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8318A - 휴대단말기의 기능실행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기능실행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8318A
KR20130068318A KR1020110135358A KR20110135358A KR20130068318A KR 20130068318 A KR20130068318 A KR 20130068318A KR 1020110135358 A KR1020110135358 A KR 1020110135358A KR 20110135358 A KR20110135358 A KR 20110135358A KR 20130068318 A KR20130068318 A KR 20130068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ion
list
function
sequentially
communicati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5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화
신동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5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8318A/ko
Priority to US13/678,929 priority patent/US20130154926A1/en
Priority to CN2012105481668A priority patent/CN103164050A/zh
Publication of KR20130068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83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휴대단말기의 기능 실행방법이, 휴대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감지부로부터 움직임 감지시 움직임의 종류를 확인하는 과정과, 휴대단말기의 특정 움직임에 대응되어 적어도 두 개의 기능을 연속 수행하도록 복합 기능을 매핑한 움직임 매핑테이블에서 확인된 움직임 종류에 설정된 복합기능을 확인하는 과정과, 확인된 복합 기능을 순차적으로 연속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기능실행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FUNCTION OF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기능 실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기의 설정된 움직임에 의해 복수의 기능을 순차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휴대단말기는 다양한 종류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으며, 이런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복수의 입력 수단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입력수단은 휴대단말기의 외부 버튼, 터치스크린의 터치패널, 음성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미리 설정된 명령어(Pre-defined command)를 실행하기 입력 방법으로는 휴대단말기의 외부 버튼 이용하거나, 화면 내의 버튼을 이용하거나, 사용자의 목소리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리고 휴대단말기는 상기와 같은 입력으로 Short-cut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short-cut 기능은 특정 입력(버튼, 터치 또는 음성) 등을 이용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기능을 의미한다. 예를들어 특정 버튼에 A라는 기능을 설정한 경우, 해당 버튼을 누르는 동작으로 depth가 깊은 곳에 존재하는 기능 A를 실행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short-cut 기능은 한번의 입력으로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한 번의 동작으로 휴대단말기의 복합 기능을 순차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휴대단말기는 특정 동작에 복수 기능들을 미리 설정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동작(Motion)에 의해 휴대단말기는 미리 정의된 기능(predefine된 command)들을 순차적으로 자동 실행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기능 실행장치는, 기지국, 인터넷 및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휴대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감지부와, 휴대단말기의 특정 움직임에 대응되어 적어도 두 개의 기능을 연속 수행하도록 복합 기능을 매핑한 움직임 매핑테이블을 구비하는 메모리와, 상기 움직임감지부로부터 움직임 감지시 상기 움직임 매핑테이블에 상기 감지된 움직임에 설정된 복합기능을 확인하여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실행되는 기능을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기능 실행방법은, 휴대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감지부로부터 움직임 감지시 움직임의 종류를 확인하는 과정과, 휴대단말기의 특정 움직임에 대응되어 적어도 두 개의 기능을 연속 수행하도록 복합 기능을 매핑한 움직임 매핑테이블에서 상기 확인된 움직임 종류에 설정된 복합기능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복합 기능을 순차적으로 연속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기능 실행 방법은 사용자에 의한 동작에 의해 복수의 기능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므로써, 기능실행을 위한 접근을 빠르게 한다는 1차원적인 short-cut에 그치지 않고, 복수의 기능을 한 번의 동작으로 처리할 수 있다(1 motion to do multi-task). 