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7698A - 텔레비젼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텔레비젼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7698A
KR20130077698A KR1020110146561A KR20110146561A KR20130077698A KR 20130077698 A KR20130077698 A KR 20130077698A KR 1020110146561 A KR1020110146561 A KR 1020110146561A KR 20110146561 A KR20110146561 A KR 20110146561A KR 20130077698 A KR20130077698 A KR 20130077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member
copolymer resin
television housing
rubber
aromatic vi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6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2888B1 (ko
Inventor
이조원
진경식
주민정
신승식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6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2888B1/ko
Priority to US13/723,381 priority patent/US20130169121A1/en
Priority to EP12198911.5A priority patent/EP2610294B1/en
Priority to PL12198911T priority patent/PL2610294T3/pl
Priority to CN201210591682.9A priority patent/CN103188464B/zh
Publication of KR20130077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7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텔레비젼 하우징은 스테인레스 스틸(SUS) 프레임; 및 상기 스테인레스 스틸 프레임의 최소한 일면에 접하는 플라스틱 부재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플라스틱 부재는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B)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및 (C) 비결합성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라스틱 부재는 우수한 외관, 광택 및 표면조도와 고강성을 가지며, 치수안정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텔레비젼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TELEVISION HOUSING AND METHI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텔레비젼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특정 성형방법과 비결합성 유리섬유를 도입하여 우수한 외관, 치수안정성, 광택성 및 표면조도를 가지며 고강성을 갖는 텔레비젼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PC/ABS는 polycarbonate (PC)와 ABS의 블렌드로서 일반적으로 고광택, 고유동, 고충격 등이 요구되는 전자제품 외장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PC/ABS 만으로는 강성과 치수안정성이 떨어져 근래에는 PC/ABS에 유리섬유로 보강한 보강재료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이 유리 섬유로 강화된 PC/ABS는 치수 안정성과 고강성이 요구되는 제품에 사용되며, 또한 전기 전자 제품의 내부 부품용으로도 널리 사용 되고 있다. 그런데, 유리섬유 보강 수지는 외관품질 수준이 낮은 관계로 전자제품 외장 부품으로 적용이 어려워 사용범위를 넓히는데 한계로 작용하고 있다.
즉, 유리섬유의 경우 치수 안정성 및 고강성에 효과가 있으나 PC/ABS Blend에 적용시 유리섬유의 돌출로 인하여 고외관 application에는 적용이 제한되고 있다.
따라서, 치수안정성 및 강성이 우수하면서도 외관이 우수한 소재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플라스틱 부재의 치수안정성 및 강성이 우수하면서도 외관이 우수한 텔레비젼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SUS 프레임과 플라스틱 부재간 수축률 차이를 최소화한 텔레비젼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택, 외관 및 표면조도가 우수한 텔레비젼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텔레비젼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텔레비젼 하우징은 스테인레스 스틸(SUS) 프레임; 및 상기 스테인레스 스틸 프레임의 최소한 일면에 접하는 플라스틱 부재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플라스틱 부재는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B)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및 (C) 비결합성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예에서, 상기 플라스틱 부재는 스팀몰드 방식으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라스틱 부재는 ASTM D 2457 방법으로 측정한 광택도가 95 이상이며, ASTM D 4417-B방법으로 측정한 표면조도(Ra) 가 20 nm 이하 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스테인레스 스틸(SUS) 프레임과 상기 플라스틱부재는 ASTM C356 방법으로 측정한 수축률 차이가 0.002 cm/cm 이하 일 수 있다.
상기 (C) 비결합성 유리섬유는 평균길이가 2~5 ㎜이고, 평균직경이 10㎛~ 20㎛일 수 있다.
