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4455A - 부분 캐싱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부분 캐싱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4455A
KR20130064455A KR1020110131080A KR20110131080A KR20130064455A KR 20130064455 A KR20130064455 A KR 20130064455A KR 1020110131080 A KR1020110131080 A KR 1020110131080A KR 20110131080 A KR20110131080 A KR 20110131080A KR 20130064455 A KR20130064455 A KR 20130064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aching
partial data
information
block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1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0549B1 (ko
Inventor
김영석
김지훈
이광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10131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0549B1/ko
Publication of KR20130064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4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0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0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1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 H04N21/23106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involving cach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8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in hierarchically structured memory systems, e.g. virtual memory systems
    • G06F12/0802Addressing of a memory level in which the access to the desired data or data block requires associative addressing means, e.g. ca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콘텐츠 제공 방법은, 네트워크 환경 정보 또는 복수의 콘텐츠에 대한 캐시 미스율(cache miss rate)에 기초하여, 캐싱 블록 사이즈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콘텐츠에 대하여, 콘텐츠별 중요도 정보 및 콘텐츠별 인터벌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별 캐싱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콘텐츠별 캐싱 여부 및 상기 캐싱 블록 사이즈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캐싱 대상 콘텐츠의 제 1 부분 데이터를 캐시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캐싱 대상 콘텐츠는 상기 제 1 부분 데이터와 제 2 부분 데이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부분 캐싱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USING FRACTIONAL CACHING}
본 발명은 부분 캐싱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캐싱(Caching)은 데이터를 캐시(Cache) 메모리 또는 디스크 캐시에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캐싱은 중앙 처리 장치(CPU)가 데이터를 주기억 장치 또는 디스크로부터 읽어 오거나, 데이터를 주기억 장치 또는 디스크에 기록하는 것보다 훨씬 빠른 속도를 제공하며, CPU의 연산 속도에 가깝게 단축시킴으로써 컴퓨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캐싱 기술은 일반 PC, 모바일 기기 등에 활용되어, I/O(Input/Output)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서버의 과부하에 의한 트래픽(traffic)을 감소시키는 데에 활용될 수도 있다.
최근 들어, 기기와 네트워크 환경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리치 미디어(Rich Media)를 사용하는 비율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리치 미디어 콘텐츠는 일반적으로 대용량이고, 특정 시점에 요청이 집중된다는 점에서, 리치 미디어 콘텐츠의 캐싱에 있어서 종래의 전통적인 버퍼 캐싱 방법을 적용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종래의 전통적인 버퍼 캐싱 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리치 미디어 콘텐츠의 요청 간격에 기초한 인터벌 캐싱(Interval Caching) 방법, 요청 빈도에 기초한 캐싱 방법 등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리치 미디어 콘텐츠 전체를 캐싱하는 방법은 캐시의 크기 제약 때문에 캐싱할 수 있는 콘텐츠의 개수가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다양한 종류의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현재의 환경에서는 더욱 적합하지 않다.
