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3092A - 리프트장치 - Google Patents

리프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3092A
KR20130073092A KR1020110140756A KR20110140756A KR20130073092A KR 20130073092 A KR20130073092 A KR 20130073092A KR 1020110140756 A KR1020110140756 A KR 1020110140756A KR 20110140756 A KR20110140756 A KR 20110140756A KR 20130073092 A KR20130073092 A KR 20130073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ain body
lift
piston
co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0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황열
손재섭
허휴만
강정도
한귀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포스코신기술연구조합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주)포스코켐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포스코신기술연구조합,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주)포스코켐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140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3092A/ko
Publication of KR20130073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30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B66F3/25Constructional features
    • B66F3/26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pistons
    • B66F3/28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pistons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B66F3/25Constructional features
    • B66F3/36Load-engag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장치는, 다단으로 절첩 가능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각 단을 승강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본체의 높이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는, 베이스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 상에 설치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부재를 가진 절첩부;를 구비하되, 상기 절첩부는 상기 관부재가 복수 개인 경우, 텔레스코픽 타입으로 상하 신축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단으로 절첩 가능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각 단을 승강시키는 구동수단 및 상기 본체를 위치고정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함으로써, 전로 내에서 본체의 높이가 제어되면서 아울러 지지수단에 의해 안정적으로 위치고정됨에 따라, 전로 내에 내화물을 신속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축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프트장치{Lifter}
본 발명은 리프트장치로서, 작업공간을 자동으로 올릴 수 있도록 구성되는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라 전로 내에 내화물을 축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로(1)에 내화물(7)을 축조하기 위해 전로(1)의 상부에 내화물 축조용 장치를 설치하고, 이 내화물 축조용 장치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전로(1)의 내화물(7)을 운반한 후, 작업자가 내화물(7)을 수작업으로 전로(1)의 내부에 축조하는 공정이 진행된다.
전로(1)의 내부에 내화물(7) 및 작업데크(4)를 이송하기 위한 내화물 축조용 장치는, 천장 크레인에 연결된 축조용 호이스트장치(2)가 활용된다.
상기 축조용 호이스트장치(2)는 천장크레인(미도시)에 연결된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설치된 데크 호이스트(3)와 내화물 호이스트(6)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데크 호이스트(3)는 하부에 작업데크(4)가 설치되어 작업자(5)가 작업데크(4) 상에서 직접 축조작업을 하는데, 이때 작업데크(4)는 전로(1)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올라가면서 전로(1) 내의 벽체부분에 대해 내화물 축조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아울러, 내화물 호이스트(6)는 전로(1) 상부의 개구부(1a)를 통해 내화물(7)을 인입시켜 하강하여 작업데크(4)로 이송시키는 작업시 이용된다.
상기와 같은 축조용 호이스트장치(2)를 이용하여 내화물 축조작업 시 내화물(7) 교체 및 보강공사에 소요되는 시간이 너무 길며 이로 인하여 생산적인 측면에서 비효율적인 한계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작업공간을 안정적이면서도 자동으로 올릴 수 있도록 구성되는 리프트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장치는, 다단으로 절첩 가능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각 단을 승강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대상물의 높이에 따른 작업을 위해 상기 구동수단이 작동되어 상기 본체의 높이가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는, 베이스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 상에 설치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부재를 가진 절첩부;를 구비하되, 상기 절첩부는 상기 관부재가 복수 개인 경우, 텔레스코픽 타입으로 상하 신축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베이스부재 또는 상기 절첩부의 관부재에 상방 설치된 리프트실린더; 및 상기 리프트실린더에 상하이동되도록 설치되며 상단부가 상측의 관부재에 연결고정된 리프트피스톤;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둘레의 