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7548A - 친환경 건축 내장 보드 및 이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건축 내장 보드 및 이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7548A
KR20130077548A KR1020110146310A KR20110146310A KR20130077548A KR 20130077548 A KR20130077548 A KR 20130077548A KR 1020110146310 A KR1020110146310 A KR 1020110146310A KR 20110146310 A KR20110146310 A KR 20110146310A KR 20130077548 A KR20130077548 A KR 20130077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owder
layer
parts
b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6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7981B1 (ko
Inventor
이범수
Original Assignee
서보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보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보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6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7981B1/ko
Publication of KR20130077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7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9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20Mica; Vermicul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10Lime cements or magnesium oxide 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건축 내장 보드 및 이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불연, 단열, 보온, 방음 효과는 물론 인체에 유익한 광물질의 미네랄 요소를 공급하여 실내를 쾌적한 환경으로 조성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건축 내장 보드는, 퍼라이트(perlite) 분말에, 액상 규산나트륨과 실리카졸 및 알루미나졸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제1바인더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제1층과; 맥반석 분말, 옥석 분말, 규석 분말 및 산화마그네슘 분말이 혼합된 광물 분말 및 제2바인더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1층의 일측에 적층 형성되는 제2층에 의해 층상 구조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건축 내장 보드 제조 방법은, 퍼라이트(perlite) 분말에 액상 규산나트륨과 실리카졸 및 알루미나졸이 혼합된 제1바인더를 혼합한 제1층 재료를 이용하여 일정 두께의 제1층을 형성하는 제1단계와; 맥반석 분말, 옥석 분말, 규석 분말 및 산화마그네슘 분말이 혼합된 광물 분말 및 제2바인더로 이루어진 제2층 재료를 이용하여 상기 제1단계를 통해 형성된 제1층의 일측에 일정 두께의 제2층을 형성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단계는, 액상 규산나트륨 55~65중량%, 실리카졸 25~35중량% 알루미나졸 8~12중량%를 혼합하여 제1바인더를 제조하고, 상기 퍼라이트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바인더 30~40중량부를 혼합하여 제1층 재료를 제조하는 제1-1단계, 상기 제1-1단계를 통해 제조된 제1층 재료를 형틀에 넣어 경화시키는 제1-2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단계는, 맥반석 분말 18~22중량%, 옥석 분말 8~12중량%, 규석 분말 18~22중량% 및 산화마그네슘 분말 45~55중량%를 혼합하여 광물 분말을 제조하고, 상기 광물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제2바인더 30~40중량부를 혼합하여 제2층 재료를 제조하는 제2-1단계, 상기 제2-1단계를 통해 제조된 제2층 재료를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제조된 제1층의 일측에 일정 두께로 도포하는 제2-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친환경 건축 내장 보드 및 이 제조 방법{ECO BUILDING INTERIOR BOARD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친환경 건축 내장 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불연, 단열, 보온, 방음 효과는 물론 인체에 유익한 광물질의 미네랄 요소를 공급하여 실내를 쾌적한 환경으로 조성할 수 있는 친환경 건축 내장 보드 및 이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 내장재는 방화, 방염, 경량, 고품격 및 가격절감 등의 용도에 맞게 다양하게 공장에서 제조되어 왔다.
특히, 합성수지를 주로 하는 건축내장재는 목재 또는 철재의 대체 자재로서, 일반 건축자재나 가구류, 또는 각종 생활용품들에 주로 많이 이용되며, 그 일예로 바닥재, 천장재, 측벽재, 이외에 문틀등에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건축내장재는 목재의 대체품으로서, 디자인의 다양화와 생산성에서 우수하였으나, 자재의 이질감등으로 그 외관이 저조하였고, 열팽창계수가 커서 시공후 뒤틀리거나, 신축성의 부족, 연결부분의 틈새가 발생하거나, 대부분 악취가 있을 뿐 아니라 독성이 있으며, 그 주원인은 잔류 포름알데히드가 서서히 방출되어 건강상의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를 주로 하는 건축내장재에서 발생하는 포름알데히드는 자극적인 가스로 코와 눈을 자극시키고 인간과 동물에게 병을 유발시키는 것이 의심되는 물질로 알려져, 전 세계적으로 이에 대한 환경적인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각국의 규제강화로 그 방출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포름알데히드 수지는 목재산업, 그 중에서도 중밀도 섬유판, 등의 판상재의 제조시 접착제로 널리 이용되어 왔다. 이러한 포름알데히드 수지로 대표적인 것은 멜라민수지, 요소수지 및 등이 있으며 페놀, 멜라민, 요소 및 포름알데히드의 부가 축합에 의하여 생성된다.
