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8400A - An apparatus and method of taking metal sample from probe - Google Patents

An apparatus and method of taking metal sample from prob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8400A
KR20130078400A KR1020110147328A KR20110147328A KR20130078400A KR 20130078400 A KR20130078400 A KR 20130078400A KR 1020110147328 A KR1020110147328 A KR 1020110147328A KR 20110147328 A KR20110147328 A KR 20110147328A KR 20130078400 A KR20130078400 A KR 20130078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probe
collected
samples
debr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73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19315B1 (en
Inventor
박광순
권용철
Original Assignee
우진 일렉트로나이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진 일렉트로나이트(주) filed Critical 우진 일렉트로나이트(주)
Priority to KR1020110147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9315B1/en
Publication of KR20130078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84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9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93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2Dippers; Dredgers
    • G01N1/125Dippers; Dredgers adapted for sampling molten met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10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PURPOSE: A device and a method for recovering samples collected with a probe are provided to easily obtain samples as processes of pulverizing the probe in which collecting the samples is completed, acquiring the samples, and transferring the samples are performed by an automated machine. CONSTITUTION: A device (100) for recovering samples collected with a probe (200) includes a probe recovery unit (110), a pulverizing tool (120), a striking tool (170), and a receiving unit (130). The probe recovery unit grips the probe with a gripper and moves the same to a pulverizing position. The pulverizing tool pulverizes the front end of the probe received from the probe recovery unit. The striking tool applies additional impact to the pulverized probe and to help a fall of the samples. The receiving unit receives the samples of a probe head unit falling by receiving the additional impact of the striking tool, a sample case containing samples, and the debris of the probe.

Description

프로브로 채취한 시료의 회수장치 및 회수방법{An apparatus and method of taking metal sample from probe}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vering a sample taken with a probe

본 발명은 프로브로 채취한 시료의 회수장치 및 회수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에는 작업자가 고온의 프로브를 수작업으로 파쇄하여 시료케이스로부터 시료를 확보하던 전체 공정을 자동화된 기계장치에 의거 실행되도록 함으로써, 고온의 프로브의 이송, 파쇄를 포함하는 시료획득 작업환경에서의 화상의 위험을 제거하고, 보다 편리한 방법으로 안전하게 용강의 시료를 프로브로부터 회수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recovering a sample taken with a probe and a method for recover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in the prior art, the entire process of obtaining a sample from a sample case by manually crushing a high temperature probe by a worker is carried out in an automated mechanical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removing a risk of burn in a sample acquiring working environment including transfer and crushing of a high temperature probe and safely recovering a sample of molten steel from a probe in a more convenient manner.

용융금속의 정련 처리 중에는 처리중인 용융금속의 성분을 정확히 확인해야 할 필요성이 빈번히 발생하여, 샘플러 혹은 프로브(이하 일괄하여 "프로브"라 칭함)로 용융금속의 일부를 채취하여 화학성분 분석을 실시하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프로브는 일반적으로 내열용 관형보호재료를 사용하여 프로브의 외부를 보호하고, 내부에 내열성과 냉각능을 갖는 시료케이스를 구비하고, 시료케이스의 일 측면의 일부가 보호관 외부와 연통되며, 연통로 끝단은 캡 등으로 마감 처리되어 있다. During the refining process of molten metal, the necessity of accurately identifying the components of the molten metal being processed frequently occurs, and a part of molten metal is collected by a sampler or a probe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probe") to perform chemical composition analysis. do. In this case, the probe used generally protects the outside of the probe by using a heat-resistant tubular protective material, and has a sample case having heat resistance and cooling capacity therein, and part of one side of the sample case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of the protective tube. The end of the communication path is finished with a cap or the like.

용융금속에 프로브를 침지 시에 캡은 용융되고 용융금속은 연통로를 통해 시료케이스에 흘러 들어 응고되고, 이후 용융금속에서 회수된 프로브의 보호관을 제거하고 시료케이스 내부에 있는 시료를 취출하여 처리중인 용융금속의 성분을 대표할 시료를 획득하게 된다. When the probe is immersed in the molten metal, the cap is melted and the molten metal flows into the sample case through the communication path to coagulate. Then, the protective tube of the probe recovered from the molten metal is removed, and the sample inside the sample case is taken out and processed. Samples will be obtained to represent the components of the molten metal.

이 때, 상기의 보호관은 일반적으로 지관이 사용되며, 일부 지관과 세라믹 재질인 내열보호관을 추가로 사용하고, 시료케이스는 통상 금속 재질이다. 상기 시료케이스는 좌우 한 쌍의 케이스로 구성되어 연통로가 구성된 타단에 클립으로 고정된다.In this case, the protective tube is generally used in the paper tube, and additionally the heat-resistant protective tube made of a portion of the base tube and ceramic material, the sample case is usually a metal material. The sample case is composed of a pair of left and right cases are fixed with a clip on the other end of the communication path.

상기 시료케이스와 연통되는 외부는 쿼츠로 구성하여 성분오염을 줄이고, 프로브의 선단으로 돌출된다. 더욱이 선단에는 일반적으로 온도, 성분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부가 설치되어, 프로브의 타단 내측으로 설치된 컨넥터와 전기적으로 도통되어 있고, 상기 센서부와 연통부는 세라믹 재질의 헤드부에 의해 고정된다.The outside communicating with the sample case is composed of quartz to reduce component contamination, and protrudes to the tip of the probe. Further, the tip is generally provided with a sensor section capable of measuring temperature, components, and the lik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nector provided inside the other end of the probe. The sensor section and the communicating section are fixed by a ceramic head.

