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8956A -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시스템 및 상태 알림 방법 - Google Patents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시스템 및 상태 알림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8956A
KR20130068956A KR1020110136440A KR20110136440A KR20130068956A KR 20130068956 A KR20130068956 A KR 20130068956A KR 1020110136440 A KR1020110136440 A KR 1020110136440A KR 20110136440 A KR20110136440 A KR 20110136440A KR 20130068956 A KR20130068956 A KR 20130068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all
receiv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6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승언 김
Original Assignee
승언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승언 김 filed Critical 승언 김
Priority to KR1020110136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8956A/ko
Publication of KR20130068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89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85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93Notifying the calling party of information on the called or connected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T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ANDARDS FOR 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T2001/00Standards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T2001/209Applications
    • H04T2001/2095Location -, Position -, or Presence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시스템 및 상태 알림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신자의 사용상태정보 설정에 따라 상기 수신자에 해당하는 이동통신단말로의 통화 요청 전에 상기 수신자의 사용상태정보에 따라 통화 시도 여부를 상태정보서버의 조회를 통해 결정하는 수신자 상태 알림 시스템에 있어서, 발신자에 해당하는 이동통신단말은, 상기 발신자에 의한 검색메뉴 방식 또는 직접 수신자 번호 입력방식으로 상기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번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입력/검색모듈; 및 상기 검색메뉴 방식 또는 상기 직접입력 방식으로 상기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번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통화 목록이 호출되면, 상기 통화 목록에 해당하는 이동통신단말번호를 추출하는 상태수신/처리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상태수신/처리모듈은, 상기 상태정보서버에 액세스하여 상기 추출된 이동통신단말번호에 해당하는 수신상태정보를 반환받아 출력한 뒤, 상기 발신자에 의한 상기 추출된 이동통신단말번호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선택신호에 해당하는 이동통신단말번호의 수신상태정보가 통화가능으로 설정된 있는 경우에만 상기 이동통신단말번호에 해당하는 이동통신단말로 통화 연결을 수행한다. 이에 의해, 발신자가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시스템 및 상태 알림 방법은, 통화 전 수신자의 통화 가능 상태를 발신자에게 알려줌으로써, 불필요하게 수신자에게 전화를 걸어 시간을 낭비하지 않아도 되고 통신사는 불필요한 전화 사용량이 줄도록 하여 망 부하를 낮출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시스템 및 상태 알림 방법{System and method for informing phone recipient condition before communication between the caller and the receiver}
본 발명은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시스템 및 상태 알림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화 요청 전에 상대방의 이동통신단말번호를 누르거나 이동통신단말번호를 검색하면 자동으로 입출력부를 통해서 상대방의 통화가능 상태가 출력되는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시스템 및 상태 알림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이동통신단말 사이에서 수신자가 통화시 걸려오는 전화를 받을 수 없을 때 수신자의 상황을 발신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수단이 별로 없어서 발신자는 "지금은 통화할 수 없는 상황" 이라는 막연한 메시지만 듣게 되어, 다시 통화하기를 원하는 발신자는 수신자와 직접 통화가 될 때까지 통화버튼을 눌러 통화 요청을 실행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 일부 이동통신단말에는 수신자의 육성으로 자신의 상황을 직접 녹음하여 안내하는 기능을 구비하도록 하였으나, 하루 중에도 시시각각 변화무쌍하게 전개되는 여러 상황에 매 상황마다 직접 육성으로 녹음하고 상태가 변경될 경우 녹음된 데이터를 삭제하고 재 녹음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발신자는 전화를 걸었을 경우에만 안내방송으로 수신자의 상태정보를 알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통화가 발생하고, 발신자로 하여금 수신자의 의도와는 무관하게 오해의 소지를 남기게 되는 문제도 있어 왔다.
