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4957A - 광원 모듈 - Google Patents

광원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4957A
KR20130064957A KR1020110131600A KR20110131600A KR20130064957A KR 20130064957 A KR20130064957 A KR 20130064957A KR 1020110131600 A KR1020110131600 A KR 1020110131600A KR 20110131600 A KR20110131600 A KR 20110131600A KR 20130064957 A KR20130064957 A KR 20130064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ght
light source
source module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1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범연
장기연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1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4957A/ko
Publication of KR20130064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49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21K9/235Details of bases or caps, i.e. the parts that connect the light source to a fitting; 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bases or c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1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4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wavelength conversion means distinct or spaced from the light-generating element, e.g. a remote phosphor lay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5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specially adapted for changing the characteristics or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g. by adjustment of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3/0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 F21Y2113/1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urs
    • F21Y2113/13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urs comprising an assembly of 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61Disposition
    • H01L2224/1615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1622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광원 모듈은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안착부를 포함하는 회로기판; 상기 안착부에 각각 배치된 복수 개의 광 방출부; 및 상기 회로기판 상에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안착부와 연결된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 내에 광 확산 물질이 위치된다.

Description

광원 모듈{LIGHT SOURCE MODULE}
실시예는 광원 모듈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의 3-5족 또는 2-6족 화합물 반도체 물질을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Ligit Emitting Diode)나 레이저 다이오드와 같은 발광소자는 박막 성장 기술 및 소자 재료의 개발로 적색, 녹색, 청색 및 자외선 등 다양한 색을 구현할 수 있으며, 형광 물질을 이용하거나 색을 조합함으로써 효율이 좋은 백색 광선도 구현이 가능하며, 형광등, 백열등 등 기존의 광원에 비해 저소비전력, 반영구적인 수명, 빠른 응답속도, 안전성, 환경친화성의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광 통신 수단의 송신 모듈, LCD(Liquid Crystal Display)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를 구성하는 냉음극관(CCFL: Cold Cathode Fluorescence Lamp)을 대체하는 발광 다이오드 백라이트, 형광등이나 백열 전구를 대체할 수 있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자동차 헤드 라이트 및 신호등에까지 응용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발광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한 조명 장치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맞추어 다양한 색을 구현할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고, 핫스팟 현상을 제거하여 신뢰성이 향상된 조명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실시예는 다양한 색을 구현할 수 있고 핫스팟이 제거된 광원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광원 모듈은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안착부를 포함하는 회로기판; 상기 안착부에 각각 배치된 복수 개의 광 방출부; 및 상기 회로기판 상에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안착부와 연결된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 내에 광 확산 물질이 위치된다.
상기 가이드부는 인접한 두 개의 안착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1 가이드부, 일측만이 안착부와 연결된 제2 가이드부, 인접하지 않은 두 개의 안착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3 가이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상기 가이드부 내에 파장변환 물질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직선 형태, 곡선 형태,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를 포함하는 직선 형태, 적어도 하나의 변곡부를 포함하는 곡선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광 방출부 중 적어도 하나는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방출부는 파장 변환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는 제1 도전형 반도체층과 활성층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발광 구조물;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 상의 제1 전극; 및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의 제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는 상기 안착부에 플립칩(Flip-Chip) 본딩될 수 있다.
상기 발광 구조물은 성장 기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성장 기판의 표면에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은 도전성 지지기판일 수 있다.
상기 광 방출부를 커버하는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에 소정 깊이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 내에 광 확산 물질, 또는 파장변환 물질이 혼합된 광 확산 물질이 위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색을 구현할 수 있고, 빛을 고르게 분산시켜 핫스팟(hot spot)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광원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배치된 발광소자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렌즈가 구비된 일실시예의 광원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9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광원 모듈을 포함하는 조명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element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 각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광원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른 광원 모듈은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안착부(112)를 포함하는 회로기판(110)과, 상기 안착부(112)에 각각 배치된 복수 개의 광 방출부(100)와, 상기 회로기판(110) 상에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112)와 연결된 가이드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120) 내에 광 확산 물질(122)이 위치된다.
회로기판(110)은 회로 패턴이 형성된 메탈기판 또는 세라믹 기판일 수 있다.
안착부(112)는 복수 개의 안착부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안착부(112)는 회로기판(110)의 표면에 존재할 수도 있고, 상기 안착부(112)가 위치하는 회로기판(110) 상의 영역에 소정 깊이의 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에는 일 예로서 안착부(112)가 제1 안착부(112a) 및 제2 안착부(112b)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안착부(112a) 및 제2 안착부(112b)가 이격되어 배치된다.
