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4936A -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제작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제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4936A
KR20130074936A KR1020110143065A KR20110143065A KR20130074936A KR 20130074936 A KR20130074936 A KR 20130074936A KR 1020110143065 A KR1020110143065 A KR 1020110143065A KR 20110143065 A KR20110143065 A KR 20110143065A KR 20130074936 A KR20130074936 A KR 20130074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igital
digital holographic
hologram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3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9774B1 (ko
Inventor
손욱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43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9774B1/ko
Priority to US13/716,064 priority patent/US9224241B2/en
Publication of KR20130074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4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03H1/08Synthesising holograms, i.e. holograms synthesized from objects or objects from hologra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2Processes or apparatus for obtaining an optical image from holograms
    • G03H1/2294Addressing the hologram to an active spatial light modulat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005Adaptation of holography to specific applications
    • G03H2001/0088Adaptation of holography to specific applications for video-holography, i.e. integrating hologram acquisition, transmission and displa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2Processes or apparatus for obtaining an optical image from holograms
    • G03H1/2202Reconstruction geometries or arrangements
    • G03H2001/2244Means for detecting or recording the holobject
    • G03H2001/2247Means for detecting or recording the holobject for testing the hologram or holobjec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10/00Object characteristics
    • G03H2210/40Synthetic representation, i.e. digital or optical object decomposition
    • G03H2210/42Synthetic representation, i.e. digital or optical object decomposition from real object, e.g. using 3D scann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olo 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홀로그래픽(DH: Digital Holographic) 콘텐츠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사 및 가상 객체에 대한 3차원 정보를 획득하는 3차원 영상 정보 획득부; 상기 3차원 영상 정보 획득부로부터 획득한 3차원 정보로부터 수학적 모델링에 의해 디지털 홀로그래픽(DH) 콘텐츠를 생성하는 컴퓨터 생성 홀로그램(CGH: Computer-Generated Hologram) 처리부; 상기 생성된 홀로그래픽 콘텐츠를 편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편집부; 상기 생성된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를 3차원 영상으로 가시화하는 디지털 홀로그램 영상 복원부; 및 상기 3차원 영상 정보 획득부, 상기 컴퓨터 생성 홀로그램 처리부, 상기 홀로그래픽 콘텐츠 편집부 및 상기 디지털 홀로그램 영상 복원부의 각 처리 과정을 파이프라인 방식으로 처리되도록 각 기능부의 파라미터 및 처리 시간을 관리하는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프로세스 관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제작 시스템{System for producing Digital Holographic Content}
본 발명은 디지털 홀로그래픽(DH: Digital Holographic) 콘텐츠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를 획득하여 생성, 편집, 복원 및 응용 콘텐츠 제작에 이르기까지의 제반 과정을 파이프라인 상에서 체계화하여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아날로그 홀로그램은 대상 물체에 가간섭성 광원인 레이저를 투사하여 특수필름에 홀로그램을 광학적으로 기록하였으며, 이를 전시관 진열을 위해 문화재 등의 특정 객체를 복원하는 등과 같은 한정된 목적으로 활용되었다. 또한, 유사 홀로그램의 경우에는 홀로그램의 광학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프로젝터와 반사경을 활용하여 공간상에 3차원 영상이 맺히게 하는 스테레오 방식의 영상 재생 기술이다. 