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8239A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8239A
KR20130068239A KR1020110135202A KR20110135202A KR20130068239A KR 20130068239 A KR20130068239 A KR 20130068239A KR 1020110135202 A KR1020110135202 A KR 1020110135202A KR 20110135202 A KR20110135202 A KR 20110135202A KR 20130068239 A KR20130068239 A KR 20130068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patterns
guide plate
color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5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3012B1 (ko
Inventor
박안나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5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3012B1/ko
Publication of KR20130068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8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3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3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21Illuminating devices providing coloured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4Illuminating devices using photoluminescence, e.g. phosphors illuminated by UV or blue l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반사판과, 다수의 패턴을 포함하며 입광영역과 반입광영역이 구분된 배면부를 포함하여 상기 반사판의 상부에 위치되는 도광판과, 상기 입광영역 대비 상기 반입광영역이 제1색감을 가지도록 하는 다수의 LED를 포함하여 상기 도광판의 입광부와 마주대하도록 위치되는 LED 어셈블리와, 상기 도광판의 상부에 개재되는 다수의 광학시트들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상부에 위치되는 액정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도광판 배면부에 포함된 상기 다수의 패턴 중에 상기 입광영역 또는 반입광영역에 형성된 패턴들은 상기 제1색감의 컬러와 동일한 컬러잉크로 인쇄된 패턴이거나, 또는 상기 제1색감의 컬러와 보색관계에 있는 컬러잉크로 인쇄된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원으로 LED를 적용함에 따라 발생되는 빛의 혼색특성 및 색분리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동화상 표시에 유리하고 콘트라스트비(contrast ratio)가 큰 특징을 보여 TV, 모니터 등에 활발하게 이용되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는 액정의 광학적이방성(optical anisotropy)과 분극성질(polarization)에 의한 화상구현원리를 나타낸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나란한 두 기판(substrate) 사이로 액정층을 개재하여 합착시킨 액정패널(liquid crystal panel)을 필수 구성요소로 하며, 액정패널 내의 전기장으로 액정분자의 배열방향을 변화시켜 투과율 차이를 구현한다.
하지만 액정패널은 자체 발광요소를 갖추지 못한 관계로 투과율 차이를 화상으로 표시하기 위해서 별도의 광원을 요구하고, 이를 위해 액정패널 배면에는 광원(光源)이 내장된 백라이트(backlight) 유닛이 배치된다.
여기서,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는 냉음극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CCFL)나 외부전극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EEFL)와 같은 형광램프가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 액정표시장치의 박형화, 경량화 추세에 따라 소비전력, 무게, 휘도 등에서 장점을 가지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LED)가 형광램프를 대체해 가고 있다.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의 위치에 따라 직하형(Direct Type)과 측면형(Edge Type)으로 구분되는데, 직하형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을 액정패널 하부에 배치함으로써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직접적으로 액정패널에 공급하는 방식이고, 측면형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은 액정패널 하부에 도광판을 배치하고, 광원을 도광판의 적어도 일측면에 배치함으로써 도광판에서의 굴절 및 반사를 이용하여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간접적으로 액정패널에 공급하는 방식이다.
특히, 측면형 백라이트 유닛은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에 비해 제작이 용이하며, 박형으로 무게가 가볍고 소비전력이 낮은 이점으로 인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측면형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한 액정표시장치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1)는 제 1 및 제 2 기판(12, 14)으로 구성되는 액정패널(10)과 이의 후방에 위치하는 백라이트 유닛(20)을 포함한다.
이러한 액정패널(10)과 백라이트 유닛(20)은 탑커버(40)와 서포트메인(30) 그리고 커버버툼(50)을 통해 모듈화된다.
상기 액정패널(10)은 화상표현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부분으로서, 이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기판(12, 14)의 외면으로는 특정 빛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제1 및 제2편광판(19a, 19b)이 각각 부착된다.
