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3100A - 선내 통신 서버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선내 통신 서버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3100A
KR20130063100A KR1020110129427A KR20110129427A KR20130063100A KR 20130063100 A KR20130063100 A KR 20130063100A KR 1020110129427 A KR1020110129427 A KR 1020110129427A KR 20110129427 A KR20110129427 A KR 20110129427A KR 20130063100 A KR20130063100 A KR 20130063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terminal
terminal
unit
communication
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9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문섭
박정호
최유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29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3100A/ko
Publication of KR20130063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31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04W4/203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for converged personal network application service interworking, e.g. OMA converged personal network services [CP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3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indoor environments, e.g. build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선박 내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선내 통신 서버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선내 상주하는 선원 및 승객이 각각 소지하고 있는 선원용 스마트 단말기 및 승객용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선박 내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선내 통신 서버는 선원용 스마트 단말기와 승객용 스마트 단말기의 인증 절차를 수행하고, 인증된 단말기에 한해서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단말 관리부, 승객용 스마트 단말기의 요청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관리부, 선원용 스마트 단말기로 선원의 업무 처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업무 처리부 및 선원용 스마트 단말기 및 승객용 스마트 단말기와 일대일 또는 그룹 음성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내 통신 서버 및 그 방법{Communication sever in ship and method of the same of}
본 발명은 선내 통신 서버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선박 내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선내 통신 서버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선박 내 통신은 선박의 특성으로 인하여, 육상과 같은 유무선 인프라 구축이 힘들었다. 따라서, 선박에는 최소의 인프라 구축이 이루어졌으며, 선박 건조 후에는 선박의 안전을 위해 추가 망 구축이 제한되어 왔다.
그러나, 선박용 통신 장비의 증가와 이를 통합하기 위한 시스템의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망 구축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주로 유선망을 통한 고속화, 이중화가 진행되고 있다.
무선 망의 경우에는 선박 구조 및 철판 등의 특성으로 인하여 제한된 구역 내에서 구축되거나 무전기와 같은 단거리 무선주파수를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크루즈선과 같은 고급 선박과 대형 여객선의 경우에는 와이파이 (WI-FI)를 통한 인터넷 서비스를 유로로 제공하고 있다. 일반 상선과 액화천연가스(LNG)선 등에서는 무전기를 이용하여 선원 간 무선 통신을 수행하였으나, 원활하게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대형 여객선의 경우에는 주로 무선 인터넷 서비스만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육상에서 보급이 활발한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기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선원 간 선내 통신 서비스와 여객선 승객들에게 선내 부가 서비스가 없는 상황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 내 제한된 공간에서 무선 AP(Access Point)를 이용한 와이파이 망 등을 기반으로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선원들 간의 IP 통신 서비스(예를 들어, 음성통신, 데이터통신 등)를 제공하거나 대형 여객선에서 부대시설 활용 서비스, 멀티미디어 서비스 등이 가능하도록 하는 선박 내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선내 통신 서버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내 상주하는 선원 및 승객이 각각 소지하고 있는 선원용 스마트 단말기 및 승객용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선박 내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선내 통신 서버는
상기 선원용 스마트 단말기와 상기 승객용 스마트 단말기의 인증 절차를 수행하고, 인증된 단말기에 한해서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단말 관리부; 상기 승객용 스마트 단말기의 요청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관리부; 상기 선원용 스마트 단말기로 선원의 업무 처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업무 처리부; 및 상기 선원용 스마트 단말기 및 상기 승객용 스마트 단말기와 일대일 또는 그룹 음성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선내 통신 서버 및 그 방법은 선내 선원 및 승객이 각각 소유하고 있는 스마트 단말기를 활용함으로써, 추가적으로 단말기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스마트 단말기용 응용 프로그램만 설치하면 된다.
이러한, 선내 통신 서버 및 그 방법은 IP 기반 음성통신(그룹통신 포함)을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작업 지시/수행 결과 보고/관리 등을 선원이 소지하는 스마트 단말기에 설치된 작업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처리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선내 통신 서버 및 그 방법은 선원이 소지하는 스마트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선원의 위치 및 상태를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선내 통신 서버 및 그 방법은 대형 여객선에서 적용될 경우에, 여객선이 보유하고 있는 부대시설, 멀티미디어 콘텐츠 등을 음성/데이터 서비스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내 통신 서버를 적용하는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원용 스마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객용 스마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내 통신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내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내 통신 서버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내 통신 서버를 적용하는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내 통신 서버를 적용하는 환경은 선원 및 승객이 각각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 단말기(100 및 200)과 선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선내 통신 서버(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선원 및 승객이 각각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 단말기(100 및 200) 즉, 서브 장치는 선내 통신 서버(300)와 유선망으로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이하 "AP"라고도 함)(400)를 통해 연결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원용 스마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선원용 스마트 단말기(100)는 인증부(110), 통신부(120), 정보부(130) 및 작업용 프로그램부(140)를 포함한다.