외부에 설치된 측정장치에 기계적, 전기적으로 장착되어 침지 측정된 프로브는, 조업자가 프로브의 선단을 망치 등으로 타격하여 상기 헤드부를 파쇄하고, 내부의 시료케이스를 취하게 된다. 헤드부 파쇄를 위한 타격으로 시료케이스는 자연 분해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케이스에 가벼운 타격을 주어 클립을 분해 할 수 있다.The probe, which is mechanically and electrically mounted and immersed in an external measuring device, breaks the head part by hitting the tip of the probe with a hammer or the like, and takes an internal sample case. The sample case is spontaneously disassembled by a blow to break the head, or the clip can be disassembled by giving a light blow to the case.

그러나, 이와 같은 시료취출 작업은 고온에서 사용된 프로브를 방열장갑 등을 이용하여 파지한 후 힘을 가하여 타격하고, 분쇄되는 프로브 헤드부 부산물이나 고온의 시료 및 연소되는 지관 등에 작업자가 노출됨으로써 화상의 개연성이 높고, 부상의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과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is sampling operation is carried out by holding the probe used at high temperature using a heat-radiating glove, etc., and then striking it with force, and exposing the worker to the by-products of the crushed probe head portion, the high temperature sample, and the branch pipe to be burned.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ere is a risk of injury, as well as a complicated, time-consuming and cumbersome work proces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시료취출 과정을 자동화된 기계장치에 의거 손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 sample taking process to be easily processed based on an automated mechanical devic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료를 채취한 프로브로부터 시료를 회수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를 그립퍼로 파지하여 파쇄 위치로 이동시키는 프로브회수 기구와; 상기 프로브회수 기구로부터 전달 받은 프로브의 선단을 파쇄하는 파쇄기구와; 상기 파쇄기구에서 선단이 파쇄된 프로브에 추가 충격을 가하여 시료의 낙하를 돕는 타격구와; 상기 타격구의 추가충격을 받고 낙하하는 프로브 헤드부의 시료 또는 시료가 담긴 시료케이스 및 프로브 잔해물을 받아내는 수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vice for recovering a sample from a probe from which a sample is collected, comprising: a probe recovery mechanism for holding the probe with a gripper and moving it to a crushed position; A crushing mechanism for crushing the tip of the probe received from the probe recovery mechanism; A striking tool to help the sample drop by applying an additional impact to the probe whose tip is broken in the shredding mechanism;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ample receiving the probe head portion or the sample containing the sample and the receiving portion receiving the probe debris falling under the impact of the impact hol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회수장치에는,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시료 또는 시료가 담긴 시료케이스를 전자석으로 선별하여 견인하는 견인기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파쇄기구는, 상기 프로브의 선단에 대하여 횡축으로 충격을 가하는 한 쌍의 가압수단과; 상기 각 가압수단의 선단을 이루는 한 쌍의 가압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상기 한 쌍의 가압편의 끝단은, 서로 엇갈리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ve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raction mechanism for selecting and pulling the sample or the sample case containing the sample from the receiving portion with an electromagnet, the shredding mechanism, the tip of the probe A pair of pressing means for impinging on the horizontal axis against th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air of pressing pieces constituting the front end of each of the pressing means, and the end of the pair of pressing piece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alternately configured.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수용부에는, 냉각수 속에 잠겨서, 파쇄되어 낙하하는 시료 및 프로브 잔해물을 받아내는 그물망과; 상기 그물망에 놓여진 프로브 잔해물을 잔해물 용기로 낙하시키는 잔해물 제거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상기 그물망은, 냉각수조에 담긴 냉각수 속에 잠겨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portion, submerged in the cooling water, and receives the sample and probe debris that is crushed and falling; And a debris removal mechanism for dropping the probe debris placed in the mesh into the debris container, and wherein the mesh is submerged in the cooling water contained in the cooling water tank.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시료회수 장치에는, 상기 시료를 올려놓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로 시료를 이동시키기 위한 상승장치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상기 거치대는, 2개 이상의 시료를 분리 거치할 수 있는 2층 이상의 거치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ple recovery device, and a cradle for placing the samp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fting device for moving the sample to the cradle is further installed, and the crad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or more mounting plates to separate the two or more samples are formed.

