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4742A -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4742A
KR20130074742A KR1020120127466A KR20120127466A KR20130074742A KR 20130074742 A KR20130074742 A KR 20130074742A KR 1020120127466 A KR1020120127466 A KR 1020120127466A KR 20120127466 A KR20120127466 A KR 20120127466A KR 20130074742 A KR20130074742 A KR 20130074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module
update
lis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7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2029B1 (ko
Inventor
남진하
문성건
정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안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안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안랩
Priority to KR1020120127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2029B1/ko
Publication of KR20130074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4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2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2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일한 모듈을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들 중 하나만 업데이트되더라도 동일 모듈을 사용하는 다른 어플리케이션들의 모듈도 동기화하여 업데이트 되도록 함으로써, 유료 통신 서비스의 사용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업데이트 시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장치는 동일한 모듈을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고,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로부터 수신된 업데이트용 모듈을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로부터 추출하고, 업데이트용 모듈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하나 이상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업데이트용 모듈 배포부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하나 이상의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모듈이 업데이트용 모듈을 통해 업데이트되는 정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내 모듈을 업데이트용 모듈을 이용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Description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UPDATING APPLICATIONS}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일 모듈을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들 중 하나라도 해당 모듈이 업데이트되는 경우 동일 모듈을 사용하는 다른 어플리케이션들의 모듈도 동기화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컴퓨터, 전자, 통신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다양한 무선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에 따라,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음성뿐만 아니라 써킷(circuit) 데이터,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데이터를 송신하는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로 발전해 가고 있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 및 PDA의 기능을 결합시킨 스마트폰이 각광받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스마트폰에는 기존 이동 통신 단말기에 비해 대용량의 메모리와 고성능 CPU가 탑재되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음성/데이터 통신 및 PC 연동을 지원하기 위한 운영체제(OS)가 탑재된다.
일반 사용자들이 이러한 스마트폰에 기대와 관심을 가지면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어 배포되고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자들은 사용자들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에 따른 문제점을 피드백받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업데이트 파일을 개발하여 배포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들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자신의 스마트폰에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무선 통신 서비스, 예컨대 와이브로, 와이파이 등의 무선 통신 서비스를 통해 자신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회사에서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제공하고 있으며, 동일 회사에서 개발된 어플리케이션들은 동일한 모듈을 갖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동일한 회사의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들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각각 모듈 업데이트를 진행하였기 때문에 유료 서비스인 무선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불필요한 과금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각 어플리케이션에서 최신 모듈 업데이트를 위한 통신으로 스마트폰의 다른 기능 실행에 있어서 지연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케이티의 등록특허(등록번호 제0164737호)의 "모듈 형태로 관리 및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는 모바일 플랫폼이 탑재된 이동 통신 단말, 그 모바일 플랫폼 구동 방법, 모듈 관리 방법 및 모듈 업데이트 방법"에는 각각의 모듈 간에 또는 어플리케이션에서 각각의 모듈을 사용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모듈 업데이터를 통해 각각의 모듈의 상위 버전으로 업데이트를 수행함으로써, 모바일 플랫폼에 새로운 기능의 추가, 변경, 삭제가 용이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일한 모듈을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들 중 하나라도 해당 모듈이 업데이트되는 경우 동일 모듈을 사용하는 다른 어플리케이션들의 모듈도 동기화하여 업데이트 되도록 함으로써, 유료 통신 서비스의 사용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업데이트 시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서버는 동일한 모듈을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는 리스트 배포부와,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로부터 수신된 업데이트용 모듈을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상기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업데이트용 모듈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하나 이상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업데이트용 모듈 배포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기에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정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모듈이 상기 업데이트용 모듈을 통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서버는 동일한 모듈을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하나 이상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리스트 배포부와,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로부터 수신된 업데이트용 모듈을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업데이트용 모듈 배포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기에서는 상기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기초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모듈이 상기 업데이트용 모듈을 통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서버에서 상기 리스트 배포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로부터 각 어플리케이션이 사용하는 모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사용하는 모듈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서버에서 상기 리스트 배포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로부터 배포되는 각 어플리케이션의 분석을 통해 상기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방법은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서버를 이용하여 단말기에서의 어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는 방법으로서,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서버에서, 동일한 모듈을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서버에서,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로부터 수신된 업데이트용 모듈을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상기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로부터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서버에서, 상기 업데이트용 모듈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하나 이상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기에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정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모듈이 상기 업데이트용 모듈을 통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방법은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서버를 이용하여 단말기에서의 어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는 방법으로서,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서버에서, 동일한 모듈을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여 단계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서버에서, 상기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하나 이상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서버에서,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로부터 