따라서 업계에서도 수지에 잔존하는 포름알데히드를 줄이는 여러 방안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황토와 옥, 세라믹을 접착제에 합성하여 건축자제 등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고 또한 음이온을 페인트 등에 혼합시켜 사용하는 기술이 있고 음이온 분말을 바인다에 첨가하여 섬유 등에 접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보 공개번호 특2003-75712호에는 고온고압으로 발포된 퍼라이트, 질석, 시멘트, 석회, 방수액을 주성분으로 압축 성형하여 제조하는 경량의 불연성건축자재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으며, 동 공보 공개번호 특2003-76482호에는 질석분에 불연성포화세라믹접착제를 첨가하여 압축가열하여 제조된불연 선적가구 내장재 및 불연 내장재 패널 제품이 기술되어 있고, 동 공보 공개번호 특2000-37956호에는 목분, 황토, 합성수지, 항균제, 헤라이트, 대두유, 기잴재로 구성된 목분, 황토를 주성분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자재가 공개되어 있으며, 동 공보 공개번호 특2000-37956호에는 퍼라이트, 시멘트, 흡열제, 카복시메틸셀룰로즈소다 분말, 코코낫, 디메타놀아미드로 조성된 내화단열 피복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이 기술되어 있고, 동 공보 긍개번호 10-2004-11404호에는 운모석, 접착제로 조성된 운모석을 이용한 성형물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으며,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28608호에는 무늬목과 표면 도장층으로 구성되어지는 상부층과 접착제층, 기재층으로 구성된 구조에서 적어도 한층이상에 투르말린 및 희토류광물로 선택된 음이온물질을 첨가한 음이온 기능의 온돌마루 바닥재가 기재되어 있고, 동 공보 등록번호 제20-0335182호에는 접착제에 활성탄이 혼입된 제1접착제층에 합판을 압착 고정하고 합판의 어느 일측면에 멜라민수지와 토르마리, 활성탄을 혼합한 접착제층을 도포하고, 그 상면에 무늬목을 적층하여 구성된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마루 바닥재가 기술되어 있으며, 동 공보 등록번호 제20-034776호에는 다수의 단판이 동일한 나무결 방향으로 적층되어 목판의 물성 내지 특성은 천연 원목과 같으며 기능성 접착수단으로 황토, 옥, 게르마늄, 숯, 은, 구리, 동, 흑연, 이산화티탄 중 어느 하나가 함유된 열경화성 수지로 구성된 기능성접착제로 구성된 인테리어용 기능성 목편이 기재되어 있으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인조 건축 내장재는 제조방법이 복잡하고, 실제적으로 포름알데히드를 완전히 감소시키지 못하여 현실적으로 사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한편, 종래 발포 퍼라이트(perlite)를 이용한 건축 내장 보드(퍼라이트, 톱밥, 실리카졸 등이 혼합)가 있으며, 이는 재료를 일정한 틀에 넣어서 프레스 기계로 압착함으로써 제조되고 있으며, 발포 퍼라이트를 2중으로 프레싱하여 발포 퍼라이트의 기공(폐기공)이 파괴됨으로써 단열 등의 기능이 떨어지고 수분이 침투하여 곰팡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고 구조적으로도 취약하여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퍼라이트가 파손되지 않는다고 하여도 종래 건축 내장 보드는 퍼라이트 이외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여 실내를 쾌적한 환경으로 조성하지 못하는 단점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퍼라이트를 재료로 하되 제조 과정 상에서 퍼라이트의 파괴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 퍼라이트의 기공(폐기공)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단열, 보온, 흡음 등의 효과를 도출할 수 있고, 인체에 유익한 미네랄 요소를 방출할 수 있는 친환경 건축 내장 보드 및 이 제조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건축 내장 보드는, 퍼라이트(perlite)(발포 폐기공화된 퍼라이트) 분말에, 액상 규산나트륨과 실리카졸 및 