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6152A - 초전 효과를 이용한 스탠바이 전력 저감 장치 - Google Patents

초전 효과를 이용한 스탠바이 전력 저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6152A
KR20130066152A KR1020110132865A KR20110132865A KR20130066152A KR 20130066152 A KR20130066152 A KR 20130066152A KR 1020110132865 A KR1020110132865 A KR 1020110132865A KR 20110132865 A KR20110132865 A KR 20110132865A KR 20130066152 A KR20130066152 A KR 20130066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output signal
fingerprint recognition
standby
pyro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2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2854B1 (ko
Inventor
이승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2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2854B1/ko
Publication of KR20130066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6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2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2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59Power saving in cursor control device, e.g. mouse, joystick, trackbal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Abstract

초전 효과를 이용한 스탠바이 전력 저감 장치가 제공된다. 스탠바이 전력 저감 장치는, 지문 인식 모듈을 가지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력 저감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압전 소자들을 통해 인체의 일부분으로부터 발산되는 적외선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적외선 변화에 의한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초전체 모듈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초전체 모듈에 의해 생성된 출력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지문 인식 모듈을 슬립 모드로 전환시키며, 초전체 모듈에 의해 생성된 출력 신호가 입력되면 지문 인식 모듈을 슬립 모드에서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시키는 전력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의 스탠바이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초전 효과를 이용한 스탠바이 전력 저감 장치{APPARATUS FOR REDUCING STANBY POWER USING PYROELECTRIC EFFECT}
본 발명은 초전 효과를 이용한 스탠바이 전력 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통신 기기는 그 사용분야가 다양화되고 있으며, 금융 결제와 같은 보안을 필요로 하는 분야에까지 그 적용분야가 넓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휴대용 통신 기기의 보안에 관한 문제가 사회적 이슈화되어 다양한 보안 인증 시스템이 검토되고 있다.
이러한 보안 인증 시스템의 하나로 기존의 로직 인증, 즉 비밀번호와 같이 특정 패턴을 입력하는 방식으로는 휴대폰 보안 요구를 충분히 만족시키지 못한다. 이에 따라 홍채 인식이나 지문 인식과 같은 생체 센서를 이용한 휴대용 통신 기기의 보안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부품이 휴대용 통신 기기내에 적용된다. 이와 같은 다양한 부품이 적용되는 휴대용 통신 기기에서 불필요한 전력을 저감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생체 인식, 예를 들면 지문 인식을 미리 준비하기 위해 휴대용 통신 기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폭(ACTIVE)을 가진 액티브 펄스(ACTIVE)를 아이들(IDLE)과 교대로 발생시킨다. 상술한 일정한 주기의 펄스는 스탠바이 모드(10) 동안 계속된다. 이후 스탠바이 모드(10) 중에 사용자의 손가락(FG)을 인식하게 되면, 휴대용 통신 기기는 액티브 모드(20, ACTIVE)로 전환한 후, 액티브 모드(20, ACTIVE)동안 손가락(FG)의 지문을 인식하게 된다. 이후 지문 인식이 완료되면, 다시 스탠바이 모드(10)로 전환하게 된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스탠바이 모드(10)에서 휴대용 통신 기기는 일정한 폭(ACTIVE)을 가진 펄스를 끊임없이 발생시켜야 하므로, 스탠바이 모드(10) 동안 불필요한 전력을 소모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스탠바이 모드에서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저감시킬 수 있는 스탠바이 전력 저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지문 인식 모듈을 가지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력 저감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압전 소자들을 통해 인체의 일부분으로부터 발산되는 적외선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적외선 