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0945A - 휴대단말기의 정보표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정보표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0945A
KR20130080945A KR1020120001847A KR20120001847A KR20130080945A KR 20130080945 A KR20130080945 A KR 20130080945A KR 1020120001847 A KR1020120001847 A KR 1020120001847A KR 20120001847 A KR20120001847 A KR 20120001847A KR 20130080945 A KR20130080945 A KR 20130080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ive box
application
displaying
l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1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영
박상현
양희철
진형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1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0945A/ko
Publication of KR20130080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09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8Execution paradigms, e.g. implementations of programming paradig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정보표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간편하게 표시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정보표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휴대단말기의 정보표시 장치가,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 정보를 표시하는 라이브 박스 및 상기 라이브 박스가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상세정보 및/또는 관련기능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 정보를 표시하는 라이브 박스에 발생되는 제스처를 통해 상기 라이브 박스 근처에 상기 라이브 박스가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상세정보 및/또는 관련기능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정보표시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IN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정보표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간편하게 표시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정보표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전자 공학 및 통신 공학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휴대 단말기도 다양한 기능을 갖게 되었다. 즉, 무선 통신 및 데이터 처리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은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인터넷 접속, 화상 통신 및 동영상 메시지 전송 등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휴대단말기의 급격한 보급으로 인해 인간관계에서 발생하는 상당한 양의 통신이 휴대단말기를 통해 이루어지는 등 휴대단말기는 현대 생활에서 필수적인 통신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휴대단말기의 발전과 함께 휴대단말기를 통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나 휴대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애플리케이션은 더욱 증가하고 다양하게 되었다.
현재 휴대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 되면, 상기 다운로드 된 어플리케이션은 메뉴화면에 다운로드 받은 순서대로 저장 및 표시되고 있다.
그리고, 휴대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메뉴화면에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들 중 자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휴대단말기의 복수의 홈 스크린(Home screen) 중 해당 홈 스크린으로 이동하여 표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선택을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간편하게 표시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정보표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의 정보표시 장치가,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 정보를 표시하는 라이브 박스 및 상기 라이브 박스가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상세정보 및/또는 관련기능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 정보를 표시하는 라이브 박스에 발생되는 제스처를 통해 상기 라이브 박스 근처에 상기 라이브 박스가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상세정보 및/또는 관련기능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의 정보표시 방법은, 홈 스크린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 정보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라이브 박스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라이브 박스 중 해당 라이브 박스에 제스처가 발생되면, 상기 제스처가 발생된 상기 라이브 박스 근처에 상기 라이브 박스가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상세정보 및/또는 관련기능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정보표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업데이트 정보를 빠르게 간편하게 표시하고, 어플리케이션 관련기능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 - 도 6은 도 2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홈 스크린에 표시되는 라이브 박스는 어플리케이션이 가지는 컨텐츠의 주요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라이브 박스의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 정보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의 속성에 따라 정보(information)(캘린더의 날짜 이벤트, 클럭의 시간 및 알람정보 및 메모의 기록), 이벤트(events) 및 통지(notification)(휴대단말기에 부재중 통화 및 새로운 메시지/이메일), 라이브 업데이트(live update)(SNS feed, RSS feed, 뉴스, 주식 및 날씨)로 나눌 시 있으며, 따라서 라이브 업데이트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시 간 업데이트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RF부(123)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부(123)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데이터처리부(120)는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 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125)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키 입력부(1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들을 구비한다.