수신된 업데이트용 모듈을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기에서는 상기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기초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모듈이 상기 업데이트용 모듈을 통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장치는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는 장치로서,동일한 모듈을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는 리스트 생성부와,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 또는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서버로부터 수신된 업데이트용 모듈을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상기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로부터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정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모듈을 상기 업데이트용 모듈을 이용하여 업데이트하는 동기화 업데이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장치에서 상기 리스트 생성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로부터 각 어플리케이션이 사용하는 모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사용하는 모듈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장치에서 상기 리스트 생성부는,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사 정보를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들을 분류하여 상기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장치에서 상기 리스트 생성부는,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소정의 정보를 전송한 후 이에 대한 응답을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들을 분류하여 상기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장치에서 상기 동기화 업데이트부는, 동일한 모듈을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들에서 최신 버전의 모듈울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최신 버전의 모듈을 이용하여 각 어플리케이션의 모듈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방법은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로부터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는 방법으로서, 동일한 모듈을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와,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 또는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서버로부터 업데이트용 모듈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업데이트용 모듈을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상기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로부터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정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모듈을 상기 업데이트용 모듈을 이용하여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방법에서 상기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로부터 각 어플리케이션이 사용하는 모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사용하는 모듈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방법에서 상기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사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개발사 정보를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들을 분류하여 상기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방법에서 상기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소정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소정의 정보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방법은 상기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기초로 각 어플리케이션 내 모듈 버전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 결과, 버전이 다른 경우 버전이 가장 높은 모듈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모듈을 이용하여 각 어플리케이션 내 모듈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업데이트용 모듈의 수신을 통해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함으로써, 사용자측 단말기의 업데이트를 위한 중복 다운로드를 방지함으로써, 다운로드에 따른 리소스 낭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빠른 업데이트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불필요한 업데이트용 파일 다운로드를 줄여 네트워크 자원 낭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서버가 동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측 단말기 내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측 단말기가 어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측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는 장치 및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100),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서버(140), 통신망(120) 및 다수의 사용자측 단말기(1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100)는 사용자측 단말기(160)에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100)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이용하는 모듈의 정보를 사용자측 단말기(160)에 배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플리케이션 내 모듈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업데이트용 모듈을 사용자측 단말기(160) 또는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서버(140)에 전송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서버(140)는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통신망(120)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측 단말기(160)에 전송하거나,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업데이트용 모듈을 다수의 사용자측 단말기(160)에 전송하여 사용자측 단말기(160) 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서버(140)는 리스트 배포부(142)와 업데이트용 모듈 배포부(144)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리스트 배포부(142)는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100) 각각으로부터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이용하는 모듈을 분석한 후 이를 기반으로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며, 생성된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통신망(120)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측 단말기(16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 회사의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100)에서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동일한 모듈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는 것이 보편적이기 때문에 동일 회사의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100)로부터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일부 동일 모듈을 사용한다는 가정 하에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100)로부터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분석하여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리스트 배포부(142)는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100) 각각으로부터 어플리케이션에 이용되는 모듈의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모듈의 정보를 분석하여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업데이트용 모듈 배포부(144)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100)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로부터 업데이트용 모듈이 수신되면, 업데이트용 모듈을 다수의 사용자측 단말기(160)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용자측 단말기(16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업데이트용 모듈 배포부(144)는 수신된 업데이트용 모듈을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서 추출하며, 추출된 어플리케이션 종류에 대한 정보와 업데이트용 모듈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용자측 단말기(160)에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서버(140)이 동작하는 과정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서버가 사용자측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서버(140)의 리스트 배포부(142)는 통신망(120)을 통해 연결된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100)의 연동을 통해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S200)한다.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는 방법의 예로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100)로부터 각 어플리케이션이 이용하는 모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후 이를 기반으로 동일한 모듈을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분류하거나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100)로부터 배포되는 각 어플리케이션의 분석을 통해 각 어플리케이션이 이용하는 모듈에 대한 정보를 추출한 후 이를 기반으로 동일한 모듈을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분류하는 방법으로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한다.
