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2536A - 접철식 식기건조대 - Google Patents

접철식 식기건조대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2536A
KR20130062536A KR1020110128842A KR20110128842A KR20130062536A KR 20130062536 A KR20130062536 A KR 20130062536A KR 1020110128842 A KR1020110128842 A KR 1020110128842A KR 20110128842 A KR20110128842 A KR 20110128842A KR 20130062536 A KR20130062536 A KR 20130062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k
fixed
pair
dish dry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8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8082B1 (ko
Inventor
곽승구
Original Assignee
곽승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승구 filed Critical 곽승구
Priority to KR1020110128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8082B1/ko
Publication of KR20130062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2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8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8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incorporation of racks or supports, other than shelves, for household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0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with members movable outwards to a position of use, e.g. tables, ironing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5Shelves with moving elements, e.g. movable extensions or link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6Stands, or holders for kitchen article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식기건조대 본체, 주방의 싱크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장 밑면 또는 상부장 내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 일측이 식기건조대 본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이동부재, 한쌍의 공기 실린더, 한 쌍의 제1 크랭크, 및 한 쌍의 제2 크랭크로 구성되되, 제1 크랭크와 제2 크랭크는 각각 일측이 이동부재에 다른 일측이 고정부재에 축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공기 실린더는 일측이 고정부재에 다른 일측이 제2 크랭크에 축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서, 식기건조대 본체를 아래로 잡아당기거나 밀어올리면 상기 제1 및 제2 크랭크가 축회전함과 동시에 공기 실린더가 신축되면서 식기건조대 본체가 상향 또는 하향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식기건조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접철식 식기건조대{Collapsible dish drying rack}
본 발명은 식기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식기건조대가 제1 위치(높은 위치)와 제2 위치(낮은 위치) 사이를 필요에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접철식 식기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식기건조대 본체(5)는 주방의 싱크(1)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장(3) 밑면에 고정부(7)를 통해 고정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고정식 식기건조대 본체(5)는 싱크(1)와 상부장(3) 사이의 간격에 따라 식기건조대 본체(5)의 위치가 변하므로, 세척한 식기들을 안치할 때 또는 안치된 식기들을 집어들 때 너무 높은 위치에 있거나 낮은 위치에 있어 불편하다. 식기건조대 본체(5)의 위치를 필요에 따라 바꿀 수 있다면, 매우 편리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높은 위치와 낮은 위치 사이를 필요에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접철식 식기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식기건조대 본체, 주방의 싱크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장 밑면 또는 상부장 내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 일측이 식기건조대 본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이동부재, 한 쌍의 공기 실린더, 한 쌍의 제1 크랭크, 및 한 쌍의 제2 크랭크로 구성되는 접철식 식기건조대를 제공한다. 이때, 제1 크랭크와 제2 크랭크는 각각 일측이 이동부재에 다른 일측이 고정부재에 축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공기 실린더는 일측이 고정부재에 다른 일측이 제2 크랭크에 축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서, 식기건조대 본체를 아래로 잡아당기거나 밀어올리면 상기 제1 및 제2 크랭크가 축회전함과 동시에 공기 실린더가 신축되면서 식기건조대 본체가 상향 또는 하향운동하게 된다.
상기 제1 크랭크와 제2 크랭크가 축회전 중에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이격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기 실린더가 제2 크랭크에 축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점이 제2 크랭크의 고정부재에 축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점을 중심으로 원호운동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식기건조대가 접철될 수 있어 식기건조대 본체의 위치를 필요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도 1은 종래 식기건조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건조대의 사시도로서, 식기건조대가 제1 위치에 있을 때를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건조대의 사시도로서, 식기건조대가 제2 위치에 있을 때를 보여준다.
