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0440A - 광속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광속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0440A
KR20130070440A KR1020110137771A KR20110137771A KR20130070440A KR 20130070440 A KR20130070440 A KR 20130070440A KR 1020110137771 A KR1020110137771 A KR 1020110137771A KR 20110137771 A KR20110137771 A KR 20110137771A KR 20130070440 A KR20130070440 A KR 20130070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member
light
incident
light emitting
luminous flu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7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0124B1 (ko
Inventor
이규태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7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0124B1/ko
Publication of KR20130070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0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0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0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21V5/045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the lens having discontinuous faces, e.g. Fresnel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3Direct backlight with L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광속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가 개시된다. 광속 제어 부재는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 및 상기 입사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후면을 포함하고, 상기 후면에 복수의 산란 홈들이 형성된다.

Description

광속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MEMBER FOR CONTROLLING LUMINOUS FLUX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실시예는 광속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는 경량, 박형, 저 소비 전력구동 등의 특징으로 인해 그 응용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액정표시장치는 사무자동화 기기, 오디오/비디오 기기 등에 이용되고 있다.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제어용 스위치들에 인가되는 영상신호에 따라 투과량이 조절되어 화면에 원하는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자발광 표시장치가 아니기 때문에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액정표시패널의 배면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이 구비된다.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서로 대향하는 컬러필터 기판 및 어레이 기판과, 상기 컬러필터 기판 및 어레이 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을 포함하는 액정패널 및 액정패널에 광을 출사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백라이트 유닛은 통상적으로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 또는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은 도광판 및 발광다이오드들을 포함한다. 발광다이오드들은 도광판의 측면에 배치되고, 도광판은 발광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전반사 등을 통하여 가이드하고, 액정패널을 향하여 출사한다.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은 도광판을 사용하지 않고, 발광다이오드들은 도광판의 후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서, 발광다이오드들은 액정패널의 후면을 향하여 광을 출사한다.
이와 같은 백라이트 유닛은 액정패널을 향하여 균일하게 광을 출사해야 한다. 즉, 액정표시장치의 휘도 균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실시예는 향상된 휘도 균일성을 가지는 광속 제어 부재 및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광속 제어 부재는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 및 상기 입사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후면을 포함하고, 상기 후면에 복수의 산란 홈들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광속 제어 부재는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 및 상기 입사면의 주위에 배치되고, 곡면을 포함하는 복수의 산란 홈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입사되는 광속 제어 부재; 및 상기 광속 제어 부재로부터의 광이 입사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광속 제어 부재는 상기 광원의 주위에 배치되는 복수의 산란 홈들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광속 제어 부재 및 표시장치는 상기 입사면의 주위에 산란 홈들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일부는 상기 산란 홈들에 반사되어, 전 방향으로 출사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산란 홈들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산란 홈들은 상기 입사면을 통하여 입사되는 광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반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광속 제어 부재 및 표시장치는 띠 형상의 휘도 불균일을 감소시키고, 향상된 휘도 균일도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광속 제어 부재를 포함하는 발광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광속 제어 부재의 일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광속 제어 부재의 후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A-A`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실험예에 따른 광속 제어 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실험예에서의 휘도 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패널, 시트, 부재, 가이드 또는 유닛 등이 각 패널, 시트, 부재, 가이드 또는 유닛 등의 "상(on)"에 또는 "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on)"과 "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상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광속 제어 부재를 포함하는 발광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광속 제어 부재의 일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광속 제어 부재의 후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광속 제어 부재(10)는 광원, 예를 들어, 발광다이오드(20) 및 구동 기판(30)과 결합하여 발광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른 광속 제어 부재(10)는 상기 구동 기판(30) 상에 배치된다. 상기 광속 제어 부재(10)는 상기 발광다이오드(20)를 덮는다. 상기 광속 제어 부재(10)는 상기 발광다이오드(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광속 제어 부재(10)에는 상기 발광다이오드(20)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입사된다. 상기 광속 제어 부재(10) 및 상기 발광다이오드(20) 사이에는 충진부(2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20)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상기 충진부(21)를 통하여, 상기 광속 제어 부재(10)에 입사될 수 있다.
