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3733A - 정보 송수신 방법 및 기기 - Google Patents

정보 송수신 방법 및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3733A
KR20130073733A KR1020110141733A KR20110141733A KR20130073733A KR 20130073733 A KR20130073733 A KR 20130073733A KR 1020110141733 A KR1020110141733 A KR 1020110141733A KR 20110141733 A KR20110141733 A KR 20110141733A KR 20130073733 A KR20130073733 A KR 20130073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xternal device
transmitting
request signal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1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완제
김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1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3733A/ko
Priority to US13/559,933 priority patent/US20130163513A1/en
Priority to EP12195547.0A priority patent/EP2608485A1/en
Priority to CN2012105678093A priority patent/CN103281802A/zh
Publication of KR20130073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37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4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nother still picture apparatus, e.g. hybrid still pictur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8Migration or transfer of s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06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separate from the image data, e.g. in a different computer file
    • H04N1/32122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separate from the image data, e.g. in a different computer file in a separate device, e.g. in a memory or on a display separate from imag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65Initiating a communication
    • H04N1/32771Initiating a communication in response to a request, e.g. for a particular document
    • H04N1/32776Initiating a communication in response to a request, e.g. for a particular document using an interactive, user-operated device, e.g. a computer terminal, mobile tele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08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n identification number or address, e.g. local network addr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48Type of connection
    • H04N2201/0055By ra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4Digital still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26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he like, e.g. ID code, index, title, part of an image, reduced-siz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73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기기간의 접근성 및 공유 정보간의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한 정보 송수신 방법 및 기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수신 방법은 외부 기기 링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외부 기기에 자동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요약 정보에 기초하여 공유하고자 하는 정보를 요청하고, 요청한 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송신 방법은 외부 기기 링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고유의 액세스 포인트를 설정하고, 설정된 액세스 포인트에 외부 기기가 연결된 후, 연결된 외부 기기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보 송수신 방법 및 기기{Method and device for t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본 발명은 정보 송수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기간의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정보 송수신 방법 및 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폰의 기술이 급격하게 발전하면서, 무선 통신에 기초하여 기기간의 정보를 공유하는 기술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또한, 스마트 폰간의 정보 공유, 스마트 폰과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간의 정보 공유, TV(Television)와 스마트 폰간의 정보 공유, 오디오 시스템과 스마트 폰간의 정보 공유, 스마트 폰과 디지털 촬영 장치간의 정보 공유, 및 태블릿 PC와 디지털 촬영 장치간의 정보 공유 등 정보 공유가 가능한 기기의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기의 성능에 따라 정보를 공유하려는 사용자의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촬영 장치로 촬영된 컨텐츠를 디지털 촬영 장치보다 디스플레이 성능이 좋은 태블릿 PC나 스마트 폰에서 보기 위하여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을 태블릿 PC나 스마트 폰과 공유하려는 사용자의 요구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정보 공유 기술은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 및 선택하여야 하고,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기기를 검색 및 선택하여야 하는 등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기기간의 접근성(accessibilty)이 떨어진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기기간의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한 정보 송수신 방법 및 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공유하고자 하는 정보 및 공유한 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한 정보 송수신 방법 및 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수신 방법은, 기기에서 외부 기기 링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외부 기기에 자동으로 연결되는 단계; 상기 외부 기기에 저장된 정보에 대한 요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요약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되는 요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기기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대한 요청 신호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요청 신호에 따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 기기에 자동으로 연결되는 단계는 상기 외부 기기에 의해 설정된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하여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보 수신 방법은, 상기 수신된 정보의 저장이 완료되고, 상기 저장된 정보와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한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보 수신 방법은, 상기 수신된 정보의 저장이 완료되고, 상기 외부 기기에 저장된 정보중에서 상기 저장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요약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청 신호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되는 요약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요약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보 수신 방법은, 상기 수신된 정보의 저장이 완료된 후, 상기 저장된 정보에 대한 재생 요청 신호가 수신되고, 상기 저장된 정보를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약 정보는 상기 외부 기기에 저장된 정보의 메타 데이터, 썸네일 정보, 식별 정보, 및 데이터베이스 정보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 기기는 디지털 촬영 장치이고, 상기 외부 기기에 저장된 정보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에 의해 획득된 컨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요약 정보는 상기 획득된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 썸네일 정보, 식별 정보, 및 데이터베이스 정보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송신 방법은, 기기에서 외부 기기 링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고유의 액세스 포인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액세스 포인트에 외부 기기가 연결된 후, 상기 기기에 저장된 정보의 요약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요약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 요청 신호에 따른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약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기기에 상기 외부 기기가 연결된 후, 상기 기기와 상기 외부 기기의 연결 상태 정보와 상기 연결된 외부 기기에 대한 식별 정보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약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한 식별 정보와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한 연결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한 연결을 승인하고, 상기 요약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신된 정보 요청 신호에 따른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 요청 신호에 따른 정보 전송에 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 전송에 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전송이 승인되면, 상기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보 송신 방법은, 상기 수신된 정보 요청 신호에 따른 정보가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되고, 상기 전송된 정보와 상기 전송된 정보의 요약 정보중 하나의 정보와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한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수신 기기는, 유저와 상호 작용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부;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 및 외부 기기 링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외부 기기와 자동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연결된 외부 기기에 저장된 정보에 대한 요약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요약 정보를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요약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기기에 의해 설정된 액세스 포인트에 자동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송신 기기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정보 입력부;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정보 출력부: 적어도 하나의 요약 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약 정보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 및 상기 외부 기기 링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액세스 포인트를 설정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설정된 액세스 포인트에 상기 외부 기기가 연결된 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요약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요약 정보에 기초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 요청 신호에 따른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외부 기기와의 연결에 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정보를 상기 출력부로 출력하는 기능과 상기 요약 정보에 기초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 요청 신호에 따른 정보 전송에 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정보를 상기 출력부로 출력하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보 송신 기기는 디지털 촬영 장치이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에 의해 획득된 컨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요약 정보는 상기 획득된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 썸네일 정보, 식별 정보, 및 데이터베이스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수신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신 방법은, 상술한 정보 수신 방법과 같이 수행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송신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정보 송신 방법은, 상술한 정보 송신 방법과 같이 수행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송수신 방법 및 기기는 공유하고자 하는 정보를 송신하는 기기에 설정된 액세스 포인트에 공유하고자 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기기가 자동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기기간의 접근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수신 기기에서 공유하고자 하는 정보에 대한 요약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정보 수신 기기에서 불필요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 송수신 기기에서 각각 공유한 정보와 정보를 공유한 기기에 대한 식별 정보를 출력하고, 정보 수신 기기에서 공유 가능한 정보중에서 공유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공유된 정보에 대한 내역(details)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수신 기기 및 정보 송신 기기를 포함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보 수신 기기의 상세한 기능 블록도의 예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프로세서의 상세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정보 송신 기기의 상세한 기능 블록도의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수신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송신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5 및 도 6의 동작 흐름도에 기초한 정보 수신 기기와 정보 송신 기기간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수신 방법을 수행할 때, 정보 수신 기기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 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송신 방법을 수행할 때 정보 송신 기기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 예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도 7의 동작 흐름도에서 정보 수신 기기의 기능을 추가한 실시 예들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수신 기기와 정보 송신 기기간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4 내지 도 17은 도 7의 동작 흐름도에서 정보 송신 기기측의 기능을 추가 또는 변경한 실시 예들이다.
