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2710A - 카메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카메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2710A
KR20130062710A KR1020110129123A KR20110129123A KR20130062710A KR 20130062710 A KR20130062710 A KR 20130062710A KR 1020110129123 A KR1020110129123 A KR 1020110129123A KR 20110129123 A KR20110129123 A KR 20110129123A KR 20130062710 A KR20130062710 A KR 20130062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metal plate
mobile terminal
camera
camera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9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9072B1 (ko
Inventor
한제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9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9072B1/ko
Publication of KR20130062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2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9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9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카메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카메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는, 윈도우(window); 상기 윈도우의 일면에 접촉되는 금속평판; 및 상기 윈도우와 상기 금속평판 중 적어도 일면에 도포되어, 상기 금속평판이 상기 윈도우에 접착되도록 하는 레진(resi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구조 없이 레진(resin)으로 윈도우를 금속평판에 접합함으로써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결합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CAMERA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HAVING IT}
본 발명은 카메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별도의 구조 없이 레진(resin)으로 윈도우를 금속평판에 접합함으로써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윈도우와 금속평판의 결합을 견고하게 할 수 있는 카메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나아가, 단말기를 경박단소(輕薄短小)화 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조적인 개선을 시도하고 있다.
본 발명은 별도의 구조 없이 레진(resin)으로 윈도우를 금속평판에 접합함으로써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윈도우와 금속평판의 결합을 견고하게 할 수 있는 카메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어셈블리는, 윈도우(window); 상기 윈도우의 일면에 접촉되는 금속평판; 및 상기 윈도우와 상기 금속평판 중 적어도 일면에 도포되어, 상기 금속평판이 상기 윈도우에 접착되도록 하는 레진(resi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진은, 상기 윈도우와 상기 금속평판 중 적어도 일명에 액상(液狀)으로 도포될 수 있다.
상기 레진은, 실질적으로 투명한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적어도 일측에 결합되는 카메라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는, 카메라 윈도우와, 상기 카메라 윈도우의 일면에 접촉되는 금속평판과, 상기 카메라 윈도우와 상기 금속평판 중 적어도 일면에 도포되어, 상기 금속평판이 상기 윈도우에 접착되도록 하는 레진(resi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윈도우는, 상기 바디의 외면(外面)에서 내면(內面)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는, 별도의 구조 없이 레진(resin)으로 윈도우를 금속평판에 접합함으로써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결합을 견고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전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 이동 단말기의 후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 이동 단말기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3 프론트 케이스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4 I-I 방향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 카메라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전면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바디일 수 있다. 바 형태의 바디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이동 단말기(100)는,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전면프레임(101)와 배터리커버(102)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전면프레임(101)은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前面) 부분일 수 있다. 전면프레임(101)에는 디스플레이(151)와, 음향출력부(152), 전면카메라(121a), 사용자 입력부(131), 마이크(122)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는 전면프레임(101) 전면(前面)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과정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는 2D 영상 및/또는 3D 영상을 표현할 수 있다.
음향출력부(152)는 수화음 등을 출력하는 스피커일 수 있다. 음향출력부(151)는 복수 개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화음을 출력하거나, 벨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음향출력부(152)가 복수개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전면카메라(121a)는 사용자 측을 촬영할 수 있도록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면카메라(121a)를 통하여 촬영한 자신의 영상에 기초하여 다른 사용자와 화상통화를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1)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1)는 정전식으로 감지되고 사용자의 입력이 가해지면 빛이 발생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131)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물리적인 버튼(physical button)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사용자 입력부(131)에는 사용빈도가 높거나 주요한 기능이 할당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 및/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시작, 종료, 음향 조절 등의 기능이 사용자 입력부(131)에 할당되어 있을 수 있다.
마이크(122)는 사용자의 음성 등을 획득하는 장치일 수 있다. 마이크(122)는 이동 단말기(100)의 하측에 위치하여 있을 수 있다.
도 2는 도 1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후면에 배터리커버(102)가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배터리커버(102)가 노출된 후면에는, 이어폰잭(171)과, 사이드키버튼(170)과, 카메라 어셈블리(10)가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이어폰잭(171)은 이어폰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어폰잭(171)은, 음향신호를 전달하는 단자 뿐 아니라, 이어폰에 마련된 버튼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조절할 수 있는 조작신호의 수신을 위한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키버튼(170)은,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볼륨조절스위치(170)의 상측 또는 하측을 푸쉬(push)하는 동작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카메라 어셈블리(10)는,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측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카메라 어셈블리(10)는,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방향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한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측에 위치한 카메라를 카메라 어셈블리(10)로 표현하였으나, 카메라 어셈블리(10)에 대응된 카메라가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면카메라(121a)에도 본 발명의 카메라 어셈블리(10)가 적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카메라 어셈블리(10)는, 입체화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안(left eye)용 영상과 우안(right eye)용 영상을 촬영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카메라 어셈블리(10)는, 카메라 플레쉬를 포함하고 잇을 수 있다. 카메라 플레쉬는, 영상의 촬영시에 작동할 수 있다.