또한 본 발명은, 시료를 채취한 프로브로부터 시료를 회수하는 방법에 있어서, 시료가 담긴 프로브를 프로브회수 기구의 그립퍼로 파지하여 파쇄 위치로 이동시키는 파쇄준비단계; 상기 프로브의 선단에 충격을 가하여 시료를 분리하는 파쇄단계; 분리된 시료를 냉각시키는 시료냉각단계; 냉각된 시료를 전자석이 구비된 견인기구를 이용하여 이동시키는 시료이송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recovering a sample from a probe from which a sample is collected, comprising: a preparatory step of holding a probe containing a sample by a gripper of a probe recovery mechanism to move the sample to a crushing position; A crushing step of separating the sample by applying an impact to the tip of the probe; A sample cooling step of cooling the separated sampl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ample transfer step for moving the cooled sample using a traction mechanism equipped with an electromagnet.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시료이송단계는, 냉각된 시료를 단턱이 구비된 상승장치에 올려, 필요한 높이로 끌어 올리는 상향이송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시료회수 방법에는, 2회 이상 채취된 여러 시료가 서로 구분되도록 2층 이상으로 된 거치대에 분류 보관하는 시료분류단계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ple transfer step, characterized in that the sample is made up including an upward transfer step to raise the cooled sample to the required height equipped with the stepped, the required height, and also the sample recovery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ample classification step of classifying and storing a plurality of samples collected two or more times in a holder having two or more layers so as to distinguish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르면, 시료를 채취한 프로브의 파쇄와 시료 획득 및 이송과정이 모두 결합된 자동화된 기계장치에 의거 실행되어 작업자가 시료를 손쉽게 획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obtain a sample by being executed based on the automated mechanical device combined with both the crushing of the sample taken probe and the sample acquisition and transfer proces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가 화상을 입을 가능성이 배제되며, 작업 과정이 간편해지며, 시료채취 공정 및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시료 채취 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sibility of an operator being burned is eliminated, the work process is simplified, the sampling process and the working time is shortened, thereby reducing the sampling cost significantly.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시료회수 장치의 정단면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시료회수 장치의 평단면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시료회수 장치 중, 프로브회수 기구의 정단면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시료회수 장치 중, 파쇄기구의 평단면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시료회수 장치 중, 잔해제거 기구로서, (a)는 평단면, (b)는 정단면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시료회수 장치 중, 거치대로서, (a)는 평단면, (b)는 정단면 개념도이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conceptual view of a sample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conceptual view of a sample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conceptual view of the probe recovery mechanism in the sample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conceptual view of the shredding mechanism in the sample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ebris removal mechanism in the sample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 (a) is a flat cross section and (b) is a front cross sectional conceptual view.
6 is a cradle in the sample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 (a) is a flat cross section and (b) is a front cross sectional conceptual view.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시료를 채취한 프로브로부터 시료를 회수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시료회수 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시료회수 장치 전체를 평단면 개념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recovering a sample from a probe taken a sample, Figure 1 is a front cross-sectional conceptual view for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ample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ample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whole in plan cross section concept.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료회수 장치에는, 시료를 채취한 프로브(200)를 파지하여 파쇄 위치로 이동시키는 프로브회수 기구(110)와, 상기 프로브회수 기구(110)로부터 이동해 온 프로브의 선단을 파쇄하는 파쇄기구(120)와, 상기 파쇄기구(120)에서 선단이 파쇄된 프로브에 추가 충격을 가하여 시료의 낙하를 돕는 타격구(170)와, 상기 타격구(170)의 추가충격을 받고 낙하하는 프로브 헤드부의 시료 및 프로브 잔해물을 받아내는 수용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또한 상기 회수장치에는, 상기 수용부(130)로부터 상기 시료를 전자석으로 선별하여 견인하는 견인기구(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1 and 2, the sample coll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be recovery mechanism 110 for holding a probe 200 that has taken a sample and moving it to a crushed position, and from the probe recovery mechanism 110. A crushing mechanism 120 for crushing the tip of the on probe, a blower 170 for assisting the dropping of the sample by applying an additional impact to the probe crushed at the tip of the crushing mechanism 120, and of the blower 170 And an accommodating part 130 for receiving the probe head part and the probe debris that fall under the additional shock, and the towing device selects and pulls the sample from the accommodating part 130 into an electromagnet and pulls it.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mechanism (140).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시료회수 장치(100) 중, 프로브회수 기구(110)의 정단면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시료회수 장치(100)는 지표면과 수평으로 놓여져 있는 수평 고정판 위에 수직 상방으로 설치된 다수의 고정 기둥과, 이 고정 기둥 사이를 서로 연결하여 이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가로 연결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장치고정틀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료회수 장치(100)의 모든 작동은 컴퓨터 시스템으로 형성된 메모리부 및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제어부(도시 안함)에 의하여 통제 가능하며, 입력되거나 또는 기억된 신호에 의하여 통제된다.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conceptual view of the probe recovery mechanism 110 in the sample recover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ple collection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ixed pillars installed vertically upwards on a horizontal fixed plate placed horizontally with the ground surface, and a device including a horizontal connecting rod connecting the fixed columns to each other and fixing them firmly. It is supported by. In addition, all operations of the sample collection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not shown) including a memory unit and a switching unit formed by a computer system, and are controlled by an input or stored signal.

상기 프로브회수 기구(110)는, 장치 고정틀(101)에 고정되어 있으며, 암(111)이 레일을 타고 슬라이딩 하면서 전진 또는 후진하여, 암(111)의 선단에 설치된 그립퍼(112)가 원통형인 프로브(200)의 몸체를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암(111)은 2단 또는 그 이상으로 설치 되며, 슬라이드 방식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길이 방향으로 전후진 하므로, 좁은 공간에서도 효율적으로 프로브(2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The probe recovery mechanism 110 is fixed to the apparatus fixing frame 101, and the arm 111 moves forward or backward while sliding on a rail, so that the gripper 112 provided at the tip of the arm 111 has a cylindrical shape. It is configured to hold the body of 200. The arm 111 is installed in two or more stages, the length can be adjusted by a slide method, and moved forward and back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move the probe 200 in a narrow space.

상기 암(111)의 상단에는 암(111) 전체를 덮을 수 있는 방열수단인 커버(113)를 설치하여, 시료채취 작업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용강, 슬래그 등의 비산 또는 이물질로부터 프로브회수 기구(110)를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커버(113) 역시 고온과 용강 비산 등으로부터 더욱 확실히 보호되도록 2단 혹은 그 이상으로 설치할 수 있다.The cover 113, which is a heat dissipation means capable of covering the entire arm 111,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arm 111, and the probe recovery mechanism 110 is formed from scattering or foreign substances such as molten steel, slag, etc., which may occur in a sampling environment. It is configured to protect). If necessary, the cover 113 may also be installed in two or more stages to more reliably protect from high temperature and molten steel scattering.

