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3979A - 문자 정보 표시 장치 및 문자 정보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문자 정보 표시 장치 및 문자 정보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3979A
KR20130073979A KR1020137011354A KR20137011354A KR20130073979A KR 20130073979 A KR20130073979 A KR 20130073979A KR 1020137011354 A KR1020137011354 A KR 1020137011354A KR 20137011354 A KR20137011354 A KR 20137011354A KR 20130073979 A KR20130073979 A KR 20130073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character string
displayed
display
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1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영 박
쥰이치 기무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73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39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for rolling or scro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characters or indicia using display control signals derived from coded signals representing the characters or indicia, e.g. with a character-code memory
    • G09G5/222Control of the character-code memory
    • G09G5/225Control of the character-code memory comprising a loadable character genera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characters or indicia using display control signals derived from coded signals representing the characters or indicia, e.g. with a character-code memo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characters or indicia using display control signals derived from coded signals representing the characters or indicia, e.g. with a character-code memory
    • G09G5/30Control of display attribut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for rolling or scrolling
    • G09G5/34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for rolling or scrolling for systems having a character code-mapped display mem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42/00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 H04M2242/12Language recognition, selection or transla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의 수가 화면 1행분의 문자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문자열의 표시 형태를 텔롭 표시로 결정하는 표시 형태 결정부(2)나, 읽기 어려움 판정부(4)에 의해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이라고 판정되었다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의 스크롤 속도를 기준 속도로 설정하고,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이라고 판정되었다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의 스크롤 속도를 기준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설정하는 스크롤 속도 설정부(6) 등을 마련한다.

Description

문자 정보 표시 장치 및 문자 정보 표시 방법{CHARACTER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CHARACTER INFORMATION DISPLAY METHOD}
본 발명은 예컨대, 전차 내의 안내판이나, 역이나 쇼핑몰 내의 게시판 등에, 열차의 운행 정보나 쇼핑 정보 등을 나타내는 문자열을 텔롭(telop) 표시하는 문자 정보 표시 장치 및 문자 정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의 특허문헌 1에는, 표시 대상인 문자열의 스크롤 속도를 설정하고, 이 스크롤 속도로 문자열을 텔롭 표시하는 문자 정보 표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즉, 이 문자 정보 표시 장치에서는, 표시 데이터를 입력하면, 그 표시 데이터를 해석하여,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의 수 등을 판별하는 데이터 해석부를 갖고 있으며, 주 제어부가, 그 데이터 해석부의 해석 결과에 기초해서, 문자열의 스크롤 속도를 결정하고, 이 스크롤 속도로 문자열을 텔롭 표시하는 지령을 표시 제어부에 출력하도록 하고 있다.
단, 이 문자 정보 표시 장치는, 표시 대상인 문자열의 길이에 관계없이, 항상 문자열을 텔롭 표시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의 수가 적고, 모든 문자를 화면 상에 동시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더라도, 그 문자열이 텔롭 표시되게 된다.
이하의 특허문헌 2, 3에서도, 상기 특허문헌 1과 마찬가지로, 문자수나 문자색 등의 문자의 표층적인 속성을 고려하여, 문자열의 스크롤 속도를 결정하는 문자 정보 표시 장치가 개시되어 있지만, 문자의 심층적인 속성(예컨대, 문자의 친밀도(문자에 대한 친숙해지기 쉬움(approachability)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 복잡도 등)을 고려하여, 문자열의 스크롤 속도를 결정하는 것은 아니다.
문자의 시인성은, 문자의 표층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문자의 심층적인 측면의 영향을 받는 경우가 많다고 생각된다.
이 때문에 예컨대,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의 수가 적더라도, 친밀도가 낮은 문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문자열을 읽는 것이 어렵고, 읽는데 시간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6-161427호 공보(단락 번호 [0007]부터 [0008]) 일본 특허 공개 제 2008-170544호 공보(단락 번호 [0006]부터 [0007]) 일본 특허 공개 제 2008-76521호 공보(단락 번호[0015])
종래의 문자 정보 표시 장치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의 수가 많아서, 텔롭 표시하지 않으면 모든 문자를 표시할 수 없는 경우에 한하지 않고,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의 수가 적어서 모든 문자를 화면 상에 동시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더라도, 그 문자열이 텔롭 표시된다. 이 때문에, 반드시 시인성이 높은 표시 형태로 문자열이 표시되는 것은 아니라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문자의 심층적인 속성(예컨대, 문자의 친밀도, 복잡도 등)을 고려해서, 문자열의 스크롤 속도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문자열의 읽기 어려운 정도에 맞는 적정한 스크롤 속도로 결정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표시 대상인 문자열마다, 적정한 표시 형태나 스크롤 속도를 결정하여, 시인성이 높은 문자열 표시를 실현할 수 있는 문자 정보 표시 장치 및 문자 정보 표시 방법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정보 표시 장치는, 표시 대상인 문자열의 길이에 기초해서, 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의 표시 형태를 텔롭 표시 또는 전문 동시 표시로 결정하는 표시 형태 결정 수단과,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의 속성을 판별하는 문자 속성 판별 수단과, 문자 속성 판별 수단에 의해 판별된 문자의 속성에 기초해서, 표시 대상인 문자열이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인지,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인지를 판정하는 읽기 어려움 판정 수단과, 표시 형태 결정 수단에 의해 문자열의 표시 형태가 텔롭 표시로 결정된 경우, 읽기 어려움 판정 수단에 의해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이라고 판정되었다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의 스크롤 속도를 기준 속도로 설정하고, 읽기 어려움 판정 수단에 의해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이라고 판정되었다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의 스크롤 속도를 기준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설정하는 스크롤 속도 설정 수단을 마련하고, 문자열 표시 수단이, 표시 형태 결정 수단에 의해 문자열의 표시 형태가 텔롭 표시로 결정된 경우에는, 스크롤 속도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스크롤 속도로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텔롭 표시하고, 표시 형태 결정 수단에 의해 문자열의 표시 형태가 전문 동시 표시로 결정된 경우에는,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 모두를 화면 상에 동시에 표시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의 길이에 기초해서, 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의 표시 형태를 텔롭 표시 또는 전문 동시 표시로 결정하는 표시 형태 결정 수단과,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의 속성을 판별하는 문자 속성 판별 수단과, 문자 속성 판별 수단에 의해 판별된 문자의 속성에 기초해서, 표시 대상인 문자열이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인지,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인지를 판정하는 읽기 어려움 판정 수단과, 표시 형태 결정 수단에 의해 문자열의 표시 형태가 텔롭 표시로 결정된 경우, 읽기 어려움 판정 수단에 의해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이라고 판정되었다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의 스크롤 속도를 기준 속도로 설정하고, 읽기 어려움 판정 수단에 의해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이라고 판정되었다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의 스크롤 속도를 기준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설정하는 스크롤 속도 설정 수단을 마련하고, 문자열 표시 수단이, 표시 형태 결정 수단에 의해 문자열의 표시 형태가 텔롭 표시로 결정된 경우에는, 스크롤 속도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스크롤 속도로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텔롭 표시하고, 표시 형태 결정 수단에 의해 문자열의 표시 형태가 전문 동시 표시로 결정된 경우에는,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 모두를 화면 상에 동시에 표시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표시 대상인 문자열마다, 적정한 표시 형태나 스크롤 속도가 결정되게 되고, 그 결과, 시인성이 높은 문자열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문자 정보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문자 정보 표시 장치의 문자 속성 판별부(3) 및 읽기 어려움 판정부(4)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문자 정보 표시 장치의 표시 시간 설정부(5)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문자 정보 표시 장치의 스크롤 속도 설정부(6)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문자 정보 표시 장치의 문자열 표시부(7)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문자 정보 표시 장치의 표시 형태 결정부(2)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문자 정보 표시 장치의 문자 속성 판별부(3)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문자 정보 표시 장치의 읽기 어려움 판정부(4)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문자 정보 표시 장치의 표시 시간 설정부(5) 및 문자열 표시부(7)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문자 정보 표시 장치의 스크롤 속도 설정부(6) 및 문자열 표시부(7)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1은 일본어(한자) 및 중국어에 있어서의 각 종 문자의 친밀도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2는 한국어에 있어서의 2중 음자(digraph)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3은 경음이 포함되어 있는 한국어의 문자열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4는 일본어(한자)와 일본어(히라가나)의 병기 표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5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병기 표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6은 문자의 개수가 임계값 N 이상인 경우의 로마자의 문자열의 표시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7은 각 언어의 문자열을 차례로 표시하는 표시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8은 일부 언어의 문자열을 병기하는 표시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9는 표시 대상인 문자열이 '運行情報:午前7時頃東京驛構內で發生した人身事故の影響で運轉を見合わせています.'인 경우의 텔롭 표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0은 각 언어의 문자열에 대한 유저의 인지 시간의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1은 각 언어의 문자열을 표시하는 3D 표시 부품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2는 현재 표시중인 문자열로부터 다음 표시의 문자열로 천천히 바뀌어가는 애니메이션 표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문자 정보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문자 정보 표시 장치의 문자열 표시부(72)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5는 표시 대상인 문자열 '今日のお勸め情報!!驛ナカ店鋪を利用するとお得なク-ポン券をゲットできる。この機會...'를 개개의 디스플레이(73)의 화면 각각에 텔롭 표시하고 있는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6은 표시 대상인 문자열 '今日のお勸め情報!!驛ナカ店鋪を利用するとお得なク-ポン券をゲットできる。この機會...'를 N대의 디스플레이(73)의 화면을 하나의 대화면으로서 텔롭 표시하고 있는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문자 정보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8은 디스플레이(73) 전체에 문자열이 표시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9는 화면의 하부의 영역에, 급정차하는 이유를 텔롭 표시하고 있는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첨부의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문자 정보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 실시예 1의 문자 정보 표시 장치는, 전차 내의 안내판에 다음 도착역이나, 운행 정보 등을 나타내는 문자열을 다언어로 표시하는 장치에 적용하는 예를 설명한다.
단, 이 문자 정보 표시 장치는, 전차 내의 안내판에 문자열을 표시하는 장치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역, 공항, 점포, 길거리, 캠퍼스, 사무실 등에서 문자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디지털 사이니지)라면 적용할 수 있다.
도 1에 있어서, 문자 코드 입력부(1)는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의 문자 코드(예컨대, JIS 코드, 시프트 JIS 코드, EUC 코드, Unicode 등)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예컨대, 문자 정보 표시 장치가 LAN이나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경우, 문자 코드 입력부(1)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기기로 구성되며, 네트워크 경유로 문자 코드를 입력한다.
또한, 문자 코드 입력부(1)가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맨-머신 인터페이스로 구성되는 경우, 유저가 문자 코드 입력부(1)를 조작하여 문자 코드를 입력한다.