또한, 고비용 콘텐츠와 무료 콘텐츠에 동일한 캐싱 정책을 적용하는 것은 소비자의 기대 품질을 충족시키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문헌(한국공개특허 제2007-0035911호)은 객체의 분할을 통해 캐싱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면서, 다양한 목적지 유형의 캐싱이 가능한 부분 캐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적응형 콘텐츠 전송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선행문헌은 콘텐츠의 중요도 순위와 인터벌을 동시에 고려하여 컨텐츠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방법은 개시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콘텐츠의 중요도 정보, 콘텐츠의 인터벌 정보 등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캐싱 여부를 결정하고, 콘텐츠에 대한 캐시 미스율을 줄이기 위해 콘텐츠를 분할 캐싱함으로써 보다 많은 콘텐츠를 캐싱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 단말의 요청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은, 네트워크 환경 정보 또는 복수의 콘텐츠에 대한 캐시 미스율(cache miss rate)에 기초하여, 캐싱 블록 사이즈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콘텐츠에 대하여, 콘텐츠별 중요도 정보 및 콘텐츠별 인터벌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별 캐싱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콘텐츠별 캐싱 여부 및 상기 캐싱 블록 사이즈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캐싱 대상 콘텐츠의 제 1 부분 데이터를 캐시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캐싱 대상 콘텐츠는 상기 제 1 부분 데이터와 제 2 부분 데이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콘텐츠 제공 장치는, 네트워크 환경 정보 또는 복수의 콘텐츠에 대한 캐시 미스율에 기초하여, 캐싱 블록 사이즈를 결정하는 캐싱 블록 사이즈 결정부, 상기 복수의 콘텐츠에 대하여, 콘텐츠별 중요도 정보 및 콘텐츠별 인터벌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별 캐싱 여부를 결정하는 캐싱 여부 결정부, 콘텐츠별 캐싱 여부 및 상기 캐싱 블록 사이즈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캐싱 대상 콘텐츠의 제 1 부분 데이터를 캐시 메모리에 저장하는 캐싱부를 포함한다. 상기 캐싱 대상 콘텐츠는 상기 제 1 부분 데이터와 제 2 부분 데이터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콘텐츠의 중요도 정보, 콘텐츠의 인터벌 정보 등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캐싱 여부를 결정하고, 콘텐츠에 대한 캐시 미스율을 줄이기 위해 콘텐츠를 분할 캐싱함으로써 보다 많은 콘텐츠를 캐싱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 단말의 요청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캐싱 블록의 예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캐싱 블록의 예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에게 캐싱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에게 캐싱되지 않은 부분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캐싱되지 않은 콘텐츠의 요청에 대한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전체 콘텐츠 데이터 영역 중 일부인 부분 데이터를 캐싱 영역으로 정의하고, 서비스환경에 따라서 가변적인 크기를 갖는 부분 데이터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부분 캐싱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캐싱 대상이 되는 부분 데이터를 결정함에 있어서, 정책으로 결정된 콘텐츠 요청의 미스율(miss rate)과 실제 발생된 미스율의 차이에 따라서 부분 데이터를 구성하는 캐싱 블록 사이즈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초기 접속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관리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네트워크(10)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100), 콘텐츠 제공 장치(200) 및 콘텐츠 관리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0)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 은 네트워크(1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 및 서버와 연결 가능한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 장치(200)는 복수의 콘텐츠에 대하여 캐시 미스율(miss rate), 콘텐츠별 중요도 정보, 콘텐츠별 인터벌 정보 등에 기초하여 캐싱 대상 콘텐츠에 대한 부분 캐싱을 수행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콘텐츠 요청을 수신하고, 해당 콘텐츠 요청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검색하며, 해당 콘텐츠의 캐싱 여부에 따라 캐싱된 콘텐츠 또는 로컬 저장소 등에 위치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 장치(200)는 콘텐츠의 부분 캐싱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에 있어서, 콘텐츠 관리 장치(300)로부터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콘텐츠 관리 장치(300)는 복수의 콘텐츠에 대하여, 콘텐츠별 중요도 정보 등을 저장, 관리할 수 있으며, 콘텐츠 제공 장치(200)의 요청에 따라 콘텐츠에 대한 중요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관리 장치(300)는 사용자 단말(100) 또는 콘텐츠 제공 장치(200)로부터 콘텐츠의 중요도 정보를 제공 받아, 콘텐츠별 중요도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캐싱 블록의 예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캐싱 블록의 예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장치(200)는 캐싱 블록 사이즈 결정부(210), 캐싱 여부 결정부(220), 캐싱부(230), 수신부(240), 검색부(250), 콘텐츠 제공부(260) 및 콘텐츠 정보 수신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캐싱 블록 사이즈 결정부(210)는 네트워크 환경 정보 또는 복수의 콘텐츠에 대한 캐시 미스율에 기초하여, 캐싱 블록 사이즈를 결정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환경 정보는 네트워크의 처리량(throughput) 및 초기 버퍼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환경 정보는 콘텐츠 제공 장치(200)와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로그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집되거나, 또는 정책적으로 결정된 고정된 값일 수도 있다.
