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8619A - 기포제거 수단을 구비한 막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막여과장치의 기포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기포제거 수단을 구비한 막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막여과장치의 기포 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8619A
KR20130078619A KR1020110147652A KR20110147652A KR20130078619A KR 20130078619 A KR20130078619 A KR 20130078619A KR 1020110147652 A KR1020110147652 A KR 1020110147652A KR 20110147652 A KR20110147652 A KR 20110147652A KR 20130078619 A KR20130078619 A KR 20130078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bble
membrane filtration
bubbles
pipe
collec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7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창효
김건태
강문선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7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8619A/ko
Publication of KR20130078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86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68Membrane bioreacto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26Fur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membrane separation processes
    • B01D2311/2688Biological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04Backflus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6Reducing the size of particles, liquid droplets or bubbles, e.g. by crushing, grinding, spraying, creation of microbubbles or nanobubb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포제거 수단을 구비한 막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막여과장치의 기포 제거방법으로서, 주입되는 원수의 이물질을 제거한 처리수를 배출하는 막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막여과장치에서 처리수를 배출하는 배관로보다 높은 위치로 설치되되, 그 내부에 포집 공간이 형성되고 그 하단은 상기 배관로에 연결되어 상기 배관로 상의 기포가 유입되는 기포 포집부; 및 상기 기포 포집부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기포 포집부에 포집된 기포를 외부로 배출하는 기포 제거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제거 수단을 구비한 막여과장치와 이를 이용하여 막여과장치에서 기포를 제거하는 방법이며,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MBR 시스템 상의 막여과장치의 운영에 있어서, 막여과장치에서 발생되는 기포로 인해 배관내에 형성되는 공기층을 제거하여 흡입 펌프의 흡입 작동의 효율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기포제거 수단을 구비한 막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막여과장치의 기포 제거방법 {Membrane filtration apparatus with removing bubble means and method of removing bubble in membrane filtr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기포제거 수단을 구비한 막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막여과장치의 기포 제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MBR(Membrane Bio Reactor) 시스템 상의 막여과장치에서 발생되는 기포를 제거하는 수단이 구비된 막여과장치와 이를 이용하여 막여과장치 상에서 발생된 기포를 제거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수처리에 있어서, 분리막을 이용하여 부유물과 같은 각종 이물질을 분리하는 방법은 가열이나 상변화를 이용하는 방법에 비하여 많은 장점을 가지는데, 그 중의 하나는 분리막의 세공 크기에 따라 원하는 수질의 처리수를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공정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는 점이다. 또, 분리막을 이용하면, 가열 등의 조작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열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는 미생물 등을 이용하는 분리공정을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폐수의 처리만이 아닌, 음용수의 처리, 제약분야를 비롯한 산업분야에서의 분리공정 등에도 분리막을 이용하면서 그 활용범위가 점차 확대되는 추세에 있다.
일반적으로, 분리막을 이용하는 막여과장치는 막여과조, 분리막을 가지는 막여과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도 1은 일반적인 막여과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상기 도 1의 (a)를 참조하여 이 같은 일반적인 막여과장치를 살펴보면, 막여과조(2)에는 원수(처리 전의 물)가 공급되고, 막여과모듈(4)은 막여과조(2) 내부에서 원수를 처리하며, 막여과모듈(4)에 의하여 처리된 처리수는 막여과조(2)로부터 흡인 펌프(10)의 동작에 따라 배관로(5)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의 막여과장치의 운영에 있어서, 상기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여과장치에서 발생되는 기포로 인해 배관로(5)내에 공기층(A)이 형성되고 이로 인해 펌프의 흡입 작동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막여과장치에 진공 시스템(Vacuum System)을 도입할 수 있으나, 진공 시스템의 설치에 따른 상당히 고가의 비용이 발생되고, 나아가서 상기 진공 시스템의 오작동시에 오히려 막여과장치의 운영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MBR 시스템 상의 