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5650A -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knitting data of flat knitting machine - Google Patents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knitting data of flat knitt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5650A
KR20130075650A KR1020120125902A KR20120125902A KR20130075650A KR 20130075650 A KR20130075650 A KR 20130075650A KR 1020120125902 A KR1020120125902 A KR 1020120125902A KR 20120125902 A KR20120125902 A KR 20120125902A KR 20130075650 A KR20130075650 A KR 20130075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stop position
knitting
data
carri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59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77446B1 (en
Inventor
아쓰시 모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30075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56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7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74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2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 D04B7/26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with colour patter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94Driving-gea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15/99Driving-gea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ally controlle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0Driving devices for thread-carrier ro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66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Braiding, Manufacturing Of Bobbin-Net Or Lace, And Manufacturing Of Nets By Knotting (AREA)

Abstract

PURPOSE: A knitting data of the weft appointment is provided to as invention relating to production of the knitting data at the weft knitting machine. CONSTITUTION: A production method of knitting data of the weft appointment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A carriage [carriage] manipulating the needle of the needle bed and needle bed [needle bed] of at least forward and backward pair. A plurality of carriers which supply thread to the needle of the needle bed and multiple carrier rail [carrier rail]s are included. As to a method of automatically producing the knitting data of the weft appointment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A step (S1) saved at the carrier used in the knitting data among 1 components, of the garment [garment]. A step (S2) determining the stop position of carrier based on data at the carrier. It detects that the stop position of carrier overlaps toward the right angle direction of the needle bed in the horizontal plan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 producing method of knitting data for weft appointment comprises The step (S5) which changes the stop position so that the carrier may not carry out side by side is enforced. [Reference numerals] (AA) Stop position of a carrier; (BB) Non-exist; (CC) Exist; (DD) End; (S1) Save at the carrier used in the knitting data among 1 components, of the garment; (S2) Determine the stop position of carrier based on data at the carrier; (S3) Perform a loop against a most frequently used carrier; (S4) Is it a carrier which interferes during stop?; (S5) Change the stop position so that the carrier may not carry out side by side is enforced; (S6) All carriers : treatment finished; (S7) Carrier for next use

Description

횡편기용의 편성데이터의 생성방법과 그 장치{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KNITTING DATA OF FLAT KNITTING MACHINE}Method of generating knitting data for flat knitting machine and its apparatus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KNITTING DATA OF FLAT KNITTING MACHINE}

본 발명은 횡편기(橫編機)에서의 편성데이터(編成data)의 생성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캐리어(carrier)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편성데이터 중의 캐리어의 정지위치를 정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generation of knitting data in flat knitting machines, and more particularly, to determining a stop position of a carrier in knitting data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carriers.

횡편기는, 장척(長尺) 모양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예를 들면 1쌍 구비하고, 니들베드 상을 왕복하는 캐리지(carriage)에 의하여 바늘을 조작함과 아울러, 캐리어로부터 실을 바늘로 공급하여 편성포를 편성한다. 니들베드의 상방에는 캐리어 레일(carrier rail)이 복수로 니들베드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캐리어는 얀피더(yarn feeder)라고도 불리고, 하단부의 급사구(給絲口)로부터 실을 공급하고, 상단부가 캐리어 레일에 지지되고, 횡편기의 전후방향을 따라 약간 구부러지는 정도의 탄성을 구비하고 있다. 캐리어는 캐리지에 의하여 연동되어 캐리어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sliding) 하고, 연동을 해제하면 정지한다.The flat knitting machine includes, for example, a pair of long needle-shaped needle beds, and operates a needle by a carriage that reciprocates on the needle bed. To knit the fabric. Above the needle bed, a plurality of carrier rails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length direction of the needle bed, and the carrier is also called a yarn feeder, and feeds the yarn from the lower feeder at the lower end. The upper end portion is supported by the carrier rail and has elasticity that is slightly bent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The carrier is interlocked by the carriage, sliding along the carrier rail, and stopped when the interlock is released.

캐리어의 급사구는 니들베드 사이의 갭(gap)의 바로 상부를 이동하기 때문에, 캐리어가 교차할 때에 급사구는 서로 접촉하고, 이 때에 캐리어는 약간 변형되어 급사구가 서로 교차한다. 캐리지에는, 바늘을 조작하는 캠(cam) 이외에 스티치 프레서(stitch presser) 등 다른 부재가 설치되고, 이들 부재는 니들베드 사이의 갭의 상부 등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캐리어가 같은 위치에서 정지하면, 급사구가 스티치 프레서 등의 다른 부재와 간섭한다. 그래서 캐리어가 같은 위치에서 정지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이루어지며, 구체적으로는 리셋 보정(reset 補正)이라고 불리는 파라미터(parameter)만 편성폭의 외측에서 정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리셋 보정값을 캐리어마다 다르게 되도록 하면, 같은 위치에서 복수의 캐리어가 정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리셋 보정값을 매뉴얼(manual)로 입력할 필요가 있다. 또 리셋 보정값은 캐리어의 이동거리와 동작 등에 직접 연결되기 때문에 편성데이터의 일부이다.Since the feed yarns of the carrier move just above the gap between the needle beds, the feed spheres contact each other when the carriers cross, and the carriers deform slightly so that the feed spheres cross each other. The carriage is provided with other members such as a stitch presser in addition to a cam for operating the needle, and these members are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gap between the needle beds and the like. For this reason, when a some carrier stops at the same position, a yarn feeder interferes with other members, such as a stitch presser. Thus, the carrier is not stopped at the same position. Specifically, only a parameter called reset correction is allowed to stop outside the knitting width. If the reset correction value is made different for each carrier, the plurality of carriers can be prevented from stopping at the same position. However, in order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input the reset correction value manually. In addition, the reset correction value is part of the knitting data because i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movement distance and operation of the carrier.

