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9701A - 오버플로 방지 기능을 가지는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오버플로 방지 기능을 가지는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9701A
KR20130059701A KR1020110125816A KR20110125816A KR20130059701A KR 20130059701 A KR20130059701 A KR 20130059701A KR 1020110125816 A KR1020110125816 A KR 1020110125816A KR 20110125816 A KR20110125816 A KR 20110125816A KR 20130059701 A KR20130059701 A KR 20130059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rflow
tub
magnet
dishwasher
fl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5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영
강두열
박덕수
이성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세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세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세코
Priority to KR1020110125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9701A/ko
Publication of KR20130059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97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44Water-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버플로 방지 기능을 가지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식기세척을 위한 세척조가 형성되며 일측이 개방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개방된 일측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터브의 하부에 배치되어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 어셈블리; 상기 터브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섬프 어셈블리를 수용하는 섬프 수용부; 및, 세척수에 의해 떠오르는 플로트를 감지하는 오버플로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급수밸브의 이상 등으로 일정량 이상의 세척수가 공급될 경우 세척수에 의해 떠오르는 플로트를 감지하여 오버플로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내구성이 낮은 플로우 미터 등 종래의 오버플로 감지장치가 파손된 경우에도 용이하게 식기세척기의 동작을 정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오버플로 방지 기능을 가지는 식기세척기{A DISH WASHER HAVING OVERFLOW PREVENTION FUNCTION}
본 발명은 오버플로 방지 기능을 가지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로트를 이용하는 오버플로 방지 기능을 가지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세척수를 이용하여 식기의 표면에 묻어 있는 음식물찌꺼기를 세척하고, 세척된 식기를 건조 및 살균하는 가전기기이다. 또한, 식기세척기는 설거지가 자동으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됨에 따라 보급이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식기세척기는 통상 세척→헹굼→건조의 기능을 순차적으로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세척 대상물의 오염 정도에 따라 각 행정별로 온수 또는 냉수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통상적인 식기세척기는, 세척조가 형성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에 설치되어 식기를 담는 랙 및 터브의 하부에 장착되어 세척수가 집수되는 섬프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식기세척기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면을 참조하여 그 개략적인 구조를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는, 내부에 식기세척을 위한 세척조가 형성되는 터브(11a)와,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상기 터브(11a) 내에 배치되어 식기가 수납되는 상,하부 랙(3a,4a)과, 상기 터브(11a)의 개방된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도어(5a) 및 상기 터브(11a)의 하부에 배치되어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 어셈블리(미도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터브(11a) 내측 상,하부에는 스프레이암(6a,7a)이 설치되어 상,하부 랙(3a,4a)에 담긴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레이암(6a,7a)에 형성된 노즐(200)에 의하여 분사되어 식기 등을 세척한 후 찌꺼기와 함께 세척수는 통공(100)을 통해 집수부가 구비된 섬프 어셈블리(미도시)로 집수되고, 상기 세척수는 섬프 어셈블리(미도시)에 구비된 펌프(미도시)에 의해 재순환되어 다시 스프레이암(6a,7a)으로 공급된다.
한편, 밸브 고장 등에 의해 세척수 급수 완료 후 급수행정이 아닐 때, 또는 급수라인의 이상 급수시 세척수가 정상 세척수 레벨을 넘어 오버플로(넘침)되는 경우가 있다.