백라이트 유닛(20)은 커버버툼(50)의 일 내측면을 따라 위치되는 LED 어셈블리(29)와, 커버버툼(50) 상에 안착되는 반사판(25)과, 반사판(25) 상부에 위치하는 도광판(23)과 그리고 도광판(23)의 상부로 개재되는 다수의 광학시트들(26)을 포함한다.
상기 LED 어셈블리(29)는 다수의 LED(29a) 각각이 LED인쇄회로기판(29b)에 장착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LED 어셈블리(29)는 접착 등의 방법으로 위치가 고정되어 다수의 LED(29a)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도광판(23)의 입광부와 대면되도록 한다.
여기서, 다수의 LED(29a) 각각은 백색 LED(29a)로, 상기 백색 LED(29a)는 청색칩(blue chip)에 옐로우(yellow) 형광체를 사용한다.
이러한 다수의 LED(29a) 각각으로부터 출사된 빛은 도광판(23)으로 입사되고, 도광판(23) 내부에서 굴절 및 반사를 통해 도광판(23)의 넓은 영역으로 골고루 퍼지게 된다.
이러한 도광판(23)에서 구현된 면광원이 액정패널(10)로 공급됨으로써 액정표시장치(1) 화면에서 화상이 구현된다.
이때, 도광판(23) 내에서 광원인 LED(29a)와 인접된 입광영영과 마주보며 광원과 멀리 떨어진 반입광영역의 색감(feeling of color)이 서로 상이하게 나타나는 색분리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LED(29a)는 지향각에 따른 컬러 특성이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이를 CIE 1931 색좌표계를 사람이 느낄 수 있는 색감과 유사하게 표현한 색도좌표계인 CIE 1976의 u', v'좌표로 설명하면, LED(129a)의 지향각이 큰 각도에서 CIE 1976 v'좌표 값이 높은 영역이 많으면 입광영역이 반입광영역 대비 옐로우이쉬(yellowish)한 색감을 가지게 되고, LED(129a)의 지향각이 큰 각도에서 CIE 1976 v'좌표 값이 높은 영역이 적으면 입광영역이 반입광영역 대비 블루이쉬(blueish)한 색감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도광판 내에서 입광영역쪽과 반입광영역쪽이 상대적으로 서로 상이한 색감을 가지게 됨에 따라 부자연스런 화상이 액정표시장치에서 구현되는 문제를 야기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광판 배면부의 입광영역 또는 반입광영역에 컬러잉크로 패턴을 인쇄하여 색감차를 보상해줌으로써 색분리 현상을 개선하여 고품위의 표시품질을 제공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반사판과, 다수의 패턴을 포함하며 입광영역과 반입광영역이 구분된 배면부를 포함하여 상기 반사판의 상부에 위치되는 도광판과, 상기 입광영역 대비 상기 반입광영역이 제1색감을 가지도록 하는 다수의 LED를 포함하여 상기 도광판의 입광부와 마주대하도록 위치되는 LED 어셈블리와, 상기 도광판의 상부에 개재되는 다수의 광학시트들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상부에 위치되는 액정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도광판 배면부에 포함된 상기 다수의 패턴 중에 상기 입광영역에 형성된 패턴들은 상기 제1색감의 컬러와 동일한 컬러잉크로 인쇄된 패턴이거나 또는 반입광영역에 형성된 패턴들은 상기 제1색감의 컬러와 보색관계에 있는 컬러잉크로 인쇄된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광판의 배면부에 구비된 상기 다수의 패턴은 광원에서 멀어질수록 조밀해지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패턴의 크기가 커지며 패턴 간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컬러잉크가 인쇄된 상기 패턴들은 상기 다수의 LED로부터 멀어지거나, 또는 가까워질수록 패턴의 깊이가 점점 깊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턴들에 인쇄된 상기 컬러잉크는 상기 다수의 LED로부터 멀어질수록 채도가 점점 높아지거나, 또는 채도가 점점 낮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따르면, 도광판 배면부의 입광영역 또는 반입광영역에 동일한 컬러잉크 또는 보색관계의 컬러잉크로 패턴을 인쇄하여 도광판의 입광부와 반입광부쪽의 색감 차이를 보상해줌으로써 색분리 현상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종래 부자연스런 화상을 구현하게 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액정표시장치 화면이 전체적으로 균일한 색감을 가질 수 있게 되어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측면형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한 액정표시장치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라 컬러잉크로 인쇄된 패턴을 포함한 도광판의 배면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라 컬러잉크로 인쇄된 패턴을 포함한 도광판의 배면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라 컬러잉크로 인쇄된 패턴을 포함한 도광판의 배면을 보여주는 평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100)는 액정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20), 그리고 액정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20)을 모듈화하기 위한 서포트메인(130)과 탑커버(140) 및 커버버툼(150)을 포함한다.
