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8405A - Metal dust filter using electromagnetic designed by flow analysis and collecting apparatus with the same - Google Patents

Metal dust filter using electromagnetic designed by flow analysis and collecting apparatus with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8405A
KR20130078405A KR1020110147334A KR20110147334A KR20130078405A KR 20130078405 A KR20130078405 A KR 20130078405A KR 1020110147334 A KR1020110147334 A KR 1020110147334A KR 20110147334 A KR20110147334 A KR 20110147334A KR 20130078405 A KR20130078405 A KR 20130078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dust
air
casing
dust filter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73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90956B1 (en
Inventor
손인수
허관도
이상필
안성진
Original Assignee
장봉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봉길 filed Critical 장봉길
Priority to KR1020110147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0956B1/en
Publication of KR20130078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84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0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09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3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6Filters making use of electricity or magnet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PURPOSE: A metal dust filter using an electronic stone and a collecting device for a shipyard are provided to effectively absorb dust including metal materials by using an absorption rib installed at a side wall of a casing. CONSTITUTION: A metal dust filter (110) is arranged in a casing (111) including an inlet and an outlet to carry air along with an air blowing direction and includes an absorption rib comprised of electronic stones absorbing metal dust from air. The metal dust filter is installed at an inner wall of the casing to drastically reduce the flux of air. The metal dust filter has a square stick. A dust collecting device comprises a duct providing the floating path of air; an impeller capable of discharging the air by inhaling the air; the metal dust filter; and a sub-filter which secondary filters the air firstly filtered by the metal dust filter installed at a discharging side of the duct.

Description

유동해석에 의해 배치된 전자석을 이용한 금속분진 필터 및 이를 구비한 조선소용 집진장치{Metal dust filter using electromagnetic designed by flow analysis and collecting apparatus with the same} 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al dust filter using electromagnets disposed by a flow analysis, and a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the ship,

본 발명은 조선소용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선소의 밀폐된 공간에서도 금속성분이 포함된 분진을 효과적으로 집진할 수 있으며, 조작 및 교체가 간편하여 청소에도 용이하도록 한 유동해석에 의해 배치된 전자석을 이용한 금속분진 필터 및 이를 구비한 조선소용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collecting device for shipbuilding,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dust collecting device for shipbuilding, which can effectively collect dust containing metal components even in a closed space of a shipyard, And a dust collecting device for shipbuilding equipped with the metal dust filter.

일반적으로, 조선소에는 용접과 도장작업시 발생되는 다량의 분진을 제거하기 위하여 집집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In general, shipyards are equipped with collectors to remove large amounts of dust generated during welding and painting operations.

조선소에서 많이 진행되는 주요 작업인 용접과 도장작업시 불순물 및 분진의 발생량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이며, 특히 밀폐된 선박내부 작업시 신속하게 제거되지 못한 분진은 작업자에게 직접적으로 해를 가하는 것은 물론, 조선소 인근의 주택가에도 영향을 미치면서 법적분쟁에 이르기도 하는 실정이다. The amount of impurities and dust generated during the welding and painting work, which is a major work in the shipyard, is beyond the imagination. Particularly, the dust which can not be removed quickly when working in a closed vessel, It also affects the residential area near the shipyard, leading to legal disputes.

따라서 용접과 도장작업시 발생하는 분진을 제거하기 위하여 도 1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대용량 송풍기(10)를 활용하여 작업장 내부 공기 및 분진을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같은 방법은 거의 밀폐된 작업장으로부터 외부로 연결되는 통로가 좁고 한정되어 배출량이 충분치 못한 한계가 있으므로 작업자의 환경개선에 큰 도움이 되지 못하였다. 특히 이러한 방법은 작업자의 작업을 방해 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작업장 바닥의 먼지를 일으키는 역효과를 내기도 하였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1, a method of forcibly discharging the air and dust inside the workplace using a large-capacity blower 10 is used in order to remove dust generated during welding and painting. However, this method has not helped to improve the worker 's environment because the passage from the almost closed workplace to the outside is narrow and limited and the emission amount is insufficient. In particular, this method not only interferes with the work of the operator, but also adversely affects the dust on the floor of the workplace.

