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8572A - 다기능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기능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8572A
KR20130068572A KR1020110135855A KR20110135855A KR20130068572A KR 20130068572 A KR20130068572 A KR 20130068572A KR 1020110135855 A KR1020110135855 A KR 1020110135855A KR 20110135855 A KR20110135855 A KR 20110135855A KR 20130068572 A KR20130068572 A KR 20130068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service
unit
service
broadcast
proces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5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수
정연준
김광용
김성희
김영일
조철회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35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8572A/ko
Publication of KR20130068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85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1Rights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로, 둘 이상의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튜너를 내장하여 수신된 방송 서비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전처리부와; 상기 전처리부에서 출력된 디지털 신호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미디어 처리부와; 상기 디지털 미디어 처리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영상/음성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기능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Multi-Function Broadcast Service}
본 발명은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기능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셋톱 박스는 네트워크 또는 위성을 통하여 전송되는 다채널의 다양한 TV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TV 수신기에 전송해주는 장치이다. 셋톱 박스는 MPEG 등과 같은 동영상 압축 표준에 따라 압축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압축 이전의 상태로 복원시키고, 복원된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여 NTSC 신호로 변환시켜 TV 수신기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디지털 TV 수신기의 보급이 증가하고 디지털 방송 콘텐츠가 증가함에 따라, 셋톱 박스의 보급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단순히 디지털 방송 데이터의 수신 및 복호 뿐만 아니라, 댁내 호스트 기능, PVR 기능 등 다양한 부가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로 개발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또한, 다양한 외부 통신망과의 신호 송수신을 통한 멀티미디어 정보의 사용이 급증하면서 신호 송수신 및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셋톱 박스의 사용이 급증하고, 위성방송, 케이블방송, 인터넷 접속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셋톱박스가 개발되고 있다.
사용자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각 서비스에 상응하는 각종의 셋톱박스를 구입하여 사용한다. 이는 사용자에게 비용적 부담이 될 뿐만 아니라, 공간적으로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모바일 기기의 등장으로 TV, PC 및 모바일 기기 등 다수의 전자제품 화면에서 동일한 콘텐츠의 이용이 제한된다. 또한 각종 기기들이 서로 콘텐츠를 공유하는데 제약이 있다. 이종 서비스 융합을 통한 대화형 미디어, 유무선 고속화 및 통합화를 통한 유비쿼터스 미디어와 개인형 및 참여형 미디어 서비스로의 진화되고 있으나, 현재의 셋톱박스는 이러한 이종 서비스 융합을 제공하는데 제약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방송 멀티미디어 신호와 데이터를 사용자 요구에 따라 송수신할 수 있는 다기능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기능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로, 둘 이상의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튜너를 내장하여 수신된 방송 서비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전처리부와; 상기 전처리부에서 출력된 디지털 신호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미디어 처리부와; 상기 디지털 미디어 처리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영상/음성 출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기능 방송 서비스 수신 방법으로, 둘 이상의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튜너를 내장하여 수신된 방송 서비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신호를 디코딩하는 단계와, 상기 디코딩된 방송 서비스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외부 방송 통신망용 튜너를 다기능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에 내장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서비스를 수신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단말 등의 장치로 분배하여, 각각의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하여 각각 별도의 셋톱박스를 구입하는 것보다 비용과 공간적인 측면에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TV, PC 및 모바일 기기 등의 전자 제품에서 동일한 방송 서비스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으며, 각종 기기들이 서로 콘텐츠를 공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종 서비스 융합을 통한 대화형 미디어, 유무선 고속화 및 통합화를 통한 유비쿼터스 미디어와 개인형 및 참여형 미디어 서비스와 같은 이종 서비스 융합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의 전처리부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디지털 미디어 처리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영상/음성 출력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서비스 분배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방송 서비스 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 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충분히 변형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 용어들의 정의는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기능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10)는 전처리부(20), 디지털 미디어 처리부(30), 영상/음성 출력부(4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부가적으로 표시부(50), 서비스 분배부(60), 스마트 카드 접속부(70) 및 인터페이스부(80)를 포함한다.
