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8723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를 송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를 송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8723A
KR20130058723A KR1020137002193A KR20137002193A KR20130058723A KR 20130058723 A KR20130058723 A KR 20130058723A KR 1020137002193 A KR1020137002193 A KR 1020137002193A KR 20137002193 A KR20137002193 A KR 20137002193A KR 20130058723 A KR20130058723 A KR 20130058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network
mbms
terminal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2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1595B1 (ko
Inventor
이영대
정성훈
이승준
천성덕
박성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58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8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1Wireless systems
    • H04H20/72Wireless systems of terrestri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0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broadcas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0Reselecting an access point controll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메시지를 송신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로부터 특정 식별자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시스템 정보에 포함된 상기 특정 식별자에 기반하여,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로 송신할 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를 송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OF TRANSMITTING MESSAGE AT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를 송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3GPP LT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이하 "LTE"라 함) 통신 시스템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E-UMTS 망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E-UMTS(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시스템은 기존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에서 진화한 시스템으로서, 현재 3GPP에서 기초적인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E-UMTS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이라고 할 수도 있다. UMTS 및 E-UMTS의 기술 규격(technical specification)의 상세한 내용은 각각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의 Release 7과 Release 8을 참조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E-UMTS는 단말(User Equipment; UE)과 기지국(eNode B; eNB), 네트워크(E-UTRAN)의 종단에 위치하여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접속 게이트웨이(Access Gateway; AG)를 포함한다. 기지국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위해 다중 데이터 스트림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한 기지국에는 하나 이상의 셀이 존재한다. 셀은 1.25, 2.5, 5, 10, 15, 20Mhz 등의 대역폭 중 하나로 설정돼 여러 단말에게 하향 또는 상향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로 다른 셀은 서로 다른 대역폭을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다수의 단말에 대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한다. 하향 링크(Downlink; DL) 데이터에 대해 기지국은 하향 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단말에게 데이터가 전송될 시간/주파수 영역, 부호화, 데이터 크기, HARQ(Hybrid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관련 정보 등을 알려준다. 또한, 상향 링크(Uplink; UL) 데이터에 대해 기지국은 상향 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해당 단말에게 전송하여 해당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시간/주파수 영역, 부호화, 데이터 크기, HARQ 관련 정보 등을 알려준다. 기지국간에는 사용자 트래픽 또는 제어 트래픽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핵심망(Core Network; CN)은 AG와 단말의 사용자 등록 등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AG는 복수의 셀들로 구성되는 TA(Tracking Area) 단위로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한다.
무선 통신 기술은 WCDMA를 기반으로 LTE까지 개발되어 왔지만, 사용자와 사업자의 요구와 기대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다른 무선 접속 기술이 계속 개발되고 있으므로 향후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새로운 기술 진화가 요구된다. 비트당 비용 감소, 서비스 가용성 증대, 융통성 있는 주파수 밴드의 사용, 단순구조와 개방형 인터페이스, 단말의 적절한 파워 소모 등이 요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이하에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를 송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메시지를 송신하는 방법은, 네트워크로부터 특정 식별자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시스템 정보에 포함된 상기 특정 식별자에 기반하여,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로 송신할 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상기 특정 식별자가 R-PLMN (Registered-Public Land Mobile Network)의 식별자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로 상기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단말이 수신하고 있거나 수신하고자 하는 서비스들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스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의 제 1 셀을 통하여 수신되고,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네트워크의 제 2 셀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RRC (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요청 메시지는 MBMS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집계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는 MBMS 집계 응답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가 메시지를 수신하는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특정 식별자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상기 적어도 하나의 응답 메시지는, 상기 시스템 정보에 포함된 상기 특정 식별자에 기반하여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식별자는 특정 네트워크 식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특정 네트워크 식별자는 R-PLMN (Registered-Public Land Mobile Network)의 식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은 단말로 효과적인 MBMS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E-UMTS 망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의 네트워크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3GPP 무선 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제어평면(Control Plane) 및 사용자평면(User Plane)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3GPP 시스템에 이용되는 물리 채널들 및 이들을 이용한 일반적인 신호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
도 6은 호출 메시지를 이용한 일반적인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MCCH(MBMS Control CHannel) 정보의 전송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종래 기술의 MBMS 집계 과정을 도시하는 신호 흐름도
도 9는 종래 기술의 MBMS 집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MBMS 집계 응답 메시지 전송 방식을 도시하는 신호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예시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구성, 작용 및 다른 특징들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3GPP 시스템에 적용된 예들이다.