따라서 본 발명을 통해 사용자 목표지점에 도달하기까지 short-cut과 사용자의 동작의 정황을 근거로 도움이 되는 부가 기능(sub function)을 함께 제공하여 더욱 smart한 device로 느낄 수 있는 사용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감지되는 움직임에 대응되어 설정된 복수의 기능들을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3a 및 도 3b는 단말의 특정 부위를 치는(tap 또는 touch) 동작으로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최근 정보로 업데이트(제1기능)하고 커서를 최상단으로 이동(제2기능)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단말이 록 스크린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휴대단말기에 탭을 한 상태로 일정 각도이상 회전시키는 동작으로 록 상태를 해제하면서(제1기능)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제2기능)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휴대단말기를 흔드는 동작으로 현재 실행중인 통신모드를 리프레시하고(제1기능) 최근 연결된 곳으로 자동연결(제2기능)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복합 기능들을 실행하는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움직임(동작, motion)을 감지하는 센서들을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 특정 움직임에 대하여 복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미리 설정하여 저장하고, 해당 움직임이 감지되면 설정된 복수의 기능들을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한 번의 동작에 의해 설정된 복수의 기능(1 motion to do multi function)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통신부120은 기지국 또는 다른 장치와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120은 송신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frequency up converter) 및 전력증폭하는 송신부와, 수신신호를 저잡음 증폭 및 주파수를 하강변환(frequency down converter)하는 수신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50은 변조부 및 복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변조부는 송신신호를 변조하여 송신부에 전달하며, 복조부는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한다. 이런 경우, 상기 변복조부는 LTE, WCDMA, GSM 등이 될 수 있으며, 또한 WIFI, WIBRO 등이 될 수 있고, NFC, Bluetooth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통신부120이 LTE, WIFI, bluetooh 통신부들을 구비한다고 가정한다.
제어부100은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특정 동작감지시 해당 동작에 설정된 복수의 기능들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도록 제어한다.
메모리110은 단말기의 동작 프로그램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단말기의 동작을 위한 테이블들 및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메모리1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특정 동작들에 대해 수행되는 복수의 기능들을 각각 저장하는 움직임 매핑 테이블들을 구비한다.
움직임감지부130은 휴대단말기의 움직임(motion)을 검출한다. 상기 움직임은 본 발명의 실시에 따라 복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입력으로 감지되는 특정 움직임들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움직임은 탭(tap), 회전(rotate), 흔들림(shake, swing) 등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움직임감지부130은 가속도센서 및/또는 지자기 센서 등이 될 수 있다.
입력부143은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터치패널이 될 수 있으며, 표시부145는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 및 이미지 등을 표시하는 LCD 또는 OLED 패널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부143 및 표시부145는 터치스크린140이 될 수 있다. 카메라150은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구동되어 이미지를 촬영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단말기에서 특정 동작을 수행하면 휴대단말기가 이를 감지하고, 해당 동작에 따라 미리 설정된 복합 기능을 순차적으로 처리한다. 이를 위하여 휴대단말기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움직임감지부130을 구비하여야 하며, 또한 사용자의 동작(휴대단말기의 움직임)에 대응되는 복합 기능을 미리 설정하여야 한다. 이때 상기 복합 기능은 휴대단말기 제조시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설정모드에서 원하는 기능을 설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메모리110은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서 실행할 복합 기능들을 설정된 움직임 매핑 테이블을 구비하여야 한다. 