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1534A - 외부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는 수질 측정 센서 노드 - Google Patents

외부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는 수질 측정 센서 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1534A
KR20130061534A KR1020110127895A KR20110127895A KR20130061534A KR 20130061534 A KR20130061534 A KR 20130061534A KR 1020110127895 A KR1020110127895 A KR 1020110127895A KR 20110127895 A KR20110127895 A KR 20110127895A KR 20130061534 A KR20130061534 A KR 20130061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quality
sensor
unit
sensor node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7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훈
김관중
김내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27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1534A/ko
Publication of KR20130061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15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1/00Generators or moto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Alleged perpetua mobilia obtained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H02N11/002Gene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 C02F2209/008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comprising telecommunication features, e.g. modems or antenna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수질 측정 센서 노드는 물이 흐르는 하천에 설치되며, 전원 공급부가 하천의 물의 흐름에 따른 동력을 토대로 전기를 발생하여 센서부와 통신부로 공급한다. 이에 따라 센서부는 하천의 물의 수질을 측정하여 센서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며, 제어부가 센서부로부터 획득되는 센서 데이터 신호를 분석하여 수질의 상태를 나타내는 센싱 정보를 생성하고, 통신부가 센싱 정보를 전송한다.

Description

외부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는 수질 측정 센서 노드{Water quality sensor without sensor tag without using external energy}
본 발명은 센서 노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외부 전원을 사용하지 않는 수질 측정 센서 노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 수질 모니터링 등을 위하여 다양한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들이 구축되어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환경이나 수질을 모니터링하는 것은 실외의 환경에서 수행됨으로써,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센서 노드들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데 있어서 많은 제약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를 해결하기 위해서 센서 노드에 대용량 배터리를 사용하거나, 태양 전지와 같은 충전 장치를 센서 노드에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아무리 큰 대용량 배터리를 사용하더라도 영구적인 사용이 불가능하고, 주기적으로 배터리를 교체해주어야 하는 제약점을 여전히 가지게 된다. 또한, 태양 전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낮에만 충전이 이루어짐으로 충전되어 사용가능한 용량이 매우 한정적이며, 또한 외부 먼지에 의해서 태양 전지의 표면이 오염되는 경우 발생되는 전원이 현격히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외부의 에너지 즉, 외부의 전원 입력 또는 배터리를 사용하지 않아도 동작 가능한 수질 측정 센서 노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의 과제를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수질 측정 센서 노드는, 물이 흐르는 하천에 설치되는 수질 측정 센서 노드에서, 상기 하천의 물의 수질을 측정하여 센서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획득되는 센서 데이터 신호를 분석하여 수질의 상태를 나타내는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센싱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하천의 물의 흐름에 따른 동력을 토대로 전기를 발생하는 발전기와 상기 생성된 전기를 저장하는 컨덴서를 포함하며, 상기 발생된 전기를 상기 센서부와 통신부로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하천에 설치되는 수질 측정 센서 노드가 별도의 외부 전원이나 배터리 없이도 동작 가능한 수질 측정 센서 노드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센서 노드에 포함되는 통신 장치를 위한 전원에 대한 고려 없이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손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배터리의 교체 등을 고려하지 않아도 됨으로 반영구적으로 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질 측정 센서 노드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질 측정 센서 노드를 이용한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질 측정 센서 노드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질 측정 센서 노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질 측정 센서 노드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질 측정 센서 노드(100)는 도 2와 같이, 센서부(1), 통신부(2), 제어부(3), 전원 공급부(4)를 포함한다.