도 18은 도 14 내지 도 17의 동작 흐름도에 따라 정보 송신 기기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의 예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수신 기기 및 정보 송신 기기를 포함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 언급되는 정보 수신 기기 및 정보 송신 기기는 공유할 정보의 전송 관점에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정보 송신 기기와 정보 수신 기기로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정보 수신 기기는 제 1 기기로 언급되고, 정보 송신 기기는 제 2 기기로 언급될 수 있다. 또는 정보 수신 기기는 정보 송신 기기의 외부 기기로 언급될 수 있고, 정보 송신 기기는 정보 수신 기기의 외부 기기로 언급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 시스템(100)은 정보 수신 기기(110), 정보 송신 기기(120), 및 네트워크(130)를 포함한다.
정보 수신 기기(110)는 네트워크(130)를 통해 통신이 가능한 기기이다. 정보 수신 기기(110)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Smart Phone), 스마트 TV, PC(Personal Computer), 데스크탑(Desktop) PC, 노트북(Notebook), 테이블탑(Tabletop), 스마트 보드(Smart Board), 태블릿(Tablet) PC, 슬레이트(Slate) PC, 디지털 포토 프레임(Digital Photo Frame),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정보 수신 기기(110)는 외부 기기 링크 애플리케이션(external device link application)을 실행하고, 네트워크(130)를 통해 정보 송신 기기(120)에 설정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라고 약하기도 함.)에 자동적으로 연결된다. 액세스 포인트는 가상 AP(Virtual Access Point)로 언급될 수 있다. 정보 송신 기기(120)가 디지털 촬영 장치인 경우에 정보 수신 기기(110)에서 실행되는 외부 기기 링크 애플리케이션은 촬영 장치 링크 애플리케이션 또는 카메라 링크 애플리케이션으로 언급될 수 있다. 이처럼 정보 송신 기기(120)가 어떤 기기인지에 따라 외부 기기 링크 애플리케이션의 네임은 설정될 수 있다. 외부 기기 링크 애플리케이션은 링크 애플리케이션으로 언급될 수 있다.
정보 수신 기기(110)는 정보 송신 기기(120)로부터 정보 송신 기기(120)에 저장된 정보에 대한 요약 정보(summary information)를 네트워크(130)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요약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요약 정보를 선택한다. 정보 수신 기기(110)는 선택된 요약 정보를 이용하여 정보 송신 기기(120)에 저장된 정보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대한 요청 신호를 정보 송신 기기(120)로 전송한다. 정보 송신 기기(120)에 저장된 정보는 정보 송신 기기(120)에 의해 획득된 컨텐츠 또는 컨텐츠 파일로 언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보 수신 기기(110)는 공유하고자 하는 정보를 정보 송신 기기(120)로부터 수신하게 된다. 공유하고자 하는 정보는 요약 정보에 대한 원본 데이터(original data)로 언급될 수 있고, 요약 정보는 공유하고자 하는 정보의 메타 데이터(metadata), 썸네일 정보(thumbnail information), 식별 정보(Identification Information), 및 데이터베이스(Database) 정보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할 수 있다. 메타 데이터는 예를 들어 원본 데이터의 네임 정보, 원본 데이터가 획득된 시간 및 장소 정보, 원본 데이터에 관련된 사람 정보, 원본 데이터의 카테고리 정보, 원본 데이터의 재생 조건 정보, 및 원본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는 특정 이미지(예를 들어 아이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정보는 상술한 메타 데이터에 포함되는 정보와 유사한 정보들을 사전에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한 형태로 정의된 정보를 포함한다. 공유하고자 하는 정보는 공유하고자 하는 정보 파일로 언급될 수 있다.
정보 송신 기기(120)는 디지털 촬영 장치와 같이 촬영된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기능과 고유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 기기 링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기기, 촬영 모듈이 정보 송신 기기(120)의 다른 기능 모듈들에 비해 비중이 큰 기기, 캠코더 등의 휴대용 기기, 고유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기기를 포함하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정보 송신 기기(120)에서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설정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실행 또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생성으로 언급될 수 있다.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설정은 후술할 도 4에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정보 송신 기기(120)에서 실행되는 외부 기기 링크 애플리케이션은 정보 수신 기기(120)가 스마트 폰일 때, 스마트폰 링크 애플리케이션으로 언급될 수 있다. 이처럼 정보 송신 기기(120)에서 실행되는 외부 기기 링크 애플리케이션은 정보 수신 기기(110)가 어떤 기기인지에 따라 네임이 설정될 수 있다.
만약 정보 송신 기기(120)가 정보 수신 기기(110)보다 먼저 외부 기기 링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정보 수신 기기(110)에서 외부 기기 링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까지 정보 송신 기기(120)는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만약 정보 수신 기기(110)가 정보 송신 기기(120)보다 먼저 외부 기기 링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정보 송신 기기(120)의 외부 링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후 고유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설정될 때까지 정보 수신 기기(110)는 액세스 포인트를 계속 검색하다가 정보 송신 기기(120)에서 액세스 포인트를 설정한 후, 자동으로 정보 송신 기기(120)의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된다.
