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7850A -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7850A
KR20130057850A KR1020110123811A KR20110123811A KR20130057850A KR 20130057850 A KR20130057850 A KR 20130057850A KR 1020110123811 A KR1020110123811 A KR 1020110123811A KR 20110123811 A KR20110123811 A KR 20110123811A KR 20130057850 A KR20130057850 A KR 20130057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elevator
approval
mobile terminal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3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0629B1 (ko
Inventor
이준형
Original Assignee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3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0629B1/ko
Publication of KR20130057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7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0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0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04N21/25816Management of client data involving client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04N21/4181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for conditional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에 설치된 방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엘리베이터 내부 영상이 요청됨에 따라 해당 엘리베이터 내 카메라를 통해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을 무선으로 제공함으로써, 거주지 세대원 및 관공서 담당자들이 수시로 엘리베이터 내부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각 엘리베이터의 내부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실시간 디지털 영상을 전송받는 영상 수신수단;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영상 수신수단에서 수신한 디지털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 저장수단; 휴대단말기로부터 엘리베이터의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전송됨에 따라 인증을 수행하여 정상인 경우, 상기 영상 수신수단을 통해 수신되는 해당 엘리베이터 내부의 디지털 영상을 상기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영상 송신수단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수단; 및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영상 수신수단을 통해 수신한 디지털 영상을 상기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상기 영상 송신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에 설치된 방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엘리베이터 내부 영상이 요청됨에 따라 해당 엘리베이터 내 카메라를 통해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을 무선으로 제공함으로써, 거주지 세대원 및 관공서 담당자들이 수시로 엘리베이터 내부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고층건물 등에 설치되어 승객이나 화물을 최단시간 내에 특정 층으로 운송하기 위한 주요수단으로서 엘리베이터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엘리베이터는 다수의 승객이 탑승한 상태에서 건물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승강로를 따라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 카와, 엘리베이터 기계부를 제어하여 엘리베이터 카를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운행하며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감시제어용 단말기를 가지는 엘리베이터 제어반과,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도록 방재실(관리실)에 감시제어용 주컴퓨터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때, 주컴퓨터는 엘리베이터 제어반과의 입출력정보를 처리할 수 있도록 신호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과, 자체프로세서를 내장하여 전송, 계측, 연산, 저장,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에서 안전한 운행과 감시 및 사고 방지를 위하여 필요 시 원격감시기능이 수행되는바, 주컴퓨터가 제어하고자 하는 제어명령이 전용회선을 통해 RS-485 시리얼 통신방식이나 온/오프 스위칭 방식으로 엘리베이터 제어반으로 전송되면, 엘리베이터 제어반은 제어명령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움직임을 제어하여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그러면, 주컴퓨터는 엘리베이터 제어반으로부터 제어명령의 실행에 따른 다양한 입출력정보를 전송받고, 계측, 연산, 저장, 데이터 처리 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전술한 원격제어방식에는 주컴퓨터에 엘리베이터 상태를 화상정보로서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하고, 관리자가 터치스크린 또는 마우스 등으로 임의의 엘리베이터를 제어하거나, 램프에 의해 임의의 엘리베이터 상태가 표시되면 기 정의된 기능을 갖는 선택버튼을 조작하여 원격제어한다.
한편, 원격제어 기능 이외에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는 탑승한 승객의 안전을 위해 폐쇄회로 TV(CCTV)가 장착된다. CCTV로부터 촬영된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영상은 통신매체를 통해 주컴퓨터로 전송되고, 관리자가 주컴퓨터에 표시되는 영상을 근거로 엘리베이터 카 내부 상황을 육안으로 인지한다.