상기 광속 제어 부재(10)는 함몰부(100) 및 오목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함몰부(100)는 상기 광속 제어 부재(10)의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함몰부(100)는 상기 발광다이오드(20)에 대응된다. 또한, 상기 함몰부(100)는 상기 발광다이오드(20)를 향하여 함몰된다. 상기 함몰부(100)는 상기 광속 제어 부재(10)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함몰부(100)의 내부면(110)의 중심은 상기 발광다이오드(20)의 광축(O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20)의 광축(OA)은 상기 함몰부(100)의 내부면(110)의 중심을 통과한다. 또한, 상기 함몰부(100)는 상기 발광다이오드(20)의 광축(OA)를 중심으로 회전대칭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함몰부(100)의 내부면(110)은 상기 발광다이오드(20)의 광축(OA)에 대하여 경사질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함몰부(100)의 내부면(110) 및 상기 발광다이오드(20)의 광축(OA)은 약 65° 내지 75°일 수 있다.
상기 오목부(200)는 상기 발광다이오드(20)에 대응한다. 또한, 상기 오목부(200)는 상기 함몰부(100)에 대향한다. 상기 오목부(200)는 상기 광속 제어 부재(10)의 하부에 형성된다. 즉, 상기 오목부(200)는 상기 광속 제어 부재(10)의 후면(220)에 형성된다.
상기 오목부(200)에 상기 발광다이오드(20)가 배치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발광다이오드(20)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오목부(200) 내에 배치된다. 즉, 상기 발광다이오드(20)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광속 제어 부재(10) 내에 배치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20)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상기 오목부(200)의 내부면(210)을 통하여 입사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오목부(200)의 내부면(210)은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210)이다. 즉, 상기 광속 제어 부재(10)에는 상기 오목부(200)의 내부면(210)을 통하여 거의 대부분의 광이 입사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광속 제어 부재(10)에는 상기 오목부(200)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발광다이오드(20)는 상기 광속 제어 부재(10)의 평평한 후면(22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면(220)이 전체적으로 입사면(210)일 수 있다.
상기 오목부(200)의 내부면(210)은 전체적으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오목부(200)의 내부면(210)은 전체적으로 구면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오목부(200)의 내부면(210)은 반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20)의 광축(OA)은 상기 광속 제어 부재(10)의 광축(OA)과 일치할 수 있다. 즉, 상기 발광다이오드(20)의 광축(OA)은 상기 함몰부(100)의 중심 및 상기 오목부(200)의 중심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광속 제어 부재(10)는 후면(220), 제 1 경사면(230), 수평면(120), 제 2 경사면(130) 및 외주면(140)을 포함한다.
상기 후면(220)은 상기 오목부(200)의 내부면(210)으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후면(220)은 상기 오목부(200)로부터 외곽으로 연장된다. 상기 후면(220)은 상기 오목부(200)의 주위를 둘러싼다. 상기 후면(220)은 평면일 수 있다. 즉, 상기 후면(220)은 상기 입사면(210)으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후면(220)은 상기 구동 기판(30)에 대향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후면(220)은 상기 구동 기판(30)의 상면에 대향한다. 상기 후면(220)은 상기 구동 기판(30)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상기 후면(220)은 상기 발광다이오드(20)의 광축(OA)에 대하여 직교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면(220)에는 복수의 산란 홈들(221...224)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산란 홈들(221...224)은 상기 오목부(200) 주위에 배치된다. 상기 산란 홈들(221...224)은 상기 입사면(210) 주위에 배치된다. 상기 산란 홈들(221...224)은 상기 발광다이오드(20) 주위에 배치된다.
상기 산란 홈들(221...224)은 상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상기 산란 홈들(221...224)은 곡면을 포함한다. 상기 산란 홈들(221...224)의 내부면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산란 홈들(221...224)의 내부면은 전체적으로 곡면일 수 있다. 상기 산란 홈들(221...224)의 내부면은 구면일 수 있다.
상기 산란 홈들(221...224)의 직경은 약 0.5㎜ 내지 약 1㎜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산란 홈들(221...224)의 직경은 외곽으로 갈수록 점점 더 커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산란 홈들(221...224)의 깊이는 외곽으로 갈수록 점점 더 커질 수 있다.
상기 산란 홈들(221...224)은 제 1 산란 홈들(221), 제 2 산란 홈들(222), 제 3 산란 홈들(223) 및 제 4 산란 홈들(224)일 수 있다.