도 1에는 상기 제1 안착부(112a) 및 제2 안착부(112b)가 동일 간격 이격되어 배열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격된 간격이나 배열 형태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광 방출부(100)는 복수 개의 광 방출부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1 안착부(112a)에는 제1 광 방출부(100a)가 배치되고, 제2 안착부(112b)에는 제2 광 방출부(100b)가 배치될 수 있다.
회로기판(110) 상에는 안착부(112)와 연결된 가이드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120)는, 실시예에 따라, 인접한 두 개의 안착부(112) 사이를 연결하는 1 가이드부(120a), 일측만이 안착부(112)와 연결된 제2 가이드부(120b), 또는 인접하지 않은 두 개의 안착부(112) 사이를 연결하는 제3 가이드부(120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가이드부(120)는 상기 제1,2,3 가이드부(120a~120c)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120)는, 실시예에 따라, 직선 형태, 곡선 형태,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를 포함하는 직선 형태, 적어도 하나의 변곡부를 포함하는 곡선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가이드부(120)의 형태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안착부(112a)와 제2 안착부(112b)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두 개의 가이드부(120)를 도시하고 있으나, 가이드부(120)의 개수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도 1에는 일 예로서, 상기 가이드부(120)가 인접한 두 개의 안착부(112a, 112b)를 연결하면서 곡선 형태로서 전체적으로 링 형태를 갖는 두 개의 제1 가이드부(120a)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부(120)는 회로기판(110)의 표면으로부터 소정 깊이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20) 내에는 광 확산 물질(122)이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 확산 물질(122)뿐만 아니라 파장변환 물질도 포함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광 확산 물질(122)은 예를 들어 실리콘 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파장변환 물질은 가넷(Garnet)계 형광체, 실리케이트(Silicate)계 형광체, 니트라이드(Nitride)계 형광체, 또는 옥시니트라이드(Oxynitride)계 형광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넷계 형광체는 YAG(Y3Al5O12:Ce3 +) 또는 TAG(Tb3Al5O12:Ce3 +)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실리케이트계 형광체는 (Sr,Ba,Mg,Ca)2SiO4:Eu2 +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니트라이드계 형광체는 SiN가 포함된 CaAlSiN3:Eu2 +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옥시니트라이드계 형광체는 SiON이 포함된 Si6 - xAlxOxN8 -x:Eu2 +(0<x<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확산 물질(122)은 광 방출부(100)에서 방출된 광이 가이드부(120)를 따라 고르게 분산되도록 하여 핫스팟(hot spot)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파장변환 물질은 상기 광 확산 물질(122)이 위치된 가이드부(120)를 따라 분산되는 광의 파장을 변환시켜 다양한 파장을 갖는 광이 방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안착부(112)가 소정 깊이의 홈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안착부(112) 내에도 광 확산 물질(122), 또는 파장변환 물질이 혼합된 광 확산 물질(122)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광 방출부(100) 중 적어도 하나는 발광소자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광 방출부(100) 중에서 발광소자인 광 방출부(100)를 제외한 나머지의 광 방출부(100)는 발광소자 또는 파장 변환체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 모듈에 외부 전원 인가시, 발광소자인 광 방출부(100)에서만 능동적으로 소정 파장 영역의 빛이 방출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제1 안착부(112a)에 배치된 제1 광 방출부(100a)가 발광소자이고, 제2 안착부(112b)에 배치된 제2 광 방출부(100b)는 파장 변환체일 수 있다.
제1 광 방출부(100a)에는 발광소자가 배치되므로 외부 전원 인가시 제1 광 방출부(100a)에서 능동적으로 소정 파장 영역의 광이 방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광 방출부(100a)에서 제1 파장 영역의 광을 방출하고, 제2 광 방출부(100b)에서는 상기 제1 파장 영역의 광의 일부가 상기 파장 변환체를 여기시켜 제1 파장보다 긴 제2 파장 영역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파장 변환체는 가넷(Garnet)계 형광체, 실리케이트(Silicate)계 형광체, 니트라이드(Nitride)계 형광체, 또는 옥시니트라이드(Oxynitride)계 형광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넷계 형광체는 YAG(Y3Al5O12:Ce3 +) 또는 TAG(Tb3Al5O12:Ce3 +)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실리케이트계 형광체는 (Sr,Ba,Mg,Ca)2SiO4:Eu2 +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니트라이드계 형광체는 SiN가 포함된 CaAlSiN3:Eu2 +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옥시니트라이드계 형광체는 SiON이 포함된 Si6 - xAlxOxN8 -x:Eu2 +(0<x<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장 변환체의 종류에 따라, 여기에 의해 방출되는 광의 파장 영역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여러 색이 혼재된 다채로운 빛을 구현할 수 있다.