센서부(1)는 수질을 측정하여 센서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며, 제어부(3)는 센서부(1)로부터 획득되는 센서 데이터 신호를 분석하여 수질의 상태를 나타내는 센싱 정보를 생성한다.
통신부(2)는 안테나(21)를 통하여 센싱 정보를 송신하며,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3)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2)는 도시하지 않은 중계 노드를 통하여 수질 관리를 수행하는 관제 센터로 센싱 정보를 전송하고, 중계 노드나 관제 센터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3)로 전달한다.
전원 공급부(4)는 센서부(1)와 통신부(2)에 전원을 공급하며, 특히 전원을 직접 생성하여 공급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부(4)는 전기 즉, 전원을 발생시키는 발전기(41)와, 발생된 전원을 저장하는 컨덴서(42)를 포함하며, 발전기(41)와 연계하여 전원을 발생시키는 프로펠러(4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질 측정 센서 노드(100)는 하천의 수질을 측정하기 위하여 하천에 설치되고, 하천으로 흘러 들어오는 물의 상태를 측정하고 분석한다. 이와 같이, 수질 측정 센서 노드(100)는 항상 물이 흐르는 하천과 같은 환경에서 사용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물의 흐름을 이용하여 전원을 발생시킨다. 이를 위하여 전원 공급부(4)는 회전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프로펠러(43)에 발전기(41)를 연결시켜, 발전기(41)가 프로펠러(43)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을 토대로 전기를 생성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전기는 컨덴서(42)에 저장되어, 수질 측정 센서 노드(100)의 동작을 위한 전원으로 사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질 측정 센서 노드를 이용한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낸 도이다.
첨부한 도 2에 예시되어 있듯이, 전원 생성 기능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질 측정 센서 노드(100)를 이용하여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수질 측정 센서 노드(101, 102, 103, …, 10N, N=0, 1, 2, …)를 수질을 측정하고자 하는 하천의 복수의 위치에 각각 설치하고, 각각의 센서 노드들은 중계 노드(200)를 통하여 관제 센터(300)와 통신한다.
이러한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각 센서 노드들은 별도의 외부 전원을 입력받거나 배터리를 사용하지 않고, 설치된 하천으로 흐르는 물에 의하여 발생되는 동력을 토대로 생성되는 전기에 따라 구동되어 물의 수질 상태를 측정한다. 각 센서 노드에서 측정된 센서 데이터들을 중계 노드(200)를 통하여 관제 센터(300)로 전송된다.
다음에는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질 측정 센서 노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질 측정 센서 노드의 동작에 따른 흐름도이다.
첨부한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은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이 구축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질 측정 센서 노드(100)는 물이 흐르는 하천에 설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물의 흐름에 따라 전원 공급부(4)의 프로펠러(43)가 회전하면서 회전에 따른 동력이 발생한다(S100). 이러한 동력에 따라 발전기(41)가 발전하면서 전기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기는 컨덴서(42)에 저장된다.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면, 제어부(3)는 해당 수질 측정 센서 노드(100)의 식별 번호를 검출한다(S110). 예를 들어 제어부(3)는 저장되어 있는 식별 번호를 리드하는 것으로 식별 번호 검출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은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3)는 이러한 발전 동작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기에 따른 전압을 측정하고 측정되는 전압을 설정된 전압과 비교한다(S120, S130). 비교 결과 전원 공급부(4)에서 발생되는 전압이 설정된 전압 이상으로 센서부(1)와 통신부(2)가 동작하는데 충분한 전압이 공급되는 경우, 제어부(3)의 제어에 따라 전원 공급부(4)로부터 발생되는 전압이 센서부(1)와 통신부(2)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센서부(1)가 구동되면서, 하천의 물의 수질을 측정하여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어부(3)로 공급한다(S140). 제어부(3)는 측정된 센싱 데이터에 따른 센싱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센싱 정보를 실시간으로 통신부(2)를 통하여 관제 센터(300)로 전송하거나 또는 설정 주기에 따라 센싱 정보를 통신부(2)를 통하여 관제 센터(300)로 전송한다(S150). 이때, 제어부(3)는 센싱 정보와 함께 수질 측정 센서 노드(100)의 식별 정보를 함께 전송한다.
한편 위의 단계(S130)에서 비교 결과, 측정된 전압이 설정된 전압보다 작은 경우에는 전압 발생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부(3)는 이상 발생 여부를 통신부(2)를 통하여 관제 센터(300)로 보고할 수 있다(S160). 이 경우 측정된 전압이 설정된 전압보다 작은 경우에 바로 이상 발생을 보고하지 않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다음에 다시 측정되는 전압과 설정된 전압을 비교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설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도 측정되는 전압이 설정된 전압보다 작은 경우에 이상 발생을 보고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 노드의 전원 공급 방법을 태양전지가 아닌 24시간 활용 가능한 물의 흐름을 사용함으로, 별도로 전원을 저장하기 위한 충전지 등을 사용하지 않음으로 센서 노드의 구조 및 제작 가격을 낮출 수 있다.
또한 통신장치를 위한 전원에 대한 고려없이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손쉽게 센서 노드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배터리의 교체 등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므로 반영구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