변화에 의한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초전체 모듈; 및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초전체 모듈에 의해 생성된 출력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지문 인식 모듈을 스탠바이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시키며, 상기 초전체 모듈에 의해 생성된 출력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지문 인식 모듈을 상기 슬립 모드에서 상기 스탠바이 모드로 재전환시키는 전력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스탠바이 전력 저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다수의 압전 소자들 각각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적외선 변화에 의한 출력 신호를 얻는 전극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전극모듈은,
상기 다수의 압전 소자들 각각의 일단에 공통 연결된 하부 전극 모듈; 및
상기 다수의 압전 소자들 각각의 타단에 각각 연결된 다수의 상부 전극들을 포함하는 상부 전극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다수의 상부 전극들은 공통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전력 저감 장치는,
상기 초전체 모듈에 의해 생성된 출력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압전 소자는,
PZT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압전 소자, 특히 PZT 소자의 초전 효과를 이용하여 인체의 일부분으로부터 발산되는 적외선 변화가 감지된 경우에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시키며, 적외선 변화가 감지되지 않으면 슬립 모드로 전환시킴으로써, 스탠바이 모드에서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저감시킬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스탠바이 모드에서의 전력 소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스탠바이 전력 저감을 위한 초전체 모듈이 내장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스탠바이 전력 저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스탠바이 전력 저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은 액티브 모드에서 실제 지문 인식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스탠바이 전력 저감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스탠바이 전력 저감을 위한 초전체 모듈이 내장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스탠바이 전력 저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스탠바이 전력 저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마지막으로, 도 5 내지 도 6은 액티브 모드에서 실제 지문 인식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스탠바이 전력 저감 장치는, 지문 인식 모듈을 가지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력 저감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압전 소자들을 통해 인체의 일부분으로부터 발산되는 적외선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적외선 변화에 의한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초전체 모듈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초전체 모듈에 의해 생성된 출력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지문 인식 모듈을 스탠바이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시키며, 초전체 모듈에 의해 생성된 출력 신호가 입력되면 지문 인식 모듈을 슬립 모드에서 스탠바이 모드로 재전환시키는 전력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스탠바이 전력 저감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초전체 모듈(110)은 2가지 기능을 수행하며, 그 하나는 인체의 일부, 예를 들며 손가락(FG)으로부터 발산되는 적외선(IR) 변화를 감지하며, 나머지는 지문의 골(valley)과 마루(ridge)에 의한 손가락(FG)의 지문을 인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들 2가지 기능들 중 후자, 즉 압전 소자를 이용한 지문 인식에 대해서는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기술이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초전 효과를 이용한 스탠바이 전력 저감 장치를 위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초전체 모듈(110)은 초전 효과를 이용하여 적외선 변화를 전압 또는 전류와 같은 형태로 변환하는 비접촉식 열 트랜스듀서이다. 여기서, 초전 효과(pyroelectric effect)란 온도 변화에 따라 압전 소자에 포함된 유전체 결정의 전기 분극의 크기가 변화하여 전압 또는 전류의 형태로 출력이 나타나는 현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초전체 모듈(110)은 압전 소자, 특히 PZT(납, 지르코늄, 티타늄) 소재일 수 있다.