본 명세서는 LTE 시스템 및 LTE-A 시스템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이는 예시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정의에 해당되는 어떤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FDD 방식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지만, 이는 예시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H-FDD 방식 또는 TDD 방식에도 용이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의 네트워크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특히 E-UTRAN시스템은 기존 UTRAN시스템에서 진화한 시스템이다. E-UTRAN은 셀(eNB)들로 구성되며, 셀들은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다. 셀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과 연결되며,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EPC(Evolved Packet Core)에 연결된다.
EPC에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S-GW(Serving-Gateway) 및 PDN-GW(Packet Data Network-Gateway)로 구성된다. MME는 단말의 접속 정보나 단말의 능력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단말의 이동성 관리에 주로 사용된다. S-GW는 E-UTRAN을 종단점으로 갖는 게이트웨이이며, PDN-GW는 PDN(Packet Data Network)을 종단점으로 갖는 게이트웨이이다.
도 3은 3GPP 무선 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제어평면(Control Plane) 및 사용자평면(User Plane)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평면은 단말(User Equipment; UE)과 네트워크가 호를 관리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제어 메시지들이 전송되는 통로를 의미한다. 사용자평면은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생성된 데이터,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 또는 인터넷 패킷 데이터 등이 전송되는 통로를 의미한다.
제1계층인 물리계층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에게 정보 전송 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한다. 물리계층은 상위에 있는 매체접속제어(Medium Access Control) 계층과는 전송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송채널을 통해 매체접속제어 계층과 물리계층 사이에 데이터가 이동한다. 송신측과 수신측의 물리계층 사이는 물리채널을 통해 데이터가 이동한다. 상기 물리채널은 시간과 주파수를 무선 자원으로 활용한다. 구체적으로, 물리채널은 하향 링크에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으로 변조되고, 상향 링크에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으로 변조된다.
제2계층의 매체접속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계층은 논리채널(Logical Channel)을 통해 상위계층인 무선링크제어(Radio Link Control; RLC) 계층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2계층의 RLC 계층은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지원한다. RLC 계층의 기능은 MAC 내부의 기능 블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2계층의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은 대역폭이 좁은 무선 인터페이스에서 IPv4나 IPv6와 같은 IP 패킷을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불필요한 제어정보를 줄여주는 헤더 압축(Header Compression) 기능을 수행한다.
제3계층의 최하부에 위치한 무선 자원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계층은 제어평면에서만 정의된다. RRC 계층은 무선베어러(Radio Bearer; RB)들의 설정(Configuration), 재설정(Re-configuration) 및 해제(Release)와 관련되어 논리채널, 전송채널 및 물리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RB는 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제2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단말과 네트워크의 RRC 계층은 서로 RRC 메시지를 교환한다.
기지국(eNB)을 구성하는 하나의 셀은 1.25, 2.5, 5, 10, 15, 20Mhz 등의 대역폭 중 하나로 설정되어 여러 단말에게 하향 또는 상향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로 다른 셀은 서로 다른 대역폭을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네트워크에서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향 전송채널은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BCH(Broadcast Channel),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는 PCH(Paging Channel), 사용자 트래픽이나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하향 SCH(Shared Channel) 등이 있다. 하향 멀티캐스트 또는 방송 서비스의 트래픽 또는 제어 메시지의 경우 하향 SCH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하향 MCH(Multicast Channel)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한편, 단말에서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향 전송채널로는 초기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RACH(Random Access Channel), 사용자 트래픽이나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상향 SCH(Shared Channel)가 있다. 전송채널의 상위에 있으며, 전송채널에 매핑되는 논리채널(Logical Channel)로는 BCCH(Broadcast Control Channel), PCCH(Paging Control Channel), CCCH(Common Control Channel), MCCH(Multicast Control Channel), MTCH(Multicast Traffic Channel) 등이 있다.