인증부(110)는 단말의 고유 정보 예를 들어, 맥 주소(MAC Address)를 이용하여 선내 통신 서버(300)에 인증 절차 및 등록을 수행한다.
통신부(120)는 다른 선원용 스마트 단말기(도시하지 않음)와의 일대일 음성 통신 또는 적어도 다른 선원용 스마트 단말기들과의 그룹 음성 통신을 수행한다.
정보부(130)는 선원용 스마트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 및 선원용 스마트 단말기(100)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선내 통신 서버(300)로 전달한다. 이때, 정보부(130)는 고정된 액세스 포인트(400)의 위치를 통해 선원용 스마트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또한, 선원용 스마트 단말기(100)의 상태 정보는 단말의 온(On), 오프(Off), 슬립 모드(Sleep Mode), 음성 통신 상태 등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객용 스마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승객용 스마트 단말기(200)는 인증부(210), 통신 응용부(220), 서비스 제공부(230) 및 인터넷 서비스부(240)를 포함한다.
인증부(210)는 사용자의 아이디와 패스워드(ID/PASSWORD)를 이용하여 선내 통신 서버(300)에 인증 절차 및 등록을 수행한다.
통신 응용부(220)는 음성 통신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선내 통신 서버(300)의 음성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서비스 제공부(230)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선내 통신 서버(300)로부터 제공받는다.
인터넷 서비스부(240)는 유료 인터넷 서비스를 선내 통신 서버(300)로부터 제공받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내 통신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선내 통신 서버(300)는 단말 관리부(310), 정보 저장부(315), 콘텐츠 관리부(320), 콘텐츠 저장부(325), 위치 관리부(330), 업무 처리부(340), 통신부(350) 및 연동부(360)를 포함한다.
단말 관리부(310)는 선원용 스마트 단말기(100)와 승객용 스마트 단말기(200)의 인증 절차를 수행하고, 인증된 단말에 한해서 등록 절차를 수행한다.
정보 저장부(315)는 단말 관리부(310)에서 등록된 선원용 스마트 단말기(100)와 승객용 스마트 단말기(200)의 단말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 정보는 선원용 스마트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 선원용 스마트 단말기(100)의 상태 정보 및 승객용 스마트 단말기(200)의 정보 등을 포함한다.
콘텐츠 저장부(325)는 승객에게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포함한다.
콘텐츠 관리부(320)는 콘텐츠 저장부(325)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관리하고, 승객용 스마트 단말기(200)의 요청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승객용 스마트 단말기(200)로 제공한다.
위치 관리부(330)는 액세스 포인트(400)의 위치, 선원용 스마트 단말기(100)를 통해 획득한 선원의 위치 및 상태 등을 관리한다.
업무 처리부(340)는 선원용 스마트 단말기(100)로 선원의 업무 처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선원의 업무 관리를 수행함으로써, 선원용 스마트 단말기(100)에서 선원이 업무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통신부(350)는 선원용 스마트 단말기(100)와 승객용 스마트 단말기(200)와 일대일 또는 그룹 음성 통신을 수행한다.
연동부(360)는 선원 및 승객의 인터넷 서비스를 해당 단말로 제공하고, 외부망과 연동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내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선내 통신 서버(300)는 선내 상주하는 선원 및 승객이 각각 소지하고 있는 선원용 스마트 단말기(100)와 승객용 스마트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선내 통신을 수행한다.
선내 통신 서버(300)는 선내 위치하는 선원용 스마트 단말기(100)와 승객용 스마트 단말기(200)의 인증 절차 및 등록을 수행한다(S510).
구체적으로, 선원용 스마트 단말기(100)는 단말의 고유 정보 예를 들어, 맥 주소(MAC Address)를 이용하여 선내 통신 서버(300)에 인증 절차 및 등록을 수행한다. 승객용 스마트 단말기(200)는 사용자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선내 통신 서버(300)에 인증 절차 및 등록을 수행한다.
선내 통신 서버(300)는 등록된 단말 즉, 선원용 스마트 단말기(100)와 승객용 스마트 단말기(200)의 단말 정보를 저장한다(S520). 여기서, 단말 정보는 선원용 스마트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 선원용 스마트 단말기(100)의 상태 정보 및 승객용 스마트 단말기(200)의 정보 등을 포함한다.