도 3은 도 2 이동 단말기의 분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리어 바디(103)와 프론트 바디(101)를 포함하는 바디(104)와, 리어 바디(103) 측에 결합되는 배터리커버(102)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배터리커버(102)는, 교환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250)를 차폐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배터리커버(102)는,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방향으로 잡아당겨 결합이 해제되는 풀타입(pull type) 방식일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커버(102)는, 이동 단말기(10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결합이 해제되는 슬라이딩 타입(sliding type) 또는 버튼을 누르면 결합이 해제되는 팝업 타입(pop-up type) 방식일 수도 있다.
바디(104)는, 리어 바디(103)와 프론트 바디(101)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리어 바디(103)에는 배터리(250)의 결합을 위한 배터리 결합공(251)과 카메라 어셈블리(10)의 위치에 대응되는, 카메라 결합공이 위치할 수 있다.
프론트 바디(101)는, 리어 바디(103)에 대응된 형상일 수 있다. 프론트 바디(101)에는 PCB(230)가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PCB(2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자 부품 및 전자 회로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도면에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개의 PCB(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카메라 어셈블리(10)는 PCB(230)의 하단측에서 상단측으로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리어 바디(103)에 위치한 카메라 결합공과 배터리 커버(102)에 위치한 카메라 결합공은, PCB(230)에 위치한 카메라 어셈블리(10)에 대응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도 4는 도 3 프론트 케이스의 분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카메라 어셈블리(10)는 PCB(230)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PCB(230)에는 카메라 결합공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카메라 어셈블리(10)가 PCB(230)에 마련된 카메라 결합공에 삽입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PCB(23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종 전자소자(70) 및 쉴드캔(shield can)이 실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전자소자(70)는 트랜지스터와 같은 능동형과 저항, 캐패시터와 같은 수동형을 포함한다. 집적도가 높아지며, 각종 전자소자(70)의 크기가 작아지고 있으며, PCB(230)에 실장되는 전자소자(70) 사이의 간격도 좁아지고 있다.
쉴드캔은, PCB(230)에 결합될 수 있다. PCB(230)에 결합된 쉴드캔은, 쉴드캔이 차폐하고 있는 특정 전자소자를 외부로부터 차폐할 수 있다. 쉴드캔은 특정 전자소자에서 발생되는 전자파가 다른 전자소자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차폐하거나 외부에서 발생된 전자파가 특정 전자소자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차폐할 수 있다. 쉴드캔은 알루미늄 합금 등의 재질이며 프레스 가공될 수 있다.
도 5는 도 4 I-I 방향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어셈블리(10)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어셈블리(10)가 적용되지 않은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어셈블리(10)는, 윈도우(11)와, 윈도우(11)의 일면에 접촉되는 금속평판(13)과, 윈도우(11)와 금속평판(13) 중 적어도 일면에 도포되어 금속평판(13)이 윈도우911)에 접착되도록 하는 레진(12, resin)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11)는 카메라 어셈블리(10)의 최상층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윈도우(11)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물리력 및/또는 오염으로부터 카메라(16)를 보호할 수 있다.
윈도우(11)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윈도우(11)가 투명하게 마련됨으로 인하여, 카메라(16)로 외부의 사물을 촬영할 수 있다. 윈도우(11)는 투명한 재질의 유리, 강화플라스틱 및/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윈도우(11)의 표면은, 스크래치(scratch)에 대한 저항력 및/또는 광학적 성질의 향상을 위하여 일정한 두께의 코팅(coating)처리가 되어 있을 수 있다.
금속평판(13)은 윈도우(11)의 일면 측에 접착되어 있을 수 있다. 금속평판(13)은 알루미늄 재질의 평판일 수 있다. 금속평판(13)은, 도너츠(donut) 형상과 유사한 링(ring) 형상일 수 있다. 즉, 카메라(16)가 결합되는 부분 이외의 영역에 금속평판(13)이 위치하고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금속평판(13)이 위치함으로 인하여, 윈도우(11)를 통해 외부에서 관측된 카메라 어셈블리(10)의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다. 즉, 실질적으로 투명한 윈도우(11)를 통하여 금속평판(13)을 관측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금속평판(13)의 재질감이 잘 표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나아가, 금속평판(13) 및/또는 윈도우(11)에 일정한 형상 및/또는 방향의 무늬를 세겨넣어, 윈도우(11)를 통하여 관찰되는 금속평판(13)의 형상이 보다 미려해지도록 할 수 있다.