여기서 상기 동작(휴대단말기의 움직임)은 사용자가 휴대단말기를 일정 세기 이상으로 터치(touch, tap)하는 동작, 휴대단말기를 일정 각도 이상 회전시키는 동작(rotate), 휴대단말기를 일정 세기 이상으로 흔드는 동작(shake, swing)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현재 단말기의 상태에서 상기 메모리110의 움직임 매핑테이블에 설정된 복합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움직임 감지시 현재의 단말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메모리110의 움직임 매핑테이블에 설정된 복합 기능들을 확인하여 순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메모리110의 움직임 매핑테이블을 움직임 타입(motion type), 단말의 상태, 실행하여야 두 개 이상의 기능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휴대단말기 제조시 이런 기능들을 미리 설정하여 상기 메모리110의 움직임 매핑테이블에 등록된 것으로 가정되어 설명될 것이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의 설정모드에서 사용자가 특정 동작 및 이들 동작에 따른 복합 기능을 설정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감지되는 움직임에 대응되어 설정된 복수의 기능들을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메모리110의 움직임 매핑테이블은 단말의 움직임 타입에 따라 실행할 복합 기능들을 저장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휴대단말기에 특정 동작을 수행하면, 움직임감지부130은 상기 동작을 감지하여 제어부100에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움직임 감지부130은 가속도센서 및/또는 자이로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속도 센서(accelerometer)는 가속도를 감지하는 센서로써 외부의 진동, 충격량과 방향, 그리고 각도 변화 등을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자이로센서(gyro sensor)는 회전관성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회전각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면 휴대단말기에 가해지는 충격, 움직임, 회전 등을 감지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00은 211단계에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213단계에서 상기 움직임감지부130의 출력을 분석하여 움직임 타입을 분석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메모리110의 움직임 매핑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움직임 타입이 복합기능 설정을 위한 움직임인가 확인한다. 이때 복합 기능 설정을 위함 움직임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21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17단계에서 상기 움직임 매핑테이블에 설정된 복합 기능들을 확인하며, 219단계에서 상기 확인된 복합 기능들을 순차적으로 실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동작(휴대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설정된 복합 기능을 실행하는 것으로, 크게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는 구성과, 사용자의 동작에 매핑(mapping)된 복합 기능들을 저장하는 구성, 그리고 사용자의 동작 인식 결과에 따라 설정된 복합 기능을 처리하는 구성들을 구비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성을 구비한 휴대단말기에서, 사용자의 동작 입력이 발생되면, 휴대단말기는 입력된 동작을 판단한다. 이때 상기 입력된 동작이 지정된 동작이면, 동작에 mapping된 기능을 순차적으로 호출하고, 호출되는 기능들을 순차적으로 실행하여 표시부145에 그 결과물을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한 번의 동작에 의해 두 개 이상의 복합 기능들을 실행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도 3a -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동작 및 복합 기능들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3a 및 도 3b는 단말의 특정 부위를 치는(tap 또는 touch) 동작으로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최근 정보로 업데이트(제1기능)하고 커서를 최상단으로 이동(제2기능)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단말이 록 스크린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휴대단말기에 탭을 한 상태로 일정 각도이상 회전시키는 동작으로 록 상태를 해제하면서(제1기능)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제2기능)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휴대단말기를 흔드는 동작으로 현재 실행중인 통신모드를 리프레시하고(제1기능) 최근 연결된 곳으로 자동연결(제2기능)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휴대단말기의 특정 부분을 일정세기 이상으로 치는 동작(touch, tap)을 수행한다. 도 3b는 e-mail 리스트를 업데이트하는 예를 가정하고 있다. 