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0679A - 2모드 진동 장신구 - Google Patents

2모드 진동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0679A
KR20130060679A KR1020110126873A KR20110126873A KR20130060679A KR 20130060679 A KR20130060679 A KR 20130060679A KR 1020110126873 A KR1020110126873 A KR 1020110126873A KR 20110126873 A KR20110126873 A KR 20110126873A KR 20130060679 A KR20130060679 A KR 20130060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housing
ring
motor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6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금경원
Original Assignee
금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경원 filed Critical 금경원
Priority to KR1020110126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0679A/ko
Publication of KR20130060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06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9/00Massage for the genitals; Devices for improving sexual intercourse
    • A61H19/30Devices for external stimulation of the geni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모드 진동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서, 모터 하우징; 상기 모터 하우징 내에 삽입된 진동모터; 상기 모터 하우징과 나사결합되는 배터리 하우징; 상기 배터리 하우징 내에 삽입된 제1 배터리; 상기 배터리 하우징 내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배터리와 나란히 배치된 제2 배터리; 상기 진동모터와 제2 배터리 사이에 배치되어 제2 배터리에 밀착되는 절연 오링; 상기 제1 배터리와 제2 배터리 사이에 배치되어 제1 배터리에 밀착되며, 제1 배터리에서 제2 배터리 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더 커지는 형상으로 된 2모드 링; 및 상기 모터 하우징의 나사부 상에 설치되는 방수 O-링;으로 이루어져, 모터 하우징과 배터리 하우징의 나사결합의 조임과 풀림 정도에 따라 진동모터와 제2 배터리의 단락이나, 진동모터와 제2 배터리의 전기접속과 상기 제1 배터리와 제2 배터리의 단락, 또는 상기 제2 배터리를 통한 진동모터와 제1 배터리의 전기접속에 의해 상기 진동모터의 진동의 온과 오프 및 진동의 세기를 2단으로 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스위치와 회로기판 없이도 나사결합의 조임과 풀림만으로 진동의 온(ON)과 오프(OFF) 및 진동의 세기 조절이 모두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2모드 진동 장신구{TWO MODE VIBRATORY ACCESSORY}
본 발명은 2모드 진동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진동모터가 내장된 모터 하우징과 제1 배터리 및 제2 배터리가 내장된 배터리 하우징이 나사결합하고, 상기 제1 배터리 및 제2 배터리의 사이에 2모드 링을 배치하여, 상기 배터리 하우징의 나사결합 정도에 따라 2모드 링의 작용으로 진동모터의 진동의 온과 오프 및 진동의 세기 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한 2모드 진동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본원발명의 배경기술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기재된 '진동 장신구'가 있다.
이와 같은 종래 '진동 장신구'는 사용자의 혈액순환에 도움을 주거나 상대의 감각을 자극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갖도록 개발된 것 중의 하나로, 특히 상대의 감각을 자극하는 종류의 장신구로서 파트너들 사이에서 성적인 활동의 질을 높이기 위해 개발된 것이다.
상기 종래 '진동 장신구'는 인체의 구멍에 조립되거나 또는 연결수단으로서의 커넥팅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팅멤버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터리와 진동자를 나란히 배치하고 직접 접속되게 하며, 배터리를 수납하는 배터리하우징과 진동자를 수납하는 진동자하우징을 나선 회전 방식으로 조립하여 조임 회전 및 풀림 회전에 의해 전기적인 연결 및 단락을 실현하는 전기연결수단을 구성하고, 상기 진동자하우징에 커넥팅멤버를 연결하고, 상기 커넥팅멤버의 다른쪽 단부에 리테이너를 결합하여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진동 장신구'는 배터리하우징의 조임 회전 및 풀림 회전에 전기적인 연결 및 단락만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서, 오로지 진동자의 진동의 온과 오프만 실행할 수밖에 없어 한가지의 진동 세기만 사용자가 느낄 수 있도록 한 단점이 있다.
