미지의 가로 길이를 조절하고,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303)의 오른쪽 면과 왼쪽 면 중에서 사용자(301)의 시야 방향과 반대쪽 면을 기준으로 가로 길이가 조절된 제2이미지를 표시한 후, 제2이미지가 표시되지 않은 나머지 영역을 검정색으로 블라인드 처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에 카메라 뷰 영역이 표시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301)의 시야 방향이 오른쪽이며, 시야각이 30도인 경우, 제어부(201)는 시야각 30도에 대응되는 가로 길이만큼 제2이미지의 가로 길이를 줄인다. 그리고 제어부(201)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401)의 왼쪽 면을 기준으로 카메라 뷰 영역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카메라 뷰 영역에 가로 길이가 줄어든 제2이미지(403)를 표시하고,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401)의 나머지 영역(405)을 블라인드(blind) 처리한다.
또한, 사용자(301)의 시야 방향이 오른쪽이며, 시야각이 45도인 경우, 제어부(201)는 시야각 45도에 대응되는 가로 길이만큼 제2이미지의 가로 길이를 줄인다. 이때, 제어부(201)는 시야각이 30도일 때 조절되는 가로 길이보다 시야각이 45도일 때 제2이미지의 가로 길이를 더 줄인다. 왜냐하면, 사용자의 시야각이 커질수록 제1영역(311)과 제2영역(313)간의 거리가 벌어지므로, 사용자는 제1영역(311)보다는 제2영역(313)에 위치하는 피사체를 보기 때문이다.
그리고 제어부(201)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407)의 왼쪽 면을 기준으로 카메라 뷰 영역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카메라 뷰 영역에 가로 길이가 조절된 제2이미지(409)를 표시하고,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407)의 나머지 영역(411)을 블라인드 처리한다.
이후에, 제어부(201)는 가로 길이가 축소된 제2이미지 상에 시야각 조절 요청 메시지를 팝업(pop-up) 창으로 표시한다.
도 5와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카메라 뷰 영역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이제부터, 도 5와 6을 참조하여 휴대 단말기가 제2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에서 카메라 뷰 영역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503)의 전면부에는 제1카메라(505)가 부착되고, 후면부에는 제2카메라(507)가 부착된다.
만약에, 사용자(501)가 시야 방향(509)으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503)을 보는 경우, 사용자(501)는 제4영역(513)에 존재하는 피사체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503) 상에 투영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여기서, 제4영역(513)은 사용자(501)의 시야 방향(509)에 위치하는 영역을 말한다.
이때, 사용자(501)에 의해 사진 촬영이 요청되면, 휴대 단말기의 제2카메라(507)는 제2영역(513)이 아닌 제1영역(511)을 촬영하게 된다. 이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503) 상에 투영되는 이미지와 제2카메라(507)에 의해 촬영되는 이미지는 서로 동일하지 않으므로, 사용자(501)는 자신이 원하는 이미지를 촬영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사용자(501)가 원하는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501)에 의해 사진 촬영이 요청되면, 제2카메라(507)를 움직여서 사용자(501)의 시야 방향과 제2카메라(507)의 촬영 방향을 동일하게 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제어부(201)는 사용자(501)에 의해 사진 촬영이 요청되면, 카메라부(205)의 제1카메라(505)로부터 사용자(501) 형상을 포함하는 제1이미지를 수신하고, 제1이미지를 분석함으로써, 제1이미지 내에서 사용자(501) 형상의 위치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201)는 사용자(501) 위치가 제1이미지의 미리 지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미리 지정된 영역은 제1이미지의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일정 범위를 포함하는 영역을 말한다.
확인 결과, 사용자(501) 위치가 미리 지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면, 제어부(201)는 제2카메라(507)에 의해 촬영된 제2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2이미지를 크기 조절하지 않고 표시부(203)를 통해 출력한다.
이와 달리, 사용자(501) 위치가 미리 지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으면, 즉, 다른 영역 내에 존재하면, 제어부(201)는 제1이미지를 이용하여 사용자(601)의 시야 방향(609)과 시야각을 계산한다.