이러한 종래의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내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관리자가 모니터링하게 함으로써, 거주지 주민들이 엘리베이터 내부 영상을 볼 수 없어 감시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설치된 방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엘리베이터 내부 영상이 요청됨에 따라 해당 엘리베이터 내 카메라를 통해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을 무선으로 제공함으로써, 거주지 세대원 및 관공서 담당자들이 수시로 엘리베이터 내부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각 엘리베이터의 내부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실시간 디지털 영상을 전송받는 영상 수신수단;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영상 수신수단에서 수신한 디지털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 저장수단; 휴대단말기로부터 엘리베이터의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전송됨에 따라 인증을 수행하여 정상인 경우, 상기 영상 수신수단을 통해 수신되는 해당 엘리베이터 내부의 디지털 영상을 상기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영상 송신수단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수단; 및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영상 수신수단을 통해 수신한 디지털 영상을 상기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상기 영상 송신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휴대단말기의 고유번호를 식별하여 상기 휴대단말기가 어느 그룹에 속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휴대단말기가 요청한 영상이 해당 그룹에 포함된 엘리베이터의 내부 영상인 경우에, 상기 인증결과를 기반으로 해당 영상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엘리베이터 감시 방법에 있어서, 영상 수신수단이 각 엘리베이터의 내부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실시간 디지털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단계; 영상 저장수단이 상기 수신된 디지털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 제어수단이 휴대단말기로부터 엘리베이터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전송받음에 따라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결과가 정상임에 따라 상기 수신되는 해당 엘리베이터 내부의 디지털 영상을 상기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전송단계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고유번호를 식별하여 상기 휴대단말기가 어느 그룹에 속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기가 요청한 영상이 해당 그룹에 포함된 엘리베이터의 내부 영상인 경우, 상기 인증결과를 기반으로 해당 영상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단말기가 요청한 영상이 해당 그룹에 포함된 엘리베이터의 내부 영상이 아닌 경우, 상기 인증결과에 상관없이 해당 영상을 전송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설치된 방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엘리베이터 내부 영상이 요청됨에 따라 해당 엘리베이터 내 카메라를 통해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을 무선으로 제공함으로써, 거주지 세대원 및 관공서 담당자들이 수시로 엘리베이터 내부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설치된 방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엘리베이터 내부 영상이 요청됨에 따라 해당 엘리베이터 내 카메라를 통해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을 무선으로 제공함으로써, 엘리베이터 내부에서 발생하는 각종 범죄행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범감시 서버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감시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은, 휴대단말기(Mobile Terminal)(1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엘리베이터(20 내지 40), 방범감시 서버(50), 모니터(60), 및 AP(Access Point)(70)를 포함한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휴대단말기(10)는 이동통신(일예로, 3G, 4G LTE, 4G 등)을 통해 방범감시 서버(50)에 접속하는 것은 물론 무선랜(와이브로, 와이파이 등) 방식으로 AP(70)를 통해 방범감시 서버(50)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일예로 스마트폰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휴대단말기(10)는 케이블을 통해 PC(Personal Computer)와 연결되어 상기 PC로부터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거나, 이동통신 또는 무선랜을 통해 웹사이트상의 앱스토어에 접속하여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install) 및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휴대단말기(10)는 방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휴대용 무선통신단말기로서, 방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휴대단말기(10)는 사용자로부터 대상 엘리베이터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방범감시 서버(50)로 전송하고, 방범감시 서버(50)로부터 해당 엘리베이터의 실시간 내부 영상을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방범감시 서버(50)는 휴대단말기(10)의 고유번호를 식별하여 상기 휴대단말기(10)가 어느 그룹에 속하는지를 판단한 후 해당 그룹에 포함된 엘리베이터 중에서 휴대단말기(10)가 요청한 엘리베이터의 내부 영상을 휴대단말기(10)로 전송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이 특정 지역(일예로, 아파트 단지)에 위치한 엘리베이터들만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그룹 판단 과정은 수행할 필요 없이 해당 엘리베이터의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맞는지만 판단하여 영상을 제공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 1 내지 제 n 엘리베이터(20 내지 40)는 아파트, 다세대 주택, 주거용 빌딩, 업무용 빌딩 등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엘리베이터로서,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사생활 보호를 위해 특정 건물 또는 특정 지역에 위치한 엘리베이터들을 그룹화하여 해당 그룹의 관련자만이 엘리베이터의 내부 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엘리베이터의 내부 영상이 불특정 다수에게 무분별하게 전파되어 도리어 범죄에 이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동일 아파트 단지에 설치된 복수의 엘리베이터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해당 아파트 단지에 거주하는 세대원들과 관리자 또는 관할지역에 위치한 특정 관공서(일예로, 경찰서, 소방서, 구청 등) 담당자들에 한해 엘리베이터의 내부 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20 내지 40)는 그 내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21) 및 상기 카메라(21)를 통해 촬영된 엘리베이터 내부 영상을 휴대단말기(10)로 전송할지에 대한 여부를 엘리베이터에 탑승한 탑승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승인모듈(22)을 포함한다.
여기서, 승인모듈(22)은 엘리베이터 탑승자에 의해 단순히 눌려지면 영상의 전송 허가가 승인되는 버튼 형태의 승인버튼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특정 사용자에게 발행된 카드 키를 인식하여 정상적으로 인증된 특정 사용자를 대상으로 승인권한을 주기 위한 인증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승인모듈(22)은 본 발명의 부가적인 요소로서 승인모듈(22)로부터의 승인 여부에 관계없이, 방범감시 서버(50)가 휴대단말기(10)로부터 전송받은 특정 엘리베이터의 아이디 및 비밀번호의 인증결과를 바탕으로 엘리베이터 내부 영상의 제공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방범감시 서버(50)는 이동통신 또는 무선랜을 통해 접속한 휴대단말기(10)로부터의 요청, 즉 휴대단말기(10)로부터 전송받은 특정 엘리베이터의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인증하여 정상적인 사용자에 한해 해당 엘리베이터의 실시간 내부 영상을 휴대단말기(10)로 전송한다.