상기 제 1 산란 홈들(221)은 가장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오목부(200)의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산란 홈들(222)은 상기 제 1 산란 홈들(221)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고, 상기 제 1 산란 홈들(221)보다 더 바깥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산란 홈들(223)은 상기 제 2 산란 홈들(222)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고, 상기 제 2 산란 홈들(222)보다 더 바깥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4 산란 홈들(224)은 상기 제 3 산란 홈들(223)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고, 더 바깥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경사면(230)은 상기 후면(220)으로부터 외곽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 1 경사면(230)은 상기 구동 기판(30)의 상면에 대하여 경사진다. 또한, 상기 제 1 경사면(230)은 상기 하면에 대하여 경사진다. 또한, 상기 제 1 경사면(230)은 상기 발광다이오드(20)의 광축(OA)에 대해서 경사진다. 상기 제 1 경사면(230) 및 상기 발광다이오드(20)의 광축(OA) 사이의 각도는 약 45° 내지 약 55°일 수 있다.
상기 수평면(120)은 상기 함몰부(100)로부터 연장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수평면(120)은 상기 함몰부(100)의 내부면(110)으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수평면(120)은 상기 함몰부(100)의 외곽으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수평면(120)은 상기 구동 기판(30)의 상면과 평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수평면(120)은 상기 발광다이오드(20)의 광축(OA)과 수직할 수 있다.
상기 제 2 경사면(130)은 상기 수평면(120)으로부터 외곽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 2 경사면(130)은 상기 수평면(120)으로부터 측하방으로 연장된다. 즉, 상기 제 2 경사면(130)은 상기 구동 기판(3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기 구동 기판(30)에 경사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경사면(130)은 상기 구동 기판(30)의 상면에 대하여 경사진다. 상기 제 2 경사면(130)은 상기 발광다이오드(20)의 광축(OA)에 대하여 경사진다.
상기 외주면(140)은 상기 제 1 경사면(230)으로부터 상기 제 2 경사면(130)으로 연장된다. 상기 외주면(140)은 상기 발광다이오드(20)의 광축(OA)과 평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주면(140)은 상기 구동 기판(30)의 상면과 직교할 수 있다.
상기 광속 제어 부재(10)는 투명하다. 상기 광속 제어 부재(10)의 굴절율은 약 1.4 내지 약 1.5일 수 있다. 상기 광속 제어 부재(10)는 플라스틱 또는 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속 제어 부재(10)의 반경 및 두께의 비는 약 1:0.6 내지 약 1:1.5 일 수 있다.
상기 광속 제어 부재(10)는 충진부(21)에 의해서, 상기 구동 기판(30)에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200) 내에는 충진부(21)가 채워진다. 상기 충진부(21)는 상기 오목부(200)의 내부면(210)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20)는 광을 발생시킨다. 상기 발광다이오드(20)는 점광원일 수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20)는 상기 구동 기판(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20)는 상기 구동 기판(30)에 실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발광다이오드(20)는 상기 구동 기판(30)으로부터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받는다. 즉, 상기 발광다이오드(20)는 상기 구동 기판(30)에 의해서 구동되고, 이에 따라서, 광을 발생시킨다.
상기 구동 기판(30)은 상기 발광다이오드(20) 및 상기 광속 제어 부재(10)를 지지한다. 또한, 상기 구동 기판(30)은 상기 발광다이오드(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구동 기판(30)은 구동 기판(3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기판(30)은 리지드하거나, 플렉서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구동 기판(30)에, 하나의 발광다이오드(20) 및 하나의 광속 제어 부재(10)가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하나의 구동 기판(30)에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들(2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발광다이오드(20)에 대응하여 복수의 광속 제어 부재(10)들(10)이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광속 제어 부재(10)는 상기 후면(220)에 상기 산란 홈들(221...224)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발광다이오드(20)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일부는 상기 산란 홈들(221...224)에 반사되어, 전 방향으로 출사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산란 홈들(221...224)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산란 홈들(221...224)은 상기 입사면(210)을 통하여 입사되는 광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반사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수평면(120) 및 상기 함몰부(100)의 내부면(110)이 만나는 부분 및 상기 수평면(120) 및 상기 제 2 경사면(130)이 만나는 부분에서 발생되는 휘도 불균일은 상기 산란 홈들(221...224)에 의해서 해소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광속 제어 부재(10)는 띠 형상의 휘도 불균일을 감소시키고, 향상된 휘도 균일도를 가질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A-A`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발광 장치를 참조한다. 즉, 앞선 실시예의 발광 장치에 대한 설명은 본 실시예의 설명에 본질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50) 및 백라이트 유닛(40)을 포함한다. 상기 액정표시패널(50)은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액정표시패널(50)은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서로 대향하여 균일한 셀 갭이 유지되도록 합착된 박막 트랜지스터(TFT: thin film transistor) 기판 및 컬러필터 기판과, 상기 두 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을 포함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은 다수의 게이트 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교차하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이 형성되며, 상기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영역에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형성된다.