메모리(1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홈 스크린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 정보를 표시하는 라이브 박스에 발생된 제스처를 통해, 상기 라이브박스의 근처에 상기 라이브 박스가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상세정보 및/또는 관련기능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 정보를 표시하는 라이브 박스에 발생되는 제스처를 통해, 상기 라이브 박스 근처에 상기 라이브 박스가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상세정보 및/또는 관련기능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스처는 일정방향으로 발생되는 드래그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이브 박스가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상세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시간 최신업데이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홈 스크린에서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 정보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라이브 박스 중 해당 라이브 박스에 제스처가 발생될 때, 상기 제스처가 발생된 라이브 박스 근처에, 정보 창을 표시하고, 상기 정보 창을 통해 상기 라이브 박스가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상세정보 및/또는 관련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드래그가 발생된 라이브 박스 및 상기 정보 창만을 활성화 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홈 스크린에서 제스처가 발생된 라이브 박스가 표시부(160) 화면의 상측 또는 중간에 위치되어 있을 때 상기 정보 창을 상기 라이브 박스의 하측에 표시하고, 상기 제스처가 발생된 라이브 박스가 표시부(160) 화면의 하측에 위치되어 있을 때 상기 정보 창을 상기 라이브 박스의 상측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정보 창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상기 라이브 박스가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상세정보를 표시하는 컨텐츠 영역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관련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표시하는 버튼영역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라이브 박스가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상세정보를 표시하는 컨텐츠 영역만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관련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표시하는 버튼영역만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정보 창의 높이에 대해 최대값 및 최소값을 설정하고, 너비에 대해 고정값을 설정하여, 높이를 조절하면서 상기 컨텐츠 영역 및/또는 버튼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정보 창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정보 창에서 컨텐츠 영역이 선택될 때 상기 라이브 박스가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하고, 상기 정보 창의 버튼영역에서 해당 버튼이 선택될 때 상기 선택된 버튼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카메라부(140)는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 또는 CMOS센서라 가정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부(160)에 표시하기 위한 ISP(Image Signal Processing)를 수행하며, 상기 ISP는 감마교정, 인터폴레이션, 공간적 변화, 이미지 효과, 이미지 스케일, AWB, AE,AF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상기 표시부(16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영상코덱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코덱은 JPEG 코덱, MPEG4 코덱, 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한다고 가정하며,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여 표시되는 화면크기에 따라 온 스크린 표시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60)는 상기 영상처리부(15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60)는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160)은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표시부(160)에는 상기 키 입력부(127)와 같은 키들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6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홈 스크린을 표시하고, 각 홈 스크린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 정보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라이브 박스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16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홈 스크린에서 해당 라이브 박스에 발생되는 제스처에 따라, 상기 제스처가 발생된 라이브 박스 및 상기 라이브 박스 근처에 상기 라이브 박스가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상세정보 및/또는 관련기능을 표시한다.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도 2 - 도 6을 통해 상세히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3 - 도 6은 도 2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상세정보 및/또는 관련기능을 표시하는 정보 창이 상측에서 하측방향의 드래그를 발생을 통해 표시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상기 정보 창을 표시하기 위한 제스처는 상측에서 하측방향의 드래그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대기모드인 201단계에서 해당 홈 스크린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라이브 박스 중 해당 라이브 박스에 대해 상측에서 하측방향의 드래그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드래그가 발생된 상기 라이브 박스 근처에 상기 라이브 박스가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상세정보 및/또는 관련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정보 창을 표시하는 203단계를 진행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드래그가 발생된 라이브 박스 및 상기 정보 창만을 활성화 시킨다.
상기 20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라이브 박스 근처에 상기 정보 창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표시부(160) 화면에서의 상기 라이브 박스의 위치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드래그가 발생된 라이브 박스가 사익 표시부(160) 화면의 상측 또는 중간에 위치되어 있을 때 상기 정보 창을 상기 라이브 박스의 하측에 표시하고, 상기 드래그가 발생된 라이브 박스가 상기 표시부(160) 화면의 하측에 위치되어 있을 때 상기 정보 창을 상기 라이브 박스의 상측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203단계에서 상기 정보 창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상기 라이브 박스가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상세정보를 표시하는 컨텐츠 영역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관련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표시하는 버튼영역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라이브 박스가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상세정보를 표시하는 컨텐츠 영역만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관련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표시하는 버튼영역만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라이브 박스 근처에 표시되는 상기 정보 창에서, 상기 컨텐츠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라이브 박스가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하는 205단계를 진행한다.