이런 경우, 상기 메모리110의 움직임 매핑테이블은 움직임 타입으로 탭(tap or touch), 제1기능으로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업데이트, 제2기능으로 커서를 맨 앞 아이템 위치로 설정하도로 미리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 3a의 311과 같이 휴대단말기의 특정 부분을 일정 세기 이상으로 터치하면, 움직임감지부130은 휴대단말기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고, 제어부110은 도 3b의 321과 같이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e-mail list를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도 3b의 323과 같이 최근의 정보로 업데이트하며(refresh to get the recently news/information)한 후, 도 3b의 324와 같이 커서를 첫 번째 목록에 위치시킨다(top of list). 따라서 도 3a의 311과 같이 탭 동작을 수행한 후, 도 3a의 313과 같은 화면에는 도 3b의 315와 같이 갱신된 리스트의 첫 번째 위치에 커서가 위치되는 화면으로 표시된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록 스크린(lock screen)에 탭을 한 상태로 휴대단말기를 회전시킨다. 이런 경우, 상기 메모리110의 움직임 매핑테이블은 움직임 타입으로 회전(rotate), 제1기능으로 단말기의 록 해제(unlock), 제2기능으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자동 실행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은 카메라150의 구동, 네비게이션 구동, MP3 구동, 멀티미디어 재생기 구동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도 4의 경우,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카메라 구동인 경우를 가정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 4의 411과 같이 휴대단말기의 화면(lock screen 상태)을 탭한 상태에서 도 4의 413과 같이 일정 각도 이상 휴대단말기를 회전시키면, 움직임감지부130은 휴대단말기의 회전을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110에 알린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휴대단말기의 회전 감지시 현재의 단말 상태가 lock screen 모드인가 확인하고, lock screen 모드이면 록 스크린 상태를 해제(unlock)하고(제1기능), 413과 같이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제2기능: 여기서는 카메라150의 구동, execute camera)을 실행한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일정 세기 이상으로 휴대단말기를 흔든다. 이런 경우, 상기 메모리110의 움직임 매핑테이블은 움직임 타입으로 흔들림(shake or swing), 제1기능으로 통신모드 refresh(인터넷 통신모드인 경우 주변 인터넷 장치(WiFi인 경우 주변에 연결 가능한 WiFi 연결 네트워크)를 검색하고, 근거리 통신모드인 경우 주변의 연결가능한 장치들을 검색), 최근에 접속된 인터넷 네트워크 또는 가입자에게 자동 링크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모드는 WiFi 또는 Bluetooth 등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휴대단말기를 흔들면, 움직임감지부130은 휴대단말기의 흔들림을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110에 알린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휴대단말기의 흔들림 감지시 현재의 통신모드를 확인하여 해당 통신모드의 히스토리를 업데이트하고(제1기능), 업데이트된 최근의 통신망 또는 디바이스에 링크시킨다(제2기능).
도 6은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복합 기능들을 실행하는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복합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해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동작(motion)은 상기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를 터치, 회전 또는 흔드는 동작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동작은 움직임감지부130에서 감지한다. 그리고 메모리110은 상기와 같은 동작들에 의해 실행할 복합 기능들을 저장하는 움직임 매핑테이블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움직임 매핑테이블은 동작 타입(motion type), 실행할 두 개 이상의 기능들 및 실행순서, 그리고 상기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말의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110의 움직임 매핑테이블은 휴대단말기 제조시 제조사에서 설정하여 상기 메모리11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움직임 매핑테이블은 사용자가 휴대단말기의 설정모드(등록모드)에서 특정 동작을 수행하고, 해당 동작에 대응되는 두 개 이상의 기능들을 설정하면, 제어부110이 이를 감지하여 동작 타입 및 설정된 두 개 이상의 기능들을 포함하는 움직임 매핑테이블을 생성하고, 이를 상기 메모리11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움직임이 발생되면, 상기 움직임감지부130은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00에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00은 6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13단계에서 움직임 타입을 분석한다. 여기서 상기 움직임 타입은 상기 도 3a와 같은 탭, 도 4와 같은 회전 및 도 5와 같은 흔들림이라고 가정한다.