이때, 방범감시 서버(50)는 휴대단말기(10)의 고유번호를 식별하여 상기 휴대단말기(10)가 어느 그룹에 속하는지를 판단한 후 해당 그룹에 포함된 엘리베이터의 내부 영상을, 해당 엘리베이터의 아이디 및 비밀번호 인증결과가 정상인 경우에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방범감시 서버(50)는 최우선순위로 승인모듈(22)로부터 영상제공이 허가된 경우, 엘리베이터의 아이디 및 비밀번호 인증을 수행하여 정상적인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승인모듈(22)로부터 영상제공이 허가되지 않은 경우 엘리베이터 내부 영상을 휴대단말기(10)로 제공하지 않는다.
물론, 승인모듈(22)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 방범감시 서버(50)는 휴대단말기(10)로부터 전송받은 엘리베이터의 아이디 및 비밀번호에 대한 인증결과만으로 영상 제공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모니터(60)는 주지 관용의 기술로서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영상을 관리자에게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로서, 방범감시 서버(50)로부터 전달받은 엘리베이터 내부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다음으로, AP(70)는 주지 관용의 기술로서 휴대단말기(10)가 무선으로 방범감시 서버(50)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범감시 서버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범감시 서버는, 승인 수신부(51), 영상 수신부(52), 영상 송신부(53), 영상 저장부(54), 및 제어부(55)를 포함한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승인 수신부(51)는 각 엘리베이터 내부에 설치된 승인모듈(22)로부터 승인결과를 전송받는다. 이때 승인모듈(22)이 단순 버튼식이면 버튼이 눌려진 경우에 승인신호를 전송받고, 버튼이 눌려지지 않으면 승인신호를 전송받지 못한다. 또한, 승인모듈(22)이 카드 키 인증모듈이면 카드 키를 인식한 결과가 정상이면 승인신호를 전송받고, 비정상이면 승인신호를 전송받지 못한다.
영상 수신부(52)는 각 엘리베이터 내부에 설치된 카메라(21)로부터 엘리베이터 내부의 실시간 디지털 영상을 전송받는다.
이러한 영상 수신부(52)는 일예로 RS-232 통신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RS-232 통신유닛은 아날로그 영상을 소프트웨어용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가진 모듈로서, 카메라(21)가 아날로그 영상을 전송하는 경우에 RS-232 통신유닛이 그 기능을 발휘한다.
영상 송신부(53)는 제어부(55)의 제어에 따라 영상 수신부(52)를 통해 수신되는 디지털 영상 또는 영상 수신부(52)에서 변환된 디지털 영상을 휴대단말기(53)로 전송한다.
또한, 영상 송신부(53)는 제어부(55)의 제어에 따라 영상 저장부(54)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영상을 휴대단말기(53)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영상 저장부(54)는 제어부(55)의 제어에 따라 영상 수신부(52)에서 수신한 디지털 영상을 저장한다.
제어부(55)는 휴대단말기(10)로부터 특정 엘리베이터의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전송됨에 따라 인증을 수행하여 정상인 경우, 영상 수신부(52)를 통해 수신되는 해당 엘리베이터 내부의 실시간 디지털 영상을 휴대단말기(10)로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55)는 휴대단말기(10)의 고유번호를 식별하여 상기 휴대단말기(10)가 어느 그룹에 속하는지를 판단하고, 휴대단말기(10)가 요청한 영상이 상기 그룹에 포함된 엘리베이터의 내부 영상이면 인증결과에 따라 해당 엘리베이터의 내부 영상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고, 휴대단말기(10)가 요청한 영상이 상기 그룹에 포함된 엘리베이터의 내부 영상이 아니면 인증결과에 상관없이 해당 엘리베이터의 내부 영상을 전송하지 않는다.
또한, 제어부(55)는 최우선순위로서 승인모듈(22)로부터 영상제공이 허가된 경우, 엘리베이터의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통한 인증결과가 정상적인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한다.
물론, 승인모듈(22)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55)는 휴대단말기(10)로부터 전송받은 엘리베이터의 아이디 및 비밀번호에 대한 인증결과만으로 영상 제공 여부를 결정한다.