상기 (C) 비결합성 유리섬유는 플라스틱 부재 표면에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라스틱 부재는 충격보강제, 난연제, 적하방지제, 항균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이형제, 광안정제, 무기물 첨가제, 계면활성제, 가소제, 활제, 정전기방지제 및 착색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를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텔레비젼 하우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B)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및 (C) 비결합성 유리섬유를 스팀몰드하여 플라스틱 부재를 제조하고; 그리고 상기 플라스틱 부재를 스테인레스 스틸(SUS) 프레임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 부재의 치수안정성 및 강성이 우수하면서도 외관이 우수하며, SUS 프레임과 플라스틱 부재간 수축률 차이를 최소화하고, 광택, 외관 및 표면조도가 우수한 텔레비젼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텔레비젼 하우징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도면에서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기술된 것일 뿐,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텔레비젼 하우징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예에 따른 텔레비젼 하우징은 스테인레스 스틸(SUS) 프레임(10)과 상기 스테인레스 스틸 프레임의 최소한 일면에 접하는 플라스틱 부재(20)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스테인레스 스틸 프레임(10)과 상기 플라스틱 부재(20)의 형태는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상기 스테인레스 스틸 프레임(10)과 상기 플라스틱 부재(20)는 최소한 일면이 서로 접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접한 구조는 접착 혹은 삽입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접하는 방법은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스테인레스 스틸 프레임(10)은 텔레비젼 하우징에 적용되는 통상의 제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업적 구입이 용이하다.
상기 플라스틱 부재(20)는 형태의 제한은 없으나, 재질은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B)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및 (C) 비결합성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 플라스틱 부재를 이루는 각 성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페놀류와 포스겐, 할로겐산 에스테르, 탄산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조합과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단일 결합,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5 알케닐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5 알킬리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할로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5 내지 C6 사이클로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5 내지 C6 사이클로알케닐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5 내지 C10 사이클로알킬리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콕실렌기, 할로겐산 에스테르기, 탄산 에스테르기, CO, S 또는 SO2 이고, R1 및 R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이며, n1 및 n2는 각각 0 내지 4의 정수이다.)
본 발명에서 "치환된"의 의미는 수소, 할로겐원자, 하이드록시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아미노기, 아지도기, 아미디노기, 히드라지노기, 카르보닐기, 카르바밀기, 티올기, 에스테르기, 카르복실기 또는 그의 염, 술폰산기 또는 그의 염, 포스페이트기 또는 그의 염, 탄소수 1-20의 알킬기, 탄소수 2-20의 알케닐기, 탄소수 2-20의 알키닐기, 탄소수 1-20의 알콕시기, 탄소수 6-30의 아릴기, 탄소수 6-30의 아릴옥시기, 탄소수 3-30의 사이클로알킬기, 탄소수 3-30의 사이클로알케닐기, 탄소수 3-30의 사이클로알키닐기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의미한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페놀류는 2종 이상이 조합되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반복단위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디페놀류의 구체적인 예로는, 히드로퀴논, 레조시놀, 4,4'-디히드록시디페닐,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비스페놀-A'라고도 함), 2,4-비스(4-히드록시페닐)-2-메틸부탄, 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사이클로헥산, 2,2-비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4-히드록시페닐)술폭사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케톤, 비스(4-히드록시페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또는 1,1-비스(4-히드록시페닐)사이클로헥산을 사용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0 g/mol 내지 200,000 g/mol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예에서는 15,000 g/mol 내지 80,000 g/mol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2종 이상의 디페놀류로부터 제조된 공중합체의 혼합물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선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분지형(branched)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선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는 비스페놀-A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는 트리멜리틱 무수물, 트리멜리틱산 등과 같은 다관능성 방향족 화합물을 디페놀류 및 카보네이트와 반응시켜 제조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방향족 화합물은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총량에 대하여 0.05 내지 2몰%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수지로는 이관능성 카르복실산을 디페놀류 및 카보네이트와 반응시켜 제조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카보네이트로는 디페닐카보네이트 등과 같은 디아릴카보네이트, 에틸렌 카보네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A)는 ISO 1133으로 300℃, 1.2kg에서 유동 지수를 측정하였을 때 5 내지 120g/10min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동지수가 다른 2종 이상의 폴리카보네이트의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5~15g/10min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20~60중량%, 16~50g/10min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20~60중량% 및 51~120g/10min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5~40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우수한 물성발란스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플라스틱 부재를 이루는 기초수지 (A)+(B) 100 중량%중 60 중량% 내지 9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9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상기 함량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경우 충격강도, 내열성 및 가공성의 물성 밸런스가 우수하다.