이때 상기 움직임 타입이 상기 도 3a와 같은 터치(tap)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621단계에서 상기 움직임감지부130의 출력에 의해 이를 감지하고, 623단계에서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들을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도 3a와 같은 터치 동작은 휴대단말기에서 리스트를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시에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리스트의 첫 번째 위치에 커서를 위치키는 명령어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스트는 통화목록, SMS(MMS) 목록, 이메일 목록, SNS feeds 목록, 사진 목록, 노래 목록 등 각 어플리케이션에서 처리된 아이템들을 표시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623단계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한 후, 상기 제어부100은 625단계에서 상기 메모리110의 움직임 매핑테이블에서 현재의 움직임 타입에 대응되는 복합 기능들(여기서는 현재 어플리케이션의 목록을 최근에 처리된 순서로 업데이트하는 기능 및 업데이트된 목록의 첫 번째 리스트(item) 위치에 커서를 위치시킴)을 확인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611단계에서 상기 메모리110에 저장된 현재 어플리케이션에서 처리된 리스트를 도 3b의 323과 같이 최근에 처리된 순서로 업데이트시키고, 629단계에서 도 3b의 325와 같이 업데이트된 리스트의 첫 번째 아이템 위치에 커서를 위치시킨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휴대단말기의 임의 위치를 탭(상기 도 3a에서는 휴대단말기의 상단부로 예시하고 있음)하면, 상기 휴대단말기는 사용자의 탭 동작에 설정된 제1기능인 리스트의 업데이트 및 제2기능의 커서 위치 조정을 순차적으로 자동 실행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한 번의 탭 동작에 의해 미리 설정된 리스트 업데이트 및 커서 위치 조정을 동시에 수행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140이 록 스크린인 상태에서 휴대단말기를 잡고 회전시키면, 상기 제어부100은 631단계에서 휴대단말기의 회전 동작을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도 4와 같은 회전 동작은 휴대단말기의 록 스크린 상태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명령어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은 카메라150의 구동이 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00은 633단계에서 메모리110의 움직임 매핑테이블에서 회전 동작에 매핑된 기능들을 확인하고, 635단계에서 터치스크린140의 록스크린 상태를 해제하고, 637단계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 여기서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은 카메라150의 구동이 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00은 637단계에서 상기 카메라150을 구동하며, 상기 카메라150에서 촬영되는 이미지는 표시부145에 표시된다.
따라서 상기 도 4와 같이 록 스크린 상태에서 휴대단말기를 회전시키면, 상기 휴대단말기는 사용자의 회전 동작에 설정된 제1기능인 록상태 해제 및 제2기능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여기서는 카메라 구동) 실행을 순차적으로 자동 실행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한 번의 회전 동작에 의해 미리 설정된 록 상태 해제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동시에 수행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휴대단말기를 흔들면, 상기 제어부100은 641단계에서 상기 움직임감지부130의 출력에 의해 휴대단말기의 회전 동작을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도 5와 같은 휴대단말기의 흔드는 동작(shake motion, swing motion)은 휴대단말기의 현재 통신모드에서 주변을 스캔하고(refresh, scan around network or devices )한 후 최근에 연결된 통신망 또는 가입자로 자동 링크시키는 명령어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모드는 인터넷 통신모드 또는 근거리 통신모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터넷 통신모드는 WiFi가 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모드는 Bluetooth가 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의 흔들림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643단계에서 현재 설정된 통신모드를 확인하고, 645단계에서 상기 메모리110의 움직임 매핑테이블에서 흔들림 동작에 매핑된 기능들을 확인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647단계에서 현재의 통신모드로 주변을 검색하고, 649단계에서 최근에 연결되었던 통신망 또는 가입자에 자동 링크(automatically link by history)시킨다. 여기서 상기 643단계에서 확인된 통신모드가 WiFi 통신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647단계에서 WiFi 통신 네트워크를 리프레시하면서 주변에 WiFi 망과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 장치들을 탐색하고, 649단계에서 가장 최근에 링크되었던 통신망으로 연결시킨다. 그리고 상기 643단계에서 확인된 통신모드가 Bluetooth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647단계에서 휴대단말기에서 연결 가능한 주변의 디바이스들을 스캔하고, 649단계에서 가장 최근에 가입자 장치(device)에 자동으로 연결시킨다.