제1 광 방출부(100a)에서 방출된 제1 파장 영역의 광과, 여기에 의해 제2 광 방출부(100b)에서 방출된 제2 파장 영역의 광은 광 확산 물질(122)이 위치된 가이드부(120)를 따라 고르게 분산되어 다채로운 빛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120)의 형상을 달리 함으로써, 다양한 디자인을 갖는 조명을 구현할 수 있다.
가이드부(120) 내에 파장변환 물질이 혼합된 광 확산 물질(122)이 위치하는 경우, 제1 광 방출부(100a)에서 방출된 제1 파장 영역의 광의 일부가 파장변환 물질에 의해 상기 제1 파장보다 긴 파장 영역의 광이 방출되고, 제2 광 방출부(100b)에서 방출된 제2 파장 영역의 광의 일부가 파장변환 물질에 의해 상기 제2 파장보다 긴 파장 영역의 광이 방출된다. 또한, 제1,2 광 방출부(100a, 100b)에서 방출된 여러 파장 영역의 광과 상기 파장변환 물질에 의해 파장이 변환되어 방출된 광이 상기 가이드부(120)를 따라 고르게 분산되면서, 다채로운 빛을 구현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예로서, 제1 안착부(112a), 제2 안착부(112b) 및 제3 안착부(112c)가 동일 간격 이격되어 배열되고, 인접한 두 개의 안착부(112)를 연결하면서 직선 형태를 갖는 세 개의 제1 가이드부(120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안착부(112a)에는 제1 광 방출부(100a)가 배치되고, 제2 안착부(112b)에는 제2 광 방출부(100b)가 배치되고, 제3 안착부(112c)에는 제3 광 방출부(100c)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예로서, 제1 안착부(112a), 제2 안착부(112b) 및 제3 안착부(112c)가 동일 간격 이격되어 배열되고, 인접한 두 개의 안착부(112)를 연결하며 곡선 형태를 갖는 세 개의 제1 가이드부(120a)와, 하나의 안착부(112)와 일측이 각각 연결되며 직선 형태를 갖는 세 개의 제2 가이드부(120b)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안착부(112a)에는 제1 광 방출부(100a)가 배치되고, 제2 안착부(112b)에는 제2 광 방출부(100b)가 배치되고, 제3 안착부(112c)에는 제3 광 방출부(100c)가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예로서, 제1 안착부(112a), 제2 안착부(112b), 제3 안착부(112c) 및 제4 안착부(112d)가 동일 간격 이격되어 배열되고, 인접한 두 개의 안착부(112)를 연결며 곡선 형태로서 전체적으로 링 형상을 갖는 네 개의 제1 가이드부(120a)와, 인접하지 않은 두 개의 안착부(112)를 교차하여 연결하며 직선 형태로서 전체적으로 십자 형상을 갖는 두 개의 제3 가이드부(120c)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안착부(112a)에는 제1 광 방출부(100a)가 배치되고, 제2 안착부(112b)에는 제2 광 방출부(100b)가 배치되고, 제3 안착부(112c)에는 제3 광 방출부(100c)가 배치되고, 제4 안착부(112d)에는 제4 광 방출부(100d)가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예로서, 제1 안착부(112a), 제2 안착부(112b), 제3 안착부(112c), 제4 안착부(112d) 및 제5 안착부(112e)가 동일 간격 이격되어 배열되고, 인접한 두 개의 안착부(112)를 연결하며 하나의 절곡부(126)를 포함하는 직선 형태로서 전체적으로 성형(星形)을 갖는 다섯 개의 제1 가이드부(120a)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예로서, 제1 안착부(112a), 제2 안착부(112b), 제3 안착부(112c) 및 제4 안착부(112d)가 동일 간격 이격되어 배열되고, 인접한 두 개의 안착부(112)를 연결하며 하나의 변곡부(128)를 포함하는 직선 형태로서 전체적으로 운형(雲形)을 갖는 네 개의 제1 가이드부(120a)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광 방출부(100) 중 적어도 하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고, 발광소자가 아닌 그 이외의 광 방출부는 파장 변환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소자인 광 방출부(100)는 그 자체에서 소정 파장 영역의 광을 방출하고, 파장 변환체인 광 방출부(100)는 상기 발광소자에서 방출된 소정 파장 영역의 광의 일부가 상기 파장 변환체를 여기시켜 상기 소정 파장보다 긴 파장 영역의 광을 방출한다.
