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9818A -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9818A
KR20130059818A KR1020110126006A KR20110126006A KR20130059818A KR 20130059818 A KR20130059818 A KR 20130059818A KR 1020110126006 A KR1020110126006 A KR 1020110126006A KR 20110126006 A KR20110126006 A KR 20110126006A KR 20130059818 A KR20130059818 A KR 20130059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fixing memb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60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치영
정희철
김영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6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9818A/en
Publication of KR20130059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981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PURPOSE: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structure is provided to confirm a fastening state of a connector without disassembling the portable terminal. CONSTITUTION: A bracket(290) includes a base unit and a supporting unit. The base unit reinforces a second connector. The supporting unit is projected from the base unit in order to cover one or more sides of the second connector. A fixing member(260) is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When the second connector is combined with the first connector, the fixing member fixes the supporting unit.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0001] MOBILE TERMINAL [0002]

본 발명은 커넥터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having a connector.

이동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이다.A mobile terminal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is portable and has one or more functions of voice and video call function, information input / output function, and data storing function.

이동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및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As the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are diversified, the mobile terminal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ultimedia device having complicated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and photographing of a moving picture, reproduction of a music or video file, and reception of a game and a broadcast.

멀티 미디어 기기의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상기 시도들로서, 상기 하드웨어의 기능을 보다 개선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Various new attempts have been made in terms of hardware or software to implement the complex functions of multimedia devices. As the attempts, a way to further improve the function of the hardware can be considered.

이동 단말기에는 각종 전자소자들이 배치된다. 상기 전자소자는 인쇄회로기판에 직접 장착되거나, 인쇄회로기판을 공간적으로 확장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을 통해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연성인쇄회로기판을 통한 연결 구조의 경우, 연성인쇄회로기판과 인쇄회로기판의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커넥터가 사용된다.Various electronic elements are disposed in the mobile terminal. The electronic device is directly moun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through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that spatially extends the printed circuit board. In the case of the connection structure through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 connector is used for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상기 커넥터는 충격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한 유동으로 인하여 이탈될 수 있으며, 커넥터의 접속 불량으로 인해 이동 단말기가 오작동을 일으키거나 각종 기능이 정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The connector may be separated due to flow due to external force such as an impact, and may cause a problem that the mobile terminal malfunctions or stops various functions due to a poor connection of the connector.

하드웨어의 기능 개선 방안의 하나로서, 커넥터의 이탈 방지 구조를 갖는 이동 단말기에 대해 고려될 수 있다.As one of the ways to improve the function of the hardware, it can be considered for the mobile terminal having the structure of preventing the departure of the connector.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커넥터의 체결력을 강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이동 단말기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mobile terminal having a structure that can strengthen the fastening force of the connector.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이동 단말기를 분해하지 않고도 커넥터의 체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having a structure that can determine whether the connector is fastened without disassembling the mobile terminal.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는 단말기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자소자가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제2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와 결합되어 상기 제2커넥터를 보강하도록 이루어지는 베이스부와 상기 제2커넥터의 적어도 일측면을 덮도록 상기 베이스부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브래킷,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며 상기 제2커넥터가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되면 상기 지지부를 고정하도록 이루어지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inside the terminal body and mounted with an electronic element, and a first connector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second connector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a base portion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or to reinforce the second connector, and protruding from the base portion to cover at least one side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or. And a fixing member moun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configured to fix the support when the second connector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지지부를 탄성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한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member includes a pressing unit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support unit.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제2커넥터의 양측면을 덮도록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is provided in plurality and disposed to face each other to cover both side surfaces of the second connector.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커넥터와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이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membe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connector and the base part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아울러,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커넥터가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되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고정부재와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지지부에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 단말기는 브래킷의 상기 접촉부를 제외한 부분을 덮도록 배치되는 절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part may include at least one contact part contacting the fixing member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when the second connector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The contact part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upport part, and the mobil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n insulating layer disposed to cover a portion except the contact part of the bracket.

