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1309A - 위급상황 알림 장치 - Google Patents

위급상황 알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1309A
KR20130061309A KR1020110127548A KR20110127548A KR20130061309A KR 20130061309 A KR20130061309 A KR 20130061309A KR 1020110127548 A KR1020110127548 A KR 1020110127548A KR 20110127548 A KR20110127548 A KR 20110127548A KR 20130061309 A KR20130061309 A KR 20130061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erminal
health
emergency situa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7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승철
장상우
김흥기
이상선
조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미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미테크
Priority to KR1020110127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1309A/ko
Publication of KR20130061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13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53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health condition by physiological monitoring, e.g. electrocardiogram, temperature, breat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급상황 알림 장치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여 위급상황을 주위에 알려준다. 상기 위급상황 알림 장치는 사용자의 맥박수와 활동량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건강 신호 측정기와 상기 건강 신호 측정기로부터 전송 받은 데이터를 표시하고 위급상황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주위에 알리기 위한 모니터링 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 건강 신호 측정기는 자체적인 위급상황 판단 기능을 구비하여 사용자 본인에게 건강 상태를 알려준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 단말기는 상기 건강 신호 측정기로부터 전송 받은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고 위급상황 발생 시 내장된 전화번호로 연결하여 보호자나 응급센터로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알려줄 수 있다.

Description

위급상황 알림 장치{Apparatus for Emergency Alertness}
본 발명은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알려주기 위한 위급상황 알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위급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건강 신호 측정기와 그것과 연동되어 위급상황을 주위에 알려주는 모니터링 단말기를 포함하는 위급상황 알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비만이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서구 몇몇 나라에서는 고칼로리 상품에 비만세를 신설하여 비만을 억제하려고 하고 있다. 비만이 문제가 되는 것은 비만으로 인하여 각종 다른 질병이 발병하게 될 위험이 매우 크다는 데 있다.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이 심장질환이다.
우리나라도 식단이 점점 서구화 되어 비만인구가 계속 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비만인구의 증가는 결국 심장질환자의 증가를 초래하게 된다.
심장질환자의 경우에는 갑자기 찾아오는 심장 이상에 대하여 늘 불안해하며 살아가고 있다. 특히 야간이나 취침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심장 마비에 대하여 굉장한 두려움이 있다.
심장질환자의 수는 노령인구의 수와 비례한다. 스마트 폰의 보급으로 모바일 헬스케어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으나, 노령 환자들의 경우에는 아직까지 스마트 폰을 사용하는 데 매우 미숙하여 간편하게 위험상황을 주위에 알려줄 수 있는 건강 신호 측정기와 모니터링 단말기를 포함하는 위급상황 알림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급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건강 신호 측정기 및 그것과 연동되어 위급상황을 주위에 알려줄 수 있는 모니터링 단말기를 포함하는 위급상황 알림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급상황 알림 장치는, 사용자의 건강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건강 신호 측정기;와 건강 상태를 표시하고 위급상황을 알리기 위한 모니터링 단말기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건강 신호 측정기는, 사용자의 건강 신호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센싱 모듈; 및 신호 측정을 위한 패치형 전극 센서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센싱 모듈은 맥박 신호와 홀동량 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 감지하도록 구성된 센서부; 상기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건강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신호를 기반으로 위급상황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상기 모니터링 단말기로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어 및 판단부; 상기 모니터링 단말기와 상기 제어 및 판단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통신부; 및 상기 판단 결과에 의한 위급 상황을 표시 및 알려주는 알림부;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및 판단부는 상기 감지된 건강 신호를 증폭하고, 필터링하고, ADC(Analog to Digital Conversion) 변환하고, 디지털로 변환된 신호를 바탕으로 위급 상황을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블루투스(Bluetooth), 무선 인터넷(WiFi)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 Band) 중 어느 하나의 무선 방식을 사용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유선 방식을 사용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맥박 측정을 위한 맥박 센서부와 활동량 측정을 위한 활동량 센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센싱 모듈은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전원부를 더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배터리의 