상기 파장 변환체의 종류는 도 1과 관련해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발광소자인 광 방출부(100)에서 방출된 파장 영역의 광과, 파장 변환체인 광 방출부(100)에서 여기에 의해 방출된 파장 영역의 광은 광 확산 물질(122)이 위치된 가이드부(120)를 따라 고르게 분산되어 다채로운 빛을 구현할 수 있다.
가이드부(120) 내에 파장변환 물질이 혼합된 광 확산 물질(122)이 위치하는 경우, 발광 모듈은 발광소자인 광 방출부(100)에서 방출된 파장 영역의 광과, 파장 변환체인 광 방출부(100)에서 여기에 의해 방출된 파장 영역의 광을 방출하고, 상기 광의 일부가 가이드부(120) 내에 위치된 파장변환 물질에 의해 보다 긴 파장 영역의 광으로 방출되며, 이들 광이 상기 가이드부(120)를 따라 고르게 분산되면서 다채로운 빛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가이드부(120)의 형상은 일 예시에 불과하며, 원하는 대로 가이드부(120)를 형성하여 광 방출부(100)에서 방출된 광이 상기 가이드부(120)를 따라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디자인이 중시되는 조명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가이드부(120)에 모두 동일한 파장변환 물질을 위치시켜 전체로서 균일한 빛이 방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가이드부(120)에 각각 다른 파장변환 물질을 채워서 불균일하지만 좀 더 다채로운 빛이 방출되도록 구성하여 디자인적 요소를 중시할 수도 있다.
구비되는 광 방출부(100)의 개수가 많을수록 좀 더 다양한 빛을 방출하는 조명을 구현할 수 있다.
도 7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광원 모듈에 배치된 발광소자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일 예로서 수평형 발광소자를 도시하였다.
발광소자는 복수의 화합물 반도체층, 예를 들어 3족-5족 원소의 반도체층을 이용한 LED(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며, LED는 청색, 녹색 또는 적색 등과 같은 광을 방출하는 유색 LED이거나 UV LED일 수 있다. LED의 방출 광은 다양한 반도체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일시예에 따른 수평형 발광소자는 성장 기판(210) 상에, 개구면을 가지는 제1 도전형 반도체층(222)과 활성층(224)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226)을 포함하는 발광 구조물(220)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222)의 개구면 상에 제1 전극(230)이 배치되고,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226) 상에 제2 전극(240)이 배치된다.
발광 구조물(220)은 예를 들어, 유기금속 화학 증착법(MOCVD; 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화학 증착법(CVD; Chemical Vapor Deposition), 플라즈마 화학 증착법(PECVD; Plasma-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분자선 성장법(MBE; Molecular Beam Epitaxy), 수소화물 기상 성장법(HVPE; Hydride Vapor Phase Epitaxy)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성장 기판(210)의 표면에는 요철 구조와 같은 광 추출 패턴(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발광 구조물(220)에서 방출된 빛이 상기 광 추출 패턴에서 난반사됨으로써 발광소자의 광 추출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광원 모듈에는 수평형 발광소자뿐만 아니라 수직형 발광소자가 배치될 수도 있으며, 수평형 발광소자가 범프 또는 솔더 등의 접속 부재를 이용해 페이스-다운(face-down) 형태로 기판(110)에 플립칩(Flip-Chip) 본딩될 수도 있다.
수직형 발광소자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226) 상에 배치되는 도전성 지지기판(미도시)이 상기 제2 전극(240)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8은 렌즈가 구비된 일실시예의 광원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안착부(112)에 배치된 광 방출부(100)를 포위하는 렌즈(15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안착부(112a) 내지 제4 안착부(112d)에 발광소자가 배치되는 경우, 발광소자에서 발생된 빛이 발광소자의 상면뿐만 아니라 측면으로도 고르게 방출되도록 렌즈(150)를 배치하여 광원 모듈의 지향각을 넓힐 수 있다.