상기 접촉부는 상기 가압부와의 접촉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기 브래킷, 상기 인쇄회로기판 순으로 연결되는 회로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tact par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by contact with the pressing part to form a circuit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bracket,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in order.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접촉부와 상기 고정부재의 전기적 연결 여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2커넥터의 상기 제1커넥터에 대한 결합 여부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2커넥터의 상기 제1커넥터에 대한 결합 여부를 표시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the second connector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using whether the contact portion and the fixing member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mobil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configured to output visual information, and the controller may display whether the second connector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on the display unit. It can be made to.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제2커넥터가 제1커넥터와 결합하면 브래킷의 지지부는 고정부재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므로, 커넥터의 체결력이 강화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when the second connector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is made to be fixed to the fixing member, the fastening force of the connector can be strengthened.

또한, 제2커넥터가 제1커넥터와 결합하면 지지부에 구비되는 접촉부가 고정부재를 통해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어부는 이들의 전기적 연결 여부를 이용하여 커넥터의 체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connector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the contact portion provided on the support part is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through the fixing member, so that the controller can check whether the connector is fastened by us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thereof. have.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커넥터의 확대도.
도 5는 도 4의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에서 라인 Ⅴ-Ⅴ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가 커넥터의 결합 여부를 표시하는 일 예를 보인 개념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shown i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connector shown i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with the connector of FIG. 4 engaged;
6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display unit illustrated in FIG. 1 displays whether a connector is coupled;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전자책(E-book),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herein include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n e-book, Navigation, etc. may be included.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The disclosed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bar-shaped terminal bod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slide type, a folder type, a swing type, and a swivel type in which two or more bodies are relatively movably coupled.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The body includes a case (a casing, a housing, a cover, and the like) which forms an appearance. In this embodiment, the case may be divided into a front case 101 and a rear case 102. [ A variety of electronic components are embedded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front case 101 and the rear case 102. At least one intermediate case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the front case 101 and the rear case 102. [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ng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단말기 바디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The terminal body may include a display unit 151, an audio output unit 152, a camera 121, user input units 130/131 and 132, a microphone 122, and an interface 170.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occupies most of the main surface of the front case 101. A sound output unit 151 and a camera 121 are disposed in an area adjacent to one end of both ends of the display unit 151 and a user input unit 131 and a microphone 122 are dispos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other end. The user input unit 132 and the interface 170 may be disposed at side surfaces of the front case 101 and the rear case 102.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30 is operated to receiv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operation units 131 and 132. The operation units 131 and 132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manipulating portion and may be employed in any manner as long as the user operates in a tactile manner.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Content input by the first or second manipulation units 131 and 132 may be variously set. For example, the first operation unit 131 receives commands such as start, end, scroll, and the like, and the second operation unit 132 controls the size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unit 152 or the size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151 To the touch recognition mode of the touch scree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사시도이다.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100 shown in FIG. 1.

도 2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camera 121 ′ may be additionally mounted on the rear of the terminal body, that is, the rear case 102. The camera 121 ′ has a photographing direction substantially opposite to the camera 121 (see FIG. 1), and may be a camera having different pixels from the camera 121.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camera 121 may have a low pixel so that the face of the user can be photographed and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in case of a video call or the like, and the camera 121 ' It is preferable to have a large number of pixels. The cameras 121 and 121 'may be installed in the terminal body so as to be rotatable or pop-upable.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A flash 123 and a mirror 124 are further disposed adjacent to the camera 121 '. The flash 123 illuminates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the camera 121 '. The mirror 124 allows the user to illuminate the user's own face or the like when the user intends to shoot himself / herself (self-photographing) using the camera 121 '.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An acoustic output 152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The sound output unit 152 ′ may implement a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sound output unit 152 (see FIG. 1), and may be used to implement a speakerphone mode during a call.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6)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16)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ntenna for talking and the like, a broadcast signal reception antenna 116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on the side of the terminal body. The antenna 116, which forms part of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may be installed to be able to be drawn out from the terminal body.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A power supply unit 190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100 is mounted on the terminal body.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be embedded in the terminal body or may be directly detachable from the outside of the terminal body.