상태를 알려주는 표시창과 위급 상황 표시하는 표시창 및 경보음 발생기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맥박 센서부는 인체에 부착할 수 있는 패치형 전극 센서를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단말기는 상기 건강 신호 측정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단말 통신부; 상기 단말 통신부를 통하여 전달된 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데이터를 기반으로 건강 상태의 정상 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단말 통신부를 제어하는 단말 제어 및 판단부; 상기 단말 제어 및 판단부의 처리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표시하고 외부로 알리기 위한 단말 알림부; 및 상기 모니터링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말 전원부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 및 판단부는 상기 단말 통신부를 통하여 전달된 데이터를 그대로 상기 단말 알림부로 전달하거나 자체적인 위급 상황 판단 알고리즘을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 및 판단부는 사용자의 맥박 값과 활동량 정보 값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통신부는 블루투스(Bluetooth), 무선 인터넷(WiFi)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 Band) 중 어느 하나의 무선 방식을 사용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단말 전원부는 상용 가정용 전원이나 배터리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단말기는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이나 버튼이 추가된 LCD 화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단말기는 스마트 폰과 상기 스마트 폰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위급 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건강 신호 측정기기와 그것과 연동되는 모니터링 단말기를 포함하는 위급상황 알림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감시하고 위급한 상황을 주위에 알려주는 것이 용이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급상황 알림 장치의 사용 예를 보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강 신호 측정기의 입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강 신호 측정기와 전극 센서 간의 결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강 신호 측정기와 또 다른 전극 센서 간의 결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강 신호 측정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강 신호 측정기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단말기의 입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단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단말기의 내부 설정 값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단말기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강 신호 측정기와 모니터링 단말기의 연동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통해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 한정이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이란 표현은 전후에 나열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연결되는/결합되는’이란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급상황 알림 장치의 사용 예를 보인다. 도 1을 참조하면, 건강 신호 측정기(10)는 사용자의 맥박과 활동량 정도를 측정하여 건강 상태를 판단하고, 측정한 신호와 건강 상태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모니터링 단말기(20)로 전송한다.
모니터링 단말기(20)에서는 건강 신호 측정기(10)로부터 전송 받은 신호와 건강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위급 상황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표시하고 외부로 알려주도록 형성된다. 모니터링 단말기(20)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 표시 및 유선/무선 통신의 연결 상태, 측정기의 부착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강 신호 측정기의 입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건강 신호 측정기(10)는 패치형 전극 센서(101)와 동작 스위치(102), 표시창(103), 및 전원 연결부(104)를 포함한다.
패치형 전극 센서(101)는 인체에 부착하여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패치형 전극 센서(101)는 심장 박동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신체의 전위를 건강 신호 측정기(10) 내부로 전달하기 위하여 전도성 젤(Gel)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동작 스위치(102)는 건강 신호 측정기(10)의 전원을 켜겨나 끄고, 위급 상황 표시등이나 경보음을 소거하기 위한 스위치로 형성된다.
표시창(103)은 건강 신호 측정기(10)의 동작 상태나 위급 상황을 표시하기 위한 LED나 진동자(Vibrator) 및 경보음(Beep) 발생 장치로 형성된다.
전원 연결부(104)는 건강 신호 측정기(10) 내부의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교체하기 위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강 신호 측정기와 패치형 전극 센서 간의 결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강신호 측정기와 또 다른 패치형 전극 센서 간의 결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건강 신호 측정기(100)는 밑면에 패치형 전극 센서(101)을 결합하기 위한 체결 홈(110)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한다. 체결 홈(110)은 스냅식(Snap Type)일 수 있다. 패치형 전극 센서(101)는 건강 신호 측정기(100)의 체결 홈(110)에 결합되기 위한 체결 돌기(111)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한다. 체결 돌기(111)는 패치형 전극 센서(101)를 형성하는 전도성 젤(Gel)과 전기적으로 도전되도록 형성된다.
패치형 전극 센서(101)는 전기적으로 분리된 두 영역으로 형성된다. 도 3에서는 패치형 전극 센서(101)가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형성된다. 도 4에서는 전기 절연막(112)을 사용하여 패치형 전극 센서(101)의 좌우측면이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형성된다.
