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9250A - 원자로 냉각재 펌프 - Google Patents

원자로 냉각재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9250A
KR20130079250A KR1020120153546A KR20120153546A KR20130079250A KR 20130079250 A KR20130079250 A KR 20130079250A KR 1020120153546 A KR1020120153546 A KR 1020120153546A KR 20120153546 A KR20120153546 A KR 20120153546A KR 20130079250 A KR20130079250 A KR 20130079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shaft
coolant
axial direction
along
pump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3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2547B1 (ko
Inventor
박화규
방상윤
추성민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79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9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2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2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2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628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8Sealings
    • F04D29/086Sealing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18Rotors
    • F04D29/22Rotors specially for centrifugal pumps
    • F04D29/2205Conventional flow pattern
    • F04D29/2222Construction and assemb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5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5/00Cooling arrangements within the pressure vessel containing the core; Selection of specific coolants
    • G21C15/24Promoting flow of the coolant
    • G21C15/243Promoting flow of the coolant for liqu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자로 냉각재 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냉각재를 흡입 및 토출하는 펌핑부; 및 상기 펌핑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펌핑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펌핑부는, 축방향을 따라 하향 개구된 흡입부, 축방향에 가로로 개구된 토출부, 및 축방향을 따라 상향 개구된 삽입부를 구비한 펌프케이싱; 및 축방향을 따라 상기 삽입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하부축조립체;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내부 구성 부품의 분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자로 냉각재 펌프{REACTOR COOLANT PUMP}
본 발명은, 원자로 냉각재 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 구성 부품의 분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원자로 냉각재 펌프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원자로 냉각재 펌프는, 원자력 발전소의 1차 계통의 증기발생기 및 원자로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원자로 냉각재 펌프는 상기 증기발생기에서 열교환된 냉각수 또는 냉각재(이하, '냉각재'라고 표기함)를 흡입하여 원자로로 토출하는 핵증기공급계통(NSSS: Nuclear Steam Supply System)의 핵심기기이다.
이러한 원자로 냉각재 펌프는 상하로 배치된 회전축을 구비하여 하부에서 냉각재를 흡입하여 일 측방으로 토출하는 소위 수직형 펌프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원자로 냉각재 펌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자로 냉각재 펌프는, 냉각재를 흡입 및 토출하는 펌핑부(10)와, 상기 펌핑부(1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펌핑부(10) 및 구동부(20)는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0)는 상기 펌핑부(10)의 상단에 상향 연장되게 설치되어 상기 펌핑부(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0)는 통상 전동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동기는 회전축이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펌핑부(10)는, 내부에 냉각재의 이동경로가 형성되는 케이싱(30)과, 상기 케이싱(3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임펠러(50)와, 일 단은 상기 임펠러(50)에 연결되고 타 단은 상향 연장되는 회전축(6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30)의 하부에는 냉각재를 흡입할 수 있게 흡입부(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30)의 일 측부에는 상기 흡입부(31)를 통해 흡입된 냉각재가 토출되는 토출부(32)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30)의 내부 상부영역에는 임펠러(5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50)는 상하로 배치된 회전축(6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50)의 일 측에는 상기 냉각재의 속도 에너지를 압력에너지로 변환해주는 디퓨저 또는 가이드베인(55)(이하, '가이드베인(55)'이라고 표기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30)은 상기 가이드베인(55)을 통과한 냉각재의 속도 및 압력의 저하가 억제될 수 있게 구형(球形))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30)의 상측에는 커버(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40)의 상부에는 냉각재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게 밀봉유닛(4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밀봉유닛(45)은, 예를 들면, 상기 회전축(60)의 둘레에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3단 밀봉체(3 stage mechanical seals)(46)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밀봉유닛(45)은 상기 3단 밀봉체(46)를 둘러싸는 씰하우징(47)을 구비할 수 있다.