물체를 압박하여 상기 본체를 위치고정시키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되 측방향으로 신축되는 지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관부재에 설치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동되게 장착되며, 상기 지지부재와 연결된 지지피스톤을 가진 지지실린더;를 구비하되, 상기 지지피스톤의 신장시 상기 지지부재가 회동되어 상기 관부재에 대해 방사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각각 회동되게 연결된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 및 상기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의 타단부를 회동되게 연결하면서 연장된 제3 지지대;를 구비하되, 상기 지지피스톤이 상기 제1 지지대 또는 제2 지지대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피스톤의 신장시 상기 제1 지지대 및 제2 지지대가 회동됨에 따라, 상기 제3 지지대가 회동되어 상기 관부재에 대해 방사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대상물은 전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장치는, 다단으로 절첩 가능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각 단을 승강시키는 구동수단 및 상기 본체를 위치고정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함으로써, 전로 내에서 본체의 높이가 제어되면서 아울러 지지수단에 의해 안정적으로 위치고정됨에 따라, 전로 내에 내화물을 신속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축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라 전로 내에 내화물을 축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장치가 절첩된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도 2의 리프트장치에서 구동수단이 작동되어 본체가 상방 신장된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 4 내지 도 13은 도 2의 리프트장치에서 본체가 점차적으로 상방 신장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리프트장치는 작업공간이 안정적이면서도 자동으로 올라가도록 구성되는 장치로서, 대표적인 예로서 전로 내에 내화물을 축조하는 과정에서 신속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축조작업을 이루기 위해, 전로 내에 안착된 상태로 내화물 축조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본체는, 일례로서 전로 내에 안착된 상태로 구동수단에 의해 상승하면서 전로 내에 내화물을 축조하기 위한 내화물 축조 작업대이다.
이에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리프트장치가, 일례로서 전로의 내화물 축조작업 중에 활용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본체의 상부에 내화물 축조가 이루어지는 축조작업공간이 마련되는데, 상기 축조작업공간이 전로 내에서 아래로부터 상측으로 점점 올라갈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높이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더욱 구체적으로 전로 내부의 내화물 축조 중에서도 전로의 벽체부분에 대한 내화물 축조시에 활용될 수 있다. 즉, 전로 내부의 바닥부분에 대한 내화물 축조작업이 완료된 후, 본 발명의 리프트장치를 인입시켜 전로의 벽체부분의 하부부터 상부에 이르기까지 축조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장치가 절첩된 상태를 나타낸 도이고, 도 3은 도 2의 리프트장치에서 구동수단이 작동되어 본체가 상방 신장된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다단으로 절첩 가능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각 단을 승강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본체는 절첩 가능한 구조, 즉 서로 겹침 가능한 구조로서 다단의 형상을 취하며, 구체적으로 베이스부재(120)와, 상기 베이스부재(120) 상에 설치된 절첩부(140)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베이스부재(120)는 전로(1) 내에 안착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베이스부재(120)는 전로(1) 내부의 바닥부분에 축조된 내화물 상에 안착된다.
상기 절첩부(140)는 상부에 축조작업을 위한 작업공간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 상부에 작업테이블(10)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절첩부(1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부재(142)를 가지는데, 이때의 관부재(142)는 복수 개가 서로 겹침이 가능한 구조를 지니는 부재로서, 그 단면의 외형은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형상도 취할 수 있다.
이러한 관부재(142)는 바람직하게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관부재(142)의 연결구조는 텔레스코픽 타입으로서 전체적으로 상하 신축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텔레스코픽 타입이란 일부분을 겹치게 해서 늘이거나 줄이거나, 즉 빼거나 넣거나 하여 전체적인 길이를 신장 또는 수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지칭하며, 대표적인 예로서 망원경에서 이러한 구조가 많이 활용된다.
이와 같이 텔레스코픽 타입으로 형성된 절첩부(140)는, 복수 개의 관부재(142)가 서로 다른 직경을 지님에 따라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관부재(142)가 직경이 큰 관부재(142)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으며, 아울러 일정 방향으로 직경이 작아지거나 커지는 배열을 이루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일례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관부재(142)가 상측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배열을 취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베이스부재(120) 또는 상기 절첩부(140)의 관부재(142)에 설치된 리프트실린더(220)와, 상기 리프트실린더(220)에 장착된 리프트피스톤(240)을 구비한다.