상술한 초전체 모듈(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머(110b) 속에 다수의 압전 소자(110a)가 묻힌 1-3 복합체 어레이(composite array)와 같은 형태일 수 있으며, 다수의 압전 소자(110a) 각각의 양단으로부터 적외선 변화에 의한 출력 신호를 얻는 전극모듈(110c, 110d)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모듈(110c, 110d)은, 다수의 압전 소자(110a) 각각의 일단에 공통 연결된 하부 전극 모듈(110c)과, 다수의 압전 소자(110a) 각각의 타단에 각각 연결된 다수의 상부 전극들을 포함하는 상부 전극 모듈(110d)을 구비하며, 다수의 상부 전극들은 공통 연결될 수 있다. 통상 하나의 압전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또는 전류 형태의 출력 신호는 매우 미약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다수의 압전 소자(110a) 각각으로부터 나오는 출력 신호를 공통 연결하여 출력 신호를 뽑아내므로, 손가락(FG)으로부터 발산되는 적외선(IR) 변화를 더욱 미세하게 검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하부 전극 모듈(110c)의 하부에는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110f) 및 이방성도전필름(ACF: Anisotropic Conductive Film)(110e)이 설치되며, 손가락(FG)이 다수의 압전 소자(110a)를 누름에 의해 발생되는 손가락(FG)의 골(valley)과 마루(ridge)에 의한 압력 변화를 이방성도전필름(ACF,110e)를 통해 인쇄회로기판(PCB, 110f)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최하부의 반사막(110g)은 압전 소자(110a)에 의해 발생된 초음파를 상부로 반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술한 이방성도전필름(110e), 인쇄회로기판(110f) 및 반사막(110g)를 이용한 지문 인식 방법에 대해서는 널리 알려진 기술이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초전체 모듈(110)은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실장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다수의 키들 중에서 전원 버튼(R1)에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초전체 모듈(110)을 전원 버튼에 구현하는 이유는 전원 버튼은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사용하고자 할 때 가장 먼저 눌러야만 하는 버튼이기 때문에, 지문인식과 함께 개인 인증 기능도 함께 구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초전체 모듈(110)은 예를 들면 손가락(FG)과 같은 인체의 일부분이 근접하면, 손가락(FG)으로부터 발산되는 적외선(IR)의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적외선(IR) 변화에 의한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 생성된 출력 신호는 증폭 모듈(120a)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출력 신호는 전압 또는 전류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상술한 초전체 모듈(110)의 구현 위치는 일 실시 형태에 불과하며, 도면부호 R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전면 하단부에 구현될 수도 있다.
증폭 모듈(120a)은 초전체 모듈(110)로부터 전달된 출력 신호를 소정의 증폭율로 증폭할 수 있다. 증폭된 출력 신호는 전력 제어 모듈(120b)로 전달될 수 있다.
전력 제어 모듈(120b)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초전체 모듈(110)에 의해 생성된 출력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지문 인식 모듈(120c)을 슬립 모드(SLEEP, 401)로 전환시키며, 초전체 모듈(110)에 의해 생성된 출력 신호가 입력되면 지문 인식 모듈(120c)을 슬립 모드(SLEEP, 401)에서 스탠바이 모드(402)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전력 제어 모듈(120b)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지문 인식 모듈(120c)은 슬립 모드(SLEEP, 401)에서 대기하게 된다. 이후 T1 시점에서 인체의 일부인 손가락(FG)이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근접하게 접근하게 되면, 초전체 모듈(110)은 손가락(FG)으로부터 발산되는 적외선(IR) 변화를 감지하게 되며, 적외선 변화에 기초한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도면부호 T1은 초전체 모듈(110)에서 손가락(FG)으로부터 발산되는 적외선(IR) 변화를 감지하는 시점이 될 수 있다. 상술한 출력 신호는 전력 제어 모듈(120b)로 입력되며, 전력 제어 모듈(120b)은 T1 시점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지문 인식 모듈(120c)을 슬립 모드(SLEEP, 401)로부터 스탠바이 모드(402)로 전환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스탠바이 모드(402)로 전환한 지문 인식 모듈(120c)은 비로소 일정한 펄스폭(ACTIVE)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후,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T2 시점에서 초전체 모듈(110)에 접촉하는 손가락(FG)을 감지하게 되면, 지문인식모드(ACTIVE, 403)로 전환하여 손가락(FG)의 지문을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T2 시점은 초전체 모듈(110)에서 손가락(FG)을 감지하는 시점이 될 수 있다. 지문 인식이 완료되면, 지문 인식 모듈(120c)은 다시 스탠바이 모드(402)로 전환한다. 스탠바이 모드(402)로 전환된 이후에 미리 설정된 시간(T) 동안 초전체 모듈(110)에 의해 생성된 출력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전력 제어 모듈(120b)은 지문 인식 모듈(120c)을 스탠바이 모드(402)에서 슬립 모드(401, SLEEP)로 다시 전환시킬 수 있다. 위에서, 스탠바이 모드(402)는 언제든 지문을 인식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장치만 깨어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모드임에 반해, 슬립 모드(401, SLEEP)는 최대한 소비 전력을 낮추기 위해 거의 모든 장치가 잠들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모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압전 소자, 특히 PZT 소자의 초전 효과를 이용하여 인체의 일부분으로부터 발산되는 적외선 변화가 감지된 경우에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시키며, 적외선 변화가 감지되지 않으면 슬립 모드로 전환시킴으로써, 스탠바이 모드에서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저감시킬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마지막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스탠바이 전력 저감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발명의 간명화를 위해 도 2 내지 도 6에서 설명된 사항과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우선 초전체 모듈(110)은 다수의 압전 소자들(110b)을 통해 인체의 일부분으로부터 발산되는 적외선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적외선 변화에 의한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700). 생성된 출력 신호는 전압 또는 전류 형태일 수 있으며, 생성된 출력 신호는 증폭 모듈(120a)로 전달될 수 있다.