본 발명의 상기 시료회수 장치(100)는, 도 2의 침지장치(300)에서 제거된 프로브(200)를 프로브회수 기구(110)의 그립퍼(112)에 의해 고정시켜서 도 3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침지장치(300) 쪽에서 파쇄기구(120) 앞으로 수평 이동시킨다. In the sample collection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be 200 removed from the immersion apparatus 300 of FIG. 2 is fixed by the gripper 112 of the probe recovery mechanism 110 and is indicated by an arrow in FIG. 3. As described above, the immersion apparatus 300 is horizontally moved forward from the crushing mechanism 120.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시료회수 장치(100) 중, 파쇄기구(120)의 평단면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파쇄기구(120)는 장치고정틀의 고정 기둥에 고정되어 있으며, 수직 방향으로 길게 서있는 상기 프로브(200)의 선단에 대하여 횡축으로 충격을 가하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진 가압수단(121, 12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각 가압수단(121, 122)의 선단에는 가압편(123)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가압편의 끝단은,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서로 엇갈리게 구성되어 있다. 가압의 기술적 수단으로는 유압 실린더가 사용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공지의 모든 가압기술이 원용될 수 있다.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conceptual view of the shredding mechanism 120 in the sample collec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4, the shredding mechanism 120 is fixed to a fixed column of the device fixing frame, the pressing means consisting of a pair of left and right to impact the transverse axis against the tip of the probe 200 sta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 121, 122, and the pressing pieces 123 are provided at the tips of the pressing means 121, 122,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4, the ends of the pair of pressing pieces are alternately configured. As a technical means of pressurization, a hydraulic cylinder is used, but not limited thereto, and all known pressurization techniques may be used.

상기 파쇄기구(120)의 가압수단(121, 122)은 프로브(200) 외부의 다중의 지관 혹은 내열보호관 및 시료케이스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파괴하여 시료케이스 및 시료케이스내의 시료를 회수하게 된다. 시료케이스 및 시료는 적열상태이므로, 외부충격에 의해 모양이 변형될 수 있으며, 변형된 시료는 시료케이스에서 분리가 어려울 수 있고, 이후 시료로 분석을 진행함에 있어서도 분석면 확보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4와 같이 가압수단의 선단에 구비된 한 쌍의 가압편(123)의 끝단이 서로 맞닿지 않도록 엇갈리게 구성함으로써, 시료가 직접적인 충격을 받지 않도록 하고 있다.Pressing means (121, 122) of the shredding mechanism (120) breaks the fixing part for fixing the multiple branch tubes or heat-resistant protective tube and the sample case outside the probe 200 to recover the sample in the sample case and the sample case. Since the sample case and the sample are in a red state, the shape may be deformed due to an external shock, and the modified sample may be difficult to separate from the sample case, and there may be difficulty in securing an analysis surface even when the sample is analyzed. .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end of the pair of pressing pieces 123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pressing means as shown in the staggered configuration so as not to touch each other, the sample is not subjected to direct impact.

또한 시료 채취 후의 프로브(200)는 원주방향으로 방향성이 일정하지 않게 회수되기 때문에, 가압편(123)과 디스크 형상의 시료가 평행하게 위치할 경우 시료의 측면으로, 가압편(123)이 시료를 가압 할 수도 있다. 때문에, 시료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에는 시료가 엇갈리게 설치된 가압편(123)의 선단에 접촉되면서 그 충격으로 다소 좌우로 회전하면서 손상을 받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robe 200 after the sample is collected is not unidirectionally orien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en the pressing piece 123 and the disk-shaped sample are located in parallel, the pressing piece 123 moves the sample to the side of the sample. It can also be pressurized. Therefore,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sample, the sample is configured to not be damaged while being rotated to the left and right slightly due to the impact while contacting the tip of the pressing piece 123 which is staggered.

상기 파쇄기구(120)의 한 쌍의 가압편(123)이 제어부의 신호를 받아 프로브(200)의 선단을 가압하면, 세라믹 재질인 프로브(200) 선단의 헤드부가 부서지게 된다. 프로브(200)의 헤드부가 부서지면, 프로브 내부에 있던 시료, 기타 헤드부의 내열보호관, 센서부, 연소된 지관 등의 프로브 잔해물이 수용부(130)로 낙하하게 된다. 이 때, 시료와 시료케이스는 분리될 수도 있고, 시료케이스 내부에 시료가 담긴 형태로 클립이 제거되지 않아 함께 존재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시료"라는 용어에는 문맥상 허용되는 한 "시료가 담긴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하기로 한다.When the pair of pressing pieces 123 of the crushing mechanism 120 press the tip of the probe 200 in response to a signal from the controller, the head of the tip of the probe 200 made of ceramic material is broken. When the head portion of the probe 200 breaks down, probe debris such as a sample inside the probe, a heat-resistant protective tube of the head portion, a sensor portion, and a burned branch tube falls to the accommodation portion 130. In this case, the sample and the sample case may be separated, or may be present together because the clip is not removed in the form of the sample inside the sample case. Therefore,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term "sample" is to be interpreted to include "case containing the sample" as long as the context allows.

상기의 파쇄기구(120)에 의해 프로브(200)에 담긴 시료는 파쇄기구(120) 하단에 놓인 수용부(130)로 낙하할 수도 있지만, 프로브(200) 내부의 센서부에서 상부로 연결되는 보상도선 등에 의해 방해를 받게 되는 경우에는 낙하되지 않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프로브회수 기구(110)에 추가적인 충격장치인 타격구(170)를 설치하여 시료가 보다 쉽게 낙하되도록 하고 있다. The sample contained in the probe 200 by the shredding device 120 may fall into the receiving part 130 placed at the bottom of the shredding device 120, but is compensated to be connected upward from the sensor part inside the probe 200. If it is disturbed by a wire or the like, it may not fall.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n impact device 170, which is an additional impact device to the probe recovery mechanism 110, the sample is more easily dropped.