건강 신호 측정기(100)와 패치형 전극 센서(101)가 결합되어 인체에서의 전기적 신호가 전도성 젤과 체결 돌기(111)를 통하여 체결 홈(110)으로 전달되고, 건강 신호 측정기(100) 내부의 신호 측정 회로를 통하여 심전도와 맥박을 측정하도록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강 신호 측정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건강 신호 측정기(100)는 건강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120), 센서부(120)와 통신부(140)를 제어하고 센서부(120)로부터 측정된 신호를 처리 및 판단하기 위한 제어 및 판단부(130), 제어 및 판단부(130)로부터 처리된 데이터를 모니터링 단말기(20)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140), 제어 및 판단부(130)의 처리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표시 및 알려주기 위한 알림부(160), 및 전원부(150)를 포함한다.
센서부(120)는 심전도와 맥박을 측정하기 위한 맥박 센서부(121)와 사용자의 움직임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활동량 센서부(122)를 포함한다. 맥박 센서부(121)는 패치형 전극 센서(101)를 결합하여 심전도 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스냅 형태로 구성된다. 맥박 센서부(121)를 통하여 감시된 심전도 신호는 맥박 정보로 산출될 것이다.
활동량 센서부(122)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는 가속도 센서 또는 지자계 센서 및 광센서를 포함한다. 활동량 센서부(122)를 통해 감지된 신호는 사용자의 움직임 정도를 산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어 및 판단부(130)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의 정상 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자가 설정부(131)와 위급 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판단부(132)를 포함한다.
자가 설정부(131)는 전원 스위치(102)의 입력 또는 모니터링 단말기(20)로부터의 명령을 전송 받아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정상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판단부(132)는 맥박 센서부(121)와 활동량 센서부(122)에서 측정한 신호로부터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132)는 자가 센서부(131)에서 설정한 정상 범위를 벗어난 건강 신호가 입력될 경우 벗어난 정도에 따라 단계별 위급상황으로 판별할 수 있다.
건강 신호 측정기(10)에서의 자가 설정부(131)와 위급 상황 판단부(132)는 모니터링 단말기(20)에 포함되어 있는 단말 설정부(231, 도 8)와 단말 판단부(232, 도 8)에서의 기능을 상호 보완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강 신호 측정기(10)의 크기를 작게 구현 경우에는 건강 신호 측정기(10) 내부의 자가 설정부(131)와 판단부(132)의 기능을 모니터링 단말기(20) 내부에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단말기(20)의 구조를 단순하게 하기 위해서는 모니터링 단말기(20) 내부에서의 단말 설정부(231)와 단말 판단부(232) 기능을 건강 신호 측정기(10) 내부의 자가 설정부(131)와 위급 상황 판단부(132)에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알림부(160)는 제어 및 판단부(130)에서 사용자의 건강 신호가 위급 상황으로 판단할 경우 이를 주위에 알려줄 것이다. 위급 상황 알림부(160)는 LED 표시등이나 경보음, 진동자를 포함한다.
통신부(140)는 블루투스(Bluetooth), 무선 인터넷(WiFi),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 Band)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모니터링 단말기(20)와 연결될 것이다. 통신부(140)는 USB(Universal Serial Bus)나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과 같은 유선 통신 방식을 통하여 모니터링 단말기(20)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부(140)는 유선 연결을 위한 접속부(예를 들면, 커넥터)를 더 포함할 것이다. 통신부(140)는 제어 및 판단부(130)와 독립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제어 및 판단부(130)에 포함될 수 있다.
전원부(150)는 배터리(151) 및 충전부(152)를 포함한다.
전원부(150)는 센서부(120), 제어 및 판단부(130), 통신부(140), 알림부(160)의 각 구성 요소에 전원을 공급할 것이다.