한편, 제어부(55)는 영상 수신부(52)에서 수신한 디지털 영상(음성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영상 데이터)을 압축하여 영상 저장부(54)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이렇게 압축 저장된 영상 데이터는 외부 포트를 통해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 등에서 검색하거나 외부 저장장치를 사용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5)는 일반적인 중앙처리유닛(CPU)이 사용되거나, 중앙처리유닛에 압축 코덱 칩이 결합된 형태 등 다양한 설계의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55)는 CPLD(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소자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영상 수신부(52)에서 수신한 디지털 영상을 FIFO 등의 버퍼에 임시로 저장하였다가 불러내는 방식으로 디지털 영상의 입출력 속도를 맞춘다.
이때, 제어부(55)는 CPLD, FPGA 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로직 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55)가 활용하는 버퍼로서, FIFO는 먼저 입력된 데이터를 먼저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용 소자로 속도 및 대역폭에 있어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FIFO 역시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다른 종류의 다양한 디바이스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본 실시예의 시스템에서 FIFO는 CPLD, FPGA 또는 ASIC 등에 포함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감시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영상 수신부(51)가 각 엘리베이터의 내부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실시간 디지털 영상을 수신한다(301). 이때, 영상 수신부(51)는 아날로그 영상을 수신한 경우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한다.
이후, 영상 저장부(54)가 제어부(55)의 제어에 따라 영상 수신부(51)가 수신한 디지털 영상을 저장한다(302).
이후, 제어부(55)가 휴대단말기(10)로부터 엘리베이터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전송받음에 따라 인증을 수행한다(303).
이후, 제어부(55)는 인증결과가 정상임에 따라 영상 수신부(51)를 통해 수신되는 해당 엘리베이터 내부의 실시간 디지털 영상을 휴대단말기(10)로 전송한다(304).
이때, 제어부(55)는 휴대단말기(10)의 고유번호를 식별하여 휴대단말기(10)가 어느 그룹에 속하는지를 판단하여, 휴대단말기(10)가 요청한 영상이 해당 그룹에 포함된 엘리베이터의 내부 영상인 경우, 상기 인증결과를 기반으로 해당 영상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고, 휴대단말기(10)가 요청한 영상이 해당 그룹에 포함된 엘리베이터의 내부 영상이 아닌 경우, 상기 인증결과에 상관없이 해당 영상을 전송하지 않는다.
또한, 제어부(55)는 각 엘리베이터 내부에 설치된 승인모듈로부터 승인신호를 전송받는 승인 수신부(51)가 승인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어부(55)가 인증결과에 따라 해당 영상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승인 수신부(51)가 승인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제어부(55)가 인증결과에 상관없이 해당 영상을 전송하지 않는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거주지 세대원 및 관공서 담당자들이 수시로 엘리베이터 내부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내부에서 발생하는 각종 범죄행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는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되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51 : 승인 수신부 52 : 영상 수신부
53 : 영상 송신부 54 : 영상 저장부
55 : 제어부

Claims (14)

  1. 각 엘리베이터의 내부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실시간 디지털 영상을 전송받는 영상 수신수단;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영상 수신수단에서 수신한 디지털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 저장수단;
    휴대단말기로부터 엘리베이터의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전송됨에 따라 인증을 수행하여 정상인 경우, 상기 영상 수신수단을 통해 수신되는 해당 엘리베이터 내부의 디지털 영상을 상기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영상 송신수단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영상 수신수단을 통해 수신한 디지털 영상을 상기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상기 영상 송신수단
    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휴대단말기의 고유번호를 식별하여 상기 휴대단말기가 어느 그룹에 속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휴대단말기가 요청한 영상이 해당 그룹에 포함된 엘리베이터의 내부 영상인 경우에, 상기 인증결과를 기반으로 해당 영상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수신수단은,
    상기 카메라로부터 엘리베이터 내부의 실시간 아날로그 영상을 전송받은 경우,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각 엘리베이터 내부에 설치된 승인모듈로부터 승인신호를 전송받는 승인 수신수단
    을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승인 수신수단이 승인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인증결과에 따라 해당 영상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승인 수신수단이 승인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인증결과에 상관없이 해당 영상을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승인모듈은,
    엘리베이터의 탑승자에 의해 눌려지면 승인신호를 전송하는 승인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승인모듈은,
    카드 키를 인증하여 정상적인 사용자인 경우 승인신호를 전송하는 카드 키 인증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이동통신 방식 및 무선랜 방식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통신하는 스마트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기 설치된 방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대상 엘리베이터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전송하고, 해당 엘리베이터의 실시간 내부 영상을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
  10. 영상 수신수단이 각 엘리베이터의 내부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실시간 디지털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단계;
    영상 저장수단이 상기 수신된 디지털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
    제어수단이 휴대단말기로부터 엘리베이터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전송받음에 따라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결과가 정상임에 따라 상기 수신되는 해당 엘리베이터 내부의 디지털 영상을 상기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단계
    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감시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단계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고유번호를 식별하여 상기 휴대단말기가 어느 그룹에 속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기가 요청한 영상이 해당 그룹에 포함된 엘리베이터의 내부 영상인 경우, 상기 인증결과를 기반으로 해당 영상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단말기가 요청한 영상이 해당 그룹에 포함된 엘리베이터의 내부 영상이 아닌 경우, 상기 인증결과에 상관없이 해당 영상을 전송하지 않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감시 방법.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계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엘리베이터 내부의 실시간 아날로그 영상을 전송받은 경우,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감시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승인 수신수단이 각 엘리베이터 내부에 설치된 승인모듈로부터 승인신호를 전송받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감시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단계는,
    상기 승인 수신수단이 승인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어수단이 인증결과에 따라 해당 영상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승인 수신수단이 승인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어수단이 인증결과에 상관없이 해당 영상을 전송하지 않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감시 방법.