막여과장치의 운영에 있어서, 막여과장치에서 발생되는 기포로 인해 배관내에 공기층이 형성되고 이로 인해 펌프의 흡입 작동을 방해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막여과장치에 진공 시스템(Vacuum System)의 도입에 따른 고가의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과 상기 진공 시스템의 오작동시에 오히려 막여과장치의 운영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간단한 구성의 기포제거 수단을 막여과장치에 도입하여 효과적으로 기포를 제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고자 본 발명의 제1 특징적 구성은, 주입되는 원수의 이물질을 제거한 처리수를 배출하는 막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막여과장치에서 처리수를 배출하는 배관로보다 높은 위치로 설치되되, 그 내부에 포집 공간이 형성되고 그 하단은 상기 배관로에 연결되어 상기 배관로 상의 기포가 유입되는 기포 포집부; 및 상기 기포 포집부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기포 포집부에 포집된 기포를 외부로 배출하는 기포 제거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제거 수단을 구비한 막여과장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포 포집부에 포집된 기포량을 계측하는 기포 레벨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포 레벨측정부는, 상기 기포 포집부의 수위를 계측하는 수위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수위 센서의 계측 결과를 기초로 상기 기포 포집부에 수집된 기포량을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기포 레벨측정부를 제어하여 상기 기포 포집부에 수집된 기포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기포량에 기초하여 상기 기포 제거 밸브의 개방과 폐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관로의 상면에는 통공홀이 형성되며, 상기 기포 포집부는, 그 하단이 상기 통공홀을 통해 상기 배관로와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기포 포집부는, 상기 배관로의 중간에 설치되어, 앞단의 배관로와 뒷단의 배관로를 이어주는 연결관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관로를 통해 세정수를 유입시켜 상기 막여과장치의 분리막을 세정하는 세정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특징적 구성은, 기포제거 수단을 구비한 막여과장치를 이용하여, 막여과장치의 원수 처리 공정을 통해 처리된 처리수를 배출하는 배관로 상에 존재하는 기포를 기포 포집부의 포집 공간에 수집하는 기포 수집 단계; 상기 포집 공간 상에 수집된 기포량을 계측하여 상기 기포의 배출 여부를 판단하는 기포 배출 판단 단계; 상기 막여과장치의 세정 공정을 위해 상기 배관로의 역방향으로 세정수를 유입시키는 세정수 유입 단계; 및 상기 세정수의 유압을 이용하여 상기 포집 공간 상에 수집된 기포를 기포 제거 밸브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기포 배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제거 수단을 구비한 막여과장치를 이용하여 막여과장치의 기포 제거방법이다.
여기서 상기 기포 배출 판단 단계는, 상기 포집 공간에 배치된 수위 센서를 통해 상기 포집 공간 상의 수위를 계측하는 단계; 상기 포집 공간 상의 수위 계측치의 역수에 비례하여 기포 레벨을 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포 레벨의 기설정 기준의 초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정수 유입 단계는, 상기 배관로의 끝단에 연결된 세정 펌프를 이용하여 상기 배관로의 역방향으로 세정수를 유입시킬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기포 배출 단계는, 상기 기포 제거 밸브를 개방하는 단계; 상기 세정수의 유압으로 상기 포집 공간 상에 수집된 기포가 상기 기포 제거 밸브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단계; 상기 기포 배출 판단 단계는 반복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기포 레벨이 기설정 기준 이하로 판단되면, 상기 기포 제거 밸브를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MBR 시스템 상의 막여과장치의 운영에 있어서, 막여과장치에서 발생되는 기포로 인해 배관내에 형성되는 공기층을 제거하여 흡입 펌프의 흡입 작동의 효율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특히, 막여과장치에 진공 시스템의 도입에 따른 고가의 비용이 발생하거나 오작동으로 인한 막여과장치의 운영에 대한 악영향을 고려할 필요가 없도록 간단한 구성을 통해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설치 또한 간단한 기포제거 수단을 제시함으로써 효과적으로 기포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막여과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포제거 수단을 구비한 막여과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하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포제거 수단의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며,
도 4는 상기 도 3의 실시예에서 기포제거 수단의 기포 포집부에 기포가 수집되는 과정을 도시하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포제거 수단을 구비한 막여과장치에서 기포를 제거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하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포제거 수단을 구비한 막여과장치에서 기포를 제거방법에 대한 실시예에서 기포가 제거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MBR(Membrane Bio Reactor) 시스템 상의 막여과장치에서 발생되는 기포를 제거하는 수단이 구비된 막여과장치를 제시하고, 이를 이용하여 막여과장치 상에서 발생된 기포를 제거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포제거 수단을 구비한 막여과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포제거 수단을 구비한 막여과장치에 대하여 살펴보면, 막여과조(2) 내의 막여과모듈(4)을 통해 처리된 처리수가 흡입 펌프(10)의 동작에 따라 배출되는 배관로(5) 상에 본 발명에 따른 기포제거 수단(100)이 설치되며, 기포제거 수단(100)은 막여과장치의 원수 처리 공정 중에 발생되는 기포로 인해 배관로(5) 상에 형성되는 공기층을 외부로 배출한다.