또는 상기 라이브 박스 근처에 표시되는 상기 정보 창에서, 상기 버튼 영역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버튼 중 해당버튼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6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선택된 버튼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207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도 2에서 드래그 된 라이브 박스 및 정보 창의 표시과정을 상기 도 3 - 상기 도 5를 통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도 3의 (a)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 정보를 표시하는 복수의 라이브 박스가 표시되는 홈 스크린에서, 상기 표시부 화면의 상측에 위치된 라이브 박스(300)에 대해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드래그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도 3의 (b)와 같이 상기 라이브 박스(300)의 하측에 상기 정보 창(310)을 표시하고, 상기 라이브 박스(300) 및 상기 정보 창(310)만을 활성화 시킨다. 상기 도 3의 (b)와 같이, 상기 정보 창(310)은 상기 라이브 박스가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상세정보를 표시하는 컨텐츠 영역(310a)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관련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버튼들을 표시하는 버튼영역(310b)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도 3의 (b)에서, 상기 정보 창(310)의 컨텐츠 영역(310a)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라이브 박스(300)가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하고, 상기 정보 창(310)의 버튼 영역(310b)에서 해당버튼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선택된 버튼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또는 상기 도 3의 (b)에서, 상기 라이브 박스(300)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라이브 박스가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하고, 상기 표시부(160) 화면에서 비활성된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도 3의 (a)와 같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라이브 박스가 표시되는 홈 스크린으로 전환한다.
그리고 상기 도 4의 (a)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 정보를 표시하는 복수의 라이브 박스가 표시되는 홈 스크린에서, 상기 표시부 화면의 중간에 위치된 라이브 박스(400)에 대해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드래그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도 4의 (b)와 같이 상기 라이브 박스(400)의 하측에 상기 정보 창(410)을 표시하고, 상기 라이브 박스(400) 및 상기 정보 창(410)만을 활성화 시킨다. 상기 도 4의 (b)와 같이, 상기 정보 창(410)은 상기 라이브 박스가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상세정보를 표시하는 컨텐츠 영역(410a)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관련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버튼들을 표시하는 버튼영역(410b)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도 4의 (b)에서, 상기 정보 창(410)의 컨텐츠 영역(410a)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라이브 박스(400)가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하고, 상기 정보 창(410)의 버튼 영역(410b)에서 해당버튼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선택된 버튼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또는 상기 도 4의 (b)에서, 상기 라이브 박스(400)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라이브 박스가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하고, 상기 표시부(160) 화면에서 비활성된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도 4의 (a)와 같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라이브 박스가 표시되는 홈 스크린으로 전환한다.
또한 상기 도 5의 (a)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 정보를 표시하는 복수의 라이브 박스가 표시되는 홈 스크린에서, 상기 표시부 화면의 하측에 위치된 라이브 박스(500)에 대해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드래그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도 5의 (b)와 같이 상기 라이브 박스(300)의 상측에 상기 정보 창(510)을 표시하고, 상기 라이브 박스(500) 및 상기 정보 창(510)만을 활성화 시킨다. 상기 도 5의 (b)와 같이, 상기 정보 창(510)은 상기 라이브 박스가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상세정보를 표시하는 컨텐츠 영역(510a)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관련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버튼들을 표시하는 버튼영역(510b)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도 5의 (b)에서, 상기 정보 창(510)의 컨텐츠 영역(510a)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라이브 박스(500)가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하고, 상기 정보 창(510)의 버튼 영역(510b)에서 해당버튼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선택된 버튼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또는 상기 도 5의 (b)에서, 상기 라이브 박스(500)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라이브 박스가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하고, 상기 표시부(160) 화면에서 비활성된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도 5의 (a)와 같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라이브 박스가 표시되는 홈 스크린으로 전환한다.
상기 도 2에서 컨텐츠 영역 및/또는 버튼영역을 포함하는 정보 창의 표시과정을 상기 도 6을 통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도 6의 (a)는 최근통화기록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라이브 박스(610) 및 상기 최근통화기록 어플리케이션의 상세정보 즉, 통화기록 정보를 표시하는 컨텐츠영역 만을 포함하는 정보 창(611)을 표시하고 있다. 이때 상기 컨텐츠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최근통화기록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한다.