한편, 위에서 언급된 방법과는 반대로 송풍기(10)를 이용하여 작업장의 공기 및 분진을 흡입한 후 외부로 배출하는 방법도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 역시 근본적으로는 오염된 공기 및 분진을 외부로 배출하는 것에 지나지 않으며 선박의 횡단면과 함께 작업장을 도시한 도 2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작업장으로부터 배출 되어진 오염된 공기 및 분진의 일부가 다시 유입되는 문제와 함께 작업장에서 발생된 분진이 대기중에 그대로 방치된다는 공통된 문제가 있었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A, B 모두 작업자가 작업하는 작업장이며 밀폐된 B 작업장에서 오염된 공기 및 분진을 배출한다고 하더라도 A 작업장에 다시 유입되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B 작업장에서 배출된 오염된 공기 및 분진 중 20~30% 정도는 다시 B 작업장으로 흡입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오염된 공기 및 분진이 순환하는 시스템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contrary to the above-mentioned method, there is also used a method of sucking air and dust in the workplace using the blower 10 and discharging it to the outside. However, this method is fundamentally merely a discharge of polluted air and dust to the outside, and part of the contaminated air and dust discharged from the workplace, as shown in FIG. 2 showing the workplace together with the cross section of the ship, There is a common problem that the dust generated in the workplace is left in the atmosphere as it is. It can be seen that both A and B shown in FIG. 2 are the workplace where the worker is working, and even if the contaminated air and dust are discharged from the closed workshop B, they are influenced again by flowing into the worksite A. In addition, about 20 ~ 30% of the polluted air and dust discharged from the workshop B is again sucked into the worksite B, thereby forming a system in which contaminated air and dust are circulated.

따라서, 작업장에서 발생되는 오염된 공기 및 분진을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작업자의 작업환경을 개선하고 공기오염을 차단할 수 있는 친환경 고효율의 집진장치의 개발이 절실하였다.
Therefore, it has been urgently required to develop an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highly efficient dust collecting apparatus that can effectively treat contaminated air and dust generated in the workplace, thereby improving the work environment of the worker and preventing air pollution.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선소용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선소의 밀폐된 공간에서도 금속성분이 포함된 분진을 효과적으로 집진할 수 있으며, 조작 및 교체가 간편하여 청소에도 용이하도록 한 유동해석에 의해 배치된 전자석을 이용한 금속분진 필터 및 이를 구비한 조선소용 집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ust collecting device for shipbuild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st collecting device for shipbuilding which can effectively collect dust containing metal components even in a closed space of a shipyard And a metal dust filter using electromagnets arranged by a flow analysis that is easy to operate and replace and easy to clean, and a dust collecting device for a ship.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금속분진 필터는, 송풍방향에 따라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유입구와 유출구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측벽에 설치되되 그 설치된 지점을 전후하여 공기의 유속을 급격히 약화시킬 수 있도록 사각의 바 형태로 상기 케이싱의 내측벽을 가로질러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의 내측벽 중 서로 대향하는 일측벽과 타측벽을 따라 복수개가 교번하여 배치되며, 유속이 약해진 공기로부터 금속분진을 흡착하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진 흡착 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al dust filter comprising: a casing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so as to allow air to pass therethrough; And a pair of side walls which are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casing and cross the inner side wall of the casing in the form of a square bar so as to drastically weaken the flow velocity of the air around the installed position, And a plurality of adsorbing ribs arranged alternately along the other side wall and made of an electromagnet for adsorbing metal dust from the air having a weak flow velocity.

여기서, 상기 흡착 리브의 외측 표면에는 금속분진에 대한 흡착량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망 형태로 이루어진 포집망이 더 입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Here, the outer surface of the adsorption rib may be further coated with a net-like trapping net to increase the amount of adsorbed metal dust.

