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1421A - 블라인드형 이중직물 커튼 - Google Patents

블라인드형 이중직물 커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1421A
KR20130081421A KR1020120002383A KR20120002383A KR20130081421A KR 20130081421 A KR20130081421 A KR 20130081421A KR 1020120002383 A KR1020120002383 A KR 1020120002383A KR 20120002383 A KR20120002383 A KR 20120002383A KR 20130081421 A KR20130081421 A KR 20130081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ssue
curtain
pocket
light shielding
sh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2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8073B1 (ko
Inventor
최용주
Original Assignee
최용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주 filed Critical 최용주
Priority to KR1020120002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8073B1/ko
Publication of KR20130081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1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8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8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4Details of interconnection or interaction of tapes and lamella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6Details of lamella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23/00Curtains; Draperies

Abstract

본 발명은 한 겹과 두 겹이 반복되는 이중직물 재질이면서 수평형 블라인드 형태로 사용되는 커튼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두 겹 부분에서는 빛이 잘 통과하는 망사조직부와 조밀하게 제직되어 빛이 통과하지 못하는 차광조직부가 이중으로 제직되어 있고, 차광조직부를 젖혀 올리거나 내림에 의해 개방과 차광이 이루어지는 형태의 커튼이며, 특히 차광조직부의 젖혀 올림 기능을 강화한 커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망사 조직부와 차광조직부가 이중으로 제직되는 커튼용 직물을 제직하되, 차광조직부의 끝단에 다시 이중으로 구성되는 포켓부를 구성하고, 이와 같이 제직된 커튼지를 이용하여 커튼으로 사용시 포켓부에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목재 등과 같이 차광조직부보다 경도가 높고 무게가 무거운 재질의 지지봉을 삽입하여 구성하며, 차광조직부에 일체화되는 작동실은 최소한의 숫자로 구성하여 작동실에 의해 차광조직부가 젖혀 올라갈 때 봉에 의해 차광조직부 전체가 균일하게 작동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블라인드형 이중직물 커튼{Blind type twofold fabric curtain}
본 발명은 한 겹과 두 겹이 반복되는 이중직물 재질이면서 수평형 블라인드 형태로 사용되는 커튼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두 겹 부분에서는 빛이 잘 통과하는 망사조직부와 조밀하게 제직되어 빛이 통과하지 못하는 차광조직부가 이중으로 제직되어 있고, 차광조직부를 젖혀 올리거나 내림에 의해 개방과 차광이 이루어지는 형태의 커튼이며, 특히 차광조직부의 젖혀 올림 기능을 강화한 커튼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커튼은 햇빛을 가리거나 빛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 먼지나 이물질, 벌레 등의 유입방지, 방서 및 방한, 소음차단, 사생활 보호 등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실내에서는 없어서는 아니 될 중요한 기능을 가지며, 실내 장식과 디자인을 개선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일반적으로 커튼은 넓은 직물을 주름진 형태로 늘어뜨리는 기본적인 형태부터 수평으로 된 다수의 차광띠를 연속으로 설치한 형태의 블라인드, 차광띠가 수직으로 늘어진 형태의 버티컬 블라인드, 평평한 커튼을 위에서 감아 올리는 롤스크린, 평평한 커튼의 중간 중간을 접으면서 위로 끌어올리는 로만쉐이드 등 많은 종류의 커튼이 있다.