상기 타격구(170)는 장치고정틀의 고정 기둥에 고정되어 있으며, 프로브(200)의 몸체를 1회 혹은 다수 회 타격함으로써, 부서진 프로브(200) 선단의 헤드부에 진동을 주어 시료를 낙하시키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프로브 몸통의 중간 또는 중간의 약간 아래 부분을 가격할 수 있도록 타격구(170)가 설치되어 있다. 타격구(170) 선단에 설치된 타격 봉은 파쇄기구(120)의 가압 타이밍에 맞추어 설정된 제어부의 프로그램에 따라 프로브(200)의 중간부분을 1회 또는 그 이상 타격하게 된다.The blower 170 is fixed to the fixed column of the device fixing frame, by hitting the body of the probe 200 once or a plurality of times, by vibrating the head portion of the tip of the broken probe 200 to drop the sample to b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wer 170 is installed to strike the middle or slightly lower portion of the probe body. The striking rod installed at the tip of the striking aperture 170 strikes the middle portion of the probe 200 one or more times according to the program of the controller set according to the pressing timing of the shredding mechanism 120.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는, 타격구(170)의 설치 유무에 관계없이, 시료의 낙하를 돕기 위해서는 파쇄기구(120)가 가압된 상태로, 가압방향이 아닌, 프로브(200)의 앞뒤 방향으로 파쇄기구(120)를 흔들어 진동을 주는 방법으로 시료가 낙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However, if necessary, irrespective of whether the striking tool 170 is installed or not, the shredding mechanism 120 is pressed in order to help the specimen fall, and shredd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probe 200 instead of the pressing direction. It is also possible to cause the sample to fall by shaking the instrument 120 to vibrate.

프로브(200)의 헤드부가 낙하하게 되면, 시료를 제외한 잔해는 비금속 이거나 또는 자성재료가 아니기 때문에, 전자석을 이용하여 분리해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시료와 같은 철은 강자성체로 알려져 있으나, 퀴리온도 이상에서는 자성을 잃고 상자성체가 된다. 순철의 퀴리온도는 768℃로써, 시료케이스에서 응고된 시료는 취출단계에서 이 퀴리온도보다 높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시료는 강자성을 갖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전자석을 이용하여 시료를 자력을 이용하여 견인하기 위해서는 시료를 퀴리온도 아래로 끌어내리기 위한 냉각 과정이 필요하게 된다.When the head of the probe 200 falls, the debris except for the sample is nonmetallic or magnetic, and can be separated using an electromagnet. In general, iron as a sample is known as a ferromagnetic material, but above the Curie temperature, it loses its magnetism and becomes paramagnetic. The Curie temperature of pure iron is 768 ° C, and the sample solidified in the sample case may be higher than the Curie temperature at the extraction stage, in which case the sample may not have ferromagnetic properties. Therefore, in order to pull the sample by the magnetic force using the electromagnet, a cooling process for pulling the sample below the Curie temperature is required.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장치고정틀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수용부(130)에는, 상기 시료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가 담겨 있는 냉각수조(134)와, 상기 냉각수조의 냉각수 속에 잠겨 파쇄되어 낙하하는 시료 및 프로브 잔해물을 받아내는 그물망(133)과, 상기 그물망에 놓여진 프로브 잔해물을 잔해물 용기로 낙하시키는 잔해제거 기구(1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portion 130, which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apparatus fixing frame, the cooling water tank 134 containing the cooling water for cooling the sample, the sample immersed in the cooling water of the cooling water tank crushed and falling; And a debris removal mechanism 131 for dropping the probe debris placed in the mesh into the debris container.

따라서 파쇄기구(120) 및 타격구(170)에 의해 파쇄되어 낙하하는 시료 및 모든 프로브 잔해물은 수용부(130)의 냉각수조(134) 내의 냉각수 속에 설치되어 있는 그물망(133) 위에 떨어지게 된다. Accordingly, the sample and all the probe debris that are crushed and dropped by the crushing mechanism 120 and the blower 170 fall on the mesh 133 installed in the cooling water in the cooling water tank 134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130.

그물망(133) 위에 떨어진 시료는, 장치고정틀의 고정 기둥에 고정되어 있는 견인기구(140)에 구비된 전자석의 자력에 의해 견인되어, 전자석에 부착된 상태로 이동하게 되며, 필요한 장소에서 전자석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여 시료 분석에 활용 가능하게 된다. 상기 견인 기구(140)는 상하이동 및 좌우이동이 가능토록 구성되어 있어서, 통상 견인된 시료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프로브회수 기구(110)의 측면부에 별도로 설치되는 상승장치(150)로 이동시킨다. 상승장치는 컨베이어 벨트를 주로 사용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의 모든 상승 수단을 원용할 수 있다.The sample dropped on the mesh 133 is pull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electromagnet provided in the traction mechanism 140 fixed to the fixed column of the apparatus fixing frame, and is moved to the state attached to the electromagnet, and separated from the electromagnet at the required place. It can be used for sample analysis. The traction mechanism 140 is configured to be movable in Shanghai and left and right, so that the normally towed sample is moved to the lifting device 150 that is separately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probe recovery mechanism 110, as shown in FIG. 2. Let's do it. The lifting device mainly uses, but is not limited to, a conveyor belt, and may use any known lifting means.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시료회수 장치 중, 잔해제거 기구(131)로서, (a)는 평단면, (b)는 정단면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견인기구(140)에 의하여 자력으로 선별 견인된 시료 이외의 프로브 잔해물은 잔해제거 기구(131)에 의하여 수용부(130) 밖으로 제거된다. 수용부(130) 내에 설치되어 있는 잔해제거 기구(131)의 그물망(133)은 회전축(132)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을 하면서 회전축(132)의 반대 쪽 단부가 상승하는 형태로 뒤집히면서, 그물망(133) 위에 남아 있던 프로브 잔해물들을 아래 쪽 지상 방향으로 낙하시키게 된다. 상기 잔해제거 기구(131)의 그물망(133)으로부터 낙하하는 프로브 잔해물은 별도의 잔해물 용기(도시 안함)에 떨어지도록 하여, 수거 폐기된다. 5 is a debris removal mechanism 131 of the sample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 (a) is a flat cross section and (b) is a front cross sectional conceptual view. Referring to FIG. 5, probe debris other than the sample that is selectively pulled and pulled by the traction mechanism 140 are removed out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30 by the debris removal mechanism 131. The net 133 of the debris removal mechanism 131 installed in the receiving unit 130 is rotated about the rotating shaft 132 while the opposite end of the rotating shaft 132 is turned upside down, and the net is turned upside down. Probe debris remaining on 133 is dropped to the ground below. Probe debris falling from the mesh 133 of the debris removal mechanism 131 falls into a separate debris container (not shown), and is collected and discarded.