그리고 가장 큰 문제점은 통화 전에 수신자인 상대방의 통화상태를 알 수 없어, 통화를 해 본 후에야 안내 멘트를 통해서 수신자의 전화 통신상태를 알게 되어 불필요한 통화가 난발 된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해당기술분야에 있어서는 상대방의 이동통신단말번호를 누르거나 이동통신단말번호를 검색시 자동으로 상대방에 대한 통화 가능상태를 알려주도록 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관련기술문헌]
1. 통화전 수신자 상태알림(특허출원번호 제10-2009-0124297호)
2. 통화전 발신자 위치 알림 방법(특허출원번호 10-2007-0116416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신인에게 전화를 걸어보기 전에 수신인이 통화가능. 통화중, 그리고 이동통신단말의 전원이 꺼져 있는 등의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시스템 및 상태 알림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통화를 위해 수신자 통화버튼을 입력하여 확인해 볼 필요없이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번호의 직접 입력, 검색 입력, 통화 목록을 통한 확인시, 직접적으로 통화 가능 상태를 UI화면으로 출력하도록 하기 위한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시스템 및 상태 알림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시스템은, 수신자의 사용상태정보 설정에 따라 상기 수신자에 해당하는 이동통신단말로의 통화 요청 전에 상기 수신자의 사용상태정보에 따라 통화 시도 여부를 상태정보서버의 조회를 통해 결정하는 수신자 상태 알림 시스템에 있어서, 발신자에 해당하는 이동통신단말은, 상기 발신자에 의한 검색메뉴 방식 또는 직접 수신자 번호 입력방식으로 상기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번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입력/검색모듈; 및 상기 검색메뉴 방식 또는 상기 직접입력 방식으로 상기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번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통화 목록이 호출되면, 상기 통화 목록에 해당하는 이동통신단말번호를 추출하는 상태수신/처리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상태수신/처리모듈은, 상기 상태정보서버에 액세스하여 상기 추출된 이동통신단말번호에 해당하는 수신상태정보를 반환받아 출력한 뒤, 상기 발신자에 의한 상기 추출된 이동통신단말번호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선택신호에 해당하는 이동통신단말번호의 수신상태정보가 통화가능으로 설정된 있는 경우에만 상기 이동통신단말번호에 해당하는 이동통신단말로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상태수신/처리모듈은, 상기 검색메뉴 방식 또는 상기 직접입력 방식으로 상기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번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번호를 UI화면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상태수신/처리모듈은, 상기 검색메뉴 방식 또는 상기 직접입력 방식으로 입력된 상기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번호를 상기 상태정보서버로 전송하여 수신상태정보를 반환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상태수신/처리모듈은, 상기 검색메뉴 방식 또는 상기 직접입력 방식으로 입력된 수신자의 수신상태정보가 통화가능으로 설정된 있는 경우에만 상기 이동통신단말번호에 해당하는 이동통신단말로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신상태정보는 통화중, 통화가능, 전원꺼짐, 비지니스 모드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으며, 상기 비지니스 모드는 운전중, 회의중, 수업중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시스템에 있어서, 수신자의 사용상태정보 설정에 따라 상기 수신자에 해당하는 이동통신단말로의 통화 요청 전에 상기 수신자의 사용상태정보에 따라 통화 시도 여부를 상태정보서버의 조회를 통해 결정하는 수신자 상태 알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에 해당하는 이동통신단말은, 상기 수신자가 수신상태정보 변경요청 입력에 따라, 수신상태정보 모드 선택을 위한 UI화면을 구현하는 입력/검색모듈; 및 상기 수신상태정보 모드 선택을 위한 UI화면상에 구현된 비지니스 모드에 대한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 뒤, 상기 비지니스 모드에 대한 선택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비지니스 모드 중 운전중, 회의중 및 수업중에서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를 입력받는 상태설정/처리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상태설정/처리모듈은, 상기 운전중, 회의중 및 수업중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 입력에 따라 상기 운정중, 회의중 및 수업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상태정보서버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상태설정/처리모듈은, 상기 비지니스 모드에 대한 선택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의 배터리에 대한 배터리 상태 체크를 통해 구동가능한 잔여시간을 연산하여 연산된 잔여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하일 경우, "전원꺼짐"으로 수신상태정보를 설정한 뒤, 전원꺼짐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상태정보서버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상태설정/처리모듈은, 이동통신망과의 송수신상태를 체크하여 통화중이거나 데이터송수신이라고 판단한 경우, "통화중"으로 수신상태정보를 설정한 뒤, 통화중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상태정보서버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상태설정/처리모듈은, 상기 전원꺼짐이나, 상기 통화중으로 판단하지 않은 경우, "통화가능"으로 수신상태정보를 설정한 뒤, 통화가능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상태정보서버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방법은, 제 1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제 1 이동통신단말의 사용자에 의한 검색메뉴 방식 또는 직접 수신자 번호 입력방식으로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번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검색메뉴 방식 또는 상기 직접입력 방식으로 