즉, 진동 장신구의 사용자는 자신이나 파트너에게 진동의 세기가 적당한 것은 물론 좀더 강한 진동의 세기를 느끼거나 느끼도록 해주고 싶어하나, 종래 '진동 장신구'는 진동자가 한가지의 진동 세기로만 진동하고 있어 사용자의 상기한 요구를 실현시켜 줄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01060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진동모터가 내장된 모터 하우징과 배터리가 내장된 배터리 하우징으로 2모드 진동 장신구를 구성하되, 상기 배터리 하우징에 안쪽에서부터 제1 배터리와 제2 배터리를 나란히 내장하고, 상기 제1 배터리와 제2 배터리 사이에 내경이 상기 제2 배터리 쪽으로 갈수록 점점 커지는 2모드 링을 배치하여, 상기 2모드 링에 의해 제1 배터리가 제2 배터리를 통해 진동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제2 배터리는 배터리 하우징과 단락되도록 함으로써 진동의 온(ON)과 오프(OFF) 및 진동의 세기 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한 2모드 진동 장신구를 제공함에 있다.
다른 목적은 모터 하우징의 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배터리 하우징의 나사부 의 길이가 상기 모터 하우징의 나사부의 길이보다 더 길게 안쪽으로 형성되어 배터리 하우징의 내경보다 더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 배터리의 전기적인 단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2모드 진동 장신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탈착링과 이 탈착링보다 큰 삽입링이 상하로 나란히 형성되어, 상기 탈착링에 2모드 진동 장신구가 끼워지는 소형 8자링이나, 상기 탈착링이 90도 회전한 대형 8자링을 더 포함하여, 상기 소형 8자링 및 대형 8자링에 의해 신체의 다양한 부위에 착용하여 자신이나 상대방이 진동을 느낄 수 있도록 한 2모드 진동 장신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표면에 연한 뾰족 돌기를 형성한 장식캡을 상기 모터 하우징과 배터리 하우징에 씌워 자신이나 상대방이 진동을 느낄 때, 연한 상기 뾰족 돌기에 의해 부드러운 자극을 더 줄 수 있도록 2모드 진동 장신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2모드 진동 장신구는, 모터 하우징; 상기 모터 하우징의 개방부 쪽으로 한 극성의 접점도체가 향하도록 모터 하우징 내에 삽입된 진동모터; 상기 모터 하우징과 나사결합되는 배터리 하우징; 상기 배터리 하우징의 개방부 쪽으로 접점단자가 향하도록 배터리 하우징 내에 삽입된 제1 배터리; 상기 배터리 하우징의 개방부 쪽으로 접점단자가 향하도록 배터리 하우징 내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배터리와 나란히 배치된 제2 배터리; 상기 진동모터와 제2 배터리 사이에 배치되어 제2 배터리의 접점단자 둘레에 밀착되는 절연 오링; 상기 제1 배터리와 제2 배터리 사이에 배치되어 제1 배터리의 접점단자 둘레에 밀착되며, 제1 배터리에서 제2 배터리 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더 커지는 형상으로 된 2모드 링; 및 상기 모터 하우징과 배터리 하우징 사이의 모터 하우징의 나사부 상에 설치되는 방수 O-링;으로 이루어져, 모터 하우징과 배터리 하우징의 나사결합의 조임과 풀림 정도에 따라 진동모터와 제2 배터리의 단락이나, 진동모터와 제2 배터리의 전기접속과 상기 제1 배터리와 제2 배터리의 단락, 또는 상기 제2 배터리를 통한 진동모터와 제1 배터리의 전기접속에 의해 상기 진동모터의 진동의 온과 오프 및 진동의 세기를 2단으로 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배터리 하우징에 형성된 나사부의 길이는 모터 하우징에 형성된 나사부의 길이보다 길게 안쪽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배터리의 일부가 배터리 하우징의 내경보다 더 큰 내경의 배터리 하우징의 나사부에 걸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로 나사결합된 모터 하우징과 배터리 하우징이 삽입되어 끼워지는 탈착링이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탈착링의 하부에 탈착링보다 큰 삽입링이 나란히 일체로 형성된 소형 8자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서로 나사결합된 모터 하우징과 배터리 하우징이 삽입되어 끼워지는 탈착링이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탈착링의 하부에 탈착링보다 큰 삽입링이 90도 회전하여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된 대형 8자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탈착링의 외부면 전체에 다수개의 연한 엠보싱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모터 