캐싱 블록 사이즈 결정부(210)는 상술한 네트워크의 처리량 및 초기 버퍼링 정보에 기초하여, 캐싱 블록 사이즈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된 값인 10Mbyte 분량을 캐싱 블록 사이즈로 결정할 수 있으며, 콘텐츠의 10%를 캐싱 블록 사이즈로 결정할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100)과 콘텐츠 제공 장치(200)의 네트워크 상태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5초 정도 재생될 수 있는 분량을 캐싱 블록 사이즈로 결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캐싱 블록 사이즈 결정부는(210)는 복수의 콘텐츠에 대한 캐시 미스율이 기 설정된 목표 캐시 미스율 이하가 되도록, 캐싱 블록 사이즈를 결정할 수 있다.
캐시 메모리에 저장되는 콘텐츠의 부분 데이터는 단일 캐싱 블록으로 구성되거나, 복수의 캐싱 블록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캐싱 정책, 캐시 메모리의 상황 또는 네트워크 상황 등에 기초하여, 하나의 부분 데이터를 구성하는 캐싱 블록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는 가변적인 값이다.
캐싱 여부 결정부(220)는 복수의 콘텐츠에 대하여, 콘텐츠별 중요도(priority) 정보 및 콘텐츠별 인터벌(interval)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별 캐싱 여부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캐싱 여부 결정부(220)는 콘텐츠의 캐싱 순위에 기초하여 캐싱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콘텐츠의 캐싱 순위는 콘텐츠의 중요도 정보, 콘텐츠의 인터벌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콘텐츠의 중요도 정보는 콘텐츠 관리 장치(30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프리미엄, 일반 유료, 무료 등의 기준에 따라서 등급화할 수 있다. 콘텐츠의 중요도 정보는 예를 들어, 상, 중, 하 또는 High, Middle, Low 등으로 저장될 수 있으며, 숫자 정보를 이용한 상대 값을 저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유료 콘텐츠와 무료 콘텐츠가 동일한 중요도를 갖는 것은 경제적인 측면에서 합리적이지 못하며, 예를 들어, 유료 콘텐츠 중에서도 프리미엄 콘텐츠과 일반 콘텐츠가 동일하게 캐싱되는 것은 자원관리 측면에서도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콘텐츠의 중요도 정보를 활용하여 캐싱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콘텐츠의 인터벌 정보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해당 콘텐츠 요청 정보에 기초한 정보이며, 예를 들어, 1분 동안 콘텐츠 A를 60번 요청한 경우, 콘텐츠 A의 인터벌은 1초가 될 수 있다. 인터벌은 단위 시간 동안의 평균 값으로 계산될 수 있으며, 최근의 요청에 가중치를 두는 방식에 의해 계산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최근 1 시간 이내에 요청 횟수가 급격히 늘어난 콘텐츠의 경우, 하루 동안의 평균 값이 아닌 최근 1 시간 이내에 요청된 횟수에 보다 가중치를 두고 인터벌을 계산해야 하는 게 합리적일 수도 있을 것이다.
캐싱 여부 결정부(220)는 콘텐츠의 중요도 정보, 콘텐츠의 인터벌 정보 이외에 캐시 메모리의 임계 인터벌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캐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 장치(200)는 모든 콘텐츠를 캐싱할 수는 없기 때문에, 캐시 메모리의 임계 인터벌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인터벌 정보가 임계 인터벌 이내인 콘텐츠를 캐싱 대상 콘텐츠로 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캐시 메모리의 임계 인터벌 내에서 중요도별로 콘텐츠를 그룹화 하고 그룹 내에서 인터벌이 짧은 콘텐츠를 캐싱 후보 콘텐츠로 선정할 수 있다.
캐시 메모리의 임계 인터벌은 콘텐츠의 캐싱 대상을 판별하는 정보로서, 예를 들어 서비스 정책에 기초하여 관리자가 결정하거나, 캐시 미스율의 통계치를 활용하여 자동적으로 계산될 수 있을 것이다.
