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6484A - Elwvator door breakaway prevent appatatus and mounting method - Google Patents

Elwvator door breakaway prevent appatatus and mount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6484A
KR20130066484A KR1020120073100A KR20120073100A KR20130066484A KR 20130066484 A KR20130066484 A KR 20130066484A KR 1020120073100 A KR1020120073100 A KR 1020120073100A KR 20120073100 A KR20120073100 A KR 20120073100A KR 20130066484 A KR20130066484 A KR 20130066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anding
shoe
guide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31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98975B1 (en
Inventor
김정호
Original Assignee
김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호 filed Critical 김정호
Publication of KR20130066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64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8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89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1Details of door sill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PURPOSE: A structure and a method for coupling a door shoe for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a platform door of an elevator are provided to prevent safety accidents because the door shoe is not separated from a guide groove when the platform door is opened and closed. CONSTITUTION: A structure for coupling a door shoe(200) for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a platform door of an elevator comprises a platform guide(100) and the door shoe. The platform guide has a narrow entrance and comprises a guide groove(110) expanded to the inside of the entrance. The platform guide is installed on the floor of an elevator platform. The door shoe guides the platform door to be opened and closed. The door shoe is slidingly coupled to the platform guide and the lower part of the platform door so that the platform door cannot be pushed to an elevator path even through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platform door.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용 도어 슈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 ELWVATOR DOOR BREAKAWAY PREVENT APPATATUS AND MOUNTING METHOD}Door shoe coupling structure and method of joining to prevent elevator door departure from the door of elevator {ELWVATOR DOOR BREAKAWAY PREVENT APPATATUS AND MOUNTING METHOD}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의 바닥면에 설치된 도어 가이드에서 승강장 도어가 외부의 압력에 의해 도어가 도어 가이드로부터 분리되어 괘도를 이탈하지 않도록 도어에 부착되는 도어 슈를 도어 가이드에 결합하는 도어 슈와 도어 가이드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강장 도어 가이드와 승강장 도어 사이를 연결하는 도어 슈의 용이한 분해 조립을 위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용 도어 슈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oor shoe and a door that combine a door shoe attached to the door so that the landing door is separated from the door guide by the external pressure in the door guid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landing of the elevat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uide coupling structure and a coupl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or shoe coupling structure and a coupling method for preventing landing door departure of an elevator for easy disassembly of a door shoe connecting between a landing door guide and a landing door.

대부분의 고층 건물에는 건물을 출입하는 출입자를 특정 층으로 운송하기 위한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다.Most tall buildings are equipped with elevators to transport people entering and leaving the building to a specific floor.

엘리베이터는 이용자를 특정 장소로 운송함에 있어 이용자를 안전하게 운송하기 위해 엘리베이터가 이동하는 이동통로에서 승하강하는 엘리베이터에 부착된 엘리베이터측 도어와,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개폐될 때 그와 연동하여 개폐되는 승강장 도어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An elevator is an elevator door attached to an elevator that descends and descends from a moving passage where the elevator moves in order to safely transport the user in transporting a user to a specific place, and a landing door that opens and closes when the elevator door is opened and closed. Are installed respectively.

엘리베이터 도어는 엘리베이터 이동시 엘리베이터와 함께 이동하면서 탑승자의 출입시 개폐되고, 승강장용 도어는 이용자가 호출한 엘리베이터가 목적지에 도착하였을 때 개폐되는 엘리베이터 도어와 연동하여 개폐된다.The elevator door is opened and closed at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occupant while moving with the elevator when the elevator moves, and the landing door is opened and closed in conjunction with the elevator door that is opened and closed when the elevator called by the user arrives at the destination.

그러나 엘리베이터가 특정 층의 승강장에 도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용자가 승강장 도어에 기대거나 승강장 도어에 압력을 가할 경우 승강장 도어의 하부가 엘리베이터 통로쪽으로 밀려나면서 이용자가 엘리베이터 통로 바닥으로 추락하는 사고가 종종 발생되어 왔다.However, when the user does not reach the platform on a specific floor and the user leans on or presses the platform door, the lower part of the platform door is pushed toward the elevator passage, causing the user to fall to the floor of the elevator passage. come.

이러한 문제로 최근에 시공되고 있는 엘리베이터는 승강장 도어의 하부에 도어 슈를 부착하고, 도어 슈를 승강장 도어의 개폐동작시 승강장바닥에 설치된 가이드에 이동가능하게 결합하여 승강장 도어의 개폐동작시 도어 슈에 의해 가이드하고 동시에 승강장 도어에 외부압력이 가해지더라도 도어가 엘리베이터 통로쪽으로 밀려나지 않도록 개선되었다.The elevator, which has been recently constructed due to this problem, attaches the door shoe to the lower part of the landing door, and the door shoe is movably coupled to the guide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landing door to open and close the landing door. Guided and simultaneously prevented the door from being pushed towards the elevator passage even if external pressure is applied to the landing door.

그러나 승강장 도어는 승강장의 개폐장치는 물론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동작과 연동되어야 하므로 승강장 도어의 내부 즉 엘리베이터 통로쪽에서 승강장 도어를 탈부착하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다.However, since the landing door should be interlocked with the opening / closing device of the landing hall as well as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elevator door, the landing door is designed to be detachable from the interior of the landing door.