배관로(5) 상에서 기포는 가장 높은 위치로 모여 공기층을 형성하므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포제거 수단(100)은 배관로(5) 상의 가장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서는 막여과장치에 막여과조(2)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 수단(7)과 온도 조절 수단(7)을 제어하는 온도 컨트롤러(9)가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막여과조(2) 내부의 압력 및 온도를 계측하기 위한 압력 센서(미도시) 및 온도 센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고, 막여과장치의 운전 중에 상기 압력 센서와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분리막 상의 압력과 온도를 통해 발생되는 기포의 량을 예측 또는 계측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배관로(5) 상의 기포량을 계측하기 위해 기포제거 수단(100)에 기포 레벨 측정부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해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이와 같은 배관로(5) 상의 기포량 계측치를 근거로 본 발명에서는 기포의 배출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기포로 형성된 공기층을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흡입 펌프(10)의 흡입 작동의 효율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나아가서 막여과장치의 운전 중에 배관로(5) 상의 기포를 배출한다면 상기 막여과장치를 통해 처리된 처리수까지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막여과장치의 분리막의 세정시에 본 발명에 따른 기포제거 수단(100)을 이용하여 배관로(5) 상의 기포를 배출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며, 이를 위해 배관로(5)의 끝단에는 배관로(5)를 통해 역방향으로 세정수를 유입시키기 위한 세정 펌프(50)가 설치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기포제거 수단(100)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포제거 수단의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다.
기포제거 수단(100)은 개략적으로 기포 포집부(110)와 기포 제거 밸브(150)를 포함하며, 효율적인 기포 제거를 위해 추가적으로 기포 레벨측정부(170)와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기포 포집부(110)는 막여과장치에서 처리수를 배출하는 배관로(5)보다 높은 위치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내부에 포집 공간(120)이 형성되고 그 하단은 배관로(5)에 연결되어 배관로(5) 상의 기포가 유입되어 포집 공간(120)에 포집된다.
기포 제거 밸브(150)는 기포의 물리적 특성 상 기포가 처리수의 상부로 올라가므로 기포 포집부(110)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포 포집부(110)의 포집 공간(120)에 포집된 기포를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기포 레벨측정부(170)는 기포 포집부(110)의 포집 공간(120)에 포집된 기포량을 계측하는데, 기포량을 계측하는데 있어서 유압 센서, 수위 센서, 유량 센서 등 다양한 계측 수단이 도입될 수 있으며, 가령 수위 센서가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수위 센서를 통해 기포 포집부(110)의 포집 공간(120)으로 유입된 처리수의 수위를 계측하고 수위 계측치의 역수에 비례하여 기포량을 산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미도부)는 기포 레벨측정부(170)를 제어하여 기포량을 계측하고 계측된 결과에 따라 기포 제거 밸브(150)의 개방과 폐쇄를 제어하는데, 상기 제어부는 기포 레벨측정부(170)의 계측치를 전달받아 연산 작업을 수행하고 그에 따라 기포 제거 밸브(150)의 개방과 폐쇄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일종의 연산처리장치가 될 수 있으므로 PC 등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서 상기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기포 포집부(110)는 배관로(5) 사이의 중간에 위치되어 앞단의 배관로와 뒷단의 배관로를 이어주는 연결관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이와 다르게 배관로의 상면에 통공홀이 형성되고, 기포 포집부의 하단부가 상기 배관로의 통공홀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며, 이외에도 상기 배관로 상의 