알루미나졸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제1바인더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제1층과; 맥반석 분말, 옥석 분말, 규석 분말 및 산화마그네슘 분말이 혼합된 광물 분말 및 제2바인더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1층의 일측에 적층 형성되는 제2층에 의해 층상 구조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건축 내장 보드 제조 방법은, 퍼라이트(perlite) 분말에 액상 규산나트륨과 실리카졸 및 알루미나졸이 혼합된 제1바인더를 혼합한 제1층 재료를 이용하여 일정 두께의 제1층을 형성하는 제1단계와; 맥반석 분말, 옥석 분말, 규석 분말 및 산화마그네슘 분말이 혼합된 광물 분말 및 제2바인더로 이루어진 제2층 재료를 이용하여 상기 제1단계를 통해 형성된 제1층의 일측에 일정 두께의 제2층을 형성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단계는, 액상 규산나트륨 55~65중량%, 실리카졸 25~35중량% 알루미나졸 8~12중량%를 혼합하여 제1바인더를 제조하고, 상기 퍼라이트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바인더 30~40중량부를 혼합하여 제1층 재료를 제조하는 제1-1단계, 상기 제1-1단계를 통해 제조된 제1층 재료를 형틀에 넣어 경화시키는 제1-2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단계는, 맥반석 분말 18~22중량%, 옥석 분말 8~12중량%, 규석 분말 18~22중량% 및 산화마그네슘 분말 45~55중량%를 혼합하여 광물 분말을 제조하고, 상기 광물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제2바인더 30~40중량부를 혼합하여 제2층 재료를 제조하는 제2-1단계, 상기 제2-1단계를 통해 제조된 제2층 재료를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제조된 제1층의 일측에 일정 두께로 도포하는 제2-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건축 내장 보드 및 이 제조 방법에 의하면, 퍼라이트의 기공이 파괴되지 않고 유지되어 공기층이 형성됨에 따라 단열, 보온, 흡음 능력이 탁월하고, 뿐만 아니라 광물 분말의 사용을 통해 불연 내지 내연성이 확보되어 화재시 건축물은 물론 거주자를 보호할 수 있으며, 미네랄 요소의 방출에 의해 실내를 쾌적한 환경으로 조성할 수 있으므로 건축 내장 보드로서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건축 내장 보드는, 제1층과 제2층의 층상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층은 퍼라이트(perlite) 분말을 주재료로 하며, 제1바인더를 통해 바인딩된다.
퍼라이트는 단열재 및 흡음재의 원재료로 사용되는 경량골재이며, 퍼라이트는 1~2mm 입도의 제1퍼라이트 분말과 3~5mm 입도의 제2퍼라이트 분말이 1 : 2.5~3.5 중량비로 혼합된다.
서로 다른 입도의 제1,2퍼라이트 분말이 사용되는 것은, 제2퍼라이트 분말만 사용할 경우 제2퍼라이트 분말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에 의한 효과의 저하를 막기 위한 것이다. 제1퍼라이트 분말만을 사용할 수도 있겠지만, 비용이 상승하며 수급이 원활하지 못하고 취급 과정 중에 손실 우려가 있다. 제1,2퍼라이드 분말은 기성품으로서 시중에서 구입이 가능한 제품이다.
제1바인더는 퍼라이트를 서로 붙도록 하며, 액상 규산나트륨 55~65중량%, 실리카졸 25~35중량% 알루미나졸 8~12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액상 규산나트륨은 액상과 분말 모두 사용 가능하며, 무기 바인더로서 큰 접착력을 발휘하고 내화 보온의 기능도 겸하고, 55중량% 이하로 혼합되면 퍼라이트의 접착력이 약하며 65중량% 이상으로 혼합되더라도 접착력에 큰 변화가 없다.
실리카졸(silica sol)은 액상으로서 물 등의 분산매 중에 규산(SiO2nH2O)의 미립자가 분산한 콜로이드로서 퍼라이트와 액상 규산나트륨 및 알루미나졸 등 재료들의 결합을 위해 사용되며, 25중량% 이하로 혼합되면 재료들간의 결합력이 약하여 강도를 약화시키고 35중량% 이상으로 혼합되면 작업성(workability)이 떨어진다.
알루미나졸은 재료들의 결합을 촉진시키며 수용성 액상이 사용되고, 시중에서 판매되는 제품이다.
이와 같은 조성의 제1바인더는 퍼라이트(제1,2퍼라이트가 혼합된 것) 100중량부에 대하여 30~40중량부가 혼합되며, 30중량부 이하로 혼합되면 퍼라이트 입자들의 결합이 약하여 박리 현상이 일어나고 40중량부 이상으로 혼합되면 균일한 교반이 어렵고 작업성이 떨어진다.