축방향을 따라 상기 밀봉유닛(45)의 상측에는 상기 회전축(60)을 축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소위 축추력 베어링 조립체(thrust bearing assembly)(4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축추력 베어링 조립체(48)의 상측에는 상기 구동부(20)를 지지하는 지지부(49)가 마련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원자로 냉각재 펌프에 있어서는, 케이싱(30)의 내부에 구비된 임펠러(50) 및 가이드베인(55)을 케이싱(30)의 내부에서 분리하도록 되어 있어, 냉각재와 접촉되는 상기 케이싱(30)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임펠러(50) 및 가이드베인(55) 등의 분리시 작업자의 방사능 피폭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내부 구성 부품의 분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원자로 냉각재 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 구성 부품을 신속하게 분리하고 제염처리구역에서 제염처리를 할 수 있어 방사능 피폭을 억제할 수 있는 원자로 냉각재 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냉각재를 흡입 및 토출하는 펌핑부; 및 상기 펌핑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펌핑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펌핑부는, 축방향을 따라 하향 개구된 흡입부, 축방향에 가로로 개구된 토출부, 및 축방향을 따라 상향 개구된 삽입부를 구비한 펌프케이싱; 및 축방향을 따라 상기 삽입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하부축조립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냉각재 펌프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축조립체는, 축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하부축 및 상기 하부축의 하단에 결합되는 임펠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축조립체는 상기 냉각재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임펠러의 하류측에 구비되는 가이드베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축조립체는 상기 하부축의 둘레에 배치되는 인슐레이션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축조립체는 내부에 상기 인슐레이션부재를 수용지지하는 서포팅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축조립체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서포팅튜브와 대면 접촉되는 씰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축조립체는 상기 냉각재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임펠러의 상류측에 구비되는 시라우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라우드는 상기 흡입부의 내벽과 접촉되어 냉각재를 차단하는 실링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는 미리 설정된 직경을 가지는 실린더형상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원자로 냉각재 펌프는, 상기 펌프케이싱의 삽입부를 차단하게 배치되는 커버, 상기 펌프케이싱과 상기 커버를 상호 일체로 결합시키는 메인조인트볼트 및 너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펌프케이싱의 삽입부를 통해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는 하부축조립체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냉각재와 접촉되어 방사능 피폭의 위험이 있는 내부 구성 부품을 펌프케이싱의 외부에서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어 작업자의 피폭 위험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또한, 냉각재와 접촉된 하부축조립체와 같은 내부 구성 부품은 방사능 제염 처리가 가능한 장소(특수 지역)에서 제염처리를 할 수 있어 작업자의 방사능 피폭 위험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원자로 냉각재 펌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 냉각재 펌프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확대도,
도 4는 도 3의 커버를 분리한 도면,
도 5는 도 2의 펌프케이싱의 확대도,
도 6은 도 2의 하부축조립체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2의 하부축조립체의 분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 냉각재 펌프는, 냉각재를 흡입 및 토출하는 펌핑부(110); 및 상기 펌핑부(110)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펌핑부(11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펌핑부(110)는, 축방향을 따라 하향 개구된 흡입부(131), 축방향에 가로로 개구된 토출부(133), 및 축방향을 따라 상향 개구된 삽입부(135)를 구비한 펌프케이싱(130); 및 축방향을 따라 상기 삽입부(135)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하부축조립체(171);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펌핑부(110)는, 예를 들면, 내부에 냉각재의 유로가 형성되는 펌프케이싱(130)과, 상기 펌프케이싱(13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임펠러(150)와, 일 측은 상기 임펠러(150)에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구동부(120)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120)에서 제공된 구동력으로 상기 임펠러(150)를 회전시키는 회전축(16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20)는 상기 펌핑부(110)의 상측에 상기 펌핑부(110)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20)는 전동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160)은, 예를 들면, 상기 임펠러(150)측에 배치되는 하부축(175)과, 상기 구동부(120)측에 배치되는 상부축(185)과, 상기 하부축(175)과 상부축(185) 사이에 개재되는 리무버블샤프트(removable shaft)(19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축(175)은 임펠러(150) 및 가이드베인(210) 등이 일체로 결합되어 하부축조립체(171)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축(185)은 축추력 베어링 조립체(TBA:Thrust Bearing Assembly) 등과 결합되어 상부축조립체(18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리무버블샤프트(190)를 상기 상부축(185) 및 하부축(175)으로부터 분리하면 상기 하부축조립체(171)의 상측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상기 펌프케이싱(130)으로부터 상기 하부축조립체(171)를, 도 7과 같이, 분리할 수 있다.