전처리부(20)는 IPTV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방송 및 지상파 방송 서비스 중 둘 이상을 수신할 수 있는 튜너가 내장되어 수신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처리한다. 전처리부(20)는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RF 수신 신호를 IF(중간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여 디지털 미디어 처리부(30)로 공급한다.
디지털 미디어 처리부(30)는 전처리부(20)의 신호를 전달받아 디코딩하여 출력한다. 즉, 디지털 미디어 처리부(30)는 전처리부(20)에서 전달된 신호를 복조하고, 역다중화하여 영상 및 음성 신호로 분리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단말 장치의 리소스에 따라 재생할 수 있는 영상 품질로 변환한다.
영상/음성 출력부(40)는 디지털 미디어 처리부(30)의 영상/음성을 외부 재생장치로 출력한다. 영상/음성 출력부(40)는 디지털 미디어 처리부(30)에서 분리되어 전달되는 영상/음성 신호를 디코딩하여 외부 TV 등의 영상/음성 재생기기로 전달한다.
표시부(50)는 다기능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10)의 수신 서비스, 채널번호, 현재시간 등을 표시한다. 표시부(50)는 다기능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10)에서 수신되는 방송 서비스 종류, 선택된 채널 번호, 현재 시간 등의 동작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서비스 분배부(60)는 디지털 미디어 처리부(30)의 처리 영상/음성을 사용자가 원하는 단말 장치로 유무선 전송한다. 서비스 분배부(60)는 사용자가 원하는 단말장치로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하여 디지털 미디어 처리부(30)에서 처리된 영상/음성을 유무선 전송한다. 이때 유선은 이더넷 등을 사용하여 전송한다. 또한, 무선 연결은 사용자 단말장치에 구비된 무선 기능을 이용하며 무선랜, WiBro 등을 사용하여 전송한다.
스마트 카드 접속부(70)는 다기능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10) 자체 기기 및 사용자 인증과 디스크램블링 키 제공을 위한 스마트카드와의 연결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스마트 카드 접속부(70)는 방송 서비스 가입자에 접근제어를 위하여 사용자별 방송 서비스 서버와 공유되는 마스터 키 제공, 그룹키 복호, 디스크램블 등의 CAS 기능의 실행을 지원한다.
인터페이스부(80)는 내장 메모리, 스토로지, 하드디스크, 리모컨 등의 외부 주변 장치와의 연결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인터페이스부(80)는 디지털 미디어 처리부(30)에서 발생하는 데이터의 저장이나 외부 장치(스토리지, 하드디스크, 키보드, 마우스 등)와의 연결, 다기능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10)를 제어하는 IR 등의 리모컨 연결 등을 위하여 연결 인터페이스(Serial/Parallel interface, SPI, USB, HDMI, TV out, 영상/음성 출력단자 등)를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의 전처리부의 내부 구성 블록도이다.
전처리부(20)는 이더넷 연결부(21), 동축 케이블 연결부(22), 위성방송 RF부(23) 및 지상파방송 RF부(24) 중 적어도 둘 이상을 포함한다.
이더넷 연결부(21)와, 동축 케이블 연결부(22)와, 위성방송RF부(23)와 지상파방송RF부(24)는 각각 수신된 IPTV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방송, 지상파방송을 수신하고 디지털 미디어 처리부(30)에서 처리할 수 있는 신호 대역으로 변환하여 디지털 미디어 처리부(30)로 공급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의 디지털 미디어 처리부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지털 미디어 처리부(30)는 RF부(31), 베이스밴드부(32), 트랜스코딩부(33), 수신 제한부(34), 하드웨어 제어부(35), 데이터버스 제어부(36), 메모리 관리부(37) 및 I/O 인터페이스 관리부(38)를 포함한다.