상기 리프트실린더(220)는 베이스부재(120) 또는 절첩부(140)의 관부재(142)에 상측으로 배치구조를 이루어 설치되는데, 바람직하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120)와 관부재(142)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베이스부재(120)에 설치된 리프트실린더(220)는 높은 중량을 지지할 수 있도록 파워실린더가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리프트실린더(220)는 더욱 바람직하게 베이스부재(120)와 관부재(142)에 테두리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네 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단의 리프트실린더(220)는 서로에 대해 엇갈린 배치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배치구조는 서로 균일한 하중을 받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승강구조를 이루게 한다.
아울러, 상기 리프트피스톤(240)은 리프트실린더(220)에 상하이동되도록 설치되며, 상단부가 상측의 관부재(142)에 연결고정된다.
즉, 리프트실린더(220)가 베이스부재(120)에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리프트실린더(220)의 리프트피스톤(240)은 이어지는 상측 단에 해당되는 관부재(142)에 연결고정되고, 리프트실린더(220)가 관부재(142)에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리프트실린더(220)의 리프트피스톤(240)은 이어지는 상측 단에 해당되는 관부재(142)에 연결고정될 수 있다.
이때, 구체적인 일례로서 리프트실린더(220)는 하단부가 베이스부재(120)의 상면 또는 관부재(142)의 측면에 장착고정되고, 리프트피스톤(240)은 상단부가 이어지는 상측 단에 해당되는 관부재(142)의 측면에 장착고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리프트실린더(220)는 관부재(142)의 둘레를 따라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고, 나아가 관부재(142)의 둘레를 따라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일례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관부재(142)가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배열된 경우에는, 관부재(142)에 한 번 겹친 다음의 관부재(142)에서는 리프트피스톤(240)을 구비하는 리프트실린더(220)가, 설비간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리프트실린더(220)와 리프트피스톤(240)을 구비하는 구동수단은, 이어지는 상측 단에 해당되는 관부재(142)를 밀어올리거나 내림에 따라 전체적으로 본체의 높이가 높아지거나 낮아질 수 있다.
이에 의해, 바람직하게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는 축조작업공간이 전로(1) 내에서 아래로부터 상측으로 점점 올라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로(1) 내에서 신속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내화물을 축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승강되는 본체를 안정적으로 위치고정시킬 수 있도록 지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수단은 본체에 설치되되 측방향으로 신축되도록 구성되며, 신장시 축조된 내화물을 밀면서 압박함에 따라 본체를 안정적으로 위치고정시킨다.
즉, 본체는 구동수단이 단계적으로 신장되어 절첩부(140)가 상측으로 점차적으로 올라감에 따라, 무게중심도 높아지게 되어 점차적으로 횡방향 충격에 대해 안정적이지 않는 구조를 취하게 되기 때문에, 본 발명은 상기 지지수단을 더 포함함으로써 본체를 보다 안정적으로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지지수단은 관부재(142)에 설치된 지지프레임(320), 상기 지지프레임(32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지지부재(340), 및 상기 지지부재(340)를 회동시키도록 지지프레임(320)에 장착된 지지실린더(360)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프레임(320)은 바람직하게 본체의 상부인 최상측 단에 해당되는 관부재(142)에 설치되며, 이러한 지지프레임(320)은 지지부재(340)와 지지실린더(360)가 견고하게 본체에 결합될 수 있는 형상구조 및 체결구조를 이루면 될 뿐,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340)는 지지프레임(32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지지실린더(360)는 상기 지지부재(340)와 연결된 지지피스톤을 구비한다.