그리고 근래에는 빛이 잘 통하는 망사조직부와 빛을 차단하는 차광조직부가 이중 연속으로 제직되고 차광조직부를 젖혀 올리거나 내리면서 개방 또는 차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형태의 커튼도 개시된 바 있는데, 그 한가지의 예로는 특허 제876183호이다.
이러한 상기 예시 선특허 커튼과 같은 종류는 차광조직부를 들어올려 개방을 시키더라도 완전히 개방되지 않고 망사조직부가 유지되는 상태이므로 적당한 차광상태가 되면서 미려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차광과 개방동작이 상하 연속으로 구성된 차광조직부를 젖혀 올리거나 반대로 내리는 동작만으로 완성되므로 신속하고 편리하게 작용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그러나 상기 선특허나 그와 유사한 형태의 이중직물 커튼의 경우에 중요한 문제가 있었는데, 그것은 차광조직부가 수평으로 길게 형성된 상태에서 개방을 하려면 차광조직부를 전체적으로 동시에 균일하게 들어올리는 동작이 되어야 하지만, 직물이라는 특성상 전체를 균일하게 올리거나 내리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으로는 차광조직부를 젖혀 올리기 위해 차광조직부 끝단에만 연결되는 작동실(종방실 이라고도 함)을 많은 숫자로 구성하여야 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많은 숫자의 작동실을 구성함에 의해 조직이 복잡하여지고 제직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외관상으로 단정하지 못하고 일부의 작동실이 끊어지거나 차광조직부와 분리되면 전체적으로 차광조직부가 균일하게 젖혀 올려지지 못하는 작동불량이 되어 개방시의 외관이 매우 좋지 못하게 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과 필요성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 이중직물의 구성을 간단하게 개선하여 작동실의 숫자도 최소한으로 구성하면서도 개방작동시 차광조직부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고 확실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커튼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망사 조직부와 차광조직부가 이중으로 제직되는 커튼용 직물을 제직하되, 차광조직부의 끝단에 다시 이중으로 구성되는 포켓부를 구성하고, 이와 같이 제직된 커튼지를 이용하여 커튼으로 사용시 포켓부에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목재 등과 같이 차광조직부보다 경도가 높고 무게가 무거운 재질의 지지봉을 삽입하여 구성하며, 차광조직부에 일체화되는 작동실은 최소한의 숫자로 구성하여 작동실에 의해 차광조직부가 젖혀 올라갈 때 봉에 의해 차광조직부 전체가 균일하게 작동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망사조직부와 차광조직부로 된 이중조직의 직물로 블라인드형으로 커튼을 구성하여 사용할 때 최소한의 작동실로도 차광조직부가 명확하고 균일하게 작동하게 되므로, 외관상으로 매우 단정하고 미려함을 유지하게 되며, 차광 및 개방작용도 명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이러한 작용을 위한 커튼지의 구성이 포켓부를 추가로 구성하는 방법으로 매우 간단하게 이룩할 수 있는 것이며, 작동실의 구성 숫자도 줄일 수가 잇게 되므로 커튼지에 대한 제직 구성이 복잡하지 않으면서도 뛰어난 효과를 얻게 되는 장점을 갖는 유용한 발명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커튼지 제직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커튼지 조립과정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확대단면도
도 5는 도 4의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커튼지(10)는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공지된 이중직물 커튼지와 같이 망사조직부(11)와 차광조직부(12)가 이중으로 연속되면서 망사조직부(11)와 차광조직부(12)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접합부(13)에서는 일체로 제직되었다가 다시 분리되는 조직이 반복된다.