상술한 초전체 모듈(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머(110b) 속에 다수의 압전 소자(110a)가 묻힌 1-3 복합체 어레이(composite array)와 같은 형태일 수 있으며, 다수의 압전 소자(110a) 각각의 양단으로부터 적외선 변화에 의한 출력 신호를 얻는 전극모듈(110c, 110d)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초전체 모듈(110)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실장될 수 있으며, 특히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다수의 키들 중에서 전원 버튼(R1)에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초전체 모듈(110)을 전원 버튼(R1)에 구현하는 이유는 전원 버튼은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사용하고자 할 때 가장 먼저 눌러야만 하는 버튼이기 때문에, 지문인식과 함께 개인 인증 기능도 함께 구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초전체 모듈(110)의 구현 위치는 일 실시 형태에 불과하며, 도면부호 R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전면 하단부에 구현될 수도 있다.
증폭 모듈(120a)은 초전체 모듈(110)로부터 전달된 출력 신호를 소정의 증폭율로 증폭할 수 있다(S701). 증폭된 출력 신호는 전력 제어 모듈(120b)로 전달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전력 제어 모듈(120b)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적외선 변화가 감지되지 않으면(초전체 모듈(110)에 의해 생성된 출력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지문 인식 모듈(120c)을 슬립 모드(401)로 전환시키며, 적외선 변화가 감지되면(초전체 모듈(110)에 의해 생성된 출력 신호가 입력되면), 지문 인식 모듈(120c)을 슬립 모드(401)에서 스탠바이 모드(402)로 전환시킬 수 있다(S702).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지문 인식 모듈(120c)은 슬립 모드(SLEEP, 401)에서 대기하게 된다. 이후 T1 시점에서 인체의 일부인 손가락(FG)이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근접하게 접근하게 되면, 초전체 모듈(110)은 손가락(FG)으로부터 발산되는 적외선(IR) 변화를 감지하게 되며, 적외선 변화에 기초한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도면부호 T1은 초전체 모듈(110)에서 손가락(FG)으로부터 발산되는 적외선(IR) 변화를 감지하는 시점이 될 수 있다. 상술한 출력 신호는 전력 제어 모듈(120b)로 입력되며, 전력 제어 모듈(120b)은 T1 시점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지문 인식 모듈(120c)을 슬립 모드(SLEEP, 401)로부터 스탠바이 모드(402)로 전환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스탠바이 모드(402)로 전환한 지문 인식 모듈(120c)은 비로소 일정한 펄스폭(ACTIVE)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후,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T2 시점에서 초전체 모듈(110)에 접촉하는 손가락(FG)을 감지하게 되면, 지문인식모드(ACTIVE, 403)로 전환하여 손가락(FG)의 지문을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지문 인식이 완료되면, 지문 인식 모듈(120c)은 다시 스탠바이 모드(402)로 전환한다. 스탠바이 모드(402)로 전환된 이후에 미리 설정된 시간(T) 동안 초전체 모듈(110)에 의해 생성된 출력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전력 제어 모듈(120b)은 지문 인식 모듈(120c)을 스탠바이 모드(402)에서 슬립 모드(401, SLEEP)로 다시 전환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압전 소자, 특히 PZT 소자의 초전 효과를 이용하여 인체의 일부분으로부터 발산되는 적외선 변화가 감지된 경우에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시키며, 적외선 변화가 감지되지 않으면 슬립 모드로 전환시킴으로써, 스탠바이 모드에서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저감시킬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0: 모바일 디바이스 110: 초전체 모듈
110a: 압전 소자 110b: 폴리머
110c: 하부 전극 모듈 110d: 상부 전극 모듈
110e: 이방성도전필름(ACF) 110f: 인쇄회로기판(PCB)
110g: 반사막 120a: 증폭 모듈
120b: 전력 제어 모듈 120c: 지문 인식 모듈
R1: 전원 버튼 R2: 전면 하단부
T1: 적외선(IR) 변화의 감지 시점
T2: 손가락(FG)을 감지하는 시점

Claims (5)