그리고 제어부(201)는 사용자(601)의 시야 방향과 동일한 촬영 방향(611)을 가지도록, 사용자(601)의 시야 방향으로 시야각만큼 제2카메라(607)을 회전한 후, 회전된 제2카메라(607)를 통해 캡쳐되는 제2이미지를 수신하고,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603) 상에 카메라 뷰 영역을 생성하고, 생성된 카메라 뷰 영역에 수신된 제2이미지를 출력한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601)의 시야 방향에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603) 상에 투영되는 이미지(615)와 제2카메라(607)를 통해 촬영되는 이미지(613)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카메라 뷰 영역을 표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701 단계에서, 제어부(201)는 사용자에 의해 사진 촬영이 요청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에, 사진 촬영이 요청되면, 제어부(201)는 703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701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만약에, 703 단계로 진행하면, 제어부(201)는 카메라부(205)의 제1카메라로부터 사용자 형상을 포함하는 제1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1이미지를 분석함으로써, 제1이미지 내에서의 사용자 형상의 위치를 확인한 후, 705 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제어부(201)는 안면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301) 형상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705 단계에서, 제어부(201)는 사용자 형상의 위치가 제1이미지의 미리 지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미리 지정된 영역은 제1이미지의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일정 범위를 포함하는 영역을 말한다. 확인 결과, 사용자 형상의 위치가 미리 지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면, 제어부(201)는 707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709 단계로 진행한다.
만약에, 707 단계로 진행하면, 제어부(201)는 제2카메라로부터 캡쳐된 제2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2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하지 않고 그대로 표시부(203)를 통해 출력한다.
이와 달리, 709 단계로 진행하면, 제어부(201)는 제1이미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야각을 계산한 후, 711 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시야각은 제1카메라의 촬영 방향에서부터 사용자 형상의 시야 방향까지의 이동 각도
Figure pat00002
를 말한다. 그리고 제1카메라의 촬영 방향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과 직교하는 방향을 말한다.
시야각을 계산하는 방식의 예로, 제어부(201)는 안면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제1이미지 내에 존재하는 사용자 형상의 좌측 눈의 가로 길이와 우측 눈의 가로 길이의 비율을 계산하고, 계산된 비율에 대응하는 사용자(301)의 시야 방향과 시야각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좌측 눈의 가로 길이와 우측 눈의 가로 길이의 비율이 2인 경우, 제어부(201)는 사용자의 시야 방향을 오른쪽으로, 시야각을 약 45도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좌측 눈의 가로 길이와 우측 눈의 가로 길이의 비율이 0.5인 경우, 제어부(201)는 사용자의 시야 방향을 왼쪽으로, 시야각을 약 45도로 결정할 수 있다.
시야각을 계산하는 다른 방식의 예로, 메모리부(207)는 이동 픽셀 개수 별 시야각을 나타내는 시야각 테이블을 저장하며, 제어부(201)는 제1이미지 내의 사용자 형상의 위치를 제1이미지 내의 중앙 영역으로 이동할 때의 이동 방향과 이동 픽셀 개수를 계산하며, 이동 방향을 사용자의 시야 방향이라고 결정하고, 시야각 테이블을 이용하여 이동 픽셀 개수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시야각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시야각 테이블은 실험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이미지의 전체 가로 픽셀 개수가 400이며, 이동 픽셀 개수가 100이고, 시야각 테이블에서 이동 픽셀 개수 100에 대응되는 시야각이 30도인 경우, 제어부(201)는 시야각 테이블을 참조하여 이동 픽셀 개수 100에 대응되는 시야각 30도를 검색하고, 검색된 시야각 30도를 사용자의 시야각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711 단계에서, 제어부(201)는 계산된 시야각에 따라 제2이미지의 가로 길이를 조절하고, 가로 길이가 조절된 제2이미지를 표시부(205)의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표시한 후, 713 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제어부(201)는 계산된 시야각에 따라 제2이미지의 가로 길이를 축소하고,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오른쪽과 왼쪽 면들 중에서 사용자의 시야 방향과 반대쪽 면을 기준으로 가로 길이가 축소된 제2이미지를 표시한 후, 제2이미지가 표시되지 않은 나머지 영역을 검정색으로 블라인드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713 단계에서, 제어부(201)는 가로 길이가 축소된 제2이미지 상에 시야각 조절 요청 메시지를 팝업(pop-up) 창으로 표시한다.