상기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번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통화 목록이 호출되면, 상기 통화 목록에 해당하는 이동통신단말번호를 추출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1 이동통신단말이, 상태정보서버에 액세스하여 상기 추출된 이동통신단말번호에 해당하는 수신상태정보를 반환받아 출력한 뒤, 상기 제 1 이동통신단말의 사용자에 의한 상기 추출된 이동통신단말번호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를 입력받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1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선택신호에 해당하는 이동통신단말번호의 수신상태정보가 통화가능으로 설정된 있는 경우에만 상기 이동통신단말번호에 해당하는 이동통신단말로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제 1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검색메뉴 방식 또는 상기 직접입력 방식으로 상기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번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번호를 UI화면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제 1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검색메뉴 방식 또는 상기 직접입력 방식으로 입력된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번호를 상기 상태정보서버로 전송하여 수신상태정보를 반환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제 1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검색메뉴 방식 또는 상기 직접입력 방식으로 입력된 수신자의 수신상태정보가 통화가능으로 설정된 있는 경우에만 상기 이동통신단말번호에 해당하는 이동통신단말로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상태정보는 통화중, 통화가능, 전원꺼짐, 비지니스 모드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으며, 상기 비지니스 모드는 운전중, 회의중, 수업중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방법에 있어서, 제 2 이동통신단말의 사용자가 수신상태정보 변경요청을 상기 제 2 이동통신단말로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 2 이동통신단말이 수신상태정보 모드 선택을 위한 UI화면을 구현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2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수신상태정보 모드 선택을 위한 UI화면상에 구현된 비지니스 모드에 대한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상기 비지니스 모드에 대한 선택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 2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비지니스 모드 중 운전중, 회의중 및 수업중에서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를 입력받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2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운전중, 회의중 및 수업중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 입력에 따라 상기 운정중, 회의중 및 수업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상태정보서버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비지니스 모드에 대한 선택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 2 이동통신단말이, 배터리에 대한 배터리 상태 체크를 통해 구동가능한 잔여시간을 연산하여 연산된 잔여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하일 경우, "전원꺼짐"으로 수신상태정보를 설정한 뒤, 전원꺼짐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상태정보서버로 전송하는 단계(a);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방법은, 상기 단계(a) 이후, 상기 제 2 이동통신단말이, 이동통신망과의 송수신상태를 체크하여 통화중이거나 데이터송수신이라고 판단한 경우, "통화중"으로 수신상태정보를 설정한 뒤, 통화중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상태정보서버로 전송하는 단계(b);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방법은, 상기 단계(b) 이후, 상기 제 2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단계(a)의 전원꺼짐이나, 상기 단계(b)의 통화중으로 판단하지 않은 경우, "통화가능"으로 수신상태정보를 설정한 뒤, 통화가능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상태정보서버로 전송하는 단계(c);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시스템 및 상태 알림 방법은, 통화 전 수신자의 통화 가능 상태를 발신자에게 알려줌으로써, 불필요하게 수신자에게 전화를 걸어 시간을 낭비하지 않아도 되고 통신사는 불필요한 전화 사용량이 줄도록 하여 망 부하를 낮출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시스템 및 상태 알림 방법은, 수신자에게 전화를 걸어보기 전에 수신인이 통화가능. 통화중, 그리고 이동통신단말의 전원이 꺼져 있는지 여부, 그리고 비지니스 상태인지 여부 등의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시스템 및 상태 알림 방법은, 통화를 위해 수신자 통화버튼을 입력하여 확인해 볼 필요없이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번호의 직접 입력, 검색 입력, 통화 목록을 통한 확인시, 직접적으로 통화 가능 상태를 UI화면으로 출력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제 1 이동통신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제 1 이동통신단말에 구현된 UI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방법에서 수신상태 설정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방법에서 수신상태정보 수신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시스템은 제 1 이동통신단말(10), 이동통신망(20), 제 2 이동통신단말(30), 그리고 상태정보서버(40)를 포함한다.
제 1 이동통신단말(10) 및 제 2 이동통신단말(30)은 이동통신망(20)을 통해 수신자 상태 알림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로, 본 발명에서 음성통화 송수신의 경우 설명의 편의에 따라 각각이 발신단말 및 수신단말로 사용가능하다.