그리고 승강장바닥에 설치된 가이드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승객의 신발에 묻어 있는 흙이나 모래 혹은 어린이들의 소지품이나 장식구 혹은 장난감 부품 등이 도어 슈가 결합된 가이드속으로 삽입되어 쌓이면서 승강장의 개폐동작에 이상이 생기는 문제를 발생시킨다.In addition, the guide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platform is a problem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platform occurs when the soil, sand or children's belongings, ornaments or toy parts, etc. buried in the shoes of passengers using the elevator are inserted into the guide combined with the door shoe. Generates.

도 1 및 도 2a 및 도 2b는 승강장에 바닥에 설치된 가이드(10)와 가이드(1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도어 슈를 예시한 것이다. 미설명 부호 30은 승강장 도어 이다. 도 1 및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장 도어(30)의 하부 브라켓(31)에 부착되는 도어 슈(20)는 조립시 도어 프레임(31)에 볼트(32)로 체결하여 부착되어 있고, 각 층의 승강장바닥에 설치된 가이드 홈(11)속에 삽입되도록 조립된다.1 and 2A and 2B illustrate a guide 10 installed on a floor in a platform and a door shoe movably coupled to the guide 10. Reference numeral 30 is a landing door. As shown in FIGS. 1 and 2A and 2B, the door shoe 20 attached to the lower bracket 31 of the landing door 30 is fastened to the door frame 31 by bolts 32 and attached thereto. It is assemble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1 installed on the floor of each landing floor.

따라서, 도어 슈(20)는 승강장 도어(30)의 개폐동작시 가이드 홈(11)속에서 이동하면서 승강장 도어(30)가 엘리베이터 통로쪽으로 밀려나지 않도록 지지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이용자가 승강장 도어(30)에 기대거나 압력을 가하더라도 승강장 도어(30)가 엘리베이터 통로쪽으로 밀려나지 않아 이용자가 엘리베이터 통로 바닥으로 추락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door shoe 20 supports the landing door 30 so as not to be pushed toward the elevator passage while moving in the guide groove 11 during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landing door 30. Even if the lean or pressure is applied to the platform door 30 is not pushed toward the elevator passage can prevent the user from falling to the elevator passage floor in advance.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승강장 가이드(10)는 도어 슈(30)가 이동하는 가이드 홈(11)사이로 장난감 부품이나 학생들의 필기구 혹은 담배꽁초, 빙과류 막대, 초코렛 조각 혹은 사탕이나 껌 포장지, 혹은 흙이나 모래 등과 같은 각종 이물질이 유입되면 승강장 도어(30)의 개폐동작이 원할하지 않거나 고장을 일으키는 문제가 발생되기도 한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platform guide 10 is between the guide grooves 11 through which the door shoe 30 moves, toy parts or writing utensils of students or cigarette butts, ice sticks, pieces of chocolate or candy or gum wrappers, When various foreign substances such as sand are introduced,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landing door 30 may be undesirable or may cause a problem.

승강장 가이드(1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상 도어 슈(20)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11)의 입구(12)가 협소하고, 입구의 내측으로 확장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가이드 홈(1)속에 낀 이물질은 가이드(10)의 입구로는 잘 빠지지 않기 때문에 가이드 홈(11)속에 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도어 슈(20)를 가이드 홈(11)에서 분리해야 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된다.As shown in FIG. 2A, the platform guide 10 has a narrow inlet 12 of the guide groove 11 into which the door shoe 20 is inserted in a cross section, and has a shape extending into the inlet. The foreign matter caught in the guide does not fall well to the inlet of the guide 10, so in order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caught in the guide groove 11, the door shoe 20 needs to be separated from the guide groove 11 frequently. .

따라서, 도어 슈(20)를 가이드 홈(11)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승강장 도어(30)를 엘리베이터 통로쪽에서 승강장 상측에 설치된 도어 개폐장치(도면에는 미도시)와 가이드 레일(도면에는 미도시)에서 분리해야만 하기 때문에 도어 슈(20)를 분리하기 위해 승강장 도어(30)를 분해하고 조립해야 하는 작업이 동반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승강장 도어(30)의 분해 및 조립작업으로 인해 엘리베이터는 운행할 수 없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이용에 불편함이 있고, 승강장 도어(30)는 중량이 매우 무겁기 때문에 엘리베이터를 관리해야 하는 작업자에게 피로도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으며, 승강장 도어(30)의 설치나 조립작업시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Therefore, in order to separate the door shoe 20 from the guide groove 11, the landing door 30 is separated from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not shown) and the guide rail (not shown)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platform from the elevator passage. Since the work must be dismantled and assembled in the landing door 30 to remove the door shoe 20, the elevator cannot be operated due to the disassembly and assembly of the landing door 30. Therefore,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using the elevator, the landing door 30 is very heavy, there is a problem that increases the fatigue to the worker to manage the elevator, a lot of work time when installing or assembling the landing door 30 There is a problem.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장 도어나 도어 슈를 승강장 가이드에 결합하거나 분리함에 있어 간편하게 승강장 도어의 하부에 도어 슈를 부착하고 도어 슈를 승강장 가이드에 간편하게 분해조립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용 도어 슈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asily attach the door shoe to the lower part of the landing door to the landing door or door shoe to the landing guide, and the door shoe landing platform It is to provide a door shoe coupling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departure of the landing door of the elevator that can be easily disassembled and assembled on the guid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승강장 도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승강장 도어의 하부에 부착되는 도어 슈와 승강장 바닥면에 설치된 도어슈 가이드를 연결함에 있어 도어 슈의 탈부착이 이용하면서도 승강장 가이드에 손쉽게 결합하고 분리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용 도어 슈 결합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nect the door shoe attached to the lower part of the landing door and the door shoe guide installed on the landing floor in order to prevent the departure of the landing door, while the door shoe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to the landing guide. It is to provide a door shoe coupling method for preventing the departure door departure of the elevator.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용 도어 슈 결합구조에 따른 해결수단은, Solution means according to the door shoe coupling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departure door departure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입구의 폭이 좁고, 입구의 내측으로 확장된 가이드 홈을 구비하고 승강장바닥에 고정되는 승강장 가이드와;A landing guide having a narrow width of the entrance and having a guide groove extending inwardly of the entrance and fixed to the landing floor;

