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2316A - 세탁물 처리기기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2316A
KR20130062316A KR1020130058507A KR20130058507A KR20130062316A KR 20130062316 A KR20130062316 A KR 20130062316A KR 1020130058507 A KR1020130058507 A KR 1020130058507A KR 20130058507 A KR20130058507 A KR 20130058507A KR 20130062316 A KR20130062316 A KR 20130062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tank
washing water
inlet pipe
top cover
laund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8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5766B1 (ko
Inventor
김영종
이규범
이상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8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5766B1/ko
Publication of KR20130062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2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5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5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8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4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mounted on the agitator or the rotating drum; Free body dispens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상부가 개방된 캐비닛; 포가 출입할 수 있도록 포 출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의 상부에 배치되는 탑 커버; 상기 캐비닛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내조; 및 상기 탑 커버에 배치되어 상기 내조의 바닥 및 내측면으로 세탁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포함하고,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된 세탁수가 상기 내조와 만나며 이루는 경계선은 상기 내조의 내측면 상에서 상하로 연장되는 사선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Description

세탁물 처리기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조의 내측면 및 바닥을 향해 동시에 세탁수를 분사하여 세탁물을 효과적으로 헹굴 수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물 처리기기는, 물과 세제의 화학적 분해 작용과 물과 세탁물간의 마찰 등 물리적 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이하, '세탁물'이라 약칭함)에 묻은 오염물질을 분리해내는 세탁장치와, 젖은 세탁물을 탈수하여 건조시키는 건조장치, 세탁물을 가열된 증기를 분사하여 세탁물로 인한 알러지를 방지하고, 세탁물을 간편하게 세탁하는 리프레셔 등, 세탁물에 물리적 화학적 작용을 가하여 세탁물을 처리하는 각종 장치를 통칭한다.
한편, 세탁물 처리기기의 일종인 세탁장치는, 그 구조와 세탁방식에 따라 교반식(agitator type)과 드럼식(drum type) 및 와권식(pulsator type)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세탁장치는, 통상 세척 행정, 헹굼 행정 및 탈수 행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면서 세탁물을 세탁하게 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한 행정 중에서 소정의 행정만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적당한 세탁방법으로 세탁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세탁장치는 내조의 바닥을 향해 세탁수가 급수되고, 급수된 세탁수가 내조에 차오르면서 세탁물이 젖는 방식이었다. 따라서, 세탁물을 모두 적시기 위해서는 세탁물의 높이에 이르기까지 급수가 이루어져야 하므로, 과도한 양의 세탁수가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최근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 과정 중간에 내조가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탈수가 이루어 지고, 탈수 후 세탁물을 헹구기 위해 다시 급수가 이루어지는데, 이 경우 내조의 고속 회전에 의해 내조의 내측면에 세탁물이 달라 붙게 되고, 달라 붙은 세탁물을 헹구기 위해서는 다시 세탁물이 달라붙은 위치에 이르기까지 세탁수를 급수하여야 하여 과도한 양의 세탁수가 소비되었다. 특히, 상기와 같은 과정은 세탁과정 중에 간헐적으로 반복되기 때문에 소비되는 세탁수의 양의 더욱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은 내조의 내측면과 바닥을 향해 동시에 세탁수를 분사하여, 내조 내의 세탁물을 효과적으로 적심으로써, 세탁 및 헹굼 효율을 향상시키고, 소비되는 세탁수의 양을 줄인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상부가 개방된 캐비닛; 포가 출입할 수 있도록 포 출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의 상부에 배치되는 탑 커버; 상기 캐비닛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내조; 및 상기 탑 커버에 배치되어 상기 내조의 바닥 및 내측면으로 세탁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포함하고,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된 세탁수가 상기 내조와 만나며 이루는 경계선은 상기 내조의 내측면 상에서 상하로 연장되는 사선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내조의 내측면과 바닥을 향해 동시에 세탁수를 분사하여 세탁물을 효과적으로 적시고, 세탁 성능 및 헹굼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내조의 내측면에 달라붙어 있는 세탁물에 직접 세탁수를 분사함으로써 소비되는 세탁수의 양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넓은 면적에 세탁수를 분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물 처리기기를 상측에서 바라본 부분도이다.