아울러, 지지실린더(360)도 지지피스톤의 신축시 단부에 연결된 지지부재(340)가 회동되는 과정에서, 함께 회동가능하도록 지지프레임(320)에 회동되게 장착됨은 물론이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부재(340)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일단부가 지지프레임(320)에 각각 회동되게 연결된 제1 지지대(342)와 제2 지지대(344), 및 상기 제1 지지대(342)와 제2 지지대(344)의 타단부를 회동되게 연결하면서 연장된 제3 지지대(346)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피스톤이 제1 지지대(342) 또는 제2 지지대(344)에 연결되어, 지지피스톤의 신장시 제1 지지대(342) 및 제2 지지대(344)가 회동됨에 따라, 제3 지지대(346)가 회동되어 관부재(142)를 중심으로 방사방향으로 배치되게 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대(342)와 제2 지지대(344)가 지지프레임(320) 측으로 접힌 상태에서, 회동하여 펴지는 과정에서 제1 지지대(342)보다 길이가 짧은 제2 지지대(344)가 제3 지지대(346)를 당겨서, 제3 지지대(346)도 제1 지지대(342)와의 연결부위를 축으로 회동함으로써 외측으로 펴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관부재(142)의 중심으로부터 방사방향 내화물 측으로 회동이동된다.
이와 같은 지지수단을 통해, 지지피스톤의 신장시 지지부재(340)가 회동되어 관부재(142)에 대해 방사방향으로 배치됨에 따라 둘레의 내화물을 압박함으로써, 본체를 횡방향에 대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러면, 일례로서 본 발명의 리프트장치가 전로 내에서 작동되는 과정을, 도 4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전로 내에서 내화물 축조작업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리프트장치가 인입되어 안착배치된다. 물론, 리프트장치의 인입 전에 전로 바닥에 베이스프레임(미도시)과 같은 프레임이 인입되어 배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베이스프레임은 리프터가 안정적인 안착구조를 이루도록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이어서, 상부에 작업테이블이 설치될 수 있는 본체가 점차적으로 상측으로 신장되는데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베이스부재(120)에 설치된 리프트실린더(220)가 작동되어 리프트피스톤(240)이 상승함으로써, 본체의 절첩부(140)에서 1단에 해당되는 관부재(142)가 상승된다.
그런 다음, 안정적인 작업을 위해 횡방향 위치고정이 되도록 지지수단의 지지실린더(360)가 작동되어 지지피스톤이 신장됨으로써, 제1 지지대(342)를 회동시키고 이때 제1 지지대(342)에 제3 지지대(346)로 연결된 제2 지지대(344)도 회동되고, 제2 지지대(344)가 제1 지지대(342)보다 길이가 짧기 때문에 제3 지지대(346)는 제1 지지대(342)와의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관부재(142)의 중심에 대해 방사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3 지지대(346)가 전로(1) 내에 축조된 내화물을 압박함으로써, 본체는 측방향 흔들림없이 안정적이면서도 견고하게 위치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순서가 되풀이되면서 점차적으로 2단, 3단, 4단에 해당되는 관부재(142)가 상측으로 올라갈 수 있으며, 아울러 각 단의 상승 후 작업시에는 지지수단에 의해 안정적으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다단으로 절첩 가능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각 단을 승강시키는 구동수단 및 상기 본체를 위치고정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함으로써, 전로(1) 내에서 본체의 높이가 제어되면서 아울러 지지수단에 의해 안정적으로 위치고정됨에 따라, 전로(1) 내에 내화물을 신속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축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전로 10 : 작업테이블
120 : 베이스부재 140 : 절첩부
142 : 관부재 220 : 리프트실린더
240 : 리프트피스톤 320 : 지지프레임
340 : 지지부재 342 : 제1 지지대
344 : 제2 지지대 346 : 제3 지지대
360 : 지지실린더

Claims (7)

  1. 다단으로 절첩 가능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각 단을 승강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대상물의 높이에 따른 작업을 위해 상기 구동수단이 작동되어 상기 본체의 높이가 제어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베이스부재(120); 및 상기 베이스부재(120) 상에 설치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부재(142)를 가진 절첩부(140);를 구비하되,