하우징과 배터리 하우징을 각각 덮어씌우는 장식캡으로써 상기 각 장식캡의 외부면 전체에 다수개의 연한 뾰족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2모드 진동 장신구에 의하면, 스위치나 인쇄회로기판(PCB)과 같은 특별한 장치 없이 모터 하우징에 배터리 하우징을 나사결합할 때 조임과 풀림의 정도에 따라 진동의 온(ON)과 오프(OFF)는 물론 진동의 세기를 2단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배터리 하우징의 개방부 쪽의 나사부의 길이가 안쪽으로 길게 형성되어 배터리 하우징의 안쪽의 내경보다 더 큰 내경을 이루게 됨으로써, 진동모터와 제1 배터리가 제2 배터리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될 때 상기 제2 배터리의 전기적인 단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2모드 진동 장신구는 2개의 배터리를 사용하면서도 스위치와 인쇄회로기판(PCB) 등이 필요 없어 초소형화를 이룰 수 있고 생산원가도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수 O-링에 의해 기본적으로 방수가 이루어지면서 배터리를 자유롭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2모드 진동 장신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2모드 진동 장신구의 분리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2모드 진동 장신구의 결합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2모드 진동 장신구의 배터리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2모드 링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2모드 진동 장신구가 탈착링에 끼워져 있는 소형 8자링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2모드 진동 장신구가 탈착링에 끼워져 있는 대형 8자링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2모드 진동 장신구가 표면에 엠보싱이 형성된 탈착링에 끼워져 있는 소형 8자링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8은 표면에 뾰족 돌기가 형성된 장식캡이 모터 하우징과 배터리 하우징에 끼워져 있는 본 발명에 따른 2모드 진동 장신구의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2모드 진동 장신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2모드 진동 장신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2모드 진동 장신구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2모드 진동 장신구의 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2모드 진동 장신구는 모터 하우징(1), 진동모터(2), 배터리 하우징(3), 제1 배터리(4), 제2 배터리(5), 절연 오링(13), 2모드 링(6) 및 방수 O-링(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터 하우징(1)은 ⊂ 형상으로 구성되어 오른쪽의 개방부(1a) 쪽의 끝단 일부는 왼쪽보다 더 작은 외경으로 이루어져 나사부(1b)로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1b)에는 작은 외경의 바깥쪽 둘레에 나사산이 일정 길이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 진동모터(2)는 진동자를 포함하고 있는 모터로써 일측면에 형성된 접점도체(2a)가 모터 하우징(1)의 개방부(1a) 쪽으로 향하도록 상기 모터 하우징(1) 내에 삽입되어 배치된다.
상기 배터리 하우징(3)은 ⊃ 형상으로 구성되어 왼쪽의 개방부(3a) 안쪽에는 끝단 둘레에 형성되는 나사산이 안쪽으로 일정 길이까지 이어져 나사부(3b)를 형성하고 있되, 상기 나사부(3b)의 길이는 모터 하우징(1)에 형성된 나사부(1b)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모터 하우징(1)과 배터리 하우징(3)은 금속재로 제작하여 통전되도록 해야한다.
상기 제1 배터리(4)는 접점단자(4a)가 배터리 하우징(3)의 개방부(3a) 쪽으로 향하도록 상기 배터리 하우징(3) 내에 삽입되어 안쪽 깊숙이 배치되며, 바깥둘레는 상기 배터리 하우징(3)의 내경에 거의 밀착하고 있다.
상기 제2 배터리(5)는 접점단자(5a)가 배터리 하우징(3)의 개방부(3a) 쪽으로 향하도록 상기 배터리 하우징(3) 내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배터리(4)와 나란히 배치하되, 상기 제2 배터리(5)의 바깥둘레의 일부는 배터리 하우징(3) 내의 바깥쪽 나사부(3b)에 걸쳐 있고, 상기 제2 배터리(5)의 바깥둘레의 나머지 일부는 배터리 하우징(3) 내의 안쪽 내경에 거의 밀착하고 있다.