도 3은 분사노즐에 의해 내조 내로 분사되는 세탁수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도이다.
도 4는 분사노즐에 의해 세탁물의 헹굼이 이루어지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도이다.
도 5는 탑커버에 분사노즐이 장착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도이다.
도 6은 분사노즐의 분사 폭 각도(W) 및 회전 각도(θ)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분사노즐의 기울임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분사노즐의 분사 두께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내조가 빈 상태에서 세탁수가 분사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세탁수 및 세탁물이 포화된 내조에 세탁수가 분사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분사노즐이 탑커버에 배치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분사노즐과 탑커버의 조립도이다.
도 13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분사노즐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분사노즐이 탑커버에 배치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탑커버의 저면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탑커버 및 분사노즐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분사노즐이 외조 커버에 배치되는 형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외조 커버의 저면을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외조 커버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세탁물 처리기기(100)를 상측에서 바라본 부분도이다. 도 3은 분사노즐(150)에 의해 내조(115) 내로 분사되는 세탁수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도이다. 도 4는 분사노즐(150)에 의해 세탁물의 헹굼이 이루어지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도이다. 도 5는 탑커버(112)에 분사노즐(150)이 장착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도이다. 도 6은 분사노즐(150)의 분사폭 각도(W) 및 회전 각도(θ)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분사노즐(150)의 기울임 각도(V)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분사노즐(150)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외관을 형성하고 상부가 개구된 캐비닛(111)과, 캐비닛(111)의 개구된 상부에 배치되고 세탁물(이하, '포'라고 한다.)이 출입하는 포 출입구가 형성된 탑커버(112)와, 상기 포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113)와, 지지부재(117)에 의해 캐비닛(111)의 내부에 매달리고 댐퍼(118)에 의해 완충되는 외조(122)와, 외조(122)의 내측에 배치되어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포가 수용되는 내조(115)를 포함한다. 여기서 내조(115)에는 세탁수가 외조(122)와 내조(115) 사이를 순환할 수 있도록 복수의 수공(115a)이 형성되고, 외조(122)의 상부에는 포가 출입할 수 있도록 포 출입홀(h)이 형성된 외조 커버(114)가 구비된다. 내조(115)의 바닥에는 회전수류를 형성하는 펄세이터(116)가 구비되고, 외조(122)의 하측에는 내조(115) 및/또는 펄세이터(116)를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30)가 배치된다. 또한, 외조(122)로부터 세탁수를 배수시키도록 배수호스(142)와 배수펌프(144)가 구비된다.