도 3은 도 1의 이동 단말기(100)의 분해 사시도로서, 터치 센서(220)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디스플레이부(151)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100 of FIG. 1 and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unit 151 in the mobile terminal 100 having the touch sensor 220.

도 3을 참조하면, 리어 케이스(102)에는 인쇄회로기판(240)이 장착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40)은 이동 단말기(100)의 각종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부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음향 출력 모듈(152) 및 카메라(121) 등은 인쇄회로기판(240)에 장착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예를 들어 스피커, 리시버 등이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rear case 102 may have a printed circuit board 240 mounted thereon. The printed circuit board 240 may be configured as an example of a controller for opera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100. As shown, the sound output module 152 and the camera 121 may be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240. The sound output module 152 may be, for example, a speaker, a receiver, or the like.

인쇄회로기판(240)의 일면에는 인쇄회로기판(2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210)가 장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10)는 윈도우(230)의 빛이 투과되는 영역에 대응되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디스플레이(210)에서 출력되는 시각 정보를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게 된다.On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40 may have a display 21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240. The display 210 may have an area corresponding to an area through which the light of the window 230 is transmitted. Through this, the user can externally recognize visual information output from the display 210.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일면에서 리세스되게 이루어지는 안착부(101a)가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101a)는 터치센서 조립체가 안착될 수 있도록 터치센서 조립체에 대응되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안착부(101a)에는 음향 출력 모듈(152) 및 카메라(121)에 각각 대응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front case 101 may have a seating portion 101a formed to be recessed from one surface thereof. The mounting portion 101a may have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touch sensor assembly so that the touch sensor assembly may be seated. A hol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ound output module 152 and the camera 121 may be formed in the seating portion 101a.

안착부(101a)에는 연성인쇄회로기판(270), 예를 들어, 연성인쇄회로기판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홀(101b)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01b)은 안착부(101a)의 일 단부, 예를 들어 안착부(101a)의 바닥면이나 측면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연성인쇄회로기판(270)은 관통홀(101b)을 관통하여 안착부(101a)의 일면상에 배치되는 터치센서 조립체와 안착부(101a)의 타면상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24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The mounting portion 101a may have a through hole 101b through which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270, for example,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may pass. The through hole 101b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seating portion 101a, for example, at an end of a bottom surface or a side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101a.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270 electrically penetrates the through hole 101b to electrically connect the touch sensor assembly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101a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240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101a. Connect with

터치센서 조립체는 터치 입력을 센싱하도록 이루어지는 터치 센서(220) 및 터치 센서(220)의 일면에 배치되는 윈도우(230)를 구비한다.The touch sensor assembly includes a touch sensor 220 configured to sense a touch input and a window 230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touch sensor 220.

터치 센서(220)는 윈도우(230)의 일면에 장착되고, 디스플레이(210)의 상면에 배치된다. 터치 센서(220)는 윈도우(230)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전하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터치 센서(220)에서 윈도우(230)의 빛이 투과되는 부분과 대응되는 영역은 입력 영역을 형성한다. 터치 센서(220)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도록 형성되고, 광투과성으로 이루어진다.The touch sensor 220 is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window 230 and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210. The touch sensor 220 is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the amount of charge generated in a specific portion of the window 230 in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An area corresponding to a portion of the touch sensor 220 through which the light of the window 230 is transmitted forms an input area. The touch sensor 220 is formed to sense a touch input and is made of light transmissive.

터치 센서(220)는 전극막을 통하여 일방향 및 이와 수직한 방향의 전하량의 변화를 측정한다. 터치 센서(220)에는 연성인쇄회로기판(270)이 연결되며, 연성인쇄회로기판(270)에는 커넥터(280)가 장착된다. 커넥터(280)는 인쇄회로기판(240)에 설치되는 커넥터(250)와 결합되어 터치 센서(220)를 인쇄회로기판(240)에 전기적으로 연결한다.The touch sensor 220 measures a change in the amount of charge in one direction and a direction perpendicular thereto through the electrode film.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270 is connected to the touch sensor 220, and the connector 280 is mounted to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270. The connector 280 is coupled to the connector 250 install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240 to electrically connect the touch sensor 220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240.