승강장 도어의 개폐동작시 상기 승강장 도어를 개폐가능하게 가이드하고, 승강장 도어에 외압이 가해지더라도 승강장 도어가 엘리베이터 통로쪽으로 밀려나지 않도록 상기 승강장 가이드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승강장 도어의 하부에 결합되는 도어 슈로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 결합구조에 있어서,When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landing door is guided to open and close the landing door, even if an external pressure is applied to the landing door is slidably coupled to the landing guide so as not to be pushed toward the elevator passag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anding door In the landing door coupling structure of an elevator composed of a door shoe,

상기 승강장 도어를 승강장 가이드에 결합하거나 분리함에 있어 승강장 도어를 엘리베이터 통로쪽으로 일정각도로 기울이면 상기 가이드 홈의 입구로 슬라이더가 출입할 수 있도록 절취공간과 모따기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장 도어를 수직하게 세우면, 상기 슬라이더는 가이드 홈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입구의 폭보다 큰 폭의 바닥면으로 이루어진 도어 슈를 상기 승강장 가이드 홈에 결합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In coupling or separating the landing door to the landing guide, the landing door is provided with a cutting space and a chamfer to allow the slider to enter the entrance of the guide groove when the landing door is inclined at an angle toward the elevator aisle, and the landing door is vertically placed. The slider may be implemented by coupling a door shoe having a bottom surfac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inlet to the platform guide groove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guide groove.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용 도어 슈 결합방법으로는,As a door shoe coupling method for preventing landing door departure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승강장 도어가 개폐되는 방향으로 도어 슈가 출입할 수 있도록 승강장 도어의 하측면에 도어 슈가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멍을 마련하여 그 출입구멍을 통해 도어 슈를 승강장 도어에 탈부착하고, 상기 도어 슈를 도어 슈 가이드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홈속으로 삽입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A door shoe is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landing door to allow the door shoe to enter and exi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anding door is opened and closed.The door shoe is attached to the landing door through the entrance hole, and the door shoe is attached to the door shoe. It can be implemented by inserting into the guide gro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승강장 도어 결합방법에서는 도어 슈 가이드에 마련된 가이드 홈은 상부 개방부의 입구의 폭이 내부 폭보다 협소하게 구성함으로써 도어 슈가 가이드 홈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landing door coupling method, the guide groove provided in the door shoe guide is preferably configured such that the width of the entrance of the upper opening is narrower than the inner width so that the door shoe does not leave the guide groove.

본 발명은 승강장 도어를 승강장 가이드로부터 분리하거나 결합할 때에는 승강장 도어를 엘리베이터 통로쪽으로 경사지게 기울이면 도어 슈의 슬라이더가 가이드 홈의 입구를 출입할 수 있고, 승강장 도어를 수직하게 위치시키면, 슬라이더는 승강장 가이드에서 분리되지 않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anding door is removed from or combined with the landing guide, when the landing door is inclined inclined toward the elevator passage, the slider of the door shoe can enter the entrance of the guide groove, and when the landing door is positioned vertically, the slider is the landing guide. It is not separated from.

따라서, 본 발명은 승강장 가이드 홈에 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승강장 도어를 분해하거나 설치, 교체 혹은 점검시 승강장 도어를 손쉽게 조립하고 분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승강장 도어의 개폐동작시 도어 슈가 가이드 홈에서 분리되거나 이탈하지 않으므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easily assemble and disassemble the landing door when disassembling, installing, replacing or checking the landing door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caught in the landing guide groove, but also separating the door sugar guide groove during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landing door. It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off or falling off, thus preventing accidents.

또한 본 발명은 도어 슈를 승강장 도어에 탈부착할 때 승강장 도어에 마련된 출입구멍을 통해 도어 슈를 승강장 도어에서 분리함으로써 승강장 도어를 해체하지 않더라도 도어 슈의 교체나 승강장 가이드의 청소를 간편하게 할 수 있고, 또한 도어 슈는 승강장 가이드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홈속으로 진입하므로 도어 슈의 분해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승강장 도어의 개폐동작시 도어 슈가 승강장 가이드에서 절대 분리될 수 없는 구조여서 도어 이탈방지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removing the door shoe from the landing door through the entrance hole provided in the landing door when detaching the door shoe to the landing door,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replacement of the door shoe and cleaning the landing guide without dismantling the landing door, In addition, since the door shoe enters the guide gro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anding guide, it is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the door shoe, and the door shoe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landing guide during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landing door. It can be effective.