이동통신망(20)은 제 1 이동통신단말(10) 측의 제 1 기지국(1a)과 제 1 교환기(2a), 그리고 제 2 이동통신단말(30) 측의 제 2 기지국(1b)과 제 2 교환기(2b)을 통해 제 1 이동통신단말(10) 및 제 2 이동통신단말(30) 간의 음성 통화 및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이동통신망(20)은 2G에 국한되지 않으며 뿐만 아니라, 3G, 4G 그 밖의 차세대 통합 통신망으로 변형가능하다.
상태정보서버(40)는 제 1 이동통신단말(10) 및 제 2 이동통신단말(30)을 포함하는 수신자 상태 알림 서비스에 가입한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이동통신망(20)을 통해 주기적으로 수신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 뒤, 제 1 이통통신단말(10)에서 제 2 이동통신단말(30)로의 통화 전 제 2 이동통신단말(30)의 수신상태정보를 제 1 이동통신단말(10)로 전송함으로써 불필요한 통화 요청에 따른 이동통신망(20)의 망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도 2는 도 1의 제 1 이동통신단말(1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제 1 이동통신단말(10)에 구현된 UI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이하 설명하도록 하며, 제 1 이동통신단말(10)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제 2 이동통신단말(30)로 변형하여 구현가능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이동통신단말(10)를 기준으로 수신단말에서 수행되는 후술할 수신상태 설정모드에 대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와 같이 제 1 이동통신단말(10)은 입출력부(11), 송수신부(12), MPU(13), 저장부(14), 입력/검색모듈(15), 상태설정/처리모듈(16), 상태수신/처리모듈(17), 그리고 배터리(18)를 포함한다.
입출력부(11)은 키입력부와 표시부로 구분되어 형성되거나 터치 모듈을 구비하여 출력에 따른 입력이 터치 입력으로 가능한 입력부 및 출력부가 하나로 통합된 터치 스크린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수신부(12)는 이동통신망(20)을 통해 제 2 이동통신단말(30), 상태정보서버(40), 그 밖의 단말 및 시스템 간의 음성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 유닛이다.
MPU(13)는 배터리(18)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입출력부(11), 송수신부(12), 그리고 저장부(14)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수신상태 설정모드와 수신상태정보 수신모드를 입출력부(11)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선택된 모드에 따라 입력/검색모듈(15), 상태설정/처리모듈(16), 그리고 상태수신/처리모듈(17)이 선택적으로 실행되도록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도 2 상에서 제 1 이동통신단말(10)이 수신단말일 경우에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수신상태 설정모드와, 제 1 이동통신단말(20)이 발신단말일 경우에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수신상태정보 수신모드로 구분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 1 실시예: 수신상태 설정모드>
입력/검색모듈(15)은 제 1 이동통신단말(10)의 사용자가 수신상태정보 변경요청을 입출력부(11)로 입력하면, 수신상태정보 모드 선택을 위한 UI화면을 입출력부(11)로 구현한다.
상태설정/처리모듈(16)은 수신상태정보 모드 선택을 위한 UI화면상에 구현된 비지니스 모드에 대한 선택 신호가 입출력부(11)를 통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태설정/처리모듈(16)은 비지니스 모드에 대한 선택 신호가 입력된 경우, 비지니스 모드 중 운전중, 회의중 및 수업중에 대한 선택 입력 화면을 입출력부(11)로 구현한 뒤,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를 입력받는다.
상태설정/처리모듈(16)은 선택신호에 따른 수신상태정보인 운전중, 회의중 및 수업중 중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를 통신망(20)을 통해 상태정보서버(4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12)를 제어한다.