제어부는 터치 센서(220)에서 감지되는 전하량의 변화를 이용하여 입력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검출한다. 예를 들어, 손가락 또는 터치펜 등의 전도체가 윈도우(230)를 터치하게 되면, 윈도우(230)에 있던 전자가 전도체로 이동하게 되고, 터치 센서(220)는 이러한 전자의 변화를 감지하여 좌표를 측정하게 된다.The controller detects a touch input with respect to the input area by using a change in the amount of charge detected by the touch sensor 220. For example, when a conductor such as a finger or a touch pen touches the window 230, electrons in the window 230 move to the conductor, and the touch sensor 220 detects the change of electrons and adjusts coordinates. Will be measured.

연성인쇄회로기판(270)에는 연성인쇄회로기판(270)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는 실링부재(271)가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재(271)는 관통홀(101b)을 실링하도록 배치되어 관통홀(101b)을 통해서 이물질, 먼지 또는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270 may have a sealing member 271 formed to surround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270. The sealing member 271 is disposed to seal the through hole 101b so as to prevent foreign matter, dust or moisture from penetrating through the through hole 101b.

터치 센서(220)의 상면에는 윈도우(230)가 결합된다. 윈도우(230)는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소재, 예를 들어 광투과성 합성수지, 강화 유리 등으로 구성된다. 윈도우(230)는 빛이 투과할 수 없는 부분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window 230 is coupled to the top surface of the touch sensor 220. The window 230 is made of a material through which light can pass, for example,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tempered glass, and the like. The window 230 may be formed to include a portion through which light cannot pass.

윈도우(230)의 상면에는 터치 필름(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터치 필름은 광투광성 소재, 예를 들어 PC(Polycarbonat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터치 필름은 빛이 투과할 수 없는 부분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필름은 디스플레이(210)와 대응되는 중앙 영역이 투명하고, 가장자리 영역이 불투명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 touch film (not shown)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indow 230. The touch film may be formed of a light transmissive material, for example, polycarbonate (PC) or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material. The touch film may be formed to include a portion through which light cannot pass. As shown, the touch film may be formed such that the central area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210 is transparent and the edge area is opaque.

터치 센서(220), 윈도우(230) 및 터치 필름의 일 단부에는 음향 출력 모듈(152)에 대응하는 음향홀과 카메라(121)에 대응하는 영상윈도우가 형성될 수 있다. 영상윈도우는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소재로 별도로 구성되거나, 터치 센서(220), 윈도우(230) 및 터치 필름과 일체화되어 일부분이 될 수 있다.Sound holes corresponding to the audio output module 152 and image windows corresponding to the camera 121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touch sensor 220, the window 230, and the touch film. The image window may be separately composed of a material through which light may pass, or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touch sensor 220, the window 230, and the touch film.

이상에서는 정전식 터치 센서(220)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100)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동 단말기(100)는 다른 터치 방식, 예를 들어 정압식 터치 센서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가 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ing the capacitive touch sensor 220 has been described above, but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a mobile terminal having another touch type, for example, a static pressure touch sensor.

커넥터의 체결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를 분해하지 않고도 커넥터의 체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10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mobile terminal 100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confirming whether the connector is fastened without disassembling the mobile terminal 100 while strengthening the fastening force of the connecto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커넥터의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4의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에서 라인 Ⅴ-Ⅴ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FIG.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connector shown in FIG. 3,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with the connector of FIG. 4 coupled.

도 4 및 5를 앞선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내부에는 제어부의 일 예로서 구성되는 인쇄회로기판(240)이 배치된다. 인쇄회로기판(240)은 리지드 기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40)에는 전자소자가 직접 장착되거나, 인쇄회로기판(240)을 공간적으로 확장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270)을 통해 인쇄회로기판(2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4 and 5 together with FIG. 3, a printed circuit board 240 configured as an example of the controller is disposed inside the terminal body. The printed circuit board 24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rigid substrate. Electronic devices are directly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240 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240 through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270 that spatially extends the printed circuit board 240.