표시 형태 결정부(2)는, 예컨대 CPU를 실장하고 있는 반도체 집적 회로나 원칩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문자 코드 입력부(1)에 의해 입력된 문자 코드로부터 표시 대상인 문자열(예컨대, 다음 도착역이나 열차의 운행 정보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의 수를 특정하여, 그 문자수가 화면 1행분의 문자수(디스플레이(8)에 있어서의 화면 1행분의 문자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 문자열의 표시 형태를 텔롭 표시로 결정하고,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의 수가 화면 1행분의 문자수 이하인 경우에는, 그 문자열의 표시 형태를 전문 동시 표시(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 모두를 화면 상에 동시에 표시하는 형태)로 결정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한편, 표시 형태 결정부(2)는 표시 형태 결정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문자 속성 판별부(3)는, 예컨대 CPU를 실장하고 있는 반도체 집적 회로나 원칩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문자 코드 입력부(1)에 의해 입력된 문자 코드로부터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를 특정하여, 그 문자의 속성을 판별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한편, 문자 속성 판별부(3)는 문자 속성 판별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읽기 어려움 판정부(4)는, 예컨대 CPU를 실장하고 있는 반도체 집적 회로나 원칩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문자 속성 판별부(3)에 의해 판별된 문자의 속성을 감안하여, 표시 대상인 문자열이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인지,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인지를 판정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한편, 읽기 어려움 판정부(4)는 읽기 어려움 판정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표시 시간 설정부(5)는, 예컨대 CPU를 실장하고 있는 반도체 집적 회로나 원칩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표시 형태 결정부(2)에 의해 문자열의 표시 형태가 전문 동시 표시로 결정된 경우에는, 읽기 어려움 판정부(4)에 의해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이라고 판정되었다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의 표시 시간을 기준 표시 시간 T1으로 설정하고, 읽기 어려움 판정부(4)에 의해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이라고 판정되었다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의 표시 시간을 기준 표시 시간 T1보다 긴 시간 T2로 설정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한편, 표시 시간 설정부(5)는 표시 시간 설정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스크롤 속도 설정부(6)는, 예컨대 CPU를 실장하고 있는 반도체 집적 회로나 원칩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표시 형태 결정부(2)에 의해 문자열의 표시 형태가 텔롭 표시로 결정된 경우에는, 읽기 어려움 판정부(4)에 의해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이라고 판정되었다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의 스크롤 속도를 기준 속도 V1로 설정하고, 읽기 어려움 판정부(4)에 의해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이라고 판정되었다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의 스크롤 속도를 기준 속도 V1보다 느린 속도 V2로 설정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한편, 스크롤 속도 설정부(6)는 스크롤 속도 설정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문자열 표시부(7)는, 예컨대 CPU를 실장하고 있는 반도체 집적 회로나 원칩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표시 형태 결정부(2)에 의해 문자열의 표시 형태가 전문 동시 표시로 결정된 경우에는, 표시 시간 설정부(5)에 의해 설정된 표시 시간 중에,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 모두를 디스플레이(8)의 화면 상에 동시에 표시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한편, 표시 형태 결정부(2)에 의해 문자열의 표시 형태가 텔롭 표시로 결정된 경우에는, 스크롤 속도 설정부(6)에 의해 설정된 스크롤 속도로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디스플레이(8)의 화면 상에 텔롭 표시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디스플레이(8)는, 예컨대 전차의 개폐문의 상부 부근에 설치된 안내판으로, 문자열 표시부(7)에 의해서 문자열이 표시된다.
한편, 문자열 표시부(7) 및 디스플레이(8)로 문자열 표시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도 1에서는, 문자 정보 표시 장치의 구성 요소인 문자 코드 입력부(1), 표시 형태 결정부(2), 문자 속성 판별부(3), 읽기 어려움 판정부(4), 표시 시간 설정부(5), 스크롤 속도 설정부(6), 문자열 표시부(7) 및 디스플레이(8) 각각이 전용의 하드웨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상정하고 있지만, 문자 정보 표시 장치가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문자 코드 입력부(1), 표시 형태 결정부(2), 문자 속성 판별부(3), 읽기 어려움 판정부(4), 표시 시간 설정부(5), 스크롤 속도 설정부(6) 및 문자열 표시부(7)의 처리 내용을 기술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컴퓨터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컴퓨터의 CPU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문자 정보 표시 장치의 문자 속성 판별부(3) 및 읽기 어려움 판정부(4)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에 있어서, 언어 종별 판정부(11)는 문자 코드 입력부(1)에 의해 입력된 문자 코드를 참조하여,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의 언어를 판별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예컨대, 문자 코드가 ○○~△△의 범위라면 문자의 언어가 일본어(한자)라고 판별하고, ▽▽~□□의 범위라면 문자의 언어가 일본어(히라가나)라고 판별하며, ☆☆~◇◇의 범위라면 문자의 언어가 로마자 또는 영어라고 판별한다. 단, 이 실시예 1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의 범위라면, 문자의 언어가 로마자라고 판별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의 범위라면 문자의 언어가 한국어라고 판별하고, ★★~●●의 범위라면 문자의 언어가 중국어라고 판별한다.
문자 획수 저장부(12)는 각 종 문자의 획수를 기록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다.
문자 획수 특정부(13)는 언어 종별 판정부(11)에 의해 판별된 문자의 언어가 일본어(한자) 또는 중국어(문자가 표의 문자)인 경우, 문자 획수 저장부(12)를 참조하여, 그 문자의 획수(문자의 속성)을 특정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총획수 특정부(14)는 언어 종별 판정부(11)에 의해 판별된 문자의 언어가 일본어(한자) 또는 중국어인 경우, 문자 획수 저장부(12)를 참조하여,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모든 문자의 총획수(문자의 속성)를 특정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문자 친밀도 저장부(15)는 각 종 문자(일본어(한자) 및 중국어의 문자)의 친밀도(문자에 대한 친숙해지기 쉬움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를 기록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다.
문자 친밀도 특정부(16)는 언어 종별 판정부(11)에 의해 판별된 문자의 언어가 일본어(한자) 또는 중국어인 경우, 문자 친밀도 저장부(15)를 참조하여, 그 문자의 친밀도를 특정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문자 개수 특정부(17)는 언어 종별 판정부(11)에 의해 판별된 문자의 언어가 일본어(히라가나:문자가 표음 문자)인 경우,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의 개수를 특정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문자열 친밀도 저장부(18)는 각 종 문자열(일본어(히라가나)로 구성되어 있는 문자열)의 친밀도를 기록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다.
문자열 친밀도 특정부(19)는 언어 종별 판정부(11)에 의해 판별된 문자의 언어가 일본어(히라가나)인 경우, 문자열 친밀도 저장부(18)를 참조하여, 표시 대상인 문자열의 친밀도를 특정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문자 복잡도 특정부(20)는 언어 종별 판정부(11)에 의해 판별된 문자의 언어가 영어 또는 한국어인 경우, 문자의 속성으로서, 표시 대상인 문자열에 대한 시각적인 복잡도를 특정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발음 난이도 특정부(21)는 언어 종별 판정부(11)에 의해 판별된 문자의 언어가 한국어인 경우, 문자의 속성으로서, 표시 대상인 문자열의 발음의 난이도(문자열에 대한 발음이 어려운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를 특정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제 1 읽기 어려움 판정부(31)는,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 중에 문자 획수 특정부(13)에 의해 특정된 획수가 임계값 P(예컨대, P=15)를 초과하는 문자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은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이라고 판정하고,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 중에 문자 획수 특정부(13)에 의해 특정된 획수가 임계값 P를 초과하는 문자가 포함되어 있으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은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이라고 판정한다.
제 2 읽기 어려움 판정부(32)는 총획수 특정부(14)에 의해 특정된 총획수가 임계값 M(예컨대, M=35)을 초과하지 않으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은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이라고 판정하고, 총획수 특정부(14)에 의해 특정된 총획수가 임계값 M을 초과하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은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이라고 판정한다.
제 3 읽기 어려움 판정부(33)는,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 중에 문자 친밀도 특정부(16)에 의해 특정된 친밀도가 임계값 S1보다 낮은 문자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은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이라고 판정하고,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 중에 문자 친밀도 특정부(16)에 의해 특정된 친밀도가 임계값 S1보다 낮은 문자가 포함되어 있으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은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이라고 판정한다.
제 4 읽기 어려움 판정부(34)는 문자 개수 특정부(17)에 의해 특정된 개수가 임계값 N(예컨대, 히라가나의 경우에는 N=8, 로마자의 경우는 N=15, 한국어의 경우는 N=8)보다 적으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은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이라고 판정하고, 문자 개수 특정부(17)에 의해 특정된 개수가 임계값 N 이상이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은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이라고 판정한다.
제 5 읽기 어려움 판정부(35)는 문자열 친밀도 특정부(19)에 의해 특정된 친밀도가 임계값 S2 이상이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은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이라고 판정하고, 문자열 친밀도 특정부(19)에 의해 특정된 친밀도가 임계값 S2보다 낮으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은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이라고 판정한다.
제 6 읽기 어려움 판정부(36)는 문자 복잡도 특정부(20)에 의해 특정된 시각적인 복잡도가 임계값 C보다 낮으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은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이라고 판정하고, 문자 복잡도 특정부(20)에 의해 특정된 시각적인 복잡도가 임계값 C 이상이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은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이라고 판정한다.
제 7 읽기 어려움 판정부(37)는 발음 난이도 특정부(21)에 의해 특정된 발음의 난이도가 임계값 D보다 낮으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은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이라고 판정하고, 발음 난이도 특정부(21)에 의해 특정된 발음의 난이도가 임계값 D 이상이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은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이라고 판정한다.
단, 제 1~제 7 읽기 어려움 판정부(31~37)는, 자기가 적용하는 언어의 문자의 문자 코드가 입력된 경우에만 판정 처리를 실시하고, 적용외의 언어의 문자의 문자 코드가 입력된 경우에는, 판정 처리를 실시하지 않는다.
예컨대, 제 1 읽기 어려움 판정부(31)는, 언어 종별 판정부(11)에 의해 판별된 문자의 언어가 일본어(한자) 또는 중국어라면, 판정 처리를 실시하지만, 문자의 언어가 일본어(히라가나), 로마자 또는 한국어라면, 판정 처리를 실시하지 않는다.
종합 판정부(38)는 제 1~제 7 읽기 어려움 판정부(31~37) 중, 판정 처리가 실시된 읽기 어려움 판정부의 모든 판정 결과가, 표시 대상인 문자열이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이라는 취지를 나타내고 있으면, 최종적으로, 표시 대상인 문자열이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이라고 판정한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읽기 어려움 판정부의 판정 결과가, 표시 대상인 문자열은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이라는 취지를 나타내고 있으면, 최종적으로, 표시 대상인 문자열은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이라고 판정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문자 정보 표시 장치의 표시 시간 설정부(5)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에 있어서, 판정 결과 입력부(41)는 읽기 어려움 판정부(4)에 있어서의 종합 판정부(38)가 최종적인 판정 결과를 입력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표시 시간 설정 처리부(42)는 판정 결과 입력부(41)에 의해 입력된 판정 결과가,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이라는 취지를 나타내고 있으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의 표시 시간을 기준 표시 시간 T1(예컨대, 2초)로 설정하고, 판정 결과 입력부(41)에 의해 입력된 판정 결과가,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이라는 취지를 나타내고 있으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의 표시 시간을 기준 표시 시간 T1의 2배의 표시 시간 T2로 설정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여기서는, 기준 표시 시간 T1의 2배의 표시 시간 T2로 설정하는 예를 들고 있지만, 기준 표시 시간 T1보다 긴 표시 시간이라면, 반드시 2배의 표시 시간 T2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문자 정보 표시 장치의 스크롤 속도 설정부(6)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에 있어서, 판정 결과 입력부(51)는 읽기 어려움 판정부(4)에 있어서의 종합 판정부(38)가 최종적인 판정 결과를 입력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스크롤 속도 설정 처리부(52)는 판정 결과 입력부(51)에 의해 입력된 판정 결과가,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이라는 취지를 나타내고 있으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의 스크롤 속도를 기준 속도 V1(예컨대, 20cm/초)로 설정하고, 판정 결과 입력부(51)에 의해 입력된 판정 결과가,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이라는 취지를 나타내고 있으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의 스크롤 속도를 기준 속도 V1의 2분의 1배의 속도 V2로 설정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여기서는, 기준의 스크롤 속도 V1의 2분의 1배의 스크롤 속도 V2로 설정하는 예를 들고 있지만, 기준의 스크롤 속도 V1보다 느린 스크롤 속도 V2라면, 반드시 2분의 1배의 스크롤 속도 V2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문자 정보 표시 장치의 문자열 표시부(7)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에 있어서, 표시 시간 입력부(61)는 표시 형태 결정부(2)에 의해 문자열의 표시 형태가 전문 동시 표시로 결정된 경우, 표시 시간 설정부(5)의 표시 시간 설정 처리부(42)에 의해 설정된 표시 시간 T1 또는 T2를 입력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표시 형태 설정부(62)는, 모든 언어의 문자열의 표시 시간이 T1이면, 각 언어의 문자열을 차례로 표시하는 표시 형태를 채용하고, 일부 언어의 문자열의 표시 시간이 T2인 경우, 일부 언어의 문자열을 병기하는 표시 형태를 채용한다.