본 발명은 차광조직부(12)가 접합부(13)로부터 분리되는 일측 부분에는 제직 후 절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성글게 조직된 절단부(14)가 구성되고 연이어 차광조직부(12)가 다시 이중으로 분리되도록 포켓부(15)를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커튼지(10)가 제직된 후에는 도 2와 같이 상기 절단부(14)를 절단하여 차광조직부(12)는 상단이 접합부에 연결된 상태이고 하단 측 끝에는 포켓부(15)가 위치하게 되는데 포켓부(15)에는 전체 길이에 길이가 긴 지지봉(16)을 삽입하여 구성한다.
차광조직부(12)를 작동하기 위한 작동실(17)이 구성되는데, 작동실(17)은 망사조직부(11)와 접합부(13)를 통과할 때는 망사조직부(11) 또는 접합부(13)와 엮이지 않고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조직 사이를 통과하는 상태이며, 포켓부(15)의 일 측에서는 포켓부(15)와 작동실(17)이 엮이면서 작동실(17)이 상하 방향으로 당겨지면 포켓부(15)도 동시에 상하로 움직이게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준비된 커튼지(10)를 도 3과 같이 블라인드 형 커튼(1)으로 구성하면 커튼지(10)의 상단부를 창문 상단의 벽면 등에 고정되는 프레임(2)에 설치하고, 프레임(2)의 측면에는 작동실(17)을 감거나 풀어주는 개폐로프(3)와 커튼지(10)를 감거나 풀기 위한 권취로프(4)가 설치된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인데, 망사조직부(11)와 차광조직부(12)의 위치가 내부 측과 외부 측에 교대로 구성되어 작동시 내외 측에서 동시에 차광조직부(12)가 작동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살펴본다.
프레임(20)의 구조 및 작동에 있어서, 개폐로프(3)를 작동하면, 작동실(17)을 감거나 풀면서 개방 또는 차광작용을 하게 되며, 권취로프(4)는 커튼지(10) 전체를 감아 올리거나 풀어 내리는 작용을 하는 등 일반적인 블라인드형의 프레임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커튼지(10)가 펼쳐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커튼레일(20)의 일측에 있는 개폐로프(3)를 작동시키면, 개폐로프(3)는 작동실(17)을 당겨주면서 작동실(17)의 중간 중간에 연결된 포켓부(15)를 당겨 올리게 되면서 도 5와 같은 상태로 개방이 이루어진다.
작동실(17)은 포켓부(15)를 제외한 망사조직부(11)와 접합부(13) 등에서는 엮이지 않고 통과만 하는 상태이므로 작동실(17)이 당겨지면 포켓부(15)를 당겨 올리면서 차광조직부(12)가 접혀지게 되면서 개방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태가 창문이 완전 개방이 이루어지는 상태로서 내부에서는 창밖을 볼 수 있고 외부의 빛이 실내로 유입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망사조직부(10)는 차단상태를 유지하므로 벌레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개폐로프(3)를 반대로 작동하면 작동실(17)이 아래로 들어지면서 차광조직부(12)가 펼쳐지고, 망사조직부(11)를 가리는 형태로 차광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차광 및 개방 작동 과정에서 작동실(17)이 포켓부(15)를 당기게 되면 포켓부(15) 내부에 삽입된 지지봉(16)에 의해 포켓부(15) 전체가 동일하게 움직이면서 개방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완전 개방 혹은 일부 개방시에도 개방 상태가 매우 균일하면서 단정하고 미려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포켓부(15)와 지지봉(16)의 작용에 의해 작동실(17)은 최소한의 숫자로 구성하여도 작동 가능하게 되는데, 도면의 예시와 같이 양쪽 끝에 각 한 개씩의 작동실(17) 만으로도 포켓부(15) 전체가 균일하게 젖혀 올라가거나 펼쳐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작동실(17)을 하강시켜 차광조직부(12)를 펼치는 경우에도 지지봉(16)의 무게가 전체 포켓부(15)에 균일하게 작용하므로 차광조직부(12)가 안정적으로 균일하게 펼쳐지면서 차광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6의 실시 예에 의하면, 망사조직부(11)와 차광조직부가(12)가 위치를 바꿔가며 내외 측에 교대로 형성된 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 경우에도 작동실(17)은 망사조직부(11)를 통과하면서 포켓부(15)의 일측에 엮이면서 일체화된 구성과 작동실(17)의 상승에 의해 포켓부(15)가 당겨 올라가면서 개방이 이루어지는 작용이 동일하며, 단지 차광조직부(12)가 양측에 교대로 형성되므로 양측에서 동시에 접혀 올라가는 차이가 있을 뿐이며 기타 작용과 효과는 모두 동일한 것이다.
10: 커튼지
11: 망사조직부
12: 차광조직부
13: 접합부
14: 절단부
15: 포켓부
16: 지지봉
17: 작동실

