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9261A - 정보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정보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9261A
KR20130069261A KR1020110136899A KR20110136899A KR20130069261A KR 20130069261 A KR20130069261 A KR 20130069261A KR 1020110136899 A KR1020110136899 A KR 1020110136899A KR 20110136899 A KR20110136899 A KR 20110136899A KR 20130069261 A KR20130069261 A KR 20130069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voice
emotion expression
emotion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6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준호
안지현
변건호
Original Assignee
인포뱅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포뱅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포뱅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6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9261A/ko
Priority to PCT/KR2012/011105 priority patent/WO2013094982A1/ko
Publication of KR20130069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92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처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정보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정보처리 시스템은, 제 1통신단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문자메시지 또는 문자열을 포함한 데이터에 포함된 문자열 중 감정 표현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색하고, 해당 감정 표현 문자열에 대한 설정값을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 또는 데이터에 첨부하는 감정처리부와, 감정 표현 문자열 및 상기 감정 표현 문자열에 대응하는 설정값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와, 상기 감정 표현 문자열에 대한 설정값에 상응하며, 수신한 문자열에 상응하는 음성정보를 생성하는 TTS(Text-To-Speech) 처리부 및 상기 TTS 처리부에서 생성된 음성정보를 제 2통신단말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정보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System and Recoding Medium}
본 발명은 통신 단말에서 문자를 포함한 메시지 수신 시, 음성 합성(TTS; Text-to-Speech)를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메시지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정보처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정보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음성과 문자 간의 변환을 위하여 다양한 음성인식 기술(STT;Speech-to-Text)과 음성 합성 기술(TTS; Text-to-Speech)들이 개발되어 왔다. 특허공개번호 제10-2001-0086402호(음성인식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장치와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으며, 특허공개번호 제10-2002-0094988호(음성합성방법 및 그것을 실시하는 음성합성장치)에 따르면, 특정 문장을 임의의 음성으로 합성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통신단말에서는 수신한 문자 메시지 또는 문자열을 포함한 데이터를 사용자가 확인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해당 문자 메시지 또는 문자열을 표시하는 화면을 주시하여야 하였으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해당 음성 데이터를 재생하거나 문자로 변환하여 확인하여야 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화면을 주시하기 어려운 경우, 수신한 문자열 또는 음성을 확인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상기 수신한 문자열 또는 음성을 발신한 발신인의 감정을 정확히 전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 단말간에 전송되는 문자열과 음성 간에 변환이 가능하도록 하고, 통신 단말간에 전송되는 문자열과 음성 간의 변환과정에서 음성 또는 문자열 송신인의 감정을 효율적으로 표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신인이 보다 편리하게 메시지를 확인하고, 송신인의 감정을 용이하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처리 시스템은, 제 1통신단말로부터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문자메시지 또는 문자열을 포함한 데이터에 포함된 문자열 중 감정 표현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색하고, 해당 감정 표현 문자열에 대한 설정값을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 또는 데이터에 첨부하는 감정처리부와, 감정 표현 문자열 및 상기 감정 표현 문자열에 대응하는 설정값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와, 상기 감정 표현 문자열에 대한 설정값에 상응하며, 수신한 문자열에 상응하는 음성정보를 생성하는 TTS(Text-To-Speech) 처리부와, 상기 TTS 처리부에서 생성된 음성정보를 제 2통신단말로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각 구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문자메시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 EMS(Electronic Mail System), MMS(Multimedia Messaging System)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문자열을 포함한 데이터는, 인스턴트 메신저(Instant Messenger)에서 생성되어 전송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설정값은, 감정 표현 문자열에 연관된 다른 문자열로 변환하기 위한 연관 문자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감정 표현 문자열의 경우, 상기 연관 문자열 정보에 따라 변환하여 음성으로 변환할 수 있다(예 : ‘ㅎㅎ’ 문자열을 ‘하하’로 변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설정값은, 감정 표현 문자열에 대한 음성 출력 시, 출력되는 음량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정 표현 문자열 및 출력되는 음량의 크기에 대한 설정값은, 문자열의 끝에 느낌표(!)