표시 처리부(63)는 표시 형태 설정부(62)에 의해 각 언어의 문자열을 차례로 표시하는 표시 형태가 채용된 경우, 예컨대 일본어(한자)→일본어(히라가나)→로마자→한국어→중국어의 순서로, 표시 시간 T1씩, 각 언어의 문자열을 디스플레이(8)에 전문 동시 표시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한편, 표시 형태 설정부(62)에 의해 일부 언어의 문자열을 병기하는 표시 형태가 채용된 경우, 예컨대, 일본어(한자)의 표시 시간이 T2이면, 일본어(한자)와 일본어(히라가나)를 병기하고, 또한 한국어의 표시 시간이 T2이면, 한국어와 중국어를 병기하는 것으로 하여, (일본어(한자)+일본어(히라가나))→로마자→(한국어+중국어)의 순서로, 각 언어의 문자열을 디스플레이(8)에 전문 동시 표시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이 경우, (일본어(한자)+일본어(히라가나))와 (한국어+중국어)의 표시 시간을 T2, 로마자의 표시 시간을 T1으로 한다.
스크롤 속도 입력부(64)는 표시 형태 결정부(2)에 의해 문자열의 표시 형태가 텔롭 표시로 결정된 경우, 스크롤 속도 설정부(6)의 스크롤 속도 설정 처리부(52)에 의해 설정된 스크롤 속도 V1 또는 V2를 입력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표시 형태 설정부(65)는 모든 언어의 문자열의 스크롤 속도가 V1이면, 각 언어의 문자열을 차례로 표시하는 표시 형태를 채용하고, 일부 언어의 문자열의 스크롤 속도가 V2인 경우, 일부 언어의 문자열을 병기하는 표시 형태를 채용한다.
표시 처리부(66)는 표시 형태 설정부(65)에 의해 각 언어의 문자열을 차례로 표시하는 표시 형태가 채용된 경우, 예컨대, 일본어(한자)→일본어(히라가나)→로마자→한국어→중국어의 순서로, 각 언어의 문자열을 스크롤 속도 V1로 디스플레이(8)에 텔롭 표시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한편, 표시 형태 설정부(65)에 의해 일부 언어의 문자열을 병기하는 표시 형태가 채용된 경우, 예컨대 일본어(한자)의 스크롤 속도가 V2이면, 일본어(한자)와 일본어(히라가나)를 병기하고, 또한 한국어의 스크롤 속도가 V2이면, 한국어와 중국어를 병기하는 것으로 하여, (일본어(한자)+일본어(히라가나))→로마자→(한국어+중국어)의 순서로, 각 언어의 문자열을 디스플레이(8)에 텔롭 표시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이 경우, (일본어(한자)+일본어(히라가나))와 (한국어+중국어)의 스크롤 속도를 V2, 로마자의 스크롤 속도를 V1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문자 정보 표시 장치의 표시 형태 결정부(2)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문자 정보 표시 장치의 문자 속성 판별부(3)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문자 정보 표시 장치의 읽기 어려움 판정부(4)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문자 정보 표시 장치의 표시 시간 설정부(5) 및 문자열 표시부(7)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문자 정보 표시 장치의 스크롤 속도 설정부(6) 및 문자열 표시부(7)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문자 코드 입력부(1)는, 표시 대상인 문자열로서, 예컨대 다음 도착역이나 운행 정보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입력하는 경우, 다음 도착역이나 운행 정보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의 문자 코드(예컨대, JIS 코드, 시프트 JIS 코드, EUC 코드, Unicode 등)을 입력한다.
예컨대, 다음 도착역이 도쿄역이고, 다음 도착역을 다언어(예컨대, 일본어(한자), 일본어(히라가나), 로마자, 한국어, 중국어)로 표시하는 경우, 각 언어에서의 문자열을 구성하는 문자의 문자 코드를 차례로 입력한다.
예컨대, 언어가 일본어(한자)라면, "東", "京"의 문자 코드를 입력하고, 언어가 일본어(히라가나)라면, "と", "う", "き", "ょ", "う"의 문자 코드를 입력하고, 언어가 로마자라면, "t", "o", "k", "y", "o"의 문자 코드를 입력한다.
표시 형태 결정부(2)는, 문자 코드 입력부(1)에 의해 문자 코드가 입력되면 (도 6의 스텝 ST1), 그 문자 코드로부터 표시 대상인 문자열(예컨대, 다음 도착역을 나타내는 문자열이나, 운행 정보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의 수 MN을 특정한다(스텝 ST2).
즉, 표시 형태 결정부(2)는, 문자 코드 입력부(1)에 의해 입력된 문자 코드의 개수를 계수함으로써,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의 수 MN을 특정한다.
예컨대, 표시 대상인 문자열이 'とうきょう'라면, 5개의 문자 코드가 입력되기 때문에, 문자열의 문자수 MN이 "5"라고 특정하고, 표시 대상인 문자열이 '運行情報:午前7時頃東京驛構內で發生した人身事故の影響で運轉を見合わせています.'라면, 40개의 문자 코드가 입력되기 때문에, 문자열의 문자수 MN이 "40"으로 특정된다.
표시 형태 결정부(2)는,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의 수 MN을 특정하면, 그 문자수 MN과 디스플레이(8)에 있어서의 화면 1행분의 문자수 MN1G(예컨대, MN1G=14)를 비교한다(스텝 ST3).
표시 형태 결정부(2)는, 표시 대상인 문자열의 문자수 MN이, 화면 1행분의 문자수 MN1G를 초과하는 경우(MN>MN1G), 그 문자열의 표시 형태를 텔롭 표시로 결정한다(스텝 ST4).
한편, 표시 대상인 문자열의 문자수 MN이, 화면 1행분의 문자수 MN1G 이하인 경우(MN≤MN1G), 그 문자열의 표시 형태를 전문 동시 표시로 결정한다(스텝 ST5).
이로써, 예컨대 표시 대상인 문자열이 '運行情報:午前7時頃東京驛構內で發生した人身事故の影響で運轉を見合わせています.'라면, 그 문자열의 표시 형태는 텔롭 표시로 결정된다.
또한, 표시 대상인 문자열이 'とうきょう'라면, 그 문자열의 표시 형태는 전문 동시 표시로 결정된다.
문자 속성 판별부(3)는, 문자 코드 입력부(1)에 의해 문자 코드가 입력되면, 그 문자 코드로부터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를 특정하고, 그 문자의 속성(예컨대, 문자의 획수, 전문자의 총획수, 문자의 친밀도, 문자의 개수, 문자열의 친밀도, 문자의 복잡도, 발음의 난이도)를 판별한다.
이하, 문자 속성 판별부(3)의 처리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문자 속성 판별부(3)의 언어 종별 판정부(11)는, 문자 코드 입력부(1)로부터 문자 코드를 받으면(도 7의 스텝 ST11), 그 문자 코드를 참조하여,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의 언어를 판별한다(스텝 ST12).
예컨대, 문자 코드가 ○○~△△의 범위라면 문자의 언어가 일본어(한자)라고 판별하고, ▽▽~□□의 범위라면 문자의 언어가 일본어(히라가나)라고 판별하며, ☆☆~◇◇의 범위라면, 문자의 언어가 로마자라고 판별한다.
또한, ◎◎~■■의 범위라면 문자의 언어가 한국어라고 판별하고, ★★~●●의 범위라면 문자의 언어가 중국어라고 판별한다.
여기서는, 문자 코드를 참조하여, 문자의 언어를 판별하고 있는 예를 들고 있지만, 이것은 일례에 지나지 않고, 예컨대 문자 코드 입력부(1)에 의해 문자 코드의 이 외에, 문자의 언어를 식별하는 언어 식별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그 언어 식별 정보를 참조하여 문자의 언어를 판별하도록 해도 된다.
문자 획수 특정부(13)는, 언어 종별 판정부(11)가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의 언어를 판별하면, 그 문자의 언어가 일본어(한자) 또는 중국어(문자가 표의 문자)인 경우(스텝 ST13), 문자 획수 저장부(12)를 참조하여 그 문자의 획수(문자의 속성)을 특정한다(스텝 ST14).
즉, 문자 획수 저장부(12)에는, 일본어(한자) 및 중국어에 있어서의 각 종 문자의 획수가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각 문자 코드에 대응하는 문자의 획수가 기록되어 있다), 문자 획수 특정부(13)가, 문자 코드 입력부(1)에 의해 입력된 문자 코드를 키로 해서 문자 획수 저장부(12)로부터 문자의 획수를 검색한다.
예컨대, 문자가 "東"이면 8획이 검색되고, 문자가 "京"이면 8획이 검색된다.
총획수 특정부(14)는, 문자의 언어가 일본어(한자) 또는 중국어인 경우(스텝 ST13)에는, 문자 획수 저장부(12)를 참조하여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모든 문자의 총획수(문자의 속성)를 특정한다(스텝 ST15).
예컨대, 문자열이 "東京"인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문자 "東"의 획수가 8획, 문자 "京"의 획수가 8획이기 때문에, 각 문자의 획수의 총합을 산출함으로써 총획수(16화=8획+8획)을 구한다.
문자 친밀도 특정부(16)는, 문자의 언어가 일본어(한자) 또는 중국어인 경우(스텝 ST13)에는, 문자 친밀도 저장부(15)를 참조하여 그 문자의 친밀도(문자의 속성)을 특정한다(스텝 ST16).
즉, 문자 친밀도 저장부(15)에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본어(한자) 및 중국어에 있어서의 각 종 문자의 친밀도(문자에 대한 친숙해지기 쉬움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가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각 문자 코드에 대응하는 문자의 친밀도가 기록되어 있다), 문자 친밀도 특정부(16)가, 문자 코드 입력부(1)에 의해 입력된 문자 코드를 키로 해서 문자 친밀도 저장부(15)로부터 문자의 친밀도를 검색한다.
도 11의 예에서는, 친밀도가 높은 문자일수록, 높은 수치의 친밀도가 부여되고, 친밀도가 최고인 문자에는 7.00이 설정되어 있다.
한편, 각 문자 코드에 대응하는 문자의 친밀도가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는, 예컨대 이하의 비특허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NTT 데이터베이스 시리즈 '일본어의 어휘 특성' 제 1 기, NTT 커뮤니케이션 과학 기초 연구소 감수
여기서는, 문자 친밀도 특정부(16)가 문자의 언어가 일본어(한자) 또는 중국어인 경우에, 그 문자의 친밀도를 특정하는 것에 대해서 나타내었지만, 예컨대 다음 도착역이 "お茶の水"(오차노미즈)와 같이, 일본어(히라가나)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히라가나인 "の"의 친밀도도 특정하도록 한다. 따라서, 도 11의 문자 친밀도 저장부(15)에는, 히라가나의 친밀도도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문자 개수 특정부(17)는, 언어 종별 판정부(11)에 의해 판별된 문자의 언어가 일본어(히라가나), 로마자 또는 한국어(문자가 표음 문자)인 경우(스텝 ST13)에는,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의 개수(문자의 속성)를 특정한다(스텝 ST17).
즉, 문자 개수 특정부(17)는, 문자 코드 입력부(1)에 의해 입력된 문자 코드의 개수를 계수함으로써,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의 개수를 특정한다.
예컨대, 문자열이 "とうきょう"인 경우, 5개의 문자 코드가 입력되기 때문에, 문자의 개수가 5개라고 특정한다.
문자열 친밀도 특정부(19)는, 문자의 언어가 일본어(히라가나)인 경우(스텝 ST18)에는, 문자열 친밀도 저장부(18)를 참조하여, 표시 대상인 문자열의 친밀도(문자의 속성)을 특정한다(스텝 ST19).
즉, 문자열 친밀도 저장부(18)에는, 일본어(히라가나)에 있어서의 각 종 문자열의 친밀도가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예컨대, "とうきょう", "おちゃのみず"의 친밀도가 기록되어 있다), 문자열 친밀도 특정부(19)가 문자 코드 입력부(1)에 의해 입력된 문자 코드에 대응하는 문자로 구성되어 있는 문자열의 친밀도를 특정한다.
한편, 표시 대상인 문자열의 친밀도가 문자열 친밀도 저장부(18)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그 문자열을 구성하는 문자의 친밀도를 특정하여, 예컨대 각 문자의 친밀도의 평균값이나, 각 문자의 친밀도의 최소값 등을 문자열의 친밀도로서 대용한다.