상기 액정표시패널(50)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게이트 라인에 스캔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 PCB(gate driving printed circuit board)(51)와, 상기 데이터 라인에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 PCB(data driving printed circuit board)(52)가 구비된다.
상기 게이트 및 데이터 구동 PCB(51, 52)는 COF(Chip on film)에 의해 상기 액정표시패널(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COF는 TCP(Tape Carrier Package)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액정표시패널(50)을 지지하는 패널 가이드(54) 및 상기 액정표시패널(50)의 가장자리를 감싸며, 상기 패널 가이드(54)와 결합되는 탑 케이스(53)를 포함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40)은 20인치 이상의 대형 액정표시장치에 구비되는 직하 방식으로 구성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40)은 바텀 커버(41), 구동 기판(30),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들(20), 복수의 광속 제어 부재(10) 및 광학시트들(42)을 포함한다.
상기 바텀 커버(41)는 상면이 개구된 박스 형상을 가지며, 상기 구동 기판(30)을 수용한다. 또한, 상기 바텀 커버(41)는 상기 광학시트들(42) 및 상기 액정표시패널(50)을 지지한다.
상기 바텀 커버(41)는 금속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바텀 커버(41)는 금속 플레이트 등이 절곡 또는 만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절곡 또는 만곡되어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구동 기판(30)이 수용된다.
상기 구동 기판(30)은 상기 바텀 커버(41)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구동 기판(30)은 구동 기판(30)일 수 있다. 상기 구동 기판(30)은 상기 발광다이오드들(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상기 발광다이오드들(20)은 상기 구동 기판(30)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구동 기판(30)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다. 상기 구동 기판(30)은 상기 발광다이오드들(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발광다이오드들(20)에 구동신호를 공급한다.
상기 구동 기판(30)의 상면에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40)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반사층이 코팅될 수 있다. 즉, 상기 반사층은 상기 발광다이오드들(20)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상방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들(20)은 상기 구동 기판(30)을 통하여 인가받는 전기적인 신호를 사용하여, 광을 발생시킨다. 즉, 상기 발광다이오드들(20)은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이다. 더 자세하게, 각각의 발광다이오드(20)는 점광원이고, 각각의 발광다이오드(20)가 모여서 면광원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발광다이오드들(20)은 발광다이오드(20) 칩을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20) 패키지이다.
상기 발광다이오드들(20)은 상기 구동 기판(30)에 실장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들(20)은 상기 구동 기판(30)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들(20)은 백색 광을 출사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발광다이오드들(20)은 청색 광, 녹색 광 및 적색 광을 골고루 나누어서 출사할 수 있다.
상기 광속 제어 부재(10)들(10)은 상기 발광다이오드들(20)을 각각 덮는다. 상기 발광다이오드(20)로부터의 광은 상기 광속 제어 부재(10)에 각각 입사된다. 입사된 광은 상기 광속 제어 부재(10)에 의해서 향상된 휘도 균일성을 가지고, 상방으로 출사된다. 상기 광속 제어 부재(10)들(10)의 구성 및 특징은 앞선 실시예의 광속 제어 부재(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광학시트들(42)은 통과하는 광의 특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광학시트들(42)은 예를 들어, 편광시트, 프리즘 시트 또는 확산시트 등을 들 수 있다.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광속 제어 부재(10)는 상기 발광다이오드들(20)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효과적으로 확신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40)은 향상된 휘도 균일성을 가지는 광을 상기 액정패널에 출사한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향상된 휘도 균일성을 가지고, 향상된 화질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실험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속 제어 부재(10)가 구비되었다. 이때, 상기 광속 제어 부재(10)의 반경(D)은 약 8.05㎜이고, 두께(T)는 약 4.7㎜이고, θ1은 약 70°이고, θ2는 약 °이고, 오목부(200)의 내부면의 곡률 반경은 약 0.925㎜이고, 제 1 산란 홈(221)의 곡률 반경은 약 0.5㎜이고, 제 2 산란 홈(222)의 곡률 반경은 약 1.5㎜이고, 제 3 산란 홈(223)의 곡률 반경은 약 3㎜이고, 상기 제 4 산란 홈(224)의 곡률 반경은 약 7㎜이었다.