연성인쇄회로기판(270)을 통한 연결 구조의 경우, 연성인쇄회로기판(270)과 인쇄회로기판(240)의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커넥터가 사용된다. 인쇄회로기판(240)과 연성인쇄회로기판(270)에는 이들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커넥터(250) 및 제2커넥터(28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connection structure through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270, a connector is used for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270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240. The printed circuit board 240 and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270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connector 250 and a second connector 280 that electrically connect them.

제1 및 제2커넥터(250, 280)는 디스플레이부(151), 카메라(121, 121'), 사용자 입력부(130), 인터페이스[170, I/O(Input/Output) 포트 및 이어폰 포트 등], 안테나(116) 등을 연결하기 위한 접속 기구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250 and 280 may include a display unit 151, a camera 121 and 121 ', a user input unit 130, an interface [170, an input / output (I / O) port, an earphone port, etc.] , A connection mechanism for connecting the antenna 116 and the like.

연성인쇄회로기판(270)은 적어도 일부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평판 형태의 인쇄회로기판(240)을 공간적으로 확장한다. 제2커넥터(280)는 인쇄회로기판(240)에 설치되는 제1커넥터(250)와 결합되어 전기 회로를 구성한다.At least a portion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270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to spatially extend the printed circuit board 240 having a flat shape. The second connector 280 is combined with the first connector 250 install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240 to form an electric circuit.

제1 및 제2커넥터(250, 280)는 플러그(Plug / Header / Male)와 리셉터클(Receptacle / Socket / Female)로 짝을 이루어 구성될 수 있다. 플러그는 철(凸)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져 돌출되는 부분이 요(凹) 형상을 갖는 리셉터클에 삽입된다.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250 and 280 may be paired with a plug (Plug / Header / Male) and a receptacle (Receptacle / Socket / Female). The plug has an iron shape, and the protrud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having a yaw shape.

제1 및 제2커넥터(250, 280)는 리드선(251, 281) 및 접속핀(252, 282)을 구비한다.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250 and 280 include lead wires 251 and 281 and connecting pins 252 and 282.

제1 및 제2커넥터(250, 280)는 리드선(251, 281)에 의해 인쇄회로기판(240) 및 연성인쇄회로기판(270)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리드선(251, 281)은 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240) 및 연성인쇄회로기판(270)의 접속단과 납땜(Soldering), SMT(Surface Mounting Technology) 등을 통해 실장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250 and 28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240 and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270 by lead wires 251 and 281, respectively. The lead wires 251 and 281 may be mounted through, for example, a connection end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40 and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270, soldering, and surface mount technology (SMT).

제1 및 제2커넥터(250, 280)는 서로 맞물리도록 결합된다. 제1 및 제2커넥터(250, 280)의 결합시 서로 맞물리는 면에는 각각 접속핀(252, 282)이 형성되어 제1 및 제2커넥터(250, 28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조립의 용이성을 위하여 제1 및 제2커넥터(250, 280)의 결합시 필요한 삽입력은 약하게, 이탈 방지를 위하여 제1 및 제2커넥터(250, 280)의 분리시 필요한 발거력은 강하게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250 and 280 are coupled to engage with each other. Connection pins 252 and 282 are formed on the surfaces engaged with each other wh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250 and 280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250 and 280. The insertion force required for coupling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250 and 280 is weak for ease of assembly, and the holding force required for sepa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250 and 280 is strongly designed to prevent separation. It is preferable.

연성인쇄회로기판(270)에는 브래킷(290)이 장착된다. 브래킷(290)은 예를 들어, STS(Stainless Steel), PC(Poly Carbonat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브래킷(290)은 베이스부(291) 및 지지부(292)를 구비한다.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270 is equipped with a bracket 290. The bracket 290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stainless steel (STS), poly carbonate (PC), or the like. The bracket 290 has a base portion 291 and a support portion 292.

베이스부(291)는 연성인쇄회로기판(270)의 배면, 즉, 제2커넥터(280)가 실장되는 면의 반대면에 장착된다. 베이스부(291)는 제2커넥터(280)가 제1커넥터(25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제2커넥터(280)가 받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베이스부(291)는 제2커넥터(280)를 보강하도록 기설정된 두께를 갖는다.The base portion 291 is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270, that is,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on which the second connector 280 is mounted. The base portion 291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load received by the second connector 280 in the process of coupling the second connector 280 to the first connector 250. The base portion 291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to reinforce the second connector 280.