도 1은 승강장 도어에 부착되는 도어 슈와 도어 슈가 결합되는 승강장 가이드의 분해사시도,
도 2a 와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승강장 도어의 도어 슈와 가이드의 요부 단면도로서, 도 2a와 도 2b는 서로 다른 도어 슈를 승강장 가이드에 결합한 것을 예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슈와 도어 슈가 결합되는 승강장 가이드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도어에 부착되는 도어 슈를 예시한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라 승강장 도어를 수직하게 설치한 상태에 따른 도어 슈를 예시한 단면도,
도 4c의 본 발명에 따라 승강장 도어를 기울인 상태에 따른 도어 슈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채용된 승강장 가이드의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슈가 승강장 가이드에 결합한 것을 예시한 단면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슈의 결합과 분리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슈의 변형예를 예시한 도어 슈 요부단면도,
도 7c는 도 7a에 도시된 도어 슈의 조립예를 예시한 승강장 가이드 단면도,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용 도어 슈 조립예를 예시한 요부발췌 분해 사시도로서, 다양한 종류의 도어 슈(슬라이더: 원내 확대도)의 채용예를 도시한 것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anding guide coupled to the door shoe and the door shoe attached to the landing door,
2A and 2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main parts of the door shoe and the guide of the landing door shown in FIG. 1, and FIGS. 2A and 2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different door shoes coupled to the landing guid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anding guide coupled to the door shoe and the door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oor shoe attached to a landing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door shoe in a state in which the landing door vertically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Cross-sectional view of the door shoe according to the tilted landing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Figure 4c,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latform guide employ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at the door shoe coupled to the platform gu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b is a 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illustrating the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of the door shoe according to the invention,
7a and 7b is a sectional view of the main door shoe exemplifying a modification of the door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C is a sectional view of the landing guide illustrating an example of assembly of the door shoe illustrated in FIG. 7A;
8A and 8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assembly of a door shoe for preventing departure of a landing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ing an example of employing various kinds of door shoes (slider: enlarged view in a circl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 결합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landing door coupling structure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을 참조하면,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가이드용 도어 슈(200)와 상기 도어 슈(200)를 가이드하기 위해 승강장 바닥면에 설치된 승강장 가이드(100)를 보여준다.Referring to Figure 3, Figure 3 shows an elevator door guide door sho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latform guide 100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landing platform to guide the door shoe 200.

도어 슈(200)는 승강장 가이드 홈(110)속에 삽입되는 슬라이더(210)와, 슬라이더(210)를 지지하고, 승강장 도어(300)의 하부에 볼트(311)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도어 슈 브라켓(310)에 고정되는 도어 슈 프레임(220)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door shoe 200 supports the slider 210 inserted into the landing guide groove 110, supports the slider 210, and locks the door shoe bracket with a fastening means such as a bolt 311 to the lower part of the landing door 300. The door shoe frame 220 is fixed to 310.

승강장 가이드(100)는 승강장 바닥과 엘리베이터 통로(도면에는 미도시)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Platform guide 100 is provided between the floor of the platform and the elevator passage (not shown in the figure).

승강장 가이드(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도어 슈(200)의 슬라이더(210)가 이동하는 가이드 홈(110)을 구비하고 있다.The platform guide 100 has a guide groove 110 through which the slider 210 of the door shoe 200 described above moves, as shown in FIG. 5.

가이드 홈(110)은 일측은 수직하고, 타측은 일정각도로 경사진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112은 승강장 가이드(100)를 승강장 바닥에 매설되어 승강장 가이드 지지편이다.The guide groove 110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side is vertical and the other side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Reference numeral 112 is the landing guide 100 is buried in the landing floor is the landing guide support piece.

가이드 홈(110)은 입구(110a)의 폭이 좁고, 입구(110a)의 내측방향으로 폭이 점차 확장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Guide groove 110 has a narrow width of the inlet (110a), the width of the inlet (110a) is made of a structure that gradually extends.

도어 슈(200)는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홈(110)의 단면에 상응하는 단면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크기는 가이드 홈(110)의 내벽과 일정거리 이격된 크기로 구성되어 있다.The door shoe 200 has a cross-secti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 section of the guide groove 110 as shown in FIGS. 4A to 4B, but the size of the door shoe 200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of the guide groove 1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t is.

또한 도어 슈(200)는 도어 슈 브라켓(310)에 고정되는 도어 슈 프레임(220)과 상기한 가이드 홈(110)속에 삽입되어 도어의 개폐동작시 승강장 도어와 함께 이동하면서 승강장 도어(300)를 가이드하는 슬라이더(210)로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door shoe 200 is inserted into the door shoe frame 220 fixed to the door shoe bracket 310 and the guide groove 110 to move the landing door 300 while moving together with the landing door dur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It is comprised by the slider 210 to guide.

도어 슈 프레임(220)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도어 슈(200)를 도어 슈 브라켓(310)에 고정시키기 위해 볼트(311)가 체결되는 관통구멍(222)을 구비하고 있다. The door shoe frame 220 is made of metal and has a through hole 222 to which the bolt 311 is fastened to fix the door shoe 200 to the door shoe bracket 310.

상기한 슬라이더(210)는 강도와 내마모성이 우수한 테프론재질로 제조되어 있고 , 가이드 홈(110)의 내벽과 이웃하게 배치되는 양 슬라이드 접촉면(201,202) 중 일측 접촉면(202)에 절취공간(230)과 일측 모서리에 모따기(231)가 마련되어 있다.The slider 210 is made of a Teflon material having excellent strength and wear resistance, and has a cutout space 230 and a cutout space 230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tact surface 202 of the two slide contact surfaces 201 and 202 disposed adjacent to the inner wall of the guide groove 110. A chamfer 231 is provided at one corner.