캐싱 여부 결정부(220)는 콘텐츠별 중요도 정보가 기 설정된 중요도 이상인 콘텐츠 중에서, 콘텐츠별 인터벌 정보가 임계 인터벌 이하인 콘텐츠를 캐싱 대상 콘텐츠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싱 여부 결정부(220)는 콘텐츠의 중요도 정보가 “High”인 콘텐츠 중에서 콘텐츠의 인터벌 정보가 예를 들어, 임계 인터벌인 1h(hour) 이하인 콘텐츠를 캐싱 대상 콘텐츠로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캐싱부(230)는 콘텐츠별 캐싱 여부 및 캐싱 블록 사이즈에 기초하여, 복수의 콘텐츠 중 캐싱 대상 콘텐츠의 제 1 부분 데이터를 캐시 메모리에 저장한다.
캐싱 대상 콘텐츠는 제 1 부분 데이터와 제 2 부분 데이터를 포함하며, 제 1 부분 데이터는 캐싱 대상 콘텐츠의 캐싱 영역을 의미하며, 제 2 부분 데이터는 캐싱 대상 콘텐츠의 캐싱 되지 않는 영역을 의미한다.
도 3a와 도 3b를 참조하면, 전체 콘텐츠 데이터 중 캐싱 영역은 하나의 캐싱 블록으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2개 이상의 캐싱 블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캐시 메모리에 저장되는 콘텐츠의 부분 데이터는 단일 캐싱 블록으로 구성되거나, 복수의 캐싱 블록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제 1 부분 데이터를 구성하는 캐싱 블록의 수는 캐싱 정책, 캐시 메모리의 상황 또는 네트워크 상황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캐싱부(230)는 캐싱 대상 콘텐츠를 캐싱 블록 사이즈에 기초하여 분할하고, 분할된 데이터 중 일부를 제 1 부분 데이터로 설정하여, 캐시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수신부(24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콘텐츠 요청을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수신부(240)는 제 1 콘텐츠 또는 제 2 콘텐츠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수신부(240)는 제 1 콘텐츠, 제 2 콘텐츠 이외의 다수의 콘텐츠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콘텐츠 제공 장치(200)로부터 제공 받고자 하는 모든 종류의 콘텐츠 요청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수신부(24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제 1 콘텐츠의 요청과 함께 제 1 콘텐츠의 부분 캐싱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
검색부(25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요청 받은 콘텐츠의 제 1 부분 데이터가 캐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지 검색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검색부(250)는 제 1 콘텐츠 또는 제 2 콘텐츠의 제 1 부분 데이터가 캐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지 검색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요청 받은 다수의 콘텐츠가 캐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지 검색할 수 있다.
제 1 콘텐츠의 제 1 부분 데이터가 캐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지 검색한다.
콘텐츠 제공부(26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요청 받은 콘텐츠의 제 1 부분 데이터가 캐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콘텐츠의 제 1 부분 데이터를 캐시 메모리로부터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100)에게 제공하고, 콘텐츠의 제 2 부분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0)에게 제공한다.
콘텐츠 제공부(260)는 콘텐츠의 부분 캐싱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제 2 부분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부분 캐싱 정보는 콘텐츠의 제 1 부분 데이터에 포함되어 사용자 단말(100)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제공부(260)는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콘텐츠의 제 1 부분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0)에게 제공하면서, 제 1 부분 데이터에 부분 캐싱 정보를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0)은 콘텐츠 제공부(260)로부터 제공 받은 부분 캐싱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 제공 장치(200)에게 콘텐츠의 제 2 부분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부분 캐싱 정보는 제 2 부분 데이터의 크기, 제 2 부분 데이터가 저장된 콘텐츠 제공 장치(200)의 위치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 2 부분 데이터가 제 1 부분 데이터를 제공한 콘텐츠 제공 장치(200)가 아닌 타 콘텐츠 제공 장치에 위치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복수의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콘텐츠를 동시, 또는 연속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을 것이다. 즉, 사용자 단말(100)은 다중 세션 기반의 콘텐츠 요청을 할 수도 있다.