레진(12)은 윈도우(11)와 금속평판(13) 사이에 위치하여, 윈도우(11)와 금속평판(13)이 상호 접합되도록 할 수 있다.
레진(12)은, 윈도우(11) 및/또는 금속평판(13) 사이에 도포되는 액상(液狀) 재질일 수 있다. 액상 재질(12)의 레진(12)은, 도포된 이후 일정한 시간 및/또는 공정을 거치면 경화(硬化)될 수 있다. 레진(12)이 경화되면, 윈도우(11)와 금속평판(13)은 상호 접합될 수 있다.
레진(12)은 윈도우(11)와 금속평판(13) 사이의 전(全) 영역에 도포될 수 있다. 따라서 레진(12)으로 인한 윈도우(11)와 금속평판(13) 사이의 결합력은, 윈도우(11)가 쉽게 금속평판(13)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정도에 이를 수 있다.
레진(12)은 실질적으로 투명한 재질일 수 있다. 따라서 레진(12)이 도포되어도, 카메라(16)가 윈도우(11)를 통하여 피사체의 영상을 획득하는 동작에는 영향이 없을 수 있다.
레진(12)을 통하여 윈도우(11)를 금속평판(13)에 결합함으로 인하여, 윈도우(11)와 금속평판(13)의 결합을 위한 별도의 구조물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어셈블리(10)의 제1 높이(H1)가 감쇠도록 할 수 있다.
레진(12)을 통한 카메라 어셈블리(10)의 제1 높이(H1)의 감소는, 종래의 방법에 의한 결합방법을 도시한 도 5의 (b)와의 비교를 통하여 보다 명확히 이해할 수 있다. 즉,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방법에 의하는 경우에는, 윈도우(11a)와 금속평판(13a)이 제1 본딩테잎(12a)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제1 본딩테잎(12a)은, 불투명한 재질일 수 있다. 따라서 윈도우(11a)와 금속평판(13a) 사이의 전면(全面)에 위치하지 못할 수 있다. 즉, 제1 본딩테잎(12a)은, 카메라(16a)가 위치한 지점을 회피하여 링(ring) 형태로 위치하고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본딩테잎(12a)은, 테잎몸체와 테잎몸체 양면에 점착물이 도포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레진(12)의 두께인 H3에 비하여, 제1 본딩테잎(12a)의 두께인 H4는 클 수 있으며, 이는 이동 단말기(100) 전체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제1 본딩테잎(12a)이 윈도우(11a)와 금속평판(13a) 사이의 일부 영역에 위치함으로 인하여, 윈도우(11a)와 금속평판(13a) 사이의 결합력이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윈도우(11a)와 금속평판(13a) 사이의 결합력을 보전하기 위하여, 케이스(145a)의 상부에 돌출부(17a)가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17a)는 W1 만큼 내측으로 돌출되어, 윈도우(11a)의 홈부(18a)에 결합될 수 있다. 돌출부(17a)와 홈부(18a)의 결합에 의하여, 윈도우(11a)의 상측 방향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다만, 홈부(18a)를 구성하기 위하여 윈도우(11a)가 좀더 두꺼워져야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돌출부(17a)와 홈부(18a)의 구성으로 인하여, H2는 H1 보다 높아져야할 필요가 있다. 즉, 카메라 어셈블리(10) 전체의 두께가 증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카메라 어셈블리(10)의 전체적인 두께가 증가되면, 결과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두께가 증가되는 현상이 초래될 수 있어, 이동 단말기(100)의 소형화 추세에 반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돌출부(17a)가 W1 만큼 내측으로 돌출되면, 카메라(16a)의 촬영 각도가 제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카메라 어셈블리(10)의 폭이 동일하여도, 도 5의 (b)의 경우는 W1*2 만큼 카메라(16a)의 화각이 좁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현상은, 돌출부(17a)가 없는 도 5의 (a)와 비교할 때 보다 명확해진다.
제2 본딩테잎(14, bonding tape)은, 금속평판(13)의 하단과 카메라 어셈블리(10)의 케이스(15) 사이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본딩테잎(14)을 통하여 금속평판(13)이 케이스(15)에 접합됨으로 인하여, 결과적으로 윈도우(11)가 케이스(15)에 결합될 수 있다.