상기 절취공간(230)은 도어 슈(200)를 가이드 홈(110)의 입구(110a)로 출입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승강장 도어(300)가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에서는 도 4b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210) 바닥면(203)의 폭(T2)이 가이드 홈(110)의 입구(110a) 폭(G1)보다 크기 때문에 가이드 홈(110)의 입구(110a)속으로 출입할 수 없으나 승강장 도어(300)를 엘리베이터 통로쪽으로 기울이면 슬라이더(210) 폭(T1)은 가이드 홈(110)의 입구(110a) 폭(G1)보다 작아 도어 슈(200)는 가이드 홈(110)의 입구(110a)로 출입할 수 있다. The cutting space 230 allows the door shoe 200 to enter and exit the inlet 110a of the guide groove 110, and is shown in FIGS. 4B and 5 when the landing door 300 is vertically plac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width T2 of the bottom surface 203 of the slider 210 is larger than the width G1 of the inlet 110a of the guide groove 110, it is not possible to enter or exit into the inlet 110a of the guide groove 110. When the landing door 300 is tilted toward the elevator passageway, the slider 210 width T1 is smaller than the width G1 of the inlet 110a of the guide groove 110 so that the door shoe 200 is formed at the inlet of the guide groove 110. Access 110a).

따라서, 슬라이더(210)는 승강장 도어(300)의 개폐동작시 승강장 가이드 홈(110)속에서 이동하면서 승강장 도어(300)을 안내함과 동시에 승강장 도어(300)에 외압이 가해지더라도 승강장 도어가 엘리베이터 통로쪽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slider 210 guides the landing door 300 while moving in the landing guide groove 110 during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landing door 300 and at the same time an external door is applied to the landing door 300 even though the landing door is an elevator.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pushed toward the passage.

또한 슬라이더(210)가 가이드 홈(110)속에서 이동할 때 접촉면(201)(202)이 가이드 홈(110)에 면접촉되면서 슬라이드된다.In addition, when the slider 210 moves in the guide groove 110, the contact surfaces 201 and 202 slide while being in surface contact with the guide groove 110.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 슈 결합구조에 대한 조립예와 작용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n assembly example and an operation example of a landing door shoe coupling structure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승강장 도어(300)를 도 6a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통로쪽으로 일정각도로 기울여 슬라이더(210)의 엣지부(210a)가 가이드 홈의 입구(110a)에 일부 진입된 상태로 배치시킨 뒤 승강장 도어(300)를 수직방향으로 세우면서 슬라이더(210)는 모타기(231)와 절취공간(230)의 깊이에 의해 슬라이더(210)를 사선방향으로 기울이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210)가 가이드 홈(110)속으로 진입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6A and 6B, the landing door 300 is inclined at an angle toward the elevator passage so that the edge portion 210a of the slider 210 is partially entered into the inlet 110a of the guide groove. While the landing door 300 is erected vertically, the slider 210 tilts the slider 210 diagonally by the depth of the motor 231 and the cutting space 230, as shown in FIG. 6B. 210 may enter the guide groove 110.

다시 말해서, 슬라이더(210)는 승강장 도어(300)가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에서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210) 폭이 가이드 홈(110)의 입구(110a) 폭(G1)보다 크기 때문에 슬라이더(210)는 가이드 홈(110)의 입구로 출입할 수 없으나, 승강장 도어(300)를 일정각도로 기울이면 절취공간(230)의 절취공간에 의해 사선방향으로 경사진 슬라이드 폭(T2)이 가이드 홈(110)의 입구(110a) 폭(G1)(도 5 참조)보다 작아 슬라이더(210)는 가이드 홈(110)을 출입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slider 210 is a slider 210 because the width of the slider 210 is larger than the width G1 of the inlet 110a of the guide groove 110 as shown in FIG. 4B when the landing door 300 is standing vertically. The 210 may not enter or exit the entrance of the guide groove 110, but when the landing door 300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slide width T2 inclined in the diagonal direction by the cutting space of the cutting space 230 is guided. The slider 210 may enter and exit the guide groove 110 smaller than the width G1 (see FIG. 5) of the inlet 110a of the groove 110.

가이드 홈(110)속으로 슬라이더(210)가 삽입되면 승강장 도어(300)는 대략 수직하게 위치되는데, 엘리베이터 통로측 승강장 상부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도면에는 미도시)과 도어 개폐장치(도면에는 미도시)와 연결되어 도어 개폐장치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When the slider 210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10, the landing door 300 is positioned substantially vertically. A guide rail (not shown in the drawing) and a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not shown in the drawing) are installed at an upper part of the elevator passageway. The door may be opened and closed by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반대로 가이드 홈(110)에서 도어 슈(200)를 분리할 때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도면에는 미도시)에 연결된 승강장 도어(300)를 분리한 뒤 승강장 도어(300)를 엘리베이터 통로쪽으로 기울이면서 동시에 승강장 도어(300)를 위로 들어올리면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홈(110)에서 도어 슈(200)를 분리할 수 있다.On the contrary, when removing the door shoe 200 from the guide groove 110, as described above, the landing door 300 connected to the guide rail (not shown) is removed, and the landing door 300 is tilted toward the elevator passage. At the same time, lifting the landing door 300 can separate the door shoe 200 from the guide groove 110 as described above.