가 있는 문자열의 음량을 크게 설정하거나, 특정 감정 표현을 위한 음량(예 : ‘속삭이다’ 문자열의 경우 작은 음량으로 설정)을 각각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설정값은, 감정 표현 문자열에 대한 음성 출력 시, 출력되는 음의 높낮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감정 표현 문자열에 따라 주파수의 높낮이를 설정하여 해당 감정 표현 문자열의 출력 시 음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설정값은, 감정 표현 문자열에 대한 음성 출력 시, 출력되는 음성의 출력 속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열 말미에 ‘~’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기호의 개수만큼 해당 문자열의 출력 속도를 느리게 하여 길게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처리 방법은, 수신부를 통하여 제 1통신단말로부터 문자메시지 또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단계와, 상기 수신한 문자메시지 또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데이터에 감정 표현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감정 표현 문자열 검색단계와, 상기 문자열 검색단계에서 검색된 감정 표현 문자열에 상응하는 설정값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설정값 검색단계와, 상기 문자열 검색단계 및 설정값 검색단계에서 검색된 감정 표현 문자열 및 상기 감정 표현 문자열에 상응하는 설정값에 따라 상기 수신한 문자메시지 또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데이터에 상응하는 음성정보를 생성하는 음성합성 단계 및 상기 음성합성 단계에서 생성된 음성정보를 제 2통신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신한 문자메시지 또는 문자열을 포함한 데이터에 대하여, 제 2통신단말의 사용자인 수신인이 화면을 주시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수신한 문자메시지 또는 문자열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편리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발신인의 감정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의사소통을 함에 있어서 보다 개선된 효율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전체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서버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정보처리 시스템에서의 문자 메시지 중계 전송 시 감정 표현을 포함한 음성 변환 및 전송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일실시예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전체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 1은 제 1통신단말(100)이 통신망을 통해 제 1통신단말에서 생성된 문자메시지 또는 문자열을 포함한 데이터를 서버(120)에 연결되어 제 2통신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서버(120)는 제 1통신단말(100)에서 전송되는 문자메시지 또는 문자열을 포함한 데이터를 상기 제 2통신단말(11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서버(120)는 제 1통신단말에서 전송되는 정보가SMS(Short Message service), LMS(Long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경우, 통신망 상의 메시지 서비스 센터 서버일 수 있으며, 상기 제 1통신단말에서 전송되는 정보가 EMS(Electronic Mail System)인 경우, 통신망 상의 이메일 중계서버일 수 있으며, 상기 제 1통신단말에서 전송되는 정보가 인스턴트 메신저에 의해 생성되고 전송되는 데이터인 경우, 각각의 인스턴트 메신저를 운영하는 중계서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통신단말(100) 및 제 2통신단말(110)은 SMS, LMS, MMS, EMS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메시지 내지 이메일을 전송하거나, 또는 메신저를 실행하는 단말을 의미하며,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PC, 텔레매틱스 단말 등 문자 송수신이 가능한 모든 단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통신단말은, 제 1통신단말에서부터 전송된 문자메시지 또는 문자열을 포함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감정 표현 문자열 목록 및 상기 감정 표현 문자열에 대응하는 설정값을 저장부(280) 상에 미리 저장, 등록하고,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 또는 문자열을 포함한 데이터 상에 감정 표현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는 지 여부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 결과 검색된 설정값에 따라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 또는 문자열을 포함한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성을 합성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서버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서버(120)의 주요 기능구성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부(210)와, TTS 처리부(220)와, 감정 처리부(230)와, 저장부(240)와, 송신부(250) 및 상기 각 구성부와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정보처리 시스템의 특성, 그리고 당업자의 실시방식에 따라 각 구성부는 추가 또는 제외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수신부(210)는, 상기 제 1통신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각종 문자메시지 또는 문자열을 포함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TTS 처리부(220)는, 상기 문자메시지 또는 문자열을 음성 정보로 변환하는 TTS(Text-to-Speech) 엔진을 활용하여 상기 수신부(210)를 통하여 수신한 문자메시지 또는 문자열을 포함한 데이터로부터 음성 정보를 합성한다. 