지지부(292)는 제2커넥터(280)의 적어도 일 측면을 덮도록 베이스부(291)에서 돌출되게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92)는 제2커넥터(280)의 양 측면을 덮도록 베이스부(291)의 양측에서 각각 돌출되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The support part 292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ase part 291 so as to cover at least one side of the second connector 280. As shown, the support portion 292 may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base portion 291 so as to cover both sides of the second connector 280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베이스부(291)와 지지부(29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TS 플레이트를 절곡(bending)시키거나,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함으로써 베이스부(291)와 지지부(29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base portion 291 and the support portion 292 may be integrally formed. For example, the base portion 291 and the support portion 292 may be integrally formed by bending the STS plate or injection molding the synthetic resin.

인쇄회로기판(240)에는 지지부(292)를 고정하는 고정부재(260)가 구비된다. 고정부재(260)는 제2커넥터(280)가 제1커넥터(250)와 결합되면 지지부(292)를 고정하도록 이루어진다. 고정부재(260)는 인쇄회로기판(240)의 회로 패턴 상에 납땜, SMT 등을 통해 실장될 수 있으며, 고정부재(260)와 인쇄회로기판(240) 사이에는 납이 용융후 응고되는 결합층(241)이 형성될 수 있다.The printed circuit board 240 includes a fixing member 260 that fixes the support 292. The fixing member 260 is configured to fix the support 292 when the second connector 280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250. The fixing member 260 may be mounted on the circuit patter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40 through soldering, SMT, and the like, and a bonding layer in which lead is melted and solidified between the fixing member 260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240. 241 may be formed.

고정부재(260)는 지지부(292)의 적어도 일 측면을 탄성 가압하는 가압부(261)를 구비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92)를 수용하고, 양측면을 탄성 가압하여 브래킷(290)을 고정하는 C-Clip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xing member 260 may include a pressing unit 261 that elastically presses at least one side of the supporting unit 292. As illustrated, the fixing member 260 accommodates the supporting unit 292 and elastically pressurizes both sides of the bracket 290. ) May be formed as a C-Clip.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제2커넥터(280)가 제1커넥터(250)와 결합하면 브래킷(290)의 지지부(292)는 고정부재(260)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므로, 커넥터의 체결력이 강화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when the second connector 280 is coupled with the first connector 250, the support portion 292 of the bracket 290 is made to be fixed to the fixing member 260, the fastening force of the connector This can be enhanced.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를 분해하지 않고도 커넥터의 체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구조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ructure capable of checking whether the connector is fastened without disassembling the mobile terminal 100.

일 예로, 지지부(292)와 고정부재(26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커넥터(250)와 제2커넥터(280)의 체결 여부를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지지부(292)는 연성인쇄회로기판(2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고정부재(260)는 인쇄회로기판(2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upport 292 and the fixing member 26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connector 250 and the second connector 280 may be fastened. To implement this, the support 29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270, and the fixing member 26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240.

지지부(292)는 제1 및 제2커넥터(250, 280)의 결합시 인쇄회로기판(2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고정부재(260)와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292a)를 구비할 수 있다. 브래킷(290)에서 접촉부(292a)를 제외한 부분은 절연되어 고정부재(2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부(292a)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부(292a)에 마스킹 처리를 하고, 절연성 물질을 스프레이 도포하여 절연층(290a)을 형성함으로써 고정부재(260)와 접촉되는 특정 영역을 한정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support part 292 may include at least one contact part 292a contacting the fixing member 260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240 wh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250 and 280 are coupled to each other. . A portion of the bracket 290 except for the contact portion 292a may be insulated to form a contact portion 292a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xing member 260. For example, the contact portion 292a may be masked, and an insulating material may be spray applied to form the insulating layer 290a to define a specific area in contact with the fixing member 260.