상기 절연 오링(13)은 진동모터(2)와 제2 배터리(5) 사이에서 상기 제2 배터리(5)의 접점단자(5a)에 배치되며, 연하고 탄성이 있는 실리콘과 같은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모드 링(6)은 제1 배터리(4)와 제2 배터리(5) 사이에서 상기 제1 배터리(4)의 접점단자(4a) 둘레에 배치되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의 안쪽 내경은 제1 배터리(4)에서 제2 배터리(5) 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더 커지는 형상으로 되어, 내경이 가장 큰 둘레는 제2 배터리(5)와 배터리 하우징(3)의 내경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2모드 링(6)이 어느 정도 강도를 가지면서 복원력이 높은 폴리에틸렌(PE)과 같은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수 O-링(7)은 모터 하우징(1)의 외경과 나사부(1b) 사이에서 상기 나사부(1b)의 외경보다 더 작은 외경으로 되어 나사부가 형성되지 않은 둘레에 장착되며, 상기 모터 하우징(1)과 배터리 하우징(3)이 나사부(1b)(3b)에 의해 나사결합하면, 방수 O-링(7)은 배터리 하우징(3)의 나사부(3b) 내에 위치한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2모드 진동 장신구의 온(ON)과 오프(OFF) 및 진동의 세기 조절에 대해 설명한다.
일단 진동모터(2)를 진동시키기 위해 상기 배터리 하우징(3)을 시계방향으로 돌려 조여주면, 첫번째로 진동모터(2)와 제2 배터리(5)를 단락의 상태로 만들어 주는 절연 오링(13)이 먼저 압착되면서 1.5V의 제2 배터리(5)의 접점단자(5a)가 상기 진동모터(2)의 접점도체(2a)와 접촉하는 전기적인 접속의 온(ON) 상태에 의해 1단의 진동모드로 상기 진동모터(2)가 진동한다. 이때, 진동모터(2)의 접점도체(2a)와 제2 배터리(5)의 접점단자(5a)의 접속은 -연결이고, 상기 제2 배터리(5)의 외경과 배터리 하우징(3)을 거쳐 모터 하우징(1)과 진동모터(2)로 연결되는 전기적인 접속은 +연결이다.
이후, 더욱 강한 진동을 원하는 경우, 진동모터(2)와 제2 배터리(5)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 하우징(3)을 더욱더 시계방향으로 돌려 조여주면, 제2 배터리(5)와 제1 배터리(4)를 단락의 상태로 만들어 주는 2모드 링(6)이 압착하면서 1.5V의 제1 배터리(4)의 접점단자(4a)와 1.5V의 제2 배터리(5)가 접촉하여 3V가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하지만 서로 밀착되는 상기 제1 배터리(4)와 제2 배터리(5)에 의해 그 사이에 있는 2모드 링(6)이 압착하면서 상기 2모드 링(6)의 테두리가 제2 배터리(5)와 배터리 하우징(3)의 내경 사이로 파고들어 서로 분리한다. 즉, 상기 2모드 링(6)의 내경이 제2 배터리(5)로 갈수록 점점 커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2모드 링(6)의 테두리가 제2 배터리(5)와 배터리 하우징(3)의 내경 사이로 수월하게 파고들어 서로 분리한다
이렇게 되면, 진동모터(2)와 제2 배터리(5) 및 제1 배터리(4)가 접점도체(2a)와 각 접점단자(5a)(4a)에 의해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제2 배터리(5)에 의한 1단의 진동모드보다 더 강한 2단으로 진동모드로 상기 진동모터(2)는 강하게 진동하게 된다. 이때, 진동모터(2)의 접점도체(2a)와 제2 배터리(5)의 접점단자(5a) 및 상기 제2 배터리(5)와 제1 배터리(4)의 접점단자(4a)의 접속은 -연결이고, 상기 제1 배터리(4)의 외경과 배터리 하우징(3)을 거쳐 모터 하우징(1)과 진동모터(2)로 연결되는 전기적인 접속은 +연결이다.