문자 복잡도 특정부(20)는, 언어 종별 판정부(11)에 의해 판별된 문자의 언어가 로마자 또는 한국어인 경우(스텝 ST18)에는, 표시 대상인 문자열에 대한 시각적인 복잡도(문자의 속성)를 특정한다(스텝 ST20).
예컨대, 문자열 중에 2중 음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문자열에 대한 시각적인 복잡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고, 그 문자열의 복잡도로서, 후술하는 시각적인 복잡도의 임계값 C보다 큰 값을 인가한다.
한편, 문자열 중에 2중 음자가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문자열에 대한 시각적인 복잡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하고, 그 문자열의 복잡도로서, 임계값 C보다 작은 값을 인가한다.
여기서, 로마자에 있어서의 2중 음자는, 알파벳 2자를 조합시킴으로써 각각의 문자가 갖고 있지 않은 새로운 소리를 나타내는 것에 해당하며, 예컨대, ch, ts, gh, ph, sh, ai, eu, ow 등이 2중 음자이다.
또한, 한국어에 있어서의 2중 음자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자음을 조합시킨 것이 해당한다.
발음 난이도 특정부(21)는, 언어 종별 판정부(11)에 의해 판별된 문자의 언어가 한국어인 경우(스텝 ST21), 표시 대상인 문자열의 발음의 난이도(문자열에 관한 발음이 어려운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를 특정한다(스텝 ST22).
예컨대, 문자열 중에 경음의 문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도 13(b)를 참조)에는, 문자열의 발음의 난이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고, 그 문자열의 발음의 난이도로서, 후술하는 발음의 난이도의 임계값 D보다 큰 값을 인가한다.
한편, 문자열 중에 경음의 문자가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경우(도 13(a)를 참조)에는, 문자열의 발음의 난이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하고, 그 문자열의 발음의 난이도로서, 임계값 D보다 작은 값을 인가한다.
여기서, 경음은, 음성학에 있어서, 조음 기관의 근육의 긴장(tension)을 수반하는 소리로, 경음은 발음이 어려운 소리이다. 경음에 비해서 이완(lax)된 소리는 연음이라고 불린다.
일본어에서는, 촉음이 경음에 상당한다. 단, 촉음 앞에, 그 자음과 같은 폐음절 자음을 수반하기 때문에, 발음의 리듬에서는, 촉음 그 자체에, 원 템포가 주어진 것처럼 들린다.
제 1 읽기 어려움 판정부(31)는, 문자 획수 특정부(13)가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의 획수를 특정하면, 각 문자의 획수를 임계값 P와 비교한다(도 8의 스텝 ST31).
제 1 읽기 어려움 판정부(31)는,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 중에 문자 획수 특정부(13)에 의해 특정된 획수가 임계값 P를 초과하는 문자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그 문자열은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이라고 판정한다(스텝 ST32).
한편,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 중에 문자 획수 특정부(13)에 의해 특정된 획수가 임계값 P를 초과하는 문자가 포함되어 있으면, 그 문자열은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이라고 판정한다(스텝 ST33).
제 2 읽기 어려움 판정부(32)는, 총획수 특정부(14)가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모든 문자의 총획수를 특정하면, 그 총획수를 임계값 M과 비교한다(스텝 ST34).
제 2 읽기 어려움 판정부(32)는, 그 총획수가 임계값 M을 초과하지 않으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은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이라고 판정한다(스텝 ST35).
한편, 총획수가 임계값 M을 초과하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은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이라고 판정한다(스텝 ST36).
제 3 읽기 어려움 판정부(33)는, 문자 친밀도 특정부(16)가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의 친밀도를 특정하면, 각 문자의 친밀도를 임계값 S1와 비교한다(스텝 ST37).
제 3 읽기 어려움 판정부(33)는,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 중에 문자 친밀도 특정부(16)에 의해 특정된 친밀도가 임계값 S1보다 낮은 문자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그 문자열은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이라고 판정한다(스텝 ST38).
한편,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 중에 문자 친밀도 특정부(16)에 의해 특정된 친밀도가 임계값 S1보다 낮은 문자가 포함되어 있으면, 그 문자열은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이라고 판정한다(스텝 ST39).
제 4 읽기 어려움 판정부(34)는, 문자 개수 특정부(17)가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의 개수를 특정하면, 그 개수를 임계값 N과 비교한다(스텝 ST40).
제 4 읽기 어려움 판정부(34)는, 문자의 개수가 임계값 N보다 적으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은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이라고 판정한다(스텝 ST41).
한편, 문자의 개수가 임계값 N 이상이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은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이라고 판정한다(스텝 ST42).
제 5 읽기 어려움 판정부(35)는, 문자열 친밀도 특정부(19)가 문자열의 친밀도를 특정하면, 그 친밀도를 임계값 S2와 비교한다(스텝 ST43).
제 5 읽기 어려움 판정부(35)는, 문자열의 친밀도가 임계값 S2 이상이면, 그 문자열은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이라고 판정한다(스텝 ST44).
한편, 문자열의 친밀도가 임계값 S2보다 낮으면, 그 문자열은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이라고 판정한다(스텝 ST45).
제 6 읽기 어려움 판정부(36)는, 문자 복잡도 특정부(20)가 문자열의 시각적인 복잡도를 특정하면, 그 시각적인 복잡도를 임계값 C와 비교한다(스텝 ST46).
제 6 읽기 어려움 판정부(36)는, 문자열의 시각적인 복잡도가 임계값 C보다 낮으면, 그 문자열은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이라고 판정한다(스텝 ST47).
한편, 문자열의 시각적인 복잡도가 임계값 C 이상이면, 그 문자열은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이라고 판정한다(스텝 ST48).
제 7 읽기 어려움 판정부(37)는, 발음 난이도 특정부(21)가 문자열의 발음의 난이도를 특정하면, 그 발음의 난이도를 임계값 D와 비교한다(스텝 ST49).
제 7 읽기 어려움 판정부(37)는, 그 발음의 난이도가 임계값 D보다 낮으면, 그 문자열은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이라고 판정한다(스텝 ST50).
한편, 발음의 난이도가 임계값 D 이상이면, 그 문자열은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이라고 판정한다(스텝 ST51).
종합 판정부(38)는, 제 1~제 7 읽기 어려움 판정부(31~37) 중, 판정 처리가 실시된 읽기 어려움 판정부의 모든 판정 결과가, 표시 대상인 문자열은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이라는 취지를 나타내고 있으면(스텝 ST52), 최종적으로, 표시 대상인 문자열은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이라고 판정한다(스텝 ST53).
한편, 문자의 언어가 일본어(한자) 또는 중국어인 경우에는, 제 1~제 3 읽기 어려움 판정부(31, 32, 33)만이 판정 처리를 실시하기 때문에, 제 1~제 3 읽기 어려움 판정부(31, 32, 33)의 판정 결과가,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이라는 취지를 나타내고 있으면, 최종적으로, 표시 대상인 문자열은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이라고 판정한다.
또한, 문자의 언어가 일본어(히라가나)인 경우에는, 제 4 및 제 5 읽기 어려움 판정부(34, 35)만이 판정 처리를 실시하기 때문에, 제 4 및 제 5 읽기 어려움 판정부(34, 35)의 판정 결과가,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이라는 취지를 나타내고 있으면, 최종적으로, 표시 대상인 문자열은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이라고 판정한다.
또한, 문자의 언어가 로마자인 경우, 제 4 및 제 6 읽기 어려움 판정부(34, 36)만이 판정 처리를 실시하기 때문에, 제 4 및 제 6 읽기 어려움 판정부(34, 36)의 판정 결과가,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이라는 취지를 나타내고 있으면, 최종적으로, 표시 대상인 문자열은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이라고 판정한다.
또한, 문자의 언어가 한국어인 경우, 제 4, 제 6 및 제 7 읽기 어려움 판정부(34, 36, 37)만이 판정 처리를 실시하기 때문에, 제 4, 제 6 및 제 7 읽기 어려움 판정부(34, 36, 37)의 판정 결과가,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이라는 취지를 나타내고 있으면, 최종적으로, 표시 대상인 문자열은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이라고 판정한다.
종합 판정부(38)는, 제 1~제 7 읽기 어려움 판정부(31~37) 중, 적어도 하나의 읽기 어려움 판정부의 판정 결과가, 표시 대상인 문자열은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이라는 취지를 나타내고 있으면(스텝 ST52), 최종적으로, 표시 대상인 문자열은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이라고 판정한다(스텝 ST54).
한편, 문자의 언어가 일본어(한자) 또는 중국어인 경우, 제 1~제 3 읽기 어려움 판정부(31, 32, 33)만이 판정 처리를 실시하기 때문에, 제 1~제 3 읽기 어려움 판정부(31, 32, 33)의 판정 결과 중 어느 것인가가,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이라는 취지를 나타내고 있으면, 최종적으로, 표시 대상인 문자열은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이라고 판정한다.
또한, 문자의 언어가 일본어(히라가나)인 경우, 제 4 및 제 5 읽기 어려움 판정부(34, 35)만이 판정 처리를 실시하기 때문에, 제 4 및 제 5 읽기 어려움 판정부(34, 35)의 판정 결과 중 어느 것인가가,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이라는 취지를 나타내고 있으면, 최종적으로, 표시 대상인 문자열은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이라고 판정한다.
또한, 문자의 언어가 로마자인 경우, 제 4 및 제 6 읽기 어려움 판정부(34, 36)만이 판정 처리를 실시하기 때문에, 제 4 및 제 6 읽기 어려움 판정부(34, 36)의 판정 결과 중 어느 것인가가,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이라는 취지를 나타내고 있으면, 최종적으로, 표시 대상인 문자열은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이라고 판정한다.
또한, 문자의 언어가 한국어인 경우, 제 4, 제 6 및 제 7 읽기 어려움 판정부(34, 36, 37)만이 판정 처리를 실시하기 때문에, 제 4, 제 6 및 제 7 읽기 어려움 판정부(34, 36, 37)의 판정 결과 중 어느 것인가가,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이라는 취지를 나타내고 있으면, 최종적으로, 표시 대상인 문자열은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이라고 판정한다.
표시 시간 설정부(5)는, 표시 형태 결정부(2)에 의해 문자열의 표시 형태가 전문 동시 표시로 결정된 경우(표시 대상인 문자열의 문자수 MN이 화면 1행분의 문자수 MN1G 이하인 경우)에, 읽기 어려움 판정부(4)의 종합 판정부(38)의 판정 결과가,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이라는 취지를 나타내고 있으면, 그 문자열의 표시 시간을 기준 표시 시간 T1으로 설정하고,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이라는 취지를 나타내고 있으면, 그 문자열의 표시 시간을 기준 표시 시간 T1보다 긴 시간 T2로 설정한다.
즉, 표시 시간 설정부(5)의 판정 결과 입력부(41)는, 읽기 어려움 판정부(4)에 있어서의 종합 판정부(38)가 최종적인 판정 결과를 입력한다(도 9의 스텝 ST61).
표시 시간 설정부(5)의 표시 시간 설정 처리부(42)는, 표시 형태 결정부(2)에 의해 결정된 문자열의 표시 형태가 전문 동시 표시일 때, 판정 결과 입력부(41)에 의해 입력된 판정 결과가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이라는 취지를 나타내고 있으면(스텝 ST62), 표시 대상인 문자열의 표시 시간을 기준 표시 시간 T1(예컨대, 2초)으로 설정한다(스텝 ST63).
한편, 표시 형태 결정부(2)에 의해 결정된 문자열의 표시 형태가 전문 동시 표시일 때, 판정 결과 입력부(41)에 의해 입력된 판정 결과가,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이라는 취지를 나타내고 있으면(스텝 ST62), 표시 대상인 문자열의 표시 시간을 기준 표시 시간 T1의 2배의 표시 시간 T2로 설정한다(스텝 ST64).
문자열 표시부(7)는, 표시 형태 결정부(2)에 의해 결정된 문자열의 표시 형태가 전문 동시 표시인 경우, 표시 시간 설정부(5)가 문자열의 표시 시간을 설정하면, 그 설정된 표시 시간 중에,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 모두를 디스플레이(8)의 화면 상에 동시에 표시한다(문자열의 전문 동시 표시).
