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7137A - 터치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입력장치 및 그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입력장치 및 그 입력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77137A KR20130077137A KR1020110145687A KR20110145687A KR20130077137A KR 20130077137 A KR20130077137 A KR 20130077137A KR 1020110145687 A KR1020110145687 A KR 1020110145687A KR 20110145687 A KR20110145687 A KR 20110145687A KR 20130077137 A KR20130077137 A KR 2013007713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put
- touch input
- control method
- touch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폰 등에서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컴포넌트를 호출 및 제어하는 방법과 그 방법을 수행하는 터치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받는 터치 입력부와; 특정 명령에 대응하는 도형 종류 및 제어 방법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터치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도형과 상기 입력된 도형의 제어방법을 인식하고, 상기 도형의 제어에 대응하는 명령을 실행 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되어야 하는 GUI 컴포넌트를 스크린 상에 미리 보여주거나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표시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스스로 직관적으로 GUI 컴포넌트를 생성하고 이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받는 터치 입력부와; 특정 명령에 대응하는 도형 종류 및 제어 방법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터치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도형과 상기 입력된 도형의 제어방법을 인식하고, 상기 도형의 제어에 대응하는 명령을 실행 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되어야 하는 GUI 컴포넌트를 스크린 상에 미리 보여주거나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표시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스스로 직관적으로 GUI 컴포넌트를 생성하고 이를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터치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입력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폰 등에서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컴포넌트를 호출 및 제어하는 방법과 그 방법을 수행하는 터치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컴퓨팅 장치(컴퓨터 시스템)에는 특정 기능이나 동작들을 수행하는 많은 방식의 입력 장치가 있다. 이 동작들은 일반적으로 커서를 이동시킨 후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특정 아이콘, 아트 클립 등의 GUI 컴포넌트를 선택함으로써 해당 GUI 컴포넌트에 연결된 또는 대응하는 특정 기능 및 동작을 호출하여 이용하게 된다. 특정 기능이나 동작이란 페이지 넘김(paging), 스크롤링, 패닝(panning), 줌잉(zooming), 기타 등등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 스위치,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 터치 패드, 조이스틱, 터치 스크린, 기타 등등의 입력 장치가 컴퓨팅 장치에 연결되거나 함께 구비되어 각종 명령이나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다. 이들 장치들은 각각 장점 및 단점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장, 단점은 컴퓨터 시스템을 설계할 때 고려되어야 한다.
터치 스크린은 화면을 덮고 있는 터치 감지 투명 패널을 갖는 일종의 디스플레이 화면이다. 터치 스크린을 사용할 때, 사용자는 스타일러스펜 또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직접 GUI 객체를 선택한다.
미국 특허 제5,612,719호 및 제5,590,219호는 제스처의 사용 방법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미국 특허 제5,612,719호는 스크린의 버튼 상에서 또는 그 근방에서 행해지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버튼 제스처에 반응하는 온스크린 버튼(onscreen button)을 개시하고 있다. 미국 특허 제5,590,219호는 컴퓨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타원형 제스처 입력을 인식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한편, 스크롤링 제스처가 인식되도록 터치 패드 상에 4개의 손가락을 올려놓고 그 후에 스크롤링 이벤트를 수행하기 위해 터치 패드 상에서 이들 손가락을 움직임으로써 스크롤링이 개시되는 기술에 대하여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들은 오퍼레이팅 시스템 소프트웨어 설계자나 어플리케이션 개발자에 의하여 미리 제공된 GUI 컴포넌트를 이용하게 되거나, 한정된 상황에서의 제스쳐만을 이용하여 특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호출하게 된다. 다만 이러한 경우 한정된 화면 상에 해당 GUI 컴포넌트 모두를 표시하기 어렵고 GUI 컴포넌트를 이용하지 않고 단순히 제스쳐만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한정된 제스쳐만을 이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또한 터치스크린 상에서는 스크롤바와 같이 고정된 GUI 컴포넌트를 이용하는 경우 한정된 조건 하에서 터치 액션으로 조작을 하게 되므로 스타일러스 펜만을 사용하거나 멀티 터치가 어려운 상황이거나 왼손잡이/장애인 등이 해당 기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상의 불편함을 주기도 한다.