본 발명의 시료회수 장치에는, 시료를 올려놓는 거치대(160)와, 상기 거치대(160)로 시료를 이동시키기 위한 상승장치(15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승장치(150)는 시료를 사람의 허리 높이 수준으로 설치되는 시료 거치대(160)에 보관할 수 있도록, 시료를 위쪽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승장치(1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로 방향으로 다수의 단턱(151)을 두어 경사가 급한 상승장치(150)에서도 시료가 아래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In the sample coll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cradle 160 for placing a sample and a lifting device 150 for moving the sample to the cradle 160 may be further installed. The lifting device 150 serves to move the sample upward so that the sample can be stored in the sample holder 160 installed at the waist level of the person. A plurality of stepped portions 151 were plac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sing device 150 to prevent a phenomenon in which the sample was pushed down even in the steep rising device 150.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시료회수 장치 중, 거치대로서, (a)는 평단면, (b)는 정단면 개념도이다. 도 6의 거치대(160)는 상기 상승장치(150)의 끝에 작업자의 허리 또는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며, 인체공학적으로 편리한 위치에서 시료 회수 및 활용이 용이하도록 한다. 6 is a cradle in the sample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 (a) is a flat cross section and (b) is a front cross sectional conceptual view. The cradle 160 of FIG. 6 is installed at a waist or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operator at the end of the lifting device 150 to facilitate sample collection and utilization at an ergonomically convenient position.

때로는 시료를 회수하여 분석하지 않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므로, 이럴 경우에는 시료가 거치대(160)에 놓여진 상태로 장시간 있게 되므로, 다음번으로 이어지는 프로브 측정 및 시료 회수 시에 새로이 회수한 시료를 구분할 수 없게 되는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Sometimes the sample is not collected and analyzed, so in this case, the sample is placed on the holder 160 for a long time, so that the newly recovered sample cannot be distinguished at the next probe measurement and sample collection. There may be discomfort.

이러한 불편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시료를 분리 거치할 수 있는 2층 이상의 거치판(161, 162)이 형성된 거치대(16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거치대(160)가 2층으로 설치되는 경우, 위쪽 층에 설치되는 1차 거치판(161)은 위치이동 기구(163)에 의하여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이 가능토록 설치되고, 하단의 2차 거치판(162)은 1차 거치판(161)와 폭은 같고, 길이는 길게 하여, 1차 거치판(161)이 2차 거치판(162)의 길이 방향으로 그 길이 범위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토록 설치된다. 따라서, 1차 시료는 1차 거치판에, 2차 시료는 2차 거치판에 교번으로 위치하게 하는 방식으로, 시료의 분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였다.In order to solve this inconvenienc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6, it is provided with a cradle 160 formed with two or more mounting plates (161, 162) capable of separating and mounting two or more samples. When the cradle 160 is installed in two layers, the first cradle plate 161 installed on the upper floor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a slide manner by the position moving mechanism 163, and the second cradle plate at the bottom thereof. 162 is the same width as the primary mounting plate 161, the length is long, the primary mounting plate 161 is installed so that the sliding movement within the length rang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ary mounting plate 162. do. Therefore, the primary sample is placed on the primary mounting plate and the secondary sample is alternately located on the secondary mounting plate, thereby facilitating classification and storage of the sample.

본 발명에 의한 거치대(160) 및 상승장치(150)는 장치고정틀에 프로브회수 기구(110)와 함께 고정할 수 있으나, 별도로 따로 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거치대(160) 및 상승장치(150)는 설치위치 변경이 용이하도록 하단에 구동장치 또는 바퀴를 설치하고, 필요에 따라 이동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cradle 160 and the lifting device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ixed to the device fixing frame together with the probe recovery mechanism 110, but may be configured to fall apart separately. The cradle 160 and the lifting device 150 is configured to install a drive device or a wheel at the bottom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position change, and to be installed to move as need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프로브가 채취한 시료의 회수 방법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method for recovering a sample collected by the pro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시료를 채취한 프로브로부터 시료를 회수하는 방법은, 우선 제어부에서 신호를 송출하여 시료가 담긴 프로브를 프로브회수 기구(110)의 그립퍼로 파지하여 파쇄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파쇄준비단계) 다음은 상기 이동된 프로브의 선단 헤드부에 충격을 가하여 시료를 분리하게 된다. (파쇄단계) In the method of recovering a sample from a probe from which a s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llected, first, a signal is sent from a control unit so that the probe containing the sample is gripped by a gripper of the probe recovery mechanism 110 to move to a crushed position. (Preparation for shredding) Next, the sample is separated by applying an impact to the tip head of the moved probe. (Crushing stage)