탑커버(112)에는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작동 전반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는 컨트롤 패널(124)이 구비되고, 탑커버(112)에는 세제수 공급부가 구비된다. 상기 세제수 공급부는, 세제(D)가 수용되는 세제박스(134)와, 세제박스(134)가 인출가능하게 수납되며 급수호스(119)로부터 유입된 세탁수가 세제박스(134)를 경유하여 내조(115) 내로 공급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세제박스 하우징(136)을 포함한다. 세제박스 하우징(136)에는 급수호스(118)로부터 유입된 세탁수가 세제박스(134)로 분배되도록 분배홀(136h)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컨트롤패널(124)을 통해 세탁 코스, 세탁 시간 등을 설정하고,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작동이 개시되면, 세탁물을 세탁하기 위해 세제가 공급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세제박스(114)를 경유하며 세제와 혼합된 세탁수(이하, '세제와 혼합된 세탁수'를 '세제수'라고 한다.)가 공급되고, 동시에 분사노즐(150)을 통해 내조(115) 내로 세탁수가 분사된다. 이때, 분사노즐(150)에 의해 분사된 세탁수는 넓게 퍼지면서 포에 직접 닿기 때문에, 세탁수양의 줄이면서도 헹굼성능이 향상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분사노즐(150)에 의해 분사된 세탁수는 비교적 얇게 펼쳐지짐과 아울러, 소정의 각도로 비틀리면서 하방향으로 분사된다. 따라서, 분사된 세탁수는 내조(115)의 내측면 및 바닥에 함께 닿게 된다. 이때, 분사된 세탁수와 내조(115)가 닿는 부분의 경계선(P)은 내조(115)의 내측면에서 바닥으로 사선을 이루며 형성되기 때문에 분사면적을 넓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세제를 사용하여 포(m)의 세탁이 이루어지고, 이후, 내조(115)가 고속으로 회전되면서 간이 탈수가 이루어 진다. 상기 간이 탈수 시에는, 내조(115)가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포(m)가 내조(115)의 내측면에 달라붙게 된다. 종래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내조의 바닥을 향해 세탁수를 급수하고 급수된 세탁수가 차오르면서 포를 적시는 방식이기 때문에 내조의 내측면에 달라 붙어 있는 포를 헹구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세탁수가 소비되었고, 헹굼에 쓰이면서 오염된 세탁수가 여전히 상기 내조에 남게 되고 이로 인해 포가 다시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조 내의 오염된 세탁수를 배수시키고 다시 깨끗한 세탁수를 급수하는 과정이 수회 반복되어야 하고, 소비되는 세탁수의 양은 더욱 증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내조(115)의 내측면과 바닥에 있는 포(m)에 직접적으로 세탁수가 닿도록, 내조(115)의 내측면 및 바닥을 향해 세탁수를 분사한다. 이때, 포에 골고루 세탁수가 분사되도록, 내조(115)가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조(115)를 계속 해서 일방향으로 연속하여 회전시키거나, 양방향으로 교대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포를 헹구고 난 뒤 오염된 세탁수는 원심력에 의해 수공(115a)을 통해 외조(122)로 배출되고, 배수펌프(144)가 작동되면서 배수유로(142)를 통해 외부로 배수되게 된다. 따라서, 포의 재오염이 방지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분사노즐(150)은 탑커버(112)에 구비되는 세제수 공급부(134, 136)의 일측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세제박스 하우징(136)에는 분사노즐(150)을 고정시키기 위한 브래킷(156)이 장착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분사노즐(150)은 세탁수가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유입관(151)과, 유입관(151)을으로부터 토출된 세탁수의 진행방향을 하방으로 경사지게 유도하며, 유입관(151)을 통과한 세탁수가 분산되도록 유로 단면적이 점차 증가되도록 형성된 분사부(152)를 포함한다.
분사부(152)는 유입관(151)을 통해 세탁수가 유입되는 입구단측에서 세탁수가 분사되는 출구단측으로 갈수록 점차 유로 단면적이 증가하도록 대략 깔대기 모양으로 형성된다.
분사부(152)는 유입관(151)으로부터 토출된 세탁수가 부딪치면서 분사되는 분사면(152a)이 형성된다. 분사면(152a)은 유입관(151)에 대향하여 일정 각도로 비틀어지게 배치된다.
분사면(152a)은 세탁수가 분사되는 단부로 갈수록 점차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유입관(151)으로부터 분사면(152a)을 향해 토출된 세탁수는 분사면(152a)을 따라 얇게 펼쳐지면서 면(S)을 이루며 분사되게 되고, 이때 상기 분사된 세탁수의 양측 경계가 이루는 각도는 분사면(152a)의 양단에 의해 결정된다.
한편, 분사면(152a)이 유입관(151)에 대향하여 일정 각도로 비틀어지게 배치되기 때문에, 세탁수는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일측으로 치우쳐 분사되게 되고, 분사된 세탁수가 내조(115)와 만나며 이루는 경계(P)는 내조(115)의 내측면으로부터 바닥으로 사선을 이루게 된다.