본 발명은 컴퓨팅 시스템 및 어플리케이션 제공자가 미리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선택하는 GUI 컴포넌트를 스크린 상에 미리 제공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입력장치 및 그 입력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인의 성향에 맞는 GUI 컴포넌트를 생성하여 특정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컴퓨팅 장치에 연결되거나 함께 구비되어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입력장치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받는 터치 입력부; 특정 명령에 대응하는 도형 종류 및 제어 방법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터치 입력부으로부터 입력되는 도형과 상기 입력된 도형의 제어방법을 인식하고, 상기 도형의 제어에 대응하는 명령을 실행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도형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도형인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터치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내용이 표시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도형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도형인 경우, 상기 입력된 도형의 형태, 크기, 색상, 투명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속성을 변경하여 상기 표시부 상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도형의 제어 방법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방법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터치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내용이 표시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도형의 제어방법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방법인 경우, 상기 입력된 도형의 제어방법에 대응하여 도형의 위치, 형태, 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도형의 제어 방법은 드래그, 클릭, 더블 클릭, 멀티 터치 및 멀티 터치에 수반되는 드래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에는 특정 명령에 대응하는 도형의 입력 위치가 더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는 특정 명령에 대응하는 도형 종류 및 제어 방법을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도형의 제어에 대응하는 명령을 실행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명령은 상기 컴퓨팅 장치를 구동하는 시스템 모듈 또는 상기 컴퓨팅 장치에 구비된 어플리케이션에 구비되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입력장치의 입력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계에서는 터치 입력부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도형을 입력받는다.
제2 단계에서는 터치 입력부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도형을 선택받는다.
제3 단계에서는 터치 입력부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도형의 제어방법을 입력받는다.
제4 단계에서는 상기 도형 및 상기 도형에 대한 제어방법에 대응하는 명령을 실행시킨다.
또한 상기 제1 도형의 선택 및 상기 도형의 제어방법의 입력은 터치 입력부에 대한 단일의 제어방법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형의 제어 방법은 드래그, 클릭, 더블 클릭, 멀티 터치 및 멀티 터치에 수반되는 드래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도형은 적어도 1회 이상의 터치에 의하여 드로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뉴의 선택을 위하여 GUI 컴포넌트를 스크린 상에 미리 표시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스스로 직관적으로 GUI 컴포넌트를 생성하고 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GUI 컴포넌트를 미리 생성하여 사용자가 선택가능 하도록 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방식에 비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관념에 부합하도록 GUI 컴포넌트를 커스터마이징 하기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화면 스크롤 GUI 컴포넌트를 생성하고, 화면 스크롤 명령의 수행을 위하여 생성된 GUI 컴포넌트를 제어하는 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은 왼손 잡이의 경우 GUI 컴포넌트를 생성하고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은 줌 인 기능에 대한 GUI 생성 및 생성된 GUI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0은 줌 아웃 기능에 대한 GUI 생성 및 생성된 GUI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1은 화면 분할에 이은 선택 화면의 스크롤 기능에 대한 GUI 생성 및 생성된 GUI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볼륨 조절 기능에 대한 GUI 생성 및 생성된 GUI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4는 하이퍼 링크 기능에 대한 GUI 생성 및 생성된 GUI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화면 스크롤 GUI 컴포넌트를 생성하고, 화면 스크롤 명령의 수행을 위하여 생성된 GUI 컴포넌트를 제어하는 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은 왼손 잡이의 경우 GUI 컴포넌트를 생성하고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은 줌 인 기능에 대한 GUI 생성 및 생성된 GUI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0은 줌 아웃 기능에 대한 GUI 생성 및 생성된 GUI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1은 화면 분할에 이은 선택 화면의 스크롤 기능에 대한 GUI 생성 및 생성된 GUI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볼륨 조절 기능에 대한 GUI 생성 및 생성된 GUI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4는 하이퍼 링크 기능에 대한 GUI 생성 및 생성된 GUI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스마트 폰, 모바일 컴퓨팅 장치, 데스크탑 컴퓨팅 장치 또는 노트북 컴퓨팅 장치와 같이 일정한 컴퓨팅 장치의 일부로 구현될 수 있으며, 터치 패드 등과 같이 별도의 입력장치 및 그 외의 입력에 관련된 장치의 집합으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는 물리적인 단일의 장치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입력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터치 입력부(11), 표시부(12), 제어부(100) 및 저장부(200)를 포함한다.