배터리(151)는 코인 전지와 같은 1차 전지나 리튬-폴리머 배터리와 같은 2차 전지 일 것이다. 배터리(151)가 2차 전지일 경우에는 충전부(152)를 통해 외부 전원에 의해서 충전될 것이다. 배터리(151)가 코인 전지와 같은 1차 전지일 경우에는 교환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강 신호 측정기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5 및 도 6을 통해 건강 신호 측정기(10)의 동작이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S110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서 건강 신호 측정기(10)의 전원 스위치(102)가 켜지면, 건강 신호 측정기(10)의 내부 옵션 설정을 점검하여 건강 상태 판별 정보가 설정되었는가를 확인할 것이다. 건강 상태 판별을 위한 정보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S120 단계로 진행하여 자가 설정 프로세스에서 건강 상태 판별 정보를 설정할 것이다.
S1110 단계에서, 자가 설정이 완료되면 건강 신호 측정기(10)는 S130 단계 및 S140 단계로 진행하여 건강 신호를 측정하고 모니터링 단말기(20)로 건강 정보 데이터를 전송할 것이다.
S150 단계에서, 측정한 건강 신호로부터 맥박수와 활동량 정보를 산출하여 위급 상황을 판별할 것이다. 위급 상황이 아닌 경우에는 S130 단계로 진행하여 건강 신호를 다시 측정할 것이다.
위급 상황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S160 단계에서 위급 상황을 표시할 것이다. S160 단계에서 건강 신호 측정기(10)의 표시창(103)에 경보 불빛을 보이거나 경보음을 발생할 것이다.
S170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서 전원 종료나 경보음 차단 명령이 입력될 경우에는 전원을 종료하거나 경보음을 중단할 것이다. 순서도상에는 표시하지 않았으나 경보음 중단의 경우에는 S130 단계로 진행할 것이다.
S170 단계에서, 전원이 종료되지 않으면 S130 단계로 진행하여 다시 건강 신호를 측정하고 S140 단계로 진행하여 모니터링 단말기(20)로 건강 정보 데이터를 전송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단말기의 입체도이다.
모니터링 단말기(20)는 맥박 값을 표시하기 위한 맥박 표시창(201), 사용자의 활동량 정도를 표시하기 위한 활동량 표시창(202), 건강 신호 측정기(10)와의 유선/무선 통신 연결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통신 상태 표시창(203), 건강 신호 측정기(10)가 사용자의 몸에 잘 부착되어 있는지 표시하기 위한 측정기 상태 표시창(204),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건강 상태 표시창(205), 모니터링 단말기(20)의 내부 상태 값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버튼창(206), 경보음 차단을 위한 경보음 차단 버튼(207), 시간 및 온습도 표시를 위한 시계 표시창(208)을 포함한다.
맥박 표시창(201)은 건강 신호 측정기(10)로부터 전송된 맥박 값을 표시하거나, 전송된 심전도 신호로부터 맥박 값을 산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활동량 표시창(202)은 건강 신호 측정기(1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활동량 값을 표시하거나, 전송된 움직임 신호로부터 활동량 값을 산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통신 상태 표시창(203)은 모니터링 단말기(20)와 건강 신호 측정기(10) 사이의 유무선 통신 상태를 점검하여 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인지 아닌지를 표시할 수 있다.