특허문헌1(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5-93348)은, 캐리어의 미끄러짐량을 고려하여 캐리어의 연동을 해제하는 위치를 보정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또 특허문헌2(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1-106059)는 니들베드에 대한 캐리어 레일과 캐리어의 배치를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캐리어의 정지위치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것은 알려져 있지 않다.
Patent document 1 (Unexamined-Japanese-Patent No. 5-93348) discloses correct | amending the position which release | releases the linkage of a carrier in consideration of the slip amount of a carrier. Moreover, patent document 2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11-106059) has described the arrangement | positioning of a carrier rail and a carrier with respect to a needle bed. However, it is not known to automatically generate the stop position of the carrier.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5-93348Japanese Patent Laid-Open No. 5-93348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1-106059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2011-106059

본 발명의 과제는, 캐리어가 간섭하지 않도록 캐리어의 정지위치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편성데이터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것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ically generate knitting data including data of a stop position of a carrier so that the carrier does not interfere.

본 발명은,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와, 니들베드의 바늘을 조작하는 캐리지(carriage)와, 복수의 캐리어 레일(carrier rail)과, 개개의 캐리어 레일을 따라 캐리지에 연동되고 니들베드의 바늘에 실을 공급하는 복수의 캐리어를 구비하고 있는 횡편기(橫編機)용의 편성데이터(編成data)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t least one pair of front and rear needle beds, a carriage for manipulating the needles of the needle bed, a plurality of carrier rails, and a plurality of carrier rails, which are linked to the carriage along individual carrier rails. In the method of automatically generating knitting data for flat knitting machines having a plurality of carriers for supplying a thread to a needle of a needle bed,

가먼트(garment)의 1부분품 중에서의, 캐리어를 사용하는 캐리지의 코스와 캐리어의 이동범위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편성에 사용되는 캐리어마다 구하는 스텝과,A step of obtaining data indicating the course of the carriage using the carrier and the moving range of the carrier in each part of the garment for each carrier used for the knitting;

상기 데이터에 의거하여 캐리어의 정지위치를 상기 캐리어마다 정하는 스텝과,Determining a stop position of a carrier for each carrier based on the data;

캐리어의 정지위치가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수평면 내에서 직각방향으로 겹치는 것을 검출하면, 캐리어가 겹치지 않도록 정지위치를 변경하는 스텝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it is detected that the stop position of the carrier overlaps in the perpendicular direction in the horizontal pla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eedle bed, a step of changing the stop position so as not to overlap the carrier is performed.

또 본 발명은,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와, 니들베드의 바늘을 조작하는 캐리지와, 복수의 캐리어 레일과, 개개의 캐리어 레일을 따라 캐리지에 연동되고 니들베드의 바늘에 실을 공급하는 복수의 캐리어를 구비하고 있는 횡편기용의 편성데이터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장치에 있어서,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t least a pair of needle beds before and after, a carriage for operating the needle of the needle bed, a plurality of carrier rails, and a plurality of linked to the carriage along the individual carrier rails to supply the thread to the needle of the needle bed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knitting data for flat knitting machines having a carrier of

가먼트의 1부분품 중에서의, 캐리어를 사용하는 캐리지의 코스와 캐리어의 이동범위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편성에 사용하는 상기 캐리어마다 구하는 해석수단(解析手段)과,Analysis means obtained for each of the carriers used in the formation of data representing the course of the carriage using the carrier and the moving range of the carrier in one part of the garment,

상기 데이터에 의거하여 캐리어의 정지위치를 캐리어마다 정함과 아울러, 캐리어의 정지위치가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수평면 내에서 직각방향으로 겹치는 것을 검출하면, 캐리어가 겹치지 않도록 정지위치를 변경하는 정지위치 결정수단(停止位置 決定手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ased on the data, the stop position of the carrier is determined for each carrier, and when the stop position of the carrier is detected to overlap at right angles in the horizontal pla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eedle bed, the stop position is determined to change the stop position so that the carrier does not overlap.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means.

이렇게 하면, 캐리어의 사용회수와 이동거리의 데이터에 의거하여 자동으로 캐리어의 정지위치를 결정할 수 있고 또한 캐리어의 정지위치가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수평면 내에서 직각방향으로 겹치게 되어, 캐리어가 간섭하지 않는다. 캐리어의 정지위치라는 것은, 끝부의 바로 상부를 편성폭에 가장 가까운 정지위치로 하는 것도, 끝부의 바로 상부에 도4의 최소값을 더한 위치를 편성폭에 가장 가까운 정지위치로 하는 것도 포함하고 있다. 해석수단은 예를 들면 도2의 사용회수 추출부 혹은 블록 추출부에 대응하고, 정지위치 결정수단은 예를 들면 도2의 리셋 보정값 할당부에 대응한다. 이 명세서에 있어서, 편성데이터의 생성방법에 관한 기재는 그대로 편성데이터의 생성장치에도 적합하며, 편성데이터의 생성장치에 관한 기재는 그대로 편성데이터의 생성방법에도 적합하다.In this way, the stop position of the carrier can be automatically determined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carrier and the data of the movement distance, and the stop position of the carrier overlaps at right angles in the horizontal pla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eedle bed, thereby preventing the carrier from interfering. Do not. The stop position of the carrier includes a stop position closest to the knitting width as the top of the end, and a stop position closest to the knitting width as the position where the minimum value of FIG. The analyzing means corresponds to, for example, the use frequency extracting section or the block extracting section of FIG. 2, and the stop positioning means corresponds to, for example, the reset correction value assignment section of FIG. In this specification, the description of the method of generating the knitting data is suitable for the apparatus for generating the knitting data as it is, and the description of the apparatus for generating the knitting data is suitable for the method of generating the knitting data as it is.