여기서, 절연 오링(13)은 연하고 탄력이 있는 재질로 되어 있고 2모드 링(6)은 약간 강도가 있는 재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모터 하우징(1)에 배터리 하우징(3)을 나사결합하여 조여줄 때, 상기 절연 오링(13)이 먼저 압착하면서 제2 배터리(5)가 진동모터(2)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그 다음에 2모드 링(6)이 압착하면서 제1 배터리(4)와 제2 배터리(5)가 전기적으로 접속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진동의 세기를 1단 진동모드로 하고 싶은 경우, 배터리 하우징(3)과 나사결합된 모터 하우징(1)에서 상기 배터리 하우징(3)을 시계반대방향으로 돌려 나사조임을 풀면, 먼저 압착되어 있던 2모드 링(6)이 복원되면서 제1 배터리(5)와 제2 배터리(5)가 서로 떨어져 전기적으로 단락됨으로써, 진동모터(2)와 제2 배터리(5)만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1단의 진동모드로 된다.
이후, 진동모터(2)를 아예 오프(OFF)로 하는 싶은 경우, 1단의 진동모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 하우징(3)을 시계반대방향으로 더 돌려 나사조임을 풀면, 압착되어 있던 절연 오링(13)이 복원되면서 진동모터(2)의 접점도체(2a)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던 제2 배터리(5)의 접점단자(5a)가 서로 떨어지는 전기적인 단락에 의해 진동모터(2)는 진동을 하지 않는 오프(OFF)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배터리 하우징(3)에 형성된 나사부(3b)의 길이는 상기 모터 하우징(1)에 형성된 나사부(1b)보다 좀더 길게 형성함으로써, 모터 하우징(1)과 배터리 하우징(3)이 완전히 나사결합하여도 상기 나사부(3b)는 안쪽으로 더 길게 형성되어 있도록 하였는데, 이렇게 한 이유는 상기 나사부(3b)의 내경을 배터리 하우징(3) 안쪽의 내경보다 극히 미소하게 더 크게 함으로써 제2 배터리(5)가 배터리 하우징(3) 내에 약간 비뚤어지게 삽입되더라도, 배터리 하우징(3)의 내경과 거의 동일한 외경을 갖는 제2 배터리(5)가 상기 배터리 하우징(3)의 나사부(3b)와 쉽게 접촉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렇게 되면 2단의 진동모드로 진동하기 위한 상기 제1 배터리(4)의 연결에 의해 상기 제2 배터리(5)가 배터리 하우징(3)의 내경과는 2모드 링(6)에 의해 분리되지만, 제2 배터리(5)가 약간 비뚤어지게 삽입하는 경우 배터리 하우징(3)의 나사부(3b)의 내경과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배터리 하우징(3)의 내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갖는 나사부(3b)가 안쪽까지 길게 이어져 제1 배터리(5)의 일부가 걸쳐 있으면, 상기한 더 큰 내경의 나사부(3b)에 의해 제1 배터리(5)는 약간 비뚤어지게 삽입하더라도 상기 나사부(3b)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작동하는 2모드 진동 장신구를 다양한 도구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2모드 진동 장신구가 탈착링에 끼워져 있는 소형 8자링의 정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형 8자링(8)은 상부의 작은 탈착링(8a)과 일체로 되는 하부의 큰 삽입링(8a)이 같은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소형 8자링(8) 상부의 작은 탈착링(8a)에 본 발명의 2모드 진동 장신구(10)를 삽입하여 끼워놓고, 소형 8자링(8) 하부의 큰 삽입링(8b)에 손가락이나 혀와 같은 신체의 일부를 삽입하여 끼워넣는다.
