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1276A - 스마트폰을 이용한 제스처 인식 기반 게임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을 이용한 제스처 인식 기반 게임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1276A
KR20130061276A KR1020110127498A KR20110127498A KR20130061276A KR 20130061276 A KR20130061276 A KR 20130061276A KR 1020110127498 A KR1020110127498 A KR 1020110127498A KR 20110127498 A KR20110127498 A KR 20110127498A KR 20130061276 A KR20130061276 A KR 20130061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user
sensor
gesture
sens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7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규
최대웅
Original Assignee
이진규
최대웅
(주)컨텐츠삼점영
주식회사 그린빈에스텍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규, 최대웅, (주)컨텐츠삼점영, 주식회사 그린빈에스텍,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진규
Priority to KR1020110127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1276A/ko
Publication of KR20130061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12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3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comprising photodetecting means, e.g. cameras, photodiodes or infrared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A63F13/92Video game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be hand-held while pla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07Static hand or arm
    • G06V40/113Recognition of static hand sig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1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 A63F2300/1087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comprising photodetecting means, e.g.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스마트폰을 이용한 제스처 인식 기반의 게임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제스처 인식 기반의 게임장치는, 센서의 센싱(sensing)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gesture)를 인식해서 게임제어 커맨드(command)를 발생하는 스마트폰; 과 상기 게임제어 커맨드에 따라 게임상황을 제어하는 게임 실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한 제스처 인식 기반 게임장치 및 방법{GESTURE BASED GAME APPARATUS AND METHOD USING SMART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제스처 인식 기반 게임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인식된 사용자의 제스처가 의도하는 기능에 따라 게임상황을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를 이용한 전통적인 게임방법은 키보드나 마우스, 조이스틱 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유닛에 표시되는 게임화면을 조작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게임방법은 아직도 게임산업에서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이와 병행하여 체감형 게임장치를 이용한 게임방법도 꾸준히 연구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체감형 게임장치는 상술한 전통적인 입력방식이 아니라, 직접 사람의 몸을 움직여서 입력하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예를 들면, 소위 DDR(Dance Dance Revolution)과 같이 사람의 발로 화면에 표시되는 화살표 방향의 조작판을 누르게 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것이 있다.
그러나 체감형 게임은 사용자가 온몸을 움직여야 하므로, 거동이 자유롭지 못한 노인, 장애인 등이 손쉽게 즐길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키보드나 마우스, 조이스틱 등의 조작을 필요로 하는 게임은 그 조작이 복잡하기 때문에, 거동이 자유롭지 못한 노인, 장애인 등이 손쉽게 즐길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거동이 자유롭지 못한 노인, 장애인 등이 손쉽게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제스처 인식 기반의 게임장치 및 방법이 제안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제스처 인식기반의 게임장치는, 센서의 센싱(sensing)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gesture)를 인식해서 게임제어 커맨드(command)를 발생하는 스마트폰; 과 상기 게임제어 커맨드에 따라 게임상황을 제어하는 게임 실행부를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폰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제스처 패턴별로 대응되는 게임제어 커맨드를 저장하는 커맨드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움직임을 센싱 하는 센서; 상기 센서로부터 센싱된 센싱 정보로부터 상기 센서가 수집한 좌표값들을 추출하는 센싱 정보 처리부; 상기 좌표값들로부터 사용자 움직임의 위치변환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제스처 패턴을 인식하는 제스처 인식부; 및 상기 인식된 사용자 제스처 패턴에 대응되는 게임제어 커맨드를 확인해서 게임 실행부에 전송하는 커맨드 발생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은, 