바람직하게는, 정지위치 결정수단은, 사용회수가 많은 캐리어를 편성폭의 끝부의 가까이에, 사용회수가 적은 캐리어를 편성폭의 끝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정지시키도록 정지위치를 결정한다. 이렇게 하면, 사용회수가 많은 캐리어를 편성폭의 끝부 부근에 정지시킴으로써 캐리지가 캐리어를 이동시키는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단시간에 부분품을 편성할 수 있다. 또 사용회수의 다과는 적절한 정밀도로 구하면 좋고 예를 들면 정밀도를 3회로 하면, 사용회수가 51회와 49회는 같은 사용회수가 된다. 또 캐리어의 정지위치에서 중요한 것은 사용회수가 많은 캐리어의 값이며, 사용회수의 하위 2개 등의 캐리어에 대해서는 정지위치가 사용회수의 순서를 따르지 않고 있더라도 좋다.Preferably, the stop position determining means determines the stop position such that the carrier having a large number of times of use is stopped near the end of the knitting width, and the carrier having a low number of times of use is stopped at a position away from the end of the knitting width. This makes it possible to shorten the distance that the carriage moves the carrier by stopping the carrier having a large number of uses near the end of the knitting width. Therefore, the parts can be organized in a shorter time. The refreshment of the number of times of use may be obtained with appropriate precision. For example, if the precision is three times, the number of times of use is 51 and 49 times, respectively. It is also important that the stop position of the carrier is the value of the carrier with a large number of times of use, and for the carriers such as the lower two of the times of use, the stop position may not follow the order of the number of times of use.

바람직하게는, 정지위치 결정수단은 부분품 단위에서의 사용회수에 의거하여 정지위치를 결정한다. 이렇게 하면 간단하게 정지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top position determining means determines the stop position based on the number of uses in the parts unit. This makes it easy to determine the stop position.

더 바람직하게는, 해석수단에 의하여 부분품을 웨일방향으로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함과 아울러, 정지위치 결정수단은 블록단위에서의 사용회수에 의거하여 정지위치를 결정한다. 이렇게 하면, 사용하는 캐리어가 웨일방향을 따라 변화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 캐리어를 연동하는 연장거리가 짧아지도록 정지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More preferably, while the par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blocks in the wale direction by the analyzing means, the stop positioning means determines the stop position based on the number of uses in block units. In this case, the stop position can be determined so that the extension distance for interlocking the carrier is shortened when the carrier to be used is changed along the wale direction.

도1은, 니들베드와 캐리어 레일의 평면도이다.
도2는, 실시예의 편성데이터 생성장치의 블럭도이다.
도3은, 실시예에서의 캐리어의 정지값의 결정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4는, 부분품의 편성폭과 최소값 및 리셋 보정값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부분품에 대한 캐리어(a, b, c)의 정지위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변형예에서의 캐리어의 정지값의 결정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7은, 변형예에서의 부분품에 대한 캐리어(a, b, c)의 정지위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은, 변형예에서의, 인타샤 편성의 부분품에 대한 캐리어(a∼d)의 정지위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plan view of a needle bed and a carrier rail.
2 is a block diagram of the organization data generating apparatus of the embodiment.
3 is a flowchart showing an algorithm for determining a stop value of a carrier in the embodiment.
4 is a diagram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knitting width of a part and a minimum value and a reset correction value.
Fig.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op positions of the carriers a, b and c with respect to the parts.
Fig. 6 is a flowchart showing an algorithm for determining the stop value of a carrier in the modification.
Fig.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op positions of the carriers a, b, and c with respect to the parts in the modification.
FIG. 8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op position of the carriers a to d with respect to the parts of the in yarn knitting in the modification.

이하에서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적의 실시예를 나타낸다.The following shows the best example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실시예)(Example)

도1∼도8에 실시예와 그 변형을 나타낸다. 도1은 니들베드 상의 캐리어 레일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서, 2는 앞베드(front bed), 4는 뒷베드(back bed)이고, 그 사이에 갭(gap)(6)이 존재한다. 베드(2, 4)의 상부에 복수 개의 캐리어 레일(carrier rail)(8∼11)이 존재하고, 캐리어 레일(8∼11)을 따라 캐리어(carrier)(12)가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캐리지(carriage)에 연동되어 슬라이딩(sliding) 한다. 도면에서는 성형편성을 하고 있는 것으로 하고, 14는 앞쪽몸통 등의 편성폭, 15는 좌측소매 등의 편성폭, 16은 우측소매 등의 편성폭이고, 1매의 가먼트(garment)는 복수의 부분품으로 이루어지고, 부분품은 편성의 도중에 편성폭이 변화되는 경우가 있다. 가먼트는 편성폭이 일정하더라도 좋고 또 무봉제 편성(無縫製 編成)과 같이 1가먼트 = 1부분품이더라도 좋다. 이하 이 명세서에서는, 수평면 내에서 베드(2, 4)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좌우방향, 베드(2, 4)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전후방향이라고 한다.1 to 8 show examples and modifications thereof. 1 schematically shows a carrier rail on a needle bed, 2 being a front bed, 4 a back bed, with a gap 6 therebetween. There are a plurality of carrier rails 8-11 on the top of the beds 2, 4, and the carrier 12 along the carrier rails 8-11 is not shown in the figure. It slides in conjunction with the carriage. In the drawing, the knitted knitting is performed, 14 is a knitting width of the front body, 15 is a knitting width of the left sleeve, etc., 16 is a knitting width of the right sleeve, etc., and one garment is a plurality of parts. As for the part, the knitting width may change during the knitting. The garment may have a constant knitting width or may be one garment = one part like a no-sewing knitting. Hereinafter, in this specificatio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ds 2 and 4 in the horizontal plane and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ds 2 and 4 are referred to as the front-rear direction.

20은 편성데이터 생성장치(編成data 生成裝置)를 나타내고, 21은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이며, 마우스, 트랙볼, 디지타이저, 키보드 등의 입력수단과 컬러 모니터로 이루어진다. 22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network interface)이며, 네트워크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의 교환을 한다. 23은 디스크 드라이브(disk drive)이며,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디스크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의 교환을 한다. 24는 메모리(memory)이며, 여러 가지의 데이터 특히 편성데이터를 기억한다. 25는 프로그램 메모리(program memory)이며, 편성데이터 생성장치(20)의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20 denotes an organized data generating apparatus, 21 denotes a user interface, and includes input means such as a mouse, a trackball, a digitizer, a keyboard, and a color monitor. 22 is a network interface, which exchanges data and programs with the network. Reference numeral 23 denotes a disk drive, which exchanges data and programs with a disk not shown in the figure. 24 is a memory and stores various types of data, especially organized data. Numeral 25 denotes a program memory, which stores a program of the organization data generating device 20.