도 7a 및 도 7b는 또 다른 형태의 도어 슈(200)이고, 도 8a 및 8b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도어 슈(20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가이드 홈(110)을 제조한 것을 예시한 것으로, 도어 슈(200)의 양 접촉면(201)(202)(수직하게 설치된 것을 기준함)의 폭은 가이드 홈(110)의 내벽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구성하고, 슬라이더(210)의 밑변과 측벽 그리고 평면과 측면을 각각 사선방향으로 대칭되게 모따기(231)하여 도어 슈(200)가 가이드 홈(110)의 입구(110a)로 출입할 수 있다.7A and 7B illustrate another type of door shoe 200, and FIGS. 8A and 8B illustrate that the guide groove 110 is manufactur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door shoe 200 illustrated in FIGS. 7A and 7B. For example, the width of both contact surfaces 201 and 202 of the door shoe 200 (based on the vertical installation) is the same width as that of the inner wall of the guide groove 110, and the bottom side of the slider 210 is formed. The door shoe 200 may enter and exit the inlet 110a of the guide groove 110 by chamfering 231 symmetrically in the diagonal direction between the sidewalls, the plane, and the side surfaces.

승강장 도어(300)가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210) 바닥면(203)의 폭(T2)이 가이드 홈(110)의 입구(110a) 폭(G1)보다 크기 때문에 가이드 홈(110)의 입구(110a)속으로 출입할 수 없으나 승강장 도어(300)를 엘리베이터 통로쪽으로 기울이면 슬라이더가 사선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슬라이더(210) 폭(T1)은 가이드 홈(110)의 입구(110a) 폭(G1)보다 작아지므로 도어 슈(200)는 가이드 홈(110)의 입구(110a)로 출입할 수 있다. In the state where the landing door 300 is erected vertically, the width T2 of the bottom surface 203 of the slider 210 is larger than the width G1 of the inlet 110a of the guide groove 110 as described above. Although it is not possible to enter or exit into the inlet 110a of the 110, when the landing door 300 is tilted toward the elevator passage, the slider is inclined in an oblique direction, and the slider 210 width T1 is the inlet 110a of the guide groove 110. Since the door shoe 200 is smaller than the width G1, the door shoe 200 may enter and exit the inlet 110a of the guide groove 110.

가이드 홈(110)은 가이드 홈(110)의 입구 폭(G1, 도 5 참조)이 가이드 홈의 내부 폭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고, 도어 슈(200) 역시 가이드 홈(110)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슬라이더(210)는 그 양 측면이 가이드 홈(110)의 내벽에 각각 접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사다리꼴 형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어 슈 프레임(220)은 슬라이더(210)의 내부에 매입하되 도어 슈 프레임(220)을 수직하게 설치된 것을 기준으로 할 때 사선방향 혹은 직각방향으로 절곡한 프레임 절곡부(221)를 마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 guide groove 110 has an inlet width G1 (see FIG. 5) of the guide groove 110 smaller than the inner width of the guide groove, and the door shoe 200 also corresponds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guide groove 110. It is formed in a shape. 7A and 7B, the slider 210 is preferably configured such that both side surfaces thereof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guide groove 110, and more preferably, a trapezoidal shape is preferable. In addition, the door shoe frame 220 is embedded in the slider 210 to provide a frame bent portion 221 bent in an oblique direction or at a right angle when the door shoe frame 220 is installed vertically as a reference. More preferred.

프레임 절곡부(221)는 승강장 도어(300)의 개폐동작시 예측할 수 없는 이유, 예를 들어 승강장 도어(300)에 외압이나 충격이 가해졌을 때 슬라이더(210)가 슈 프레임에서 떨어지거나 도어 슈의 제조불량으로 슬라이더(210)가 도어 슈 프레임(220)에서 떨어져나가더라도 도어 슈(200)는 프레임 절곡부(221)가 가이드 홈(110)에서 밖으로 이탈하지 않으므로 승강장 도어(300)가 이탈하는 문제가 전혀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도어 이탈 방지기능에 따른 신뢰성과 안전성을 더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frame bent part 221 is unpredictable dur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landing door 300, for example, when the external door or the impact is applied to the landing door 300, the slider 210 falls from the shoe frame or the door shoe. Even if the slider 210 is separated from the door shoe frame 220 due to poor manufacturing, the door shoe 200 does not leave the frame bent portion 221 out of the guide groove 110 so that the landing door 300 is separated. Is not generated at all, it is effective to further enhance the reliability and safety according to the door departure prevention function.