또한, 상기 포집망은 전자석의 자력을 받아 자성을 띨 수 있는 금속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llecting net may be made of a metallic material which can receive magnetic force of the electromagnet and become magnetic.

또한, 상기 포집망의 외측에는 망 형태로 이루어지고 전자석의 자력을 받아도 자성을 띠지 않는 비금속성 재질의 보조 포집망이 더 입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non-metallic auxiliary collection net, which has a net shape and does not magnetize even when receiving the magnetic force of the electromagnet, is further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collection net.

또한, 상기 케이싱은 측벽 중 하나가 여닫이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Further, the casing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one of the side walls is made of a sliding door.

또한, 상기 케이싱은 덕트 혹은 배관과의 연결을 위하여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 둘레에 각각 플랜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Further, the casing may be provided with a flange around the inlet and the outlet, respectively, for connection to a duct or a pipe.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집진장치는, 공기의 유로를 제공하는 덕트와; 상기 덕트 내에 설치되어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시켜주는 임펠러와; 상기 덕트 중간에 연결되어 상기 임펠러에 의해 흡입되어 상기 덕트 내부를 흐르는 공기 중에서 주로 금속분진을 흡착하는 상기 금속분진 필터와; 상기 덕트의 토출측에 설치되어 상기 금속분진 필터에 의해 1차 필터링된 공기 중에서 남은 분진을 2차 필터링하는 보조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ust collecting apparatus comprising: a duct for providing an air flow path; An impeller installed in the duct to suck and discharge air; The metal dust filter being connected to the middle of the duct and being sucked by the impeller to mainly adsorb metal dust in the air flowing in the duct; And an auxiliary filter installed on the discharge side of the duct for secondary filtering the remaining dust in the air primarily filtered by the metal dust filter.

본 발명에 의한 유동해석에 의해 배치된 전자석을 이용한 금속분진 필터 및 이를 구비한 조선소용 집진장치는, 사각의 바 형태로 이루어져 케이싱 내부 측벽을 가로질러 설치된 흡착 리브에 의하여 금속성분이 포함된 분진을 효과적으로 흡착할 수 있다.The metal dust filter using the electromagnet disposed by the flow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ust collecting device for a shipbuilding with the same have a square bar shape and are made of adsorbent ribs arranged across the inner side wall of the casing, It can be effectively adsorbed.

또한, 본 발명은 흡착 리브가 교번하여 배치된 구성을 통해 여러 지점에서 공기의 유속을 저하시키면서 금속분진을 흡착할 수 있으므로 다량의 금속분진을 집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dsorb metal dust while reducing the flow rate of air at various points through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adsorption ribs are alternately arranged, so that a large amount of metal dust can be collected.

또한, 본 발명은 금속성 재질로 이루어진 포집망이 구비되어 흡착 리브에 흡착되는 금속분진의 양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amount of metal dust adsorbed on the adsorption ribs by providing a collection net made of a metallic material.

또한, 본 발명은 금속성 재지로 이루어진 포집망과 협력작용하는 비금속성 재질의 보조 포집망이 구비되어 흡착되는 금속분진의 양을 더욱 증대시키는 것은 물론 다량의 비금속성 분진도 포집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on-metallic auxiliary collection network that cooperates with a collection network made of a metallic reed to further increase the amount of metal dust adsorbed, as well as collect a large amount of non-metallic dust.