액정패널(110)은 화상표현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부분으로서, 액정층(19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 합착된 제1 및 제2기판(112, 11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기판(112)과 제2기판(114) 각각의 외면으로는 특정 빛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제1 및 제2편광판(119a, 119b)이 구비된다.
또한, 이 같은 액정패널(110)의 적어도 일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연성회로기판이나 테이프케리어패키지(Tape Carrier Package:TCP) 같은 연결부재(116)를 매개로 인쇄회로기판(117)이 연결되어 모듈화 과정에서 서포트메인(130)의 측면 내지는 커버버툼(150) 배면으로 적절하게 젖혀 밀착된다.
이에 상술한 구조의 액정패널(110)은, 상기 인쇄회로기판(117)을 통해 전달되는 게이트 구동회로의 온 또는 오프 신호에 의해 각 게이트 배선(미도시) 별로 선택된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가 온(on) 되면 데이터 구동회로의 신호전압이 데이터 배선(미도시)을 통해서 해당 화소전극(미도시)으로 전달되고, 이에 따른 화소전극(미도시)과 공통전극(미도시) 사이의 전기장에 의해 액정분자의 배열방향이 변화되어 투과율 차이를 나타낸다.
이러한 액정패널(110)의 배면에는, 투과율의 차이를 화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120)이 구비된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커버버툼(150)의 적어도 일 내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광원과, 커버버툼(150) 상에 안착되는 반사판(125)과, 이러한 반사판(125) 상에 안착되는 도광판(123)과, 그리고 이의 상부로 개재되는 다수의 광학시트들(126)을 포함한다.
상기 광원으로는 LED(129a)를 사용하는데, 다수의 LED(129a) 각각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PCB)(129b)에 장착됨으로써 LED 어셈블리(129)를 이룬다.
여기서, 다수의 LED(129a) 각각은 청색칩(blue chip)에 옐로우(yellow) 형광체를 사용한 백색 LED에 해당되고, 인쇄회로기판(129b)은 방열기능을 구비한 메탈코어인쇄회로기판(Metal Core Printed Circuit Board)에 해당될 수 있다. 이때, 메탈코어인쇄회로기판의 배면에는 방열판(미도시)을 더 구비하여 다수의 LED(129a) 각각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LED 어셈블리(129)는 접착 등의 방법으로 위치가 고정되어 다수의 LED(129a)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도광판(123)의 입광부(123a)와 대면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LED 어셈블리(129)의 다수의 LED(129a)로부터 출사되는 빛은 도광판(123)에서의 굴절 및 반사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액정패널(110)에 공급되게 된다.
반사판(125)은 도광판(123)의 배면을 통과한 빛을 액정패널(110)쪽으로 반사시킴으로써 빛의 휘도를 향상시킨다.