(B)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본 발명에 따른 고무 변성 방향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B)는 방향족 비닐계 중합체로 이루어진 매트릭스(연속상) 중에 고무질 중합체가 입자형태로 분산되어 존재하는 중합체이다.
하나의 구체예에서는 상기 고무 변성 방향족 비닐계 그라프트공중합체 수지(B)는 고무질 중합체 단위 20 내지 50 중량%, 방향족 비닐 단위 40 내지 60 중량% 및 시안화비닐 단위 10 내지 30 중량%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무 변성 방향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는 고무질 중합체에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를 첨가하여 중합된다. 이와 같은 고무 변성 방향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는 유화중합, 현탁중합, 괴상중합과 같은 알려진 중합방법에 의하여 제조가 가능하며, 통상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와 공중합체 수지를 혼합 압출에 의해 생산한다. 괴상중합의 경우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와 공중합체 수지를 별도로 제조하지 않고 일단계 반응공정만으로 고무 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를 제조하나 어느 경우에도 최종 고무 변성 방향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B) 성분 중에서 고무함량은 약 1 내지 약 30 중량%의 것이 가장 적합하다. 상기 고무의 입자 크기는 Z-평균으로 약 0.1 내지 약 6.0 ㎛이며, 바람직한 물성을 내기 위해서는 고무상의 입자크기가 Z-평균으로 약 0.25 내지 약 3.5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고무 변성 방향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단독으로 또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및 공중합체 수지를 함께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각각의 상용성을 고려하여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1)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본 발명의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는 고무질 중합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 및 선택적으로 가공성 및 내열성을 부여하는 단량체를 그라프트 공중합시켜 얻는다.
상기 고무질 중합체의 예로는 폴리부타디엔, 폴리(스티렌-부타디엔), 폴리(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등의 디엔계 고무 및 상기 디엔계 고무를 수소 첨가한 포화고무, 이소프렌고무, 폴리부틸아크릴산 등의 아크릴계고무 및 에틸렌-프로필렌-디엔단량체 삼원공중합체(EPDM)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특히 디엔계 고무가 바람직하며 부타디엔계 고무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고무질 중합체의 함량은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B1) 전체 중량 중 약 5 내지 약 65 중량%가 적당하다. 상기 고무입자의 평균 크기는 충격강도 및 외관을 고려하여 약 0.1 내지 약 4 ㎛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 혼합물 중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β-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파라 t-부틸스티렌, 에틸스티렌, 비닐크실렌, 모노클로로스티렌, 디클로로스티렌, 디브로모스티렌, 비닐 나프탈렌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중 스티렌이 가장 바람직하다.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B1) 전체 중량 중 약 34 내지 약 94 중량%를 사용하여 그라프트 공중합을 시킨다.
본 발명의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B1)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를 1종 이상 도입할 수 있다. 도입가능한 단량체로는 아크릴로니트릴과 같은 시안화 비닐계와 에타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과 같은 불포화 니트릴계 화합물이 바람직하며,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단량체를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B1) 전체 중량 중 약 1 내지 약 30 중량%를 사용하여 공중합을 시킨다.
상기 가공성 및 내열성을 부여하기 위한 단량체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무수말레인산, 및 N-치환말레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부가되는 단량체의 함량은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B1) 전체 중량 중 약 0 내지 약 15 중량%이다.
(B2) 공중합체 수지
상기 공중합체 수지(B2)는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B1)의 성분 중 고무를 제외한 단량체 비율과 상용성에 따라 제조되며, 스티렌계 단량체, 스티렌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 및 선택적으로 가공성 및 내열성을 부여하는 단량체를 첨가하여 공중합시켜 얻는다.