접촉부(292a)는 지지부(292)에서 돌출되게 형성되거나, 일부분이 절개되어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탄성을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전도성 브래킷(290)의 양측에서 각각 돌출되는 지지부(292)에 접촉부(292a)가 구비되고, 고정부재(260)와의 접촉에 의해 인쇄회로기판(240)-브래킷(290)-인쇄회로기판(240)으로 연결되는 회로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contact portion 292a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upport 292 or may be configured to have elasticity by being partially cut and protruded. Alternatively, a contact portion 292a is provided at each of the support portions 292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conductive bracket 290,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240, the bracket 290,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are formed by contact with the fixing member 260. It may also be made to form a circuit connected to 240.

제어부는 접촉부(292a)와 고정부재(260)의 전기적 연결 여부를 이용하여 제2커넥터(280)의 제1커넥터(250)에 대한 결합 여부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고정부재(260)는 지지부(292)를 탄성 가압하는 가압부(261)를 구비하고, 접촉부(292a)는 제1커넥터(250)와 제2커넥터(280)가 완전히 맞물렸을 때 상기 가압부(261)와 접촉되도록 이루어진다.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the second connector 280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250 using whether the contact portion 292a and the fixing member 26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Specifically, the fixing member 260 is provided with a pressing portion 261 to elastically press the support portion 292, the contact portion 292a is the first connector 250 and the second connector 280 when fully engaged Made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portion 261.

만일, 충격 등과 같은 외력이 가해져 제2커넥터(280)가 제1커넥터(250)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제2커넥터(280)와 연결되는 브래킷(290)의 지지부(292) 또한 고정부재(260)에 대한 위치가 이동되어 접촉부(292a)와 가압부(261)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끊어지게 된다. 즉, 제어부는 접촉부(292a)와 가압부(261) 간의 전기적 연결에 근거하여 제1커넥터(250)와 제2커넥터(280)의 체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If the second connector 28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connector 250 by an external force such as an impact, the support part 292 of the bracket 290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280 may also have the fixing member 260. The position with respect to is moved so that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ntact portion 292a and the pressing portion 261 is broken. That is, the controller may check the fastening state of the first connector 250 and the second connector 280 based on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ntact portion 292a and the pressing portion 261.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제1 및 제2커넥터(250, 280)를 통해 연결되는 전자소자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는 경우, 접촉부(292a)와 가압부(261) 간의 전기적 연결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전기적 연결이 끊어진 것이 확인되는 경우, 제2커넥터(280)가 제1커넥터(250)로부터 이탈되어 접속핀(252, 282)이 접속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전기적 연결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연성인쇄회로기판(270)에 크랙이 생기거나 전자소자 자체에 문제가 생긴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In detail, when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250 and 280 does not operate normally, the controller checks whether the contact portion 292a and the pressing portion 261 are electrically connecte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electrical connection is broken,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second connector 28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connector 250 so that the connection pins 252 and 282 are not connected.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no abnormality in the electrical connection, it may be determined that a crack occurs in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270 or a problem occurs in the electronic device itself.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151)가 커넥터의 결합 여부를 표시하는 일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display unit 151 illustrated in FIG. 1 displays whether a connector is coupled.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하여 제2커넥터(280)의 제1커넥터(250)에 대한 결합 여부를 표시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whether the second connector 280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250 through the display unit 151.

디스플레이부(151)는 커넥터 연결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부(151), 카메라(121, 121'), 안테나(116), 사용자 입력부(130), 인터페이스(170) 등의 리스트를 출력한다.The display unit 151 outputs a list of the display unit 151 having the connector connection structure, the cameras 121 and 121 ', the antenna 116, the user input unit 130, the interface 170, and the like.

제어부는 접촉부(292a)와 고정부재(260)의 전기적 연결 여부를 이용하여 상기 커넥터 연결 구조를 갖는 구성들의 연결 상태를 확인한다. 일부 구성에서 접촉부(292a)와 고정부재(260)의 전기적 연결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리스트 중 해당 구성에 대한 이탈이 감지되었음을 표시하도록 이루어진다.The controller checks the connection state of the components having the connector connection structure by us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ntact portion 292a and the fixing member 260. In some configurations, if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ntact portion 292a and the fixing member 260 is not detected, a deviation of the corresponding configuration from the list is detected.