이렇게 하여 시료가 분리되면 시료는 아직 고온 상태에 있게 되므로 자성의 회복을 위하여 분리된 시료를 냉각수 속에서 냉각 시키게 된다. (시료냉각단계) 이어서 냉각된 시료는 전자석이 구비된 견인기구를 이용하여 자력으로 선별되어 필요한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시료이송단계) In this way, when the sample is separated, the sample is still in a high temperature state, thereby cooling the separated sample in cooling water to recover the magnetic properties. (Sample Cooling Step) The cooled sample is then selected by magnetic force using a traction mechanism provided with an electromagnet and moved to a required position. (Sample transfer step)

상기 시료이송단계에서 냉각된 시료를 단턱(151)이 구비된 상승장치(150)에 올려져, 필요한 높이로 끌어 올리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향이송단계) 이러한 상향 이송은 거치대(160)의 높이에 맞도록 시료를 끌어 올리기 위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시료회수 방법에는, 2회 이상 채취된 여러 시료가 서로 구분되도록 2층 이상으로 된 거치대에 분류 보관하는 시료분류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The sample cooled in the sample transfer step may be further mounted to the lifting device 150 provided with the step 151, the step of pulling up to the required height. (Upward feed step) This upward feed is most often for lifting the sample to fit the height of the cradle 160. In addition, the sample colle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ample classification step of classifying and storing in a cradle made of two or more layers so that several samples collected two or more time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기초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은 분명하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one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Further, any matter which has substantially the same constitution as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chieves the same operational effect is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시료회수장치 110. 프로브회수 기구
111 : 암(arm) 112 : 그립퍼(gripper) 113 : 커버
120 : 파쇄기구 121, 122 : 가압수단
130 : 수용부 131 : 잔해제거 기구 132 : 회전축
133 : 그물망 134 : 냉각수조
140 : 견인기구 141 : 전자석
150 : 상승장치 151 : 단턱
160 : 거치대 161 : 1차 거치판 162 : 2차 거치판
163 : 위치이동 기구 170 : 타격구 200 : 프로브
300 : 침지장치
100. Sample recovery device 110. Probe recovery device
111: arm 112: gripper 113: cover
120: shredding mechanism 121, 122: pressing means
130: accommodating part 131: debris removal mechanism 132: rotating shaft
133: net 134: cooling water tank
140: towing mechanism 141: electromagnet
150: lift device 151: step
160: holder 161: primary mounting plate 162: secondary mounting plate
163: position movement mechanism 170: blow hole 200: probe
300: dipping device

Claims (11)

시료를 채취한 프로브로부터 시료를 회수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를 그립퍼로 파지하여 파쇄 위치로 이동시키는 프로브회수 기구와;
상기 프로브회수 기구로부터 전달 받은 프로브의 선단을 파쇄하는 파쇄기구와;
상기 파쇄기구에서 선단이 파쇄된 프로브에 추가 충격을 가하여 시료의 낙하를 돕는 타격구와;
상기 타격구의 추가충격을 받고 낙하하는 프로브 헤드부의 시료 또는 시료가 담긴 시료케이스 및 프로브 잔해물을 받아내는 수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가 채취한 시료의 회수장치.
In the apparatus for recovering a sample from a probe taken a sample,
A probe recovery mechanism for gripping the probe with a gripper to move the probe to a fracture position;
A crushing mechanism for crushing the tip of the probe received from the probe recovery mechanism;
A striking tool to help the sample drop by applying an additional impact to the probe whose tip is broken in the shredding mechanism;
And a sample case containing a sample or a sample of a probe head portion falling under the impact hole, and an accommodat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probe debri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수장치에는,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시료 또는 시료가 담긴 시료케이스를 전자석으로 선별하여 견인하는 견인기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가 채취한 시료의 회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covery device further comprises a traction mechanism for selecting and pulling the sample or the sample case containing the sample from the receiving portion with an electromagnet, wherein the sample is collected by the prob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쇄기구는, 상기 프로브의 선단에 대하여 횡축으로 충격을 가하는 한 쌍의 가압수단과;
상기 각 가압수단의 선단을 이루는 한 쌍의 가압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가 채취한 시료의 회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hredding mechanism includes: a pair of pressing means for impacting the tip of the probe in a horizontal axis;
And a pair of pressing pieces constituting the tip of each pressing means.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압편의 끝단은, 서로 엇갈리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가 채취한 시료의 회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An end of each of the pair of press pieces is arranged alternately with each other, the sample recovery apparatus collected by the prob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는, 냉각수 속에 잠겨서, 파쇄되어 낙하하는 시료 및 프로브 잔해물을 받아내는 그물망과;
상기 그물망에 놓여진 프로브 잔해물을 잔해물 용기로 낙하시키는 잔해물 제거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가 채취한 시료의 회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ccommodating part includes: a net immersed in cooling water and receiving a sample and probe debris that is crushed and dropped;
And a debris removal mechanism for dropping probe debris placed in the mesh into a debris container.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그물망은, 냉각수조에 담긴 냉각수 속에 잠겨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가 채취한 시료의 회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net is, the sample collection device collected by the prob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bmerged in the cooling water contained in the cooling water tank.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료회수 장치에는, 상기 시료를 올려놓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로 시료를 이동시키기 위한 상승장치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가 채취한 시료의 회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ample collection device, the cradle for placing the sample;
A device for recovering a sample collected by a probe, characterized in that a lifting device for moving the sample to the cradle is further installed.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2개 이상의 시료를 분리 거치할 수 있는 2층 이상의 거치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가 채취한 시료의 회수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cradle is a recovery device for the sample collected by the probe,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or more layers of plate is formed to separate the two or more samples.
시료를 채취한 프로브로부터 시료를 회수하는 방법에 있어서,
시료가 담긴 프로브를 프로브회수 기구의 그립퍼로 파지하여 파쇄 위치로 이동시키는 파쇄준비단계;
상기 프로브의 선단에 충격을 가하여 시료를 분리하는 파쇄단계;
분리된 시료를 냉각시키는 시료냉각단계;
냉각된 시료를 전자석이 구비된 견인기구를 이용하여 이동시키는 시료이송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가 채취한 시료의 회수방법.
In the method of recovering a sample from a probe taken a sample,
A preliminary preparation step of holding the probe containing the sample with a gripper of the probe recovery mechanism and moving it to a crushing position;
A crushing step of separating the sample by applying an impact to the tip of the probe;
A sample cooling step of cooling the separated sample;
And a sample transfer step of moving the cooled sample using a traction mechanism provided with an electromagnet.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시료이송단계는, 냉각된 시료를 단턱이 구비된 상승장치에 올려, 필요한 높이로 끌어 올리는 상향이송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가 채취한 시료의 회수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The sample transfer step, the method of recovering the sample collected by the pro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upward transfer step to raise the cooled sample to the lifting device provided with a step, the required height.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시료회수 방법에는, 2회 이상 채취된 여러 시료가 서로 구분되도록 2층 이상으로 된 거치대에 분류 보관하는 시료분류단계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가 채취한 시료의 회수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The method for recovering the sample collected by the probe further comprises a sample classification step of classifying and storing a plurality of samples collected two or more times in a cradle of two or more layers so as to distinguish each other.
KR1020110147328A 2011-12-30 2011-12-30 An apparatus and method of taking metal sample from probe KR1013193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328A KR101319315B1 (en) 2011-12-30 2011-12-30 An apparatus and method of taking metal sample from prob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328A KR101319315B1 (en) 2011-12-30 2011-12-30 An apparatus and method of taking metal sample from prob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8400A true KR20130078400A (en) 2013-07-10
KR101319315B1 KR101319315B1 (en) 2013-10-16