측정기 상태 표시창(204)은 건강 신호 측정기(10)로부터 전송된 측정기 상태 값을 표시하거나, 전송된 건강 신호를 분석하여 건강 신호 측정기(10)가 인체에 부착되어 있는가를 판단하여 그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건강 상태 표시창(205)은 건강 신호 측정기(1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표시하거나, 전송된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건강 상태 표시창(205)은 사용자의 건강 상태가 위급 상황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색상이나 밝기를 다르게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설정 버튼창(206)은 모니터링 단말기(20) 내부의 옵션 값이나 상태 값을 선택 및 설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경보음 차단 버튼(207)은 모니터링 단말기(20)가 사용자의 위급 상황 시 발생할 수 있는 경보음이나 표시등을 차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시계 표시창(208)은 모니터링 단말기(20)가 건강 신호 표시 이외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계 표시창(208)은 현재 시간이나 주위 온도 및 습도 값을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모니터링 단말기(20)는 터치 패드를 포함하는 LCD로 구성하여 각 세부 표시창을 LCD 화면 위에 아이콘으로 표시하고, 해당 아이콘을 터치하면 각 기능이 설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모니터링 단말기(20)는 터치 패드가 없는 LCD와 버튼 및 LED를 사용하여 설정 버튼창(206)은 버튼으로 형성하고, 나머지 표시창은 LCD 위에 그림으로 형성하여 각 기능이 구동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모니터링 단말기(20)는 유무선 통신 기능이 있는 스마트폰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단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모니터링 단말기(20)는 건강 신호 측정기(10)와의 유선/무선 통신을 위한 단말 통신부(220), 단말 통신부(220)로부터 전송 받은 데이터를 처리하고 주변 모듈을 제어하는 단말 제어 및 판단부(230), 단말 제어 및 판단부(230)의 처리 결과를 주위에 알려주기 위한 단말 알림부(240), 외부 통신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외부기기 연결부(260), 및 각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말 전원부(270)를 포함한다.
단말 통신부(220)는 블루투스(Bluetooth), 무선 인터넷(WiFi),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 Band)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건강 신호 측정기(10)와 연결될 것이다. 단말 통신부(220)는 USB(Universal Serial Bus)나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과 같은 유선 통신 방식을 통하여 건강 신호 측정기(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통신부(220)는 유선 연결을 위한 접속부(예를 들면, 커넥터)를 더 포함할 것이다. 단말 통신부(220)는 단말 제어 및 판단부(230)와 독립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단말 제어 및 판단부(230)에 포함될 수 있다.
단말 제어 및 판단부(230)는 모니터링 단말기 내부의 상태 값 설정을 위한 단말 설정부(231)와 건강 신호 측정기(10)로부터 전송 받은 신호 값으로부터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단말 판단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설정부(231)는 사용자의 맥박 값과 활동량 값에 대한 위급 상황 판단 범위를 설정하거나 건강 신호 측정기(10)의 내부 설정 값 변경을 위한 명령을 줄 수 있다.
단말 판단부(232)는 건강 신호 측정기(10)로부터 전송 받은 건강 상태 값을 처리하거나 전송 받은 건강 신호로부터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판별할 수 있다.
단말 알림부(240)는 단말 제어 및 판단부(230)의 건강 상태 판단 결과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시키거나 건강 상태 표시창(205)에 위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외부기기 연결부(260)는 단말 제어 및 판단부(230)의 건강 상태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위급 상황을 응급 구조센터나 보호자의 전화로 통보할 수 있다.
외부기기 연결부(260)는 이동통신(CDMA) 모뎀이나 유선전화(PSTN) 모뎀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전원부(250)는 모니터링 단말기(20)의 각 구성 모듈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단말 전원부(250)는 배터리를 사용하거나 가정용 상용 전원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단말기의 위급 상황 설정창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위급 상황 설정창(300)은 모니터링 단말기(20)의 화면상에 그려질 수 있으며, 맥박 설정창(310), 활동량 설정창(320), 연락처 입력창(330), 및 경보음 설정창(340)을 포함한다.
맥박 설정창(310)은 사용자의 맥박의 정상 범위를 설정할 수 있는 화면으로 구성된다. 건강 신호 측정기(10)로부터 전송된 맥박 값 또는 전송된 신호로부터 산출한 맥박 값이 맥박 설정창(310)에서 설정한 값을 벗어날 경우 단말기 제어 및 판단부(230)에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위급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활동량 설정창(320)은 사용자의 활동량의 정상 범위를 설정할 수 있는 화면으로 구성된다. 건강 신호 측정기(10)로부터 전송된 활동량 값 또는 전송된 신호로부터 산출한 활동량 값이 활동량 설정창(320)에서 설정한 값을 벗어날 경우 단말기 제어 및 판단부(230)에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위급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맥박 설정창(310)과 활동량 설정창(320)을 단지 1단계로 분류하였으나, 여러 단계로 분류할 수 있을 것이고 이에 따른 위급 상황 표시를 달리 할 수 있을 것이다.