이하, 문자열 표시부(7)의 처리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문자열 표시부(7)의 표시 시간 입력부(61)는, 표시 형태 결정부(2)에 의해 문자열의 표시 형태가 전문 동시 표시로 결정된 경우, 표시 시간 설정부(5)의 표시 시간 설정 처리부(42)에 의해 설정된 표시 시간 T1 또는 T2를 입력한다(스텝 ST65).
문자열 표시부(7)의 표시 형태 설정부(62)는, 모든 언어(일본어(한자), 일본어(히라가나), 로마자, 한국어, 중국어)의 문자열의 표시 시간이 T1이면(스텝 ST66), 각 언어의 문자열을 차례로 전문 동시 표시하는 표시 형태를 채용한다(스텝 ST67).
예컨대, 일본어(한자)→일본어(히라가나)→로마자→한국어→중국어의 순서로, 표시 시간 T1씩, 각 언어의 문자열을 전문 동시 표시하는 표시 형태를 채용한다.
표시 형태 설정부(62)는, 일부 언어의 문자열의 표시 시간이 T2인 경우, 일부 언어의 문자열을 병기하여 전문 동시 표시하는 표시 형태를 채용한다(스텝 ST68).
즉, 일본어(한자) 또는 일본어(히라가나)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 시간이 T2이면,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시간 T2로, 일본어(한자)와 일본어(히라가나)를 병기하는 표시 형태를 채용한다.
또한, 한국어 또는 중국어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 시간이 T2이면,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시간 T2로, 한국어와 중국어를 병기하는 표시 형태를 채용한다.
한편, 표시 형태 설정부(62)는, 문자의 언어가 로마자인 경우, 문자 개수 특정부(17)에 의해 특정된 문자의 개수가 임계값 N보다 적으면, 로마자의 문자열을 1행에 표시하는 형태를 채용하지만, 문자의 개수가 임계값 N 이상인 경우에는, 문자열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서,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자열을 복수로 구분하여(예컨대,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단어마다 구분한다), 구분의 선두의 문자를 다른 문자보다 크게 표시한다. 이 때, 문자열을 2행으로 나누어 표시해도 되고, 하이픈으로 구분을 접속하도록 해도 된다.
표시 처리부(63)는, 표시 형태 설정부(62)가 각 언어의 문자열을 차례로 전문 동시 표시하는 표시 형태를 채용하면, 예컨대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본어(한자)→일본어(히라가나)→로마자→한국어→중국어의 순서로, 표시 시간 T1씩, 각 언어의 문자열을 디스플레이(8)에 전문 동시 표시한다(스텝 ST69).
표시 처리부(63)는, 표시 형태 설정부(62)가 일부 언어의 문자열을 병기하여 전문 동시 표시하는 표시 형태를 채용하면, 일부 언어의 문자열을 병기한 형태로, 각 언어의 문자열을 차례로 디스플레이(8)에 전문 동시 표시한다(스텝 ST70).
예컨대, 일본어(한자)와 일본어(히라가나)를 병기하고, 한국어와 중국어를 병기하는 경우,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본어(한자)+일본어(히라가나))→로마자→(한국어+중국어)의 순서로, 각 언어의 문자열을 디스플레이(8)에 전문 동시 표시한다.
이 경우, (일본어(한자)+일본어(히라가나))와 (한국어+중국어)의 표시 시간을 T2, 로마자의 표시 시간을 T1으로 한다.
스크롤 속도 설정부(6)는, 표시 형태 결정부(2)에 의해 문자열의 표시 형태가 텔롭 표시로 결정된 경우(표시 대상인 문자열의 문자수 MN이 화면 1행분의 문자수 MN1G를 초과하는 경우), 읽기 어려움 판정부(4)의 종합 판정부(38)의 판정 결과가,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이라는 취지를 나타내고 있으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의 스크롤 속도를 기준 속도 V1으로 설정하고,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이라는 취지를 나타내고 있으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의 스크롤 속도를 기준 속도 V1보다 느린 속도 V2로 설정한다.
즉, 스크롤 속도 설정부(6)의 판정 결과 입력부(51)는, 읽기 어려움 판정부(4)에 있어서의 종합 판정부(38)의 최종적인 판정 결과를 입력한다(도 10의 스텝 ST71).
스크롤 속도 설정부(6)의 스크롤 속도 설정 처리부(52)는, 표시 형태 결정부(2)에 의해 결정된 문자열의 표시 형태가 텔롭 표시일 때, 판정 결과 입력부(51)에 의해 입력된 판정 결과가,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이라는 취지를 나타내고 있으면(스텝 ST72), 표시 대상인 문자열의 스크롤 속도를 기준 속도 T1(예컨대, 20cm/초)로 설정한다(스텝 ST73).
한편, 표시 형태 결정부(2)에 의해 결정된 문자열의 표시 형태가 텔롭 표시일 때, 판정 결과 입력부(51)에 의해 입력된 판정 결과가,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이라는 취지를 나타내고 있으면(스텝 ST72), 표시 대상인 문자열의 스크롤 속도를 기준 속도 T1의 2분의 1배인 속도 V2로 설정한다(스텝 ST74).
문자열 표시부(7)는, 표시 형태 결정부(2)에 의해 결정된 문자열의 표시 형태가 텔롭 표시인 경우, 스크롤 속도 설정부(6)가 문자열의 스크롤 속도를 설정하면, 스크롤 속도로,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디스플레이(8)의 화면 상에 텔롭 표시한다.
이하, 문자열 표시부(7)의 처리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문자열 표시부(7)의 스크롤 속도 입력부(64)는, 표시 형태 결정부(2)에 의해 문자열의 표시 형태가 텔롭 표시로 결정된 경우, 스크롤 속도 설정부(6)의 스크롤 속도 설정 처리부(52)에 의해 설정된 스크롤 속도 V1 또는 V2를 입력한다(스텝 ST75).
문자열 표시부(7)의 표시 형태 설정부(65)는, 모든 언어(일본어(한자), 일본어(히라가나), 로마자, 한국어, 중국어)의 문자열의 스크롤 속도가 V1이면(스텝 ST76), 각 언어의 문자열을 차례로 텔롭 표시하는 표시 형태를 채용한다(스텝 ST77).
예컨대, 일본어(한자)→일본어(히라가나)→로마자→한국어→중국어의 순서로, 각 언어의 문자열을 스크롤 속도 V1로 텔롭 표시하는 표시 형태를 채용한다.
표시 형태 설정부(65)는, 일부 언어의 문자열의 스크롤 속도가 V2인 경우, 일부 언어의 문자열을 병기하여 텔롭 표시하는 표시 형태를 채용한다(스텝 ST78).
즉, 일본어(한자) 또는 일본어(히라가나) 중 적어도 하나의 스크롤 속도가 V2이면,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본어(한자)와 일본어(히라가나)를 병기하고, 병기 문자열을 스크롤 속도 V2로 텔롭 표시하는 표시 형태를 채용한다.
또한, 한국어 또는 중국어 중 적어도 하나의 스크롤 속도가 V2이면,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국어와 중국어를 병기하고, 병기 문자열을 스크롤 속도 V2로 텔롭 표시하는 표시 형태를 채용한다.
한편, 표시 형태 설정부(65)는, 문자의 언어가 로마자인 경우, 문자 개수 특정부(17)에 의해 특정된 문자의 개수가 임계값 N보다 적으면, 로마자의 문자열을 1행에 표시하는 형태를 채용하지만, 문자의 개수가 임계값 N 이상인 경우에는, 문자열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서,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자열을 복수로 구분하여(예컨대,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단어마다 구분한다), 구분의 선두의 문자를 다른 문자보다 크게 표시한다. 이 때, 문자열을 2행으로 나누어 표시해도 되고, 하이픈으로 구분을 접속하도록 해도 된다.
표시 처리부(66)는, 표시 형태 설정부(65)가 각 언어의 문자열을 차례로 텔롭 표시하는 표시 형태를 채용하면, 예컨대, 일본어(한자)→일본어(히라가나)→로마자→한국어→중국어의 순서로(전문 동시 표시하는 경우의 도 17을 참조), 각 언어의 문자열을 스크롤 속도 V1로 디스플레이(8)에 텔롭 표시한다(스텝 ST79).
한편, 도 19는 표시 대상인 문자열이 '運行情報:午前7時頃東京驛構內で發生した人身事故の影響で運轉を見合わせています.'인 경우의 텔롭 표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9에서는, 디스플레이(8)의 하부의 영역에, 표시 대상인 문자열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흐르는 텔롭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표시 처리부(66)는, 표시 형태 설정부(65)가 일부 언어의 문자열을 병기하여 텔롭 표시하는 표시 형태를 채용하면, 일부 언어의 문자열을 병기한 형태로, 각 언어의 문자열을 차례로 디스플레이(8)에 텔롭 표시한다(스텝 ST80).
예컨대, 일본어(한자)와 일본어(히라가나)를 병기하고, 한국어와 중국어를 병기하는 경우, (일본어(한자)+일본어(히라가나))→로마자→(한국어+중국어)의 순서로(전문 동시 표시하는 경우의 도 18을 참조), 각 언어의 문자열을 디스플레이(8)에 텔롭 표시한다.
이 경우, (일본어(한자)+일본어(히라가나))와 (한국어+중국어)의 스크롤 속도를 V2, 로마자의 스크롤 속도를 V1로 한다.
이상으로 분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 1에 의하면, 문자 코드 입력부(1)에 의해 입력된 문자 코드로부터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의 수를 특정하여, 문자의 수가 화면 1행분의 문자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문자열의 표시 형태를 텔롭 표시로 결정하고,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의 수가 화면 1행분의 문자수 이하인 경우에는, 문자열의 표시 형태를 전문 동시 표시로 결정하는 표시 형태 결정부(2)와, 문자 코드 입력부(1)에 의해 입력된 문자 코드로부터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를 특정하여, 문자의 속성을 판별하는 문자 속성 판별부(3)와, 문자 속성 판별부(3)에 의해 판별된 문자의 속성을 감안하여, 표시 대상인 문자열이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인지,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인지를 판정하는 읽기 어려움 판정부(4)와, 표시 형태 결정부(2)에 의해 문자열의 표시 형태가 텔롭 표시로 결정된 경우, 읽기 어려움 판정부(4)에 의해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이라고 판정되었다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의 스크롤 속도를 기준 속도로 설정하고, 읽기 어려움 판정부(4)에 의해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이라고 판정되었다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의 스크롤 속도를 기준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설정하는 스크롤 속도 설정부(6)를 마련하고, 문자열 표시부(7)가, 표시 형태 결정부(2)에 의해 문자열의 표시 형태가 텔롭 표시로 결정된 경우, 스크롤 속도 설정부(6)에 의해 설정된 스크롤 속도로,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텔롭 표시하여, 표시 형태 결정부(2)에 의해 문자열의 표시 형태가 전문 동시 표시로 결정된 경우,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 모두를 화면 상에 동시에 표시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표시 대상인 문자열마다, 적정한 표시 형태나 스크롤 속도가 결정되게 되고, 그 결과, 시인성이 높은 문자열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낸다.
또한, 이 실시예 1에 의하면, 표시 형태 결정부(2)에 의해 문자열의 표시 형태가 전문 동시 표시로 결정된 경우, 읽기 어려움 판정부(4)에 의해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이라고 판정되었다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의 표시 시간을 기준 표시 시간으로 설정하고, 읽기 어려움 판정부(4)에 의해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이라고 판정되었다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의 표시 시간을 기준 표시 시간보다 긴 시간으로 설정하는 표시 시간 설정부(5)를 마련하고, 문자열 표시부(7)가 표시 시간 설정부(5)에 의해 설정된 표시 시간 중에,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디스플레이(8)에 표시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표시 대상인 문자열마다 읽는데 필요한 적정한 표시 시간을 설정할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한정된 시간 중(열차내라면, 역 사이의 시간 중)에, 많은 언어로, 다음 도착역 등을 안내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낸다.