이를 위하여 정보 수신 기기(110)와 정보 송신 기기(120)에서 실행되는 각각의 외부 기기 링크 애플리케이션은 정보 송신 기기(120)에서 설정될 액세스 포인트의 고유 식별 정보(SSID, Service Set IDentifier)정보, 통신 채널 정보, 연결을 위한 인증 정보(또는 암호 정보)에 대한 입력 없이 정보 수신 기기(110)가 액세스 포인트에 자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제작된다.
네트워크(130)는 액세스 포인트 기반의 Wi-Fi(Wireless Fidelity)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보 수신 기기(110)의 상세한 기능 블록도의 예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정보 수신 기기(110)는 유저 인터페이스부(210), 통신부(220), 저장부(230), 및 프로세서(240)를 포함한다. 카메라(250)는 정보 수신 기기(110)가 어떤 기기인지에 따라 포함될 수 있으나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점선으로 도시하였다.
유저 인터페이스부(210)는 입력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211)와 출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212)를 포함한다. 입력부(211)와 출력부(212)는 독립된 구성 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유저는 입력부(211)를 사용하여 정보 또는 명령 또는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입력부(211)를 이용하여 입력될 수 있는 데이터 또는 정보 또는 명령은, 예를 들어, 외부 기기 링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 출력부(212)에 디스플레이 되는 요약 정보에 대한 선택 신호, 공유된 정보에 대한 재생 요청 신호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입력부(211)로부터 프로세서(240)로 전송 또는 입력되는 신호는 입력 정보 또는 입력 명령 또는 입력 신호 또는 입력 데이터로 언급될 수 있다. 입력부(211)는 터치 패널 또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인터페이스 기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211)가 터치 인터페이스 기반으로 구성될 경우에 입력부(211)와 출력부(212)는 결합된(combined)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출력부(212)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및 AMO 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출력부(212)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통신부(220)는 네트워크(130)를 통해 메시지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정보 송신 기기(120)에 설정된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네트워크(130)가 상술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 기반의 Wi-Fi와 같은 근거리 통신망인 경우에 통신부(220)는 액세스 포인트 기반의 근거리 통신망에 기초하여 메시지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통신부(22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지그비(Zigbee)를 포함하는 PAN(Pernal Area Network) 기반의 통신 기능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23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수신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외부 기기 링크 애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과 자원을 저장할 수 있다. 자원은 정보 송신 기기(120)에서 설정될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의 고유 식별 정보(SSID), 통신 채널 정보, 및 인증 정보(또는 암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30)는 정보 송신 기기(120)로부터 전송된 공유 정보를 저장한다.
프로세서(240)는 기기(110)의 전 기능을 제어하는 것으로, 제어기나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Digital Signal Processor) 등으로 언급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정보 공유를 위한 정보 수신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외부 기기 링크 애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외부 기기 링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저장부(230)로부터 리드되어 이용되거나 통신부(220)를 통해 연결된 앱 스토어 서버(미 도시됨)로부터 다운받아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240)는 도 3에 도시된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프로세서(240)의 상세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로세서(240)는 외부 기기 링크 애플리케이션 실행부(301)와 재생 제어부(302)를 포함한다.
외부 기기 링크 애플리케이션 실행부(301)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정보 송신 기기(120)와 연결되어 정보 송신 기기(120)에 저장된 정보중 정보 수신 기기(110)의 유저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기능을 실행하는 것으로, 후술할 도 5, 및 도 7-13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재생 제어부(302)는 저장부(230)에 저장된 공유 정보(sharing information)에 대한 재생 요청 신호에 따라 정보를 재생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저장된 공유 정보에 대한 재생을 제어한다. 정보를 재생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안드로이드 폰(Android Phone)의 갤러리(Gallery)를 들 수 있다.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재생 제어부(302)는 외부 기기 링크 애플리케이션 실행 모드에서 정보를 재생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모드로 정보 수신 기기(110)의 동작 모드를 변경 또는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정보 수신 기기(110)가 두 애플리케이션을 멀티 실행할 수 있는 경우에 정보 수신 기기(110)의 동작 모드를 변경 또는 이동하지 않고 정보 재생 애플리케이션을 추가로 실행하여 공유 정보에 대한 재생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정보 송신 기기(120)의 상세한 기능 블록도의 예로서, 정보 송신 기기(120)가 디지털 촬영 장치인 경우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정보 송신 기기(120)는 입력부(410), 디스플레이부(411), 저장부(412), 통신부(413), USB(414), 렌즈부(415), 렌즈부 구동부(416), 조리개(417), 조리개 구동부(418), 촬상 소자(419), 촬상 소자 제어부(420),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421), 프로세서(422)를 포함한다. 여기서 렌즈부(415), 렌즈부 구동부(416), 조리개(417), 조리개 구동부(418), 촬상 소자(419), 촬상 소자 제어부(420),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421)는 촬상부(423)로서 언급될 수 있다.
입력부(410)는 유저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구성 요소이다. 정해진 시간 동안 촬상 소자(419)를 빛에 노출하기 위해 열리고 닫히는 셔터 릴리즈 버튼,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입력되는 전원 버튼, 입력에 따라 화각을 넓어지게 하거나 화각을 좁아지게 하는 광각-줌 버튼 및 망원-줌 버튼, 문자 입력 또는 촬영 모드, 재생 모드 등의 모드 선택, 화이트 밸런스 설정 기능 선택, 노출 설정 기능 선택 등의 다양한 입력부들을 포함한다. 입력부(410)는 다양한 키 버튼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로 한정되지 않고 키보드,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원격 제어기 등과 같이 유저가 입력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11)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OLED:Organic Luminescence Display Panel),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D:Field Emission Display)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정보 송신 기기(120)의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거나 본 발명에 따른 후술할 도 9 및 도 18에서와 같은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11)는 정보 수신 기기(110)의 출력부(212)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411)는 출력부로 언급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입력부(410)와 디스플레이부(411)는 도 2의 유저 인터페이스부(210)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41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자원(또는 데이터)을 저장한다. 프로그램은 사전에 저장될 수 있으나, 정보 수신 기기(110)에서와 같이 통신부(413)를 통해 연결된 앱 스토어 서버(미 도시됨)로부터 다운받을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외부 기기 링크 애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자원은 고유의 액세스 포인트를 설정하는데 필요한 식별 정보(SSID), 통신 채널 정보, 및 인증 정보(또는 암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412)는 정보 송신 기기(120)를 구동하는 운영 시스템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412)는 촬영된 이미지 파일 및 동영상 파일을 비롯하여 운영 시스템의 프로그램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412)에 저장되는 이미지 파일 및 동영상 파일은 정보 송신 기기(120)에 의해 획득된 컨텐츠 파일로 언급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바람직할 실시 예들에서 언급되는 정보 송신 기기(120)에 저장된 정보에 포함된다. 저장부(412)는 저장된 정보에 대한 요약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요약 정보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통신부(413)는 프로세서(422)로부터 제어 신호를 제공 받아 고유의 액세스 포인트를 설정한다. 고유의 액세스 포인트 설정은 기존의 스마트 폰에서 수행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설정과 유사하게 설정될 수 있다. 고유의 액세스 포인트 설정 시 필요한 고유 식별 정보, 통신 채널 정보 및 인증 정보는 프로세서(422)가 저장부(412)로부터 읽어 통신부(413)로 제공할 수 있다. 통신부(413)는 도 2의 통신부(220)와 같이 네트워크(130)을 통해 메시지 및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USB(Universal Serial Bus)(414)는 오디오플레이어, 조이스틱, 키보드, 전화, 스캐너 및 프린터 등과 같은 주변기기와 정보 송신 기기(120)를 연결할 수 있는 플러그 앤 플레이 인터페이스(또는 직렬 포트)이다. 정보 송신 기기(120)는 USB(414)를 선택적으로 실장할 수 있다.