  1. 지문 인식 모듈을 가지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력 저감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압전 소자들을 통해 인체의 일부분으로부터 발산되는 적외선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적외선 변화에 의한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초전체 모듈; 및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초전체 모듈에 의해 생성된 출력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지문 인식 모듈을 슬립 모드로 전환시키며, 상기 초전체 모듈에 의해 생성된 출력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지문 인식 모듈을 상기 슬립 모드에서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시키는 전력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스탠바이 전력 저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전체 모듈은,
    상기 다수의 압전 소자들 각각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적외선 변화에 의한 출력 신호를 얻는 전극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스탠바이 전력 저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모듈은,
    상기 다수의 압전 소자들 각각의 일단에 공통 연결된 하부 전극 모듈; 및
    상기 다수의 압전 소자들 각각의 타단에 각각 연결된 다수의 상부 전극들을 포함하는 상부 전극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다수의 상부 전극들은 공통 연결되는 스캔바이 전력 저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저감 장치는,
    상기 초전체 모듈에 의해 생성된 출력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 모듈을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스탠바이 전력 저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소자는,
    PZT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스탠바이 전력 저감 장치.
KR1020110132865A 2011-12-12 2011-12-12 초전 효과를 이용한 스탠바이 전력 저감 장치 KR101412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865A KR101412854B1 (ko) 2011-12-12 2011-12-12 초전 효과를 이용한 스탠바이 전력 저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865A KR101412854B1 (ko) 2011-12-12 2011-12-12 초전 효과를 이용한 스탠바이 전력 저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6152A true KR20130066152A (ko) 2013-06-20
KR101412854B1 KR101412854B1 (ko) 2014-06-27

Family

ID=48862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2865A KR101412854B1 (ko) 2011-12-12 2011-12-12 초전 효과를 이용한 스탠바이 전력 저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285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6599A3 (en) * 2013-06-03 2015-07-09 Qualcomm Incorporated Piezoelectric force sensing array
KR20150080812A (ko) * 2014-01-02 2015-07-10 삼성전기주식회사 지문 감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US9262003B2 (en) 2013-11-04 2016-02-16 Qualcomm Incorporated Piezoelectric force sensing array
US9323393B2 (en) 2013-06-03 2016-04-26 Qualcomm Incorporated Display with peripherally configured ultrasonic biometric sensor
WO2016080761A1 (en) * 2014-11-18 2016-05-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driving fingerprint sensor
US10008659B2 (en) 2014-12-09 2018-06-26 Lg Innotek Co., Ltd. Fingerprint sensor
WO2018101635A3 (ko) * 2016-12-02 2018-07-19 한국기계연구원 손가락 생체정보 인식모듈과, 이것이 적용된 전자기기, 그리고 손가락 생체정보 인식모듈의 제조방법과 트랜스듀서의 제조방법
US10083287B2 (en) 2015-08-27 2018-09-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ngerprint sens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55209B2 (ja) * 1995-03-31 1998-05-20 日本電気株式会社 省電力制御用入力装置