상기 스티렌계 단량체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β-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파라 t-부틸스티렌, 에틸스티렌, 모노클로로스티렌, 디클로로스티렌, 디브로모스티렌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중 스티렌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스티렌계 단량체는 상기 공중합체 수지(B2) 전체 중량 중 약 60 내지 약 90 중량%를 사용하여 공중합체 수지를 얻는다.
상기 스티렌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예로는 아크릴로니트릴과 같은 시안화비닐계 화합물 또는 에타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과 같은 불포화니트릴계 화합물이 바람직하며,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스티렌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함량은 공중합체 수지(B2) 전체 중량 중 약 10 내지 약 40 중량%이다.
상기 가공성 및 내열성을 부여하기 위한 단량체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무수 말레인산, N-치환말레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가공성 및 내열성을 부여하기 위해 공중합 시에 첨가되는 단량체의 함량은 공중합체 수지(B2) 전체 중량 중 약 0 내지 약 30 중량%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고무 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B)의 예로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수지(ABS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에틸렌프로필렌고무-스티렌 공중합체 수지(AES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아크릴고무-스티렌 공중합체 수지(AAS 수지) 등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고무 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B)는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B1) 약 10 내지 약 100 중량% 및 공중합체 수지(B2) 약 0 내지 약 90 중량%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사용한다. 구체예에서는 상기 고무 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B)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B1) 약 55 내지 약 90 중량% 및 공중합체 수지(B2) 약 10 내지 약 45 중량%로 이루어진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는 상기 고무 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B)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B1) 15 내지 50 중량% 및 공중합체 수지(B2) 50 내지 85 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무 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B)는 플라스틱 부재를 이루는 기초수지 (A)+(B) 100 중량%중 5 중량% 내지 4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경우 충격강도, 내열성 및 가공성의 물성 밸런스가 우수하다.
(C) 비결합성 유리섬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결합성 유리섬유(C) 는 유리섬유 표면에 커플링제와 같은 결합성 유기물이 존재하지 않는 유리섬유이다.
상기 비결합성 유리섬유(C)는 스팀몰드 가공시 매트릭스와 결합되지 않아 유동성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비결합성 유리섬유(C)는 성형시 플라스틱 부재 내부로 이동하게 되므로 플라스틱 부재 표면에 노출되지 않는다. 여기서 '노출'은 통상의 태양광에서 육안으로 식별되는 정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결합성 유리섬유(C)는 2~5㎜의 평균길이를 갖는다. 상기 범위에서 투입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비결합성 유리섬유(C)는 10~20㎛의 직경을 갖는다. 상기 범위에서 고강성성이 유지되며 돌출이 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기 비결합성 유리섬유(C)의 단면은 원형 또는 타원형일 수 있으며, 이중 바람직하게는 타원형이다. 구체예에서는 상기 비결합성 유리섬유(C)의 장경(a)과 단경(b)의 비율이 a/b = 1.0 ~ 1.2 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상기 비결합성 유리섬유(C)는 플라스틱 부재를 이루는 기초수지 (A)+(B) 100 중량부에 대하여, 5~2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고외관구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결합성 유리섬유(C)는 전체 플라스틱 부재중 5~2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부재는 난연성을 높이기 위해 난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인계 난연제, 할로겐계 난연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적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중 인계 난연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계 난연제는 통상의 인을 함유하는 난연제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적인, 포스페이트(Phosphate), 포스포네이트(Phosphonate), 포스피네이트(Phosphinate), 포스핀옥사이드(Phosphine Oxide), 포스파젠(Phosphazene) 및 이들의 금속염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부재는 충격보강제, 난연제, 적하방지제, 항균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이형제, 광안정제, 무기물 첨가제, 계면활성제, 가소제, 활제, 정전기방지제, 착색제 등의 통상의 첨가제를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텔레비젼 하우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상기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상기(B)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및 상기(C) 비결합성 유리섬유를 스팀몰드하여 플라스틱 부재를 제조하고; 그리고 상기 플라스틱 부재를 스테인레스 스틸(SUS) 프레임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스팀몰드는 RHCM (rapid heat cycle molding) 방식으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Steam을 이용하여 금형을 수지의 Tg이상의 고온으로 가열한 후, 수지를 사출하여 금형과 수지의 밀착성을 우수하게 하므로 유리섬유를 수지 내부로 함침이 용이하도록 하여 돌출을 최소화 한 후 냉각한다. 상기 RHCM (rapid heat cycle molding) 방식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플라스틱 부재는 ASTM D 2457 방법으로 측정한 광택도가 95 이상이며, ASTM D 4417-B방법으로 측정한 표면거칠기(Ra) 가 20 nm 이하 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플라스틱 부재는 ASTM D 2457 방법으로 측정한 광택도가 96~99 이며, ASTM D 4417-B방법으로 측정한 표면거칠기(Ra) 가 0.1~15 nm 일 수 있다.