분사면(152a)이 비틀리게 배치된 구조는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분사노즐(150)은 터브 커버(112)에 장착 시 결합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1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부(155)는 유입관(151)의 외주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판체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을 참조하면, 보강부(155)는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판체를 이루며 형성된다.
분사노즐(150)는 기준선(M)을 중심으로 좌, 우로 대칭형으로 형성되며, 도 6에서와 같이 정면에서 바라 보았을 때, 기준선(M)이 수직선(L)과 소정의 각도(θ)를 이루도록, 유입관(151)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중심선을 축으로 각도 θ로 회전된 상태로 정렬된다.
이하, 상기 각도 θ를 '회전 각도'라고 정의한다. 상기와 같이 분사노즐(150)이 수직선(L)과 각도 θ로 회전된 상태로 정렬되기 때문에, 내조(115)에 닿는 세탁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조(115)의 내측면에서 사선방향으로 진행하여 바닥에 이르는 경계선(P)을 이루게 된다. 경계선(P)은 면(S)을 이루며 분사된 세탁수가 내조(115)의 내면과 만나면서 형성되는 경계선이다.
한편, 분사부(152)의 상면(152a)은 수직선(L)과 소정의 각도(V)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하, 상기 소정의 각도 V를 '기울임 각도'라고 정의한다. 즉, 기울임 각도(V)가 작을수록 세탁수가 하방을 향해 분사될 것이다. 또한, 기울임 각도(V)가 작을수록, 유입관(151)으로부터 토출된 세탁수가 분사면 (152a)으로부터 받는 충격은 더 커 질 것이고, 세탁수가 넓게 퍼지면서 분사되게 될 것이다.
한편, 분사노즐(150)에 의해 분사되는 세탁수의 폭은 분사부(152)의 내면에 의해 형성된 유로의 폭을 이루는 양측경계(w1, w2)가 이루는 각도(도 6에서 W)에 의해 정해진다. 이하, 각도 W를 '분사 폭 각도'라고 정의한다. 분사 폭 각도는 세탁수가 부딪히는 분사면(152a)의 양단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유입관(151)은 세탁수가 유입되는 입구단(151a) 측에서 분사부(152)로 토출되는 출구단(151b)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입구단(151a)의 내경은 d1이고, 출구단(151b)의 내경은 d2로 표시되며, 이때, d1>d2이다. 즉, 유로관(151)의 직경이 입구단(151a)에서 출구단(151b)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기 때문에, 분사부(152)로 유입되는 세탁수의 유동 속도가 증가하게 되고 분사력이 향상된다.
한편, 유입관(151)으로 유입되는 유량에 따라서는, 유입관(151)으로부터 토출된 세탁수가 분사면(152a)과, 분사면(152a)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분사부(152)의 하부를 이루는 하측면(152b)을 따라 분사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 분사면(152a)과 하측면(152b) 사이의 각도 T에 의해 세탁수의 분사두께가 결정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내조(115)의 내측면 및 바닥을 향해 세탁수를 분사함과 아울러 분사된 세탁수와 내조(115)가 만나면서 형성되는 경계선이 사선을 이루도록, 회전 각도(θ), 분사 폭 각도(W), 및 기울임 각도(V)가 정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W는 둔각을 이루며, V 및 θ는 예각을 이룬다.
기울임 각도(V) 및 회전각도(θ)를 갖도록 배치되는 분사노즐(150)의 특성으로 인하여, 분사면(152a)은 유입관(151)에 대향하여 비틀리게 배치되고, 따라서 유입관(151)으로부터 토출된 세탁수가 분사면(152a)에 부딪치면서 기울임 각도(V)에 의해 하방으로 굴절되어 내조(115)의 바닥으로 분사되게 되고, 회전 각도(θ)에 의해 내조(115)의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한 측을 향해 치우치면서 분사되어 내조(115)의 내측면에 닿게 된다.