  1. 물이 흐르는 하천에 설치되는 수질 측정 센서 노드에서,
    상기 하천의 물의 수질을 측정하여 센서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획득되는 센서 데이터 신호를 분석하여 수질의 상태를 나타내는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센싱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하천의 물의 흐름에 따른 동력을 토대로 전기를 발생하는 발전기와 상기 생성된 전기를 저장하는 컨덴서를 포함하며, 상기 발생된 전기를 상기 센서부와 통신부로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를 포함하는, 수질 측정 센서 노드.








KR1020110127895A 2011-12-01 2011-12-01 외부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는 수질 측정 센서 노드 KR201300615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895A KR20130061534A (ko) 2011-12-01 2011-12-01 외부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는 수질 측정 센서 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895A KR20130061534A (ko) 2011-12-01 2011-12-01 외부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는 수질 측정 센서 노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534A true KR20130061534A (ko) 2013-06-11

Family

ID=48859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7895A KR20130061534A (ko) 2011-12-01 2011-12-01 외부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는 수질 측정 센서 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153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74115A (zh) * 2014-03-21 2014-06-18 京兴智联(北京)水利物联网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传感器数据转发装置
CN105807021A (zh) * 2016-05-10 2016-07-27 皖西学院 一种便携式水质监测仪
CN105813231A (zh) * 2016-05-11 2016-07-27 浙江大学 一种可回收式水下无线传感器网络节点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74115A (zh) * 2014-03-21 2014-06-18 京兴智联(北京)水利物联网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传感器数据转发装置
CN105807021A (zh) * 2016-05-10 2016-07-27 皖西学院 一种便携式水质监测仪
CN105813231A (zh) * 2016-05-11 2016-07-27 浙江大学 一种可回收式水下无线传感器网络节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54178B (zh) 用来检测具有操作问题或缺陷的电池组的系统和方法
CN202602355U (zh) 用于控制或监测工业过程、工业过程设备或工业过程工厂的无线现场装置
KR101942806B1 (ko) 현장 고장 진단이 가능한 이동형 태양광 발전설비 고장 진단시스템
CN101809520B (zh) 用于数字过程控制回路诊断的现场设备
CN103828120B (zh) 用于减少仪表读取模块中的电池钝化的方法和装置
KR101773200B1 (ko) 원격검침설비를 이용한 배전 gis 기반의 정전 감지 시스템 및 방법
JP2019168451A (ja) 異常要因判定装置、劣化判定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劣化判定方法及び異常要因判定方法
US20110074598A1 (en) Collection of telemetry data through a meter reading system
JP2013228246A (ja) 電池監視装置
KR20130061534A (ko) 외부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는 수질 측정 센서 노드
JP2014056859A (ja) 太陽電池故障診断装置、太陽電池故障診断方法、太陽電池故障診断システム、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9148482A (ja) 水環境センシング装置
JP2017156943A (ja) センサノード、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その故障復帰方法
KR200468933Y1 (ko) 유량 계측을 위한 계량기 및 이를 이용한 검침 시스템
KR101549428B1 (ko) 태양전지모듈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CN106379323B (zh) 一种车辆控制系统
Yang et al. Power-based diagnosis of node silence in remote high-end sensing systems
KR101424165B1 (ko) 최적화된 모니터링 네트워크 환경을 가지는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시스템
WO2015087501A1 (ja) 検針装置の管理装置
JP6056976B2 (ja) 電子装置
JP2018506699A (ja) エネルギー貯蔵装置の低能力通知を提供するための技術
CN106292610B (zh) 智能家居控制系统
KR20160106395A (ko) 태양광 모듈 자가진단 모니터링 시스템
US9882388B2 (en) Photovoltaic device
TWI788513B (zh) 太陽能模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