KR1020110123811A 2011-11-24 2011-11-24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80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811A KR101280629B1 (ko) 2011-11-24 2011-11-24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811A KR101280629B1 (ko) 2011-11-24 2011-11-24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850A true KR20130057850A (ko) 2013-06-03
KR101280629B1 KR101280629B1 (ko) 2013-07-01

Family

ID=48857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3811A KR101280629B1 (ko) 2011-11-24 2011-11-24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06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288B1 (ko) * 2013-11-25 2014-03-13 구민화 단말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안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WO2015119620A1 (en) * 2014-02-07 2015-08-13 Otis Elevator Company Smart watch for elevator use
US11274016B2 (en) 2018-05-15 2022-03-15 Otis Elevator Company Wireless communication in an elevato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6772A (ja) * 2001-05-07 2002-11-12 Toshiba Elevator Co Ltd 防犯映像管理システム
KR100731188B1 (ko) * 2005-03-30 2007-06-22 한국전자금융 주식회사 네트워크 카메라를 이용한 보안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20100132693A (ko) * 2009-06-10 2010-12-20 주식회사 지박스 원격 감시카메라에서 촬영된 감시영상을 디지털 변환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 가입자에게 발신 또는 수신 되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038370B1 (ko) 2010-11-29 2011-06-15 주식회사 예향텔레콤 스마트폰과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놀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288B1 (ko) * 2013-11-25 2014-03-13 구민화 단말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안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WO2015119620A1 (en) * 2014-02-07 2015-08-13 Otis Elevator Company Smart watch for elevator use
US11274016B2 (en) 2018-05-15 2022-03-15 Otis Elevator Company Wireless communication in an elevato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0629B1 (ko) 2013-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69691A1 (en) System for monitoring door using door phone
CN102915630A (zh) 远程门铃控制系统及其智能门铃装置
EP3148169B1 (en) Intercom system, intercom master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1266937B1 (ko) 도어 개폐를 위한 스마트 장치, 도어 매니저 장치 및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
AU2020239622B2 (en) Hybrid floor terminal for an elevator system
US20220254212A1 (en) Systems and techniques to provide smart access capabilities in a smart system environment
US11465878B2 (en) Visual status indicator for door and lock state
KR102351437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20160134147A (ko)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연동시스템
US20170353322A1 (en) Remote talk down to panel, camera and speaker
KR101841938B1 (ko) 스마트 폰을 이용한 자동 출입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280629B1 (ko)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719883A (zh) 具有访客工作模式的电梯系统
KR20050098180A (ko) 고주파 무선제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20140135901A (ko) 출입통제 단말기의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 관리자 단말기
US20120236147A1 (en) Systems and methods of central station video alarm verification using an on site user video system
KR102459799B1 (ko) 공동 현관문 출입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출입 관리 방법
CN104750073A (zh) 一种安防联动系统
KR10107823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원격소에 위치한 기기를 감시/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WO2020130536A1 (ko) 비콘을 이용한 지능형 호출 시스템
KR101914813B1 (ko)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22039175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通信端末、通信端末の制御方法、及び通信端末の制御プログラム。
KR102517804B1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승강기 내부 영상 표시시스템
KR102142032B1 (ko) 지능형 커뮤니케이션 서버
JP2019196638A (ja) 集合住宅用エントランスドア解錠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の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