상기 제2층은 광물 분말과 제2바인더로 구성된다.
상기 광물 분말은 맥반석 분말, 옥석 분말, 규석 분말 및 산화마그네슘 분말이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맥반석 분말은 무수규산과 산화알루미늄을 주성분으로 하며,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맥반석 분말, 옥석 분말, 규석 분말 및 산화마그네슘 분말의 입도는 100~500㎛가 가능하며, 상호 간의 혼합비율은 큰 의미가 없고 적정하게 혼합된다.
제2바인더는 제2바인더 모재 및 첨가물의 혼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바인더 모재는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염화마그네슘 30~40 중량부와 산화마그네슘 45~55 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첨가물은 상기 제2바인더 모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에폭시 수지 10~15중량부와 경화제(에폭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30~40중량부)가 혼합되어 사용된다.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건축 내장 보드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건축 내장 보드는 제1층을 먼저 제조한 후 상기 제1층의 일측(설치 상태를 기준으로 할 때 실내측)에 제2층을 바로 형성함으로써 제조된다.
(S10) 제1층 제조.
(S11) 퍼라이트(perlite) 분말과 제1바인더를 각각 준비한다.
액상 규산나트륨 60중량%, 실리카졸 30중량% 알루미나졸 10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1바인더를 제조한다.
각각 준비된 상기 퍼라이트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바인더 35중량부를 혼합하여 균일하게 교반함으로써 제1층 재료를 제조한다.
(S12) 건축 내장 보드의 형태를 갖는 형틀을 준비하고, 상기 형틀 내부에 상기 제1층 재료를 일정 두께로 넣는다. 제1층과 제2층의 두께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층 : 제2층 = 1 : 1/5일 수 있다.
상기 형틀에 담긴 상기 제1층 재료를 경화시켜 제1층의 보드를 형성하며, 경화는 자연 경화와 강제 경화 모두가 가능하고, 단 자연 경화시 경화기간이 오래 걸려 생산성이 떨어지므로 강제 경화가 바람직하다. 강제 경화 조건은 250~350℃, 10~20분, 바람직하게 300℃, 15분이다.
아울러, 제1층을 더욱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제1층의 경화 중에 제1층을 프레스할 수 있으며, 프레스 조건은 45~55kg/㎠ 압력, 10~20분, 바람직하게 50kg/㎠, 15분이다. 상기 프레스 조건의 범위를 벗어나면 강도의 증대가 약하고 과도한 프레스로 제1층의 균열이 발생될 수 있다.
프레스시 제1층의 표면에 요철부가 형성되도록 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스의 표면에 요철부를 형성하여 프레스시 제1층의 가압과 함께 요철부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제1층의 요철부는 제1층과 제2층간의 결속을 위한 것으로 이를 통해 제1,2층간의 이탈을 막을 수 있다.
경화가 완료된 제1층은 저온 숙성 건조(85~95℃, 25~35분)를 통해 제품을 안정화할 수 있다.
이상의 공정을 통해 제1층의 제조가 완료된다.
(S20) 제2층 제조.
(S21) 맥반석 분말 18~22중량%, 옥석 분말 8~12중량%, 규석 분말 18~22중량% 및 산화마그네슘 분말 45~55중량%의 혼합비율로 광물 분말을 준비하고, 제2바인더를 준비한다.
상기 제2바인더는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염화마그네슘 30~40 중량부와 산화마그네슘 45~55 중량부가 혼합된 제2바인더 모재 100중량부, 에폭시 수지 10~15중량부와 경화제(중량 기준 에폭시 수지 : 경화제 = 3 : 1)를 준비한다.
광물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제2바인더 30~40중량부를 혼합하여 균일하게 교반함으로써 제2층 재료를 준비한다.
(S22) 제2층 재료를 제1층 일측(요철부가 형성된 경우 요철부가 있는 면)에 도포한다. 이어서, 자연 경화한다(23~25℃, 11~14시간).
<실시예>
1. 재료
가. 제1층 재료.
제1층 재료로서, 퍼라이트 분말(2mm 입도 퍼라이트 : 5mm 입도 퍼라이트 = 1 : 3, 중량비), 제1바인더(액상 규산나트륨 60중량%, 실리카졸 30중량% 알루미나졸 10중량%)를 준비한 후, 퍼라이트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35중량부의 제1바인더를 교반기에 넣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제1층 재료를 준비하였다.