콘텐츠 제공부(260)는 콘텐츠의 제 1 부분 데이터가 캐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로컬 저장소에 위치한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 정보 수신부(270)는 콘텐츠 관리 장치(300)로부터 콘텐츠별 중요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콘텐츠 관리 장치(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콘텐츠에 대하여, 콘텐츠별 중요도 정보 등을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콘텐츠 정보 수신부(270)는 콘텐츠의 중요도 정보가 필요한 경우, 콘텐츠 관리 장치(270)에 콘텐츠의 중요도 정보를 요청하여 제공 받을 수 있다. 다만, 콘텐츠의 중요도 정보는, 콘텐츠 관리 장치(300)뿐만 아니라, 콘텐츠 제공 장치(200)에서 독립적으로 저장, 관리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100), 콘텐츠 제공 장치(200) 및 콘텐츠 관리 장치(300)가 네트워크(10)로 연결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콘텐츠 제공 장치(2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2에 도시된 콘텐츠 제공 장치(2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단계 S4100에서, 콘텐츠 제공 장치(200)는 네트워크 환경 정보 또는 복수의 콘텐츠에 대한 캐시 미스율(cache miss rate)에 기초하여 캐싱 블록 사이즈를 결정한다. 단계 S4200에서, 콘텐츠 제공 장치(200)는 복수의 콘텐츠에 대하여, 콘텐츠별 중요도 정보 및 콘텐츠별 인터벌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별 캐싱 여부를 결정한다. 단계 S4300에서, 콘텐츠 제공 장치(200)는 콘텐츠별 캐싱 여부 및 캐싱 블록 사이즈에 기초하여, 복수의 콘텐츠 중 캐싱 대상 콘텐츠의 제 1 부분 데이터를 캐시 메모리에 저장한다. 여기서, 캐싱 대상 콘텐츠는 제 1 부분 데이터와 제 2 부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에게 캐싱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콘텐츠 제공 장치(2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2에 도시된 콘텐츠 제공 장치(2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단계 S5100에서, 콘텐츠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제 1 콘텐츠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5200에서, 콘텐츠 제공 장치(200)는 제 1 콘텐츠의 제 1 부분 데이터가 캐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지 검색할 수 있다. 단계 S5300에서, 콘텐츠 제공 장치(200)는 제 1 콘텐츠의 제 1 부분 데이터가 캐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 1 콘텐츠의 제 1 부분 데이터를 캐시 메모리로부터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5400에서, 콘텐츠 제공 장치(200)는 제 1 콘텐츠의 제 2 부분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에게 캐싱되지 않은 부분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콘텐츠 제공 장치(2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2에 도시된 콘텐츠 제공 장치(2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단계 S6100에서, 콘텐츠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제 1 콘텐츠의 부분 캐싱 정보를 수신하고, 단계 S6200에서, 제 1 콘텐츠의 부분 캐싱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콘텐츠의 제 2 부분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부분 캐싱 정보는 제 1 부분 데이터에 포함되어, 사용자 단말(100)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캐싱되지 않은 콘텐츠의 요청에 대한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콘텐츠 제공 장치(2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2에 도시된 콘텐츠 제공 장치(2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단계 S7100에서, 콘텐츠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제 2 콘텐츠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7200에서, 콘텐츠 제공 장치(200)는 제 2 콘텐츠의 제 1 부분 데이터가 캐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지 검색할 수 있다. 단계 S7300에서, 콘텐츠 제공 장치(200)는 제 2 콘텐츠의 제 1 부분 데이터가 캐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로컬 저장소에 위치한 제 2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7400에서, 콘텐츠 제공 장치(200)는 제 2 콘텐츠의 중요도 정보, 제 2 콘텐츠의 인터벌 정보 및 캐시 메모리의 임계 인터벌에 기초하여, 제 2 콘텐츠의 캐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7500에서, 콘텐츠 제공 장치(200)는 제 2 콘텐츠의 캐싱 여부 및 캐싱 블록 사이즈에 기초하여, 제 2 콘텐츠의 제 1 부분 데이터를 캐시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8)

  1. 콘텐츠 제공 장치가,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환경 정보 또는 복수의 콘텐츠에 대한 캐시 미스율(cache miss rate)에 기초하여, 캐싱 블록 사이즈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콘텐츠에 대하여, 콘텐츠별 중요도 정보 및 콘텐츠별 인터벌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별 캐싱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콘텐츠별 캐싱 여부 및 상기 캐싱 블록 사이즈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캐싱 대상 콘텐츠의 제 1 부분 데이터를 캐시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캐싱 대상 콘텐츠는 상기 제 1 부분 데이터와 제 2 부분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 1 콘텐츠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콘텐츠의 제 1 부분 데이터가 상기 캐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지 검색하는 단계;