상기 펌프케이싱(130)은, 예를 들면, 하측에서 냉각재를 흡입하여 일 측방으로 토출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펌프케이싱(1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 개구된 흡입부(13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131)는 증기발생기(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펌프케이싱(130)의 일 측부에는 상기 흡입부(131)를 통해 흡입된 냉각재를 토출할 수 있게 토출부(13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토출부(133)는 원자로(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증기발생기를 경유한 냉각재를 흡입하여 상기 원자로 측으로 토출되게 하여 상기 냉각재를 순환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펌프케이싱(130)의 상부영역에는 상기 하부축조립체(171)가 축방향을 따라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13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135)는, 예를 들면, 미리 설정된 직경 및 깊이를 구비한 실린더형(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펌프케이싱(130)은 실린더형의 삽입부(135)를 구비한다는 점에서 종래 구형 펌프 케이싱(130)과 구별하여 실린더형 펌프 케이싱으로 칭해질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삽입부(135)는 중심이 상기 흡입부(131)의 중심과 일치하게 상호 동심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135)는, 예를 들면, 상기 펌프케이싱(130)의 상단으로부터 후술할 가이드베인(210)의 하단이 위치하는 영역까지 동일한 직경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펌프케이싱(130)의 하부에는 상기 펌프케이싱(130)을 지지하는 스커트부(14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커트부에는 상기 펌프케이싱(130)을 설치면(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되어 지지할 수 있게 복수의 레그(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축조립체(17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하부축(175)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부축(175)의 하단에는 상기 임펠러(150)가 일체로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150)는, 바디(151)와, 상기 바디(151)의 둘레에 구비되는 복수의 회전날개(15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부축조립체(171)는, 냉각재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임펠러(150)의 하류측(도면상 상측)에 배치되는 가이드베인(210)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임펠러(150)에 의해 높은 속도에너지를 가지고 회전 운동하는 냉각재는 가이드베인(210)을 지나면서 높은 에너지를 가지는 직선운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베인(210)은, 원통형상을 가지는 외통부(212)와, 상기 외통부(212)의 내측에 구비되는 내통부(214)와, 상기 외통부(212) 및 내통부(214)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의 베인(215)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베인(210)은 상기 외통부(212)가 상기 펌프케이싱(130)의 흡입부(131)의 내면에 접촉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베인(210)의 최대 외경은 상기 삽입부(135)의 내폭(내경)보다 작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가이드베인(210)이 상기 하부축(175)으로부터 분리됨이 없이 상기 하부축(175)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삽입부(135)를 통해 상기 펌프케이싱(13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사능 피폭 위험성이 있는 상기 펌프케이싱(130)의 내부에서 상기 가이드베인(210) 등을 분리하는 작업을 배제할 수 있다.
상기 하부축조립체(171)는, 상기 냉각재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임펠러(150)의 상류측(도면상 하측)에 구비되는 시라우드(22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냉각재가 상기 임펠러(150)측으로 원활하게 흡입될 수 있다.
상기 시라우드(220)는 상기 임펠러(150)의 외곽을 감싸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시라우드(220)의 일 측(도면상 상단)은 상기 가이드베인(210)에 결합되어 고정지지될 수 있다.
상기 시라우드(220)의 타 측은 상기 펌프케이싱(130)의 흡입부(131)의 내벽면에 접촉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시라우드(220)와 상기 흡입부(131) 사이에는 실링부재(222)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냉각재가 시라우드(220)와 흡입부(131)의 내벽 사이로 유입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222)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222)는 예를 들면, 원형 고리 형상의 피스톤링(222)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링부재(222)가 상기 시라우드(220)의 외벽에 결합되는 2개의 피스톤링(222)으로 구성된 경우를 예를 들고 있으나, 그 개수는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축(175)의 상부 둘레에는 인슐레이션부재(2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고온의 냉각재의 열이 주변(예를 들면, 내측 또는 상측)으로 전달되어 주변의 하부축(175), 베어링 및 실링부재가 열변형 및/또는 손상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슐레이션부재(230)는 상기 하부축(175)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내부의 하부축(175)으로 냉각재의 열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함과 아울러 열이 후술할 상측의 씰하우징(240)으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인슐레이션부재(230)는, 예를 들면, 축방향을 따라 서로 대면 접촉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슐레이션부재(230)는,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인슐레이션바디(231) 및 하부인슐레이션바디(233)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인슐레이션바디(231) 및 하부인슐레이션바디(233)의 중앙에는 상기 하부축(175)이 수용될 수 있게 하부축수용부(232,234)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인슐레이션바디(233)에는 상기 상부인슐레이션바디(231)의 일 영역이 수용되어 결합될 수 있게 상부인슐레이션바디수용부(23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축조립체(171)는 상기 냉각재의 흐름 또는 접촉으로부터 주변부품을 보호하는 써포팅튜브(supporting tube)(25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써포팅튜브(25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써포팅튜브(250)는, 예를 들면 원통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써포팅튜브(250)는 내부에 상기 인슐레이션부재(230) 및 하부축(175)이 수용설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인슐레이션부재(230) 및 하부축(175)이 상기 냉각재와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냉각재와의 접촉에 의해 인슐레이션부재(230) 및 하부축(175)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써포팅튜브(250)는, 예를 들면, 하단이 상기 가이드베인(210)에 삽입 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써포팅튜브(250)의 상부는 상기 펌프케이싱(130)의 삽입부(135)의 내벽면과 접촉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써포팅튜브(250)는 상기 삽입부(135)를 통해 외부로 인출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써포팅튜브(250)는, 예를 들면, 상단이 상기 삽입부(135)의 내부에 