또한, 본 발명은 조작 및 교체가 간편하고, 여닫이문이 설치되어 청소에도 용이하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operate and replace, and is equipped with a hinged door for easy cleaning.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선소용 집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금속분진 필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 5는 도 4의 I-I에 따른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금속분진 필터에서 흡착 리브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7은 실험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금속분진 필터에 대한 유동해석 결과를 보여주는 유동해석 그래프.
Figures 1 and 2 are reference diagrams for describing the prior art.
3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shipboard sprink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metal dust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II of Figure 4;
6 is a reference view for explaining an action of an adsorption rib in a metal dust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 analysis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flow analysis for a metal dust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experiments.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의한 금속분진 필터 및 이를 구비한 조선소용 집진장치는 유동해석에 의해 오염된 공기의 흐름은 원활하게 유지하면서 부분적으로 유속을 급격히 약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유속이 약화되는 지점에서 전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금속분진을 흡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이같은 구성에 의하여 조선소의 밀폐된 공간에서도 금속성분이 포함된 분진을 효과적으로 집진할 수 있으며, 조작 및 교체가 간편하여 청소에도 용이해진다.The metal dust filter and the dust collector for shipbuilding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method for rapidly reducing the flow velocity of the contaminated air while smoothly maintaining the flow of polluted air by the flow analysis, So that the metal dust can be adsorbed by using the magnetic force of the electromag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ust containing the metal component can be effectively collected even in the closed space of the shipyard, and the operation and the replacement can be easily performed, thereby facilitating the cleaning.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선소용 집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3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shipboard sprink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집진장치는 공기의 유로를 제공하면서 흡입구(120a)와 토출구(120b)를 갖는 덕트(120)와, 상기 덕트(120) 내에 설치되어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시켜주는 임펠러(130)와, 상기 덕트(120) 중간에 연결되며, 상기 임펠러(130)에 의해 흡입되어 상기 덕트(120) 내부를 흐르는 공기 중에서 전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주로 금속분진을 흡착하는 금속분진 필터(110)와, 상기 덕트(120)의 토출측에 설치되어 상기 금속분진 필터(110)에 의해 1차 필터링된 공기 중에서 남은 분진을 2차 필터링하는 보조필터(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uct 120 having a suction port 120a and a discharge port 120b while providing a flow path for air, and a duct 120 installed in the duct 120 to suck air And a duct 130 connected to the duct 120 and sucking mainly metallic dust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electromagnet in the air sucked by the impeller 130 and flowing in the duct 120 And a sub filter (140) installed on the discharging side of the duct (120) for secondary filtering the remaining dust in the air primarily filtered by the metal dust filter (110).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핵심적인 부분은 상기 금속분진 필터(110)이다. 상기 금속분진 필터(110)는 유동해석을 적용하여 공기의 유속을 급격히 약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그 방안에 의해 공기의 유속이 약화된 지점에서 전자석의 자력에 의해 공기 중 금속분진을 효과적으로 흡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래에서는 상기 금속분진 필터(110)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Here, the essential par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metal dust filter 110. The metal dust filter 110 is provided with a means for rapidly weakening the flow rate of air by applying a flow analysis and effectively discharging the metal dust in the air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electromagnet at a point where the flow rate of the air is weakened So that it can be adsorbed.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metal dust filter 110.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금속분진 필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I-I에 따른 횡단면도이다.FIG.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construction of the metal dust fil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금속분진 필터(110)는 케이싱(111)과, 흡착 리브(112)와, 포집망(1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metal dust filter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ing 111, an adsorption rib 112, and a collecting net 113.