한편, 분사되는 세탁수 중 더 많은 양의 세탁수가 내조(115)의 내측면에 닿도록 하기 위해서는 θ값이 더 커지도록 분사노즐(150)를 회전시켜 탑커버(112)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세탁수가 폭 방향으로 얇게 펼쳐지면서 분사되도록 하기 T값은 커지고 V값은 작아지도록 분사면(152a)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내조(115)가 빈 상태에서 세탁수가 분사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세탁수 및 세탁물이 포화된 내조(115)에 세탁수가 분사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내조(115)가 비워진 경우에는 외조(122)와 연결된 지지부재(117) 및 댐퍼(118)에 하중이 가장 적게 걸리게 된다. 이때 분사노즐(150)과 내조(115)의 상단과의 거리는 l이 되고, 분사노즐(150)에 의해 분사된 세탁수는 내조(115)의 상단으로부터 h 만큼 떨어진 높이까지 닿게 된다. 반면에, 내조(115)가 감당할 수 있는 한계용량까지 세탁수 및 세탁물이 수용된 경우에는, 지지부재(117) 및 댐퍼(118)에 가장 하중이 크게 걸리기 때문에, 내조(115)가 하측으로 처지게 되고, 분사노즐(150)과 내조(115)의 상단 사이의 거리가 l'가 되고(l<l'), 분사된 세탁수는 내조(115)의 상단으로 부터 h'만큼 떨어진 높이까지 닿게 된다. (h>h')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부하에 관계없이 내조(115) 내로 세탁수를 넘치지 않고 분사되도록 분사노즐(150)의 회전 각도 θ, 분사 폭 각도 W 가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분사노즐(250)이 탑커버(112)에 배치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분사노즐(250)과 탑커버(112)의 조립도이다. 도 13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분사노즐(250)의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적용된 분사노즐(250)은 전술한 실시예에 적용된 분사노즐(150)과 형태가 다소 다르게 형성되나, 내조(115)의 내측면과 바닥을 향해 세탁수를 분사하는 점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으므로, 분사노즐(250)에 의해 세탁수가 분사되는 구조 및 분사된 세탁수의 형태에 대해서는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탑커버(112)에는 분사노즐(250)을 설치하기 위한 유입관 관통홀(112a) 및 분사노즐 위치 설정홀(112b, 112c)이 형성된다. 분사노즐(250)의 유입관(251)이 유입관 관통홀(112a)에 삽입되고, 분사노즐(250)에 형성된 위치 설정돌기(156)가 각각 위치설정홀(112b, 112c)에 삽입됨으로써 분사노즐(250)이 탑커버(112)에 장착된다. 이때, 위치설정홀(112b, 112c)의 배치는 분사노즐(250)의 분사방향을 고려하여 설정된다.