이후,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100) 중 임의의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100)로부터 업데이트용 모듈이 수신(S202)되면, 업데이트용 모듈 배포부(144)는 수신된 업데이트용 모듈을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서 추출(S204)하며, 추출된 어플리케이션 종류에 대한 정보와 업데이트용 모듈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용자측 단말기(160)에 전송한다(S206). 이에 따라, 업데이트용 모듈을 수신한 사용자측 단말기(160)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중 업데이트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며, 업데이트용 모듈을 이용하여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내 모듈을 업데이트한다(S208).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업데이트용 모듈이 수신됨에 따라 업데이트용 모듈을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서버(140)에서 수행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사용자측 단말기(160)에서 업데이트용 모듈을 수신한 후 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중 업데이트용 모듈을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즉,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는 리스트 배포부(142)를 통해 다수의 사용자측 단말기(160)에 전송되며, 사용자측 단말기(160)는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서버(140)로부터 제공받은 업데이트용 모듈과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어플리케이션 중 업데이트용 모듈을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측 단말기(160)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100)로부터 전송되는 업데이트용 모듈을 수신하거나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서버(140)로부터 전송되는 업데이트용 모듈을 수신한 후 이를 기반으로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즉, 사용자측 단말기(160)는 업데이트용 모듈이 수신됨에 따라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의 검색을 통해 업데이트용 모듈을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추출한 후 업데이트용 모듈을 이용하여 추출된 어플리케이션들의 모듈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측 단말기(1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스트 생성부(162), 정보 추출부(164), 동기화 업데이트부(166) 및 저장부(16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리스트 생성부(162)는 사용자측 단말기(160) 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이용하는 모듈을 기반으로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한 후 이를 저장부(168)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는 방법으로는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서 개발사 정보, 예컨대 APK 파일 내에 저장된 개발사 정보를 추출한 후 이를 기반으로 동일한 개발사에서 배포한 어플리케이션들을 분류하여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동일 모듈을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은 동일 인터페이스를 갖춘다는 것을 전제 하에 리스트 생성부(162)는 사용자측 단말(160)에 설치된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에 소정의 신호를 전송한 후 이에 대한 응답을 송신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동일 모듈을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어플리케이션들을 분류함으로써,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에 a 신호를 전송한 후 응답을 송신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동일 모듈을 한다는 것이기 때문에 응답한 어플리케이션을 분류하고, b 신호를 전송한 후 응답을 송신한 어플리케이션들을 분류하는 방식으로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리스트 생성부(162)는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서버(140)로부터 제공받은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저장부(168)에 저장할 수 있다.
리스트 생성부(162)는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100) 각각으로부터 제공받은 어플리케이션 내 모듈의 정보를 수신하며, 사용자측 단말기(160) 내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모듈의 정보를 이용하여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측 단말기(160) 내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내 모듈의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100)로부터 제공받고, 제공받은 모듈의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모듈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분류함으로써,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정보 추출부(164)는 외부로부터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업데이트용 모듈이 수신되면, 저장부(168) 내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의 검색을 통해 업데이트용 모듈을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동기화 업데이트부(166)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내 모듈을 수신한 업데이트용 모듈을 이용하여 업데이트시킴으로써, 사용자측 단말기(160) 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즉, 동일한 모듈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을 하나의 업데이트용 모듈을 이용하여 업데이트시킬 수 있다.
한편, 동기화 업데이트부(166)는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한 분석을 통해 모듈간의 버전 정보를 비교하여 최신 버전의 모듈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며, 최신 모듈이 존재하는 경우 최신 모듈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각각의 내부 모듈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즉, 동일 모듈을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 내 모듈 버전 정보를 비교한 후 버전 정보가 다른 경우 버전이 가장 높은 모듈을 추출하며, 추출된 모듈을 이용하여 각 어플리케이션의 모듈을 업데이트함으로써, 각 어플리케이션의 모듈을 동기화시킬 수 있다.
또한, 동기화 업데이트부(166)는 어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기 전에 업데이트용 모듈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서 업데이트용 모듈을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정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내 모듈을 업데이트용 모듈로 업데이트함으로써, 하나의 업데이트용 모듈의 수신을 통해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사용자측 단말기(160)가 어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는 과정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측 단말기가 어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측 단말기(160)의 리스트 생성부(162)는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서버(140)로부터 제공받거나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100)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모듈 정보와 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반으로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한 후 이를 저장부(168)에 저장한다(S300).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모듈 정보 또는 외부로부터 제공받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사용자측 단말기(16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분석을 통해 동일한 모듈을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분류하여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동기화 업데이트부(166)는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한 분석을 통해 모듈간의 버전 정보를 비교하여 최신 버전의 모듈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302).
S302의 판단 결과, 최신 모듈이 존재하는 경우 동기화 업데이트부(166)는 최신 모듈과 동일한 모듈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서 검색(S304)한 후 검색된 어플리케이션 각각의 내부 모듈을 최신 모듈을 이용하여 업데이트한다(S306).
이후,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서버(140) 또는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100)로부터 업데이트용 모듈이 수신되면(S308), 정보 추출부(164)는 업데이트용 모듈을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서 추출(S310)한 후 이를 동기화 업데이트부(166)에 제공한다.