터치 입력부(11)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방식으로 입력을 받는다. 표시부(12)는 스크린과 같이 일반적인 컴퓨팅 장치에 구비되어 현재 수행중인 프로그램의 내용이나 다양한 정보를 표시한다. 터치 입력부(11)와 표시부(12)는 터치 스크린(10)과 같이 각각 오버랩 된 상태로 함께 구현될 수도 있으며, 터치 패드와 같이 별도의 구성 요소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터치 입력부(11)와 표시부(12)가 터치 스크린(10)으로 구현된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한편, 표시부(12)는 터치 입력부(11)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내용이 표시된다.
저장부(200)는 특정 명령에 대응하는 도형 종류 및 제어 방법이 저장된다.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저장부(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등록 도형 패턴이 저장되고, 하나의 등록 도형 패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등록 제어방법이 저장된다. 또한 각 등록 도형 패턴과 등록 제어방법에 대응하는 모듈 식별자 정보가 저장된다.
여기서 등록 도형 패턴이란 사용자가 입력한 도형 중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인식될 수 있는 도형을 의미한다. 즉, 도형의 형상, 개수 및 위치가 등록 도형 패턴이 될 수 있다. 여기서 형상이라 함은 원, 타원, 직선, 원호 등 도형의 형태와 관련된 정보이고, 개수는 직선이 둘 이상 구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위치란 두 직선이 평행하게 그려지거나, 직각으로 그려지는 것과 같이 도형간의 상대적인 위치와, 하나의 도형이 화면 상에 표시될 절대적인 위치를 모두 포함한다. 예를 들어 등록 도형 패턴은 원, 직사각형, 타원 등 단순한 도형 이외에도, 십자형으로 배열된 두 직선과 같은 둘 이상의 도형의 집합이거나 오른쪽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원과 같이 위치에 따라 구분하는 것도 가능하다.
등록 제어방법이란 클릭, 더블클릭, 드래그 또는 다중 터치와 함께 수반하는 클릭, 더블클릭, 드래그 등을 포함한다.
모듈 식별자란 실행될 모듈에 관한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오퍼레이팅 시스템에서 관리하는 시스템 자체의 모듈이나, 개개의 어플리케이션이나 해당 어플리케이션에서 수행되는 특정 모듈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즉, 모듈 식별자는 이러한 시스템 모듈, 어플리케이션 또는 어플리케이션 상의 특정 모듈을 호출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의미한다.
필요에 따라 등록 도형 패턴 각각에 대응하는 등록 GUI 컴포넌트가 더 저장될 수도 있다. 등록 GUI 컴포넌트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오퍼레이팅 시스템 설계자 또는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에 의하여 미리 준비된 아이콘, 메뉴 및 아트 클립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메뉴는 이미지 또는 텍스트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등록 도형 패턴, 제어 방법 및 모듈 식별자에 대한 데이터 구조체는 시스템 모듈과 컴퓨팅 장치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별로 구비되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이지 않는 경우와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 각각 달리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00)는 기본적으로 3가지의 기능, 즉 입력 도형을 인식하는 기능, 인식된 도형을 조회하는 기능, 해당 도형에 대응하는 모듈을 호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필요에 따라 인식 결과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 각 기능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부(100)는 변환 수단(110), 인식 수단(120) 및 실행 수단(130)을 구비한다. 사용자가 터치 입력부(11)를 통하여 특정 패턴을 드로잉하면 변환 수단(110)은 사용자가 드로잉한 패턴을 저장부(200)에 저장된 등록 도형 패턴과 비교 가능하도록 이를 데이터화 한다. 또한 사용자가 터치 입력부(11)를 통하여 이미 드로잉되어 인식된 등록 도형 패턴이나 등록 GUI 컴포넌트를 선택하고 동시에 이를 제어하기 위하여 특정 패턴을 드로잉한 경우에는 선택된 등록 도형 패턴 또는 GUI 컴포넌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이에 관한 제어방법을 제어부(200)에 저장된 등록 제어방법과 비교할 수 있도록 데이터화 한다. 변환 수단(110)은 시스템의 처리 속도를 위하여 이러한 변환 기능을 갖는 전용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거나 복합적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인식 수단(120)은 사용자에 의하여 드로잉된 패턴을 인식하기 위하여 저장부(200)에 저장된 등록 도형 패턴 중 데이터화된 드로잉 패턴과 일치하는 등록 도형 패턴을 검색한다. 또한 인식 수단(120)은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등록 도형 패턴이나 등록 GUI 컴포넌트에 대하여 사용자가 수행한 제어방법을 인식하기 위하여 저장부(200)의 등록 도형패턴 또는 등록 GUI 컴포넌트에 대응하는 등록 제어방법 중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방법과 일치하는 등록 제어방법을 검색한다.