한편, 상태설정/처리모듈(16)은 비지니스 모드에 대한 선택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배터리(18)에 대한 배터리 상태 체크를 통해 구동가능한 잔여시간을 연산하여 연산된 잔여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하일 경우, "전원꺼짐"으로 수신상태정보를 설정한 뒤, 설정된 수신상태정보를 이동통신망(20)을 통해 상태정보서버(4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12)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태설정/처리모듈(16)은 이동통신망(20)과의 송수신상태를 체크하여 통화중이거나 데이터송수신 중이라고 판단한 경우, "통화중"으로 수신상태정보를 설정한 뒤, 설정된 수신상태정보를 이동통신망(20)을 통해 상태정보서버(4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12)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술한 전원꺼짐과 통화중은 중첩적인 수신상태정보로 설정가능하나, 본 발명에서는 전원꺼짐이라고 판단된 경우 상술한 통화중의 판단은 실질적으로 수행하나 수신상태정보는 전원꺼짐으로 설정되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태설정/처리모듈(16)은 상술한 처리 프로세스를 통해 수신상태정보가 전원꺼짐이나, 통화중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 최종적으로 "통화가능"으로 수신상태정보를 설정한 뒤, 설정된 수신상태정보를 이동통신망(20)을 통해 상태정보서버(4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12)를 제어한다.
<제 2 실시예: 수신상태정보 수신모드>
입력/검색모듈(15)은 제 1 이동통신단말(10)의 사용자가 수신자 상태 알림 어플리케이션(APP)를 실행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검색메뉴 방식이나 직접 수신자 번호 입력방식으로 수신자에 해당하는 이동통신단말번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태수신/처리모듈(17)은 검색메뉴 방식이나 직접입력 방식으로 수신자에 해당하는 이동통신단말번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통화키 입력에 따른 통화 목록이 호출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화 목록의 이동통신단말번호를 추출한다.
상태수신/처리모듈(17)은 이동통신망(20)을 통해 상태정보서버(40)에 액세스하여 추출된 이동통신단말번호에 해당하는 수신상태정보를 반환받아 입출력부(11)에 출력한 뒤, 추출된 이동통신단말번호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를 입출력부(11)를 통해 입력받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추출된 이동통신단말번호에 해당하는 수신상태정보를 받환받아 입출력부(11)로 출력된 상태는 도 3과 같을 수 있다. 이 경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 목록상의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번호를 대체하는 성명과, 통화중, 전원꺼짐(꺼져있음) 및 통화가능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수신상태정보로 입출력부(11)에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3(b)와 같이, 수신상태 설정모드에서 수신자에 의해 비지니스 모드가 설정된 경우, 통화 목록상의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번호를 대체하는 성명과 통화중, 전원꺼짐(꺼져있음) 및 비지니스 모드(운전중, 회의중 및 수업중)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수신상태정보로 입출력부(11)에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태수신/처리모듈(17)은 검색메뉴 방식이나 직접입력 방식으로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번호가 입력된 경우, 입력된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번호를 입출력부(11)를 통해 UI화면으로 구현한 뒤, 입력된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번호를 이동통신망(20)을 통해 상태정보서버(40)로 전송하여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번호에 해당하는 수신상태정보를 수신 후 입출력부(11)를 통해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태수신/처리모듈(17)은 입출력부(11)를 통해 상태정보서버(40)로부터 수신된 수신상태정보를 이동통신단말번호에 매칭하여 출력한 뒤, 제 1 이동통신단말(10)의 사용자의 해당 이동통신단말번호로의 통화요청에 따라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번호의 수신상태정보가 통화가능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입출력부(11)를 통해 수신된 수신상태정보가 이동통신단말번호와 매칭되어 출력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특히 도 4(b)는 수신자가 비지니스 모드로 설정한 경우의 UI화면을 나타낸다.
상태수신/처리모듈(17)은 판단 결과 수신상태정보가 통화가능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로부터 통화연결 수락 UI화면 상으로의 요청신호가 입력된 경우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번호에 해당하는 이동통신단말로 통화 연결을 수행하도록 송수신부(12)를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방법에서 수신상태 설정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제 2 이동통신단말(30)을 수신단말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 2 이동통신단말(30)의 사용자가 수신상태정보 변경요청을 제 2 이동통신단말(30)로 입력하면(S51), 제 2 이동통신단말(30)은 수신상태정보 모드 선택을 위한 UI화면을 구현한다(S52).
단계(S2) 이후, 제 2 이동통신단말(30)은 수신상태정보 모드 선택을 위한 UI화면상에 구현된 비지니스 모드에 대한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3).
단계(S53)에 따라 비지니스 모드에 대한 선택 신호가 입력된 경우, 제 2 이동통신단말(30)은 비지니스 모드 중 운전중, 회의중 및 수업중에서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를 입력받는다(S54).