RF부(31)는 다기능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10)의 전처리부(20)의 RF 수신 및 처리를 위한 데이터 요청, 시그널링 메시지 처리 등의 제어를 수행한다. 베이스밴드부(32)는 RF부(31)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방송 서비스의 전달 프로토콜인 MPEG-TS 처리, 일반 데이터 패킷 처리, 서비스 제어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트랜스코딩부(33)는 베이스밴드부(32)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 장치의 리소스 제약과 전달 네트워크의 환경을 고려하여, 그에 상응하는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수신 제한부(34)는 방송 서비스 중에 유료 방송의 시청권한을 가진 사용자만이 특정 서비스 프로그램을 수신하도록 스마트카드 접속부(70)와 상호 연결되어 동작된다.
제어부(35)는 다기능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10)의 내장 및 연결 장치 관리와 운영, 상태 관리를 한다. 데이터버스 제어부(36)는 처리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하여 내부 데이터버스를 제어한다. 메모리 관리부(37)는 다기능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10)의 처리 데이터 및 제어용 값들을 저장하는데 필요한 메모리 부분을 관리한다. I/O 인터페이스 관리부(38)는 다기능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10)의 사용자 및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관리한다. I/O 인터페이스 관리부(38)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방송 서비스 선택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디지털 미디어 처리부(30)는 I/O 인터페이스 관리부(38)를 통해 입력된 방송 서비스 선택 정보에 따라 전처리부(20)에서 출력되는 방송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처리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의 영상/음성 출력부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영상/음성 출력부(40)는 비디오 코덱부(41) 및 오디오 코덱부(42)를 포함한다.
비디오 코덱부(41)는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인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비디오를 디코딩하여 외부 재생장치에서 재생할 수 있도록 비디오를 출력한다.
오디오 코덱부(42)는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인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오디오를 디코딩하여 외부 재생장치에서 재생할 수 있도록 오디오를 출력한다. 또한 다기능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10)의 제어나 음성 녹음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오디오를 처리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의 서비스 분배부의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비스 분배부(60)는 이더넷 연결부(61), 무선랜 연결부(62) 및 와이브로 연결부(63)를 포함한다.
이더넷 연결부(61)는 이더넷 통신을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로 방송 서비스를 소비할 수 있도록 연결한다. 무선랜 연결부(62)는 무선랜 통신을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장치로 방송 서비스를 소비할 수 있도록 연결한다. 와이브로 연결부(63)는 와이브로 통신을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장치로 방송 서비스를 소비할 수 있도록 연결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방송 서비스 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다기능 방송 수신 장치는 610 단계에서 서비스에 따라 각기 다른 외부 통신망과 방송 서비스 수신 및 제어 신호 송수신을 수행한다. 즉, 인터넷 방송 서비스, 케이블 방송 서비스, 위성 방송 서비스 및 지상파 방송 서비스 중 둘 이상의 방송 서비스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를 통해 둘 이상의 방송 서비스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다기능 방송 수신 장치는 62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를 통해 수신하는 방송 서비스 중에 사용자가 제공받고자 하는 서비스를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630 단계 또는 635 단계에서 다기능 방송 수신 장치는 사용자 단말 장치를 통해 입력된 선택 신호에 따라 선택된 서비스를 다기능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 내의 관련 블록을 동작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처리한다. 이때, 사용자의 요구로 다기능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가 수신한 서비스가 재생하려고 하는 단말 장치 리소스 및 네트워크의 상태에 따라 트랜스코딩 또는 디코딩한다.
640 단계에서 다기능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는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사용자의 단말장치 등의 수신 서비스 재생기기에 따라 처리된 신호를 분배한다. 즉, 이더넷 통신을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또는 무선랜 통신을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또는 와이브로 통신을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적합한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방송 서비스 중에 유료 방송의 시청권한을 가진 사용자만이 특정 서비스 프로그램을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할 수 있다.