먼저, 상기 흡착 리브(112)는 공기의 유속을 급격히 약화시키고 그 약화된 공기의 유속을 이용하여 공기 중으로부터 금속분진을 효과적으로 흡착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흡착 리브(112)는 전원이 인가되면 자력에 의해 금속분진을 흡착하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지되, 사각의 바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흡착 리브(112)는 상기 케이싱(111)의 상측벽과 하측벽을 따라 흐르는 공기를 가로막을 수 있도록 상기 상측벽과 하측벽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된다. 나아가, 상기 흡착 리브(112)는 상기 케이싱(111)의 내측벽 중 서로 대향하고 있는 상측벽과 하측벽을 따라 복수개가 교번하여 배치된 형태로 설치된다. 즉, 하측벽에 설치된 흡착 리브(112b)가 먼저 배치되고, 그 다음으로 케이싱(111) 내부 유로(111a)를 따라 이격된 지점에서 상측벽에 설치된 흡착 리브(112a)가 배치되며, 그 다음으로 케이싱(111) 내부 유로(111a)를 따라 보다 이격된 지점에서 하측벽에 설치된 흡착 리브(112b)가 배치된다. First, the adsorption rib 112 abruptly weakens the flow velocity of the air and effectively adsorbs the metal dust from the air using the weakened air flow rate. To this end, the adsorption rib 112 is formed of an electromagnet which adsorbs metal dust by a magnetic force when power is applied, and has a square bar shape. The suction ribs 112 are installed transversely to the upper and lower walls so as to block air flowing along the upper and lower walls of the casing 111. Further, the adsorption ribs 112 are installed in a plurality of alternately arranged along the upper and lower walls of the inner wall of the casing 111, which face each other. That is, the adsorption ribs 112b provided on the lower wall are arranged first, then the adsorption ribs 112a provided on the upper side wall are disposed at the positions separated along the inner flow path 111a of the casing 111, An adsorption rib 112b provided on the lower wall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further along the inner flow path 111a of the casing 111. [

전술된 것처럼 상기 흡착 리브(112)는 단순히 전자석으로만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흡착 리브(112) 자체 형상에 대한 구성과, 케이싱(111)의 측벽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설치방법에 대한 구성과, 상기 케이싱(111)의 상측벽과 하측벽을 따라 복수개가 교번하여 배치되는 배치방법에 대한 구성이 유기적으로 조합되면서, 상기 케이싱(111) 내에서 상기 흡착 리브(112)를 전후하여 공기의 유속이 약화된 지점들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그 지점에서 금속분진을 효과적으로 흡착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adsorption rib 112 is not simply formed of an electromagnet but has a configuration for the shape of the adsorption rib 112 itself, a configuration for an installation method provided across the side wall of the casing 111,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alternately arranged upper and lower walls of the casing 111 is combined with the arrangement of the adsorption ribs 112 in the casing 111 so that the flow velocity of the air is reduced before and after the adsorption rib 112 Points can be secured. At that point, the metal dust can be effectively adsorbed.

한편, 상기 포집망(113)은 망 형태로 이루어지며 흡착 리브(112)의 외측 표면에 씌워지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나아가 상기 포집망(113)은 전자석의 자력을 받아 자성을 띠면서 금속분진을 흡착할 수 있는 금속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포집망(113)은 흡착 리브(112)의 외부 표면에 금속분진이 흡착될 수 있는 표면적을 더 넓게 확보해주는 것은 물론 망 사이로 형성된 포집공간에 의해 더 많은 양의 금속분진을 포집할 수 있도록 해준다. 따라서 상기 흡착 리브(112)만 사용될 때와 비교하여 금속분진에 대한 흡착량이 비약적으로 증대된다. Meanwhile, the collection net 113 is formed in a net shape and is installed in such a manner that it covers the outer surface of the absorption rib 112. Furthermore, the trapping net 113 is made of a metallic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metal dust while receiving magnetism of the electromagnet. The trapping mesh 113 having such a configuration not only ensures a larger surface area on which the metal dust can be adsorb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dsorption rib 112 but also collects a larger amount of metal dust by the trapping space formed between the meshes I can do it. Therefore, the adsorption amount for the metal dust is drastically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only the adsorption rib 112 is used.

여기서, 상기 포집망(113)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포집망(113)을 보조하여 그 외측에 덧씌워지는 표면이 거친 섬유재질의 보조 포집망(미도시 됨)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 포집망은 상기 포집망(113)과 같이 망 형태로 이루어지지만 전자석의 자력을 받아도 자성을 띠지 않는다. 하지만, 상기 보조 포집망은 표면이 거칠게 형성된 섬유재질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비금속성 분진에 대해서는 상기 포집망(113)보다 효과적으로 포집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물론, 상기 보조 포집망의 경우 상기 흡착 리브(112) 표면에 추가적인 포집공간을 형성시켜 주기 때문에 금속분진에 대한 흡착량을 증대시키는 역할도 하게 된다. Her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collection net (not shown) of a fibrous material which is supported on the outer side of the collection net 113 in the same manner as the collection net 113. The auxiliary collection net, like the collecting net 113, has a net shape but does not magnetize even when it receives the magnetic force of the electromagnet. However, since the auxiliary collection net is made of a fibrous material having a rough surface, it plays a role of collecting the non-metallic dust more effectively than the collection net 113. Of course, in the case of the auxiliary collection net, an additional collection space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absorption rib 112,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adsorbed metal dust.