    상기 절첩부(140)는 상기 관부재(142)가 복수 개인 경우, 텔레스코픽 타입으로 상하 신축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베이스부재(120) 또는 상기 절첩부(140)의 관부재(142)에 상방 설치된 리프트실린더(220); 및 상기 리프트실린더(220)에 상하이동되도록 설치되며 상단부가 상측의 관부재(142)에 연결고정된 리프트피스톤(240);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둘레의 물체를 압박하여 상기 본체를 위치고정시키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되 측방향으로 신축되는 지지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관부재(142)에 설치된 지지프레임(320); 상기 지지프레임(32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지지부재(340); 및 상기 지지프레임(320)에 회동되게 장착되며, 상기 지지부재(340)와 연결된 지지피스톤을 가진 지지실린더(360);를 구비하되,
    상기 지지피스톤의 신장시 상기 지지부재(340)가 회동되어 상기 관부재(142)를 중심으로 방사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340)는,
    일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320)에 각각 회동되게 연결된 제1 지지대(342); 상기 제1 지지대(342)와 이격되어 일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320)에 각각 회동되게 연결되되 상기 제1 지지대(342)보다 길이가 짧은 제2 지지대(344); 및 상기 제1 지지대(342)와 제2 지지대(344)의 타단부를 회동되게 연결하면서 연장된 제3 지지대(346);를 구비하되,
    상기 지지피스톤이 상기 제1 지지대(342) 또는 제2 지지대(344)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피스톤의 신장시 상기 제1 지지대(342) 및 제2 지지대(344)가 회동됨에 따라, 상기 제3 지지대(346)가 회동되어 상기 관부재(142)에 대해 방사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은 전로(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장치.
KR1020110140756A 2011-12-23 2011-12-23 리프트장치 KR201300730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756A KR20130073092A (ko) 2011-12-23 2011-12-23 리프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756A KR20130073092A (ko) 2011-12-23 2011-12-23 리프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3092A true KR20130073092A (ko) 2013-07-03

Family

ID=48987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0756A KR20130073092A (ko) 2011-12-23 2011-12-23 리프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309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23186B (zh) 一种筒体和筒体、筒体和封头的组对装置
KR100872198B1 (ko) 건축물의 외벽용 폼 인양 권양기
US8105061B2 (en) Container mold exchanging apparatus
CN111302187B (zh) 提升组件、跃层电梯和跃层方法
CN104176419A (zh) 一种码砖机
KR20180035717A (ko) 무거운 하중을 들어올리기 위한 장치
CN108222484A (zh) 塔筒施工装置及其自升降方法
KR101317190B1 (ko) 전로 내 내화물 축조장치
CN207647152U (zh) 塔筒自升降施工装置
KR20130073092A (ko) 리프트장치
JP2019027438A (ja) 気体貯蔵設備の昇降装置および気体貯蔵設備
CN106379829A (zh) 一种建筑机械物料升降系统
KR20130059690A (ko) 승강이송로봇용 부품교체장치
JP5583339B2 (ja) 重量物昇降装置
CN215886255U (zh) 用于炉体施工的变径盘
CN215886254U (zh) 用于炉体施工的变径盘
CN215479298U (zh) 可移动可折叠吊装装置
JP2019206817A (ja) 鉄塔支持型煙突の解体方法および鉄塔支持型煙突の解体装置
JP6751298B2 (ja) タービンケーシング回転装置
CN114408768A (zh) 一种用于机械工程的起吊机
JP4518982B2 (ja) 転炉用レンガ配設装置及び方法
JPH08301590A (ja) 重量物移動装置
KR101261433B1 (ko) 디스크 또는 링 형상의 중량물 로딩장치
KR102580764B1 (ko) 보빈용 플랜지의 성형 측판을 수평으로 펼치기 위한 전개장치
CN105692223B (zh) 单板彩涂线自动换垛小车及其换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