또한 치수안정성이 우수 함으로 ASTM D-696을 이용한 Coefficient of Linear Thermal Expansion (α)가 40 ㎛/(m℃)이하 일 수 있다. 또한 ASTM C356을 이용한 수축률이 수축률이 0.003 cm/cm 이하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는 상기 스테인레스 스틸(SUS) 프레임과 상기 플라스틱부재는 ASTM C356방법으로 측정한 수축률 차이가 0.002cm/cm이하 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사용된 성분의 구체적인 사양은 다음과 같다.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ISO 1133에 의해 측정한 유동지수(300℃, 1.2kg)가 8g/10분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PC-1) 40 중량%, 20g/10분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PC-2) 41 중량% 및 62g/10분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PC-3) 19 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B)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B1)g-ABS : PBR 310 nm, SM/AN =71/29인 g-ABS 를 사용하였다.
(B2)SAN : MI (200oC, 5kg)가 5g/10분,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24 중량%이며, Mw가 150k인 SAN 수지를 사용하였다.
(C) 유리섬유
(C1) 직경이 13㎛이고, 길이가 3 mm 이며, 단면이 원형인 비결합성 유리섬유를 사용하였다.
(C2) 직경이 13㎛이고, 길이가 4 mm 이며, 단면이 원형인 비결합성 유리섬유를 사용하였다.
(C3) 직경이 13㎛이고, 길이가 3 mm 이며, 단면이 원형이고, 표면이 Epoxy 계열 로 처리된 결합성 유리섬유를 사용하였다.
(C4) 직경이 13㎛이고, 길이가 3 mm 이며, 단면이 원형이고, 표면이 Silane 계열 커플링제로 처리된 결합성 유리섬유를 사용하였다.
(C5) 직경이 13㎛이고, 길이가 3 mm 이며, 단면이 원형이고, 표면이 Urethane 계열로 처리된 결합성 유리섬유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2 및 비교예 1∼4
상기 각 구성성분에 다이하찌에서 제조한 BDP(Bisphenol A bis(diphenyl phosphate))를 13 중량부, 적하방지제로 미국 Dupont사의 테프론(상품명) 7AJ 0.8 중량부, 산화방지제 (Octadecyl 3-(3,5-Di.T.Butyl-4-hydrixy phenyl) propionate, IRGANOX 1076) 0.3 중량부 및 활제(FATTY ACID ESTER OF NEOPENTYLPOLYOL, UNISTER H-476 ) 0.4 중량부를 첨가한 후, RHCM 방식으로 스팀몰드하여 플라스틱 부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플라스틱 부재에 대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물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중량단위: 중량부)
비교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을 45Φ, 36L/D twin screw type 압출기에서 250 ℃에서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이 펠렛을 80 ℃에서 4시간 동안 건조한 후, 성형온도 250∼280 ℃, 금형온도 60∼ 150 ℃에서 6 oz 사출기를 이용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물성평가
1) 인장신율 : 2mm 두께의 시편에 대하여 ASTMD638에 의해 측정하였다.