위치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축(175)의 상부 둘레에는 냉각재의 누설을 억제하는 밀봉유닛(24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밀봉유닛(245)은, 예를 들면 3단 밀봉체(3 Stage Mechanical Seals)(246)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밀봉유닛(245)은, 상기 3단 밀봉체를 감싸는 씰하우징(24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씰하우징(240)은 상기 써포팅튜브(25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씰하우징(240)의 하부영역은 확장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씰하우징(240)의 하부영역의 내부에는 상기 인슐레이션부재(230)가 일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씰하우징(240)은, 예를 들면, 하단이 상기 써포팅튜브(250)와 대면 접촉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씰하우징(240)의 하부 일 영역은 상기 삽입부(135)의 내부에 삽입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씰하우징(240)의 하부에는 반경방향으로 확장되어 상기 펌프케이싱(130)의 상단에 접촉되는 플랜지 또는 확장부(242)(이하, '확장부(242)'로 표기함)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씰하우징(240)과 상기 케이싱(130)의 확장부(242)와의 상호 접촉영역에는 도시 않은 실링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냉각재가 케이싱(130)의 확장부(242)를 통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억제 또는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펌프케이싱(130)의 상측에는 커버(2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260)는 상기 펌프케이싱(130)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26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260)의 내측에는 상기 씰하우징(240)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커버(260)는 하단이 상기 씰하우징(240)의 확장부(242)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씰하우징(240)의 상측에는 씰하우징커버(2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260)에는 상기 펌프케이싱(130)의 상단에 구비된 메인조인트볼트(265)가 삽입될 수 있게 결합공(26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260)의 상측에는 상기 메인조인트볼트(265)에 나사결합되는 너트(266)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하부축(175)의 하단에 임펠러(150)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150)의 하류측(도면상 상측)에는 가이드베인(21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150)의 상류측(도면상 하측)에는 시라우드(22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축(175)의 둘레에는 인슐레이션부재(230) 및 밀봉유닛(245)이 각각 결합되고, 상기 인슐레이션부재(230) 및 상기 밀봉유닛(245)의 외곽에 상기 써포팅튜브(250) 및 씰하우징(240)이 각각 구비되어 하부축조립체(171)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축조립체(171)는 상기 삽입부(135)를 통해 상기 펌프케이싱(13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축조립체(171)가 삽입되면 상기 펌프케이싱(130)의 상측에 상기 커버(2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260)의 각 결합공(262)에 상기 메인조인트볼트(265)가 각각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각 메인조인트볼트(265)에는 너트(266)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축조립체(171)의 점검시 상기 리무버블샤프트(190)영역이 상기 상부축조립체(181) 및 하부축조립체(171)로부터 각각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상부축조립체(181) 및 하부축조립체(171)로부터 상기 리무버블샤프트(190)가 분리되면 일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하부축조립체(171)가 상측으로 이동 및 분리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260)는, 상기 메인조인트볼트(265)와 너트(266)의 결합을 해제하면, 상기 펌프케이싱(13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커버(260)가 분리되어 이동되면, 상기 하부축조립체(171)가 구성부품의 분리작업없이 그대로 상기 삽입부(135)를 통해 상기 펌프케이싱(13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펌프케이싱(130)으로부터 분리 및 인출된 하부축조립체(171)는 방사능에 피폭됨이 없이 안전하게 상기 하부축조립체(171)의 제염처리가 가능한 장소(특수구역)로 이동되어 제염처리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작업자의 방사능 피폭 가능성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
110 : 펌핑부 120 : 구동부
130 : 펌프케이싱 131 : 흡입부
133 : 토출부 135 : 삽입부
140 : 스커트부 150 : 임펠러
160 : 회전축 171 : 하부축조립체
175 : 하부축 181 : 상부축조립체
185 : 상부축 190 : 리무버블샤프트
210 : 가이드베인 220 : 시라우드
222 : 씰링부재,피스톤링 230 : 인슐레이션부재
231 : 상부인슐레이션바디 233 : 하부인슐레이션바디
240 : 씰하우징 245 : 밀봉유닛
250 : 써포팅튜브 260 : 커버
265 : 메인조인트볼트 266 : 너트
270 : 씰하우징커버

Claims (10)

  1. 냉각재를 흡입 및 토출하는 펌핑부; 및
    상기 펌핑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펌핑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펌핑부는, 축방향을 따라 하향 개구된 흡입부, 축방향에 가로로 개구된 토출부, 및 축방향을 따라 상향 개구된 삽입부를 구비한 펌프케이싱; 및
    축방향을 따라 상기 삽입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하부축조립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냉각재 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축조립체는, 축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하부축 및 상기 하부축의 하단에 결합되는 임펠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냉각재 펌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축조립체는 상기 냉각재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임펠러의 하류측에 구비되는 가이드베인을 더 포함하는 원자로 냉각재 펌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축조립체는, 상기 하부축의 둘레에 배치되는 인슐레이션부재를 구비하는 원자로 냉각재 펌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축조립체는 내부에 상기 인슐레이션부재를 수용지지하는 서포팅튜부를 더 포함하는 원자로 냉각재 펌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축조립체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서포팅튜브와 대면 접촉되는 씰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원자로 냉각재 펌프.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축조립체는 상기 냉각재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임펠러의 상류측에 구비되는 시라우드를 더 포함하는 원자로 냉각재 펌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라우드는 상기 흡입부의 내벽과 접촉되어 냉각재를 차단하는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냉각재 펌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미리 설정된 직경을 가지는 실린더형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냉각재 펌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케이싱의 상측에 배치되는 커버, 상기 펌프케이싱과 상기 커버를 상호 일체로 결합시키는 메인조인트볼트 및 너트를 더 포함하는 원자로 냉각재 펌프.