이렇게 손가락이나 혀를 삽입하여 끼워넣은 소형 8자링(8)에는 2단으로 진동하는 본 발명의 2모드 진동 장신구(10)가 끼워져 있으므로, 상기 2모드 진동 장신구(10)에 의해 성적 파트너의 은밀한 부위를 원하는 만큼의 진동세기로 자극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2모드 진동 장신구가 탈착링에 끼워져 있는 대형 8자링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형 8자링(9)은 상부의 작은 탈착링(9a)과 일체로 되지만 90도 회전된 하부의 큰 삽입링(8a)이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대형 8자링(9) 상부의 작은 탈착링(9a)에 본 발명의 2모드 진동 장신구(10)를 삽입하여 끼워놓고, 대형 8자링(9) 하부의 큰 삽입링(9b)에 남자의 성기를 삽입하여 끼워넣는다.
이렇게 남자의 성기에 끼워넣은 대형 8자링(9)에는 2단으로 진동하는 본 발명의 2모드 진동 장신구(10)가 끼워져 있으므로, 성기에 착용하여 상기 2모드 진동 장신구(10)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대형 8자링(9)을 성적 파트너의 은밀한 부위에 밀착시키면, 성적 파트너의 은밀한 부위에 밀착하는 본 발명의 2모드 진동 장신구(10)가 원하는 만큼의 진동세기로 상기 은밀한 부위를 자극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2모드 진동 장신구가 표면에 엠보싱이 형성된 탈착링에 끼워져 있는 소형 8자링의 정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형 8자링(88)의 탈착링(88a)에 본 발명의 2모드 진동 장신구(10)를 삽입하여 끼워넣고 사용하며, 상기 탈착링(88a)의 표면에는 연한 엠보싱 형태의 돌기(11)가 여러 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소형 8자링(88)을 상기한 형태의 소형 8자링(8)과 같이 사용할 때, 상기 탈착링(88a)에 형성된 엠보싱 형태의 돌기(11)가 성적파트너의 은밀한 부위를 본 발명의 2모드 진동 장신구(10)의 진동과 함께 더욱 강하게 자극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물론 상기한 엠보싱 형태의 돌기(11)는 대형 8자링(9)의 탈착링(9a)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대형 8자링(9)의 사용과 탈착링(9a)의 크기 및 엠보싱 형태의 돌기(11)의 사용은 상기한 바와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은 소형 8자링(8)(88)과 대형 8자링(9)은 모두 연한 실리콘과 같은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표면에 뾰족 돌기가 형성된 장식캡이 모터 하우징과 배터리 하우징에 끼워져 있는 본 발명에 따른 2모드 진동 장신구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2모드 진동 장신구(10)의 모터 하우징(1) 및 배터리 하우징(3)에 표면에 탄력이 있는 연한 뾰족돌기(12a)가 여러 개 형성된 장식캡(12)을 각각 덮어씌워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뾰족돌기(12a)에 의해 상기 2모드 진동 장신구(10)의 진동과 함께 성적파트너의 은밀한 부위를 더욱 강하게 자극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장식캡(12)은 연한 실리콘과 같은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2모드 진동 장신구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 모터 하우징 1a,3a : 개방부
1b,3b : 나사부 2 : 진동모터
2a : 접점도체 3 : 배터리 하우징
4 : 제1 배터리 4a,5a : 접점단자
5 : 제2 배터리 6 : 2모드 링
7 : 방수 O-링 8,88 : 소형 8자링
8a,9a,88a : 탈착링 8b,88b : 삽입링
9 : 대형 8자링 10 : 본 발명의 2모드 진동 장신구
11 : 엠보싱 형태의 돌기 12 : 장식캡
12a : 뾰족돌기 13 : 절연 오링

Claims (6)

  1. 모터 하우징;
    상기 모터 하우징의 개방부 쪽으로 한 극성의 접점도체가 향하도록 모터 하우징 내에 삽입된 진동모터;
    상기 모터 하우징과 나사결합되는 배터리 하우징;
    상기 배터리 하우징의 개방부 쪽으로 접점단자가 향하도록 배터리 하우징 내에 삽입된 제1 배터리;
    상기 배터리 하우징의 개방부 쪽으로 접점단자가 향하도록 배터리 하우징 내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배터리와 나란히 배치된 제2 배터리;
    상기 진동모터와 제2 배터리 사이에 배치되어 제2 배터리의 접점단자 둘레에 밀착되는 절연 오링;
    상기 제1 배터리와 제2 배터리 사이에 배치되어 제1 배터리의 접점단자 둘레에 밀착되며, 제1 배터리에서 제2 배터리 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더 커지는 형상으로 된 2모드 링; 및
    상기 모터 하우징과 배터리 하우징 사이의 모터 하우징의 나사부 상에 설치되는 방수 O-링;