KR20010054934A (ko) * 1999-12-08 2001-07-02 김승택 초소형 광학 지문입력 장치
JP4187451B2 (ja) * 2002-03-15 2008-11-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個人認証用デバイスと携帯端末装置
KR100576247B1 (ko) 2005-07-11 2006-05-03 주식회사 동은전자 도어 개폐 인증 장치 및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6599A3 (en) * 2013-06-03 2015-07-09 Qualcomm Incorporated Piezoelectric force sensing array
US9323393B2 (en) 2013-06-03 2016-04-26 Qualcomm Incorporated Display with peripherally configured ultrasonic biometric sensor
US9262003B2 (en) 2013-11-04 2016-02-16 Qualcomm Incorporated Piezoelectric force sensing array
KR20150080812A (ko) * 2014-01-02 2015-07-10 삼성전기주식회사 지문 감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US9465972B2 (en) 2014-01-02 2016-10-1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Fingerprint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16080761A1 (en) * 2014-11-18 2016-05-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driving fingerprint sensor
US10474861B2 (en) 2014-11-18 2019-1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driving fingerprint sensor
US10008659B2 (en) 2014-12-09 2018-06-26 Lg Innotek Co., Ltd. Fingerprint sensor
US10083287B2 (en) 2015-08-27 2018-09-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ngerprint sens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18101635A3 (ko) * 2016-12-02 2018-07-19 한국기계연구원 손가락 생체정보 인식모듈과, 이것이 적용된 전자기기, 그리고 손가락 생체정보 인식모듈의 제조방법과 트랜스듀서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2854B1 (ko) 2014-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2854B1 (ko) 초전 효과를 이용한 스탠바이 전력 저감 장치
US10733409B2 (en) Hybrid capacitive and ultrasonic sensing
TWI539318B (zh) 具有多功能感測器的電子裝置及運作方法
WO2016112848A1 (zh) 电子设备及其触摸感测系统、以及触摸感测系统的检测方法
US9092653B2 (en) Finger biometric sensor including laterally adjacent piezoelectric transducer layer and associated methods
TWI507910B (zh) 基於欺騙偵測之可切換至使用者介面解鎖模式之電子裝置及相關方法
WO2019201292A1 (zh) 电子锁的控制系统、控制方法及智能门锁
US10133904B2 (en) Fully-addressable sensor array for acoustic imaging systems
TWM341273U (en) Multi-touch auto scanning
KR20130056082A (ko) 지문 인식 센서 및 그 동작 방법
KR102650350B1 (ko) 피부 케어 기기 및 그의 피부 측정 방법
EP3356998B1 (en) Method and fingerprint sensing device with finger lost detection
TWI631500B (zh) 電子裝置及該電子裝置的操作方法
CN108108683A (zh) 触控响应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KR20150111043A (ko) 손가락 터치를 감지하는 지문 인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10115315A1 (zh) 用户识别系统及其启动装置及启动方法
CN113487768A (zh) 一种智能门锁触摸按键检测装置及方法
WO2018045740A1 (zh) 一种指纹识别模组及终端
WO2019033236A1 (zh) 终端设备
WO2018119604A1 (zh) 指纹辨识系统
WO2013148033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with ultrasonic detection
CN109085940B (zh) 触控终端及其触控方法和装置
TWI599962B (zh) 指紋辨識模組
CN111508119A (zh) 门禁系统控制方法、装置、门禁系统及可读存储介质
CN105278652A (zh) 变送器设备及点亮变送器设备的显示器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