사용자 제스처 인식 요청 기능이 지정된 버튼 및 사용자 제스처 등록 요청 기능이 지정된 버튼 중 어느 하나의 선택 여부를 확인하는 버튼 인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센싱 정보 처리부는, 사용자 제스처 인식 요청 기능이 지정된 버튼 및 사용자 제스처 등록 요청 기능이 지정된 버튼 중 어느 하나의 선택이 있는 경우, 상기 센서로부터 센싱된 센싱 정보로부터 상기 센서가 수집한 좌표값을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제스처 인식기반의 게임방법은, 스마트폰이, 센서의 센싱(sensing)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gesture)를 인식해서 게임제어 커맨드(command)를 발생하는 단계; 와 게임 실행부가, 게임제어 커맨드에 따라 게임상황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폰이 센서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해서 게임제어 커맨드를 발생하는 단계는,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움직임을 센싱 하는 단계; 상기 센서로부터 센싱된 센싱 정보로부터 상기 센서가 수집한 좌표값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좌표값들로부터 사용자 움직임의 위치변환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제스처 패턴을 인식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제스처 패턴별로 대응되는 게임제어 커맨드를 저장하는 커맨드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인식된 사용자 제스처 패턴에 대응되는 게임제어 커맨드를 확인해서 게임 실행부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제스처 인식기반의 게임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제스처 패턴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스처 패턴에 상응하는 게임제어 커맨드를 이용하여 게임상황을 제어함으로써, 거동이 자유롭지 못한 노인, 장애인 등도 게임을 손쉽게 즐길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제스처 인식 기반의 게임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제스처 패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제스처 인식 기반의 게임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제어 커맨드 발생방법의 플로차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제스처 인식 기반의 게임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스마트폰(1)의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 요소를 의미하며, 소정의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각 구성 요소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구성 요소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클래스 구성 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 요소들과 같은 구성 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 요소들과 해당 구성 요소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 요소들로 결합 되거나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한편 게임 실행부(2)는 지그비(Zigbee)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스마트폰(1)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제스처 인식 기반의 게임장치는 스마트폰(1)과 게일 실행부(2)를 포함한다. 이때, 게임 실행부(2)는 게임이 실행되는 장치, 예를 들어 텔레비전, 컴퓨터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스마트폰(1)은 센서의 센싱(sensing)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gesture)를 인식해서 게임제어 커맨드(command)를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맨드 데이터베이스(11), 센서(12), 센싱 정보 처리부(13), 제스처 인식부(14) 및 커맨드 발생 제어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커맨드 데이터베이스(11)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제스처 패턴별로 대응되는 게임제어 커맨드를 저장한다. 이때, 사용자 제스처 패턴의 예시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작점에서 종료점 까지 3차원 방향과 꺽임의 종류, 회전 방향에 따라 다양한 패턴들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제스처 패턴은 도 2에 도시된 패턴 이외에 게임 제공자에 의해서 다양한 패턴들이 정의될 수 있다.
센서(12)는 사용자 움직임을 센싱 한다. 이때, 센서는 가속도 센서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가속도 센서는 가속도 검출방식에 따라 피에조 저항식, 정전 용량식, 열분포 검출식, 자기센서 방식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는 낮은 중력 가속도의 검지가 필요하므로, 피에조 저항식과 정전 용량식이 주목받고 있다. 가속도 센서의 검출감도[V/g]는 가속도당 전압 변화에 의한 가속도당 전압 변화에 의한 가속도 검출의 감소를 나타낸 것으로, 검출감도가 크면 클수록 우수한 가속도 센서를 의미한다.
센싱 정보 처리부(13)는 센서(12)로부터 센싱된 센싱 정보로부터 센서가 수집한 좌표값을 추출한다. 이때, 좌표값을 추출하는 방법은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스처 인식부(14)는 센싱 정보 처리부(13)에서 추출한 좌표값들로부터 사용자 움직임의 위치변환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제스처 패턴을 인식한다. 일 실시예로 제스처 인식부(14)는 추출한 좌표값들을 이용하여 위치가 변한 좌표값을 선의 형태로 연결하여 사용자 제스처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커맨드 발생 제어부(15)는 제스처 인식부(14)에서 인식된 사용자 제스처 패턴에 대응되는 게임제어 커맨드를 커맨드 데이터베이스(11)에서 확인해서 게임 실행부(2)에 전송한다.