상기 케이싱(111)은 송풍방향에 따라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유입구와 유출구를 구비하며, 덕트(120) 혹은 배관과의 연결을 위하여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 둘레에 각각 플랜지(111b)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111)은 도 5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측벽 중 하나인 하측벽이 우측벽이나 좌측벽의 하단에 힌지결합되어 여닫이문(111c)으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상기 여닫이문(111c)을 열고 흡착 리브(112)의 표면에 포집된 다량의 분진을 제거하는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The casing 111 is provided with an inlet and an outlet so as to allow air to pass therethrough according to a blowing direction, and flanges 111b are provided around the inlet and outlet for connecting the duct 120 or the pipe. 5, the lower wall of the casing 111 is hinged to the lower end of the right wall or the left wall to form a hinged door 111c. This makes it easy to open the hinged door 111c and to clean the large amount of dust collected on the surface of the absorption rib 112.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금속분진 필터에서 흡착 리브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고, 도 7은 실험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금속분진 필터에 대한 유동해석 결과를 보여주는 유동해석 그래프이다.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ction of the adsorption rib in the metal dust fil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graph showing the flow of the metal dust fil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analysis graph.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금속분진 필터(110)를 고려함에 있어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공기의 유속이다. 일반적인 산업용 송풍기는 대개 5~10m/s정도의 유속을 나타내기 때문에 케이싱(111) 내부에 전자석을 설치하더라도 공기의 유속에도 불구하고 자력에 의해 금속분진이 흡착될지가 불투명하다. 따라서 유동해석을 통하여 공기의 유속을 저하시키는 지점을 확보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구성을 창안하게 된 것이다. In considering the metal dust filter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st problematic is the air flow rate. Since a general industrial blower usually exhibits a flow rate of about 5 to 10 m / s, it is unclear whether metal dust will be adsorbed by magnetic force despite the flow rate of air even if an electromagnet is installed in the casing 111.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ecure a point at which the flow velocity of the air is reduced through the flow analysis.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금속분진 필터(110)에서 흡착 리브(112)를 전후한 영역(W)이 바로 유속이 급격히 저하되는 지점이다. 이는 도 7에 도시된 유동해석 그래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금속분진 필터(110)의 전 영역에 걸쳐 공기의 흐름변화를 색상변화를 통해 표시하는 것으로 모든 흡착 리브(112)의 전후 영역에서 농도가 가장 짙은 파란색으로 표시되어 공기의 유속이 급격히 약화되었음을 보여준다. 이같은 결과는 흡착 리브(112)의 형태, 높이, 개수를 비롯하여 설치 형태와 배치를 변화시켜가면서 반복적인 실험과 유동해석을 실시하여 얻은 것이다. 여기서, 흡착 리브(112)를 복수로 배치한 것은 전자석의 경우 자력이 발생하는 부분이 한 면으로 제한되기 때문에 보다 많은 금속분진을 필터링하기 위함이다.   As shown in FIG. 6, in the metal dust filter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gion W before and after the adsorption rib 112 is a point at which the flow velocity rapidly drops. This can be confirmed by the flow analysis graph shown in FIG. FIG. 7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the flow of air over the entire area of the metal dust filter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color change. In the front and rear regions of all the adsorption ribs 112, Which shows that the flow rate of air is rapidly weakened. This result is obtained by performing repetitive experiment and flow analysis while varying the shape, height, and number of the adsorption ribs 112, and the configuration and arrangement of the adsorption ribs 112. Here, the plurality of adsorption ribs 112 are arranged to filter out more metal dust because the portion where the magnetic force is generated is limited to one surface in the case of the electromagnet.