오버플로가 발생하면 식기 세척기로부터 외부로 누수되거나 오동작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급수밸브에 플로우 미터(flow-meter)를 장착하여 급수행정이 아닐 때 물의 흐름을 감지하여 이상을 감지하거나, 초과급수 등 이상 급수를 감지하여 식기세척기의 작동을 정지시켰으나, 상기 플로우 미터는 내구성이 약하고 전기적 충격에 약하므로 고장나는 경우가 많았으며, 플로우 미터의 고장시 오버플로의 감지가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발명의 목적은 일정량 이상의 세척수가 공급될 경우 세척수에 의해 떠오르는 플로트를 감지함으로써 오버플로를 방지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오버플로 방지 기능을 가지는 식기세척기는,
내부에 식기세척을 위한 세척조가 형성되며 일측이 개방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개방된 일측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터브의 하부에 배치되어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 어셈블리;
상기 터브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섬프 어셈블리를 수용하는 섬프 수용부; 및,
세척수에 의해 떠오르는 플로트를 감지하는 오버플로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버플로 감지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유입통로가 관통되게 형성되는 오버플로 유입관체, 상기 오버플로 유입관체에 수용되는 플로트, 상기 플로트에 설치되는 마그네트, 상기 오버플로 유입관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마그네트를 감지하는 마그네트 감지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버플로 유입관체는, 상기 터브의 바닥에 형성된 누수공과 연결되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하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연장되어 상기 플로트를 수용하는 승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통로는 상기 유입부와 연결부와 승강부를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입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유입통로는 상기 누수공과 연통되며, 상기 유입부의 일단에는 상기 누수공 주변의 터브에 접하기 위한 플랜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입부의 일단에는 상기 일단을 향해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랜지는 상기 경사면과 동일 평면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마그네트 감지기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로트에는 하단과 측면이 개구된 설치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설치홈의 하단으로부터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그네트 감지기는 리드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그네트 감지기는 상기 승강부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부의 상단에는 캡이 설치되고, 상기 캡에는 통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누수공 둘레에서, 상기 플랜지와 상기 터브의 바닥면 사이에는 패킹부재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급수밸브의 이상 등으로 일정량 이상의 세척수가 공급될 경우 세척수에 의해 떠오르는 플로트를 감지하여 오버플로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내구성이 낮은 플로우 미터 등 종래의 오버플로 감지장치가 파손된 경우에도 용이하게 식기세척기의 동작을 정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식기세척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오버플로 감지부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서 오버플로 감지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오버플로 감지부로서, (a)는 플로트의 하강시(정상) 도면이고, (b)는 플로트의 상승시(이상)의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1000)는, 내부에 식기세척을 위한 세척조가 형성되며 일측이 개방되는 터브(100)와, 상기 터브(100)의 개방된 일측(110)을 개폐하는 도어(미도시)와, 상기 터브(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세척수가 저장, 유입 및 배출되는 섬프 어셈블리(300)와, 상기 터브(10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섬프 어셈블리(300)를 수용하는 섬프 수용부(400)와, 세척수에 의해 떠오르는 플로트를 감지하는 오버플로 감지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섬프 어셈블리(300)와 연결되어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펌프 및 도어 등의 구성은 매우 통상적이어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요부가 아니므로 도면과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오버플로 감지부(500)는, 길이방향을 따라 유입통로(511)가 관통되게 형성되는 오버플로 유입관체(510), 상기 오버플로 유입관체(510)에 수용되는 플로트(520), 상기 플로트(520)에 설치되는 마그네트(530), 상기 오버플로 유입관체(510)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마그네트(530)를 감지하는 마그네트 감지기(540)를 포함한다.
상기 오버플로 유입관체(510)는, 상기 터브(100)의 바닥에 형성된 누수공(150)과 연결되는 유입부(512), 상기 유입부(512)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513), 상기 연결부(513)로부터 상하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연장되어 상기 플로트(520)를 승강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승강부(51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유입통로(511)는 상기 유입부(512), 연결부(513) 및 승강부(514)를 연통하고 있어, 이상 세척수 레벨을 초과하는 세척수가 상기 유입부(512), 연결부(513) 및 승강부(514) 내의 상기 유입통로(511)를 연속적으로 지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유입부(512)의 일단에 형성되는 유입통로(511)는 상기 누수공(150)과 연통되어 이상 세척수 레벨을 초과하는 세척수가 상기 누수공(150)을 통해 유입된다.