부가적인 양상으로, 스마트폰(1)은 버튼 인식부(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버튼 인식부(16)는 스마트폰(1)에 구비된 사용자 제스처 인식 요청 기능이 지정된 버튼 및 사용자 제스처 등록 요청 기능이 지정된 버튼 중 어느 하나의 선택 여부를 확인한다.
이에 센싱 정보 처리부(13)는 사용자 제스처 인식 요청 기능이 지정된 버튼 및 사용자 제스처 등록 요청 기능이 지정된 버튼 중 어느 하나의 선택이 있는 경우, 센서(12)로부터 센싱된 센싱 정보로부터 센서가 수집한 좌표값을 추출할 수 있다.
즉 살펴본 바와 같이 스마트폰(1)은 게임상황 제어를 위한 게임제어 커맨드를 발생하기 위한 장치의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게임 실행부(2)는 스마트폰(1)으로부터 수신되는 게임제어 커맨드에 따라 게임상황을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제스처 인식 기반의 게임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스마트폰이, 센서의 센싱(sensing)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gesture)를 인식해서 게임제어 커맨드(command)를 발생한다(S1). 이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의 일 실시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센서는 사용자 움직임을 센싱 한다(S11). 이때 센서는 가속도 센서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센싱 정보 처리부(13)는 가속도 센서(12)로부터 센싱된 센싱 정보로부터 가속도 센서(12)가 수집한 좌표값을 추출한다(S12). 이때, 가속도 센서(12)의 센싱 정보는 가속도 센서(12)가 설치된 스마트폰(1)의 사용자가 스마트폰(1)을 움직인 경우, 가속도 센서(12), 즉 스마트폰(1)이 움직인 좌표값들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센싱 정보 처리부(13)는 버튼 인식부(16)를 통해서 사용자 제스처 인식 요청 기능이 지정된 버튼 및 사용자 제스처 등록 요청 기능이 지정된 버튼 중 어느 하나의 선택이 감지된 경우, 가속도 센서(12)로부터 센싱된 센싱 정보로부터 가속도 센서(12)가 수집한 좌표값들을 추출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버튼 인식부(16)를 별도로 두어 가속도 센서(12)의 센싱 정보로부터 좌표값들을 추출하는 과정이 이루지도록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후 제스처 인식부(14)는 센싱 정보 처리부(13)에서 추출된 좌표값들로부터 위치변환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제스처를 인식한다(S13). 일 실시예로 제스처 인식부(14)는 추출한 좌표값들을 이용하여 위치가 변한 좌표값을 선의 형태로 연결하여 사용자 제스처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커맨드 발생 제어부(15)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제스처 패턴별로 대응되는 게임제어 커맨드를 저장하는 커맨드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인식된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되는 게임제어 커맨드를 확인해서 게임 실행부에 전송한다(S14).
다시 도 3에서, 게임 실행부는, 스마트폰(1)으로부터 수신된 게임제어 커맨드에 따라 게임상황을 제어한다(S2).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스마트폰 2 : 게임 실행부
11 : 커맨드 데이터베이스
12 : 센서
13 : 센싱 정보 처리부
14 : 제스처 인식부
15 : 커맨드 발생 제어부
16 : 버튼 인식부

Claims (5)

  1. 센서의 센싱(sensing)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gesture)를 인식해서 게임제어 커맨드(command)를 발생하는 스마트폰; 과
    상기 게임제어 커맨드에 따라 게임상황을 제어하는 게임 실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제스처 인식 기반의 게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제스처 패턴별로 대응되는 게임제어 커맨드를 저장하는 커맨드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움직임을 센싱 하는 센서;
    상기 센서로부터 센싱된 센싱 정보로부터 상기 센서가 수집한 좌표값들을 추출하는 센싱 정보 처리부;
    상기 좌표값들로부터 사용자 움직임의 위치변환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제스처 패턴을 인식하는 제스처 인식부; 및
    상기 인식된 사용자 제스처 패턴에 대응되는 게임제어 커맨드를 확인해서 게임 실행부에 전송하는 커맨드 발생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제스처 인식 기반의 게임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사용자 제스처 인식 요청 기능이 지정된 버튼 및 사용자 제스처 등록 요청 기능이 지정된 버튼 중 어느 하나의 선택 여부를 확인하는 버튼 인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센싱 정보 처리부는, 사용자 제스처 인식 요청 기능이 지정된 버튼 및 사용자 제스처 등록 요청 기능이 지정된 버튼 중 어느 하나의 선택이 있는 경우, 상기 센서로부터 센싱된 센싱 정보로부터 상기 센서가 수집한 좌표값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제스처 인식 기반의 게임장치.