일반적으로 유로에 흡착 리브(112)를 설치하면 공기의 유속이 약해지는 부분이 생기지만 유속의 크기에 따라 유동해석을 통하여 최적의 리브 크기 및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거친다. 실험에서 유입구의 속도는 10m/s로 하였으며 유입구와 유출구간의 압력차는 14Pa의 차를 보인다. 이 압력차는 전체 집진장치의 성능에 악영향을 미칠 정도로 부하를 주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며, 그림 도 7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흡착 리브(112)를 전후한 유속은 대략 0.4 ~ 3 m/s 사이의 값을 가진다.
Generally, when the adsorption rib 112 is installed in the flow path, a portion where the flow velocity of the air is weak is generated. However, the optimum rib size and position are determined through the flow analysis according to the flow rate. In the experiment, the velocity of the inlet was 10m / s and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was 14Pa. As shown in FIG. 7, the flow velocity before and after the adsorption rib 112 is about 0.4 to 3 m / s, as shown in FIG. 7 I hav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itably modified and applied in the same manner. Therefore, the above description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fined by the limitations of the following claims.

110 : 금속분진 필터 111 : 케이싱
111c : 여닫이문 112,112a,112b : 흡착 리브
113 : 포집망 120 : 덕트
130 : 임펠러 140 : 보조필터
110: metal dust filter 111: casing
111c: Hinged door 112, 112a, 112b:
113: collection net 120: duct
130: impeller 140: auxiliary filter

Claims (7)

송풍방향에 따라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유입구와 유출구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측벽에 설치되되 그 설치된 지점을 전후하여 공기의 유속을 급격히 약화시킬 수 있도록 사각의 바 형태로 상기 케이싱의 내측벽을 가로질러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의 내측벽 중 서로 대향하는 일측벽과 타측벽에 복수개가 교번하여 배치되며, 유속이 약해진 공기로부터 금속분진을 흡착하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진 흡착 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분진 필터.
A casing having an inlet port and an outlet port so as to allow air to pass therethrough according to a blowing direction;
It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casing, and is installed across the inner wall of the casing in the form of a square bar so as to rapidly weaken the flow rate of the air before and after the installation point, one of the inner wall of the casing facing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alternately disposed on the other side wall and an adsorption rib made of an electromagnet for adsorbing the metal dust from the air whose velocity is weake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리브의 외측 표면에는 금속분진에 대한 흡착량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망 형태로 이루어진 포집망이 더 입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분진 필터.
The method of claim 1,
Metal dust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adsorption rib is further coated with a trapping net in the form of a mesh to increase the amount of adsorption to the metal dus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망은 전자석의 자력을 받아 자성을 띨 수 있는 금속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분진 필터.
The method of claim 2,
The collection network is a metal dust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metallic material that can be magnetiz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electromagne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망의 외측에는 망 형태로 이루어지고 전자석의 자력을 받아도 자성을 띠지 않는 비금속성 재질의 보조 포집망이 더 입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분진 필터.
The method of claim 2,
Metal dust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ary trap of the non-metallic material is made of the form of a net on the outside of the collecting network is not magnetic even when subjected to the magnetic force of the electromagn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측벽 중 하나가 여닫이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분진 필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one of the side walls of the casing is made of a sliding do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덕트 혹은 배관과의 연결을 위하여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 둘레에 각각 플랜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분진 필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asing is provided with a flange around the inlet and the outlet for connection to a duct or a pipe.
공기의 유로를 제공하는 덕트와;
상기 덕트 내에 설치되어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시켜주는 임펠러와;
상기 덕트 중간에 연결되어 상기 임펠러에 의해 흡입되어 상기 덕트 내부를 흐르는 공기 중에서 주로 금속분진을 흡착하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금속분진 필터와;
상기 덕트의 토출측에 설치되어 상기 금속분진 필터에 의해 1차 필터링된 공기 중에서 남은 분진을 2차 필터링하는 보조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집진장치.
A duct for providing a flow path of air;
An impeller installed in the duct to suck and discharge air;
A metal dust filt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ich is connected to the middle of the duct and is sucked by the impeller and mainly adsorbs metal dust in air flowing through the duct;
And an auxiliary filter installed on the discharge side of the duct for secondary filtering the remaining dust in the air primarily filtered by the metal dust filter.
KR1020110147334A 2011-12-30 2011-12-30 Metal dust filter using electromagnetic designed by flow analysis and collecting apparatus with the same KR1013909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334A KR101390956B1 (en) 2011-12-30 2011-12-30 Metal dust filter using electromagnetic designed by flow analysis and collecting apparatus with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334A KR101390956B1 (en) 2011-12-30 2011-12-30 Metal dust filter using electromagnetic designed by flow analysis and collecting apparatus with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8405A true KR20130078405A (en) 2013-07-10
KR101390956B1 KR101390956B1 (en) 2014-05-02