26은 변환부(變換部)이며, 유저 인터페이스(2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2) 혹은 디스크 드라이브(23) 등으로부터 입력된 편성포의 디자인 데이터를 편성데이터로 변환한다. 이 변환에서는, 캐리어의 정지위치의 데이터를 생성하지 않거나 또는 적절한 디폴트값(default value)을 할당한다. 27은 사용회수 추출부(使用回數 抽出部)이며, 편성데이터에서 사용하는 각 캐리어에 대하여 그 사용회수와 코스마다의 이동범위를 추출한다. 28은 블록 추출부(block 抽出部)이며, 도6의 알고리즘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고, 어느 캐리어를 사용하는지에 의거하여 1개의 부분품을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한다. 도3의 알고리즘을 실행하는 경우에 블록 추출부(28)는 불필요하다. 블록으로의 분할은 부분품의 웨일방향을 따라 하고, 웨일방향을 따른 블록의 길이로 최소값을 설정하고, 최소값 미만 길이의 블록은 상하 중에서 어느 하나의 블록에 합체한다.Reference numeral 26 denotes a conversion unit that converts design data of the knitted fabric input from the user interface 21, the network interface 22, the disk drive 23, or the like into knitted data. This conversion does not generate data at the stop position of the carrier or assigns an appropriate default value. Reference numeral 27 denotes a use frequency extracting section, and extracts the number of times of use and the moving range for each course for each carrier used in the organization data. 28 is a block extraction unit, which is used to execute the algorithm of FIG. 6, and divides one part into a plurality of blocks based on which carrier is used. In the case of executing the algorithm of Fig. 3, the block extractor 28 is unnecessary. The division into blocks is carried out along the wale direction of the part, and the minimum value is set to the length of the block along the wale direction, and a block having a length less than the minimum value is merged into one of the upper and lower blocks.

29는 리셋 보정값 할당부(reset 補正値 割當部)이며, 캐리어에 대하여 리셋 보정값을 할당한다. 리셋 보정값은 1부분품을 편성하는 사이에 일정하게 하여도 좋고 혹은 1부분품을 편성하는 도중에 변화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간섭 체크부(干涉 check部)(30)는 캐리어 사이의 간섭을 체크하며, 여기에서 간섭이라는 것은, 횡편기의 전후방향을 따라 겹쳐친 위치에서 복수의 캐리어가 정지하는 것이다. 캐리어가 간섭하는 상태에 있는 경우에 즉 복수의 캐리어가 전후방향으로 겹쳐서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캐리지가 캐리어와 교차하도록 이동하면, 캐리지 중의 스티치 프레서(stitch presser) 등이 캐리어와 간섭하여 손상될 우려가 있다.29 is a reset correction value assignment unit, which assigns a reset correction value to a carrier. The reset correction value may be constant between the knitting of one part, or may be changed during the knitting of one part. The interference check unit 30 checks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carriers. Here, the interference means that the plurality of carriers stop at the overlapped positions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When the carrier is in an interfering state, that is, when a plurality of carriers are overlapped and stopp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a carriage not shown in the figure moves to intersect the carrier, a stitch presser or the like in the carriage is moved with the carrier. It may be damaged by interference.

리셋 보정값 할당부(29)는, 최초 각 캐리어에 대하여 예를 들면 리셋 보정값 0을 할당한다. 그리고 간섭 체크부(30)가 캐리어 사이의 간섭을 검출하면, 간섭을 회피하도록 예를 들면 사용회수가 적은 캐리어의 리셋 보정값을 증가시킴으로써 간섭을 해소한다. 또 편성데이터 생성장치(20)는, 횡편기 내에 설치하여도 좋고 혹은 가먼트 등의 디자인 데이터를 작성하여 편성데이터로 변환하는 디자인 장치 내에 설치하여도 좋다.The reset correction value assignment unit 29 allocates, for example, a reset correction value 0 to each of the first carriers. When the interference check unit 30 detects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carriers, the interference is eliminated by, for example, increasing the reset correction value of the carrier having a low frequency of use so as to avoid the interference. The knitting data generating device 20 may be provided in a flat knitting machine, or may be provided in a design device that creates design data such as a garment and converts the knitting data into knitting data.

도3∼도5에 캐리어의 정지위치의 결정방법을 나타낸다. 부분품의 디자인이 결정되고, 이것을 편성데이터로 변환하면, 편성폭과 스티치의 종류 및 코스수(course數), 어느 캐리어를 어느 코스에서 어느 범위로 이동시킬지 등의 데이터가 정해진다. 그래서 스텝1에서, 1부분품 내에서, 캐리어를 사용하는 코스와 코스마다의 이동범위를 캐리어마다 구한다. 이 처리는 적어도 실제로 사용하는 캐리어에 대하여 실행한다. 1부분품 내에서의 캐리어의 사용회수를 캐리어마다 구함과 아울러, 각 캐리어의 정지위치를 최소값으로 설정한다. 바꾸어 말하면 각 캐리어에 대하여 리셋 보정값을 0으로 설정한다(스텝2). 사용하지 않는 캐리어는 예를 들면 니들베드의 끝부 등에 대피시켜 둔다.3 to 5 show a method of determining the stop position of the carrier. The design of the part is determined and converted to the knitting data to determine data such as the knitting width, the type of stitch, the number of courses, and which carrier to move from which course to which range. In step 1, the course using the carrier and the moving range for each course are determined for each carrier in one part. This process is performed for at least the carrier actually used. The number of uses of the carrier in one part is determined for each carrier, and the stop position of each carrier is set to the minimum value. In other words, the reset correction value is set to 0 for each carrier (step 2). Carriers that are not used are evacuated, for example, at the end of the needle bed.