한편, 이 실시예 1에서는, 각 언어(일본어(한자), 일본어(히라가나), 로마자, 한국어, 중국어)의 문자열의 기준 표시 시간이 일률적으로 T1인 것을 나타내었지만, 각 언어의 문자열마다 기준 표시 시간이 달라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일본어(한자)의 기준 표시 시간이 3초, 일본어(히라가나)의 기준 표시 시간이 2초, 로마자의 기준 표시 시간이 2초, 한국어의 기준 표시 시간이 2초, 중국어의 기준 표시 시간이 3초 등으로 설정되어도 된다.
이 실시예 1에서는, 문자의 언어가 일본어(한자) 또는 중국어인 경우에 판정 처리를 실시하는 제 1~제 3 읽기 어려움 판정부(31, 32, 33)가 탑재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었지만, 제 1~제 3 읽기 어려움 판정부(31, 32, 33) 중 적어도 하나가 탑재되어 있으면, 판정 정밀도는 다소 열화되지만, 작은 하드웨어 규모로, 문자의 언어가 일본어(한자) 또는 중국어인 경우에 대처할 수 있다.
이 실시예 1에서는, 문자의 언어가 일본어(히라가나)인 경우에 판정 처리를 실시하는 제 4~제 5 읽기 어려움 판정부(34, 35)가 탑재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었지만, 제 4~제 5 읽기 어려움 판정부(34, 35) 중 적어도 하나가 탑재되어 있으면, 판정 정밀도는 다소 열화되지만, 작은 하드웨어 규모로, 문자의 언어가 일본어(히라가나)인 경우에 대처할 수 있다.
이 실시예 1에서는, 문자의 언어가 로마자인 경우에 판정 처리를 실시하는 제 4 및 제 6 읽기 어려움 판정부(34, 36)가 탑재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었지만, 제 4, 제 6 읽기 어려움 판정부(34, 36) 중 적어도 하나가 탑재되어 있으면, 판정 정밀도는 다소 열화되지만, 작은 하드웨어 규모로, 문자의 언어가 로마자인 경우에 대처할 수 있다.
이 실시예 1에서는, 문자의 언어가 한국어인 경우에 판정 처리를 실시하는 제 4, 제 6 및 제 7 읽기 어려움 판정부(34, 36, 37)가 탑재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었지만, 제 4, 제 6, 제 7 읽기 어려움 판정부(34, 36, 37) 중 적어도 하나가 탑재되어 있으면, 판정 정밀도는 다소 열화되지만, 작은 하드웨어 규모로, 문자의 언어가 한국어인 경우에 대처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0은 각 언어의 문자열에 대한 유저의 인지 시간의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0으로부터도 분명한 바와 같이, 문자의 속성(예컨대, 문자의 획수, 전체 문자의 총획수, 문자의 친밀도, 문자의 개수, 문자열의 친밀도, 문자의 복잡도, 발음의 난이도)가 다르면, 유저의 문자열의 인지 시간이 변화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문자의 속성에 따라, 문자열의 표시 시간을 적정하게 설정하면, 한정된 역 사이의 시간 중에, 많은 언어로 다음 도착역 등을 안내할 수 있다.
이 실시예 1에서는, 임계값 P, M, S1, N, S2, C, D는, 도 20의 유저의 인지 시간과 역 사이의 주행 시간이 고려되어 적절하게 설정되었지만, 예컨대 문자의 친밀도에 따른 임계값 S1와, 문자열의 친밀도에 따른 임계값 S2에 대해서는, 문자 정보 표시 장치가 사용되는 지역 등을 고려해서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즉, 예컨대, 홋카이도의 "마코마나이(眞駒內)"의 역명은, 홋카이도에 사는 유저에게는 친밀도가 높다고 생각되지만, 홋카이도 이외에 사는 유저에게는 친밀도가 낮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문자 정보 표시 장치가 홋카이도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임계값 S1, S2를 높은 값으로 설정하고, 문자 정보 표시 장치가 홋카이도 이외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임계값 S1, S2를 낮은 값으로 설정한다.
이 실시예 1에서는, 표시 시간 설정부(5)의 표시 처리부(63)가, 각 언어의 문자열을 차례로 표시할 때, 각 언어의 문자열을 정지 화면으로서 취급하여, 정지 화면을 차례로 전환하는 방식을 나타내었지만, 현재 표시중인 문자열로부터 다음 표시의 문자열로 천천히 바뀌어가는 애니메이션 표시 방식을 이용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표시 시간 설정부(5)의 표시 처리부(63)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언어의 문자열을 표시하는 3D 표시 부품을 구축하도록 한다(3D 표시 부품의 구축 방법은 공지된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표시 처리부(63)는, 3D 표시 부품을 구축하면, 도면 중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3D 표시 부품을 회전시킴으로써(3D 표시 부품의 회전 방법도 공지된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언어의 문자열을 차례로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문자열의 표시를 전환할 때, 현재 표시중인 문자열로부터 다음 표시의 문자열로 천천히 바뀌어가는 애니메이션 표시를 이용함으로써 스무스한 표시의 변화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를 낸다.
(실시예 2)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문자 정보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로, 도면에 있어서, 도 1과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 2의 문자 정보 표시 장치는, 예컨대, 역 구내나 쇼핑몰 등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대의 디스플레이(73)에 대해, 열차의 운행 정보나 쇼핑 정보 등을 나타내는 문자열을 다언어로 텔롭 표시하는 장치에 적용하는 예를 설명한다.
시거리 검지부(71)는 예컨대 적외선 발신기나 적외선 수신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복수의 디스플레이(73)(표시기)의 화면에 문자열을 표시하는 경우, 디스플레이(73)에 대한 유저의 시거리를 검지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즉, 시거리 검지부(71)는, 디스플레이(73) 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적외선 발신기로부터 적외선 신호를 발신하고, 그 후, 그 적외선 신호가 유저에 반사하여 되돌아오기까지의 시간(디스플레이(73) 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적외선 수신기가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기까지의 시간)을 계측하고, 이 시간으로부터 디스플레이(73)에 대한 유저의 시거리를 산출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또는, 시거리 검지부(71)를 구성하고 있는 카메라가 유저를 촬영하고, 그 촬상 화상에 있어서, 유저가 촬영된 영역의 크기로부터, 디스플레이(73)에 대한 유저의 시거리를 산출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한편, 시거리 검지부(71)는 시거리 검지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문자열 표시부(72)는 도 1의 문자열 표시부(7)와 같은 처리를 실시하는 것 이외에(문자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의 대수가 1대라면, 도 1의 문자열 표시부(7)의 처리 내용과 동일하다), 문자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의 대수가 복수대인 경우에는, 하기의 처리를 실시한다.
즉, 문자열 표시부(72)는 시거리 검지부(71)에 의해 검지된 유저의 시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짧은 경우에는,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복수의 디스플레이(73)의 화면 각각에 텔롭 표시하고, 유저의 시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긴 경우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73)의 화면을 하나의 대화면으로 해서,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해당 대화면에 텔롭 표시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한편, 문자열 표시부(72) 및 디스플레이(73)로부터 문자열 표시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문자 정보 표시 장치의 문자열 표시부(72)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 시거리 검지부(71) 및 문자열 표시부(72)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기 때문에, 시거리 검지부(71) 및 문자열 표시부(72)의 처리 내용만을 설명한다.
예컨대, 역 구내나 쇼핑몰 등에는, 복수대의 디스플레이(73)가 옆으로 한줄로 나열되도로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복수대의 디스플레이(73)에 대해, 별개의 화상이 표시되는 경우도 있고, 복수대의 디스플레이(73)의 화면을 하나의 대화면으로 해서, 그 대화면에 화상이 표시되는 경우도 있다.
시거리 검지부(71)는 디스플레이(73)에 대한 유저의 시거리 L을 검지하고, 그 시거리 L을 나타내는 시거리 정보를 문자열 표시부(72)에 출력한다.
문자열 표시부(72)는 시거리 검지부(71)로부터 시거리 정보를 받으면, 그 시거리 정보가 나타내는 유저의 시거리 L과 기준 거리 Lref를 비교한다(스텝 ST81).
여기서, 기준 거리 Lref는, 디스플레이(73)의 화면 크기가 커질수록, 큰 값으로 설정되는 설정값이다(디스플레이(73)의 화면 크기가 클수록, 떨어져서 보는 편이 보기 쉽기 때문에).
유저의 시거리 L이 기준 거리 Lref보다 짧은 경우(L<Lref), 유저가 디스플레이(73)에 너무 가깝게 있기 때문에, 복수대의 디스플레이(73)의 화면을 하나의 대화면으로 해서 사용하면, 그 대화면 전체를 바라보는 것이 곤란하다.
이 경우, 문자열 표시부(72)는,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개개의 디스플레이(73)의 화면 각각에 텔롭 표시한다(스텝 ST82).
도 25에서는, 표시 대상인 문자열 '今日のお勸め情報!!驛ナカ店鋪を利用するとお得なク-ポン券をゲットできる。この機會...'를 개개의 디스플레이(73)의 화면 각각에 텔롭 표시하고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유저의 시거리 L이 기준 거리 Lref보다 긴 경우(L≥Lref), 유저가 디스플레이(73)에 너무 가깝게 있는 일이 없어서, 복수대의 디스플레이(73)의 화면을 하나의 대화면으로 해서 사용해도, 그 대화면의 전체를 용이하게 바라보지만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문자열 표시부(72)는,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73)의 화면을 하나의 대화면으로 해서,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상기 대화면에 텔롭 표시한다(스텝 ST83).
도 26에서는, 표시 대상인 문자열 '今日のお勸め情報!!驛ナカ店鋪を利用するとお得なク-ポン券をゲットできる。この機會...'를 N 대의 디스플레이(73)의 화면을 하나의 대화면으로 해서 텔롭 표시하고 있는 예를 게시하고 있다.
이상으로 분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 2에 의하면, 디스플레이(73)에 대한 유저의 시거리 L을 검지하는 시거리 검지부(71)를 마련하고, 문자열 표시부(72)가 시거리 검지부(71)에 의해 검지된 유저의 시거리 L이 기준 거리 Lref보다 짧은 경우에는,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복수의 디스플레이(73)의 화면 각각에 텔롭 표시하고, 유저의 시거리 L이 기준 거리 Lref보다 긴 경우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73)의 화면을 하나의 대화면으로 해서,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해당 대화면에 텔롭 표시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유저가 디스플레이(73)에 가깝게 있는 경우에도, 유저가 디스플레이(73)로부터 떨어져 있는 경우에도, 보기 쉬운 텔롭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낸다.
(실시예 3)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문자 정보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로, 도면에 있어서, 도 23과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 3에서는, 표시 대상인 문자열의 중요도를 나타내는 중요도 정보(예컨대, 긴급 정보라는 취지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가 부가되어 있는 문자 코드가 문자 코드 입력부(1)에 의해 입력되는 것으로 한다.
중요도 판별부(81)는, 예컨대 CPU를 실장하고 있는 반도체 집적 회로나 원칩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문자 코드 입력부(1)에 의해 입력된 문자 코드에 부가되어 있는 중요도 정보를 참조하여, 표시 대상인 문자열의 중요도를 판별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한편, 중요도 판별부(81)는 중요도 판별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문자열 표시부(82)는 도 1의 문자열 표시부(7)나 도 23의 문자열 표시부(72)와 같은 처리를 실시하는 것 이외에, 표시 형태 결정부(2)에 의해 문자열의 표시 형태가 텔롭 표시로 결정된 경우에는, 중요도 판별부(81)에 의해 판별된 중요도에 따른 표시 방법으로, 그 문자열을 텔롭 표시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한편, 문자열 표시부(82) 및 디스플레이(73)로부터 문자열 표시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 중요도 판별부(81) 및 문자열 표시부(82)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 2와 마찬가지기 때문에, 중요도 판별부(81) 및 문자열 표시부(82)의 처리 내용만을 설명한다.
중요도 판별부(81)는, 문자 코드 입력부(1)에 의해 입력된 문자 코드에 부가되어 있는 중요도 정보를 참조하여, 표시 대상인 문자열의 중요도를 판별한다.