이러한 유사 홀로그램 기술은 양안시차 방식에서 발생하는 입체영상 시청 시의 어지러움 및 피로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한편, 종래에는 컴퓨터 생성 홀로그램(Computer-Generated Hologram; CGH) 처리에 의해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자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는 방법론에 한정되어 있어 입체 영상 시청 시 발생되는 문제점을 근원적으로 해결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특화되어 3차원 영상을 효율적 생성 및 관리하는 기능이 부재하는 등의 한계성을 가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홀로그램을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하고, 기존의 양안시차 방식의 3D 영상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디지털 홀로그래픽(DH: Digital Holographic) 콘텐츠를 처음 생성 단계로부터 마지막 응용 콘텐츠 제작 단계까지 일관성 있게 체계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제작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의 획득, 생성, 편집, 복원, 화질평가/휴먼팩터, 응용 콘텐츠 제작에 이르기까지의 제반 과정을 파라미터(시스템, 물리적)로 정의된 프로세스 파이프라인으로 체계화하여 디지털 홀로그램을 콘텐츠 처리 관점의 프로세스 관리 차원에서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제작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제작 시스템은,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제작 시스템에 있어서, 실사 및 가상 객체에 대한 3차원 정보를 획득하는 3차원 영상 정보 획득부; 상기 3차원 영상 정보 획득부로부터 획득한 3차원 정보로부터 수학적 모델링에 의해 디지털 홀로그래픽(DH) 콘텐츠를 생성하는 컴퓨터 생성 홀로그램(CGH: Computer-Generated Hologram) 처리부; 상기 생성된 홀로그래픽 콘텐츠를 편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편집부; 상기 생성된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를 3차원 영상으로 가시화하는 디지털 홀로그램 영상 복원부; 및 상기 3차원 영상 정보 획득부, 상기 컴퓨터 생성 홀로그램 처리부, 상기 홀로그래픽 콘텐츠 편집부 및 상기 디지털 홀로그램 영상 복원부의 각 처리 과정을 파이프라인 방식으로 처리되도록 각 기능부의 파라미터 및 처리 시간을 관리하는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프로세스 관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홀로그램의 생성 및 편집과 제작 등에 걸치는 일련의 과정을 DH 콘텐츠 프로세스 관리 파이프라인 상에서 일관적이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응용 분야별 특화된 디지털 홀로그램 제작 및 타겟 응용 콘텐츠의 사용자/시스템 요구사항에 최적화된 콘텐츠 제작을 시뮬레이션 기능에 의한 사전 검증을 거친 후 예측 가능하게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3D 입체 영상처리 기술에서의 양안시차 방식에 기반하는 스테레오 방식으로부터 야기되는 시청시의 어지러움 및 피로감을 근원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3D 입체영상 콘텐츠를 생성부터 응용 콘텐츠 제작 단계까지의 제반 관련 과정을 하나의 시스템 상에서 일관성 있게 끊김없이(seamless) 처리 및 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라 디지털 홀로그램의 특성을 살려 시청자 눈의 어지러움과 피로감을 근원적으로 배제할 수 있으며, 3D 입체영상 생성과 동시에 저비용으로 단기간에 효율적으로 응용 분야의 특성을 살린 3D 입체영상 서비스의 실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의 생성 및 편집, 그리고 응용 홀로그램 콘텐츠 제작 등의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처리를 위한 제반 단계를 프로세스 관리 체계 상에서 일관되게 처리하도록 하는 파이프라인화함으로써, 디지털 홀로그램이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콘텐츠 제작자 및 사용자에 의해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사용자 친화적인 UCC(User-Created Content) 환경 구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제작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제작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프로세스를 기능적 특성으로 정의하기 위한 파라미터 설정 및 지원 기능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제작 시스템에 의해 실현 가능한 응용 서비스의 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디지털 홀로그래픽(DH: Digital Holographic) 콘텐츠를 획득에서부터 생성, 편집, 복원 및 응용 콘텐츠 제작에 이르기까지의 제반 과정을 디지털 콘텐츠 처리 관점에서의 프로세스 관리(management) 파이프라인 상에서 체계화하여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 및 영상 시퀀스로부터는 실사 객체 그리고 3D 모델링 툴로부터는 가상 객체에 대한 3차원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3차원 정보를 활용하여 가간섭 광원에 의하여 홀로그램이 광학적으로 생성되는 과정을 수학적으로 모델링하여 계산적으로 디지털 홀로그래픽(DH) 콘텐츠를 생성한다. 상기 생성된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를 절단, 정합, 병합, 합성, 스케일링 등과 같은 편집을 통해 저작한다.
한편, 상기 생성된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는 컴퓨터 그래픽 기법으로 가시화 또는 광학적으로 가시화함으로써 영상을 복원하고, 멀티센서 정보 및 디지털 홀로그램에 의한 멀티 및 다중 공간을 인지하며, 상호 작용을 처리한다. 또한, 복원된 디지털 홀로그램을 홀로그램이 광학적 특성이 인간 시각계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통해 화질을 평가하고 휴먼 팩터를 처리한다.