따라서 상기 도 5와 같이 휴대단말기를 흔들면, 상기 휴대단말기는 사용자의 흔드는 동작에 설정된 제1기능인 해당 통신모드에서 리프레시(refresh, scan around network or devices) 기능을 수행하고, 제2기능의 자동연결(automatically link by history) 동작을 순차적으로 자동 실행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한 번의 흔드는 동작에 의해 현재 통신모드의 리프레시 및 자동 연결 동작을 동시에 수행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움직임(동작, motion)을 감지하는 센서들을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 휴대단말기가 한번의 사용자 동작에 의해 복수의 기능을 순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복수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의 동작 및 이들 동작에 각각 대응되어 복수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미리 설정하여 저장하고, 휴대단말기는 센서를 통해 상기 설정된 움직임이 감지되면, 해당 움직임에 설정된 복수의 기능들을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한 번의 동작에 의해 설정된 복수의 기능(1 motion to do multi function)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8)

  1. 휴대단말기의 기능 실행장치에 있어서,
    기지국, 인터넷 및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휴대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감지부와,
    휴대단말기의 특정 움직임에 대응되어 적어도 두 개의 기능을 연속 수행하도록 복합 기능을 매핑한 움직임 매핑테이블을 구비하는 메모리와,
    상기 움직임감지부로부터 움직임 감지시 상기 움직임 매핑테이블에 상기 감지된 움직임에 설정된 복합기능을 확인하여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실행되는 기능을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감지부는 가속도 센서 및/또는 자이로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움직임감지부로부터 탭 동작 감지시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업데이트하며, 상기 업데이트된 리스트의 첫 번째 위치에 커서를 위치시키는 동작을 연속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는 통화 리스트, SMS/MMS 리스트, 이메일 리스트, SNS feeds 리스트, 사진 리스트 및/또는 노래 리스트들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움직임감지부로부터 회전 동작 감지시 휴대단말기의 록 스크린모드를 해제하고 설정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동작을 연속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은 카메라 구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움직임감지부로부터 흔들림 동작 감지시 현재 실행중인 통신모드의 주변을 검색하여 리프레시시키고 최근 연결된 통신망 또는 가입자에 자동 링크시키는 동작을 연속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드가 WiFi이면 WiFi 통신모드에서 주변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결과에 따라 최근 링크된 WiFi 네트워크에 자동으로 링크시키는 동작을 연속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드가 블루투스이면 블루투스 통신모드에서 주변 장치들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결과에 따라 최근 링크된 장치에 자동으로 링크시키는 동작을 연속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휴대단말기의 기능 실행방법에 있어서,
    휴대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감지부로부터 움직임 감지시 움직임의 종류를 확인하는 과정과,
    휴대단말기의 특정 움직임에 대응되어 적어도 두 개의 기능을 연속 수행하도록 복합 기능을 매핑한 움직임 매핑테이블에서 상기 확인된 움직임 종류에 설정된 복합기능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복합 기능을 순차적으로 연속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감지부는 가속도 센서 및/또는 자이로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움직임은 탭, 회전 및 흔들림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감지부로부터 탭 동작 감지시 상기 복합기능을 순차적으로 연속 실행하는 과정은,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업데이트하며, 상기 업데이트된 리스트의 첫 번째 위치에 커서를 위치시키는 동작을 연속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는 통화 리스트, SMS/MMS 리스트, 이메일 리스트, SNS feeds 리스트, 사진 리스트 및/또는 노래 리스트들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감지부로부터 회전 동작 감지시 상기 복합기능을 순차적으로 연속 실행하는 과정은,
    휴대단말기의 록 스크린모드를 해제하고 설정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동작을 연속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은 카메라 구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감지부로부터 흔들림 동작 감지시 상기 복합기능을 순차적으로 연속 실행하는 과정은,
    현재 실행중인 통신모드의 주변을 검색하여 리프레시시키고 최근 연결된 통신망 또는 가입자에 자동 링크시키는 동작을 연속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드가 WiFi이면 상기 복합기능을 순차적으로 연속 실행하는 과정은,
    WiFi 통신모드에서 주변을 네트워크 또는 장치들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결과에 따라 최근 링크된 WiFi 네트워크에 자동으로 링크시키는 동작을 연속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드가 블루투스이면 상기 복합기능을 순차적으로 연속 실행하는 과정은,