도 4는 3GPP 시스템에 이용되는 물리 채널들 및 이들을 이용한 일반적인 신호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말은 전원이 켜지거나 새로이 셀에 진입한 경우 기지국과 동기를 맞추는 등의 초기 셀 탐색(Initial cell search) 작업을 수행한다(S401). 이를 위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주 동기 채널(Primary Synchronization Channel; P-SCH) 및 부 동기 채널(Secondary Synchronization Channel; S-SCH)을 수신하여 기지국과 동기를 맞추고, 셀 ID 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 후,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물리 방송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를 수신하여 셀 내 방송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초기 셀 탐색 단계에서 하향 링크 참조 신호(Downlink Reference Signal; DL RS)를 수신하여 하향 링크 채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초기 셀 탐색을 마친 단말은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및 상기 PDCCH에 실린 정보에 따라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SCH)을 수신함으로써 좀더 구체적인 시스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402).
한편, 기지국에 최초로 접속하거나 신호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이 없는 경우 단말은 기지국에 대해 임의 접속 과정(Random Access Procedure; RACH)을 수행할 수 있다(단계 S403 내지 단계 S406). 이를 위해, 단말은 물리 임의 접속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을 통해 특정 시퀀스를 프리앰블로 전송하고(S403), PDCCH 및 대응하는 PDSCH를 통해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404). 경쟁 기반 RACH의 경우, 추가적으로 충돌 해결 절차(Contention Resolution Procedure)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절차를 수행한 단말은 이후 일반적인 상/하향 링크 신호 전송 절차로서 PDCCH/PDSCH 수신(S407) 및 물리 상향 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물리 상향 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전송(S408)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단말은 PDCCH를 통하여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수신한다. 여기서 DCI는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 정보와 같은 제어 정보를 포함하며, 그 사용 목적에 따라 포맷이 서로 다르다.
한편, 단말이 상향 링크를 통해 기지국에 전송하는 또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제어 정보는 하향 링크/상향 링크 ACK/NACK 신호,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PMI(Precoding Matrix Index), RI(Rank Indicator) 등을 포함한다. 3GPP LTE 시스템의 경우, 단말은 상술한 CQI/PMI/RI 등의 제어 정보를 PUSCH 및/또는 PUCCH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ms(327200×Ts)의 길이를 가지며 10개의 균등한 크기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1ms의 길이를 가지며 2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슬롯은 0.5ms(15360×Ts)의 길이를 가진다. 여기에서, Ts 는 샘플링 시간을 나타내고, Ts=1/(15kHz×2048)=3.2552×10-8(약 33ns)로 표시된다.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을 포함한다. LTE 시스템에서 하나의 자원블록은 12개의 부반송파×7(6)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데이터가 전송되는 단위시간인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는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 단위로 정해질 수 있다. 상술한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고,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수 또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단말의 RRC 상태와 RRC 연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RRC 상태란 단말의 RRC가 E-UTRAN의 RRC와 논리적 연결(logical connection)이 되어 있는지 여부를 말하며, 연결되어 있는 경우는 RRC 연결 상태(RRC_CONNECTED),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RRC 휴지 상태(RRC_IDLE)라고 부른다.
E-UTRAN은 RRC 연결 상태의 단말의 존재를 셀 단위에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반면에 E-UTRAN은 RRC 휴지 상태의 단말을 셀 단위에서 파악할 수 없으며, 셀 보다 더 큰 지역 단위인 TA 단위로 CN이 관리한다. 즉, RRC 휴지 상태의 단말이 셀로부터 음성이나 데이터와 같은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RRC 연결 상태로 상태 천이하여야 한다.