아울러, 디지털 홀로그램을 다양한 멀티미디어 응용 분야에서 가이드라인에 따라 응용 프로그래밍에 의하여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를 제작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한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처리의 제반 단계를 제작 공정화하고,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프로세스 관리부에 의해 상기 각 단계의 기능적 특성을 파라미터화 함으로써 일관성 있게 끊김 없이(seamless) 운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제작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실사 및/또는 가상 객체에 대한 3차원 정보를 획득하는 3차원 영상 정보 획득부(101), 디지털 홀로그래픽(DH) 콘텐츠를 수학적 계산에 의해 생성하는 컴퓨터 생성 홀로그램 처리부(102),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를 편집하기 위한 DH 콘텐츠 편집부(103),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를 3차원 영상으로 가시화하는 DH 영상 복원부(104), 디지털 홀로그램을 응용 프로그래밍에 의하여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를 제작하는 DH 콘텐츠 제작부(105), 멀티센서 정보 및 디지털 홀로그램에 의해 디지털 홀로그램의 공간을 인지하고 상호 작용을 처리하는 DH 콘텐츠 공간인지 및 상호작용부(106),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처리의 제반 단계들이 일관성 있게 운용되도록 파이프라인 방식에 의해 관리하는 DH 콘텐츠 프로세스 관리부(107), 홀로그램의 광학적 특성이 인간 시각계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통한 화질평가 및 3D 영상물 관람 시 신체적 불편감이나 시각 피로도를 최소화하는 휴먼 팩터 처리를 수행하는  화질평가/휴먼팩터 처리부(108)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먼저, 3차원 영상 정보 획득부(101)는 카메라 및 영상 시퀀스로부터는 실사 객체 그리고 3D 모델링 툴로부터는 가상 객체에 대한 3차원 정보를 획득한다.
컴퓨터 생성 홀로그램(CGH: Computer-Generated Hologram) 처리부(102)는, 상기 3차원 영상 정보 획득부(101)에서 획득된 3차원 정보를 활용하여 가간섭 광원에 의하여 홀로그램이 광학적으로 생성되는 과정을 수학적으로 모델링함으로써 컴퓨터 계산 처리에 의해 디지털 홀로그래픽(DH) 콘텐츠를 생성한다.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편집부(103)는 상기 컴퓨터 생성 홀로그램 처리부(102)를 통해 생성된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를 절단, 정합, 병합, 합성, 스케일링 등의 방법으로 편집함으로써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를 저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디지털 홀로그램 영상 복원부(104)는 상기 컴퓨터 생성 홀로그램 처리부(102)에서 생성된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를 컴퓨터 그래픽스 기법 및 광학적 처리 방법을 통하여 3차원 영상으로 가시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디지털 홀로그램 공간인지 및 상호작용부(106)는 디지털 홀로그래픽 영상 복원부(104)에 의해 3차원 영상으로 복원된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를 운용할 때, 기존의 카메라와 IR 센서 등의 멀티센서에 의한 3차원 공간정보 및 디지털 홀로그램에 의한 공간정보를 정의하고 두 공간의 정합에 의한 확장된 다중 공간정보를 인지함으로써 확장된 3차원 공간 상에서 사용자의 동작을 구분하여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화질평가/휴먼팩터 처리부(108)는 상기 디지털 홀로그램 영상 복원부(104)에 의해 복원된 디지털 홀로그램에 대해 홀로그램의 광학적 특성이 인간 시각계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통한 화질평가를 수행하고, 3D 영상물을 관람할 때 야기되는 신체적 불편감이나 시각 피로도를 최소화하는 휴먼 팩터를 처리한다.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제작부(105)는 응용 디지털 홀로그램을 다양한 멀티미디어 응용 분야로부터 제작 가이드라인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공된 제작 가이드라인 정보에 따라 사용자 친화적인 UCC 환경 기반의 응용 프로그래밍에 의하여 용이하게 제작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프로세스 관리부(10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처리의 제반 단계를 제작 파이프라인 형식으로 공정화하고, 상기 각 기능부에서 처리되는 단계의 기능적 특성을 파라미터화 하여 일관 성있게 끊김 없는(seamless) 콘텐츠 운용을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제작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 및 영상 시퀀스로부터 실사 객체 그리고 3D 모델링 툴로부터 가상 객체에 대한 3차원 정보를 획득(S201)한다.