사용자가 다양한 도형을 입력하는 경우라도 등록 도형 패턴으로 등록되지 않았거나 등록 도형 패턴으로 인식되지 못하는 도형은 특정 모듈을 호출하는 명령으로 인식되지 못하며, 등록 도형 패턴으로 인식된 경우에도 제어 방법이 입력되지 않거나 입력된 경우라도 등록된 제어방법이 아니거나 등록된 제어방법으로 인식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특정 모듈이 호출되지 못한다.
한편, 인식 수단(120)은 사용자가 드로잉한 패턴에 대응하는 등록 도형 패턴을 인식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드로잉한 도형의 형태, 크기, 색상, 투명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속성을 변경하여 상기 표시부 상에 표시하거나, 미리 해당 등록 도형 패턴에 대응한 GUI 컴포넌트를 드로잉된 패턴을 대체하여 표시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정상적인 인식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한 도형의 제어 방법이 정상적으로 인식된 경우, 인식 수단(120)은 등록 도형 패턴, 등록 GUI 컴포넌트 및 드로잉된 제어방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하여 위치, 형태, 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함으로써 해당 제어방법이 정상적으로 인식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
실행수단(130)은 인식된 등록 도형 패턴 및 제어방법에 대응하는 모듈을 호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듈에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에 구비된 시스템 제어 모듈, 어플리케이션 자체 또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특정 소프트웨어 모듈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에 대한 입력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가 작동되어 사용자로부터 특정 패턴이 드로잉 될 때까지 대기한다(S10).
사용자가 터치 입력부를 통하여 특정 패턴(도형)을 드로잉하면(S20), 제어부(100)는 입력된 패턴을 저장부(200)로부터 검색하여 인식한다(S30). 등록된 도형이 검색되지 않는 경우에는 다른 도형을 입력 받기 위하여 대기 한다.
다음에는 사용자로부터 도형을 선택받는다(S40). 이 때 사용자가 드로잉된 도형을 선택하지 않고 다른 도형을 지속하여 드로잉하는 경우에는 도형을 더 드로잉하는 것으로 판단하거나, 첫 번째 도형이 드로잉된 시간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흐른 경우에는 새로운 도형을 드로잉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도형의 제어방법을 입력받는다(S50). 한편, 사용자는 단일의 제어방법의 수행을 통하여 도형의 선택과 도형의 제어 두 단계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드로잉된 도형을 누르고 도형으로부터 손가락을 떼지 않은 상태에서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도형의 선택과 동시에 드래그라는 제어방법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제어방법을 입력받은 후에는 선택된 등록 도형 패턴 및 등록된 제어방법에 대응하는 모듈을 호출하여 실행시킨다(S60)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여 GUI 컴포넌트를 생성하고 이에 따라 특정 모듈을 실행시키는 방법을 몇 가지 사례를 통하여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화면 스크롤에 대응하는 도형 또는 GUI 컴포넌트를 생성하고 화면 스크롤 명령을 실행시키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7은 화면 스크롤 GUI 컴포넌트를 생성하고, 화면 스크롤 명령의 수행을 위하여 생성된 GUI 컴포넌트를 제어하는 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8은 왼손 잡이의 경우 GUI 컴포넌트를 생성하고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먼저, 우측 가장자리에 한정된 원이 약속된 등록 도형 패턴으로서 등록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수직방향의 드래그가 스크롤 명령에 대응하는 등록 제어방법이라고 가정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상에 원을 그린다. 이 경우 원 자체가 등록된 도형 패턴이고 우측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제어방법이 입력 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사용자가 입력한 도형이 등록된 도형 패턴으로 인식되었으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드로잉한 원을 미리 저장된 원형의 GUI 컴포넌트로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는 GUI 컴포넌트로 대체됨으로써 정상적으로 입력된 도형이 인식되었음을 인지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해당 GUI 컴포넌트를 선택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GUI 컴포넌트를 아래로 드래그 한다. 이 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GUI 컴포넌트의 선택과 드래그는 하나의 동작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사용자가 왼손잡이 이거나 왼손으로 스크롤 기능을 제어하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미리 등록 도형 패턴의 위치를 좌측으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좌측 가장자리에 원을 그리면,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둔 인식 패턴에 따라 도형을 인식하고 아래로의 드래그 제어방법을 인식하여 스크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줌 인 및 줌 아웃 기능에 대응하는 모듈을 호출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9은 줌 인 기능에 대한 GUI 생성 및 생성된 GUI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10은 줌 아웃 기능에 대한 GUI 생성 및 생성된 GUI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한편, 두 직선에 대하여 서로 멀어지도록 드래그 하는 경우 줌 인 기능을 수행하고, 가까워지도록 드래그 하는 경우 줌 아웃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이 호출되는 것으로 미리 설정된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사용자는 나란히 평행하는 두 직선을 터치 스크린 상에 드로잉한다. 기 인식된 도형을 선택하지 않는 경우 지속적으로 도형을 드로잉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둘 이상으로 도형을 포함하는 패턴을 드로잉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는 어느 하나의 직선 도형을 선택하고 타 직선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선택된 직선을 드래그 할 수 있다. 