특히 사용자가 단말의 전원을 맨 처음 켰을 때, 단말은 먼저 적절한 셀을 탐색한 후 해당 셀에서 RRC 휴지 상태에 머무른다. RRC 휴지 상태에 머물러 있던 단말은 RRC 연결을 맺을 필요가 있는 경우에야 비로소 E-UTRAN의 RRC과 RRC 연결 설정 (RRC connection establishment) 과정을 수행하여 RRC 연결 상태로 천이한다. 여기서 RRC 연결을 맺을 필요가 있는 경우란 사용자의 통화 시도 등의 이유로 상향 데이터 전송이 필요하다거나, E-UTRAN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해야 하는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도 6은 호출 메시지를 이용한 일반적인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호출 메시지는 호출 이유(Paging Cause)와 단말 식별자(UE Identity) 등으로 구성된 호출 기록(Paging record)을 포함한다. 상기 호출 메시지를 수신할 때, 단말은 전력소비 감소를 목적으로 불연속 수신 주기(Discontinuous Reception; DRX)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망은 호출 주기(Paging DRX Cycle)라 불리는 시간 주기마다 여러 개의 호출 기회 시간(Paging Occasion; PO)을 구성하고, 특정 단말은 특정 호출 기회 시간만을 수신하여 호출 메시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단말은 상기 특정 호출 기회 시간 이외의 시간에는 호출 채널을 수신하지 않으며 전력 소비를 줄이기 위해 수면 상태에 있을 수 있다. 하나의 호출 기회 시간은 하나의 TTI에 해당된다.
기지국과 단말은 호출 메시지의 전송을 알리는 특정 값으로 호출 지시자(Paging Indicator; PI)를 사용한다. 기지국은 PI의 용도로 특정 식별자(예, Paging -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 P-RNTI)를 정의하여 단말에게 호출 정보 전송을 알릴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은 DRX 주기마다 깨어나서 호출 메시지의 출현 여부를 알기 위해 하나의 서브 프레임을 수신한다. 단말은 수신한 서브 프레임의 L1/L2 제어채널(PDCCH)에 P-RNTI가 있다면, 해당 서브 프레임의 PDSCH에 호출 메시지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호출 메시지에 자신의 단말식별자(예, IMSI)가 있다면 단말은 기지국에 응답(예를 들어, RRC 연결 또는 시스템 정보 수신)하여 서비스를 받게 된다.
다음은,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에 관한 설명이다. 시스템 정보는 단말이 기지국에 접속하기 위해서 알아야 하는 필수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단말은 기지국에 접속하기 전에 시스템 정보를 모두 수신하고 있어야 하고, 또한 항상 최신의 시스템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시스템 정보는 한 셀 내의 모든 단말이 알고 있어야 하는 정보이므로, 기지국은 주기적으로 시스템 정보를 전송한다.
시스템 정보는 MIB(Master Information Block), SB(Scheduling Block) 및 SIB(System Information Block)로 구분될 수 있다. MIB는 단말이 해당 셀의 물리적 구성, 예를 들어 Bandwidth같은 것을 알 수 있도록 한다. SB는 SIB들의 전송정보, 예를 들어, 전송 주기 등을 알려준다. SIB는 서로 관련 있는 시스템 정보의 집합체이다. 예를 들어, 특정 SIB는 주변의 셀의 정보만을 포함하고, 다른 SIB는 단말이 사용하는 상향 무선 채널의 정보만을 포함한다.