Family

ID=48991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7334A KR101390956B1 (en) 2011-12-30 2011-12-30 Metal dust filter using electromagnetic designed by flow analysis and collecting apparatus with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095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1664A (en) 2016-12-20 2018-06-28 주식회사 포스코 Dust Collection Device for Duct
KR101941503B1 (en) * 2018-09-07 2019-01-23 이희만 Self-assembly filter structure of exhaust duc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8910B1 (en) 2020-11-26 2022-08-04 ㈜거성플랜트 Apparatus for filling fixed quantity of fine powdered material for secondary batter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0345A (en) * 2003-01-31 2004-08-1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Magnet filter
JP2006247488A (en) 2005-03-09 2006-09-21 Magnetec Japan Ltd Foreign matter removal apparatus
JP2006305466A (en) * 2005-04-28 2006-11-09 Fujikura Ltd Metal powder capturing apparatus, capturing method of metal powder, production apparatus of metal powder and production method of metal powder
KR200391616Y1 (en) * 2005-05-11 2005-08-04 권혁봉 Device for cleaning air in the subwa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1664A (en) 2016-12-20 2018-06-28 주식회사 포스코 Dust Collection Device for Duct
KR101941503B1 (en) * 2018-09-07 2019-01-23 이희만 Self-assembly filter structure of exhaust du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0956B1 (en) 2014-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88812C (en) Dust collector
KR101339901B1 (en) Metal dust filter using permanent magnet and collecting apparatus with the same
CN201558623U (en) Combined type filtering device
KR101390956B1 (en) Metal dust filter using electromagnetic designed by flow analysis and collecting apparatus with the same
KR20140032245A (en) A dust collector
KR101044658B1 (en) A dust collector
US20130283741A1 (en) Industrial Air Vacuum Filter Assembly
JP4753734B2 (en) Dust remover
JP2007289797A (en) Dust collector
CN105797506A (en) Sinter plate dust remover
CN205055684U (en) Take dust remover of spark trap
CN108057292A (en) Workshop dust processing equipment
KR200431628Y1 (en) The dust collector using for coating with paint of a vehicle
EP3552686B1 (en) Air cleaner for vehicle
JP2010149067A (en) Hood structure for preventing scattering of coating mist
KR20110097104A (en) A portable dust collector
CN107694815A (en) Dry type paint spray table with VOC processing functions
CN204275679U (en) Wall-hanging fume purifier
CN208911691U (en) A kind of atomizing de-dusting equipment in construction site
KR200362736Y1 (en) filtering apparatus for finely ground iron using magnetic force
KR100572893B1 (en) Paint exhaust gas dry/wet processing unit
CN211585819U (en) Dust collector for automatic sand blasting machine
CN217526792U (en) Environment-friendly smoke purifying device
CN203711142U (en) Magnetic separating deduster for recovering flux
KR20130102910A (en) Apparatus for filtering p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