기포를 수집할 수 있도록 상기 배관로보다 높은 위치로 형성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기포 포집부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포제거 수단(100)을 통해 배관로(5) 상의 기포를 제거하는 개념을 살펴보자면, 도 4는 상기 도 3의 실시예에서 기포제거 수단의 기포 포집부에 기포가 수집되는 과정을 도시하는데, 막여과장치의 운전에 따라 분리막을 통해 처리된 처리수(200)는 흡입 펌프의 작동에 따라 배관로(5)를 통해 이동하는데, 처리수(200)가 배관로(5) 상에 설치된 기포 포집부(110)를 지나면서 처리수(200)에 포함된 기포(210)들은 물리적 특성으로 인해 기포 포집부(110)의 포집 공간(120)에 포집되게 된다. 만약 처리수(200) 상에 기포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면 포집 공간(120)도 처리수(200)로 채워지지만 처리수(200) 상에 기포가 많이 존재한다면 포집 공간(120)은 그만큼 기포로 채워질 것이고, 이를 기포 레벨측정부(170)를 통해 계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서 살펴본 기포제거 수단을 구비한 막여과장치를 이용하여 막여과장치에서 기포를 제거하는 방법을 제시하는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막여과장치에서 기포를 제거하는 방법을 실시예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포제거 수단을 구비한 막여과장치에서 기포를 제거 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막여과장치에서 기포를 제거하는 방법은, 앞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기포제거 수단을 구비한 막여과장치에서 적용되므로 상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를 동시에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막여과장치의 원수 처리 공정의 수행(S110)에 따라 처리된 처리수는 흡입 펌프(10)의 작동으로 배관로(5)를 통해 이동하며, 배관로(5)에 위치된 기포 수집부(110)에서 배관로(5)를 통해 이동하는 처리수의 기포를 수집(S120)한다.
기포 레벨측정부(170)는 기포 수집부(110)의 포집 공간(120)에 포집된 기포량을 계측(S130)하여 포집 공간(120) 상에 수집된 기포의 배출 여부를 판단(S140)하는데, 가령 기포 레벨측정부(170)에 수위 센서가 설치된 경우라면 포집 공간(120) 상의 수위를 계측하며, 수위 계측치의 역수에 비례하여 기포량에 대한 기포 레벨을 산출할 수 있고, 산출된 기포 레벨이 기설정 기준의 초과 여부로 기포의 배출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와 같은 기포 배출의 판단은 앞서 살펴본 제어부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기포의 배출이 필요한 경우에 바로 기포 제거 밸브(150)를 개방하여 기포 수집부(110)의 포집 공간(120) 상에 포집된 기포를 외부를 배출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막여과장치의 원수 처리 공정을 마친 후에 상기 막여과장치의 세정 공정을 수행하면서 기포를 배출하는 것이 효과적이므로, 이하에서는 세정 공정시에 기포를 배출하는 방법으로 설명한다.
상기 막여과장치의 세정 공정을 시작(S210)에 따라 세정 펌프(50)가 동작하여 배관로(5) 상의 역방향으로 세정수를 유입(S220)시키면, 기포 제거 밸브(150)를 개방(S230)하여 기포 포집부(110)의 포집 공간(120) 상에 포집된 기포를 상기 세정수의 유압을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S240)하며, 기포의 배출 과정을 실시하면서 기포 레벨측정부(170)를 통해 기포 배출을 유지시킬지를 판단(S250)하게 된다.
기포 배출의 유지 여부는 기포 레벨측정부(170)의 계측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수행하며, 기포 제거 과정과 그에 대한 판단 과정을 살펴보자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포제거 수단을 구비한 막여과장치에서 기포를 제거방법에 대한 실시예에서 기포가 제거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상기 도 6은 세정 공정에 따라 세정수가 배관로(5)에 유입되어 흐르는 상태로서, 상기 도 6의 (a)에서는 기포 포집부(110)의 포집 공간(120) 상에 기포량이 기설정 기준을 초과하여 존재하는 경우이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기포 제거 밸브(150)를 개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 6의 (b)는 기포 제거 밸브(150)의 개방에 따라 세정수의 유압으로 기포 포집부(110)의 포집 공간(120) 상에 존재하는 공기가 기포 제거 밸브(1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배출된 공기의 양만큼 세정수가 기포 포집부(110)의 포집 공간(120)으로 유입된 상태이다.