    블루투스 통신모드에서 주변 장치들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결과에 따라 최근 링크된 장치에 자동으로 링크시키는 동작을 연속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10135358A 2011-12-15 2011-12-15 휴대단말기의 기능실행 장치 및 방법 KR2013006831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358A KR20130068318A (ko) 2011-12-15 2011-12-15 휴대단말기의 기능실행 장치 및 방법
US13/678,929 US20130154926A1 (en) 2011-12-15 2012-11-16 Device and method for executing function of portable terminal
CN2012105481668A CN103164050A (zh) 2011-12-15 2012-12-17 用于执行便携式终端的功能的装置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358A KR20130068318A (ko) 2011-12-15 2011-12-15 휴대단말기의 기능실행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318A true KR20130068318A (ko) 2013-06-26

Family

ID=48587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5358A KR20130068318A (ko) 2011-12-15 2011-12-15 휴대단말기의 기능실행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30154926A1 (ko)
KR (1) KR20130068318A (ko)
CN (1) CN1031640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0800B1 (ko) * 2020-02-06 2021-08-17 정남호 모바일 단말기의 동작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앱의 간편실행이 이루어지는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44345B (zh) * 2012-04-23 2016-08-01 群邁通訊股份有限公司 裝置命名系統及方法
CN106471445A (zh) * 2014-05-28 2017-03-01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基于触摸输入的离散光标移动
CN104077506A (zh) * 2014-06-24 2014-10-01 用友优普信息技术有限公司 按钮功能权限管理方法和装置
US9998176B2 (en) 2014-08-11 2018-06-12 Qualcomm Incorporated Near field communication mode adjustment based on a screen state
CN104182142A (zh) * 2014-08-21 2014-12-03 深圳市东信时代信息技术有限公司 锁屏系统及其方法
CN105446606B (zh) * 2014-09-01 2018-12-28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信息列表加载方法和装置
KR20160027775A (ko) * 2014-09-02 2016-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US20160117076A1 (en) * 2014-10-22 2016-04-2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275935B2 (en) 2014-10-31 2019-04-30 Fyusion, Inc. System and method for infinite synthetic image generation from multi-directional structured image array
US10262426B2 (en) 2014-10-31 2019-04-16 Fyusion, Inc. System and method for infinite smoothing of image sequences
RU2693105C2 (ru) 2015-05-20 2019-07-01 Шлюмбергер Текнолоджи Б.В. Агент для ликвидации водопритоков для применения на нефтяных месторождениях
CN105045501A (zh) * 2015-06-23 2015-11-11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及其应用的滑动动作响应方法和系统
CN106331291B (zh) * 2015-06-25 2020-11-06 西安中兴新软件有限责任公司 一种操作执行方法和移动终端
US10242474B2 (en) 2015-07-15 2019-03-26 Fyusion, Inc. Artificially rendering images using viewpoint interpolation and extrapolation
US10147211B2 (en) 2015-07-15 2018-12-04 Fyusion, Inc. Artificially rendering images using viewpoint interpolation and extrapolation
US11095869B2 (en) 2015-09-22 2021-08-17 Fyusion, Inc.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combined embedded multi-view interactive digital media representations
US10852902B2 (en) 2015-07-15 2020-12-01 Fyusion, Inc. Automatic tagging of objects on a multi-view interactive digital media representation of a dynamic entity
US10750161B2 (en) * 2015-07-15 2020-08-18 Fyusion, Inc. Multi-view interactive digital media representation lock screen
US10222932B2 (en) 2015-07-15 2019-03-05 Fyusion, Inc. Virtual reality environment based manipulation of multilayered multi-view interactive digital media representations
US11006095B2 (en) 2015-07-15 2021-05-11 Fyusion, Inc. Drone based capture of a multi-view interactive digital media
CN105245298A (zh) * 2015-09-15 2016-01-13 深圳市智慧猫软件技术有限公司 一种设备对多频段电磁波的监听方法、系统及一种主机
US11783864B2 (en) 2015-09-22 2023-10-10 Fyusion, Inc. Integration of audio into a multi-view interactive digital media representation