렌즈부(lens unit, 415)는 광학 신호를 집광한다. 렌즈부(415)는 초점 거리(focal length)에 따라 화각이 좁아지거나 또는 넓어지도록 제어하는 줌 렌즈 및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는 포커스 렌즈 등을 포함하며, 줌 렌즈 및 피사체 렌즈는 각각 하나의 렌즈로 구성될 수 있지만, 복수의 렌즈들의 군집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조리개(112)는 그 개폐 정도를 조절하여 입사광의 광량을 조절한다.
렌즈부 구동부(416) 및 조리개 구동부(418)는 프로세서(422)로부터 제어 신호를 제공받아, 각각 렌즈부(415) 및 조리개(417)를 구동한다. 렌즈부 구동부(416)는 렌즈부(415)의 위치를 조절하여 초점 거리를 조절하고, 오토 포커싱, 줌 변경, 초점 변경들의 동작을 수행한다. 조리개 구동부(418)는 조리개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고, 특히 f 넘버 또는 조리개 값을 조절하여 오토 포커스, 자동 노출 보정, 초점 변경, 피사계 심도 조절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렌즈부(415)를 투과한 광학 신호는 촬상 소자(419)의 수광면에 이르러 피사체의 상을 결상한다. 촬상 소자(419)는 광학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CI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 또는 고속 이미지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촬상소자(419)는 촬상소자 제어부(420)에 의해 감도 등이 조절될 수 있다. 촬상소자 제어부(420)는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촬상 소자(419)를 제어할 수 있다. 촬상 소자(419)의 노광 시간은 셔터(미도시)로 조절된다. 셔터는 선막 및 후막으로 구성된 셔터막의 이동을 통하여 빛의 입사를 조절하는 기계식 셔터와, 촬상 소자(419)에 전기 신호를 공급하여 노광을 제어하는 전자식 셔터가 있다.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421)는 촬상 소자(419)로부터 공급된 아날로그 신호에 대하여, 노이즈 저감 처리, 게인 조정, 파형 정형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처리 등을 수행한다.
프로세서(422)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노이즈를 저감하고, 감마 보정(Gamma Correction), 색필터 배열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매트릭스(color matrix), 색 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등의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를 하여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압축 처리하여 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으며, 영상 파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영상의 압축형식은 가역 형식 또는 비가역 형식을 포함한다. 압축된 데이터는 저장부(412)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422)에서는 기능적으로 색채 처리, 블러(Blur) 처리, 엣지 강조 처리, 영상 해석 처리, 영상 인식 처리, 영상 이펙트 처리 등도 행할 수 있다. 영상 인식 처리로 얼굴 인식, 장면 인식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휘도 레벨 조정, 색 보정, 콘트라스트 조정, 윤곽 강조 조정, 화면 분할 처리, 캐릭터 영상 등 생성 및 영상의 합성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422)는 저장부(412)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별도의 모듈을 구비하여, 오토 포커싱, 줌 변경, 초점 변경, 자동 노출 보정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렌즈부 구동부(416), 조리개 구동부(418), 및 촬상 소자 제어부(420)에 제공하고, 셔터, 플래시 등 정보 송신 기기(120)에 구비된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422)는 외부 기기 링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통신부(413)에서 고유의 액세스 포인트를 설정(또는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액세스 포인트에 정보 수신 기기(110)와 같은 외부 기기가 연결된 후, 프로세서(422)는 저장부(412)에 저장된 정보에 대한 요약 정보를 정보 수신 기기(110)로 전송한다. 프로세서(422)는 정보 수신 기기(110)로부터 요약 정보에 기초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저장부(412)에 저장된 정보중 전송할 정보를 찾아 통신부(413)를 통해 정보 수신 기기(110)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외부 기기 링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서 프로세서(422)는 후술할 도 9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411)에 정보를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수신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2의 프로세서(240)는 도 5에 도시된 동작 흐름도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프로세서(240)는 유저의 요청에 따라 외부 기기 링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S501), 유저에게 정보 입력을 요구하지 않고 통신부(220)를 통해 외부 기기인 정보 송신 기기(120)와 자동적으로 연결되도록 제어한다(S502). 정보 송신 기기(120)와의 연결은 정보 송신 기기(120)에서 설정된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정보 송신 기기(120)에서 설정된 액세스 포인트에 자동적으로 연결되기 위하여 프로세서(240)에서 실행되는 외부 기기 링크 애플리케이션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정보 송신 기기(120)에서 설정될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도록 제작된다. 필요한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의 SSID, 통신 채널 정보, 및 인증 정보(또는 암호 정보)를 포함한다. 즉, 정보 송신 기기(120)에서 설정된 액세스 포인트의 SSID, 통신 채널 정보 및 인증 정보와 프로세서(240)에서 실행되는 외부 기기 링크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액세스 포인트의 SSID, 통신 채널 정보 및 인증 정보가 일치하면, 정보 수신 기기(110)는 정보 송신 기기(120)와 연결된다.