상기한 바와 같은 도어 슈(200)와 승강장 도어 가이드(100)의 조립방법으로서, 도 7a 및 도 7b 및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슈(200)가 결합되는 승강장 도어(300) 하부 일측에 도어 슈(200)가 결합된 도어 슈 브라켓(310)이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멍(310a)을 마련하고, 도어 슈 브라켓(310)에 복수개의 도어 슈(200)를 볼트로 체결하여 고정한 뒤, 도어 슈(200)를 승강장 도어 가이드(100)의 가이드 홈(110)속으로 삽입한 뒤 출입구멍(310a)을 통해 도어 슈 브라켓(310)을 승강장 도어(300)속으로 삽입하여 승강장 도어(300)의 외부에서 볼트(도면부호 미표기)로 도어 슈 브라켓(310)을 고정한다. 도 8a 및 도 8b에서 도면부호 312a는 도어 슈 브라켓(310)에 도어 슈(200)을 고정시키기 위해 마련한 볼트체결구멍이고, 도면부호 312b는 도어 슈 브라켓(310)을 승강장 도어(300)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 관통구멍이다. As a method of assembling the door shoe 200 and the landing door guide 100 as described above, the lower side of the landing door 300 to which the door shoe 200 is coupled as shown in FIGS. 7A and 7B and FIG. 8. After the door shoe bracket 310 to which the door shoe 200 is coupled to provide an access hole 310a for entering and exiting, fastening the plurality of door shoes 200 to the door shoe bracket 310 by bolts, After inserting the door shoe 200 into the guide groove 110 of the landing door guide 100 and inserting the door shoe bracket 310 into the landing door 300 through the entrance hole 310a, the landing door ( Fix the door shoe bracket 310 with a bolt (not shown) from the outside of the 300. 8A and 8B, reference numeral 312a is a bolt fastening hole provided to fix the door shoe 200 to the door shoe bracket 310, and reference numeral 312b is to fix the door shoe bracket 310 to the landing door 300. It is a bolt through hole.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슈 결합방법에 의해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슈의 슬라이더는 원내의 확대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단면형상을 다양한 것을 채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As shown in FIGS. 8A and 8B by the door shoe coupl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the slider of the door shoe can adopt various cross-sectional shapes as can be seen in the enlarged view of the circle.

상기한 볼트 관통구멍(312b)은 장공형상으로 마련되어 도어 슈 브라켓(310)을 승강장 도어(300)속에 고정시킬 때, 도어 슈 브라켓(310)의 고정 높이 즉, 도어 슈(2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The bolt through hole 312b has a long hole shape, and when the door shoe bracket 310 is fixed in the landing door 300, the height of the door shoe bracket 310, that is, the height of the door shoe 200 is adjusted. Can be.

상기한 바와 같이 도어 슈 브라켓(310)을 승강장 도어(300)에 분해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슈 브라켓(310)이 승강장 가이드 홈(110)의 길이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어 도어 슈(200)의 분해 및 조립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간편할 뿐만 아니라 도어 슈(200)가 승강장 가이드 홈(11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최적화된 슬라이더(210)의 형상을 설계한 것으로 변경하거나 기존에 개발된 다양한 종류의 도어 슈를 호환하여 채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When the door shoe bracket 310 is disassembled to the landing door 300 as described above, the door shoe bracket 310 can move free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anding guide groove 110 as shown in FIG. Disassembly and assembly of the 200 is very easy and simple, and the shape of the slider 210 optimized for the door shoe 200 not to escape from the platform guide groove 110 is designed or changed to the existing on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adopted by compatible with various types of door shoe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이드 홈에 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도어 슈를 분해하거나 승강장 도어의 설치나 교체 혹은 수리를 위해 승강장 도어를 탈부착할 때, 도어 슈의 분해 조립이 쉽고 승장강 도어의 이탈 방지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the door shoe when disassembling the door shoe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caught in the guide groove or detaching the landing door for installation, replacement or repair of the landing door. Enhancement of departure prevention function

100: 승강장 가이드 110: 승강장 가이드 홈
110a: 가이드 홈 입구 112: 승강장 가이드 지지편
200: 도어 슈 201, 202: 슬라이더 접촉면
210: 슬라이더 210a: 슬라이더의 엣지부
220: 도어 슈 프레임 221: 프레임 절곡부
222: 관통구멍 230: 절취공간
300: 승강장 도어 310: 도어 슈 브라켓
310a: 출입구멍 311: 볼트
312a, 312b: 볼트체결구멍 G1: 가이드 홈의 입구 폭
T1: 승강장 도어가 가이드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에서의 슬라이더 폭
T2: 승강장 도어가 가이드에 대해 기울인 상태에서의 슬라이더 폭
100: platform guide 110: platform guide home
110a: guide groove entrance 112: platform guide support
200: door shoe 201, 202: slider contact surface
210: slider 210a: edge portion of the slider
220: door shoe frame 221: frame bent portion
222: through hole 230: cutting space
300: platform door 310: door shoe bracket
310a: access hole 311: bolt
312a, 312b: Bolting hole G1: Inlet width of guide groove
T1: Slider width with landing doors arranged perpendicular to the guide
T2: Slider width with platform door tilted against guide

Claims (3)