Claims (2)

  1. 망사조직부(11)와 차광조직부(12)가 이중으로 연속되면서 망사조직부(11)와 차광조직부(12)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접합부(13)에서는 일체로 제직되었다가 다시 분리되는 조직이 반복되며, 차광조직부(12)를 작동하기 위한 작동실(17)이 구성되는 이중직물 커튼지(10)에 있어서,
    차광조직부(12)가 접합부(13)로부터 분리되는 일측 부분에는 제직 후 절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성글게 조직된 절단부(14)가 구성되고,
    상기 절단부에 연이어 차광조직부(12)가 다시 이중으로 분리되는 포켓부(15)를 구성하며,
    절단부를 절단한 다음 포켓부(15)에는 전체 길이에 지지봉(16)을 삽입하고,
    커튼지(10)의 상단부를 창문 상단의 벽면 등에 고정되는 프레임(2)에 설치하고, 프레임(2)의 측면에는 작동실(17)을 감거나 풀어주는 개폐로프(3)와 커튼지(10)를 감거나 풀기 위한 권취로프(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형 이중직물 커튼.
  2. 제1항에 있어서,
    작동실(17)은 망사조직부(11)와 접합부(13)를 통과할 때는 망사조직부(11) 또는 접합부(13)와 엮이지 않고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조직 사이를 통과하는 상태이며,
    포켓부(15)의 일 측에서는 포켓부(15)와 작동실(17)이 엮이면서 작동실(17)이 상하 방향으로 당겨지면 포켓부(15)도 동시에 상하로 움직이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형 이중직물 커튼.
KR1020120002383A 2012-01-09 2012-01-09 블라인드형 이중직물 커튼 KR101318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383A KR101318073B1 (ko) 2012-01-09 2012-01-09 블라인드형 이중직물 커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383A KR101318073B1 (ko) 2012-01-09 2012-01-09 블라인드형 이중직물 커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421A true KR20130081421A (ko) 2013-07-17
KR101318073B1 KR101318073B1 (ko) 2013-10-14

Family

ID=48993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2383A KR101318073B1 (ko) 2012-01-09 2012-01-09 블라인드형 이중직물 커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80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8214B1 (ko) * 2014-01-14 2016-01-25 (주)지에이치에스 다용도 선반 커버를 구비한 조립식 행거
CN104433733B (zh) * 2014-11-26 2017-10-13 江苏远华轻化装备有限公司 一种用于制作窗帘的纺织布料
KR102555945B1 (ko) * 2020-07-24 2023-07-14 (주)보라니 조망부를 갖춘 로만쉐이드 커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3528A (ko) * 2008-01-30 2009-08-04 박진오 블라인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8073B1 (ko) 2013-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23856C (en) Cellular shade having at least two cellular columns
KR102010218B1 (ko) 구획식 가리개 조립체 및 그 구성 방법
JP2004332523A (ja) ローマ式シェード
US7984743B2 (en) Shade construction
KR20090118008A (ko) 제직물로 만들어진 블라인드지 및 그 블라인드지의 제조 방법 및 그 블라인드지를 적용한 블라인드
US20050155721A1 (en) Window covering having operable segments
KR101318073B1 (ko) 블라인드형 이중직물 커튼
EP1744005A1 (en) Window covering having folding shade elements
CA2470330C (en) Fabric blind slat for window blind
KR101390723B1 (ko) 로만쉐이드 타입 블라인드지 및 이를 이용한 블라인드
KR101049690B1 (ko) 소형문이 달린 커튼
KR101128056B1 (ko) 블라인드
KR101052194B1 (ko) 연결 띠를 갖는 입체커튼지
KR101012866B1 (ko) 종방실로 개폐작동되는 입체커튼지 및 그 롤브라인드
KR101452115B1 (ko) 블라인드형 이중직물 커튼
KR101527414B1 (ko) 횡 방향 각도조절형 블라인드지 및 이를 이용한 블라인드
KR20110004340A (ko) 횡 방향부분 개폐가 가능한 블라인드
US10791863B2 (en) Cordless covering for sliding glass doors and large windows
KR100988589B1 (ko) 종방실로 개폐작동되는 입체커튼지 및 그 롤브라인드
KR20150025474A (ko) 횡 방향 각도조절형 블라인드지
KR101221573B1 (ko) 망사 블라인드
KR20130132570A (ko) 구획식 가리개 조립체 및 그 구성 방법
KR101023902B1 (ko) 이중차광부를 가지는 블라인드지
KR20070053956A (ko) 커튼지
KR20130003654U (ko) 버티컬 타입 이중직물 커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