이하, 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에 관하여 설명한다. 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는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일종으로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패킷을 다수의 단말에게 동시에 전송하는 서비스이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MBMS'는 '점대다 서비스', 'MBS(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 등의 다른 용어들로 대체될 수 있다. MBMS는 IP 멀티캐스트 기반으로서 단말들은 데이터 패킷 전송에 필요한 자원을 공유하여 동일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한다. 따라서, MBMS를 이용하는 일정 수준의 단말이 동일 셀에 존재하는 경우, 자원 효율을 높일 수 있다. MBMS 서비스는 RRC 연결 상태와 무관하므로, 휴지 상태에 있는 단말도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MBMS를 위한 논리채널 MCCH(MBMS Control CHannel) 또는 MTCH(MBMS Traffic Channel)는 전송채널 MCH(MBMS CHannel)에 매핑될 수 있다. MCCH는 MBMS 관련 공통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RRC 메시지를 전송하고, MTCH는 특정 MBMS 서비스의 트래픽을 전송한다. 동일한 MBMS 정보 또는 트래픽을 전송하는 하나의 MBSFN(MBMS Single Frequency Network) 지역마다 하나의 MCCH이 있으며, 복수의 MBSFN 지역들이 하나의 셀에서 제공될 경우, 단말은 복수의 MCCH을 수신할 수도 있다. 도 7은 MCCH 정보의 전송 방식을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특정 MCCH에서 MBMS 관련 RRC 메시지가 변경될 경우, PDCCH는 M-RNTI(MBMS-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와 특정 MCCH을 지시하는 MCCH 지시자를 전송한다. MBMS를 지원하는 단말은 상기 PDCCH을 통해 M-RNTI와 MCCH 지시자를 수신하여, 특정 MCCH에서 MBMS 관련 RRC 메시지가 변경되었음을 파악하고, 상기 특정 MCCH을 수신할 수 있다. MCCH의 RRC 메시지는 변경주기마다 변경될 수 있으며, 반복주기마다 반복적으로 방송된다. 도 7은 MCCH 정보의 전송 방식을 나타낸다.
한편, MCCH는 현재 진행 중인 MBMS 세션과 이에 대응하는 RB 설정을 지시하는 MBSFNAreaConfiguration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MCCH는 하나 이상의 MBMS 서비스를 수신하거나 수신하고자 하는 RRC 연결 상태의 단말의 개수를 집계 하기 위한 MBMS 집계 요청(MBMSCountingRequest)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특정 MBMS 제어 정보는 BCCH를 통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특히 특정 MBMS 제어 정보는 BCCH를 통하여 방송되는 SystemInformationBlockType13에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는 MBMS 집계 과정(counting procedure)를 통해 특정 서비스 즉, 특정 MBMS를 수신하는 또는 수신하고자 하는 단말의 개수를 집계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집계 과정은 네트워크가 MBMS 집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면, 단말이 DCCH(Dedicated Control CHannel)을 통해 MBMS 집계 응답(counting response)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도 8은 종래 기술의 MBMS 집계 과정을 도시하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기지국(eNB)는 단계 801 및 단계 802와 같이 MCE(Multi-cell/Multicast Coordinated Entity)과의 MBMS 집계 요청과 이에 대응하는 MBMS 집계 응답에 따라 집계 과정을 시작한다. 여기서 MCE는 어드미션 제어(admission control), 무선 자원 할당(radio resources allocation) 및 세션 제어 시그널링(session control signaling) 등을 행하는 네트워크 엔티티를 지칭한다. 이후, 단계 803에서 기지국은 상기 MBMS 집계 요청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MCCH 정보를 갱신한다.
계속하여, 기지국은 단계 804에서 MCCH채널을 통해 MBMS 집계 요청 메시지를 방송한다. 집계 요청 메시지에는 MBMS ID 리스트가 포함되어 있다. MBSFN 영역(area)에서 MCCH를 모니터링하는 단말은 MCCH채널을 통해 집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만일 단말이 수신하고자 하는 서비스의 ID가 집계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 단말은 MBMS 집계 응답 메시지를 DCCH를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마지막으로, 기지국은 복수의 단말들로부터 해당 서비스에 대한 집계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응답한 단말의 수를 집계하여, 단계 806과 같이 MBMS 집계 결과를 MCE에게 알려준다.