나. 제2층 재료.
제2층 재료로서, 광물 분말(맥반석 분말 20중량%, 옥석 분말 10중량%, 규석 분말 20중량% 및 산화마그네슘 분말 50중량%), 제2바인더(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염화마그네슘 35 중량부와 산화마그네슘 50 중량부가 혼합된 제2바인더 모재, 상기 제2바인더 모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에폭시 수지와 경화제 혼합물(3 : 1 중량기준)을 15 중량부를 준비한 후, 광물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제2바인더 35중량부를 교반기에 넣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제2층 재료를 준비하였다.
2. 제조.
형틀(이 형틀은 제1층과 제2층을 함께 제조할 수 있는 크기이다)의 내부에 15mm의 두께로 제1층 재료를 넣고, 경화 온도를 300℃로 맞춰 15분간 경화하면서 50kg/㎠로 프레스하고, 저온 숙성 건조(150℃, 30분)를 거쳐 제1층을 제조하였다.
제1층의 제조를 완료한 후 제2층 재료를 제1층 상면에 3mm의 두께로 넣고 경화시킴으로써 제2층을 제조하였다.
경화가 완료된 후 제1층과 제2층의 층상 구조를 갖는 친환경 건축 내장 보드를 제조하였다.
3. 특성.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건축 내장 보드는 압축강도 82kgf/㎠ 이상이고, 화염에 의한 시험시 타지 않는 특성이 확인되었다.

Claims (9)

  1. 퍼라이트(perlite) 분말에, 액상 규산나트륨과 실리카졸 및 알루미나졸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제1바인더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제1층과;
    맥반석 분말, 옥석 분말, 규석 분말 및 산화마그네슘 분말이 혼합된 광물 분말 및 제2바인더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1층의 일측에 적층 형성되는 제2층에 의해 층상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건축 내장 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의 제1바인더는 액상 규산나트륨 55~65중량%, 실리카졸 25~35중량% 알루미나졸 8~12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퍼라이트 분말 100중량부에 대해 30~40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건축 내장 보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의 제2바인더는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염화마그네슘 30~40 중량부와 산화마그네슘 45~55 중량부가 혼합된 제2바인더 모재 100중량부에 에폭시 수지와 경화제 혼합물 10~15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건축 내장 보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의 광물 분말은, 맥반석 분말 18~22중량%, 옥석 분말 8~12중량%, 규석 분말 18~22중량% 및 산화마그네슘 분말 45~55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건축 내장 보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의 퍼라이트 분말은 1~2mm 입도의 제1퍼라이트 분말과 3~5mm 입도의 제2퍼라이트 분말이 1 : 2.5~3.5 중량비로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건축 내장 보드.
  6. 퍼라이트(perlite) 분말에 액상 규산나트륨과 실리카졸 및 알루미나졸이 혼합된 제1바인더를 혼합한 제1층 재료를 이용하여 일정 두께의 제1층을 형성하는 제1단계와;
    맥반석 분말, 옥석 분말, 규석 분말 및 산화마그네슘 분말이 혼합된 광물 분말 및 제2바인더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제2층 재료를 이용하여 상기 제1단계를 통해 형성된 제1층의 일측에 일정 두께의 제2층을 형성하되, 상기 제2바인더는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염화마그네슘 30~40 중량부와 산화마그네슘 45~55 중량부가 혼합된 제2바인더 모재 100중량부에 에폭시 수지와 경화제 혼합물 10~15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단계는, 액상 규산나트륨 55~65중량%, 실리카졸 25~35중량% 알루미나졸 8~12중량%를 혼합하여 제1바인더를 제조하고, 상기 퍼라이트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바인더 30~40중량부를 혼합하여 제1층 재료를 제조하는 제1-1단계, 상기 제1-1단계를 통해 제조된 제1층 재료를 형틀에 넣어 경화시키는 제1-2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단계는, 맥반석 분말 18~22중량%, 옥석 분말 8~12중량%, 규석 분말 18~22중량% 및 산화마그네슘 분말 45~55중량%를 혼합하여 광물 분말을 제조하고, 상기 광물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제2바인더 30~40중량부를 혼합하여 제2층 재료를 제조하는 제2-1단계, 상기 제2-1단계를 통해 제조된 제2층 재료를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제조된 제1층의 일측에 일정 두께로 도포하는 제2-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건축 내장 보드 제조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제1-2단계를 통해 경화된 제1층을 저온 숙성 건조시키는 제1-3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건축 내장 보드 제조 방법.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2단계는 250~350℃로 10~20분간 경화시키면서 45~55kg/㎠로 프레싱(press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건축 내장 보드 제조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의 프레스시 상기 제1층의 표면을 요철 형태로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건축 내장 보드 제조 방법.