도4에 리셋 보정값의 의미를 나타내며, 캐리어는 편성폭의 좌우를 왕복하고, 캐리어의 정지위치는 편성폭의 끝부로부터 바늘이 0개∼3개 정도의 최소값분의 간격을 둔 위치이다. 최소값은 인타샤 편성(intarsia 編成)의 경우에 예를 들면 0이고, 이외의 편성의 경우에 바늘 2∼3개분 등이다. 편성폭에 최소값을 더한 것이 편성데이터 중의 캐리어의 이동범위이다. 리셋 보정값은 편성폭으로부터 최소값분 외측으로 시프트(shift)한 위치에서 0이고, 이것이 리셋 보정값의 최소값이며, 리셋 보정값은 편성폭의 외측을 향하여 증가한다. 또 리셋 보정값의 단위는 예를 들면 급사구(給絲口) 1개분의 폭이다. 리셋 보정값의 리셋은 캐리지가 캐리어의 연동을 중지함으로써 보정값은 최소값으로부터의 시프트분이다. 그리고 리셋 보정값이 최소인 캐리어는, 편성폭으로부터 최소값만큼 외측으로 시프트한 위치에서 정지하고, 리셋 보정값이 증가함에 따라 편성폭으로부터 외측으로 떨어진 위치에 정지한다.The meaning of the reset correction value is shown in Fig. 4, and the carrier reciprocates right and left of the knitting width, and the stop position of the carrier is a position spaced from the end of the knitting width by a minimum of 0 to 3 needles. The minimum value is, for example, 0 in the case of intarsia knitting, and 2 to 3 needles in the case of other knitting. The minimum value is added to the knitting width to indicate the moving range of carriers in the knitting data. The reset correction value is 0 at the position shifted outward from the knitting width by the minimum value, which is the minimum value of the reset correction value, and the reset correction value increases toward the outside of the knitting width. The unit of the reset correction value is, for example, the width of one steep mouth. Resetting of the reset correction value is a shift from the minimum value because the carriage stops interlocking the carrier. The carrier with the minimum reset correction value stops at the position shifted outward from the knitting width by the minimum value, and stops at the position away from the knitting width as the reset correction value increases.

예를 들면 사용회수가 많은 캐리어로부터 작은 캐리어의 순서로(스텝3, 7) 스텝4∼스텝7을 실행한다. 스텝4에서 각 코스마다 정지 시의 캐리어의 위치를 체크하여 간섭하는 캐리어의 유무를 검출한다. 간섭하는 캐리어가 존재하는 경우에 정지위치를 외측으로 시프트시키고, 바꾸어 말하면 리셋 보정값을 증가시켜서 간섭을 해소한다(스텝5). 간섭하는 캐리어의 정지위치를 변경하면 다른 캐리어와의 사이에서 연쇄적으로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간섭이 해소될 때까지 캐리어의 정지위치를 변경한다. 그리고 스텝4, 5를 모든 코스에 대하여 실행하면, 예를 들면 다음으로 사용회수가 많은 캐리어에 대하여 동일한 처리를 하여 사용하는 모든 캐리어에 대하여 처리가 끝나면, 도3의 알고리즘을 종료한다.For example, steps 4 to 7 are executed in the order of small carriers (steps 3 and 7) from the carriers with many times of use. In step 4, for each course, the position of the carrier at the stop is checked to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interfering carrier. When there is an interfering carrier, the stop position is shifted outward, and in other words, the reset correction value is increased to eliminate the interference (step 5). If the stop position of the interfering carrier is changed, interference may occur in series with other carriers. Therefore, the stop position of the carrier is changed until the interference is resolved. When steps 4 and 5 are executed for all courses, for example, the processing of all the carriers used after the same processing is performed on the carriers with the greatest number of times of use, and then the algorithm shown in FIG.

도5는, 부분품(32)을 편성할 때에 있어서 캐리어(a, b, c)에 대한 리셋 보정값(일점쇄선)과 실제의 정지위치(이점쇄선)를 나타내고, 부분품(32) 중의 a, b, c의 기호는 사용하는 캐리어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명세서에서, 코스방향이라는 것은 캐리지의 왕복방향과 평행한 방향이고, 웨일방향이라는 것은 이것과 직각방향이다. 부분품(32)에서의 캐리어의 사용회수는 c > a > b의 순서이고, 캐리어(c)에 최소의 리셋 보정값을, 캐리어(a)에 다음의 리셋 보정값을, 캐리어(b)에 최대의 리셋 보정값을 할당한다. 부분품(32)의 편성폭에 증감이 없으면 리셋 보정값을 이상과 같이 정하면, 캐리어 사이의 간섭은 발생하지 않는다. 도5의 일점쇄선에 의하여 리셋 보정값을 따른 캐리어의 정지위치를 나타낸다.FIG. 5 shows the reset correction value (single dashed line) and the actual stop position (double dashed line) with respect to the carriers a, b, and c when organizing the part 32, and a, b in the part 32. FIG. , symbol c represents a carrier to be u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course direction is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eciprocating direction of the carriage, and the wale direction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hereto.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carrier in the part 32 is in the order of c> a> b, the minimum reset correction value for the carrier c, the next reset correction value for the carrier a, and the maximum for the carrier b. Allocate a reset correction value. If there is no increase or decrease in the knitting width of the part 32, if the reset correction value is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interference between carriers does not occur. The dashed dotted line in Fig. 5 shows the stop position of the carrier along the reset correction value.