상기 도 6의(b)는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라이브 박스(620) 및 상기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의 관련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두 개의 버튼(View, Camera)을표시하는 버튼영역 만을 포함하는 정보 창(621)을 표시하고 있다. 이때 상기 버튼영역에서 "View"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영상들을 표시하고, 상기 버튼영역에서 "Camera"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촬영모드로 전환한다.
상기 도 6의 (c)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라이브 박스(630) 및 상기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상세정보 즉, 최근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을 표시하는 컨텐츠 영역(631a) 및 상기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관련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세 개의 버튼(Replay, Voice call, Video call)을 표시하는 버튼영역(631b)을 포함하는 정보 창(631)을 표시하고 있다. 상기 컨텐츠 영역(631a)에서는 가장 최근 수신된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 수신날짜 및 시간, 메시지 제목 또는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텐츠 영역(631a)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메시지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하여 메시지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는 상기 버튼영역(631b)에서"Reply"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메시지의 발신자에서 답장을 작성할 수 있는 메시지 작성모드로 전환한다. 또는 상기 버튼영역(631b)에서"Voice call"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메시지의 발신자에게 음성통화를 시도하고, 상기 버튼영역(631b)에서"Video call"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메시지의 발신자에게 화상통화를 시도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도 6의 (b)는 음악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라이브 박스(620) 및 상기 음악어플리케이션에서 최근 재생 또는 최근 다운로드 된 음악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컨텐츠 영역(641a) 및 상기 컨텐츠 영역(641a)에 표시된 음악을 제어할 수 있는 세 개의 버튼(되감기, 재생 및 빨리감기)과 음악어플리케이션에 저장된 음악리스트를 볼 수 있는 버튼("Go to Music)을 표시하는 버튼영역(641b)을 포함하는 정보 창(641)을 표시하고 있다. 상기 컨텐츠 영역(631a)에서는 가장 최근 재생 또는 다운로드된 앨범제목, 가수 및 노래제목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텐츠 영역(641a)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음악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버튼영역(641b)에서 상기 음악을 제어할 수 있는 세 개의 버튼(되감기, 재생 및 빨리감기) 중 어느 하나의 버튼이 선택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영역(641a)에 표시되는 음악에 대한 되감기, 재생/정지 및 빨리감기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면서 상기 음악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버튼영역(641b)에서 음악리스트를 볼 수 있는 버튼("Go to Music)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음악 어플리케이션모드로 전환하여 음악리스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휴대 단말기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제어부, 130:메모리, 160:표시부

Claims (16)

  1. 휴대단말기의 정보표시 장치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 정보를 표시하는 라이브 박스 및 상기 라이브 박스가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상세정보 및/또는 관련기능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 정보를 표시하는 라이브 박스에 발생되는 제스처를 통해 상기 라이브 박스 근처에 상기 라이브 박스가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상세정보 및/또는 관련기능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정보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는 일정방향으로 발생되는 드래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정보표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브 박스가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상세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최신업데이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정보표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홈 스크린에서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 정보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라이브 박스 중 해당 라이브 박스에 상기 제스처가 발생될 때, 상기 제스처가 발생된 라이브 박스 근처에, 상기 라이브 박스가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상세정보 및/또는 관련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정보 창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정보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스처가 발생된 라이브 박스가 표시부 화면의 상측 또는 중간에 위치되어 있을 때 상기 정보 창을 상기 라이브 박스의 하측에 표시하고, 상기 제스처가 발생된 라이브 박스가 표시부 화면의 하측에 위치되어 있을 때 상기 정보 창을 상기 라이브 박스의 상측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정보표시 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 창은 상기 라이브 박스가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상기 라이브 박스가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상세정보를 표시하는 컨텐츠 영역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관련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표시하는 버튼영역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라이브 박스가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상세정보를 표시하는 컨텐츠 영역만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관련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표시하는 버튼영역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정보표시 장치.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 창에서 컨텐츠 영역이 선택될 때 상기 라이브 박스가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하고, 상기 정보 창의 버튼영역에서 해당 버튼이 선택될 때 상기 선택된 버튼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정보표시 장치.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스처가 발생된 라이브 박스 및 상기 정보 창만을 활성화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정보표시 장치.