그런 다음, 상기 획득된 3차원 정보를 활용하여 가간섭 광원에 의하여 홀로그램이 광학적으로 생성되는 과정을 수학적으로 모델링하여 계산적으로 디지털 홀로그래픽(DH) 콘텐츠를 생성(S202)한다. 다음으로. 상기 생성된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를 절단, 정합, 병합, 합성, 스케일링 등과 같은 방법에 의해 편집(S203)을 한다.
한편, 상기 생성된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는 컴퓨터 그래픽 기법으로 가시화 또는 광학적으로 가시화함으로써 영상을 복원(S404)하고, 멀티센서 정보 및 디지털 홀로그램에 의한 멀티 및 다중 공간을 인지하며, 상호 작용을 처리한다. 또한, 복원된 디지털 홀로그램을 홀로그램이 광학적 특성이 인간 시각계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통해 화질을 평가하고 휴먼 팩터를 처리(S205)한다.
아울러, 디지털 홀로그램을 다양한 멀티미디어 응용 분야에서 가이드라인에 따라 응용 프로그래밍에 의하여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를 제작(S206)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제작을 위한 프로세스 관리 파이프라인 운용 시스템의 관리 파이프라인 상의 각 프로세스를 기능적 특성으로 정의하기 위해 사용 가능한 파라미터 설정 및 DH 콘텐츠 매니지먼트 프로세스 운용 시스템에서 지원해야 되는 기능을 표시한 도면이다. 이때, 상기 파라미터 설정은 시스템 파라미터 및 물리적 파라미터를 모두 포함하며, 또한 기능은 프로세스 관리 기능과 시뮬레이션 기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 시스템 파라미터 및 물리적 파라미터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각 프로세스의 설계 및 구현 시에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며 또한 프로세스 관리 기능 및 시뮬레이션 기능은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제작을 위한 프로세스 관리 파이프라인 운용 시스템에서 지원되어야 할 항목들을 포함한 것이다. 하지만,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제작을 위한 프로세스 관리트 파이프라인 운용 시스템 구현에 고려해야 될 사항으로서 이러한 제시 항목 들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확장 및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먼저, 3차원 영상 정보 획득부(101)의 시스템 파라미터는 실사 및 가상 객체 구분, 시점 수, 획득 방법, 카메라 시야갹(FoV), 광원위치, 깊이 맵(Depth map), 광원 위치, 깊이 맵 해상도, 색상 맵 해상도 등이 될 수 있으며, 물리적 파라미터는 입력 카메라 사양, 예컨대, 깊이 카메라의 해상도, 사이즈, 속도, 스테레오 카메라의 해상도, 사이즈, 속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3차원 영상 정보 획득부(101)에서 프로세스 관리부(107)에 의해 관리되는 기능은 영상 정보 저장, 3차원 영상 정보 출력(Point Cloud, 삼각형 메쉬), 3D 모델링 툴 연동 등이며, 시뮬레이션 기능으로는 파라미터 설정, 획득 결과(깊이 맵, 색상 맵), Pre-Viz, 추출 속도 예측 기능 등이다.
다음으로, 컴퓨터 생성 홀로그램 처리부(102)의 시스템 파라미터는 점광원/삼각형 메쉬 샘플링 레이트, 광파 회절/근사화 방법, 3D 영상광파의 모델, 병렬처리 시스템 사양, 목표 생성속도, 홀로그램 사이즈, 홀로그램 포맷, 시야각(FoV) 등이 될 수 있으며, 물리적 파라미터는 홀로그램 플레인 거리, 오프-축(off-Axis) 각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생성 홀로그램 처리부(102)에서 프로세스 관리부(107)에 의해 관리되는 기능은 3차원 영상정보 입력, 대용량 홀로그램 데이터 저장, CCD 입력 변환 저장, 홀로그래픽 프린지 패턴 출력 기능 등이며, 시뮬레이션 기능으로는 파라미터 설정, 복원 홀로그램 스펙 예측, 생성 홀로그램 Pre-Viz, 생성 시간 예측, 생성 속도 예측 기능 등이다.