나아가서 상기 도 6의 (c)는 기포 포집부(110)의 포집 공간(120) 상에 존재하는 공기가 거의 배출된 상태로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기포 레벨측정부(170)가 계측한 기포량이 기설정 기준 이하로 떨어졌으므로 기포 제거 밸브(110)를 폐쇄(S260)시킨다.
상기에서 살펴본 기포 배출 과정은 기포 레벨측정부(170)의 기포량 계측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어부가 기포 제거 밸브(150)의 개방과 폐쇄를 제어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막여과장치에 진공 시스템의 도입에 따른 고가의 비용이 발생하거나 오작동으로 인한 막여과장치의 운영에 대한 악영향을 고려할 필요가 없도록 간단한 구성을 통해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설치 또한 간단한 기포제거 수단을 제시함으로써 효과적으로 기포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 : 막여과조, 4 : 막여과모듈,
5 : 배관로, 7 : 온도조절수단,
9 : 온도 컨트롤러, 10 : 흡입 펌프,
50 : 세정 펌프, 100 : 기포제거 수단,
110 : 기포 포집부, 120 : 포집 공간,
150 : 기포 제거 밸브, 180 : 기포 레벨측정부,
200 : 처리수, 210 : 기포.

Claims (11)

  1. 주입되는 원수의 이물질을 제거한 처리수를 배출하는 막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막여과장치에서 처리수를 배출하는 배관로보다 높은 위치로 설치되되, 그 내부에 포집 공간이 형성되고 그 하단은 상기 배관로에 연결되어 상기 배관로 상의 기포가 유입되는 기포 포집부; 및
    상기 기포 포집부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기포 포집부에 포집된 기포를 외부로 배출하는 기포 제거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제거 수단을 구비한 막여과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 포집부에 포집된 기포량을 계측하는 기포 레벨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제거 수단을 구비한 막여과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 레벨측정부는,
    상기 기포 포집부의 수위를 계측하는 수위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수위 센서의 계측 결과를 기초로 상기 기포 포집부에 수집된 기포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제거 수단을 구비한 막여과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 레벨측정부를 제어하여 상기 기포 포집부에 수집된 기포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기포량에 기초하여 상기 기포 제거 밸브의 개방과 폐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제거 수단을 구비한 막여과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로의 상면에는 통공홀이 형성되며,
    상기 기포 포집부는, 그 하단이 상기 통공홀을 통해 상기 배관로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제거 수단을 구비한 막여과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 포집부는,
    상기 배관로의 중간에 설치되어, 앞단의 배관로와 뒷단의 배관로를 이어주는 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제거 수단을 구비한 막여과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로를 통해 세정수를 유입시켜 상기 막여과장치의 분리막을 세정하는 세정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제거 수단을 구비한 막여과장치.
  8. 기포제거 수단을 구비한 막여과장치를 이용하여,
    막여과장치의 원수 처리 공정을 통해 처리된 처리수를 배출하는 배관로 상에 존재하는 기포를 기포 포집부의 포집 공간에 수집하는 기포 수집 단계;
    상기 포집 공간 상에 수집된 기포량을 계측하여 상기 기포의 배출 여부를 판단하는 기포 배출 판단 단계;
    상기 막여과장치의 세정 공정을 위해 상기 배관로의 역방향으로 세정수를 유입시키는 세정수 유입 단계; 및
    상기 세정수의 유압을 이용하여 상기 포집 공간 상에 수집된 기포를 기포 제거 밸브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기포 배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제거 수단을 구비한 막여과장치를 이용하여 막여과장치의 기포 제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 배출 판단 단계는,
    상기 포집 공간에 배치된 수위 센서를 통해 상기 포집 공간 상의 수위를 계측하는 단계;
    상기 포집 공간 상의 수위 계측치의 역수에 비례하여 기포 레벨을 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포 레벨의 기설정 기준의 초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제거 수단을 구비한 막여과장치를 이용하여 막여과장치의 기포 제거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유입 단계는,
    상기 배관로의 끝단에 연결된 세정 펌프를 이용하여 상기 배관로의 역방향으로 세정수를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제거 수단을 구비한 막여과장치를 이용하여 막여과장치의 기포 제거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 배출 단계는,
    상기 기포 제거 밸브를 개방하는 단계;
    상기 세정수의 유압으로 상기 포집 공간 상에 수집된 기포가 상기 기포 제거 밸브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단계;
    상기 기포 배출 판단 단계는 반복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기포 레벨이 기설정 기준이하로 판단되면, 상기 기포 제거 밸브를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제거 수단을 구비한 막여과장치를 이용하여 막여과장치의 기포 제거방법.