Family

ID=48991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7328A KR101319315B1 (en) 2011-12-30 2011-12-30 An apparatus and method of taking metal sample from prob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9315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87614A (en) * 2019-09-26 2019-11-22 哈工大机器人智能制造有限公司 A kind of automatic broken sample equipment based on molten iron automation sample examination
CN113607483A (en) * 2021-08-04 2021-11-05 广东韶钢松山股份有限公司 Device for automatically taking out steel sample in molten steel sampler
CN117405450A (en) * 2023-10-18 2024-01-16 苏州苏铸智能装备有限公司 Full-automatic demoulding sampling device of blast furnace molten steel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1541A (en) * 1992-12-28 1994-07-19 Osaka Oxygen Ind Ltd Sample-collecting device for sampling melted material and sampling probe
JPH0664127U (en) * 1993-02-15 1994-09-09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Automatic sample analyze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87614A (en) * 2019-09-26 2019-11-22 哈工大机器人智能制造有限公司 A kind of automatic broken sample equipment based on molten iron automation sample examination
CN110487614B (en) * 2019-09-26 2024-03-26 哈工大机器人智能制造有限公司 Automatic sample breaking equipment based on automatic sampling and assaying of molten iron
CN113607483A (en) * 2021-08-04 2021-11-05 广东韶钢松山股份有限公司 Device for automatically taking out steel sample in molten steel sampler
CN117405450A (en) * 2023-10-18 2024-01-16 苏州苏铸智能装备有限公司 Full-automatic demoulding sampling device of blast furnace molten steel
CN117405450B (en) * 2023-10-18 2024-05-14 苏州苏铸智能装备有限公司 Full-automatic demoulding sampling device of blast furnace molten ste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9315B1 (en) 201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0956B1 (en) Sampler for taking samples from melts having a melting point higher than 600℃,and method for taking samples
KR101319315B1 (en) An apparatus and method of taking metal sample from probe
CN110954452B (en) TBM (tunnel boring machine) carrying type test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obtaining particle size and strength characteristics of rock slag
ES2694161T3 (en) Skimming, stirring and sampling of crucibles station
ES2729345T3 (en) Underwater drilling device and procedure for obtaining and analyzing background samples of a water body
CN113607483A (en) Device for automatically taking out steel sample in molten steel sampler
CN115727976A (en) Replacement system and replacement method for metallurgical temperature measurement sampling probe
CN103288022B (en) Test tube cover collection mechanism
CN110133207B (en) Automatic rare earth metal sorting device and sorting method thereof
CN105683435A (en) Automatic needle placement machine and automatic placement method
JP5919965B2 (en) Material testing machine
JPH07218155A (en) Sleeve provided probe and probe exchanging device
KR101321333B1 (en) Apparatus for breaking probe used
CN211255929U (en) Gene detection equipment
CN112536804A (en) Intelligent robot detects cement intensity detection device
CN104316371A (en) Sample separation device for metallographic sample, and using method of sample separation device for metallographic sample
CN111323254A (en) Scrap collecting device and method for steel sample
CN209752975U (en) Polycrystalline silicon carbon head material processing device
CN212134562U (en) Automatic rapid detection equipment for mass spectrum detection
CN205643049U (en) Impact tester
CN108483054A (en) Automotive hub net filter used for casting transport mechanism
KR10183451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probe of sub lance
CN204792748U (en) Automatic grabbing device of crystalline grain
CN217384769U (en) Sampling and sample processing system in steel smelting
CN207480528U (en) Transfer matic inspects platform by random samp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