도 4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식기건조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건조대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건조대가 상부장 내에 고정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와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식기건조대(10)가 상부장(3) 밑면에 부착되어 사용될 때, 제1 위치(높은 위치)와 제2 위치(낮은 위치)에 있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식기건조대(10)는 종래 사용되던 임의의 식기건조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식기건조대 본체(5)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며, 도 2와 3에는 도 1에 도시된 식기건조대 본체(5)를 이용한 실시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식기건조대(10)의 분해 사시도로서, 편의상 식기건조대 본체(5) 부분은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도 4에 도시된 각 구성부들은 각각 식기건조대 본체(5) 양측에 사용되므로 한 쌍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식기건조대(10)는 식기가 위치되어 건조되는 식기건조대 본체(5), 한 쌍의 고정부재(20), 한 쌍의 이동부재(50), 각각 한 쌍의 제1, 제2의 크랭크(30,40), 및 한 쌍의 공기 실린더(60)로 구성된다.
고정부재(20)는 판 형상의 동체(21)와 그 상, 하에 형성되는 플랜지(26,27)를 갖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동체의 전방부분에는 제1 크랭크(30)의 제1 축회전부(33)가 축회전 가능하게 리벳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구멍(22)과 제2 크랭크(400의 제1 축회전부(43)가 역시 축회전 가능하게 리벳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구멍(23)이 형성된다. 또한 동체의 후방부분에는 공기 실린더(60)의 제2 고정부(63)가 축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부(24)가 위치한다. 도시된 동체(21)는 L 자 형상이나 사각형 형상도 무방하다. 상측 플랜지(25)는 동체를 상부장(3) 밑면에 고정시키도록 하는 고정부 역할을 하며, 고정을 위한 구멍(26)이 형성된다. 따라서 동체(21)는 나사 등의 방법으로 상부장(3) 밑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동부재(50) 역시 판 형상의 동체를 가지며, 동체의 상측에는 제1 크랭크(30)의 제2 축회전부(31)가 축회전 가능하게 리벳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구멍(51)과 제2 크랭크(40)의 제2 축회전부(41)가 역시 축회전 가능하게 리벳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구멍(53)을 갖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50)의 동체 일측은 하향 연장되고 그 단부 근방에는 구멍(55)이 형성되는바, 이에 의해 이동부재(50)는 그 일측이 식기건조대 본체(5)의 측부에 나사 등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시된 이동부재 동체 역시 L 자 형상이나, 사각형 형상도 무방하다.
제1 크랭크(30)는 선형의 동체를 가지며, 그 일측에는 고정부재(20)에 축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 축회전부(33)를 그리고 다른 일측에는 이동부재(50)에 축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 축회전부(31)를 갖는다.
제2 크랭크(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소 복잡하게 굴곡된 동체를 가지며, 그 일측에는 고정부재(20)에 축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 축회전부(43)를 그리고 다른 일측에는 이동부재(50)에 축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 축회전부(41)를 갖는다. 크랭크(40)의 제1 축회전부(41) 후방에는 공기 실린더(60)의 제1 고정부(61)가 축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고정부(45)가 형성된다. 한편, 두 축회전부(43,41) 사이의 적당한 지점에 연결봉(47)이 형성된다. 이 연결봉은 한 쌍의 제2 크랭크(40)를 연결하여서 제2 크랭크(40)가 안정감 있게 작동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식기건조대(10) 자체가 인정감 있게 작동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축회전부(43,41) 사이의 제2 크랭크 동체는 후방으로 굴곡된 형태를 하는데, 이는 연결봉(47)을 상대적으로 후방에 위치시키도록 하여 접철식 식기건조대(10)의 미관을 좋게 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두 축회전부(43,41) 사이의 제2 크랭크 동체를 직선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제2 크랭크의 동체는 L 자 형상이 될 것이다.