연락처 입력창(330)은 사용자의 건강 상태가 위급 상황으로 판단된 경우 외부기기 연결부(260)를 통하여 환자의 건강 상태를 알려주기 위한 연락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으로 구성된다.
경보음 설정창(340)은 사용자의 건강 상태가 위급 상황으로 판단된 경우 발생하는 경보음이나 표시등을 설정 및 해제할 수 있는 화면으로 구성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단말기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하 도 8 내지 도 9 및 도 10을 통해 모니터링 단말기(20)의 동작이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S210 단계에서, 모니터링 단말기(20)의 전원이 켜지면, 모니터링 단말기(20)는 건강 신호 측정기(10)와의 통신 연결 상태를 점검할 것이다. 모니터링 단말기(20)와 건강 신호 측정기(10) 사이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연결 상태가 정상이 되면, S220 단계로 진행하여 건강 신호 측정기(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이때 도 10의 순서도에는 표시되어 있지 않으나, 모니터링 단말기(20)의 통신 상태 표시창(203)에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표시될 것이다. 또한 측정기 상태 표시창(204)에 건강 신호 측정기(10)의 신체 부착 여부를 표시할 것이다.
S230 단계에서, 건강 신호 측정기(10)로부터 전송 받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건강 상태가 위급한 상황인지 아닌지를 판별할 것이다. 사용자의 건강 상태가 위급 상황이 아니면 S220 단계로 진행하여 데이터 수신할 것이다.
S230 단계에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가 위급 상황으로 판단되면 S240 단계로 진행하여 건강 상태 표시창(205)에 위급 상황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하고, S250 단계로 진행하여 연락처 입력차(330)에 기록된 외부기기와의 연결을 시도할 것이다.
S260 단계에서, 사용자가 경보음 차단 버튼(207)을 누르면 경보음이 차단되고 S220 단계로 진행하여 건강 신호 측정기(10)로부터의 데이터 수신을 계속 진행할 것이다.
S260 단계에서, 모니터링 단말기(20)의 전원을 차단할 경우 종료가 될 것이다. S260 단계에서, 리셋으로 표시한 것은 전원 차단과 경보음 차단의 두 기능을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강 신호 측정기와 모니터링 단말기의 연동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건강 신호 측정기(10)와 모니터링 단말기(20)는 블루투스(Bluetooth), 무선 인터넷(WiFi),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 Band)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나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과 같은 유선 방식을 통해 서로 연결될 것이다. 즉, 건강 신호 측정기(10)와 모니터링 단말기(20)는 상호 연동될 것이다. 이는, 모니터링 단말기(20)의 설정 프로그램을 통해 건강 신호 측정기(10)가 제어되고 구동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건강 신호 측정기(10)를 통해 감지 및 판단된 신호와 결과들은 모니터링 단말기(20)로 전송되고, 전송된 데이터는 모니터링 단말기(20)에 표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모니터링 단말기(2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와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PC나 노트북 PC, 스마트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해 설명되고 있으나, 본 발명은 그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할 수 있음은 잘 이해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및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내용을 고려하여 볼 때, 만약 본 발명의 수정 및 변경이 아래의 청구항들 및 동등물의 범주 내에 속한다면, 본 발명이 이 발명의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10 : 건강 신호 측정기
101 : 패치형 전극 센서
20 : 모니터링 단말기

Claims (20)

  1. 사용자의 맥박 신호와 움직임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건강 신호 측정기; 및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모니터링 단말기를 포함하는 위급상황 알림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신호 측정기는,
    상기 맥박 신호와 움직임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센서부;
    상기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신호를 상기 모니터링 단말기로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어 및 판단부; 및
    상기 모니터링 단말기와 상기 제어 및 판단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통신부를 포함하는 위급상황 알림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패치형 전극 센서를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위급상황 알림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및 판단부는 상기 감지된 신호를 증폭하고, 필터링하고, ADC(Analog to Digital Conversion) 변환하도록 구성된 위급상황 알림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및 판단부는 사용자의 평상시의 맥박과 활동량 정보로부터 정상 범위를 설정하는 자가 설정부; 및
    상기 자가 설정부에서 설정한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감지하는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위급상황 알림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블루투스(Bluetooth), 무선 인터넷(WiFi),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 Band) 중 어느 하나의 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위급상황 알림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유선 방식을 사용하는 위급상황 알림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심전도 센서, 접촉 센서, 맥파 센서, 압력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맥박 센서부; 및