이러한 도형 및 제어를 통하여 줌 인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직선 도형을 선택하고 타 직선으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선택된 직선을 드래그 하는 경우에는 줌 아웃 기능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여 화면을 분할하여 어느 한쪽에 대한 스크롤 기능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1은 화면 분할에 이은 선택 화면의 스크롤 기능에 대한 GUI 생성 및 생성된 GUI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해당 도형 및 제어방법이 미리 등록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사용자는 먼저 화면 중앙의 상단 및 하단을 잇는 직선을 드로잉한다. 이 경우 특별한 제어방법 없이 도형의 드로잉 만으로 화면 분할에 해당하는 시스템 모듈 또는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호출한다. 이 후 분할된 화면 중 어느 한 화면에 도형을 드로잉하고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단계를 따라 스크롤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볼륨 조절 기능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은 볼륨 조절 기능에 대한 GUI 생성 및 생성된 GUI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해당 도형 및 제어방법이 미리 등록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사용자가 직선을 십자형으로 드로잉한다. 이 때 직선의 길이나 방향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둔 등록 도형 패턴에 따라 결정되므로 제한은 없다. 이 후 사용자가 어느 한 직선을 선택하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드래그 하거나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드래그함으로써 볼륨의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여 하이퍼 링크 기능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4는 하이퍼 링크 기능에 대한 GUI 생성 및 생성된 GUI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해당 도형 및 제어방법이 미리 등록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먼저 화면상에 사용자가 특정 URL을 기재하고, 기재된 URL 아래에 직선을 드로잉한다. 직선이 드로잉되고 직선 상부에 URL로 판단되는 주소가 기재된 경우에는 해당 URL로의 접속을 시도한다. 즉, 이 경우에는 단순히 특정 모듈을 호출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모듈의 호출과 동시에 특정 인자를 해당 모듈에 넘겨주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터치 입력부를 구비한 입력장치 및 그 입력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10: 터치 입출력부 11: 터치 입력부
12: 표시부 100: 제어부
110: 변환 수단 120: 인식 수단
130: 실행수단 200: 저장부
300: 시스템 모듈 400: 어플리케이션
12: 표시부 100: 제어부
110: 변환 수단 120: 인식 수단
130: 실행수단 200: 저장부
300: 시스템 모듈 400: 어플리케이션
Claims (13)
- 컴퓨팅 장치에 연결되거나 함께 구비되어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받는 터치 입력부;
특정 명령에 대응하는 도형 종류 및 제어 방법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터치 입력부으로부터 입력되는 도형과 상기 입력된 도형의 제어방법을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도형의 제어에 대응하는 명령을 실행 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입력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도형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도형인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터치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입력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내용이 표시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도형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도형인 경우, 상기 입력된 도형의 형태, 크기, 색상, 투명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속성을 변경하여 상기 표시부 상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터치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입력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도형의 제어 방법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방법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터치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입력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내용이 표시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도형의 제어방법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방법인 경우, 상기 입력된 도형의 제어방법에 대응하여 도형의 위치, 형태, 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터치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입력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형의 제어 방법은 드래그, 클릭, 더블 클릭, 멀티 터치 및 멀티 터치에 수반되는 드래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 방법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입력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는 특정 명령에 대응하는 도형의 입력 위치가 더 저장되는 터치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입력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명령은 상기 컴퓨팅 장치를 구동하는 시스템 모듈 또는 상기 컴퓨팅 장치에 구비된 어플리케이션 자체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구비되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호출하기 위한 명령인 터치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입력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시스템 모듈과 상기 어플리케이션 별로 도형 종류 및 제어 방법에 대응하는 모듈을 실행시키기 위한 식별자가 각각 저장되는 터치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입력장치. - 터치 입력부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도형을 입력받는 제1 단계;