동기화 업데이트부(166)는 업데이트용 모듈에 대한 인증을 수행(S312)한 후 업데이트용 모듈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내 모듈을 업데이트함으로써, 업데이트용 모듈을 이용하는 모든 어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한다(S314).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업데이트 방법에 따르면, 하나의 업데이트용 모듈의 수신을 통해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함으로써, 사용자측 단말기(160)의 업데이트를 위한 중복 다운로드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운로드에 따른 리소스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설명된 실시형태들을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각 기능 블록들 또는 수단들은 프로그램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별개로 구현되거나 2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별개인 것으로 설명된 모듈 등의 구성요소는 단순히 기능상 구별된 것으로 물리적으로는 하나의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일한 것으로 설명된 수단 등의 구성요소도 수개의 구성요소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각 방법 단계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그 순서가 변경될 수 있고, 다른 단계가 부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형태들은 각각 독립하여서뿐만 아니라 적절하게 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형태가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
120 : 통신망
140 :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서버
142 : 리스트 배포부
144 : 업데이트용 모듈 배포부
160 : 사용자측 단말기
162 : 리스트 생성부
164 : 정보 추출부
166 : 동기화 업데이트부
168 : 저장부

Claims (1)

  1. 동일한 모듈을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는 리스트 배포부와,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로부터 업데이트용 모듈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업데이트용 모듈을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상기 동기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업데이트용 모듈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하나 이상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업데이트용 모듈 배포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기에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정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모듈이 상기 업데이트용 모듈을 통해 업데이트되는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서버.
KR1020120127466A 2012-11-12 2012-11-12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장치 및 방법 KR101412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466A KR101412029B1 (ko) 2012-11-12 2012-11-12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466A KR101412029B1 (ko) 2012-11-12 2012-11-12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장치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2577 Division 2011-12-26 2011-1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4742A true KR20130074742A (ko) 2013-07-04
KR101412029B1 KR101412029B1 (ko) 2014-07-02

Family

ID=48988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7466A KR101412029B1 (ko) 2012-11-12 2012-11-12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20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5353A (ko) * 2013-10-18 2015-04-28 (주)스피치이노베이션컨설팅그룹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기기
KR20160000024A (ko) * 2014-06-23 2016-01-0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일괄적 업데이트 처리 시스템, 업데이트 관리서버 및 업데이트 관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280B1 (ko) * 2004-06-18 2006-12-04 이처닷컴 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가능한 휴대전화 및 업데이트 방법
KR100836615B1 (ko) * 2006-08-30 2008-06-10 엔에이치엔(주) 컨텐츠 동기화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5353A (ko) * 2013-10-18 2015-04-28 (주)스피치이노베이션컨설팅그룹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기기
KR20160000024A (ko) * 2014-06-23 2016-01-0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일괄적 업데이트 처리 시스템, 업데이트 관리서버 및 업데이트 관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2029B1 (ko) 2014-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47701B1 (en) Updating firmware on mobile devices
KR101238511B1 (ko) 펌웨어 컴포넌트의 상태 공고 및 펌웨어 컴포넌트의 갱신
CN105607935B (zh) 应用程序更新方法及其终端、服务器
CN103678319B (zh) 资源文件更新方法、装置和系统及服务器
CN103207794B (zh) 局域网内移动终端之间应用程序的分享方法
CN102855152B (zh) 升级应用程序中资源文件的方法及系统
CN102694861B (zh) 一种基于云技术的终端应用软件分类方法、装置及系统
CN102063299A (zh) 移动终端中应用运行条件的评估方法及装置、移动终端
CN105743933B (zh) 一种路由器的模块升级方法及系统
WO2006110005A1 (en)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for mobile comunication terminal
CN103106205A (zh) 在移动终端浏览文件的方法和装置
CN103188321A (zh) 基于云服务器同步信息的方法及系统
CN105516246A (zh) 一种防应用程序下载劫持的方法及服务器
CN103312489A (zh) 一种终端与服务器进行同步的方法和装置
EP2897053B1 (en) Device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CN106681749A (zh) 基于安卓平台的局部代码补丁更新方法及装置
US10078532B2 (en) Resource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for terminal system among multiple operating systems
KR101412029B1 (ko)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장치 및 방법
KR20130038734A (ko) 단말의 응용프로그램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단말에서 응용프로그램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30023490A (ko) 애플리케이션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CN103631621A (zh) 一种信息提示方法及装置
KR20160026138A (ko) 클라우드 데이터 시스템의 급속 동기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클라우드 데이터 시스템
CN104166554A (zh) 一种支持多操作系统的软件开发方法及安装方法
WO2013100326A1 (ko)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장치 및 방법
CN110266501B (zh) 区块链节点设备及区块链网络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