단계(S54) 이후, 제 2 이동통신단말(30)은 수신상태정보로 단계(S54)에서의 선택신호에 따라 운전중, 회의중 및 수업중 중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를 통신망(20)을 통해 상태정보서버(40)로 전송한다.
한편, 단계(S53)의 판단에 따라 비지니스 모드에 대한 선택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제 2 이동통신단말(30)은 배터리에 대한 배터리 상태 체크를 통해 구동가능한 잔여시간을 연산하여 연산된 잔여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하일 경우, "전원꺼짐"으로 수신상태정보를 설정한 뒤, 설정된 수신상태정보를 이동통신망(20)을 통해 상태정보서버(40)로 전송한다(S55).
한편, 단계(S55) 이후, 제 2 이동통신단말(30)은 이동통신망(20)과의 송수신상태를 체크하여 통화중이거나 데이터송수신이라고 판단한 경우, "통화중"으로 수신상태정보를 설정한 뒤, 설정된 수신상태정보를 이동통신망(20)을 통해 상태정보서버(40)로 전송한다(S56). 상술한 바와 같이, 전원꺼짐과 통화중은 중첩적인 수신상태정보로 설정가능하나, 본 발명에서는 전원꺼짐이라고 판단된 경우 단계(S55)의 통화중의 판단은 실질적으로 수행하나 수신상태정보는 전원꺼짐으로 설정되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56) 이후, 제 2 이동통신단말(30)은 단계(S55)의 전원꺼짐이나, 통화중이 아닌 경우, "통화가능"으로 수신상태정보를 설정한 뒤, 설정된 수신상태정보를 이동통신망(20)을 통해 상태정보서버(40)로 전송한다(S57).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방법에서 수신상태정보 수신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제 1 이동통신단말(10)을 발신단말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 1 이동통신단말(10)은 수신자 상태 알림 어플리케이션(APP)를 실행한다(S61).
단계(S61) 이후, 제 1 이동통신단말(10)은 사용자에 의한 검색메뉴를 통하거나 직접 수신자 번호 입력방식으로 수신자에 해당하는 이동통신단말번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2).
단계(S62)의 판단에 따라 검색메뉴를 통하거나 직접입력 방식으로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번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제 1 이동통신단말(10)은 통화키 입력에 따른 통화 목록이 호출되면(S63),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화 목록의 이동통신단말번호를 추출한다(S64).
이에 따라, 제 1 이동통신단말(10)은 이동통신망(20)을 통해 상태정보서버(40)에 액세스하여 추출된 이동통신단말번호에 해당하는 수신상태정보를 반환받아 출력한 뒤, 제 1 이동통신단말(10)의 사용자에 의한 추출된 이동통신단말번호에 해당하는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를 입력받는다(S65).
한편, 단계(S62)의 판단에 따라 검색메뉴 방식에 의하거나 직접입력 방식으로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번호가 입력된 경우, 제 1 이동통신단말(10)은 입력된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번호를 UI화면으로 구현한다(S66). 여기서 검색메뉴 방식은 초성검색, 성별검색, 이름검색 등에 의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방식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단계(S66) 이후, 제 1 이동통신단말(10)은 입력된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번호를 이동통신망(20)을 통해 상태정보서버(40)로 전송하여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번호에 해당하는 수신상태정보를 수신 후 출력한다(S67).
단계(S65) 또는 단계(S67) 이후, 제 1 이동통신단말(10)은 단계(S65)에서 선택신호에 해당하는 이동통신단말번호의 수신상태정보 또는 단계(S67)에서 수신된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번호의 수신상태정보가 통화가능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8).