KR102429740B1 (ko) 2015-12-24 2022-08-05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이벤트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US11202017B2 (en) 2016-10-06 2021-12-14 Fyusion, Inc. Live style transfer on a mobile device
CN106774822A (zh) * 2016-11-11 2017-05-31 宁波亿拍客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通过动作识别快速操作设备的方法
US10437879B2 (en) 2017-01-18 2019-10-08 Fyusion, Inc. Visual search using multi-view interactive digital media representations
US10313651B2 (en) 2017-05-22 2019-06-04 Fyusion, Inc. Snapshots at predefined intervals or angles
US11069147B2 (en) 2017-06-26 2021-07-20 Fyusion, Inc. Modification of multi-view interactive digital media representation
US10592747B2 (en) 2018-04-26 2020-03-17 Fyusi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3-D auto tagging
DE102018111286A1 (de) * 2018-05-11 2019-11-14 ABUS August Bremicker Söhne KG Handsender für ein mobiles Schloss
CN112153720B (zh) * 2019-06-28 2022-04-1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无线网络的连接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45551B1 (en) * 1999-02-17 2006-12-05 Microsoft Corporation Two-handed computer input device with orientation sensor
US7365736B2 (en) * 2004-03-23 2008-04-29 Fujitsu Limited Customizable gesture mappings for motion controlled handheld devices
CN100390717C (zh) * 2005-08-10 2008-05-28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可利用无线或有线传输方式来进行数据传输的输入装置
US7738931B2 (en) * 2007-05-01 2010-06-1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Device and method for user interface manipulation on a slider type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9603188B2 (en) * 2009-01-13 2017-03-21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connection management
US7870496B1 (en) * 2009-01-29 2011-01-11 Jahanzeb Ahmed Sherwani System using touchscreen user interface of a mobile device to remotely control a host computer
US9563350B2 (en) * 2009-08-11 2017-02-0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0800B1 (ko) * 2020-02-06 2021-08-17 정남호 모바일 단말기의 동작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앱의 간편실행이 이루어지는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164050A (zh) 2013-06-19
US20130154926A1 (en) 201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68318A (ko) 휴대단말기의 기능실행 장치 및 방법
EP2686747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irect access to an application when unlocking a consumer electronic device
EP2583153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gesture based remote control
US10304326B2 (en) Terminal having infrared remote control function and pairing method for infrared remote control
US20170249070A1 (en) Folder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US20120178369A1 (en)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connection thereof
CN106339070B (zh) 一种显示控制方法,及移动终端
CN109800045B (zh) 一种显示方法及终端
CN108509122B (zh) 一种图像分享方法及终端
JP2012203671A (ja) 電子機器、情報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8762613B (zh) 一种状态图标显示方法及移动终端
CN110609648A (zh) 一种应用程序的控制方法及终端
CN111240545A (zh) 应用程序的切换方法和电子设备
KR20130102832A (ko)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단축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7943549B (zh) 一种应用程序的处理方法及终端
CN108195394A (zh) 柔性屏幕的导航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885491A (zh) 一种双屏电子设备的屏幕切换方法及双屏电子设备
CN110879678A (zh) 一种图标显示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9683789B (zh) 一种内容显示方法和终端
JP2011221669A (ja) 入力システム
CN107807740B (zh) 一种信息输入方法及移动终端
KR20130107405A (ko) 방향과 이동거리를 인식하여 무선 작동 장치의 방향과 속도를 제어하는 터치스크린 스마트기기 설치 응용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그 제공 방법
KR20150063998A (ko) 원격조종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7166149A1 (zh) 一种终端设备及其控制方法
CN110597385B (zh) 一种控制方法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