부분품(32)의 편성폭에 증감이 있으면, 리셋 보정값이 다르게 되더라도 캐리어의 정지위치가 동일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캐리어(c)를 사용하는 블록에서 우측으로 편성폭이 증가하고, 이 블록에서는 캐리어(a, b)는 사용하지 않고 정지한 상태이기 때문에, 캐리어(c)와 캐리어(a, b)가 간섭한다. 그래서 도3의 스텝5에 의하여 캐리어(a, b)의 정지위치를 도5의 이점쇄선과 같이 자동으로 변경하거나 아니면 매뉴얼(manual)로 캐리어(a, b)의 정지위치를 변경한다. 캐리어(a)를 사용하는 최후의 블록에서는 편성폭이 서서히 감소하여 캐리어(a)가 캐리어(c)와 간섭하기 때문에, 캐리어(c)의 정지위치를 예를 들면 도5의 이점쇄선과 같이 변경한다. 또 도5에서는, 일점쇄선의 궤적으로부터 이점쇄선의 궤적으로 1회의 캐리지의 이동에 의하여 캐리어의 정지위치를 시프트시켰지만, 간섭이 발생하는 각 코스마다 캐리어의 정지위치를 조금씩 시프트시켜도 좋다. 또 캐리어의 정지위치의 시프트는, 간섭이 발생하는 코스까지 하면 좋다. 또 리셋 보정값을 부분품의 도중에 변경할 수 있는 변수(變數)로 간주하면, 도5의 우측에서 이점쇄선의 궤적을 취하도록 리셋 보정값을 정하여도 좋다.If the knitting width of the part 32 is increased or decreased, the stop position of the carrier may be the same even if the reset correction value is different. For example, since the knitting width increases from the block using the carrier c to the right, and in this block the carriers a and b are not used, the carrier c and the carriers a and b are stopped. Interferes. Thus, by the step 5 in Fig. 3, the stop positions of the carriers a and b are automatically changed as shown in Fig. 5, or the stop positions of the carriers a and b are manually changed. In the last block using the carrier a, the knitting width gradually decreases and the carrier a interferes with the carrier c. Therefore, the stop position of the carrier c is changed as shown by the dashed line in Fig. 5, for example. do. In Fig. 5, the stop position of the carrier is shifted by one carriage movement from the trace of the single-dot chain line to the locus of the double-dot chain line, but the stop position of the carrier may be shifted slightly for each course in which interference occurs. In addition, the shift of the stop position of the carrier may be up to a course where interference occurs. If the reset correction value is regarded as a variable that can be changed in the middle of the part, the reset correction value may be determined so as to take the locus of the double-dotted line on the right side of FIG.

이상의 것과 같이 하면,If you do the above

● 캐리어(a, b, c)의 정지위치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고,● stop positions of carriers (a, b, c) can be automatically generated,

● 캐리어를 연동하는 거리를 짧게 함으로써 캐리지의 이동거리를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By shortening the distance for interlocking the carrier,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moving distance of the carriage and improve productivity.

● 캐리어 사이의 간섭을 해소할 수 있다.Interference between carriers can be eliminated.

도6∼도8에 변형예를 나타내고, 특별하게 지적하는 점 이외에는 도1∼도5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최초에 도3의 스텝1을 실행하고, 이어서 스텝11에서 어느 캐리어를 사용할지에 의거하여 부분품을 웨일방향을 따라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한다. 이 때에 블록의 웨일방향을 따르는 길이로 최소값을 정하는 것 등에 의하여 코스수가 소정값 이하의 작은 블록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스텝11에서 각 캐리어의 사용회수를 블록마다 구하여 둔다. 이후의 처리는 블록단위로 하는 것으로 하고, 스텝12에서 각 캐리어의 정지위치를 최소값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예를 들면 도3의 스텝4∼7과 마찬가지로 하여 블록 내에서의 간섭을 해소한다(스텝13).6 to 8 are the same as the embodiment of Figs. 1 to 5 except that the modifications are specifically indicated. First, Step 1 of Fig. 3 is executed, and then the par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blocks along the wale direction based on which carrier is to be used in Step 11.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small block whose course number is small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is not generated by setting the minimum value to the length along the wale direction of the block. In step 11, the frequency of use of each carrier is obtained for each block. Subsequent processing is made in units of blocks. In step 12, the stop position of each carrier is set to the minimum value. For example, the interference in the block is elimin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steps 4 to 7 of FIG. 3 (step 13).

도7은, 부분품(33)으로의 리셋 보정값을 일점쇄선으로 나타내고, 도면 중의 X는 리셋 보정값을 교체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부분품(33)에 대하여 최하부의 캐리어(a)를 사용하는 작은 블록과 다음의 캐리어(a, b)를 사용하는 작은 블록을 합체하여, 전체를 예를 들면 4블록으로 한다. 그리고 블록단위로 리셋 보정값을 교체한다. 최초의 블록에서는 캐리어(a)를 주로 사용하는 것 이외에 캐리어(b)를 사용하기 때문에, 리셋 보정값은 캐리어(a)가 최소값이 0이고, 캐리어(b)에서는 1, 캐리어(c)에서는 2로 한다. 다음의 캐리어(b)를 사용하는 블록에서는, 캐리어(a)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예를 들면 캐리어(a, b) 사이에서 리셋 보정값을 교체한다. 마찬가지로 다음의 캐리어(c)를 사용하는 블록에서는 캐리어(b)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캐리어(b, c) 사이에서 리셋 보정값을 교체하고, 최후의 캐리어(a)를 사용하는 블록에서는 캐리어(c)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캐리어(c, a) 사이에서 리셋 보정값을 교체한다. 또 캐리어(b)를 사용하는 블록과 캐리어(c)를 사용하는 블록에서는,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정지위치가 일정한 캐리어(a) 등과 편성폭의 증가에 따라 우측으로 정지위치가 시프트하여 가는 캐리어(b, c) 등의 사이에서 간섭이 발생한다. 그래서 도5와 마찬가지로 하여 간섭하는 캐리어의 정지위치를 편성폭으로부터 보아서 먼 측으로 시프트시켜서 간섭을 회피한다.7 shows the reset correction value to the part 33 by a dashed-dotted line, and X in the figure indicates replacing the reset correction value. With respect to the part 33, the small block using the lowermost carrier a and the small block using the following carriers a and b are merged, so that the whole is made into four blocks, for example. Then replace the reset correction value in blocks. In the first block, the carrier (b) is used in addition to mainly using the carrier (a), so that the reset correction value is 0 for the carrier (a), 1 for the carrier (b), 2 for the carrier (c), and so on. Shall be. In the block using the next carrier b, since the carrier a is not used, for example, the reset correction value is replaced between the carriers a and b. Similarly, since the carrier b is not used in the block using the next carrier c, the reset correction value is replaced between the carriers b and c, and in the block using the last carrier a, the carrier c is used. ), The reset correction value is replaced between the carriers (c, a). In the block using the carrier (b) and the block using the carrier (c), since the carrier is not used, the carrier (b) is shifted to the right as the stop position is shifted to the right with increasing the knitting width and the like. , c) and the like. Thus, similarly to Fig. 5, the stop position of the interfering carrier is shifted to the far side from the knitting width to avoid the interference.