도광판(123)은 다수의 LED(129a) 각각으로부터 입광부(123a)를 통해 입사된 빛을 도광하여 보다 고품질의 면광원으로 구현하여 이러한 면광원을 액정패널(11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도광판(123)의 배면부(123b)에는 빛을 액정패널(110)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다수의 패턴(124)이 음각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다수의 패턴(124) 중 일부, 일예로 입광부쪽 영역의 패턴들은 컬러잉크로 인쇄된 패턴(124a)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대해서는 차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이러한 도광판(123)의 상부에 개재되는 다수의 광학시트들(126)은 도광판(123)에 의해 면광원으로 변환된 빛을 확산 또는 집광하여 액정패널(110)로 보다 균일한 면광원이 입사되도록 한다.
이러한 다수의 광학시트들(126)은, 일예로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시트와, 광을 집광시키는 프리즘시트 그리고 프리즘시트를 보호하고 광을 확산시키는 보조역할을 하는 보호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액정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20)은 서포트메인(130)과 탑커버(140) 그리고 커버버툼(150)을 통해 모듈화된다.
상기 탑커버(140)는 액정패널(110)의 전면 가장자리와 서포트메인(130)의 측면 일부를 덮도록 단면이 ㄱ형태로 절곡된 사각테 형상으로 전면이 개구되어 액정패널(110)에서 구현되는 화상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서포트메인(130)은 사각테 형상으로, 액정패널(110)의 배면 가장자리를 지지하면서 액정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20)을 구분하고, 백라이트 유닛(120)이 안착된 커버버툼(150)과 액정패널(110)의 가장자리를 둘러 감싼다.
그리고, 백라이트 유닛(120)이 안착되어 액정표시장치(100) 전체 기구물의 기초가 되는 커버버툼(150)은 사각판 형상으로, 이의 일 내측면을 따라 LED 어셈블리(129)가 배치된다.
이에 따라 액정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20)은 가장자리가 사각테 형상의 서포트메인(130)으로 둘려진 상태로 액정패널(110) 상면 가장자리를 두르는 탑커버(140) 그리고 백라이트 유닛(120) 배면을 덮는 커버버툼(150)이 각각 전후방에서 결합되어 서포트메인(130)을 매개로 일체화되어 모듈화된다.
이와 같이 모듈화됨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120)의 다수의 LED(129a) 각각으로부터 출사된 빛은 도광판(123)의 입광부(123a)를 통해 내부로 입사된 후, 그 내부에서 액정패널(110)을 향해 굴절되며, 반사판(125)에 의해 반사된 빛과 함께 다수의 광학시트들(126)을 통과하는 동안 보다 균일한 고품위의 면광원으로 가공되어 액정패널(110)로 공급된다.
여기서, 탑커버(140)는 케이스탑 또는 탑 케이스라 일컬어지기도 하고, 서포트메인(130)은 가이드패널 또는 메인서포트, 몰드프레임이라 일컬어지기도 하며, 커버버툼(150)은 버텀커버라 일컬어지기도 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라 컬러잉크로 인쇄된 패턴을 포함한 도광판의 배면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라 컬러잉크로 인쇄된 패턴을 포함한 도광판의 배면을 보여주는 평면도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한다. 여기서는 도광판을 입광영역과 반입광영역으로 구분할 시에 광원과 가까울수록 반입광영역 대비 입광영역이 블루이쉬(blueish)한 색감을 가지고 광원과 멀어질수록 입광영역 대비 반입광영역이 옐로우이쉬(yellowish)한 색감을 가지는 경우를 가정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판(123)의 배면부(123b)는 입광부(123a)로부터 일정거리까지의 구간에 해당되는 입광영역(L1)과 입광영역(L1)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에 해당되는 반입광영역(L2)의 두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두 영역(L1, L2)은 서로 동일한 폭, 또는 서로 다른 폭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동일한 폭으로 이루어질 경우를 설명한다.