  9. 휴대단말기의 정보표시 방법에 있어서,
    홈 스크린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 정보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라이브 박스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라이브 박스 중 해당 라이브 박스에 제스처가 발생되면, 상기 제스처가 발생된 상기 라이브 박스 근처에 상기 라이브 박스가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상세정보 및/또는 관련기능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정보표시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는 일정방향으로 발생되는 드래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정보표시 방법.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브 박스가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상세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최신업데이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정보표시 방법.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라이브 박스 중 해당 라이브 박스에 제스처가 발생되면, 상기 제스처가 발생된 라이브 박스 근처에, 상기 라이브 박스가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상세정보 및/또는 관련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정보 창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정보표시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창을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제스처가 발생된 라이브 박스의 위치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제스처가 발생된 라이브 박스가 표시부 화면의 상측 또는 중간에 위치되어 있으면, 상기 정보 창을 상기 라이브 박스의 하측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제스처가 발생된 라이브 박스가 표시부 화면의 하측에 위치되어 있으면, 상기 정보 창을 상기 라이브 박스의 상측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정보표시 방법.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창은 상기 라이브 박스가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상기 라이브 박스가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상세정보를 표시하는 컨텐츠 영역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관련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표시하는 버튼영역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라이브 박스가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상세정보를 표시하는 컨텐츠 영역만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관련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표시하는 버튼영역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정보표시 방법.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창에서 컨텐츠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라이브 박스가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정보 창의 버튼영역에서 해당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버튼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정보표시 방법.
  16.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가 발생된 라이브 박스 및 상기 정보 창만을 활성화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정보표시 방법.
KR1020120001847A 2012-01-06 2012-01-06 휴대단말기의 정보표시 장치 및 방법 KR201300809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847A KR20130080945A (ko) 2012-01-06 2012-01-06 휴대단말기의 정보표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847A KR20130080945A (ko) 2012-01-06 2012-01-06 휴대단말기의 정보표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0945A true KR20130080945A (ko) 2013-07-16

Family

ID=48992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1847A KR20130080945A (ko) 2012-01-06 2012-01-06 휴대단말기의 정보표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09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7914A (ko) * 2013-10-25 2015-05-0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런처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7914A (ko) * 2013-10-25 2015-05-0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런처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05398A1 (en) Terminal and method for setting menu environments in the terminal
KR101722522B1 (ko) 디스플레이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39443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unning application in mobile terminal
KR101718999B1 (ko)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제어장치 및 방법
JP2017513418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EP3264774B1 (en) Live broadcasting method and device for live broadcasting
KR20140125672A (ko) 단말기의 미확인 메시지 표시장치 및 방법
CN107229411B (zh) 控制分屏状态的方法及装置
CN105187725A (zh) 拍摄方法及装置
KR20150144547A (ko)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7147936B (zh) 弹幕的显示控制方法及装置
CN106453032B (zh) 信息推送方法及装置、系统
US9921796B2 (en) Sharing of input information superimposed on images
CN104267881A (zh) 工具栏的操作方法及装置
CN112463084A (zh) 分屏显示方法、装置、终端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30071908A (ko) 휴대단말기의 화면편집 장치 및 방법
CN106375846B (zh) 直播音频的处理方法及装置
CN105657690A (zh) 移动终端设置信息的处理方法和装置
WO2020186929A1 (zh) 直播中的交互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130040350A (ko) 휴대단말기의 화면밝기 제어장치 및 방법
CN108965976B (zh) 视频窗口的显示控制方法及装置
KR20130080945A (ko) 휴대단말기의 정보표시 장치 및 방법
CN111343510B (zh) 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0849293B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에서 키 입력 장치 및 방법
CN110798721B (zh) 一种剧集管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