도8은 변형예에서의 인타샤 편성에 있어서의 리셋 보정값을 나타내고, 인타샤용의 캐리어는 연직방향 바로 아래로 실을 늘어뜨리도록 편성폭의 끝부의 바로 위 및 실을 변경하는 위치의 바로 위에서 정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 1개의 캐리어에 의하여 편성하는 에리어(area)를 1개의 편성폭으로 간주하고, 부분품(34)은 코스방향으로 2개의 편성폭을 가지는 것으로서 취급하여, 최소값은 0이기 때문에, 리셋 보정값이 0에서의 정지위치는 부분품(34)의 양단부와 에리어의 경계이다. 부분품(34)을 상하 2개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최초의 블록에서는 캐리어(a, b)를 사용하기 때문에 캐리어(a, b)에 작은 리셋 보정값을 할당하고, 다음의 블록에서는 캐리어(c, d)를 사용하기 때문에 캐리어(c, d)에 작은 리셋 보정값을 할당한다. 또 캐리어(a, b)를 사용하는 블록이 캐리어(c, d)를 사용하는 블록보다 큰 것에 착안하여, 하측의 블록에 대한 리셋 보정값을 상측의 블록에 대해서도 유효하게 하면, 도1∼도5의 실시예와 같아진다.Fig. 8 shows the reset correction value in the knitting of the in yarn in the modification, and the carrier for the insha is just above the end of the knitting width and the position of changing the yarn so that the yarn hangs just below the vertical direction. You can stop from above. In this case, the area knitted by one carrier is regarded as one knitting width, and the part 34 is treated as having two knitting widths in the course direction, and since the minimum value is 0, the reset correction value The stop position at zero is a boundary between both ends of the part 34 and the area. The part 34 is divided into two upper and lower blocks, and since the carriers a and b are used in the first block, a small reset correction value is assigned to the carriers a and b. Since d) is used, a small reset correction value is assigned to the carriers c and d. Note that the block using the carriers a and b is larger than the block using the carriers c and d, and the reset correction value for the lower block is also effective for the upper block. It is the same as the embodiment of 5.

실시예에서는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In the embodiment,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1)캐리어의 정지위치의 데이터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1) The data at the stop position of the carrier can be automatically generated.

(2)캐리어 사이의 간섭을 해소할 수 있다.(2) Interference between carriers can be eliminated.

(3)캐리어의 사용빈도에 따라 리셋 보정값을 결정함으로써 캐리지의 이동거리를 단축할 수 있다. 따라서 편성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3) By determining the reset correction value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of the carrier, the moving distance of the carriage can be shortened. Therefore, the time required for organization can be shortened.

2 : 앞베드
4 : 뒷베드
6 : 갭
8∼11 : 캐리어 레일
12 : 캐리어
14∼16 : 편성폭
20 : 편성데이터 생성장치
21 : 유저 인터페이스
22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23 : 디스크 드라이브
24 : 메모리
25 : 프로그램 메모리
26 : 변환부
27 : 사용회수 추출부
28 : 블록 추출부
29 : 리셋 보정값 할당부
30 : 간섭 체크부
32∼34 : 부분품
2: front bed
4: back bed
6: gap
8 to 11: carrier rail
12: carrier
14-16: knitting width
20: organization data generation device
21: user interface
22: network interface
23: disk drive
24: Memory
25: program memory
26: converter
27: use recovery section
28: block extraction unit
29: reset correction value allocation unit
30: interference check unit
32 to 34: parts

Claims (5)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와, 니들베드의 바늘을 조작하는 캐리지(carriage)와, 복수의 캐리어 레일(carrier rail)과, 개개의 캐리어 레일을 따라 캐리지에 연동되고 니들베드의 바늘에 실을 공급하는 복수의 캐리어를 구비하고 있는 횡편기(橫編機)용의 편성데이터(編成data)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먼트(garment)의 1부분품 중에서의, 캐리어를 사용하는 캐리지의 코스와 캐리어의 이동범위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편성에 사용되는 캐리어마다 구하는 스텝과,
상기 데이터에 의거하여 캐리어의 정지위치를 상기 캐리어마다 정하는 스텝과,
캐리어의 정지위치가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수평면 내에서 직각방향으로 겹치는 것을 검출하면, 캐리어가 겹치지 않도록 정지위치를 변경하는 스텝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橫編機)용의 편성데이터의 생성방법.
At least one pair of needle beds before and after, a carriage for manipulating the needle bed needles, a plurality of carrier rails, and a needle along the individual carrier rails, interlocked with the carriage In the method of automatically generating knitting data for a flat knitting machine having a plurality of carriers for supplying a yarn to a yarn,
A step of obtaining data indicating the course of the carriage using the carrier and the moving range of the carrier in each part of the garment for each carrier used for the knitting;
Determining a stop position of a carrier for each carrier based on the data;
If it is detected that the stop position of the carrier overlaps in the perpendicular direction in the horizontal pla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eedle bed, the step of changing the stop position so that the carrier does not overlap
A method of generating knitting data for flat knitting machine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xecuted.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와, 니들베드의 바늘을 조작하는 캐리지와, 복수의 캐리어 레일과, 개개의 캐리어 레일을 따라 캐리지에 연동되고 니들베드의 바늘에 실을 공급하는 복수의 캐리어를 구비하고 있는 횡편기용의 편성데이터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가먼트의 1부분품 중에서의, 캐리어를 사용하는 캐리지의 코스와 캐리어의 이동범위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편성에 사용하는 상기 캐리어마다 구하는 해석수단(解析手段)과,
상기 데이터에 의거하여 캐리어의 정지위치를 캐리어마다 정함과 아울러, 캐리어의 정지위치가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수평면 내에서 직각방향으로 겹치는 것을 검출하면, 캐리어가 겹치지 않도록 정지위치를 변경하는 정지위치 결정수단(停止位置 決定手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용의 편성데이터의 생성장치.
At least one pair of front and rear needle beds, a carriage for operating the needles of the needle beds, a plurality of carrier rails, and a plurality of carriers linked to the carriages along the respective carrier rails and for supplying thread to the needles of the needle beds;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knitting data for a flat knitting machine,
Analysis means obtained for each of the carriers used in the formation of data representing the course of the carriage using the carrier and the moving range of the carrier in one part of the garment,
Based on the data, the stop position of the carrier is determined for each carrier, and when the stop position of the carrier is detected to overlap at right angles in the horizontal pla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eedle bed, the stop position is determined to change the stop position so that the carrier does not overlap. Sudan (을 定 手段)
An apparatus for generating knitting data for a flat knitting machine, comprising:
제2항에 있어서,
정지위치 결정수단은, 사용회수가 많은 캐리어를 편성폭의 끝부의 가까이에, 사용회수가 적은 캐리어를 편성폭의 끝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정지시키도록 정지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데이터의 생성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stop position determining means determines the stop position such that the carrier having a large number of times of use is stopped near the end of the knitting width, and the carrier having a small number of times of use is stopped at a position away from the end of the knitting width.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정지위치 결정수단은, 부분품 단위에서의 사용회수에 의거하여 정지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용의 편성데이터의 생성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stop position determining means determines the stop position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of use in the parts unit.
제3항에 있어서,
해석수단에 의하여 부분품을 웨일방향으로 복수의 블록(block)으로 분할함과 아울러, 정지위치 결정수단은 블록 단위에서의 사용회수에 의거하여 정지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용의 편성데이터의 생성장치.
The method of claim 3,
By the analyzing means, the par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blocks in the wale direction, and the stop positioning means determines the stop position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of use in the block unit. Generating device.
KR1020120125902A 2011-12-27 2012-11-08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knitting data of flat knitting machine KR10137744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86041A JP5881412B2 (en) 2011-12-27 2011-12-27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knitting data for flat knitting machines
JPJP-P-2011-286041 2011-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5650A true KR20130075650A (en) 2013-07-05
KR101377446B1 KR101377446B1 (en) 2014-03-25