다음으로, DH 영상 복원부(104)의 시스템 파라미터는 광파 복원 광학 모델링, 병렬 처리 시스템 사양, 복원 홀로그램 사이즈 허용 시차 종류(FP, HPO 등), 디스플레이 소자 분해능, 복원 속도, 공간 해상도, 영상 사이즈, 시야각, 영상 부양 거리 등이 될 수 있으며, 물리적 파라미터는 사용 광원, 대물 렌즈 구경, 스크린 사이즈, 초점 거리, SLM 특성(회절각, 픽셀 피치), 광파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H 영상 복원부(104)에서 프로세스 관리부(107)에 의해 관리되는 기능은 CCD 입력/CGH 합성 기능 등이며, 시뮬레이션 기능으로는 파라미터 설정, 편집 결과 Pre-Viz, 편집 속도 예측 기능 등이다.
다음으로, DH 콘텐츠 편집부(103)의 시스템 파라미터는 편집 지원 기능, 지원 부가 콘텐츠 종류, 편집 속도 등이 될 수 있으며, 물리적 파라미터는 편집 도메인(깊이 맵, 프린지 패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H 콘텐츠 편집부(103)에서 프로세스 관리부(107)에 의해 관리되는 기능은 절단, 합성, 병합, 스케일링, 부가 콘텐츠 파일 저장, 편집 도메인 설정 기능 등이며, 시뮬레이션 기능으로는 파라미터 설정, CGH 생성 홀로그램 스펙, 역추적, 복원 홀로그램 Pre-Viz 기능 등이다.
다음으로, DH 콘텐츠 공간인지/상호작용부(106)의 시스템 파라미터는 다중공간 범위, 다중공간 정합도, 공간 해상도, 상호 작용 종류 등이 될 수 있으며, 물리적 파라미터는 멀티 센서 종류, 센서 위치/개수, 시청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H 콘텐츠 공간인지/상호작용부(106)에서 프로세스 관리부(107)에 의해 관리되는 기능은 공간인지 범위 설정, 상호 작용 기능 설정 기능 등이며, 시뮬레이션 기능으로는 다중공간 범위 정의 모델링 기능 등이다.
다음으로, DH 콘텐츠 화질평가/휴먼팩터 처리부(108)의 시스템 파라미터는 스페클(speckle) 노이즈, 회절 효율 등이 될 수 있으며, 물리적 파라미터는 광원 종류, 스파셜 깊이 분해도, CFF, HVS 모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H 콘텐츠 화질평가/휴먼팩터 처리부(108)에서 프로세스 관리부(107)에 의해 관리되는 기능은 화질평가 파라미터 조정 기능 등이며, 시뮬레이션 기능으로는 시스템/물리적 파라미터 기반의 모의 화질 평가 및 휴먼 팩터 규명 기능 등이다.
마지막으로, DH 콘텐츠 제작부(105)의 시스템 파라미터는 응용 분야, 가이드라인 기능, 지원 프로그래밍 기능 등이 될 수 있으며, 물리적 파라미터는 디스플레이 사이즈, 디스플레이 해상도, 디스플레이 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H 콘텐츠 제작부(105)에서 프로세스 관리부(107)에 의해 관리되는 기능은 응용 분야별 레퍼런스 기능 등이며, 시뮬레이션 기능으로는 콘텐츠 프로그래밍 결과 Pre-Viz, 시스템 파라미터 역추적 기능 등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제작을 위한 프로세스 매니지먼트 파이프라인 운용 시스템에 의해 실현 가능한 3D 영상 응용 서비스 예를 표시한 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공공분야에서의 DH 콘텐츠 전용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 구축에 의한 문화재/역사 복원 전시 및 관광/문화/예술 작품 전시 및 미디어 테이블에 의한 교육용 콘텐츠 전시 구축 등에 활용 가능하다.
또한, 키오스크형의 소형 디스플레이 구축에 의하여 리테일 샵 제품/브랜드 서비스 및 멀티플렉스 극장체인 티켓팅 및 고객거점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등에 의한 노출형 광고모델 운영이 가능하며, 또한 영상연출 공간인 스페이스 홀더와 미디어월 및 파사드 구축에 의하여 예술/공연/엔터테인먼트 분야의 3D 서비스 실현에 적용 가능하다.