도 9는 종래 기술의 MBMS 집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 1 주파수의 제 1 셀과 RRC연결을 맺고 있는 단말이 제 2 주파수의 제 2 셀로부터 MBMS를 수신하고자 할 경우, 단말은 제 2 셀의 MCCH채널로부터 MBMS 집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집계 요청 메시지에 수신하고자 하는 MBMS 서비스 ID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단말은 제 1 셀로 MBMS 집계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 1 셀이 MBMS 집계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제 1 셀이 MBMS를 지원한다면, 제 1 셀은 수신한 MBMS 집계 응답 메시지에 따라 MBMS 집계 결과를 MCE에게 전달한다. 하지만, 제 1 셀이 MBMS를 지원하지 않는다면, 제 1 셀은 수신한 MBMS 집계 응답 메시지를 무시하게 된다. 이 경우, 단말은 불필요하게 MBMS 집계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말이 불필요하게 MBMS 집계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특정 무선망, 즉 특정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에 등록되고, 제 1 셀과 연결된 단말은, 제 2 셀로부터 MBMS 집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MBMS 집계 요청 메시지가 상기 무선망과 관련된 경우, MBMS 집계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MBMS 집계 요청 메시지가 상기 무선망과 관련되지 않은 경우, MBMS 집계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셀과 제 2 셀은 같거나 다를 수 있다. 또한, PLMN이란 이동 통신 망 사업자의 네트워크 식별번호를 말한다.
즉, 단말은 제 2 셀의 시스템 정보가 방송하는 PLMN ID에 따라 상기 MBMS 집계 요청 메시지가 상기 무선망과 관련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제 2 셀의 시스템 정보가 방송하는 PLMN ID가 단말이 등록한 PLMN (R-PLMN)인 경우, 상기 MBMS 집계 요청 메시지가 상기 무선망과 관련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셀은 시스템 정보를 통하여 단말이 등록한 PLMN (R-PLMN)을 방송한다.
도 10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MBMS 집계 응답 메시지 전송 방식을 도시하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우선 단말은 서비스 제공자의 무선망, 즉 PLMN을 선택한 후, 선택한 PLMN에 대응하는 셀을 선택한다. 이후, 단말은 선택한 셀과 단계 1001과 같이 RRC 연결을 수립하고, 단계 1002와 같이 선택한 PLMN에 자신을 등록한다. 이때부터 단말의 NAS 계층은 EMM-REGISTERED 상태에 있게 된다. 이때, 단말이 등록한 PLMN을 R-PLMN(Registered PLMN)이라 약칭한다. 단말은 RRC 연결 모드에서만 MBMS 집계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단말이 제 1 셀과 RRC 연결을 맺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단말은 단계 1003과 같이, 제 1 셀이 방송하는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며, 항상 최신의 정보로 유지한다. 여기서 시스템 정보는 BCCH를 통하여 방송될 수 있다. 제 1 셀은 하나 이상의 PLMN을 지원할 수 있으며, 자신이 지원하는 PLMN들의 PLMN ID들(즉, PLMN 리스트)을 시스템 정보로 방송한다. 이때, 단말의 R-PLMN이 상기 PLMN 리스트에 포함되어야 한다.
한편, 제 1 셀과 연결되어 있는 단말이 제 2 셀이 방송하는 MBMS 서비스를 수신하고자 할 경우, 단말은 단계 1004와 같이 제 2 셀로부터 BCCH를 통하여 방송되는 시스템 정보를 모니터링한다. 제 2 셀로부터 방송되는 시스템 정보에는 제 2 셀이 지원하는 PLMN ID들(즉, PLMN 리스트)와 MBMS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하여, 제 2 셀은 상기 MBMS 서비스를 위해 집계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단계 1005와 같이 제 2 셀은 MCCH을 통해 MBMS 집계 요청 메시지를 방송한다. 상기 MBMS 집계 요청 메시지에는 하나 이상의 MBMS의 ID가 포함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제 2 셀로부터 상기 MBMS 집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수신하고자 하는 MBMS의 ID가 MBMS 집계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MBMS 집계 요청 메시지에 응답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단계 1006과 같이 제 2 셀의 시스템 정보를 통하여 방송되는 PLMN 리스트에 자신의 R-PLMN ID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즉, 단말의 R-PLMN ID가 제 2 셀의 시스템 정보 또는 MCCH정보를 통해 방송되는 경우에만, MBMS 집계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기로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MBMS 집계 요청 메시지에는 단말의 R-PLMN ID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하여, MBMS 집계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단말은 단계 1007에서 DCCH를 통하여 상기 제 1 셀로 MBMS집계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 무선망, 즉 특정 PLMN에 등록되고, 제 1 셀과 연결된 단말은, 제 2 셀로부터 MBMS 집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MBMS 집계 요청 메시지가 상기 특정 PLMN과 관련된 경우, MBMS 집계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MBMS 집계 요청 메시지가 상기 특정 PLMN과 관련되지 않은 경우, MBMS 집계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도록 하여, 단말이 불필요하게 MBMS 집계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예시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통신 장치(1100)는 프로세서(1110), 메모리(1120), RF 모듈(1130), 디스플레이 모듈(114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150)을 포함한다.