특히, 발광소자가 수직형 발광소자인 경우, 수평형 발광소자 또는 플립칩형 발광소자에 비해 빛의 대부분이 발광소자의 상측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수직형 발광소자의 지향각을 넓히기 위해 렌즈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렌즈(150)는 발광소자에서 방출된 빛의 굴절률을 변화시켜 빛의 진행 방향을 바꾸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8의 실시예보다 더 적거나 더 많은 광 방출부(100)가 배치된 경우, 이들 각각의 상부에 렌즈(15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9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광원 모듈을 포함하는 조명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광을 투사하는 광원(600)과 상기 광원(600)이 내장되는 하우징(400)과 상기 광원(600)의 열을 방출하는 방열부(500) 및 상기 광원(600)과 방열부(500)를 상기 하우징(400)에 결합하는 홀더(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400)은 전기 소켓(미도시)에 결합되는 소켓 결합부(410)와, 상기 소켓결합부(410)와 연결되고 광원(600)이 내장되는 몸체부(420)를 포함한다. 몸체부(420)에는 하나의 공기유동구(430)가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400)의 몸체부(420) 상에 복수 개의 공기유동구(430)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공기유동구(430)는 하나의 공기유동구로 이루어지거나, 복수 개의 유동구를 도시된 바와 같은 방사상 배치 이외의 다양한 배치도 가능하다.
상기 광원(600)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광원 모듈일 수 있다.
상기 광원(600)의 하부에는 홀더(700)가 구비되는데 상기 홀더(700)는 프레임과 또 다른 공기 유동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광원(600)의 하부에는 광학 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광원(600)에서 투사되는 빛을 확산, 산란 또는 수렴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는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광 방출부 110: 기판
112: 안착부 120: 가이드부
210: 기판 220: 발광 구조물
222: 제1 도전형 반도체층 224: 활성층
226: 제2 도전형 반도체층 230: 제1 전극
240: 제2 전극 400: 하우징
500 : 방열부 600 : 광원
700 : 홀더

Claims (13)

  1.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안착부를 포함하는 회로기판;
    상기 안착부에 각각 배치된 복수 개의 광 방출부; 및
    상기 회로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와 연결된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 내에 광 확산 물질이 위치된 광원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인접한 두 개의 안착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1 가이드부, 일측만이 안착부와 연결된 제2 가이드부, 인접하지 않은 두 개의 안착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3 가이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광원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 내에 파장변환 물질이 위치된 광원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직선 형태, 곡선 형태,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를 포함하는 직선 형태, 적어도 하나의 변곡부를 포함하는 곡선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를 갖는 광원 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광 방출부 중 적어도 하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광원 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방출부는 파장 변환체를 포함하는 광원 모듈.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제1 도전형 반도체층과 활성층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발광 구조물;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 상의 제1 전극; 및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의 제2 전극을 포함하는 광원 모듈.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상기 안착부에 플립칩(Flip-Chip) 본딩되는 광원 모듈.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구조물은 성장 기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성장 기판의 표면에 패턴이 형성된 광원 모듈.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도전성 지지기판인 광원 모듈.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방출부를 커버하는 렌즈를 더 포함하는 광원 모듈.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에 소정 깊이의 홈이 형성된 광원 모듈.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홈 내에 광 확산 물질, 또는 파장변환 물질이 혼합된 광 확산 물질이 위치된 광원 모듈.
KR1020110131600A 2011-12-09 2011-12-09 광원 모듈 KR201300649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600A KR20130064957A (ko) 2011-12-09 2011-12-09 광원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600A KR20130064957A (ko) 2011-12-09 2011-12-09 광원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957A true KR20130064957A (ko) 2013-06-19

Family

ID=48861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1600A KR20130064957A (ko) 2011-12-09 2011-12-09 광원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495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9435B2 (en) Light emitting diodes, components and related methods
US9273830B2 (en) Light source with near field mixing
KR101161383B1 (ko) 발광 다이오드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US8960932B2 (en) Light emitting device
KR20110031946A (ko) 고체 상태 조명 장치
JP2012109532A (ja) 発光装置、照明装置、及びレンズ
CN111052422A (zh) 发光二极管、部件及相关方法
KR20150113183A (ko) 발광 모듈
JP2014060328A (ja) 発光装置
US9605814B2 (en) Lighting module
EP3018720A1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light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1298576B1 (ko) 광반사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엘이디 조명장치
JP6197288B2 (ja) 発光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712880B1 (ko) 색온도 편차를 줄일 수 있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
KR101304875B1 (ko) 조명 장치
JP2017163002A (ja) 発光装置、及び、照明装置
KR20130064957A (ko) 광원 모듈
KR102556400B1 (ko) 발광소자 패키지
KR20130064956A (ko) 광원 모듈 및 이를 포함한 조명 장치
KR20140092083A (ko) 발광소자 패키지 및 발광소자 패키지 모듈
US20220173283A1 (en) Light-emitting device and planar light source
KR101920259B1 (ko) 시트블록을 갖는 led 모듈
KR101212477B1 (ko) 황색 밴드를 개선하기 위한 패턴이 구비된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조명장치
KR102532362B1 (ko) 발광소자 패키지
KR102127448B1 (ko) 발광 소자 패키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