또한, 상기 유입부(512)의 일단에는 상기 누수공(150) 주변의 터브(100)의 저면에 접하기 위한 플랜지(55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터브(10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밀봉성을 제고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플랜지(550)를 터브(100)에 고정하기 위해 볼트 등의 체결수단(551)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512)의 일단에는 상기 유입부(512)의 일단을 향해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51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랜지(550)는 상기 경사면(512a)과 동일 평면상에 고정 형성된다.
결국, 상기 플랜지(550)는 상기 유입부(512)의 일단에 형성된 경사면(512a)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터브(100)의 저면에 부착되어, 상기 터브(100)에 형성된 누수공(150)을 통해 유입된 세척수가 상기 유입통로(511)를 통해 플로트(520)까지 원활하게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마그네트(530)는 상기 마그네트 감지기(540)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감지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상기 플로트(520)에는 하단과 측면이 개구된 설치홈(5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마그네트(530)는 상기 설치홈(521)의 하단 개구부(521a)로부터 끼워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설치홈(521)의 측면 개구부(521b)의 폭을 마그네트(530)의 폭보다 좁게 형성하여, 일단 마그네트(530)가 상기 설치홈(521)의 하단 개구부(521a)로부터 플로트(520)에 끼워지면 측방향으로는 스스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마그네트 감지기(540)는 리드 스위치 등 마그네트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감지기라도 무방하며, 상기 승강부(514)의 측면에 설치하여 플로트(520)에 설치된 마그네트(530)를 용이하게 감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부(514)의 상단에는 캡(560)이 설치되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캡(560)에는 통기공(561)이 형성되어 외부와의 공기 소통이 있도록 함으로써, 오버플로 유입관체(510)의 유입통로(511) 내부가 밀폐되는 것에 의해 세척수의 흐름이 방해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누수공(150)의 둘레에서, 상기 플랜지(550)와 상기 터브(100)의 바닥면 사이에는 패킹부재(570)가 개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킹부재(570)에 의해 세척수의 누수가 방지되고 정확한 누수의 감지가 가능하게 된다.
이하, 오버플로 방지 기능을 가지는 식기세척기(1000)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경우에는 세척수가 정상 세척수 레벨에 있게 되어 상기 오버플로 유입관체(510)를 통하는 세척수는 없게 된다.
만일 밸브 고장 등에 의해 세척수 급수 완료 후 급수행정이 아닐 때, 또는 급수라인의 이상 급수시 세척수가 정상 세척수 레벨을 넘어 상기 오버플로 유입관체(510)를 통해 세척수가 흐르게 된다.
특히, 상기 오버플로 유입관체(510)의 유입통로(511)의 승강부(514)에는 플로트(520)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유입된 세척수에 의해 상기 플로트(520)가 점차 떠오르게 된다.
상기 플로트(520)가 떠오르면 상기 플로트(520)에 설치된 마그네트(530)가 마그네트 감지기(540)에 접근하게 되므로 마그네트 감지기(540)가 상기 플로트(520)에 설치된 마그네트(530)의 자력을 감지하게 되고, 감지된 신호가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에 전달되어 식기세척기의 작동이 정지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과 변형까지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터브
110... 터브의 개방된 일측
150... 누수공
300... 섬프 어셈블리
400... 섬프 수용부
500... 오버플로 감지부
510... 오버플로 유입관체
511... 유입통로
512... 유입부
513... 연결부
514... 승강부
520... 플로트
521... 설치홈
530... 마그네트
540... 마그네트 감지기
550... 플랜지
560... 캡
561... 통기공
570... 패킹부재
1000... 식기세척기

Claims (11)

  1. 내부에 식기세척을 위한 세척조가 형성되며 일측이 개방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개방된 일측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터브의 하부에 배치되어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 어셈블리;
    상기 터브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섬프 어셈블리를 수용하는 섬프 수용부; 및,
    세척수에 의해 떠오르는 플로트를 감지하는 오버플로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플로 방지 기능을 가지는 식기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 감지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유입통로가 관통되게 형성되는 오버플로 유입관체, 상기 오버플로 유입관체에 수용되는 플로트, 상기 플로트에 설치되는 마그네트, 상기 오버플로 유입관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마그네트를 감지하는 마그네트 감지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플로 방지 기능을 가지는 식기세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 유입관체는, 상기 터브의 바닥에 형성된 누수공과 연결되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하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연장되어 상기 플로트를 수용하는 승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통로는 상기 유입부와 연결부와 승강부를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플로 방지 기능을 가지는 식기세척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유입통로는 상기 누수공과 연통되며, 상기 유입부의 일단에는 상기 누수공 주변의 터브에 접하기 위한 플랜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플로 방지 기능을 가지는 식기세척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의 일단에는 상기 일단을 향해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랜지는 상기 경사면과 동일 평면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플로 방지 기능을 가지는 식기세척기.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마그네트 감지기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플로 방지 기능을 가지는 식기세척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에는 하단과 측면이 개구된 설치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설치홈의 하단으로부터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플로 방지 기능을 가지는 식기세척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 감지기는 리드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플로 방지 기능을 가지는 식기세척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 감지기는 상기 승강부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플로 방지 기능을 가지는 식기세척기.