통신 장치(110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으로서 일부 모듈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통신 장치(1100)는 필요한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장치(1100)에서 일부 모듈은 보다 세분화된 모듈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세서(1110)는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10)의 자세한 동작은 도 1 내지 도 10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메모리(1120)는 프로세서(1110)에 연결되며 오퍼레이팅 시스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코드,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RF 모듈(1130)은 프로세서(1110)에 연결되며 기저대역 신호를 무선 신호를 변환하거나 무선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RF 모듈(1130)은 아날로그 변환, 증폭, 필터링 및 주파수 상향 변환 또는 이들의 역과정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140)은 프로세서(1110)에 연결되며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140)은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잘 알려진 요소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150)은 프로세서(1110)와 연결되며 키패드,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은 잘 알려진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를 송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는 3GPP LTE 시스템에 적용되는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3GPP LTE 시스템 이외에도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5)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메시지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로부터 특정 식별자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시스템 정보에 포함된 상기 특정 식별자에 기반하여,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로 송신할 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송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식별자는,
    특정 네트워크 식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송신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네트워크 식별자는,
    R-PLMN (Registered-Public Land Mobile Network)의 식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송신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식별자가 R-PLMN (Registered-Public Land Mobile Network)의 식별자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로 상기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송신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단말이 수신하고 있거나 수신하고자 하는 서비스들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송신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의 제 1 셀을 통하여 수신되고,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네트워크의 제 2 셀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송신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RRC (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송신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는 MBMS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집계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는 MBMS 집계 응답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송신 방법.
  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가 메시지를 수신하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특정 식별자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응답 메시지는,
    상기 시스템 정보에 포함된 상기 특정 식별자에 기반하여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수신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식별자는,
    특정 네트워크 식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수신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네트워크 식별자는,
    R-PLMN (Registered-Public Land Mobile Network)의 식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수신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수신하고 있거나 수신하고자 하는 서비스들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수신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의 제 1 셀을 통하여 송신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응답 메시지는 상기 네트워크의 제 2 셀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수신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은 RRC (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수신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는 MBMS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집계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는 MBMS 집계 응답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수신 방법.
KR1020137002193A 2011-04-03 2012-03-2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를 송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4815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71179P 2011-04-03 2011-04-03
US61/471,179 2011-04-03
PCT/KR2012/002013 WO2012138067A2 (en) 2011-04-03 2012-03-21 Method of transmitting message at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8723A true KR20130058723A (ko) 2013-06-04
KR101481595B1 KR101481595B1 (ko) 2015-01-12

Family

ID=46969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2193A KR101481595B1 (ko) 2011-04-03 2012-03-2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를 송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008570B2 (ko)
KR (1) KR101481595B1 (ko)
DE (1) DE112012000260B4 (ko)
WO (1) WO201213806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58007B2 (ja) * 2011-08-16 2017-01-11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マルチメディア・ブロードキャスト・マルチキャスト・サービスの能力拡張
EP2761897A1 (en) * 2011-09-29 2014-08-06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improve mbms counting in lte
US10111049B2 (en) * 2012-10-26 2018-10-23 Qualcomm Incorporated Multiband eMBMS enhancement using carrier aggregation
US9980247B2 (en) 2012-10-26 2018-05-22 Qualcomm Incorporated Primary cell signaling for eMBMS in carrier aggregation
WO2014166071A1 (zh) * 2013-04-09 2014-10-16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装置及系统
WO2015085454A1 (zh) * 2013-12-09 2015-06-18 华为技术有限公司 系统消息传输方法和装置
US9686736B2 (en) * 2014-01-17 2017-06-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to improve public land mobile network search
EP3250000A4 (en) * 2015-02-16 2017-12-13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monitoring license assist access cell, equipment and base station
CN109155901B (zh) * 2016-05-06 2020-12-18 华为技术有限公司 多播业务接收方法、多播业务发送方法、装置及系统
MX2019001051A (es) * 2016-07-27 2019-09-23 Sharp Kk Informacion del sistema a pedido para telecomunicaciones inalambricas.