이러한 동작으로 인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의 시야각에 따라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이미지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효과를 가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카메라 뷰 영역을 표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801 단계에서, 제어부(201)는 사용자에 의해 사진 촬영이 요청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사용자에 의해 사진 촬영이 요청되면, 제어부(201)는 803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801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만약에, 803 단계로 진행하면, 제어부(201)는 카메라부(205)의 제1카메라로부터 사용자 형상을 포함하는 제1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1이미지를 분석함으로써, 제1이미지 내에서 사용자 형상의 위치를 확인한 후, 805 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805 단계에서, 제어부(201)는 사용자 위치가 제1이미지의 미리 지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미리 지정된 영역은 제1이미지의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일정 범위를 포함하는 영역을 말한다.
확인 결과, 사용자 위치가 미리 지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면, 제어부(201)는 807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809 단계로 진행한다.
만약에, 807 단계로 진행하면, 제어부(201)는 제2카메라(507)로부터 촬영된 제2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2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하지 않고 그대로 표시부(203)의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출력한다.
이와 달리, 809 단계로 진행하면, 제어부(201)는 제1이미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야 방향과 시야각을 계산한 후, 811 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제어부(201)는 도 7의 705 단계에서 설명한 방식들 중에서 한 방식을 이용하여 시야각을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811 단계에서, 제2카메라가 사용자의 시야 방향과 동일한 촬영 방향(611)을 가지도록, 제어부(201)는 사용자의 시야 방향으로 시야각만큼 제2카메라를 회전한 후, 회전된 제2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제2이미지를 수신하고, 표시부(205)의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카메라 뷰 영역을 생성하고, 생성된 카메라 뷰 영역에 수신된 제2이미지를 출력한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의 시야 방향에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투영되는 이미지와 제2카메라에 의해 캡쳐되는 이미지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가 사용자의 시야 방향과 시야각에 따라 카메라를 회전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이미지를 동일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휴대 단말기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01: 제어부 203: 표시부
205: 카메라부 207: 메모리부

Claims (10)

  1. 휴대 단말기에서 카메라 뷰 영역을 표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부와,
    사용자의 형상을 포함하는 제1이미지를 촬영하는 제1카메라와 회전 가능하며 제2이미지를 촬영하는 제2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사진 촬영이 요청되면, 상기 제1이미지를 수신하며, 상기 제1이미지 내에서 상기 형상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형상의 위치가 미리 지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 결과, 상기 확인된 형상의 위치가 상기 미리 지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의 형상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시야 방향과 시야각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시야 방향과 시야각을 이용하여 상기 제2카메라를 회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뷰 영역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된 제2카메라로부터 제2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상기 카메라 뷰 영역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카메라 뷰 영역에 상기 제2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뷰 영역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안면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형상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뷰 영역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산된 시야 방향으로 상기 계산된 시야각만큼 상기 제2카메라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뷰 영역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메라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카메라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후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뷰 영역 표시 장치.
  6. 휴대 단말기에서 카메라 뷰 영역을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사진 촬영이 요청되면, 상기 사용자의 형상을 포함하는 제1이미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이미지 내에서 상기 형상의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형상의 위치가 미리 지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 결과, 상기 확인된 형상의 위치가 상기 미리 지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의 형상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시야 방향과 시야각을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계산된 시야 방향과 시야각을 이용하여 제2이미지를 촬영하는 제2카메라를 회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뷰 영역 표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된 제2카메라로부터 제2이미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상기 카메라 뷰 영역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카메라 뷰 영역에 상기 제2이미지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뷰 영역 표시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의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은, 안면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형상의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뷰 영역 표시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카메라를 회전하는 과정은, 상기 계산된 시야 방향으로 상기 계산된 시야각만큼 상기 제2카메라를 회전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뷰 영역 표시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메라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카메라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후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뷰 영역 표시 방법.