도 14는 분사노즐(350)이 탑커버(112)에 배치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탑커버(112)의 저면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탑커버(112) 및 분사노즐(350)의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적용된 분사노즐(350)은 전술한 실시예에들에 적용된 분사노즐(150)(250)들과 형태가 다소 다르게 형성되나, 내조(115)의 내측면과 바닥을 향해 세탁수를 분사하는 점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으므로, 분사노즐(350)에 의해 세탁수가 분사되는 구조 및 분사된 세탁수의 형태에 대해서는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분사노즐(350)은 세제박스(134)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탑커버(112)의 저면에 설치된다. 분사노즐(350)을 탑커버(112)에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112d)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세제박스(134)로 유입되는 유로 중 일부를 분지시켜 분사노즐(150)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유로 구성이 단순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6은 분사노즐(450)이 외조 커버(114)에 배치되는 형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외조 커버(114)의 저면을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외조 커버(114)의 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적용된 분사노즐(450)은 전술한 실시예에들에 적용된 분사노즐들(150)(250)(350)과 형태가 다소 다르게 형성되나, 내조(115)의 내측면과 바닥을 향해 세탁수를 분사하는 점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으므로, 분사노즐(450)에 의해 세탁수가 분사되는 구조 및 분사된 세탁수의 형태에 대해서는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분사노즐(450)은 외조 커버(114)의 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외조 커버(114)의 저면에는 분사노즐(450)의 유입관(451)이 삽입되는 유입관 연결구(114a)가 외조 커버(114)의 외측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분사노즐(450)을 외조 커버(114)에 설치함으로써, 포 및/또는 세탁수의 하중에 따라 내조(115)의 높이가 달라지더라도, 내조(112)에 대하여 분사노즐(150)는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부하가 증가하여 내조(115)가 하측으로 쳐지더라도 세탁수가 내조(115)를 넘치지 않고, 내조(115) 내로 안정적으로 분사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즉,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4)

  1. 상부가 개방된 캐비닛;
    포가 출입할 수 있도록 포 출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의 상부에 배치되는 탑 커버;
    상기 캐비닛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내조; 및
    상기 탑 커버에 배치되어 상기 내조의 바닥 및 내측면으로 세탁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포함하고,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된 세탁수가 상기 내조와 만나며 이루는 경계선은 상기 내조의 내측면 상에서 상하로 연장되는 사선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세탁수가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유입관; 및
    상기 유입관을 통해 공급된 세탁수의 진행경로를 따라 유로 단면적이 점차 증가하도록 형성된 분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부는,
    상기 유입관을 통해 공급된 세탁수가 부딪치며 진행방향이 굴절되도록 하는 분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경계선은 상기 분사면을 따라 분사된 세탁수가 상기 내조와 만나는 경계로 정의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선의 한쪽 끝은 상기 내조의 바닥 상에 위치하고, 다른 한쪽 끝은 상기 내조의 내측면 상에 위치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탑 커버에는 상기 유입관이 삽입되는 유입관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분사부로부터 위치 설정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탑 커버에는 상기 유입관이 상기 유입관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위치 설정돌기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위치 설정홀이 더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KR1020130058507A 2013-05-23 2013-05-23 세탁물 처리기기 KR101325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507A KR101325766B1 (ko) 2013-05-23 2013-05-23 세탁물 처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507A KR101325766B1 (ko) 2013-05-23 2013-05-23 세탁물 처리기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9908A Division KR101689720B1 (ko) 2009-04-03 2009-11-13 세탁물 처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316A true KR20130062316A (ko) 2013-06-12
KR101325766B1 KR101325766B1 (ko) 2013-11-04

Family

ID=48860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8507A KR101325766B1 (ko) 2013-05-23 2013-05-23 세탁물 처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5766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36644B2 (ja) * 1996-10-30 2003-08-11 シャープ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KR100347901B1 (ko) 1999-08-18 2002-08-09 엘지전자주식회사 세탁기의 낙하수류 형성장치
KR20100012996A (ko) * 2008-07-30 2010-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5766B1 (ko) 2013-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49838A1 (en) Washing machine
CN102597354B (zh) 衣物处理装置和衣物处理方法
CA2698953C (en) Washing machine with improved wetting and rinsing feature
KR100688160B1 (ko) 프론트 로딩 타입 드럼 세탁기
KR101600795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602671B1 (ko) 세탁물 처리기기
US20110083477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597527B1 (ko)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KR101608657B1 (ko) 세탁물 처리기기
JP2015051277A (ja) 洗濯機
KR20130018068A (ko) 신발 세척장치
KR101716175B1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방법
KR20100110716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110086421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170049213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25766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461391B1 (ko) 공기발생장치를 갖는 세탁기
KR20100086623A (ko) 세탁장치
KR20130045314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700187B1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방법
KR101010692B1 (ko) 드럼 세탁기
KR20100084857A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기기 제어방법
KR101299508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072555B1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방법
KR101299507B1 (ko) 세탁물 처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