공기 실린더(60)는 인장 및 압축되어 신축운동을 하는 부분의 말단 및 이에 대향하는 말단에 각각 제1 고정부(61)와 제2 고정부(63)가 형성되며, 이들 고정부(61,63))는 각각 제2 크랭크(40)의 고정부(45)와 고정부재(20)의 고정부(24)에 축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하에서는 이들 부재들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고정부재(20)는 상측 플랜지(25)가 나사 등의 적당한 방법으로 상부장(3) 밑면에 고정된다. 제1 크랭크(30)와 제2 크랭크(40)는 각각의 제1 축회전부(33,43)가 고정부재(20)에 고정되고 각각의 제2 축회전부(31,41)가 이동부재(50)에 고정되되,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크랭크(40)보다 제1 크랭크(30)가 고정부재(20)에 근접하도록 위치하며 고정부재의 구멍(22,23)과 이동부재의 구멍(51,53)을 관통하는 리벳에 의해 축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리벳 이외에, 축회전 가능한 어떠한 고정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제1 크랭크와 제2 크랭크는 축회전 중에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이격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이격이란 각 크랭크(30,40)의 제1 축회전부(33,43)가 고정부재(20)에 고정되는 지점[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구멍(22,23)]들의 위치 및 제2 축회전부(31,41)가 이동부재(50)에 고정되는 지점[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구멍(51,53)]들의 위치가 평면상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각 크랭크(30,40)들이 공간상으로도 서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공간상 이격은, 예를 들면, 각 크랭크(30,40)의 제1 축회전부(33,43)가 고정부재(20)에 고정될 때, 서로 높이가 다른 적당한 이격부재(35,49)를 개재시켜서 고정부재(20)에 리벳으로 고정하거나, 각 크랭크(30,40)의 제2 축회전부(31,41)가 이동부재(50)에 고정될 때, 이동부재(50)의 서로 다른 측면에 고정(도 5참조)되는 것을 말한다. 한편, 공기 실린더(60)는 제1 고정부(61)와 제2 고정부(63)가 각각 제2 크랭크(40)의 고정부(45)와 고정부재(20)의 고정부(24)에 축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나사에 의해 축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나, 리벳에 의해 축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공기 실린더(60)의 제1 고정부(61)가 고정되는 제2 크랭크(40)의 고정부(45)의 위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20)의 제1 고정부(43)의 위치에 비해 후방으로 위치한다. 끝으로, 이동부재(60)는 크랭크(30,40)들과 고정부재(20)의 사이에 위치되며, 일측에는 크랭크(30, 40)들의 제2 축회전부(31,41)가 축회전 가능하게 리벳 고정되며, 다른 일측에는 식기건조대 본체(5)의 측부가 고정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기건조대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식기건조대 본체(5)를 접혀진 상태, 도 5(a) 상태에서 잡아당기면 크랭크(30,40)들이 축회전하면서 이동부재(50)가 고정부재(20)에 대하여 축회전한다. 따라서 식기건조대 본체(5)는 전방(사용자 방향을 말하며 도 5에서 보면 우측방향)으로 인출됨과 동시에 하향운동을 하게 된다. 식기건조대 본체(5)는 최종적으로 도 5(c)에 도시된 상태까지 축회전하여 펼쳐진다. 식기건조대 본체(5)를 밀어 올리면, 본체(5)는 위의 과정의 역순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다시 접혀진 상태로 축회전한다.
이러한 축회전 중에, 각 크랭크(30,40)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서로 간섭하지 않는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 실린더(60)의 제1 고정부(61)가 고정되는 제2 크랭크(40)의 고정부(45)의 위치는 고정부재(20)의 제1 고정부(43)의 위치에 비해 후방으로 위치하므로, 공기 실린더(60)는 제2 크랭크에 축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점, 즉 고정부(45), 가 제2 크랭크의 고정부재에 축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점, 즉 제1 고정부(43), 를 중심으로 원호운동을 한다. 따라서 공기 실린더(60)의 전방 말단부, 즉 제1 고정부(61) 부분, 은 본체(5)의 접혀진 상태와 펼쳐진 상태의 축회전 중에 인장 및 압축되어 신축운동을 하면서 제2 크랭크(40)의 운동에 대해 댐핑효과를 주어 제2 크랭크(40)가 부드럽게 축회전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식기건조대(10)가 부드럽게 작동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접철식 식기건조대(10)는 직하로 하향운동하는 것이 아니라 전방으로 인출되면서 동시에 하향운동을 한다. 따라서 싱크 벽면(2)에 수전이나 다른 부착물이 있더라도 이들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어 매우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들면, 도 2와 3에는 식기건조대(10)가 상부장(3) 밑면에 고정되어 사용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식기건조대 본체(5)는 전방으로 인출되면서 하향운동을 하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5)가 상부장(3) 밑면과 간섭하지 않도록 상부장(3) 내부의 적당한 위치에 고정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Claims (4)

  1. 식기건조대 본체, 주방의 싱크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장 밑면 또는 상부장 내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 일측이 식기건조대 본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이동부재, 한쌍의 공기 실린더, 한 쌍의 제1 크랭크, 및 한 쌍의 제2 크랭크로 구성되되,
    제1 크랭크와 제2 크랭크는 각각 일측이 이동부재에 다른 일측이 고정부재에 축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공기 실린더는 일측이 고정부재에 다른 일측이 제2 크랭크에 축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서, 식기건조대 본체를 아래로 잡아당기거나 밀어올리면 상기 제1 및 제2 크랭크가 축회전함과 동시에 공기 실린더가 신축되면서 식기건조대 본체가 상향 또는 하향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식기건조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크랭크와 제2 크랭크가 축회전 중에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이격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식기건조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제1 크랭크가 이동부재와 고정부재에 축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두 지점 사이의 제1 크랭크 동체가 후방으로 만곡되고 이 만곡된 동체의 일 지점에 한 쌍의 제1 크랭크를 안정하게 작동하도록 연결되는 연결봉이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식기건조대.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실린더가 제2 크랭크에 축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점이 제2 크랭크의 고정부재에 축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점을 중심으로 원호운동을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식기건조대.