상기 도 4에 도시된 3D 영상 서비스 실현을 위해서, 종래에는 대부분 유사 홀로그램 기술을 적용하였으며,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처리를 위한 제반 프로세스를 일관성 있게 처리하는 방법이 없었다. 이에 따라 각 프로세스별 기능을 개별적 오프라인 형식으로 다루어 응용 분야별 특화된 3D 영상 서비스의 효율적인 구축에 한계가 존재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각 처리를 위한 제반 프로세스를 프로세스 관리부(107)에서 파이프라인 방식에 의해 처리함으로써, 3D 입체영상 콘텐츠를 생성부터 응용 콘텐츠 제작 단계까지의 제반 관련 과정을 하나의 시스템 상에서 일관성 있게 끊김없이(seamless) 처리 및 운용할 수 있다. 아울러, 디지털 홀로그램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콘텐츠 제작자 및 사용자에 의해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사용자 친화적인 UCC(User-Created Content) 환경 구축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몇 가지 실시 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1: 3차원 영상 정보 획득부 102: 컴퓨터 생성 홀로그램 처리부
103: DH 콘텐츠 편집부 104: DH 영상 복원부
105: DH 콘텐츠 제작부
106: DH 콘텐츠 공간인지 및 상호작용부
107: DH 콘텐츠 프로세스 관리부

Claims (11)

  1.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제작 시스템에 있어서,
    실사 및 가상 객체에 대한 3차원 정보를 획득하는 3차원 영상 정보 획득부;
    상기 3차원 영상 정보 획득부로부터 획득한 3차원 정보로부터 수학적 모델링에 의해 디지털 홀로그래픽(DH) 콘텐츠를 생성하는 컴퓨터 생성 홀로그램(CGH: Computer-Generated Hologram) 처리부;
    상기 생성된 홀로그래픽 콘텐츠를 편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편집부;
    상기 생성된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를 3차원 영상으로 가시화하는 디지털 홀로그램 영상 복원부; 및
    상기 3차원 영상 정보 획득부, 상기 컴퓨터 생성 홀로그램 처리부, 상기 홀로그래픽 콘텐츠 편집부 및 상기 디지털 홀로그램 영상 복원부의 각 처리 과정을 파이프라인 방식으로 처리되도록 각 기능부의 파라미터 및 처리 시간을 관리하는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프로세스 관리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제작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프로세스 관리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디지털 홀로그램 영상 복원부와 연동함으로써 멀티센서 정보 및 디지털 홀로그램에 의한 멀티 및 다중 공간인지 기능 및 상호 작용 처리를 수행하는 DH 콘텐츠 공간인지 및 상호작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제작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인지 및 상호작용부는,
    3차원 영상으로 복원된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운용 시, 기존의 카메라와 IR 센서 등의 멀티센서에 의한 3차원 공간정보 및 디지털 홀로그램에 의한 공간정보를 정의하고 두 공간의 정합에 의한 확장된 다중 공간정보를 인지하고 또한 확장된 3차원 공간 상에서 사용자의 동작을 구분하여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제작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홀로그램 영상 복원부 또는 디지털 콘텐츠 편집부로부터 디지털 홀로그램 데이터를 제공받아 디지털 홀로그램의 특성 분석을 통해 화질평가 및 휴먼팩터를 처리하는 디지털 홀로그램 화질평가/휴먼팩터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제작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각 응용분야에 따른 제작 가이드라인 데이터를 제공받아 디지털 홀로그램을 해당 응용분야에 활용 가능한 콘텐츠로 제작하는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제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제작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제작부는,
    각 멀티미디어 응용 분야에 해당하는 가이드라인 정보에 따라 사용자 친화적인 UCC 환경 기반의 응용 프로그래밍에 의하여 응용 디지털 홀로그램을 제작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제작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영상정보 획득부는,
    카메라 및 영상 시퀀스로부터는 실사 객체를 획득하며, 3D 모델링 툴로부터는 가상 객체에 대한 3차원 정보를 깊이 맵(Depth map) 및 RGB맵의 데이터 형식으로 이중적으로(dual mode)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제작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생성 홀로그램 처리부는,
    상기 획득된 3차원 정보를 활용하여 가간섭 광원에 의하여 홀로그램이 광학적으로 생성되는 과정을 수학적으로 모델링하여 컴퓨터 계산에 의해 디지털 홀로그래픽(DH)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제작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편집부는,
    생성된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를 깊이 맵 도메인 또는 프린지패턴 도메인 상에서 절단, 정합, 병합, 합성 및 스케일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 등을 통한 편집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제작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홀로그램 영상 복원부는,
    생성된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를 객체로부터 반사되는 광파면(light wavefront) 추적을 통한 컴퓨터 그래픽스 렌더링 기법 및 재생파 투사의 아날로그 광학적 처리 방법으로 3차원 영상 가시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제작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프로세스 관리부는,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처리의 제반 단계를 제작 파이프라인 형식의 공정화하여 처리하며, 각 단계의 기능적 특성을 파라미터화하여 일관성있게 끊김없는(seamless) 콘텐츠 운용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제작 시스템.