    으로 이루어져, 모터 하우징과 배터리 하우징의 나사결합의 조임과 풀림 정도에 따라 진동모터와 제2 배터리의 단락이나, 진동모터와 제2 배터리의 전기접속과 상기 제1 배터리와 제2 배터리의 단락, 또는 상기 제2 배터리를 통한 진동모터와 제1 배터리의 전기접속에 의해 상기 진동모터의 진동의 온과 오프 및 진동의 세기를 2단으로 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모드 진동 장신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하우징에 형성된 나사부의 길이는 모터 하우징에 형성된 나사부의 길이보다 길게 안쪽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배터리의 일부가 배터리 하우징의 내경보다 더 큰 내경의 배터리 하우징의 나사부에 걸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모드 진동 장신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서로 나사결합된 모터 하우징과 배터리 하우징이 삽입되어 끼워지는 탈착링이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탈착링의 하부에 탈착링보다 큰 삽입링이 나란히 일체로 형성된 소형 8자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모드 진동 장신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서로 나사결합된 모터 하우징과 배터리 하우징이 삽입되어 끼워지는 탈착링이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탈착링의 하부에 탈착링보다 큰 삽입링이 90도 회전하여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된 대형 8자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모드 진동 장신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링의 외부면 전체에 다수개의 연한 엠보싱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모드 진동 장신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하우징과 배터리 하우징을 각각 덮어씌우는 장식캡으로써 상기 각 장식캡의 외부면 전체에 다수개의 연한 뾰족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모드 진동 장신구.
KR1020110126873A 2011-11-30 2011-11-30 2모드 진동 장신구 KR201300606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873A KR20130060679A (ko) 2011-11-30 2011-11-30 2모드 진동 장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873A KR20130060679A (ko) 2011-11-30 2011-11-30 2모드 진동 장신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0679A true KR20130060679A (ko) 2013-06-10

Family

ID=48859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6873A KR20130060679A (ko) 2011-11-30 2011-11-30 2모드 진동 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067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0885B1 (en) Energized body jewelry and accessories
US7229424B2 (en) Hand held massage device with removable handle
US6432071B1 (en) Spherical massager
US6382815B1 (en) Energized body jewelry
US20210031030A1 (en) Cosmetic device
WO2003002184A8 (en) Electro-acupuncture device with d-shaped stimulation electrodes
TWI626936B (zh) massager
US20040020241A1 (en) Vibrating finger ring
JP2009542275A (ja) 性的刺激装置
US9649250B2 (en) Personal massager
US20060287615A1 (en) Massaging mask
US20210137775A1 (en) Massager
US20130158446A1 (en) Dual stimulating massage apparatus
US7318811B1 (en) Vibrating body jewelry device
KR20130060679A (ko) 2모드 진동 장신구
KR101010602B1 (ko) 진동 장신구
JP3081412U (ja) 組合せ式マッサージ器
KR102329883B1 (ko) 미세전류 및 진동 제공 기구, 이에 사용되는 진동소자부 및 이들의 결합체
JP3327913B1 (ja) 電気刺激装置
CN2880054Y (zh) 有弹性连接按摩头的动力按摩器
KR20090105139A (ko) 볼형 침지압구
KR100647125B1 (ko)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체결형 훌라후프
CN219184841U (zh) 一种静音手持按摩仪
JP2004229724A (ja) 健康器具
CN103906487B (zh) 阴茎收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106

Effective date: 20140527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623

Effective date: 20141204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1226

Effective date: 20150409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414

Effective date: 2015042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