KR1020110128842A 2011-12-05 2011-12-05 접철식 식기건조대 KR101318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842A KR101318082B1 (ko) 2011-12-05 2011-12-05 접철식 식기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842A KR101318082B1 (ko) 2011-12-05 2011-12-05 접철식 식기건조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536A true KR20130062536A (ko) 2013-06-13
KR101318082B1 KR101318082B1 (ko) 2013-10-14

Family

ID=48860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8842A KR101318082B1 (ko) 2011-12-05 2011-12-05 접철식 식기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80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8833A (ko) * 2019-10-24 2021-05-04 주식회사 리빙키친 접철식 식기건조대를 구비한 주방 싱크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24147A (zh) * 2018-04-20 2018-07-27 郑维雄 一种餐具架设备
CN108294662A (zh) * 2018-04-20 2018-07-20 郑维雄 一种清洁的餐具架设备
CN108294663A (zh) * 2018-04-20 2018-07-20 郑维雄 一种卫生的餐具架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1964U (ko) * 1995-09-26 1997-04-25 주방용 선반 인출장치
KR20070054822A (ko) * 2005-11-24 2007-05-30 정창기 빨래건조대
KR200443647Y1 (ko) * 2007-08-31 2009-03-06 명진실업 주식회사 싱크대 보조수납함용 브라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8833A (ko) * 2019-10-24 2021-05-04 주식회사 리빙키친 접철식 식기건조대를 구비한 주방 싱크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8082B1 (ko) 2013-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8082B1 (ko) 접철식 식기건조대
TWI522140B (zh) Treadmill upright folding device
US20120091779A1 (en) Expandable chair assembly
US20160066684A1 (en) Folding round table
KR101509482B1 (ko) 주방용기용 접이식 손잡이 구조
TWI586505B (zh) 多連桿鋸切機
US9167893B2 (en) Folding table
US10342339B2 (en) Multiuse foldable furniture
US8550064B2 (en) Barbecue stove with collapsible stand
EP1388318A1 (en) Support for vacuum cleaner tube
CN105520705B (zh) 刀叉篮及具有其的洗碗机
AU2018100472A4 (en) Barbeque oven
US20140300086A1 (en) Frame structure of a baby carriage
AU2018100562A4 (en) Collapsible grill
US20160016304A1 (en) Foldable workbench
KR101417322B1 (ko) 접이식 복합 주방가구
JP5914454B2 (ja) 扉構造および食器洗浄機
CN108065754B (zh) 烹饪器具
CN209814083U (zh) 一种折叠可滑动蓬头
CN203354062U (zh) 一种多功效椅子
JP6069255B2 (ja) 扉構造および食器洗浄機
JP3173279U (ja) 折りたたみやすいフレーム体構造
CN212661661U (zh) 烤盘组件及具有该烤盘组件的烹饪器具
CN111096592A (zh) 一种折叠椅
KR200296015Y1 (ko) 접이식 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