만약 정보 송신 기기(120)에서 액세스 포인트를 설정하지 않은 경우에, 프로세서(240)는 정보 송신 기기(120)에서 액세스 포인트를 설정할 때까지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하는 과정을 계속 수행하고, 정보 송신 기기(120)에서 액세스 포인트가 설정되어 연결을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자동적으로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된다. 이러한 경우에, 사전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정보 송신 기기(120)로부터 액세스 포인트 설정에 따른 연결을 위한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프로세서(240)는 외부 기기 링크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중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부 기기 링크 애플리케이션 실행이 중단될 경우에, 프로세서(240)는 그와 관련된 메시지를 출력부(212)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사전에 설정된 시간 정보는 저장부(230)에 저장된 자원에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정보 송신 기기(120)에 자동으로 연결되고, 정보 송신 기기(120)로부터 정보 송신 기기(120)에 저장된 정보에 대한 요약 정보를 수신한다(S503). 프로세서(240)는 수신된 요약 정보를 출력부(212)에 디스플레이 한다(S504). 프로세서(240)는 출력부(212)에 디스플레이 되는 요약 정보에 기초하여 공유를 원하는 정보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한다. 프로세서(240)는 수신된 선택 신호에 따라 선택된 요약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정보 요청 신호를 외부 기기인 정보 송신 기기(120)로 전송한다(S506). 이 때 정보 요청 신호는 선택된 요약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정보 요청에 따른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저장부(230)에 저장한다(S508, S509). 수신되는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요약 정보의 원본 데이터로 언급될 수 있다. 상기 저장은 복사(copy)로 언급될 수 있다.
단계 S505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요약 정보에 기초한 선택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프로세서(240)는 외부 기기 링크 애플리케이션 동작을 종료할 것인지를 확인하고(S506), 동작 종료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 외부 기기 링크 애플리케이션 동작을 종료한다. 그러나, 동작 종료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 프로세서(240)는 디스플레이 되는 요약 정보에 기초한 선택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체크하는 단계로 리턴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송신 방법의 동작 흐름도로서, 정보 수신 기기(110)의 프로세서(240)가 도 5의 동작 흐름도와 같이 동작할 때, 정보 송신 기기(120)의 프로세서(422)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프로세서(422)는 정보 송신 기기(120)의 유저의 요청에 의해 정보 송신 기기(120)에서 외부 기기 링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601), 프로세서(422)는 통신부(413)를 제어하여 고유의 액세스 포인트를 설정한다(S602). 고유의 액세스 포인트는 기존의 스마트 폰에서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 설정과 같이 사전에 설정된 액세스 포인트의 SSID, 통신 채널, 및 인증 정보를 갖도록 설정된다.
설정된 액세스 포인트에 외부 기기가 연결된 후(S603), 프로세서(422)는 저장부(412)에 저장된 요약 정보를 통신부(413)를 통해 외부 기기인 정보 수신 기기(110)로 전송한다(S605). 프로세서(422)는 전송된 요약 정보에 기초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S606), 저장부(412)에 저장된 정보중 정보 요청 신호에 따른 정보를 찾는다(S608). 이 때 정보 요청 신호에 따른 정보를 찾는 것은 정보 요청 신호에 따라 정보를 선택하는 것으로 언급될 수 있다. 프로세서(422)는 찾은 정보를 통신부(413)를 통해 외부 기기인 정보 수신 기기(110)로 전송한다(S609).
한편, 단계 S603에서 외부 기기인 정보 수신 기기(110)와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프로세서(422)는 외부 기기 링크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종료가 요청되었는지 확인한다(S604). 확인 결과, 실행 종료가 요청되지 않았으면, 프로세서(422)는 외부 기기인 정보 수신 기기(110)가 연결될 때까지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정보 수신 기기(110)가 연결되지 않는 경우는 정보 수신 기기(110)에서 외부 기기 링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한다. 프로세서(422)는 사전에 설정된 시간 동안 외부 기기와 연결되지 않으면, 외부 기기 링크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자동으로 종료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전에 설정된 시간 정보는 저장부(412)에 저장된 자원에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422)는 디스플레이부(411)로 외부 기기가 연결되지 않음에 따라 외부 기기 링크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되는 상황에 대한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606에서 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프로세서(422)는 외부 기기 링크 애플리케이션 실행 종료가 요청되었는지 확인한다(S607). 만약 외부 기기 링크 애플리케이션 실행 종료가 요청되지 않았으면, 프로세서(422)는 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외부 기기 링크 애플리케이션 실행 종료가 요청된 것으로 판단되면, 프로세서(422)는 외부 링크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종료한다.
도 7은 도 5 및 도 6의 동작 흐름도에 기초한 정보 수신 기기(110)와 정보 송신 기기(120)간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수신 방법을 수행할 때, 정보 수신 기기(110)의 출력부(212)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 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송신 방법을 수행할 때 정보 송신 기기(120)의 출력부(411)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 예이다.