중요도가 "낮음"인 문자열로서는, 예컨대 운행과는 관계가 없는 통지 정보(역 설비에 대한 정보 등)에 관한 문자열 등이 해당한다.
중요도가 "중간"인 문자열로서는, 예컨대 하기의 (1)~(5)에 나타내는 정보에 관한 문자열 등이 해당한다.
(1) 운행 장해 정보(자사 노선에 관한 상황 통지, 복구 상황)
(2) 운행 장해 정보(타사 노선이나 환승 노선에 관한 상황 통지, 복구 상황)
(3) 고장 정보(자사 노선이나 자사 열차에 있어서의 고장·오작동에 관한 정보)
(4) 구급 정보(긴급 구호 정보, 여객의 정신 신체 장애에 수반되는 대응에 관한 정보)
(5) 범죄 정보·범죄 대책 정보(차 내에서의 범죄 발생시의 대응에 관한 정보)
중요도가 "높음"인 문자열로서는, 예컨대 하기의 (1)~(4)에 나타내는 정보에 관한 문자열 등이 해당한다.
(1) 재해 정보·방재 정보(지진 정보, 태풍 정보)
(2) 고장 정보·사고 정보(긴급 정지, 정지후 복구 정보)
(3) 구급 정보(인명에 관련된 대응을 필요로 할 때의 정보)
(4) 유사 정보·사건 정보(테러 정보, 대규모 범죄 정보)
문자열 표시부(82)는, 표시 형태 결정부(2)에 의해 문자열의 표시 형태가 텔롭 표시로 결정된 경우에는, 도 1의 문자열 표시부(7)나 도 23의 문자열 표시부(72)와 같이, 문자열을 텔롭 표시하지만, 중요도 판별부(81)에 의해 판별된 중요도에 따른 표시 방법으로, 그 문자열을 텔롭 표시한다는 점에서, 도 1의 문자열 표시부(7)나 도 23의 문자열 표시부(72)와 다르다.
이하, 문자열 표시부(82)의 처리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문자열 표시부(82)는, 중요도 판별부(81)에 의해 판별된 중요도가 "낮음"인 경우에는, 도 1의 문자열 표시부(7)나 도 23의 문자열 표시부(72)와 같이, 스크롤 속도 설정부(6)에 의해 설정된 스크롤 속도로,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텔롭 표시한다.
문자열 표시부(82)는, 중요도 판별부(81)에 의해 판별된 중요도가 "중간"인 경우에는, 문자열이 표시되어 있는 상황을 널리 유저에게 알리기 위해서,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텔롭 표시할 때, 그 문자열의 강조 표시(예컨대, 문자열의 점멸, 색의 변화, 아이콘 표시 등)을 행한다.
또는, 상기 문자열을 유저가 신중하게 읽도록 하기 위해서, 스크롤 속도 설정부(6)에 의해 설정된 스크롤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텔롭 표시한다.
또는,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텔롭 표시할 때, 통지음을 재생한다.
문자열 표시부(82)는, 중요도 판별부(81)에 의해 판별된 중요도가 "높음"인 경우, 문자열이 확실하게 읽혀지도록 하기 위해서, 텔롭 표시를 멈추고, 디스플레이(73) 전체에 문자열을 표시한다.
도 28은 디스플레이(73) 전체에 문자열이 표시되고 있는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8에서는, 표시 대상인 문자열이 '急停車します! 吊革や手すりにおつかまりください. WARNING Please hold on'인 예를 게시하고 있다.
도 28에서는, 디스플레이(73) 전체에 표시 대상인 문자열이 표시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면의 하부의 영역에, 예컨대 급정차하는 이유(예컨대, 선로 내에 사람이 출입했다는 취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텔롭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으로 분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 3에 의하면, 문자 코드 입력부(1)에 의해 입력된 문자 코드에 부가되어 있는 중요도 정보를 참조하여, 표시 대상인 문자열의 중요도를 판별하는 중요도 판별부(81)를 설치하고, 문자열 표시부(82)가 표시 형태 결정부(2)에 의해 문자열의 표시 형태가 텔롭 표시로 결정된 경우, 중요도 판별부(81)에 의해 판별된 중요도에 따른 표시 방법으로, 그 문자열을 텔롭 표시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중요도가 높은 문자열을 확실하게 유저에게 알릴 수 있는 효과를 낸다.
이 실시예 3에서는, 중요도 판별부(81)에 의해 판별된 중요도에 따른 표시 방법으로, 그 문자열을 텔롭 표시하는 것에 대해서 나타내었지만, 중요도 판별부(81)에 의해 판별된 중요도에 따라, 문자열의 텔롭 표시를 행하는 화면 상의 영역을 변경하도록 해도 된다.
예컨대, 중요도 판별부(81)에 의해 판별된 중요도가 "낮음"인 경우, 화면의 하부의 영역에 표시하rh, 중요도가 "중간"인 경우, 화면의 상부의 영역에 표시한다.
또한, 중요도가 "높음"인 경우, 화면의 중앙부의 영역에 표시한다.
한편, 본원 발명은 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실시예의 임의의 구성 요소의 변형, 또는 실시예의 임의의 구성 요소의 생략이 가능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정보 표시 장치 및 문자 정보 표시 방법은, 표시 대상인 문자열마다, 적정한 표시 형태나 스크롤 속도가 결정되게 되고, 그 결과, 시인성이 높은 문자열 표시를 실현할 수 있도록 했기 때문에, 전차 내의 안내판이나, 역이나 쇼핑몰 내의 게시판 등에, 열차의 운행 정보나 쇼핑 정보 등을 나타내는 문자열을 텔롭 표시하는 문자 정보 표시 장치 및 문자 정보 표시 방법 등에 이용하는 데 적합하다.
1 : 문자 코드 입력부
2 : 표시 형태 결정부(표시 형태 결정 수단)
3 : 문자 속성 판별부(문자 속성 판별 수단)
4 : 읽기 어려움 판정부(읽기 어려움 판정 수단)
5 : 표시 시간 설정부(표시 시간 설정 수단)
6 : 스크롤 속도 설정부(스크롤 속도 설정 수단)
7 : 문자열 표시부(문자열 표시 수단)
8 : 디스플레이(문자열 표시 수단)
11 : 언어 종별 판정부 12 : 문자 획수 저장부
13 : 문자 획수 특정부 14 : 총획수 특정부
15 : 문자 친밀도 저장부 16 : 문자 친밀도 특정부
17 : 문자 개수 특정부 18 : 문자열 친밀도 저장부
19 : 문자열 친밀도 특정부 20 : 문자 복잡도 특정부
21 : 발음 난이도 특정부 31 : 제 1 읽기 어려움 판정부
32 : 제 2 읽기 어려움 판정부 33 : 제 3 읽기 어려움 판정부
34 : 제 4 읽기 어려움 판정부 35 : 제 5 읽기 어려움 판정부
36 : 제 6 읽기 어려움 판정부 37 : 제 7 읽기 어려움 판정부
38 : 종합 판정부 41 : 판정 결과 입력부
42 : 표시 시간 설정 처리부 51 : 판정 결과 입력부
52 : 스크롤 속도 설정 처리부 61 : 표시 시간 입력부
62 : 표시 형태 설정부 63 : 표시 처리부
71 : 시거리 검지부(시거리 검지 수단)
72, 82 : 문자열 표시부(문자열 표시 수단)
73 : 디스플레이(문자열 표시 수단)
81 : 중요도 판별부(중요도 판별 수단)

Claims (17)

  1. 표시 대상인 문자열의 길이에 기초해서, 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의 표시 형태를 텔롭(telop) 표시 또는 전문 동시 표시로 결정하는 표시 형태 결정 수단과,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의 속성을 판별하는 문자 속성 판별 수단과,
    상기 문자 속성 판별 수단에 의해 판별된 문자의 속성에 기초해서, 표시 대상인 문자열이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인지,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인지를 판정하는 읽기 어려움 판정 수단과,
    상기 표시 형태 결정 수단에 의해 문자열의 표시 형태가 텔롭 표시로 결정된 경우에는, 상기 읽기 어려움 판정 수단에 의해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이라고 판정되었다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의 스크롤 속도를 기준 속도로 설정하고, 상기 읽기 어려움 판정 수단에 의해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이라고 판정되었다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의 스크롤 속도를 기준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설정하는 스크롤 속도 설정 수단과,
    상기 표시 형태 결정 수단에 의해 문자열의 표시 형태가 텔롭 표시로 결정된 경우에는, 상기 스크롤 속도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스크롤 속도로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텔롭 표시하고, 상기 표시 형태 결정 수단에 의해 문자열의 표시 형태가 전문 동시 표시로 결정된 경우에는,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 모두를 화면 상에 동시에 표시하는 문자열 표시 수단
    을 구비한 문자 정보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표시 형태 결정 수단에 의해 문자열의 표시 형태가 전문 동시 표시로 결정된 경우에는, 읽기 어려움 판정 수단에 의해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이라고 판정되었다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의 표시 시간을 기준 표시 시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읽기 어려움 판정 수단에 의해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이라고 판정되었다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의 표시 시간을 기준 표시 시간보다 긴 시간으로 설정하는 표시 시간 설정 수단을 마련하고,
    문자열 표시 수단은, 상기 표시 형태 결정 수단에 의해 문자열의 표시 형태가 전문 동시 표시로 결정된 경우에는, 상기 표시 시간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표시 시간 동안,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정보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표시기의 화면에 문자열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표시기에 대한 유저의 시거리를 검지하는 시거리 검지 수단을 마련하고,
    문자열 표시 수단은, 표시 형태 결정 수단에 의해 문자열의 표시 형태가 텔롭 표시로 결정된 경우에는, 상기 시거리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된 유저의 시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짧으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복수의 표시기의 화면 각각에 텔롭 표시하고, 상기 시거리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된 유저의 시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길면, 복수의 표시기의 화면을 하나의 대화면으로 해서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상기 대화면에 텔롭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정보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문자 속성 판별 수단은,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가 표의 문자인 경우, 상기 문자의 속성으로서, 상기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의 획수를 특정하고,
    읽기 어려움 판정 수단은,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 중에 상기 문자 속성 판별 수단에 의해 특정된 획수가 소정의 획수를 초과하는 문자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은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이라고 판정하고,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 중에 상기 문자 속성 판별 수단에 의해 특정된 획수가 소정의 획수를 초과하는 문자가 포함되어 있으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은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이라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정보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문자 속성 판별 수단은,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가 표의 문자인 경우, 상기 문자의 속성으로서, 상기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모든 문자의 총획수를 특정하고,
    읽기 어려움 판정 수단은, 상기 문자 속성 판별 수단에 의해 특정된 총획수가 소정의 총획수를 초과하지 않으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은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이라고 판정하고, 상기 문자 속성 판별 수단에 의해 특정된 총획수가 소정의 총획수를 초과하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은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이라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정보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문자 속성 판별 수단은,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가 표의 문자인 경우, 상기 문자의 속성으로서, 상기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의 획수를 특정함과 아울러, 상기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모든 문자의 총획수를 특정하고,
    읽기 어려움 판정 수단은,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 중에 상기 문자 속성 판별 수단에 의해 특정된 획수가 소정의 획수를 초과하는 문자가 포함되어 있지 않고, 또한 상기 문자 속성 판별 수단에 의해 특정된 총획수가 소정의 총획수를 초과하지 않으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은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이라고 판정하고,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 중에 상기 문자 속성 판별 수단에 의해 특정된 획수가 소정의 획수를 초과하는 문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또는 상기 문자 속성 판별 수단에 의해 특정된 총획수가 소정의 총획수를 초과하는 경우에, 표시 대상인 문자열은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이라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정보 표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문자 속성 판별 수단은,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가 표의 문자인 경우, 상기 문자의 속성으로서, 상기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에 대한 친숙해지기 쉬움(approachability)의 정도를 나타내는 친밀도를 특정하고,
    읽기 어려움 판정 수단은,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 중에 상기 문자 속성 판별 수단에 의해 특정된 친밀도가 소정의 친밀도보다 낮은 문자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은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이라고 판정하고,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 중에 상기 문자 속성 판별 수단에 의해 특정된 친밀도가 소정의 친밀도보다 낮은 문자가 포함되어 있으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은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이라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정보 표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문자 속성 판별 수단은,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가 표음 문자인 경우, 상기 문자의 속성으로서, 상기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의 개수를 특정하고,
    읽기 어려움 판정 수단은, 상기 문자 속성 판별 수단에 의해 특정된 개수가 소정의 개수보다 적으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은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이라고 판정하고, 상기 문자 속성 판별 수단에 의해 특정된 개수가 소정의 개수보다 많으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은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이라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정보 표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문자 속성 판별 수단은,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가 표음 문자인 경우, 상기 문자의 속성으로서, 상기 문자열에 대한 친숙해지기 쉬움의 정도를 나타내는 친밀도를 특정하고,
    읽기 어려움 판정 수단은, 상기 문자 속성 판별 수단에 의해 특정된 친밀도가 소정의 친밀도보다 높으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은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이라고 판정하고, 상기 문자 속성 판별 수단에 의해 특정된 친밀도가 소정의 친밀도보다 낮으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은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이라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정보 표시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문자 속성 판별 수단은,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가 표음 문자인 경우, 상기 문자의 속성으로서, 상기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의 개수를 특정함과 아울러, 상기 문자열에 대한 친숙해지기 쉬움의 정도를 나타내는 친밀도를 특정하고,