KR1020110143065A 2011-12-27 2011-12-27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제작 시스템 KR101859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065A KR101859774B1 (ko) 2011-12-27 2011-12-27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제작 시스템
US13/716,064 US9224241B2 (en) 2011-12-27 2012-12-14 System for producing digital holographic cont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065A KR101859774B1 (ko) 2011-12-27 2011-12-27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제작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4936A true KR20130074936A (ko) 2013-07-05
KR101859774B1 KR101859774B1 (ko) 2018-05-18

Family

ID=48654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3065A KR101859774B1 (ko) 2011-12-27 2011-12-27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제작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224241B2 (ko)
KR (1) KR10185977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9508A (ko) * 2014-04-11 2015-10-26 전자부품연구원 원통형 또는 구형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위한 3d 콘텐츠 생성방법 및 장치
KR20160019308A (ko) * 2014-08-11 2016-02-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홀로그래픽 영상에 대한 품질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70060725A (ko) * 2015-11-25 2017-06-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홀로그래픽 영상 화질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KR20190125827A (ko) * 2018-04-30 2019-11-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진폭 변조 홀로그램을 위한 홀로그램 인코딩 및 홀로그램 화질 평가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085342A (ko) * 2019-12-30 2021-07-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화질 평가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34614B2 (en) 2012-05-31 2018-04-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ixed size augmented reality objects
KR102106135B1 (ko) * 2013-10-01 2020-05-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행동 인식 기반의 응용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US10119809B2 (en) * 2015-02-16 2018-11-06 Intel Corporation Simulating multi-camera imaging systems
US9740011B2 (en) 2015-08-19 2017-08-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apping input to hologram or two-dimensional display
JP2018097141A (ja) * 2016-12-13 2018-06-2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頭部装着型表示装置、仮想物体表示システム
KR102304225B1 (ko) * 2017-05-23 2021-09-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홀로그램 재현 영상의 공간 해상도를 측정 및 평가하는 방법 및 장치
US10354573B2 (en) * 2017-07-25 2019-07-16 Lenovo (Singapore) Pte Ltd Screen color calibration
CN107609100A (zh) * 2017-09-11 2018-01-19 叙永县图书馆 一种体感式图书馆资源数据库系统及方法
RU2686576C1 (ru) 2017-11-30 2019-04-29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Компак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голографического дисплея
EP3509308A1 (en) * 2018-01-05 2019-07-10 Koninklijke Philips N.V.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image data bitstream
US10416609B1 (en) * 2018-03-07 2019-09-17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Single shot imaging using digital holography receiver
JP2019185475A (ja) * 2018-04-12 2019-10-24 富士通株式会社 特定プログラム、特定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US10753736B2 (en) * 2018-07-26 2020-08-25 Cisco Technology, Inc. Three-dimensional computer vision based on projected pattern of laser dots and geometric pattern matching
CN109166625B (zh) * 2018-10-10 2022-06-07 欧阳聪星 一种牙齿虚拟编辑方法及系统
US11454928B2 (en) * 2018-11-06 2022-09-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Holographic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xpanded viewing window
US11796959B2 (en) 2019-01-25 2023-10-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gmented image viewing with three dimensional objects
KR102454167B1 (ko) 2019-06-27 2022-10-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상 시점 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