  10.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의 상단에는 캡이 설치되고, 상기 캡에는 통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플로 방지 기능을 가지는 식기세척기.
  11.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공 둘레에서, 상기 플랜지와 상기 터브의 바닥면 사이에는 패킹부재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플로 방지 기능을 가지는 식기세척기.




KR1020110125816A 2011-11-29 2011-11-29 오버플로 방지 기능을 가지는 식기세척기 KR201300597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816A KR20130059701A (ko) 2011-11-29 2011-11-29 오버플로 방지 기능을 가지는 식기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816A KR20130059701A (ko) 2011-11-29 2011-11-29 오버플로 방지 기능을 가지는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9701A true KR20130059701A (ko) 2013-06-07

Family

ID=48858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5816A KR20130059701A (ko) 2011-11-29 2011-11-29 오버플로 방지 기능을 가지는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97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45115A (zh) * 2018-01-09 2018-07-06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底盖、洗碗机机座以及洗碗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45115A (zh) * 2018-01-09 2018-07-06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底盖、洗碗机机座以及洗碗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4587B2 (en) Water guide for dishwasher
KR101981679B1 (ko)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센싱 모듈
KR101266870B1 (ko) 식기세척기
US20180132694A1 (en) Pump inlet assemblies for dishwasher appliances
US10624521B2 (en) Dishwasher appliance configured for flood and leak detection
US10130238B2 (en) Turbidity sensor assembly including an integral water level indicator
KR100856783B1 (ko) 식기 세척기의 수위 감지 장치
KR20200023976A (ko) 식기세척기 및 그의 운전제어방법
KR20050102457A (ko) 식기 세척기의 과급수 방지구조 및 방법
US6718993B1 (en) Household dishwasher with viewable leak indication drain pan
US20090126763A1 (en) Method for controlling dish washer
KR101052974B1 (ko) 식기 세척기의 에어 브레이크 구조
KR20130059701A (ko) 오버플로 방지 기능을 가지는 식기세척기
KR101054154B1 (ko) 식기 세척기의 에어 브레이크
KR20060010361A (ko) 식기 세척기의 탁도 센서 장착 구조
KR100749059B1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59710A (ko) 오버플로 방지 기능을 가지는 식기세척기
KR101054104B1 (ko) 식기 세척기의 에어 브레이크 구조
KR101070063B1 (ko) 수위 감지장치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의 에어 브레이크
KR20070027099A (ko) 식기세척기
US20210251464A1 (en) Sensor assembly including a multifunctional housing
KR101054183B1 (ko) 식기 세척기의 에어 브레이크 구조
KR102161561B1 (ko) 식기세척기
KR20080006230A (ko) 수위감지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식기세척기
US10646096B2 (en) Flood detection sensor for a dishwasher appli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