터치 입력부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도형을 선택받는 제2 단계;
터치 입력부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도형의 제어방법을 입력받는 제3 단계; 및
상기 도형 및 상기 도형에 대한 제어방법에 대응하는 명령을 실행시키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입력장치의 입력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형의 선택 및 상기 도형의 제어방법의 입력은 터치 입력부에 대한 단일의 제어방법을 통하여 수행되는 터치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입력장치의 입력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형의 제어 방법은 드래그, 클릭, 더블 클릭, 멀티 터치 및 멀티 터치에 수반되는 드래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 방법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입력장치의 입력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형은 적어도 1회 이상의 터치에 의하여 드로잉되는 터치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입력장치의 입력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45687A KR20130077137A (ko) | 2011-12-29 | 2011-12-29 | 터치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입력장치 및 그 입력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45687A KR20130077137A (ko) | 2011-12-29 | 2011-12-29 | 터치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입력장치 및 그 입력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77137A true KR20130077137A (ko) | 2013-07-09 |
Family
ID=48990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45687A KR20130077137A (ko) | 2011-12-29 | 2011-12-29 | 터치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입력장치 및 그 입력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77137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18000A (ko) * | 2014-08-07 | 2016-02-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2011
- 2011-12-29 KR KR1020110145687A patent/KR2013007713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18000A (ko) * | 2014-08-07 | 2016-02-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US10635265B2 (en) | 2014-08-07 | 2020-04-28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133396B2 (en) | Virtual input device using second touch-enabled display | |
US9223471B2 (en) | Touch screen control | |
KR100831721B1 (ko) |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 |
RU2523169C2 (ru) | Панорамирование контент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операции перетаскивания | |
EP2469399B1 (en) | Layer-based user interface | |
US9336753B2 (en) | Executing secondary actions with respect to onscreen objects | |
US20120044164A1 (en) |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a control area on a touch screen | |
US20120212420A1 (en) | Multi-touch input control system | |
US20110060986A1 (en) |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a Touch Screen, User Interface of the Touch Screen, and an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 |
EP3355167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haracter input interface | |
JP2010517197A (ja) | マルチポイント感知装置でのジェスチャー | |
JP2014149833A (ja) | マルチタスキング運用のための画面表示方法及びこれをサポートする端末機 | |
KR102205283B1 (ko) |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WO2012160829A1 (ja) | タッチスクリーン装置、タッチ操作入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US20130100059A1 (en) | Content display engine for touch-enabled devices | |
JP2019505024A (ja) | タッチ感知面−ディスプレイによるジェスチャー制御式インタラクティブ方法及び装置 | |
KR20130075849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 방법 | |
US20150062015A1 (en) | Information processor, control method and program | |
US10691287B2 (en) | Touch panel typ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information input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thereof | |
JP5882973B2 (ja) | 情報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US20150062047A1 (en) | Information processor, control method and program | |
JP2017045298A (ja) | 電子機器の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入力の処理方法および電子機器 | |
KR20130077137A (ko) | 터치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입력장치 및 그 입력 방법 | |
Albanese et al. | A technique to improve text editing on smartphones | |
JPH11126132A (ja) | 入力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