여기서, 문자 합성 시, 해당 문자열이 감정 처리부(230)의 검색 결과 감정 표현 문자열인 경우, 해당 감정 표현 문자열에 대한 설정값에 따라 음량, 음의 높낮이, 음성 출력 속도 등을 변경하여 음성 정보를 합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감정 처리부(230)는, 상기 수신부(210)를 통하여 수신된 문자메시지 또는 문자열을 포함한 데이터 내에 저장부(240)에서 저장하고 있는 감정 표현 문자열을 포함하고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문자 메시지 또는 문자열을 포함한 데이터 내에 감정 표현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감정 표현 문자열에 해당하는 설정값을 저장부(240)에서 검색하여 감정 표현 문자열 및 설정값을 제어부(200)를 통하여 TTS 처리부(22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부(240)는, 감정 표현 문자열 목록 및 해당 감정 표현 문자열에 대한 설정값을 저장하고, 상기 감정 처리부(23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되어 있는 감정 표현 문자열 중 수신된 문자메시지 또는 문자열을 포함한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감정 표현 문자열이 존재하는 지 여부와, 상기 감정 표현 문자열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감정 표현 문자열에 대한 설정값을 반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설정값은, 상기 문자메시지 또는 문자열을 포함한 데이터 내에 ‘^^’, ‘ㅠㅠ’ 등 감정을 표현하는 특수문자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저장부(280)에 저장된 설정값 중 연관 문자열 정보에 따라 해당 감정에 대응하는 정보인 ‘하하’, ‘흑흑’ 등으로 변환하여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설정값은, 해당 문자열의 말미에 ‘!’를 포함하고 있거나, ‘화가 난다’ 등의 감정을 표현하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경우 등에는 해당 문자열의 출력시 음량을 크게 하거나, ‘우울하다’ 등의 문자열을 포함하는 경우 등에는 해당 문자열의 출력시 음량을 작게 조절하여 음성 정보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설정값은, ‘신난다’, ‘기쁘다’ 등 특정 감정을 표현하기 위한 문자열의 경우, 해당 문자열의 출력시 주파수가 높은 음을 생성하도록 하거나, ‘우울하다’, ‘슬프다’ 등의 특정 감정을 표현하기 위한 문자열의 경우, 문자열을 포함하는 경우 등에는 해당 문자열의 출력시 주파수가 낮은 음을 생성하여 음의 높낮이를 변경하여 음성 정보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설정값은, ‘신난다’, ‘기쁘다’ 등 특정 감정을 표현하는 문자열의 경우, 음성 출력 속도를 빠르게 하거나, ‘우울하다’, ‘슬프다’ 등의 특정 감정을 표현하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경우 등에는 해당 문자열의 출력시 음성 출력 속도를 느리게 하여 음성 정보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송신부(250)는 통신망을 통하여 제 2통신단말(11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다른 제어부(200)는, 상기 기술한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정보처리 시스템에서의 문자 메시지 중계 전송 시 감정 표현을 포함한 음성 변환 및 전송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상기 수신부(210)를 통하여 문자메시지 또는 문자열을 포함한 데이터를 수신한다(S310).
이후, 감정 처리부(230)는 상기 (S310)단계에서 수신한 문자메시지 또는 문자열 중 상기 저장부(240)에 저장된 감정 표현 문자열에 포함되어 있는 문자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한다(S320).
이후, 상기 (S320)단계의 검색 결과에 따라 수신한 문자메시지 또는 문자열 내에 ㄱ마정 표현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S330), 상기 감정 처리부(230)는 상기 저장부(240) 내에서 상기 (S320)단계에서 검색된 감정 표현 문자열에 상응하는 설정값을 검색하고(S340), 상기 수신한 문자메시지 또는 문자열 내에 감정 표현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기본값에 따라 TTS 처리부(220)에 의해 음성 정보를 생성한다(S365).
상기 (S340)단계의 검색 결과에 다라, 상기 검색된 감정 표현 문자열에 상응하는 설정값이 저장부(240) 내에 존재하는 경우(S350), 해당 설정값에 따라 TTS 처리부(220)에 의해 음성 정보를 생성하고(S360), 상기 검색된 감정 표현 문자열에 상응하는 설정값이 저장부(240)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S350), 기본값에 따라 TTS 처리부(240)에 의해 음성 정보를 생성한다(S365).
이후, 송신부(250)는 상기 TTS 처리부(220)에 의해 생성된 음성 정보를 음성 파일 형태의 데이터로 통신망을 통하여 제 2통신단말(110)로 전송한다(S370). 상기 음성 파일을 수신한 제 2통신단말(110)은 상기 수신한 음성 파일을 재생하여 음성 형태의 메시지를 출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일실시예도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무선단말(100)에 해당하는 스마트폰에서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면, 제 2무선단말(110)에 해당하는 차량에 설치된 통신단말은, 해당 문자메시지 중 감정 표현 문자열에 해당하는 ‘ㅎㅎ’를 ‘하하’라는 음성으로, ‘나두요~’를 느린 출력속도를 가지는 음성으로 합성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100 : 제 1통신단말(발신측) 110 : 제 2통신단말(수신측)
120 : 서버 210 : 수신부
220 : TTS 처리부 230 : 감정 처리부
240 : 저장부 250 : 송신부

Claims (11)

  1. 제 1통신단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문자메시지 또는 문자열을 포함한 데이터에 포함된 문자열 중 감정 표현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색하고, 해당 감정 표현 문자열에 대한 설정값을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 또는 데이터에 첨부하는 감정처리부
    감정 표현 문자열 및 상기 감정 표현 문자열에 대응하는 설정값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상기 감정 표현 문자열에 대한 설정값에 상응하며, 수신한 문자열에 상응하는 음성정보를 생성하는 TTS(Text-To-Speech) 처리부 및
    상기 TTS 처리부에서 생성된 음성정보를 제 2통신단말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메시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 EMS(Electronic Mail System), MMS(Multimedia Messaging Syste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값은,
    감정 표현 문자열에 연관된 다른 문자열로 변환하기 위한 연관 문자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값은,
    감정 표현 문자열에 대한 음성 출력 시, 출력되는 음량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값은,
    감정 표현 문자열에 대한 음성 출력 시, 출력되는 음의 높낮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값은,
    감정 표현 문자열에 대한 음성 출력 시, 출력되는 음성의 출력 속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 시스템.