우선 도 4a를 참조하면, 도광판(123)의 배면부(123b)에 형성된 다수의 패턴(124) 중 입광영역(L1)에 형성된 패턴들(124)은 옐로우 컬러잉크(124a)로 인쇄됨으로써 음각의 패턴(124)에 옐로우 컬러잉크(124a)가 채워지며 옐로우 색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입광영역(L1) 내의 패턴들(124)을 옐로우 컬러잉크(124a)로 인쇄함으로써 입광영역(L1)의 블루이쉬한 색감을 반입광영역(L2)의 옐로우이쉬 색감과 유사해지도록 보상해줄 수 있다. 이를 통해 도광판 출사부, 나아가 액정표시장치 화면 전체에서 동일한 색감이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옐로우 컬러잉크(124a)로 인쇄된 패턴들(124)을 포함하는 입광영역(L1) 내에서도 광원과 멀어질수록 옐로우 컬러잉크(124a)의 채도가 점점 낮아지게 함으로써 빛의 도달거리에 따른 보상을 달리 해 줄 수 있다. 또는 패턴(124)의 깊이를 달리할 수도 있는데, 일예로 입광영역(L1) 내에서도 광원과 가까울수록 패턴(124)의 깊이가 점점 깊어지도록 패턴(124)을 인쇄하여 보다 많은 옐로우 컬러잉크(124a)가 패턴(124)에 포함됨으로써 옐로우 컬러가 진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판(123)의 배면부(123b)에 형성된 다수의 패턴(124) 중 반입광영역(L2)에 형성된 패턴들(124)은 옐로우 색과 보색 관계인 블루 컬러잉크(124b)로 인쇄됨으로써 음각의 패턴(124)에 블루 컬러잉크(124b)가 채워지며 블루 색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반입광영역(L2) 내의 패턴들(124)을 블루 컬러잉크(124b)로 인쇄함으로써 반입광영역(L2)의 옐로우이쉬한 색감을 블루이쉬해지도록 보상해줄 수 있다. 이를 통해 도광판 출사부, 나아가 액정표시장치 화면 전체에서 동일한 색감이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도 4a와 마찬가지로 블루 컬러잉크(124b)로 인쇄된 패턴들(124)을 포함하는 반입광영역(L2) 내에서도 광원과 멀어질수록 블루 컬러잉크(124a)의 채도가 점점 높아지게 함으로써 빛의 도달거리에 따른 보상을 달리 해 줄 수 있다. 또는 패턴(124)의 깊이를 달리할 수도 있는데, 일예로 반입광영역(L2) 내에서도 광원과 멀어질수록 패턴(124)의 깊이가 점점 깊어지도록 패턴(124)을 인쇄하여 보다 많은 블루 컬러잉크(124b)가 패턴(124)에 포함됨으로써 블루 컬러가 진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전술한 바와 달리, 광원과 가까울수록 반입광영역 대비 도광판의 입광영역이 옐로우이쉬(yellowish)한 색감을 가지고 광원과 멀어질수록 입광영역 대비 도광판의 반입광영역이 블루이쉬(blueish)한 색감을 가지는 경우를 가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광판의 배면부에 형성된 다수의 패턴 중 입광영역에 형성된 패턴들을 블루 컬러잉크로 인쇄함으로써 패턴 내부가 블루 색을 가지도록 하거나, 또는 반입광영역에 형성된 패턴들을 옐로우 컬러잉크로 인쇄함으로써 패턴 내부가 옐로우 색을 가지도록 하여 색감 차이를 보상해 줌으로써 액정표시장치 화면 전체에서 동일한 색감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배면부(123b)에 형성된 다수의 패턴을 원형(circular)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타원형의 패턴(elliptical pattern), 다각형의 패턴(polygon pattern), 홀로그램 패턴(hologram pattern) 등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배면부(123b)에 형성된 다수의 패턴(124)은 동일 크기와 동일 간격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다른 크기와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광원에서 멀어질수록 패턴이 조밀해지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광원에서 멀어질수록 패턴의 크기가 커지며 패턴 간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광판(123)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와 폴리스틸렌(polystyren: PS)이 혼합된 폴리메타크릴스틸렌(polymethacrylstyrene: MS)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광판을 입광영역과 반입광영역의 두 영역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구분은 형광체 물질과 같은 구성물질과 지향특성을 달리하는 LED의 특성에 따른 색감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실상 다양한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광판의 배면부 영역을 세 영역으로 구분할 경우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라 컬러잉크로 인쇄된 패턴을 포함한 도광판의 배면을 보여주는 평면도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한다. 여기서도, 광원과 가까울수록 반입광영역 대비 입광영역이 블루이쉬(blueish)한 색감을 가지고 광원과 멀어질수록 입광영역 대비 반입광영역이 옐로우이쉬(yellowish)한 색감을 가지며, 입광영역과 반입광영역 사이의 중앙영역은 어느쪽에도 치우지지 않는 색감을 가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판(223)의 배면부(223b)는 광원인 LED 어셈블리(129)에 대응되는 입광영역(M1)과, 입광영역(M1)으로부터 일정거리까지의 구간에 해당되는 중앙영역(M2), 그리고 입광영역(M1)과 중앙영역(M2)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인 반입광영역(M3)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세 영역(M1, M2, M3)는 서로 동일한 폭, 또는 서로 다른 폭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동일한 폭으로 이루어질 경우를 설명한다.
이에 따라, 도광판(223)의 배면부(223b)에 형성된 다수의 패턴(224) 중 입광영역(M1)에 형성된 패턴들(224)은 옐로우 컬러잉크(224a)로 인쇄됨으로써 음각의 패턴(224)에 옐로우 컬러잉크(224a)가 채워지며 옐로우 색을 가지게 되고, 반입광영역(M3)에 형성된 패턴들(224)은 블루 컬러잉크(224b)로 인쇄됨으로써 음각의 패턴(224)에 블루 컬러잉크(224b)가 채워지며 블루 색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입광영역(M1) 내의 패턴들(224)을 옐로우 컬러잉크(224a)로 인쇄하고, 반입광영역(M3) 내의 패턴들(224)은 블루 컬러잉크(224b)로 인쇄함으로써 입광영역(M1)의 블루이쉬한 색감과 반입광영역(M3)의 옐로우이쉬 색감의 색감 차이를 각각 보상해줄 수 있다.
특히 도 4a 및 도 4b와 마찬가지로, 옐로우 컬러잉크(224a)로 인쇄된 패턴들(224)을 포함하는 입광영역(M1) 내에서도 광원과 멀어질수록 옐로우 컬러잉크(224a)의 채도가 점점 낮아지도록 패턴(224a)을 인쇄하고, 블루 컬러잉크(224b)로 인쇄된 패턴들(224)을 포함하는 반입광영역(M3) 내에서도 광원과 멀어질수록 블루 컬러잉크(224b)의 채도가 점점 높아지도록 패턴(224b)을 인쇄함으로써 서로의 색감 차이를 중간의 색으로 맞춰 도광판(23) 전체에서 출사되는 빛의 색감이 동일해지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패턴(224)의 깊이를 달리할 수도 있는데, 일예로 입광영역(M1) 내에서 광원과 가까울수록 패턴(224)의 깊이가 점점 깊어지도록 패턴(224)을 인쇄하거나, 또는 반입광영역(M3) 내에서 광원과 멀어질수록 패턴(224)의 깊이가 점점 깊어지도록 패턴(224)을 인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도광판 출사부, 나아가 액정표시장치 화면 전체에서 동일한 색감이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광판의 배면부는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다른 예로 입광부와 반입광부와 이웃하는 양 측부 가장자리로 갈수록 폭이 얇아지거나 또는 두꺼워지도록 영역을 구분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도광판 배면부의 입광부 영역 또는 반입광부 영역에 동일한 컬러잉크 또는 보색관계의 컬러잉크로 다수의 패턴이 인쇄되도록 함으로써 화면 내에서 상이한 색감을 가지는 색분리 현상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이와 균등한 범위 내에서의 본 발명의 변형을 포함한다.