도 8a, 도 8b 및 도 9를 참조하여 도 7에 도시된 정보 수신 기기(110)와 정보 송신 기기(112)간의 동작 흐름도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정보 수신 기기(110)의 출력부(212)상에 도 8a의 (810)과 같은 홈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고, 유저에 의한 외부 기기 링크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에 따라 프로세서(240)는 도 8a의 (820)과 같이 "외부 기기와 연결중"이라는 메시지를 출력부(212)로 출력하면서 외부 기기 링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701). 정보 수신 기기(110)의 출력부(212)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홈 화면은 도 8a의 (810)로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정보 송신 기기(120)의 디스플레이부(411)에 도 9의 (910)과 같은 메뉴 화면이 디스플레이 된 후, 프로세서(422)는 유저에 의한 외부 기기 링크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따라 외부 기기 링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서(S702) 도 6의 단계 S602에서와 같이 고유의 액세스 포인트를 설정한다(S703). 정보 송신 기기(120)의 경우에 (910)화면에서 링크 아이콘(911)이 선택되면, 외부 기기 링크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요청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정보 송신 기기(120)에서 고유의 액세스 포인트가 설정된 후, 프로세서(422)는 액세스 포인트와 정보 수신 기기(110)의 연결을 위한 신호를 통신부(413)를 통해 출력한다(S704). 이 때 출력되는 신호는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될 수 있다. 프로세서(422)는 정보 송신 기기(120)의 디스플레이부(411)에 (92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시지로 정보 송신 기기(120)의 현재 동작 상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정보 수신 기기(110)가 외부 기기 링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중이므로, 정보 송신 기기(120)로부터 연결을 위한 신호가 수신된 후, 정보 수신 기기(110)는 이에 대한 응답 신호를 정보 송신 기기(120)로 전송하면서 정보 송신 기기(120)와 연결된다(S705). 이에 따라 정보 송신 기기(120)의 디스플레이부(411)의 화면은 (930)과 같이 변경되면서 성공적으로 연결되었으며 정보 공유가 가능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출력되거나 디스플레이부(411)의 화면은 (932)와 같이 변경되면서 성공적으로 연결되었으며 정보 공유가 가능한 상태이고, 현재 연결된 기기은 어떤 기기인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정보 송신 기기(120)는 성공적으로 정보 수신 기기(110)와 연결된 후, 저장부(412)에 저장된 요약 정보를 정보 수신 기기(110)로 전송한다(S706). 이에 따라 정보 수신 기기(110)의 출력부(212)상에 도 8의 (830)과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S707). 도 8a의 (830)는 요약 정보가 썸네일 정보로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 예이다. 도 8a의 (831) 영역에 외부 기기와 연결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출력부(212)에 도 8a의 (830)과 같이 디스플레이 되는 요약 정보에 기초하여 공유를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고(S708), 출력부(212)에 디스플레이 되는 요약 정보 화면에 선택된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즉, 도 8a의 (840)에 도시된 화면과 같이 선택된 개수 정보를 (841)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선택된 요약 정보를 마킹한다. 다음 추가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도 8b의 (850)에 도시된 화면과 같이 변경된 선택된 개수 정보를 (851)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선택된 요약 정보를 마킹한다. 선택이 완료되어 전송을 요구하는 메뉴 항목(852)가 제어된 후, 프로세서(240)는 선택된 요약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된 요약 정보에 대응되는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정보 송신 기기(120)로 전송한다(S709).
이에 따라 정보 송신 기기(120)의 프로세서(422)는 저장부(412)에서 수신된 정보 요청 신호에 대응되는 정보를 찾는다(S710). 정보를 찾으면, 프로세서(422)는 통신부(413)를 통해 정보 수신 기기(110)로 찾은 정보를 전송한다(S711). 이에 따라 정보 수신 기기(110)는 수신된 정보를 저장부(230)에 저장한다. 이 때, 정보 수신 기기(110)의 출력부(212)에 도 8b의 (860)과 같은 화면 정보가 출력되어 현재 수신 상태를 나타내고, 수신된 정보에 대한 저장이 완료되면, 출력부(212)를 통해 도 8b의 (870) 화면을 출력하여 저장이 완료되었음을 유저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0 내지 도 12는 도 7의 동작 흐름도에서 정보 수신 기기(110)의 기능을 추가한 실시 예들이다.
즉, 도 10은 도 7의 동작 흐름도와 같이 동작하여 공유 정보가 저장된 후, 저장된 정보와 정보 송신 기기(120)에 대한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기능이 추가된 예이다. 따라서, 도 10의 단계 S1001 내지 단계 S1012는 도 7의 단계 S701 내지 단계 S712와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정보 수신 기기(110)는 수신된 공유 정보에 대한 저장이 완료된 후, 단계 S1013에서 저장된 정보와 정보 송신 기기(120)에 대한 식별 정보를 도 8의 (880)화면과 같이 출력부(212)에 디스플레이 한다. 이에 따라 유저는 공유한 정보와 정보를 공유한 기기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11은 정보 수신 기기(110)에서 수신된 정보에 대한 저장이 완료된 후, 재생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저장된 공유 정보를 재생하는 기능이 도 7에 도시된 흐름도에 추가된 예이다. 따라서, 도 11의 단계 S1101 내지 단계 S1112는 도 7의 단계 S701 내지 단계 S712와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정보 수신 기기(110)는 수신된 공유 정보에 대한 저장이 완료된 후, 프로세서(240)는 재생 요청을 수신하고(S1113), 저장부(230)에 저장된 공유 정보를 재생한다(S1114). 공유 정보 재생은 도 8의 (870) 화면에 연결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공유 정보를 재생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동되거나 상술한 바와 같이 정보 수신 기기(110)가 멀티 태스크가 가능한 경우에 공유 정보를 재생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추가로 실행하여 저장부(230)에 저장된 공유 정보를 재생할 수 있다. 정보 수신 기기(110)가 멀티 태스크가 가능한 경우에 저장부(230)에 저장된 공유 정보를 재생하면서, 공유할 정보에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공유 정보를 재생하는 화면과 공유할 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분할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2는 정보 수신 기기(110)에서 수신된 정보에 대한 저장이 완료된 후, 공유된 정보와 공유되지 않는 정보 송신 기기(120)에 저장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요약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기능이 도 7의 동작 흐름도에 추가된 예이다. 따라서, 도 12의 단계 S1201 내지 단계 S1212는 도 7의 단계 S701 내지 단계 S712와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정보 수신 기기(110)는 수신된 공유 정보에 대한 저장이 완료된 후, 단계 S1212에서 프로세서(240)는 공유되어 저장된 정보와 정보 송신 기기(120)에 저장된 공유되지 않은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요약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 이 때 디스플레이 되는 요약 정보 화면은 도 8의 (895) 화면과 같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도 8의 (895) 화면에서 공유된 정보는 마킹(896)되어 있고, 공유되지 않는 정보는 마킹되지 않아 유저는 정보 송신 기기(120)에 저장된 정보중에서 공유된 정보와 공유되지 않은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공유된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마킹 정보는 도 8의 (895)에 도시된 바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도 13은 정보 수신 기기(110)와 정보 송신 기기(120)간에 연결된 후, 정보 수신 기기(110)의 요약 정보 요청에 따라 정보 송신기기(120)가 요약 정보를 정보 수신 기기(110)로 전송하는 기능이 도 7의 동작 흐름도에 추가된 실시 예이다. 따라서, 도 13의 단계 S1301 내지 단계 S1305, 단계 S1307 내지 단계 S 1314는 도 7의 단계 S701 내지 단계 S712와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정보 수신 기기(110)와 정보 송신 기기(120)가 연결된 후, 도 13의 단계 S1306에서 정보 송신 기기(120)가 정보 수신 기기(110)로부터 요약 정보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저장부(412)에 저장된 요약 정보를 읽어 통신부(413)를 통해 정보 수신 기기(110)로 전송한다(S1307, S1308). 이에 따라 정보 수신 기기(110)는 도 8의 (830)과 같은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한편, 도 8은 (820) 화면에서 홈 버튼 또는 백 버튼이 제어된 후, 프로세서(240)는 외부 기기 링크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중단하고 홈 화면(810)으로 리턴되고, (830) 화면에서 홈 버튼 또는 백 버튼이 제어된 후 프로세서(240)는 외부 기기 링크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종료할 것인지를 묻는 화면(890)을 디스플레이하고, 종료를 원하는 신호가 수신된 후, 홈 화면(810)으로 리턴되는 예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840), (850), (860), (870), (880), (895) 화면에서 홈 버튼 또는 백 버튼이 제어된 후, 프로세서(240)는 홈 화면(810)으로 리턴되거나 종료를 원하는지를 묻는 화면(890)을 경유하여 홈 화면(810)으로 리턴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7은 도 7의 동작 흐름도에서 정보 송신 기기(120)측의 기능을 추가 또는 변경한 실시 예들이다.