KR1020110146310A 2011-12-29 2011-12-29 친환경 건축 내장 보드 및 이 제조 방법 KR101367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310A KR101367981B1 (ko) 2011-12-29 2011-12-29 친환경 건축 내장 보드 및 이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310A KR101367981B1 (ko) 2011-12-29 2011-12-29 친환경 건축 내장 보드 및 이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7548A true KR20130077548A (ko) 2013-07-09
KR101367981B1 KR101367981B1 (ko) 2014-03-03

Family

ID=48990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6310A KR101367981B1 (ko) 2011-12-29 2011-12-29 친환경 건축 내장 보드 및 이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79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7524A (ko) 2017-03-22 2018-10-02 김문옥 섬유재 초지 조성물, 준불연성 섬유판재의 제조 방법 및 준불연성 섬유판재
CN109053126A (zh) * 2018-08-30 2018-12-21 深圳市南硕明泰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用高隔音环氧树脂建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0453A (ko) * 2003-06-19 2004-12-31 요업기술원 방화소재용 조성, 그 제조방법 및 용도
KR200367715Y1 (ko) * 2004-08-21 2004-11-15 박종성 마그네슘을 주원료로 한 벽체 패널 구조체
KR200415142Y1 (ko) * 2006-02-17 2006-04-27 장재식 건축용 복합보드
KR100909088B1 (ko) * 2008-12-29 2009-07-23 이용석 나노크기의 결합재를 함유한 친환경 마그네슘보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7524A (ko) 2017-03-22 2018-10-02 김문옥 섬유재 초지 조성물, 준불연성 섬유판재의 제조 방법 및 준불연성 섬유판재
CN109053126A (zh) * 2018-08-30 2018-12-21 深圳市南硕明泰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用高隔音环氧树脂建材
CN109053126B (zh) * 2018-08-30 2021-02-12 深圳知本建筑节能材料有限公司 一种建筑用高隔音环氧树脂建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7981B1 (ko) 2014-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8780B1 (ko) 친환경 건축 불연과 단열과 흡음과 보온과 방수성과 미네랄 바이오 기능성 내장 마감 보드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건축 불연과 단열과 흡음과 보온과 방수성과 미네랄 바이오 기능성 내장 마감 보드
KR101056699B1 (ko) 건축용 경량 세라믹 보드
US8673201B2 (en) Non-cement fire door core
CN110746174A (zh) 一种a级防火矿物质板及其制备方法
US20060043627A1 (en) Wood cement board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ing thereof
KR20150063663A (ko) 건축용 불연 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926180B1 (ko) 건축용 보드의 제조방법
KR100695910B1 (ko) 고강도 질석보드
KR100798124B1 (ko) 불연건축용 패널
KR20100021013A (ko) 무기질 바인더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불연성 무기질 보드
KR101160658B1 (ko) 불연성 보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불연성 보드
CN101775882A (zh) 一种环保、耐燃的装饰材料及其制备工艺
KR20050027712A (ko) 건축내장재용 흡음판넬의 조성, 그 제조방법 및 용도
KR101367981B1 (ko) 친환경 건축 내장 보드 및 이 제조 방법
KR20060092782A (ko) 세라믹발포성형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39695A (ko) 난연재로 표면처리된 내연성 실내장식재
KR20010012022A (ko) 황토 함유 건축 내장재
KR101973186B1 (ko) 탄소섬유 그리드 기술을 적용한 고강도 산화마그네슘 복합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100554718B1 (ko) 점토류 광물을 이용한 불연성 내열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101768513B1 (ko) 천연 탄화 왕겨 단열보드의 제조방법
JP3843913B2 (ja) 建築内装材用の黄土パネルの製造方法
CN1091485C (zh) 高强度纤维石膏平板
KR20090101402A (ko) 불연판상재(또는 불연형상재)와 불연화장판상재(또는불연화장형상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899840B1 (ko) 황토를 주재로한 내장판재
JP2002321305A (ja) 木片セメント積層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