CN107708151A (zh) * 2016-08-09 2018-02-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系统消息切片化的方法和装置
CN108307487B (zh) * 2016-08-31 2020-11-06 成都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组播业务的省电方法和终端
CN109246819B (zh) * 2017-05-24 2021-05-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和装置
CN114760595B (zh) * 2021-01-08 2023-11-24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多播广播业务mbs能力指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47257B2 (en) 2001-02-16 2010-06-29 Motorola, Inc. GPS assistance messages in cellular communications networks and methods therefor
KR100964670B1 (ko) 2003-05-12 2010-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레이트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방법
KR100964679B1 (ko) 2003-08-19 2010-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방송 멀티 캐스트서비스에서 무선자원제어연결 모드 단말을 집계하는 방법
CA2534277C (en) * 2003-08-22 2012-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ell reselection method for receiving packet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bms
SE0400340D0 (sv) * 2004-02-11 2004-02-11 Ericsson Telefon Ab L M Method in a communication system
CN101496310B (zh) * 2006-07-24 2013-07-24 Lg电子株式会社 用于广播服务的点对点无线承载
CN101132215B (zh) * 2006-08-25 2012-01-11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演进多媒体广播多播业务基站、用户设备和方法
JP4903033B2 (ja) * 2006-10-30 2012-03-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基地局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EP1991024B1 (en) * 2007-05-06 2010-04-21 Innovative Sonic Limited Method of transmitting paging information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nd related apparatus
JP5610609B2 (ja) * 2007-06-19 2014-10-22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無線送信方法、無線送信装置及び基地局装置
CN101360026B (zh) 2007-07-31 2010-12-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加快无线通信系统终端进入网络的方法
US8532683B2 (en) * 2007-10-01 2013-09-10 Nokia Corporation Simple distributed coordination among cells to achieve efficient dynamic single-frequency network (SFN) operation
US20100272017A1 (en) * 2009-04-23 2010-10-2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dvanced long term evolution system information
US9686770B2 (en) * 2010-06-15 2017-06-20 Mediatek Inc. Methods to support MBMS service continuity and counting and localized MBMS service
US9173192B2 (en) * 2011-03-17 2015-10-27 Qualcomm Incorporated Target cell selection for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continu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89480A1 (en) 2015-07-02
DE112012000260T5 (de) 2013-09-05
KR101481595B1 (ko) 2015-01-12
US9008570B2 (en) 2015-04-14
US9769629B2 (en) 2017-09-19
WO2012138067A3 (en) 2013-01-10
DE112012000260B4 (de) 2017-06-14
WO2012138067A2 (en) 2012-10-11
US20130130616A1 (en) 201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159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를 송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44866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756489B2 (en) Method of transmitting counting response message indicating service area at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US9432900B2 (en) Method for performing hando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KR10191325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rrc 연결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87172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plmn 정보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49809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셀 접속 제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94332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2693662B1 (en) Method for user equipment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US9247577B2 (en)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message for receiving broadcasting service recep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KR2014003298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네트워크와 연결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259148B2 (en) Method for receiving MBMS service by terminal and device supporting same
US9445328B2 (en) Method for reselecting a cell at a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