즉, 도 14는 정보 수신 기기(110)와 정보 송신 기기(120)가 연결된 후, 단계 S1406에서 정보 송신 기기(120)의 디스플레이부(411)상에 연결 상태 정보와 연결된 기기에 대한 식별 정보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 하는 기능이 추가된 예이다. 즉, 도 9에 도시된 (930)화면 또는 (932)화면과 같이 연결 상태를 디스플레이 하거나 도 9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연결된 정보 수신 기기(110)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만을 디스플레이 한다.
도 15는 연결 요청시 연결 승인 여부 결정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연결을 승인하는 정보를 입력부를 통해 수신하고, 연결 상태 정보와 연결된 기기에 대한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기능을 도 14의 정보 송신 기기(120)의 동작 흐름도에 추가한 실시 예이다.
도 18은 도 14 내지 도 17의 동작 흐름도에 따라 정보 송신 기기(120)의 디스플레이부(411)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의 예들이다. 도 15의 단계 S1506에서 도 18의 (1830)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411)에 연결된 정보 수신 기기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면서 연결 승인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
디스플레이 되는 연결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부(410)를 통해 연결을 승인하는 명령을 수신한 후, 프로세서(422)는 (1850)화면을 디스플레이부(411)에 디스플레이 한다. 그러나 연결 승인을 거부하는 명령이 수신된 후, 프로세서(422)는 도 18의 (1840)화면을 디스플레이부(411)에 디스플레이 한다.
도 16은 선택된 정보를 전송할 때,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기능이 도 15에 도시된 정보 송신 기기의 동작 흐름도에 추가된 실시 예이다. 즉, 단계 S1614에서 정보 전송에 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정보를 디스플레이부(411)에 디스플레이 한다. 즉, 프로세서(422)는 정보 전송에 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정보를 도 18의 (1860)화면과 같이 디스플레이 한다. 정보 전송을 승인하는 명령을 수신한 후(S1615), 프로세서(422)는 정상적으로 정보를 전송하면서 도 18의 (1850)과 같은 화면을 디스플레이부(41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러나 정보 전송이 거부되는 명령을 수신한 후, 프로세서(422)는 도 18의 (1870)과 같은 화면을 디스플레이부(41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7은 도 16에서의 정보 송신 기기(120)의 동작 흐름도에 정보가 공유된 정보와 정보를 공유한 정보 수신 기기(110)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이 추가된 실시 예이다. 즉, 프로세서(411)는 정보 전송을 완료한 후, 도 17의 단계 S1719에서의 디스플레이부(411)를 제어하여 도 18의 (1880), (1890)과 같이 전송된 정보와 정보가 전송된 기기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9에 도시된 (940) 및 (950) 화면은 도 18의 (1880) 및 (1890)과 같은 화면으로서, 도 9의 경우에 공유 정보 전송이 완료된 후, 공유된 정보에 따라 (940) 또는 (950)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940)과 (1880) 화면은 정보 수신 기기(110)인 스마트 폰(Android 123456789)에서 1장의 사진을 요청한 경우이고, (950)과 (1890) 화면은 정보 수신 기기(110)인 스마트 폰(Android 12345678)에서 여러 장의 사진을 요청한 경우이다.
상술한 도 13 내지 도 17의 동작 흐름도에서 정보 수신 기기(110)의 동작 흐름도는 도 10 또는 도 11 또는 도 12의 동작 흐름도에서의 정보 수신 기기(110)의 동작 흐름도로 변형될 수 있다. 도 7, 도 10 내지 도 13의 동작 흐름도에서 정보 송신 기기(120)의 동작 흐름도는 도 14 또는 도 15 또는 도 16 또는 도 17의 동작 흐름도에서의 정보 송신 기기(120)의 동작 흐름도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도 14 내지 도 17의 동작 흐름도는 도 13과 같이 정보 수신 기기(110)가 요약 정보를 요청한 후, 정보 송신 기기(120)에서 요약 정보를 정보 수신 기기(110)로 전송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연결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기능에 관련된 기술적 특징이 제외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정보 송수신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써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저장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써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기기에서 외부 기기 링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외부 기기에 자동으로 연결되는 단계;
    상기 외부 기기에 저장된 정보에 대한 요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요약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되는 요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기기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대한 요청 신호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요청 신호에 따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수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에 자동으로 연결되는 단계는 상기 외부 기기에 의해 설정된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하여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신 방법은,
    상기 수신된 정보의 저장이 완료되고, 상기 저장된 정보와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한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 수신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신 방법은,
    상기 수신된 정보의 저장이 완료되고, 상기 외부 기기에 저장된 정보중에서 상기 저장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요약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 수신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신호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되는 요약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요약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수신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정보 수신 방법은,
    상기 수신된 정보의 저장이 완료된 후, 상기 저장된 정보에 대한 재생 요청 신호가 수신되고, 상기 저장된 정보를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 수신 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요약 정보는 상기 외부 기기에 저장된 정보의 메타 데이터, 썸네일 정보, 식별 정보, 및 데이터베이스 정보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는 디지털 촬영 장치이고, 상기 외부 기기에 저장된 정보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에 의해 획득된 컨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요약 정보는 상기 획득된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 썸네일 정보, 식별 정보, 및 데이터베이스 정보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9. 기기에서 외부 기기 링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고유의 액세스 포인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액세스 포인트에 외부 기기가 연결된 후, 상기 기기에 저장된 정보의 요약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요약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 요청 신호에 따른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송신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요약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기기에 상기 외부 기기가 연결된 후, 상기 기기와 상기 외부 기기의 연결 상태 정보와 상기 연결된 외부 기기에 대한 식별 정보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송신 방법.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요약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한 식별 정보와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한 연결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한 연결을 승인하고, 상기 요약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송신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정보 요청 신호에 따른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 요청 신호에 따른 정보 전송에 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 전송에 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전송이 승인되면, 상기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송신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정보 요청 신호에 따른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 요청 신호에 따른 정보 전송에 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 전송에 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전송이 승인되면, 상기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송신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송신 방법은,
    상기 수신된 정보 요청 신호에 따른 정보가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되고, 상기 전송된 정보와 상기 전송된 정보의 요약 정보중 하나의 정보와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한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 송신 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는 디지털 촬영 장치이고, 상기 기기에 저장된 정보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에 의해 획득된 컨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요약 정보는 상기 획득된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 썸네일 정보, 식별 정보, 및 데이터베이스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16. 유저와 상호 작용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부;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 및
    외부 기기 링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외부 기기와 자동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연결된 외부 기기에 저장된 정보에 대한 요약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요약 정보를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요약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정보 수신 기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기기에 의해 설정된 액세스 포인트에 자동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기기.