KR1020120153546A 2011-12-30 2012-12-26 원자로 냉각재 펌프 KR1014325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47803 2011-12-30
KR1020110147803 2011-12-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9250A true KR20130079250A (ko) 2013-07-10
KR101432547B1 KR101432547B1 (ko) 2014-08-25

Family

ID=48991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3546A KR101432547B1 (ko) 2011-12-30 2012-12-26 원자로 냉각재 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25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3672A (ko) 2018-07-02 2020-01-10 한국씰마스타주식회사 고온, 고압 적용을 위한 정지 씰
US11873905B2 (en) 2019-12-31 2024-01-16 Flowserve Ksm Co., Ltd. Stop seal for application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1136A (en) * 1976-02-11 1977-05-03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Centrifugal pump
JPS5768585A (en) * 1980-10-14 1982-04-26 Toshiba Corp Recirculation pump in nuclear reactor
US4775293A (en) 1987-03-17 1988-10-04 Bw/Ip International, Inc. Pump with heat exchanger
US6328541B1 (en) 2000-03-07 2001-12-11 Westinghouse Electric Company Llc Thermal barrier and reactor coolant pump incorporat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3672A (ko) 2018-07-02 2020-01-10 한국씰마스타주식회사 고온, 고압 적용을 위한 정지 씰
US11873905B2 (en) 2019-12-31 2024-01-16 Flowserve Ksm Co., Ltd. Stop seal for application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2547B1 (ko) 2014-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830777T3 (en) separator assembly
US20170241295A1 (en) Exhaust system and gas turbine
EP3149287B1 (en) Sealing device for turbomachines
KR101432547B1 (ko) 원자로 냉각재 펌프
CN105814284A (zh) 涡轮机中的密封间隙控制
CN114135495B (zh) 一种带有冷却系统的屏蔽式主循环泵
CN209195753U (zh) 一种时效炉耐高温轴流风机
US20120201661A1 (en) Contaminant shield system for a shaft
CN108626175A (zh) 一种用于高温泵的双隔热热屏蔽系统
CN210509749U (zh) 一种用于小堆主泵的空气隔热屏
CN104564693A (zh) 一种核电站化学与容积控制系统用多级离心补水泵
JP2012107615A (ja) ロータ継手ガード
CN106612029A (zh) 一种压水堆核电站主冷却剂泵电机
CN210265139U (zh) 一种小堆主泵
CN203114664U (zh) 磁传动无泄漏离心风机
KR101438112B1 (ko) 원자로냉각재펌프(rcp) 내부구조물의 단열장치 및 이를 구비한 원자로냉각재펌프
CN207420888U (zh) 核电站用的主冷却水泵
CN101555886A (zh) 一种核电站用安全壳喷淋泵
CN204805103U (zh) 一种机械密封带漩涡泵闭式自循环系统的高温水泵
CN102606509A (zh) 一种用于pcs再循环泵的连接结构
CN109404312A (zh) 一种时效炉耐高温轴流风机
FI68882B (fi) Centrifugalpump omfattande en loestagbar diffusoer
CN109340153A (zh) 一种稳定型时效炉耐高温轴流风机
CN216951010U (zh) 一种核电站用低压安注泵
CN205638948U (zh) 核电站余热排出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