2) 광택도 : ASTM D 2457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샘플사이즈: 20cm x 30cm, 두께 1 내지 2t)
3) 표면조도 : ASTM D 4417-B방법으로 측정 하였다. ASTM D 4417-B방법으로 측정한 표면거칠기(Ra) 가 20 nm 이하 일 수 있다. (샘플사이즈: 20cm x 30cm, 두께 1 내지 2t)
4) 수축률 : ASTM C356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샘플사이즈: 6인치 x 6인치, 두께 2.5t)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A)PC 78 78 78 78 78 78
(B) (B1) 6 6 6 6 6 6
(B2) 5 5 5 5 5 5
(C1)GF 11 - - - - 11
(C2)GF - 11 - - - -
(C3)GF - - 11 - - -
(C4)GF - - - 11 - -
(C5)GF - - - - 11 -
성형방식 스팀몰드 스팀몰드 스팀몰드 스팀몰드 스팀몰드 압사출
인장신율 5.0 5.9 3.4 3.3 4.6 -
광택도 98 97 92 92 93 92
표면조도
(Ra)
10 ㎚ 10 ㎚ 50 ㎚ 50 ㎚ 50 ㎚ 130 ㎚
수축률 0.002 0.002 0.002 0.004 0.004 0.002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2는 외관, 신율, 광택, 표면조도, 수축률이 모두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비해 비결합성 유리섬유가 아닌 표면 처리된 유리섬유를 적용한 비교예 1~3은 외관이 현저히 떨어졌으며, 광택도와 인장신율이 저하되고 표면조도는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성형방식을 스팀몰드 방식을 적용하지 않은 비교예 4 역시 외관이 현저히 떨어졌으며, 광택도 대폭 저하되고 표면조도는 대폭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스테인레스 스틸(SUS) 프레임
20 : 플라스틱 부재

Claims (9)

  1. 스테인레스 스틸(SUS) 프레임; 및
    상기 스테인레스 스틸 프레임의 최소한 일면에 접하는 플라스틱 부재;
    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플라스틱 부재는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B)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및 (C) 비결합성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하우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부재는 스팀몰드 방식으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하우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부재는 ASTM D 2457 방법으로 측정한 광택도가 95 이상이며, ASTM D 4417-B방법으로 측정한 표면조도가 20㎚ 이하 인 텔레비젼 하우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인레스 스틸(SUS) 프레임과 상기 플라스틱부재는 ASTM C356 방법으로 측정한 수축률 차이가 0.003 cm/cm이하 인 텔레비젼 하우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비결합성 유리섬유는 평균길이가 3.0mm이고, 평균직경이 10㎛인 텔레비젼 하우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비결합성 유리섬유는 플라스틱 부재 표면에 노출되지 않는 텔레비젼 하우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부재는 충격보강제, 난연제, 적하방지제, 항균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이형제, 광안정제, 무기물 첨가제, 계면활성제, 가소제, 활제, 정전기방지제 및 착색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를 1종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하우징.