선내 통신 서버(300)는 액세스 포인트(400)를 이용하여 선원용 스마트 단말기(100)와 승객용 스마트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토대로 단말의 상태를 파악한다(S530).
선내 통신 서버(300)는 해당 콘텐츠를 승객용 스마트 단말기(200)로 제공하거나 선원용 스마트 단말기(100)를 통해 선원이 업무 관리를 할 수 있도록 업무 처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S540).
구체적으로, 선내 통신 서버(300)는 미리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관리하고, 승객용 스마트 단말기(200)의 요청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승객용 스마트 단말기(200)로 제공한다. 또한, 선내 통신 서버(300)는 선원용 스마트 단말기(100)로 선원의 업무 처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선원의 업무 관리를 수행함으로써, 선원용 스마트 단말기(100)에서 선원이 업무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선원용 스마트 단말기 110; 인증부
120; 통신부 130; 정보부
140; 작업용 프로그램부 200; 승객용 스마트 단말기
210; 인증부 220; 통신 응용부
230; 서비스 제공부 240; 인터넷 서비스부
300; 선내 통신 서버 310; 단말 관리부
315; 정보 저장부 320; 콘텐츠 관리부
325; 콘텐츠 저장부 330; 위치 관리부
340; 업무 처리부 350; 통신부
360; 연동부 400; 액세스 포인트

Claims (1)

  1. 선내 상주하는 선원 및 승객이 각각 소지하고 있는 선원용 스마트 단말기 및 승객용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선박 내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선내 통신 서버에 있어서,
    상기 선원용 스마트 단말기와 상기 승객용 스마트 단말기의 인증 절차를 수행하고, 인증된 단말기에 한해서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단말 관리부;
    상기 승객용 스마트 단말기의 요청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관리부;
    상기 선원용 스마트 단말기로 선원의 업무 처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업무 처리부; 및
    상기 선원용 스마트 단말기 및 상기 승객용 스마트 단말기와 일대일 또는 그룹 음성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선내 통신 서버.
KR1020110129427A 2011-12-06 2011-12-06 선내 통신 서버 및 그 방법 KR201300631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427A KR20130063100A (ko) 2011-12-06 2011-12-06 선내 통신 서버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427A KR20130063100A (ko) 2011-12-06 2011-12-06 선내 통신 서버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3100A true KR20130063100A (ko) 2013-06-14

Family

ID=48860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9427A KR20130063100A (ko) 2011-12-06 2011-12-06 선내 통신 서버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310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710B1 (ko) * 2012-12-27 2014-07-0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내 무선 통신 지원 시스템
KR20160014422A (ko) 2014-07-29 2016-02-1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 비상상황 대응용 재난대피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한 휴대단말과 연동하는 선박 재난대피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710B1 (ko) * 2012-12-27 2014-07-0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내 무선 통신 지원 시스템
KR20160014422A (ko) 2014-07-29 2016-02-1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 비상상황 대응용 재난대피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한 휴대단말과 연동하는 선박 재난대피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8310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nodes associated with a vehicle
US20190173951A1 (en) Vehicle communication using publish-subscribe messaging protocol
CN104115087B (zh) 航空电子网关接口、系统和方法
Sampigethaya et al. Future e-enabled aircraft communications and security: The next 20 years and beyond
US10313964B2 (en) WiFi access system
AU202320029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henticating applications to on-board services
CN102959928B (zh) 向移动设备动态分配生存性服务的装置和机制
US202100354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aircraft position information
US1007975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n-board access control
US20150133108A1 (en) Remotely controlling a vehicle telematics unit
US20140133392A1 (en) Mobile terminating packet connection
CN105472613B (zh) 认证请求接收方法和系统及用户端和ap
US20150215954A1 (en) Vehicle head unit priority
CN104469679A (zh) 一种基于wifi热点的位置共享方法及系统
CN102143492A (zh) Vpn连接建立方法、移动终端、服务器
KR20130063100A (ko) 선내 통신 서버 및 그 방법
US9165466B2 (en) Method of speeding call flow
CN105635337A (zh) 一种绑定iOS设备的方法、iOS设备及辅助设备
US9299250B1 (en) Processing requests to establish communication sessions in a mobile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US20150365519A1 (en) Providing tty services in a vehicle
US20140228000A1 (en) Terminal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activation authentication method
CN103546545A (zh) 一种基于云计算的安全通信方法及系统
CN105162814A (zh) 基于关注信息的提示方法及装置
CN109831685B (zh) 一种船用网络化综合数显系统及终端用户权限管理方法
CN103475739B (zh) 一种车载社区网络系统及基于该系统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