  7. 수신부를 통하여 제 1통신단말로부터 문자메시지 또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단계
    상기 수신한 문자메시지 또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데이터에 감정 표현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감정 표현 문자열 검색단계
    상기 문자열 검색단계에서 검색된 감정 표현 문자열에 상응하는 설정값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설정값 검색단계
    상기 문자열 검색단계 및 설정값 검색단계에서 검색된 감정 표현 문자열 및 상기 감정 표현 문자열에 상응하는 설정값에 따라 상기 수신한 문자메시지 또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데이터에 상응하는 음성정보를 생성하는 음성합성 단계 및
    상기 음성합성 단계에서 생성된 음성정보를 제 2통신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값은,
    감정 표현 문자열에 연관된 다른 문자열로 변환하기 위한 연관 문자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값은,
    감정 표현 문자열에 대한 음성 출력 시, 출력되는 음량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값은,
    감정 표현 문자열에 대한 음성 출력 시, 출력되는 음의 높낮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값은,
    감정 표현 문자열에 대한 음성 출력 시, 출력되는 음성의 출력 속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 방법.

KR1020110136899A 2011-12-18 2011-12-18 정보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KR2013006926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6899A KR20130069261A (ko) 2011-12-18 2011-12-18 정보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PCT/KR2012/011105 WO2013094982A1 (ko) 2011-12-18 2012-12-18 정보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6899A KR20130069261A (ko) 2011-12-18 2011-12-18 정보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9261A true KR20130069261A (ko) 2013-06-26

Family

ID=48864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6899A KR20130069261A (ko) 2011-12-18 2011-12-18 정보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926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4597A (ko) 2014-01-31 2016-10-05 스미토모 긴조쿠 고잔 가부시키가이샤 도전성 기판, 적층 도전성 기판, 도전성 기판 제조방법 및 적층 도전성 기판 제조방법
KR20170023068A (ko) 2014-06-30 2017-03-02 스미토모 긴조쿠 고잔 가부시키가이샤 도전성 기판, 적층 도전성 기판, 도전성 기판 제조방법 및 적층 도전성 기판 제조방법
KR20170105501A (ko) 2015-01-20 2017-09-19 스미토모 긴조쿠 고잔 가부시키가이샤 도전성 기판 및 도전성 기판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4597A (ko) 2014-01-31 2016-10-05 스미토모 긴조쿠 고잔 가부시키가이샤 도전성 기판, 적층 도전성 기판, 도전성 기판 제조방법 및 적층 도전성 기판 제조방법
KR20170023068A (ko) 2014-06-30 2017-03-02 스미토모 긴조쿠 고잔 가부시키가이샤 도전성 기판, 적층 도전성 기판, 도전성 기판 제조방법 및 적층 도전성 기판 제조방법
KR20170105501A (ko) 2015-01-20 2017-09-19 스미토모 긴조쿠 고잔 가부시키가이샤 도전성 기판 및 도전성 기판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1825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dible text center subsystem
US200901984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peech synthesis of text message
US7756536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nd displaying animated SMS messages
FI115868B (fi) Puhesynteesi
US7672436B1 (en) Voice rendering of E-mail with tags for improved user experience
US8983835B2 (en) Electronic device and server for processing voice message
JP2010277588A (ja) アニメーションスクリプト生成装置、アニメーション出力装置、受信端末装置、送信端末装置、携帯用端末装置及び方法
US20100211389A1 (en) System of communication employing both voice and text
JP2005135169A (ja) 携帯端末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
KR20150017662A (ko) 텍스트-음성 변환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
KR20130069261A (ko) 정보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KR101916107B1 (ko) 통신 단말 및 그 통신 단말의 정보처리 방법
US20060182235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WO2013094982A1 (ko) 정보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US20100310058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069263A (ko) 정보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KR20130069260A (ko) 통신 단말 및 그 통신 단말의 정보처리 방법
US2014032956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and recording medium
US8438228B1 (en) Computing device to broadcast mobile messages received by a mobile device
US20070027691A1 (en) Spatialized audio enhanced text communication and methods
KR10251095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구동 방법, 이동 통신 시스템
KR101276873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텍스트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WO2013094979A1 (ko) 통신 단말 및 그 통신 단말의 정보처리 방법
KR100747864B1 (ko) 문자 메시지 출력시 배경음악의 동반 출력을 위한 송/수신무선통신 단말기
KR20130069259A (ko) 차량용 정보처리 장치와 이를 위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