CN111007664A (zh) * 2019-12-18 2020-04-14 中国科学院光电技术研究所 一种高衍射效率、低散斑噪声的衍射光学元件的设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00904B1 (en) 2000-02-04 2005-05-31 Zebra Imaging, Inc. Distributed system for producing holographic stereograms on-demand from various types of source material
JP2007101939A (ja) * 2005-10-05 2007-04-19 Sanyo Electric Co Ltd ホログラム装置、ホログラム装置の記録方法
DE102006025096B4 (de) 2006-05-23 2012-03-29 Seereal Technologies S.A.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Rendern und Generieren computer-generierter Videohologramme
DE102007023739B4 (de) * 2007-05-16 2018-01-04 Seereal Technologies S.A. Verfahren zum Rendern und Generieren von Farbvideohologrammen in Echtzeit und holographische Wiedergabeeinrichtung
US8860688B2 (en) * 2011-03-02 2014-10-14 Smart Technologies Ulc 3D interactive input system and method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9508A (ko) * 2014-04-11 2015-10-26 전자부품연구원 원통형 또는 구형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위한 3d 콘텐츠 생성방법 및 장치
KR20160019308A (ko) * 2014-08-11 2016-02-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홀로그래픽 영상에 대한 품질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70060725A (ko) * 2015-11-25 2017-06-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홀로그래픽 영상 화질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KR20190125827A (ko) * 2018-04-30 2019-11-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진폭 변조 홀로그램을 위한 홀로그램 인코딩 및 홀로그램 화질 평가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085342A (ko) * 2019-12-30 2021-07-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화질 평가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62637A1 (en) 2013-06-27
US9224241B2 (en) 2015-12-29
KR101859774B1 (ko) 2018-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74936A (ko)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제작 시스템
Zhang et al. Computer-generated hologram with occlusion effect using layer-based processing
Paturzo et al. Synthesis and display of dynamic holographic 3D scenes with real-world objects
US8854424B2 (en) Generating an aerial display of three-dimensional images from a single two-dimensional image or a sequence of two-dimensional images
US20110249087A1 (en) Multiple view display of three-dimensional images
CN108038911A (zh) 一种基于ar技术的全息成像控制方法
CN104679235A (zh) 全息内容提供方法及全息内容提供装置和显示装置
Zhao et al. Quality enhancement and GPU acceleration for a full-color holographic system using a relocated point cloud gridding method
Kim et al. Holographic augmented reality based on three-dimensional volumetric imaging for a photorealistic scene
JP4189879B2 (ja) 生成装置、生成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140313555A1 (en) Digital hologram synthesis method and apparatus
KR101489356B1 (ko)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디지털 홀로그램 콘텐츠 제공 시스템
Kakue et al. Review of real-time reconstruction techniques for aerial-projection holographic displays
KR100910642B1 (ko) 홀로그래피 기법에 의해 획득된 영상의 3차원 집적 영상복원 방법 및 장치
Park et al. Enhanced-resolution computational integral imaging reconstruction using an intermediate-view reconstruction technique
Haleem et al. Holography and its applications for industry 4.0: An overview
JP5831930B2 (ja) ホログラム生成装置およびホログラム生成方法
KR20150061550A (ko) 홀로그래픽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홀로그래픽 콘텐츠 제공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118622A (ko) 디지털 홀로그램 콘텐츠 서비스 방법 및 장치
CN104156529A (zh) 三维模型制作全息片源的方法
KR20130085553A (ko) 프로젝션 기반의 디지털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방법
Kang et al. Three-dimensional imaging of cultural heritage artifacts with holographic printers
JP2012008220A (ja) ルックアップテーブルと画像の空間的重複性を用いた計算機合成ホログラムの算出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50086815A (ko) 사용자 인터랙션 기반의 디지털 홀로그래픽 콘텐츠 제공방법, 제작방법 및 그 장치
Richardson Techniques and Principles in Three-Dimensional Imaging: An Introductory Approach: An Introductory Approa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