KR1020110147652A 2011-12-30 2011-12-30 기포제거 수단을 구비한 막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막여과장치의 기포 제거방법 KR201300786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652A KR20130078619A (ko) 2011-12-30 2011-12-30 기포제거 수단을 구비한 막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막여과장치의 기포 제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652A KR20130078619A (ko) 2011-12-30 2011-12-30 기포제거 수단을 구비한 막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막여과장치의 기포 제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8619A true KR20130078619A (ko) 2013-07-10

Family

ID=48991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7652A KR20130078619A (ko) 2011-12-30 2011-12-30 기포제거 수단을 구비한 막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막여과장치의 기포 제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861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677B1 (ko) 2016-07-06 2017-01-03 손창식 유동압력차를 이용한 다중 회절유로형 기포제거부를 갖는 지능형 탁도 측정 장치
KR102442314B1 (ko) 2021-10-26 2022-09-13 주식회사 에코니티 센서감지형 공기배출 시스템을 이용한 지속 가능한 균등 여과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677B1 (ko) 2016-07-06 2017-01-03 손창식 유동압력차를 이용한 다중 회절유로형 기포제거부를 갖는 지능형 탁도 측정 장치
KR102442314B1 (ko) 2021-10-26 2022-09-13 주식회사 에코니티 센서감지형 공기배출 시스템을 이용한 지속 가능한 균등 여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35095B (zh) 洗衣水循环利用装置及其清洗方法及节水洗衣控制方法
CN104862926B (zh) 洗衣机以及用于洗衣机的控制方法
CN105980637B (zh) 用于涉及净化、循环和/或分离的水混合装置的调节方法
CN106283534B (zh) 一种絮凝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04724769B (zh) 净水设备及其的控制装置和净水控制方法
CN106149280B (zh) 一种洗衣机控制方法及洗衣机
CN105641986B (zh) 翻板阀滤池反冲洗智能化控制方法及设备
CN107583319A (zh) 一种多介质过滤器及其控制方法
KR101731949B1 (ko) 자연 유하식 역세 기능이 구비된 정수여과장치 및 역세방법
CN104001361A (zh) 净水过滤装置及其过滤方法
CN216837373U (zh) 集陶瓷膜微错流过滤与死端过滤于一体的智能过滤系统
CN205461190U (zh) 一种水深度处理一体化装置
KR20130078619A (ko) 기포제거 수단을 구비한 막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막여과장치의 기포 제거방법
CN106006844A (zh) 一种净水系统及其反渗透滤芯冲洗条件判断方法
CN201304291Y (zh) 自动反冲洗过滤装置
CN105664551A (zh) 超高速过滤滤池及其自清洗操作方法
CN205331497U (zh) 一种反冲洗控制阀
CN114291915A (zh) 一种工业污水除油设备以及除油方法
US20110315638A1 (en) Screen blockage measurement and flow performance optimization system
KR101168895B1 (ko) 배출되는 담수량의 조절이 가능한 해수담수화 방법
JP3084795B2 (ja) 浴槽水浄化装置
KR20130078620A (ko) 밴트 기능을 갖는 막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막여과장치의 세정 방법
CN203128314U (zh) 净水过滤装置
KR101156592B1 (ko) 여과 방식의 수처리 설비의 운영 장치 및 방법
CN216387011U (zh) 一种用于在线bod监测的预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