    상기 제 1 콘텐츠의 제 1 부분 데이터가 상기 캐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 1 콘텐츠의 제 1 부분 데이터를 상기 캐시 메모리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콘텐츠의 제 2 부분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콘텐츠의 제 2 부분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콘텐츠의 부분 캐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콘텐츠의 부분 캐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콘텐츠의 제 2 부분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부분 캐싱 정보는, 상기 제 1 부분 데이터에 포함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되는 것인
    콘텐츠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 2 콘텐츠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콘텐츠의 제 1 부분 데이터가 상기 캐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지 검색하는 단계;
    상기 제 2 콘텐츠의 제 1 부분 데이터가 상기 캐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 2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 2 콘텐츠의 중요도 정보, 상기 제 2 콘텐츠의 인터벌 정보 및 상기 캐시 메모리의 임계 인터벌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콘텐츠의 캐싱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콘텐츠의 캐싱 여부 및 상기 캐싱 블록 사이즈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콘텐츠의 제 1 부분 데이터를 캐시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환경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의 처리량(throughput) 및 초기 버퍼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캐싱 블록 사이즈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의 처리량 및 상기 초기 버퍼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캐싱 블록 사이즈를 결정하는 것인
    콘텐츠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싱 블록 사이즈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콘텐츠에 대한 캐시 미스율이 기 설정된 목표 캐시 미스율 이하가 되도록, 상기 캐싱 블록 사이즈를 결정하는 것인
    콘텐츠 제공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별 캐싱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별 중요도 정보가 기 설정된 중요도 이상인 콘텐츠 중에서, 상기 콘텐츠별 인터벌 정보가 임계 인터벌 이하인 콘텐츠를 캐싱 대상 콘텐츠로 결정하는 것인
    콘텐츠 제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싱 대상 콘텐츠의 제 1 부분 데이터를 캐시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캐싱 대상 콘텐츠를 상기 캐싱 블록 사이즈에 기초하여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데이터 중 일부를 제 1 부분 데이터로 설정하여, 상기 캐시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인
    콘텐츠 제공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콘텐츠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콘텐츠별 중요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10. 콘텐츠 제공 장치에 있어서,
    네트워크 환경 정보 또는 복수의 콘텐츠에 대한 캐시 미스율에 기초하여, 캐싱 블록 사이즈를 결정하는 캐싱 블록 사이즈 결정부;
    상기 복수의 콘텐츠에 대하여, 콘텐츠별 중요도 정보 및 콘텐츠별 인터벌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별 캐싱 여부를 결정하는 캐싱 여부 결정부;
    콘텐츠별 캐싱 여부 및 상기 캐싱 블록 사이즈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캐싱 대상 콘텐츠의 제 1 부분 데이터를 캐시 메모리에 저장하는 캐싱부를 포함하되,
    상기 캐싱 대상 콘텐츠는 상기 제 1 부분 데이터와 제 2 부분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제공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 1 콘텐츠의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제 1 콘텐츠의 제 1 부분 데이터가 상기 캐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지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제 1 콘텐츠의 제 1 부분 데이터가 상기 캐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 1 콘텐츠의 제 1 부분 데이터를 상기 캐시 메모리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고, 상기 제 1 콘텐츠의 제 2 부분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콘텐츠의 부분 캐싱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제 1 콘텐츠의 부분 캐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콘텐츠의 제 2 부분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더 제공하되,
    상기 부분 캐싱 정보는, 상기 제 1 부분 데이터에 포함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되는 것인
    콘텐츠 제공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 2 콘텐츠의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제 2 콘텐츠의 제 1 부분 데이터가 상기 캐시 메모리에 저장되었는지 검색하는 검색부; 및
    상기 제 2 콘텐츠의 제 1 부분 데이터가 상기 캐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 2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캐싱 여부 결정부는, 상기 제 2 콘텐츠의 중요도 정보, 상기 제 2 콘텐츠의 인터벌 정보 및 상기 캐시 메모리의 임계 인터벌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콘텐츠의 캐싱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캐싱부는, 상기 제 2 콘텐츠의 캐싱 여부 및 상기 캐싱 블록 사이즈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콘텐츠의 제 1 부분 데이터를 캐시 메모리에 더 저장하는 것인