단계(S68)의 판단에 따라 통화가능으로 판단된 경우, 제 1 이동통신단말(10)은 통화연결 수락 UI화면을 출력하여 사용자로부터 요청신호가 입력된 경우 단계(S68)에서의 이동통신단말번호에 해당하는 이동통신단말로 통화 연결을 수행한다(S69).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제 1 이동통신단말
11: 입출력부
12: 송수신부
13: MPU
14: 저장부
15: 입력/검색모듈
16: 상태설정/처리모듈
17: 상태수신/처리모듈
18: 배터리
20: 이동통신망
30: 제 2 이동통신단말
40: 상태정보서버

Claims (18)

  1. 수신자의 사용상태정보 설정에 따라 상기 수신자에 해당하는 이동통신단말로의 통화 요청 전에 상기 수신자의 사용상태정보에 따라 통화 시도 여부를 상태정보서버의 조회를 통해 결정하는 수신자 상태 알림 시스템에 있어서, 발신자에 해당하는 이동통신단말은,
    상기 발신자에 의한 검색메뉴 방식 또는 직접 수신자 번호 입력방식으로 상기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번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입력/검색모듈; 및
    상기 검색메뉴 방식 또는 상기 직접입력 방식으로 상기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번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통화 목록이 호출되면, 상기 통화 목록에 해당하는 이동통신단말번호를 추출하는 상태수신/처리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상태수신/처리모듈은, 상기 상태정보서버에 액세스하여 상기 추출된 이동통신단말번호에 해당하는 수신상태정보를 반환받아 출력한 뒤, 상기 발신자에 의한 상기 추출된 이동통신단말번호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선택신호에 해당하는 이동통신단말번호의 수신상태정보가 통화가능으로 설정된 있는 경우에만 상기 이동통신단말번호에 해당하는 이동통신단말로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태수신/처리모듈은,
    상기 검색메뉴 방식 또는 상기 직접입력 방식으로 상기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번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번호를 UI화면으로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태수신/처리모듈은,
    상기 검색메뉴 방식 또는 상기 직접입력 방식으로 입력된 상기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번호를 상기 상태정보서버로 전송하여 수신상태정보를 반환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태수신/처리모듈은,
    상기 검색메뉴 방식 또는 상기 직접입력 방식으로 입력된 수신자의 수신상태정보가 통화가능으로 설정된 있는 경우에만 상기 이동통신단말번호에 해당하는 이동통신단말로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시스템.
  5.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신상태정보는 통화중, 통화가능, 전원꺼짐, 비지니스 모드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으며, 상기 비지니스 모드는 운전중, 회의중, 수업중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시스템.
  6. 수신자의 사용상태정보 설정에 따라 상기 수신자에 해당하는 이동통신단말로의 통화 요청 전에 상기 수신자의 사용상태정보에 따라 통화 시도 여부를 상태정보서버의 조회를 통해 결정하는 수신자 상태 알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에 해당하는 이동통신단말은,
    상기 수신자가 수신상태정보 변경요청 입력에 따라, 수신상태정보 모드 선택을 위한 UI화면을 구현하는 입력/검색모듈; 및
    상기 수신상태정보 모드 선택을 위한 UI화면상에 구현된 비지니스 모드에 대한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 뒤, 상기 비지니스 모드에 대한 선택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비지니스 모드 중 운전중, 회의중 및 수업중에서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를 입력받는 상태설정/처리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상태설정/처리모듈은, 상기 운전중, 회의중 및 수업중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 입력에 따라 상기 운정중, 회의중 및 수업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상태정보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상태설정/처리모듈은,
    상기 비지니스 모드에 대한 선택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의 배터리에 대한 배터리 상태 체크를 통해 구동가능한 잔여시간을 연산하여 연산된 잔여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하일 경우, "전원꺼짐"으로 수신상태정보를 설정한 뒤, 전원꺼짐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상태정보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상태설정/처리모듈은,
    이동통신망과의 송수신상태를 체크하여 통화중이거나 데이터송수신이라고 판단한 경우, "통화중"으로 수신상태정보를 설정한 뒤, 통화중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상태정보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상태설정/처리모듈은,
    상기 전원꺼짐이나, 상기 통화중으로 판단하지 않은 경우, "통화가능"으로 수신상태정보를 설정한 뒤, 통화가능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상태정보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시스템.
  10. 제 1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제 1 이동통신단말의 사용자에 의한 검색메뉴 방식 또는 직접 수신자 번호 입력방식으로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번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검색메뉴 방식 또는 상기 직접입력 방식으로 상기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번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통화 목록이 호출되면, 상기 통화 목록에 해당하는 이동통신단말번호를 추출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1 이동통신단말이, 상태정보서버에 액세스하여 상기 추출된 이동통신단말번호에 해당하는 수신상태정보를 반환받아 출력한 뒤, 상기 제 1 이동통신단말의 사용자에 의한 상기 추출된 이동통신단말번호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를 입력받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1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선택신호에 해당하는 이동통신단말번호의 수신상태정보가 통화가능으로 설정된 있는 경우에만 상기 이동통신단말번호에 해당하는 이동통신단말로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제 1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검색메뉴 방식 또는 상기 직접입력 방식으로 상기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번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번호를 UI화면으로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제 1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검색메뉴 방식 또는 상기 직접입력 방식으로 입력된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번호를 상기 상태정보서버로 전송하여 수신상태정보를 반환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제 1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검색메뉴 방식 또는 상기 직접입력 방식으로 입력된 수신자의 수신상태정보가 통화가능으로 설정된 있는 경우에만 상기 이동통신단말번호에 해당하는 이동통신단말로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방법.