이후, 상기 오목부(200)에 발광다이오드(20)가 배치되고, 상기 광속 제어 부재(10)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휘도 분포가 도 7 및 도 8과 같이 측정되었다. 도 7 및 도 8과 같이, 상기 발광다이오드(20)로부터의 광의 대부분은 균일하게 측상방으로 확산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8)

  1.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 및
    상기 입사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후면을 포함하고,
    상기 후면에 복수의 산란 홈들이 형성되는 광속 제어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 홈들의 내부면은 곡면을 포함하는 광속 제어 부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 홈들의 직경은 상기 입사면으로부터 외곽으로 갈수록 점점 커지는 광속 제어 부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면에 대향하는 함몰부; 및
    상기 후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 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광속 제어 부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사면은 상기 입사면의 중심 및 상기 함몰부의 중심을 통과하는 광축에 대하여 경사지는 광속 제어 부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의 내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수평면; 및
    상기 수평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광축에 대하여 경사지는 제 2 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광속 제어 부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사면으로부터 상기 제 2 경사면으로 연장되는 외주면을 포함하는 광속 제어 부재.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의 내부면 및 상기 광축 사이의 각도는 65° 내지 75°인 광속 제어 부재.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축 및 상기 제 1 경사면 사이의 각도는 45° 내지 55°인 광속 제어 부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홈들의 내부면은 구면인 광속 제어 부재.
  11.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 및
    상기 입사면의 주위에 배치되고, 곡면을 포함하는 복수의 산란 홈들;을 포함하는 광속 제어 부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 홈들은 상기 입사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점 큰 직경을 가지는 광속 제어 부재.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 홈들의 직경은 0.5㎜ 내지 1㎜인 광속 제어 부재.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면은 구면이고,
    상기 산란 홈들의 내부면은 구면인 광속 제어 부재.
  15.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입사되는 광속 제어 부재; 및
    상기 광속 제어 부재로부터의 광이 입사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광속 제어 부재는
    상기 광원의 주위에 배치되는 복수의 산란 홈들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 홈의 직경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점 커지는 표시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에 연결되는 구동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광속 제어 부재는 상기 구동 기판에 대향하는 후면을 포함하고,
    상기 산란 홈들은 상기 광속 제어 부재의 후면에 형성되는 표시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광원의 광축에 대해서 경사지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0110137771A 2011-12-19 2011-12-19 광속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340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771A KR101340124B1 (ko) 2011-12-19 2011-12-19 광속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771A KR101340124B1 (ko) 2011-12-19 2011-12-19 광속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0440A true KR20130070440A (ko) 2013-06-27
KR101340124B1 KR101340124B1 (ko) 2013-12-10

Family

ID=48865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7771A KR101340124B1 (ko) 2011-12-19 2011-12-19 광속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01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57601A (zh) * 2018-08-22 2018-12-07 杭州照相机械研究所有限公司 一种偏光透镜
WO2019059726A3 (ko) * 2017-09-25 2019-05-09 주식회사 퍼스트옵틱스 광속제어부재 및 광속제어부재를 사용하는 발광장치
KR102402129B1 (ko) 2020-12-01 2022-05-26 (주)지씨아이 클라우드 기반 지능형 광선로 모니터링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93616B2 (ja) 2008-03-05 2012-08-08 株式会社エンプラス 発光装置、面光源装置、及び表示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9726A3 (ko) * 2017-09-25 2019-05-09 주식회사 퍼스트옵틱스 광속제어부재 및 광속제어부재를 사용하는 발광장치
CN108957601A (zh) * 2018-08-22 2018-12-07 杭州照相机械研究所有限公司 一种偏光透镜
CN108957601B (zh) * 2018-08-22 2023-08-22 杭州照相机械研究所有限公司 一种偏光透镜
KR102402129B1 (ko) 2020-12-01 2022-05-26 (주)지씨아이 클라우드 기반 지능형 광선로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0124B1 (ko) 2013-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0568B1 (ko)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10064743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JP2014082185A (ja) 表示装置用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その駆動方法
KR101340124B1 (ko) 광속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307731B1 (ko) 광속 제어 부재, 발광 장치 및 표시장치
KR20120130919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2014081B1 (ko) 광속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080038923A (ko) 도광판과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장치
KR101946840B1 (ko) 광속 제어 부재, 발광 장치 및 표시장치
KR20130074550A (ko)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KR20110024270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1459826B1 (ko) 광속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382744B1 (ko) 표시장치
KR101774572B1 (ko) 표시장치
US10884181B2 (en) Backlight and display apparatus
KR101449091B1 (ko) 광속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307715B1 (ko) 광속 제어 부재, 발광 장치 및 표시장치
KR101667813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1878851B1 (ko) 광속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787096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1996927B1 (ko) 광속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894317B1 (ko) 표시장치
CN112505965A (zh) 背光模组及显示装置
KR101909213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110064744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