도 6은 도 4 카메라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어셈블리(10)는, 카메라 어셈블리(10)의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각 부속을 결합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의 바디를 기준으로 할 때 외면(外面)에서 내면(內面)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카메라 어셈블리(10)의 조립성 향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는,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17a)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각 부속을 결합할 수 없거나 결합하기 힘들다는 점을 고려할 때 보다 명확해진다.
케이스(15)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15)의 내부에는 카메라(16)가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카메라(16)는 케이스(15)의 중심부에 자리할 수 있다. 카메라(16)의 중심부에 위치한 카메라(16)는, 설치되면 윈도우(11)를 통하여 외부를 촬영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본딩테잎(14)이 케이스(15)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본딩테잎(14)은, 상측면과 하측면에 접착물이 도포된 접착테잎일 수 있다.
금속평판(13)이 제2 본딩테잎(14)에 결합될 수 있다.
레진(12)이 금속평판(13)의 전면(全面)에 도포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레진(12)은 투명재질일 수 있다.
윈도우(11)가 레진(12)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카메라(16)가 삽입될 수 있도록 금속평판(13)의 중앙부에 마련된 결합공을 제외하고 윈도우(11)와 금속평판(13)이 전면에 걸쳐 결합됨으로 인하여, 윈도우(11)와 금속평판(13)이 일정한 정도 이상의 강도로 결합될 수 있다.
윈도우(11)와 금속평판(13)이 레진(12) 만으로 일정강도 이상으로 결합될 수 있음으로 인하여, 카메라 어셈블리(10)이 H1의 높이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비하여 보다 슬림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이동 단말기 110 : 무선 통신부
140 : 센싱부 151 : 디스플레이부
180 : 제어부

Claims (5)

  1. 윈도우(window);
    상기 윈도우의 일면에 접촉되는 금속평판; 및
    상기 윈도우와 상기 금속평판 중 적어도 일면에 도포되어, 상기 금속평판이 상기 윈도우에 접착되도록 하는 레진(resin)을 포함하는 카메라 어셈블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진은,
    상기 윈도우와 상기 금속평판 중 적어도 일명에 액상(液狀)으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어셈블리.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진은,
    실질적으로 투명한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어셈블리.
  4.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적어도 일측에 결합되는 카메라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는,
    카메라 윈도우와,
    상기 카메라 윈도우의 일면에 접촉되는 금속평판과,
    상기 카메라 윈도우와 상기 금속평판 중 적어도 일면에 도포되어, 상기 금속평판이 상기 윈도우에 접착되도록 하는 레진(resi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윈도우는,
    상기 바디의 외면(外面)에서 내면(內面)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10129123A 2011-12-05 2011-12-05 카메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1899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123A KR101899072B1 (ko) 2011-12-05 2011-12-05 카메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123A KR101899072B1 (ko) 2011-12-05 2011-12-05 카메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710A true KR20130062710A (ko) 2013-06-13
KR101899072B1 KR101899072B1 (ko) 2018-09-14

Family

ID=48860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9123A KR101899072B1 (ko) 2011-12-05 2011-12-05 카메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90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00700B2 (en) 2014-06-13 2017-10-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cre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6740A (ja) * 2004-08-27 2006-03-09 Kyocera Corp 固体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6740A (ja) * 2004-08-27 2006-03-09 Kyocera Corp 固体撮像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00700B2 (en) 2014-06-13 2017-10-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cre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9072B1 (ko) 2018-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85333B2 (en) Mobile terminal
US8880129B2 (en) Mobile terminal
KR101831402B1 (ko)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사용하는 이동 단말기
US10613589B2 (en) Electronic device
JP6275943B2 (ja) 携帯電子機器
US10558833B2 (en) Key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EP2629147B1 (en) Window for preventing camera distortion in an electronic device
US9291827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fabricating image module provided thereon
US20220183174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US9137906B2 (en) Mobile terminal
JP2011205493A (ja) 携帯端末装置
KR20130062710A (ko) 카메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822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29240B1 (ko) 이동 단말기
KR101976182B1 (ko) Fpcb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1850387B1 (ko) 이동 단말기
KR20130047317A (ko) 쉴드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20140045117A (ko) 이동 단말기
KR10196989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1837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US20220413556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KR101804915B1 (ko) 이동 단말기
KR20130054552A (ko) 진동모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20130054551A (ko) 이동 단말기
KR20130050573A (ko) Pcb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