  18.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정보 입력부;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정보 출력부:
    적어도 하나의 요약 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약 정보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 및
    상기 외부 기기 링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액세스 포인트를 설정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설정된 액세스 포인트에 상기 외부 기기가 연결된 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요약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요약 정보에 기초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 요청 신호에 따른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정보 송신 기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외부 기기와의 연결에 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정보를 상기 출력부로 출력하는 기능과 상기 요약 정보에 기초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 요청 신호에 따른 정보 전송에 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정보를 상기 출력부로 출력하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히는 정보 송신 기기.
  20.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송신 기기는 디지털 촬영 장치이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에 의해 획득된 컨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요약 정보는 상기 획득된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 썸네일 정보, 식별 정보, 및 데이터베이스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기기.
KR1020110141733A 2011-12-23 2011-12-23 정보 송수신 방법 및 기기 KR2013007373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733A KR20130073733A (ko) 2011-12-23 2011-12-23 정보 송수신 방법 및 기기
US13/559,933 US20130163513A1 (en) 2011-12-23 2012-07-27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EP12195547.0A EP2608485A1 (en) 2011-12-23 2012-12-04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CN2012105678093A CN103281802A (zh) 2011-12-23 2012-12-24 用于发送和接收信息的方法和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733A KR20130073733A (ko) 2011-12-23 2011-12-23 정보 송수신 방법 및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3733A true KR20130073733A (ko) 2013-07-03

Family

ID=47559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1733A KR20130073733A (ko) 2011-12-23 2011-12-23 정보 송수신 방법 및 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30163513A1 (ko)
EP (1) EP2608485A1 (ko)
KR (1) KR20130073733A (ko)
CN (1) CN10328180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27573B2 (en) * 2014-10-10 2018-07-1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Centralized radio access network virtualization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2730A (ja) * 2000-03-30 2001-10-12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サーバ接続方法、プログラム格納媒体及びネットワーク接続システム
US20040044776A1 (en) * 2002-03-22 2004-03-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eer to peer file sharing system using common protocols
US7673066B2 (en) * 2003-11-07 2010-03-02 Sony Corporation File transfer protocol for mobile computer
US20060170956A1 (en) * 2005-01-31 2006-08-03 Jung Edward K Shared image devices
KR100690619B1 (ko) * 2005-04-18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DTVLink 방식의 프레임 데이터 전송 방법
US7712670B2 (en) * 2005-09-28 2010-05-11 Sauerwein Jr James T Data collection device and network having radio signal responsive mode switching
WO2007081618A2 (en) * 2005-12-02 2007-07-19 Sennari Entertainment Wireless application connection auto-detection mechanism
KR20080084481A (ko) * 2007-03-16 2008-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간의 콘텐츠 전송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1534318A (zh) * 2008-03-12 2009-09-16 同方股份有限公司 基于移动通信网和互联网终端图片共享装置及其使用方法
JP5171392B2 (ja) * 2008-05-27 2013-03-2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情報保有装置、および管理装置
CN201540690U (zh) * 2009-11-30 2010-08-04 天津三星电子有限公司 一种内置WiFi模块的太阳能数码相框
US8532074B2 (en) * 2010-07-29 2013-09-10 Microsoft Corporation Energy-efficient on-the-fly Wi-Fi hotspot using mobile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81802A (zh) 2013-09-04
US20130163513A1 (en) 2013-06-27
EP2608485A1 (en) 201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3839B2 (en) Context and content based automated image and media sharing
KR102449670B1 (ko)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및 서버
CN105282430B (zh) 使用照片的构图信息的电子装置及使用该装置的拍摄方法
KR20180092621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TW201403544A (zh) 在行動裝置中到影像相關應用程式的進入點
KR2017002983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5306859A (zh) 信息处理装置和信息处理方法
US11647132B2 (en) Communication terminal,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and storage medium
CN107637063B (zh) 用于基于用户的手势控制功能的方法和拍摄装置
CN109618192B (zh) 播放视频的方法、装置、系统和存储介质
KR2016012760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993624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questing data,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data
KR102641738B1 (ko) 영상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22042769A2 (zh) 多屏交互的系统、方法、装置和介质
US971248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questing and transferring contents
CN112533065A (zh) 发布视频的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20140320675A1 (en) Camera Capable of Connecting to Mobile Devices, and Operational Methods Thereof
US20120188384A1 (en) Recording apparatus
WO2022088926A1 (zh) 一种拍摄方法和终端设备
KR20130073733A (ko) 정보 송수신 방법 및 기기
KR102172588B1 (ko) 전시관 관람객을 위한 동영상 앨범 제작 방법 및 시스템
WO2016088477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605803B1 (ko) 휴대용단말을 이용한 멀티분할 촬영 장치 및 방법
US11523061B2 (en) Imaging apparatus, image shooting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performing control to display a pattern image corresponding to a guideline
US11470238B2 (en) Team photographing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