  8.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B)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및 (C) 비결합성 유리섬유를 스팀몰드하여 플라스틱 부재를 제조하고; 그리고
    상기 플라스틱 부재를 스테인레스 스틸(SUS) 프레임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텔레비젼 하우징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몰드는 RHCM (rapid heat cycle molding) 방식으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10146561A 2011-12-29 2011-12-29 텔레비젼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 KR101362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561A KR101362888B1 (ko) 2011-12-29 2011-12-29 텔레비젼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
US13/723,381 US20130169121A1 (en) 2011-12-29 2012-12-21 Television Hous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12198911.5A EP2610294B1 (en) 2011-12-29 2012-12-21 Television hous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L12198911T PL2610294T3 (pl) 2011-12-29 2012-12-21 Obudowa telewizora i sposób jej wytwarzania
CN201210591682.9A CN103188464B (zh) 2011-12-29 2012-12-31 电视机外壳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561A KR101362888B1 (ko) 2011-12-29 2011-12-29 텔레비젼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7698A true KR20130077698A (ko) 2013-07-09
KR101362888B1 KR101362888B1 (ko) 2014-02-14

Family

ID=47623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6561A KR101362888B1 (ko) 2011-12-29 2011-12-29 텔레비젼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30169121A1 (ko)
EP (1) EP2610294B1 (ko)
KR (1) KR101362888B1 (ko)
CN (1) CN103188464B (ko)
PL (1) PL2610294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6767A (ko) * 2012-12-28 2014-07-08 제일모직주식회사 텔레비전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
CN106878646A (zh) * 2017-02-21 2017-06-20 康佳集团股份有限公司 制作不锈钢电视机边框的方法、电视机边框及电视机
CN113134986A (zh) * 2020-01-20 2021-07-20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透光塑料壳体及其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9492A (en) * 1980-08-11 1984-03-27 Asahi-Dow Limited Injection molded articles with improved surface characteristics
US4358556A (en) * 1980-12-08 1982-11-09 General Electric Company High impact, high modulus fiber reinforced aromatic carbonate polymers
US6203731B1 (en) * 1997-10-17 2001-03-20 Tohoku Munekata Company Limited Method for injection molding of plastic products having excellent transcription properties
US6380303B1 (en) * 2000-02-24 2002-04-30 The Dow Chemical Company Flow carbonate polymer blends
US20040180150A1 (en) * 2003-03-10 2004-09-16 Kashichi Hirota Decorative plastics product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WO2005056677A1 (ja) * 2003-12-10 2005-06-23 Asahi Kasei Chemicals Corporation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4815822B2 (ja) * 2005-03-03 2011-11-16 小野産業株式会社 複合熱可塑性樹脂めっき成形品の製造方法
US20070045893A1 (en) * 2005-08-26 2007-03-01 Himanshu Asthana Multilayer thermoplastic films and methods of making
KR100816474B1 (ko) * 2006-04-14 2008-03-26 제일모직주식회사 웰드강도가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TWI355401B (en) * 2006-09-29 2012-01-01 Cheil Ind Inc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plastic articl
KR101012587B1 (ko) 2007-06-04 2011-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0961118B1 (ko) * 2007-08-17 2010-06-07 제일모직주식회사 유동성 및 내충격성이 뛰어난 유리섬유 보강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9086560A (ja) * 2007-10-03 2009-04-23 Hitachi Displays Ltd 液晶表示装置
CN101469121B (zh) * 2007-12-25 2012-07-04 上海普利特复合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高光泽、高硬度、抗紫外聚碳酸酯塑料合金
JP5572286B2 (ja) * 2007-12-27 2014-08-13 ユーエムジー・エービーエス株式会社 強化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US8394507B2 (en) * 2009-06-02 2013-03-12 Integran Technologies, Inc. Metal-clad polymer art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10294A1 (en) 2013-07-03
KR101362888B1 (ko) 2014-02-14
US20130169121A1 (en) 2013-07-04
EP2610294B1 (en) 2014-08-13
CN103188464A (zh) 2013-07-03
CN103188464B (zh) 2016-04-06
PL2610294T3 (pl) 2015-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830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JP7386159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から形成された成形品
KR20150093747A (ko) 난연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성형 물질 ii
KR20120078590A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EP3527623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produced therefrom
KR101362888B1 (ko) 텔레비젼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
JP7060452B2 (ja) 高濃度リン系難燃剤マスターバッチ、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マスターバッチの製造方法
KR102018717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2063375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EP2749601B1 (en) Television housing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EP3318604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produced therefrom
KR20150093746A (ko) 난연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성형 물질 i
KR101261452B1 (ko) 유동성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20078572A (ko)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662428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32723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1743330B1 (ko)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EP4098700A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produced therefrom
KR102253835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1847249B1 (ko)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2106695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