KR1020120002418A 2012-01-09 2012-01-09 휴대 단말기에서 카메라 뷰 영역을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897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418A KR101897549B1 (ko) 2012-01-09 2012-01-09 휴대 단말기에서 카메라 뷰 영역을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US13/736,187 US9088720B2 (en) 2012-01-09 2013-01-08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camera view area in portable terminal
EP13150508.3A EP2613520B1 (en) 2012-01-09 2013-01-08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camera view area in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418A KR101897549B1 (ko) 2012-01-09 2012-01-09 휴대 단말기에서 카메라 뷰 영역을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439A true KR20130081439A (ko) 2013-07-17
KR101897549B1 KR101897549B1 (ko) 2018-09-12

Family

ID=47843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2418A KR101897549B1 (ko) 2012-01-09 2012-01-09 휴대 단말기에서 카메라 뷰 영역을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088720B2 (ko)
EP (1) EP2613520B1 (ko)
KR (1) KR1018975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25817B2 (en) 2013-11-22 2016-12-2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imaging direction and angle of view of camera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23912B2 (en) * 2012-02-28 2016-04-26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 and system for multi-factor biometric authentication
US9860452B2 (en) * 2015-05-13 2018-01-02 Lenovo (Singapore) Pte. Ltd. Usage of first camera to determine parameter for action associated with second camera
CN107509024B (zh) * 2017-07-25 2019-01-0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拍照处理方法及移动终端
CN113542575A (zh) * 2020-04-15 2021-10-22 荣耀终端有限公司 设备位姿调整方法和图像拍摄方法及电子设备
JP2022134435A (ja) * 2021-03-03 2022-09-15 富士通株式会社 表示制御プログラム、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1838A (ja) * 2003-10-15 2005-05-12 Olympus Corp カメラ
KR20110123139A (ko) * 2010-05-06 2011-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7308A (ko) * 2004-01-27 2005-08-02 윤재웅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카메라
US20060044399A1 (en) * 2004-09-01 2006-03-02 Eastman Kodak Company Control system for an image capture device
US7860382B2 (en) * 2006-10-02 2010-12-2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electing autofocus area in an image
TWI450178B (zh) * 2008-04-25 2014-08-21 Wistron Corp 驅動電子裝置顯示頁面捲動之方法與裝置
US9160931B2 (en) * 2011-04-08 2015-10-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odifying captured image based on user viewpoint
KR20140028558A (ko) 2012-08-29 2014-03-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1838A (ja) * 2003-10-15 2005-05-12 Olympus Corp カメラ
KR20110123139A (ko) * 2010-05-06 2011-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25817B2 (en) 2013-11-22 2016-12-2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imaging direction and angle of view of came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13520A3 (en) 2014-07-30
KR101897549B1 (ko) 2018-09-12
EP2613520B1 (en) 2019-09-18
EP2613520A2 (en) 2013-07-10
US20130176474A1 (en) 2013-07-11
US9088720B2 (en) 2015-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8863B2 (en) Self-timer preview image present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terminal
EP2991339B1 (en) Photograph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EP3195595B1 (en) Technologies for adjusting a perspective of a captured image for display
KR101897549B1 (ko) 휴대 단말기에서 카메라 뷰 영역을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JP2009031368A (ja) 画面表示制御方法、画面表示制御方式、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CN104954672B (zh) 一种移动终端的手动调焦方法及移动终端
EP2755164A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adjusting the eyes of a photographed user
WO2017032035A1 (zh) 调节方法、调节装置和终端
WO2016197639A1 (zh) 屏幕画面显示方法及装置
US2014020408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al-time distortion processing
CN109690568A (zh) 一种处理方法及移动设备
CN105721739B (zh) 屏幕影像画面防抖系统及方法
KR101148508B1 (ko) 모바일 기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이를 이용하는 모바일 기기
US20170032559A1 (en) Simulated Transparent Device
CN109271123B (zh) 一种画面显示方法及画面显示装置
EP3076386B1 (en) Image display method and user terminal
TW201310322A (zh) 電子書顯示調整系統及方法
KR20150064761A (ko)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JP2024504159A (ja) 撮影方法、装置、電子機器及び可読記憶媒体
CN107592520B (zh) Ar设备的成像装置及成像方法
WO2020000393A1 (zh) 图像处理方法及装置、第一电子设备和图像处理系统
TWI603225B (zh) 液晶顯示器顯示視角的調整方法和裝置
TW201513661A (zh) 攝影裝置及其調整系統、調整方法
US20150009123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adjusting the eyes of a photographed user
CN115004685A (zh) 电子装置和用于在电子装置处显示图像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