  4. 스마트폰이, 센서의 센싱(sensing)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gesture)를 인식해서 게임제어 커맨드(command)를 발생하는 단계; 와
    게임 실행부가, 게임제어 커맨드에 따라 게임상황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제스처 인식 기반의 게임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이 센서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해서 게임제어 커맨드를 발생하는 단계는,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움직임을 센싱 하는 단계;
    상기 센서로부터 센싱된 센싱 정보로부터 상기 센서가 수집한 좌표값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좌표값들로부터 사용자 움직임의 위치변환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제스처 패턴을 인식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제스처 패턴별로 대응되는 게임제어 커맨드를 저장하는 커맨드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인식된 사용자 제스처 패턴에 대응되는 게임제어 커맨드를 확인해서 게임 실행부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제스처 인식 기반의 게임방법.
KR1020110127498A 2011-12-01 2011-12-01 스마트폰을 이용한 제스처 인식 기반 게임장치 및 방법 KR201300612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498A KR20130061276A (ko) 2011-12-01 2011-12-01 스마트폰을 이용한 제스처 인식 기반 게임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498A KR20130061276A (ko) 2011-12-01 2011-12-01 스마트폰을 이용한 제스처 인식 기반 게임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276A true KR20130061276A (ko) 2013-06-11

Family

ID=48859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7498A KR20130061276A (ko) 2011-12-01 2011-12-01 스마트폰을 이용한 제스처 인식 기반 게임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127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0189B2 (en)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object's behavior
US9575562B2 (en) User interface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multiple regions
TWI612442B (zh) 用於使用者手勢辨識之裝置與方法以及相關電腦程式
US10198081B2 (en)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command on basis of context awareness
US902019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a device action based on a detected gesture
JP5161690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70336903A1 (en) Touch and pressure sensitive surface with haptic methods for blind probe alignment
US20120161791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input objects associated with proximity events
US20150105159A1 (en) Boolean/float controller and gesture recognition system
US9582127B2 (en) Large feature biometrics using capacitive touchscreens
US20180373917A1 (en) Biometric enrollment using a display
US9760758B2 (en) Determining which hand is being used to operate a device using a fingerprint sensor
US10719159B2 (en) Method and system for force sensitive components in a display device
JP2012027515A (ja) 入力方法及び入力装置
CN103294257A (zh) 对于手写识别用于引导手写输入的装置和方法
KR20170061560A (ko)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기 위한 방법 및 전자장치
CN107111393A (zh) 用于局部化的力感测的装置和方法
CN112005206B (zh) 用于触敏屏的控制和处理单元、具有该控制和处理单元的系统以及使用方法
US9823767B2 (en) Press and move gesture
KR102086578B1 (ko) 명령 메뉴 출력 방법
US10620759B2 (en) Method and system for scanning matrix electrode sub-regions
KR20130061276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제스처 인식 기반 게임장치 및 방법
US9244608B2 (en) Method and system for gesture identification
KR20120016379A (ko) 객체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706909B1 (ko) 핑거 입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