110: 액정패널 120: 백라이트 유닛
126: 다수의 광학시트들 123, 223: 도광판
123a: 입광부 123b: 배면부
124, 224: 패턴 124a, 124b, 224a: 컬러잉크
L1, M1: 입광영역 L2, M3: 반입광영역
M2: 중앙영역

Claims (4)

  1. 반사판과, 다수의 패턴을 포함하며 입광영역과 반입광영역이 구분된 배면부를 포함하여 상기 반사판의 상부에 위치되는 도광판과, 상기 입광영역 대비 상기 반입광영역이 제1색감을 가지도록 하는 다수의 LED를 포함하여 상기 도광판의 입광부와 마주대하도록 위치되는 LED 어셈블리와, 상기 도광판의 상부에 개재되는 다수의 광학시트들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상부에 위치되는 액정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도광판 배면부에 포함된 상기 다수의 패턴 중에 상기 입광영역에 형성된 패턴들은 상기 제1색감의 컬러와 동일한 컬러잉크로 인쇄된 패턴이거나 또는 반입광영역에 형성된 패턴들은 상기 제1색감의 컬러와 보색관계에 있는 컬러잉크로 인쇄된 패턴인 액정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배면부에 구비된 상기 다수의 패턴은 광원에서 멀어질수록 조밀해지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패턴의 크기가 커지며 패턴 간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액정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잉크가 인쇄된 상기 패턴들은 상기 다수의 LED로부터 멀어지거나, 또는 가까워질수록 패턴의 깊이가 점점 깊어지도록 형성된 액정표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들에 인쇄된 상기 컬러잉크는 상기 다수의 LED로부터 멀어질수록 채도가 점점 높아지거나, 또는 채도가 점점 낮아지도록 형성된 액정표시장치.
KR1020110135202A 2011-12-15 2011-12-15 액정표시장치 KR101823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202A KR101823012B1 (ko) 2011-12-15 2011-12-15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202A KR101823012B1 (ko) 2011-12-15 2011-12-15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239A true KR20130068239A (ko) 2013-06-26
KR101823012B1 KR101823012B1 (ko) 2018-01-30

Family

ID=48863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5202A KR101823012B1 (ko) 2011-12-15 2011-12-15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30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75362B2 (en) 2013-12-06 2017-02-21 Samsung Display Co., Ltd. Backlight assembly comprising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color patterns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GB2593927A (en) * 2020-04-09 2021-10-13 Design Led Products Ltd Homogeneous colour ligh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4610B1 (ko) * 1999-09-09 2006-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니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75362B2 (en) 2013-12-06 2017-02-21 Samsung Display Co., Ltd. Backlight assembly comprising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color patterns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GB2593927A (en) * 2020-04-09 2021-10-13 Design Led Products Ltd Homogeneous colour lighting device
US11947151B2 (en) 2020-04-09 2024-04-02 Design Led Products Limited Homogeneous color LED lighting device with wavelength dependent modifier on output surface of lightgui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3012B1 (ko) 2018-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3969B1 (ko) 양방향 액정표시장치
KR20100078296A (ko) 액정표시장치모듈
KR20130061796A (ko) 광학 어셈블리,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JP2010097909A (ja) バックライト及び液晶表示装置
KR10182403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23456B1 (ko) 액정표시장치
US8400581B2 (en) Back 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KR100824716B1 (ko) 엘이디 칩온보드 타입의 면광원모듈과 이를 이용한액정표시장치
KR101878800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823012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30058264A (ko) 액정표시장치
KR20130009342A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2458B1 (ko) 액정표시장치
US11194189B2 (en) Display apparatus
KR101998123B1 (ko) 발광다이오드 및 이를 포함한 액정표시장치
KR20110026733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1833506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710084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272351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838020B1 (ko) 조명 장치
KR102139469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20138368A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47229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496167B1 (ko) 발광다이오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243943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