    콘텐츠 제공 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환경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의 처리량(throughput) 및 초기 버퍼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캐싱 블록 사이즈 결정부는,
    상기 네트워크의 처리량 및 상기 초기 버퍼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캐싱 블록 사이즈를 결정하는 것인
    콘텐츠 제공 장치.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캐싱 블록 사이즈 결정부는,
    상기 복수의 콘텐츠에 대한 캐시 미스율이 기 설정된 목표 캐시 미스율 이하가 되도록, 상기 캐싱 블록 사이즈를 결정하는 것인
    콘텐츠 제공 장치.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캐싱 여부 결정부는,
    상기 콘텐츠별 중요도 정보가 기 설정된 중요도 이상인 콘텐츠 중에서, 상기 콘텐츠별 인터벌 정보가 임계 인터벌 이하인 콘텐츠를 캐싱 대상 콘텐츠로 결정하는 것인
    콘텐츠 제공 장치.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캐싱부는, 상기 캐싱 대상 콘텐츠를 상기 캐싱 블록 사이즈에 기초하여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데이터 중 일부를 제 1 부분 데이터로 설정하여, 상기 캐시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인
    콘텐츠 제공 장치.
  18. 제 10 항에 있어서,
    콘텐츠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콘텐츠별 중요도 정보를 수신하는 콘텐츠 정보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장치.
KR1020110131080A 2011-12-08 2011-12-08 부분 캐싱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500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080A KR101500549B1 (ko) 2011-12-08 2011-12-08 부분 캐싱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080A KR101500549B1 (ko) 2011-12-08 2011-12-08 부분 캐싱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455A true KR20130064455A (ko) 2013-06-18
KR101500549B1 KR101500549B1 (ko) 2015-03-10

Family

ID=48861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1080A KR101500549B1 (ko) 2011-12-08 2011-12-08 부분 캐싱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0549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2047A (ko) * 2003-01-16 2005-09-16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디지털 컨텐츠 데이터를 캐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그방법
KR100734629B1 (ko) * 2005-09-28 2007-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분 캐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적응형 콘텐츠 전송 방법
JP5119616B2 (ja) * 2006-06-28 2013-01-16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機器におけるキャッシュ管理方法及び電子機器及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0549B1 (ko) 2015-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5747B1 (en) Content request pattern-based routing system
US9549038B1 (en) Cacheable resource location selection
US8560777B2 (en) Method, server,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aching
US8355384B2 (en) System and method of handover in wireless network
US9390200B2 (en) Local caching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caching service
US9282137B2 (en) Dynamic package creation for predictive page load optimization
US201301915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pre-fetching of media
US8787882B2 (en) Resource profile adjustment for pre-fetching of assets to user equipment
CN104618506A (zh) 一种众包的内容分发网络系统、方法与装置
US2012005429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r acquiring the contents of a network resource for a mobile device
CN108932277B (zh) 一种网页加载方法、网页加载系统和服务器
US9749216B2 (en) Method for acquiring content, user equipment and cache node
CN107251529B (zh) 用于在内容传输网络系统中的服务器之间传输和接收信息的方法和装置
WO2019206033A1 (zh) 服务器配置的方法和装置
KR20140080616A (ko) 네트워크 트래픽 감소를 위한 캐싱 방법
Wilk et al. On the effectiveness of video prefetching relying on recommender systems for mobile devices
US10341454B2 (en) Video and media content delivery network storage in elastic clouds
Sehati et al. WebPro: A proxy-based approach for low latency web browsing on mobile devices
KR20130064455A (ko) 부분 캐싱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Alkassab et al. Benefits and schemes of prefetching from cloud to fog networks
US11182452B2 (en) Web acceleration via learning
WO20170973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 caching in the access network
US20140192666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transmitting wireless network targeted information
CN112491936B (zh) 多接入边缘计算方法、设备和系统
KR102147053B1 (ko)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의 api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캐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