    읽기 어려움 판정 수단은, 상기 문자 속성 판별 수단에 의해 특정된 개수가 소정의 개수보다 적고, 또한 상기 문자 속성 판별 수단에 의해 특정된 친밀도가 소정의 친밀도보다 높으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은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이라고 판정하고, 상기 문자 속성 판별 수단에 의해 특정된 개수가 소정의 개수보다 많은 경우에, 또는 상기 문자 속성 판별 수단에 의해 특정된 친밀도가 소정의 친밀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표시 대상인 문자열은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이라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정보 표시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문자 속성 판별 수단은,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가 표음 문자인 경우에는, 상기 문자의 속성으로서, 상기 문자열에 대한 시각적인 복잡도를 특정하고,
    읽기 어려움 판정 수단은, 상기 문자 속성 판별 수단에 의해 특정된 복잡도가 소정의 복잡도보다 낮으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은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이라고 판정하고, 상기 문자 속성 판별 수단에 의해 특정된 복잡도가 소정의 복잡도보다 높으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은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이라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정보 표시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문자 속성 판별 수단은,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가 표음 문자인 경우에는, 상기 문자의 속성으로서, 상기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의 개수를 특정함과 아울러, 상기 문자열에 대한 시각적인 복잡도를 특정하고,
    읽기 어려움 판정 수단은, 상기 문자 속성 판별 수단에 의해 특정된 개수가 소정의 개수보다 적고, 또한 상기 문자 속성 판별 수단에 의해 특정된 복잡도가 소정의 복잡도보다 낮으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은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이라고 판정하고, 상기 문자 속성 판별 수단에 의해 특정된 개수가 소정의 개수보다 많은 경우에, 또는 상기 문자 속성 판별 수단에 의해 특정된 복잡도가 소정의 복잡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표시 대상인 문자열은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이라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정보 표시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문자 속성 판별 수단은,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가 표음 문자인 경우에는, 상기 문자의 속성으로서, 상기 문자열에 관한 발음이 어려운 정도를 나타내는 난이도를 특정하고,
    읽기 어려움 판정 수단은, 상기 문자 속성 판별 수단에 의해 특정된 난이도가 소정의 난이도보다 낮으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은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이라고 판정하고, 상기 문자 속성 판별 수단에 의해 특정된 난이도가 소정의 난이도보다 높으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은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이라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정보 표시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표시 대상인 문자열에 부가되어 있는 중요도 정보를 참조하여, 표시 대상인 문자열의 중요도를 판별하는 중요도 판별 수단을 마련하고,
    문자열 표시 수단은, 표시 형태 결정 수단에 의해 문자열의 표시 형태가 텔롭 표시로 결정된 경우에는, 상기 중요도 판별 수단에 의해 판별된 중요도에 따른 표시 방법으로 상기 문자열을 텔롭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정보 표시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문자열 표시 수단은, 중요도 판별 수단에 의해 판별된 중요도가 최고 랭크인 경우에는, 텔롭 표시를 멈추고,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화면 전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정보 표시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문자열 표시 수단은, 중요도 판별 수단에 의해 판별된 중요도에 따라, 문자열의 텔롭 표시를 행하는 화면 상의 영역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정보 표시 장치.
  17. 표시 형태 결정 수단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의 길이에 기초해서, 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의 표시 형태를 텔롭 표시 또는 전문 동시 표시로 결정하는 표시 형태 결정 처리 단계와,
    문자 속성 판별 수단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의 속성을 판별하는 문자 속성 판별 처리 단계와,
    읽기 어려움 판정 수단이, 상기 문자 속성 판별 처리 단계에서 판별된 문자의 속성에 기초해서, 표시 대상인 문자열이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인지,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인지를 판정하는 읽기 어려움 판정 처리 단계와,
    스크롤 속도 설정 수단이, 상기 표시 형태 결정 처리 단계에서 문자열의 표시 형태가 텔롭 표시로 결정된 경우에는, 상기 읽기 어려움 판정 처리 단계에서 읽기가 용이한 문자열이라고 판정되었다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의 스크롤 속도를 기준 속도로 설정하고, 상기 읽기 어려움 판정 처리 단계에서 읽기가 어려운 문자열이라고 판정되었다면 표시 대상인 문자열의 스크롤 속도를 기준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설정하는 스크롤 속도 설정 처리 단계와,
    문자열 표시 수단이, 상기 표시 형태 결정 처리 단계에서 문자열의 표시 형태가 텔롭 표시로 결정된 경우에는, 상기 스크롤 속도 설정 처리 단계에서 설정된 스크롤 속도로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텔롭 표시하고, 상기 표시 형태 결정 처리 단계에서 문자열의 표시 형태가 전문 동시 표시로 결정된 경우에는, 표시 대상인 문자열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 모두를 화면 상에 동시에 표시하는 문자열 표시 처리 단계
    를 구비한 문자 정보 표시 방법.
KR1020137011354A 2010-10-06 2011-10-05 문자 정보 표시 장치 및 문자 정보 표시 방법 KR201300739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26736 2010-10-06
JP2010226736 2010-10-06
PCT/JP2011/005613 WO2012046446A1 (ja) 2010-10-06 2011-10-05 文字情報表示装置及び文字情報表示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3979A true KR20130073979A (ko) 2013-07-03

Family

ID=45927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1354A KR20130073979A (ko) 2010-10-06 2011-10-05 문자 정보 표시 장치 및 문자 정보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32323B2 (ko)
JP (1) JP5550736B2 (ko)
KR (1) KR20130073979A (ko)
CN (1) CN103140888B (ko)
WO (1) WO201204644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03082A1 (ko) * 2014-06-30 2016-01-07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문맥 정보에 기초하여 스크롤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75298A1 (en) * 2012-09-12 2014-03-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ocument analysis and presentation for users with special needs
JP6161066B2 (ja) * 2013-07-17 2017-07-12 株式会社京三製作所 乗物案内表示装置
US9766805B2 (en) * 2014-04-14 2017-09-19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extual input
JP2016092769A (ja) * 2014-11-11 2016-05-23 シャープ株式会社 受信機
EP3378607A4 (en) * 2015-11-16 2019-07-17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ROBOTIC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5630188B (zh) * 2015-12-24 2018-11-27 魅族科技(中国)有限公司 一种展示字符串的方法及终端
JP6294554B1 (ja) * 2017-10-24 2018-03-14 サンネット株式会社 文字表示システム、文字表示装置及び文字表示システムを実現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JP6463442B2 (ja) * 2017-10-26 2019-02-06 三菱電機株式会社 入力表示装置、入力表示方法及び入力表示プログラム
JP7051669B2 (ja) * 2018-12-05 2022-04-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の表示装置
JP2020140353A (ja) * 2019-02-27 2020-09-03 国立研究開発法人情報通信研究機構 ラテン文字変換装置、ラテン文字変換方法およびラテン文字変換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3941A (ja) 1992-05-22 1993-12-07 Nippon Conlux Co Ltd スクロール制御装置
JPH06161427A (ja) 1992-11-27 1994-06-07 Hitachi Ltd 情報表示装置
JPH08287270A (ja) 1995-04-19 1996-11-01 Toshiba Corp 文書作成装置及び映像表示制御方法
JP2004264990A (ja) 2003-02-28 2004-09-24 Sanyo Electric Co Ltd 診療支援装置
US8671359B2 (en) 2003-03-07 2014-03-11 Nec Corporation Scroll display control
JP4046187B2 (ja) * 2003-06-25 2008-02-13 シャープ株式会社 文字のスクロール表示装置、文字のスクロール表示方法、表示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5107483A (ja) 2003-09-11 2005-04-2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単語学習方法、単語学習装置、単語学習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並びに文字列学習方法、文字列学習装置、文字列学習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5092734A (ja) 2003-09-19 2005-04-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複数言語表示処理装置及び複数言語表示システム
JP2006126503A (ja) * 2004-10-28 2006-05-18 Kyocera Mita Corp Lcd表示器
JP2008076521A (ja) 2006-09-19 2008-04-03 Sharp Corp テロップ表示制御装置およびテロップ表示制御方法
JP2008170544A (ja) 2007-01-09 2008-07-24 Sharp Corp テロップ表示制御装置およびテロップ表示制御方法
JP4310358B2 (ja) 2007-10-22 2009-08-05 シャープ株式会社 文字のスクロール表示装置、文字のスクロール表示方法、表示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5606953B2 (ja) * 2011-02-18 2014-10-15 京セラ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
US8643680B2 (en) * 2011-04-08 2014-02-04 Amazon Technologies, Inc. Gaze-based content displa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03082A1 (ko) * 2014-06-30 2016-01-07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문맥 정보에 기초하여 스크롤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79822A1 (en) 2013-07-11
CN103140888A (zh) 2013-06-05
US9032323B2 (en) 2015-05-12
WO2012046446A1 (ja) 2012-04-12
CN103140888B (zh) 2015-05-20
JPWO2012046446A1 (ja) 2014-02-24
JP5550736B2 (ja) 2014-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73979A (ko) 문자 정보 표시 장치 및 문자 정보 표시 방법
Collis et al. The role of visual spatial attention in adult developmental dyslexia
Vandewalle et al. Development of phonological processing skills i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with and without literacy delay: A 3-year longitudinal study
US7836399B2 (en) Detection of lists in vector graphics documents
CN110046350A (zh) 文法错误识别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Williams et al. Meeting the on‐line needs of disabled tourists: an assessment of UK‐based hotel websites
Lukatela et al. Does visual word identification involve a sub-phonemic level?
Crasborn Transcription and notation methods
Campbell et al. Categorical perception of face actions: Their role in sign language and in communicative facial displays
KR101017598B1 (ko) 증강 현실을 이용한 한글 교습 시스템 및 한글 정보 제공 방법
TW201224791A (en) Text messaging device
Williams et al. Online accessibility and information needs of disabled tourists: A three country hotel sector analysis
Chiu et al. The explicit and implicit phonological processing of Chinese characters and words in Taiwanese deaf signers
Chetail et al. Effect of syllable congruency in sixth graders in the lexical decision task with masked priming
Han et al. Redefining ‘Chinese’L1 in SLP: Considerations for the assessment of Chinese bilingual/bidialectal language skills
Hill et al. A rate index for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Gupta Public Signage System To Combat Problems of Illiteracy And Multilingualism.
Bhalloo et al. Early Precursors of Reading Development in Simultaneous Bilingual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Kouroupetroglou Text signals and accessibility of educational documents
Hogan What speech-language pathologists need to know about dyslexia
Mahgoub et al. Design comparison of guide road signs considering multinational speakers in the State of Qatar
Bhalloo et al. Early precursors of literacy development in simultaneous bilingual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KR870008247A (ko) 데이타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TW201023176A (en) Evaluation system for sound construction anomaly
Kamran The Power of Pictograms: a study and guide on how to create inclusive navigational signage using pictograms to address low situational literac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