    가속도 센서, 광센서, 움직임 센서, 지자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활동량 센서부를 포함하는 위급상황 알림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신호 측정기는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위급상황 알림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위급상황 알림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신호 측정기는 위급상황을 외부로 알리기 위한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위급상황 알림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모니터링 단말기는,
    상기 건강 신호 측정기로부터 전송 받은 데이터를 처리하고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단말 제어 및 판단부;
    상기 단말 제어 및 판단부의 처리 결과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단말 알림부; 및
    상기 건강 신호 측정기와 상기 단말 제어 및 판단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단말 통신부를 포함하는 위급상황 알림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 및 판단부는 상기 전송 받은 데이터로부터 맥박 값과 활동량 값을 산출하고 위급 상황을 판단하도록 구성된 위급상황 알림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통신부는 블루투스(Bluetooth), 무선 인터넷(WiFi),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 Band) 중 어느 하나의 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위급상황 알림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통신부는 유선 방식을 사용하는 위급상황 알림 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알림부는 경보음 발생장치 및 경보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위급상황 알림 장치.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단말기는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단말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위급상황 알림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전원부를 배터리를 포함하는 위급상황 알림 장치.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단말기는 응급센터나 보호자의 전화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알려주기 위한 외부기기 연결부를 포함하는 위급상황 알림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 연결부는 이동통신(CDMA) 모뎀 및 유선전화(PSTN) 모뎀을 포함하는 위급상황 알림 장치.
KR1020110127548A 2011-12-01 2011-12-01 위급상황 알림 장치 KR201300613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548A KR20130061309A (ko) 2011-12-01 2011-12-01 위급상황 알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548A KR20130061309A (ko) 2011-12-01 2011-12-01 위급상황 알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309A true KR20130061309A (ko) 2013-06-11

Family

ID=48859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7548A KR20130061309A (ko) 2011-12-01 2011-12-01 위급상황 알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130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17202B (zh) 一种腕式生命体征监测装置及其监测方法
CN101073494B (zh) 非侵入式生命迹象监测设备、系统及方法
US9685805B2 (en) Assemble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4618221U (zh) 一种具有健康监测功能的手环
CN204995457U (zh) 智能健康管理移动终端及系统
CN103263257B (zh) 一种远程生命体征测量系统
CN110114741B (zh) 穿戴式终端及其操作方法
US9808205B2 (en) Abnormality prediction device, abnormality prediction system, abnormality prediction method,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ing system, and warning notification method
WO2015095656A1 (en) Detecting and communicating health conditions
KR20160086102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03536286A (zh) 一种多功能家庭监护系统
CN203935179U (zh) 一种多功能家庭监护系统
CN103654746A (zh) 生物体信息通知装置及生物体信息通知方法
CN109644327A (zh) 用于传感器系统和接收器之间的无线数据通信的方法,用于无线数据通信的系统,以及计算机程序产品
EP3738504A1 (en) Electronic device for generating health information on basis of plurality of biosignals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KR20090102264A (ko) 웨어러블 측정 장치
KR102511670B1 (ko) 생체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202801575U (zh) 电子体温计及应用该电子体温计的电子体温计检测系统
KR20190097878A (ko) 생체 정보에 기반한 건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204562123U (zh) 一种体温监测仪
KR20150059480A (ko) 분리형 온도측정장치 및 비정상 온도 알람 방법
KR20160003014U (ko) 체온 측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체온 측정 시스템
KR20130061309A (ko) 위급상황 알림 장치
KR20160045429A (ko) 반려동물을 위한 이동식 측정 장치
CN212994931U (zh) 一种具有检测体温的智能手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