Family

ID=47227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5902A KR101377446B1 (en) 2011-12-27 2012-11-08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knitting data of flat knitting machin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610381B1 (en)
JP (1) JP5881412B2 (en)
KR (1) KR101377446B1 (en)
CN (1) CN103184653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48647B (en) * 2015-12-31 2017-10-10 福建睿能科技股份有限公司 Straight-bar machines and its machine head positioning method
KR102071933B1 (en) * 2019-09-17 2020-01-31 이지수 Knitting machine to stably produce fabric by adjusting the width of the body
CN110453364A (en) * 2019-09-23 2019-11-15 江苏金龙科技股份有限公司 A kind of day rod structure from race formula yarn mouth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30306C2 (en) * 1977-07-05 1985-01-03 H. Stoll Gmbh & Co, 7410 Reutlingen Method and flat knitting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intarsia
JPS5685449A (en) * 1979-12-10 1981-07-11 Shima Idea Center Yarn guide lever moving control apparatus in traverse knitting machine
JPH0593348A (en) * 1991-09-30 1993-04-16 Shima Seiki Mfg Ltd Apparatus for controlling stop position of yarn feeder
JPH0931807A (en) * 1995-07-17 1997-02-04 Tsudakoma Corp Knitting of plaiting knit fabric
JP4125212B2 (en) * 2003-10-10 2008-07-3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Flat knitting machine provided with removable knitting moving body and knitting member switching device
JP2006265794A (en) 2005-03-25 2006-10-05 Shima Seiki Mfg Ltd Method for knitting knitted fabric containing tuck course by flat knitting machine and its program and design apparatus
EP1724385B1 (en) * 2005-05-21 2016-05-18 H. Stoll AG & Co. KG Method of making knit fabric on a flat knitting machine
WO2009034910A1 (en) * 2007-09-10 2009-03-19 Shima Seiki Manufacturing, Ltd. Device and method for debugging knit design and debug program
DE102009032627B4 (en) * 2009-07-10 2012-10-18 H. Stoll Gmbh & Co. Kg Flat knitting machine with coupled with a drive means yarn guides
JP2011106059A (en) 2009-11-18 2011-06-02 Shima Seiki Mfg Ltd Flat knitt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133577A (en) 2013-07-08
EP2610381B1 (en) 2017-05-17
CN103184653A (en) 2013-07-03
EP2610381A1 (en) 2013-07-03
KR101377446B1 (en) 2014-03-25
CN103184653B (en) 2014-08-20
JP5881412B2 (en) 201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9238B1 (en) Knitting method and knitting fabric for intersia pattern, knit designing device, and knitting program
US8135489B2 (en) Knit simulation device, knit simulation method, and program thereof
MX2017009331A (en) Method of simultaneously knitting opposing sides of an article of footwear.
US6857294B2 (en) Method for knitting intarsia pattern knitting fabric and knitting program producing device therefor
KR101377446B1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knitting data of flat knitting machine
KR101523498B1 (en) Method for preventing unraveling of knitting yarn
EP2775020B1 (en) Flat knitting machine and knitting method using flat knitting machine
JP2012012757A (en) Knitting needle guide structure, knitting needle, knitting method, knit and glove
CN109082761A (en) A kind of method of cross machine knitting Pisces squama fabric
KR101347668B1 (en) Sock knitting machine
EP2492382B1 (en) Knit design apparatus
EP2292819B1 (en) Design device and design method for knitted fabric using intarsia jacquard
KR101387960B1 (en) Knitting method by flat knitting machine and apparatus for editing of knitting data
EP2636778B1 (en) Method for preventing unraveling of knitting yarn
KR101569014B1 (en) Method for knitting knitted fabric
JP6105009B2 (en) Pile knitting method with flat knitting machine
EP4101962A1 (en) Knitted fabric knitting method, knit designing system, and storage medium
JP2020133009A (en) Flat-knitting machine structure capable of changing needle bed gap size
JP2015028226A5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