Claims (13)

  1. 둘 이상의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튜너를 내장하여 수신된 방송 서비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전처리부와;
    상기 전처리부에서 출력된 디지털 신호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미디어 처리부와;
    상기 디지털 미디어 처리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영상/음성 출력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부는
    인터넷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이더넷 연결부와,
    케이블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동축 케이블 연결부와,
    위성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위성방송 무선부와;
    지상파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지상파방송 무선부 중 적어도 둘 이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미디어 처리부는
    상기 방송 서비스 중에 유료 방송의 시청권한을 가진 사용자만이 특정 서비스 프로그램을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수신 제한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미디어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 정보를 처리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관리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미디어 처리부는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관리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방송 서비스 선택 정보에 상응하는 방송 서비스를 디코딩하여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부에 의해 수신되는 수신 방송 서비스 정보, 채널 번호 및 상기 디지털 미디어 처리부에서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장치 표시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미디어 처리부의 처리된 방송 서비스 신호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서비스 분배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분배부는
    상기 이더넷 통신을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로 방송 서비스를 소비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이더넷 연결부와;
    상기 무선랜 통신을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로 방송 서비스를 소비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무선랜 연결부와;
    상기 와이브로 통신을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로 방송 서비스를 소비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와이브로 연결부 중 둘 이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
  9. 둘 이상의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튜너를 내장하여 수신된 방송 서비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신호를 디코딩하는 단계와,
    상기 디코딩된 방송 서비스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방송 서비스 수신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하는 단계는
    인터넷 방송 서비스, 케이블 방송 서비스, 위성 방송 서비스 및 지상파 방송 서비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방송 서비스 수신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 서비스 중에 유료 방송의 시청권한을 가진 사용자만이 특정 서비스 프로그램을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방송 서비스 수신 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방송 서비스 선택 정보에 상응하는 방송 서비스를 디코딩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방송 서비스 수신 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이더넷 통신을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또는 무선랜 통신을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또는 와이브로 통신을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적합한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방송 서비스 수신 방법.
KR1020110135855A 2011-12-15 2011-12-15 다기능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 및 방법 KR201300685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855A KR20130068572A (ko) 2011-12-15 2011-12-15 다기능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855A KR20130068572A (ko) 2011-12-15 2011-12-15 다기능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572A true KR20130068572A (ko) 2013-06-26

Family

ID=48864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5855A KR20130068572A (ko) 2011-12-15 2011-12-15 다기능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857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4813B2 (en) Multiple video content in a composite video stream
KR101556609B1 (ko) 송신장치, 수신장치, 이를 결합한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30042281A1 (en) Distribution of Over-the-Air Television Content to Remote Display Devices
US20030156218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multiplexing a plurality of channels in a multimedia system
US20090031419A1 (en) Multimedia system and server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US2002017827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media system
US20100132003A1 (en) Providing Wireless Pathway Adapter Support Via Set-Top Boxes
TW201136227A (en) Wireless transmission of data using an available channel of a spectrum
CN103024523A (zh) 一种基于机顶盒的电视节目共享方法和系统
US11265600B2 (en) Reception apparatus, reception method, transmiss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method for flexible simulcast operation
US20110126247A1 (en) Middleware bandwidth shifting
KR20070059851A (ko) 통합된 셋탑 기능을 갖는 홈서버 및 그 제어방법
US88751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 audio outputs
US20180270539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602954B1 (ko) 미디어 게이트웨이
US9502041B2 (e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pparatus for outputting audio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02946558A (zh) 一种智能手机接收广播数字电视的方法和装置
US9338503B2 (en) Decoding apparatus for a set top box
CN111886873B (zh) 用于处理视听流的方法和相应设备、电子组件、系统、计算机可读程序产品、和存储介质
KR20130068572A (ko) 다기능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 및 방법
CN218888576U (zh) 电视机主板和电视机
CN220087343U (zh) 系统级芯片、电视机主板和电视机
JP7249223B2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受信装置
JP7313940B2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送信装置
KR20030046733A (ko) 디지털방송 시청시스템 및 시청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