입구의 폭이 좁고, 입구의 내측으로 확장된 가이드 홈을 구비하고 엘리베이터 승강장 바닥에 설치된 승강장 가이드와;
승강장 도어의 개폐동작시 상기 승강장 도어를 개폐가능하게 가이드하고, 승강장 도어에 외압이 가해지더라도 승강장 도어가 엘리베이터 통로쪽으로 밀려나지 않도록 상기 승강장 가이드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승강장 도어의 하부에 결합되는 도어 슈로 구성된 엘리베이터용 승강장 도어 슈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 도어를 승강장 가이드에 결합하거나 분리함에 있어 승강장 도어를 엘리베이터 통로쪽으로 일정각도로 기울이면 상기 가이드 홈(110)의 입구로 슬라이더가 출입할 수 있도록 절취공간(230)과 모따기(231)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장 도어(300)를 가이드에 대해 수직하게 세우면, 상기 슬라이더(210)는 가이드 홈(11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입구(110a)의 폭(G1)보다 큰 바닥면을 지니는 도어 슈(2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용 도어 슈 결합구조.
A landing guide having a narrow width of the entrance and having a guide groove extending inwardly of the entrance and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elevator platform;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landing door is guided to open and close the landing door, even if an external pressure is applied to the landing door is slidably coupled to the landing guide so as not to be pushed toward the elevator passag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anding door In the elevator door shoe coupling structure consisting of a door shoe,
When the landing door is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landing guide, the landing door is provided with a cutting space 230 and a chamfer 231 to allow the slider to enter and exit the guide groove 110 when the landing door is tilted at an angle toward the elevator passageway. When the landing door 300 is placed perpendicular to the guide, the slider 210 has a bottom surface larger than the width G1 of the inlet 110a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guide groove 110. Door shoe coupling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departure door departure of the elevato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엘리베이터 승강장 바닥면에 설치된 승장장 가이드에 승강장 도어의 개폐동작시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를 위해 승강장 도어와 승강장 도어 가이드 사이를 연결하는 도어 슈 연결방법에 있어서,
도어 슈를 탈부착가능하게 지지하는 도어 슈 브라켓(310)을 승강장 도어(300)의 하측면에 마련된 출입구멍(310a)으로 삽입하면서 동시에 도어 슈(200)의 슬라이더(210)를 승강장 가이드 홈(110)의 길이방향으로 삽입한 뒤 승강장 도어(300)의 외부에서 볼트로 도어 슈 브라켓(310)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용 도어 슈 결합방법.
In the door shoe connection method for connecting between the landing door and the landing door guide to prevent departure of the landing door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landing door to the landing guide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elevator landing,
While inserting the door shoe bracket 310 which detachably supports the door shoe into the entrance hole 310a provided in the lower side of the landing door 300, the slider 210 of the door shoe 200 is inserted into the landing guide groove 110. The door shoe coupling method for preventing the landing door departure of the elev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the door shoe bracket 310 with a bolt from the outside of the landing door 300 after inse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슈(200)는 슬라이더(210)의 내부에 도어 슈 프레임(220)과 연결된 프레임 절곡부(22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용 도어 슈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door shoe 200 further comprises a frame bent portion 221 connected to the door shoe frame 220 inside the slider 210.
KR1020120073100A 2011-12-12 2012-07-04 Elwvator door breakaway prevent appatatus KR10129897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32554 2011-12-12
KR1020110132554 2011-1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6484A true KR20130066484A (en) 2013-06-20
KR101298975B1 KR101298975B1 (en) 2013-08-23

Family

ID=48862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3100A KR101298975B1 (en) 2011-12-12 2012-07-04 Elwvator door breakaway prevent appat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897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32222A (en) * 2017-04-01 2017-08-11 广东奥尔斯电梯有限公司 Rolling guide shoe for elevator sill
EP3231759A1 (en) * 2016-04-13 2017-10-1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landing door assembly and elevator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000B1 (en) 2020-01-31 2020-12-07 (주)금호엘리베이터 Elevator platform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8418A (en) * 2000-01-28 2001-08-10 Asmo Co Ltd Armature
KR100899955B1 (en) * 2008-06-10 2009-05-28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Breakaway prevention construction for elevator's door
KR20100101411A (en) * 2009-03-09 2010-09-17 (주)상아엘리베이터 Device for preventing a front door of elevator from detachm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31759A1 (en) * 2016-04-13 2017-10-1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landing door assembly and elevator system
CN107032222A (en) * 2017-04-01 2017-08-11 广东奥尔斯电梯有限公司 Rolling guide shoe for elevator si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8975B1 (en) 2013-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3000B1 (en) It can adjust highly railing for apartment house
KR101298975B1 (en) Elwvator door breakaway prevent appatatus
KR102127737B1 (en) Safety apparatus for lift Gang Form
JP6552880B2 (en) Moving partition device
KR200473964Y1 (en) Stiffener for elevator door sill
KR100638797B1 (en) Prefabricated stairs institution structure of building
KR20100104101A (en) Elevator doors with retaining features
KR20090008555A (en) Dust discharging device and screen door therewith
KR101280062B1 (en) Jig for conneting a elevator door into door guide seal
JP5618735B2 (en) Passenger conveyor
KR20100101411A (en) Device for preventing a front door of elevator from detachment
KR20230125879A (en) Elevator landing plaform having meterial separator with easily replaceable door sill
KR100923619B1 (en) Separation object of a elevator hall
JP2008280118A (en) Elevator car
KR200390339Y1 (en) Fireproof door for entrance of elevtor
KR100897746B1 (en) Door shoe with prevent an separation skill and structure with it
KR101199509B1 (en) Opening and shutting structure of system windows and doors
KR102331751B1 (en) Elevator door detaching prevention device
KR100627976B1 (en) Railing reinforcement structure for building and apartment house
JP7009318B2 (en) Passenger conveyor
KR101213694B1 (en) Disconnection prevention system of platform door of elevator
KR20230125880A (en) Elevator landing plaform having meterial separator with easily replaceable door sill
EP1244595B1 (en) Latchable slide unit for slidingly supporting elevator doors
KR101285591B1 (en) Lifting door
KR20070051535A (en) Structure of an window frame of apartment verand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