  14.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신상태정보는 통화중, 통화가능, 전원꺼짐, 비지니스 모드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으며, 상기 비지니스 모드는 운전중, 회의중, 수업중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시스템.
  15. 제 2 이동통신단말의 사용자가 수신상태정보 변경요청을 상기 제 2 이동통신단말로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 2 이동통신단말이 수신상태정보 모드 선택을 위한 UI화면을 구현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2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수신상태정보 모드 선택을 위한 UI화면상에 구현된 비지니스 모드에 대한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상기 비지니스 모드에 대한 선택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 2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비지니스 모드 중 운전중, 회의중 및 수업중에서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를 입력받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2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운전중, 회의중 및 수업중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 입력에 따라 상기 운정중, 회의중 및 수업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상태정보서버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비지니스 모드에 대한 선택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 2 이동통신단말이, 배터리에 대한 배터리 상태 체크를 통해 구동가능한 잔여시간을 연산하여 연산된 잔여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하일 경우, "전원꺼짐"으로 수신상태정보를 설정한 뒤, 전원꺼짐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상태정보서버로 전송하는 단계(a);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단계(a) 이후,
    상기 제 2 이동통신단말이, 이동통신망과의 송수신상태를 체크하여 통화중이거나 데이터송수신이라고 판단한 경우, "통화중"으로 수신상태정보를 설정한 뒤, 통화중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상태정보서버로 전송하는 단계(b);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단계(b) 이후,
    상기 제 2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단계(a)의 전원꺼짐이나, 상기 단계(b)의 통화중으로 판단하지 않은 경우, "통화가능"으로 수신상태정보를 설정한 뒤, 통화가능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상태정보서버로 전송하는 단계(c);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방법.
KR1020110136440A 2011-12-16 2011-12-16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시스템 및 상태 알림 방법 KR201300689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6440A KR20130068956A (ko) 2011-12-16 2011-12-16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시스템 및 상태 알림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6440A KR20130068956A (ko) 2011-12-16 2011-12-16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시스템 및 상태 알림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956A true KR20130068956A (ko) 2013-06-26

Family

ID=48864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6440A KR20130068956A (ko) 2011-12-16 2011-12-16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시스템 및 상태 알림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895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67320C (zh) 紧急呼叫系统以及其控制方法
KR101437565B1 (ko) 푸쉬 메시지의 신뢰성 판단을 위한 메시징 시스템
US9609126B2 (en) User device detection and integration for an IVR system
JP2005136968A (ja) モバイル・トゥー・モバイル・ビデオ機能をネットワークに提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8582745B1 (en) Simultaneous mutual call handling
EP2991326B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cessing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CN101964847A (zh) 一种基于手机的短信自动回复方法及手机
CN104243680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10105390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아엠피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475857B1 (ko) 발신측 제어 착신 벨소리 전환 출력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67804B1 (ko) 스마트폰 통화 연결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416967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KR20130068956A (ko) 통화 전 수신자 상태 알림 시스템 및 상태 알림 방법
KR100589438B1 (ko) Sms 자동 응답 서비스 방법
KR20060016426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관리 방법
KR20050018912A (ko) 단말기의 단문 메세지를 이용한 변경전화번호 안내 서비스제공 시스템
KR101673324B1 (ko)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066411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012238B1 (ko)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102459415B1 (ko) 상황별 전화 수신차단 시간설정 및 안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22887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문자메시지 수신 확인방법
CN102055841A (zh) 来电处理方法及使用该方法的通信装置
CN201590846U (zh) 一种移动通信终端
KR10081924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개수 표시 방법
CN108463985A (zh) 一种通话处理方法、终端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