제어부는 커넥터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제어 명령을 입력받았을 때뿐만 아니라, 대기 상태에서도 어느 일부 구성에 대한 전기적 연결이 감지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하여 이를 알리는 화면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output a screen informing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unit 151 when not only a control command for check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connector is received, but also an electrical connection for any component is not detected even in a standby state.

이상에서 설명한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a part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Claims (10)

단말기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자소자가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는 제1커넥터;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제2커넥터;
상기 제2커넥터와 결합되어 상기 제2커넥터를 보강하도록 이루어지는 베이스부와, 상기 제2커넥터의 적어도 일측면을 덮도록 상기 베이스부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브래킷;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며, 상기 제2커넥터가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되면 상기 지지부를 고정하도록 이루어지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A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inside the terminal body and mounted with an electronic device;
A first connector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 second connector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A bracket having a base portion coupled with the second connector to reinforce the second connector, and a suppor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base portion to cover at least one side of the second connector; And
And a fixing member moun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configured to fix the support part when the second connector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지지부를 탄성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x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pressing unit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suppor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제2커넥터의 양측면을 덮도록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un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to face each other to cover both sides of the second connect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커넥터와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이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xing membe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connector and the base part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커넥터가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되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고정부재와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support part includes at least one contact part contacting the fixing member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when the second connector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의 상기 접촉부를 제외한 부분을 덮도록 배치되는 절연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The method of claim 5,
And an insulating layer disposed to cover a portion of the bracket except for the contact portion.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지지부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contact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upport portion.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지지부를 탄성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제2커넥터의 양측면을 덮도록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가압부와의 접촉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기 브래킷, 상기 인쇄회로기판 순으로 연결되는 회로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xing member has a pressing portion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support portion,
The support part is provided in plurality and disposed to face each other to cover both side surfaces of the second connector,
And the contact por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by contact with the pressing portion to form a circuit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bracket,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in order.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와 상기 고정부재의 전기적 연결 여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2커넥터의 상기 제1커넥터에 대한 결합 여부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The method of claim 5,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the second connector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by using whether the contact unit and the fixing member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2커넥터의 상기 제1커넥터에 대한 결합 여부를 표시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9,
A display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configured to output visual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display whether the second connector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on the display unit.
KR1020110126006A 2011-11-29 2011-11-29 Mobile terminal KR2013005981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006A KR20130059818A (en) 2011-11-29 2011-11-29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006A KR20130059818A (en) 2011-11-29 2011-11-29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9818A true KR20130059818A (en) 2013-06-07

Family

ID=48858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6006A KR20130059818A (en) 2011-11-29 2011-11-29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9818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00823A (en) * 2017-10-23 2018-03-1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Gland component, fingerprint recognition component and electronic equip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00823A (en) * 2017-10-23 2018-03-1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Gland component, fingerprint recognition component and electronic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15565B1 (en) Portable communications terminal having camera assembly with two cameras
KR101437991B1 (en) Portable terminal
KR102026695B1 (en) Mobile terminal
US8947882B2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US9746882B2 (en) Electronic device with curved display module
US20090137293A1 (en) Portable sliding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KR101969801B1 (en) Mobile terminal
KR101923472B1 (en) Socket module and terminal having the same
US10757239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electronic part and earphone jack assembly
CN113455110A (en) Stack structure of printed circuit board using interposer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07046588B (en) Display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KR101271540B1 (en) Mobile terminal
KR101822938B1 (en) Mobile terminal
KR20130059818A (en) Mobile terminal
KR101772078B1 (en) Mobile terminal
KR101789536B1 (en) Mobile terminal
KR101973645B1 (en) Mobile terminal
KR101804915B1 (en) Mobile terminal
KR101750341B1 (en) Camera unit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KR20130128155A (en) Key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130049090A (en) Mobile terminal
CN108600440B (en) Mobile terminal device and receiver assembly thereof
KR101257092B1 (en) Mobile terminal
KR101789539B1 (en) Mobile terminal
KR20120134933A (en)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