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7692A - 구강 치료용 마우스피스 및 이를 갖는 구강 치료장치 - Google Patents

구강 치료용 마우스피스 및 이를 갖는 구강 치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7692A
KR20130057692A KR1020110123563A KR20110123563A KR20130057692A KR 20130057692 A KR20130057692 A KR 20130057692A KR 1020110123563 A KR1020110123563 A KR 1020110123563A KR 20110123563 A KR20110123563 A KR 20110123563A KR 20130057692 A KR20130057692 A KR 20130057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thpiece
oral treatment
oral cavity
oral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3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루트로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루트로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루트로닉
Priority to KR1020110123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7692A/ko
Publication of KR20130057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76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46Dental la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7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using laser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4/00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2204/002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batte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61N2005/0606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2Arrays of di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64Detai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 치료용 마우스피스 및 이를 갖는 구강 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에 삽입되는 몸체와, 몸체로부터 연장되며 환자의 입술과 치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물림되어 구강에 대해 몸체를 지지하는 물림부와,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치료용 빔을 발생하는 빔 생성부와, 빔 생성부와 몸체의 개방 영역 사이에 배치되어 빔 생성부로부터 발생된 빔을 구강 내측으로 균일하게 확장하는 빔 확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몸체 및 물림부의 구조를 가짐으로써 환자가 용이하게 물수 있고, 그리고 구강 내측으로 치료용 빔을 균일하게 조사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치료 효과 상승과 더불어 환자의 치료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구강 치료용 마우스피스 및 이를 갖는 구강 치료장치{MOUTHPIECE FOR TREATING ORAL CAVITY AND APPARATUS FOR TREATING ORAL CAVITY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구강 치료용 마우스피스 및 이를 갖는 구강 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강 및 구강 내측의 상처와 염증치료를 할 수 있는 구강 치료용 마우스피스 및 이를 갖는 구강 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료용 빔, 특히 레이저를 이용한 치료장치는 최근 들어 많이 개발됨과 더불어 널리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치료용 빔은 피부, 안구, 비강 및 구강 등과 같은 다양한 치료 부위에 대해 시술되고 있으며, 괄목할 만한 치료 효과를 입증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치료 부위 중 구강을 치료하는 구강 치료장치는 구강에 치료용 빔을 조사하여 구강의 상처 또는 염증 등을 치료한다. 구강 치료장치는 다양한 파장의 치료용 빔인 레이저를 조사한다.
한편, 종래의 구강 치료장치는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10-0124083호"인 "구강청결과 잇몸질환예방을 위한 레이저조사기의 제조와 활용"에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선행 기술문헌인 "구강청결과 잇몸질환예방을 위한 레이저조사기의 제조와 활용"에는 650nm의 다이오드를 알루미늄 방열판으로 감싸서 열처리하고 405nm의 다이오드 4개를 장착하여 투명 PC 및 투명 실리콘재질의 마우스피스를 통해 적색레이저파장 및 청색레이저파장을 조사하는 특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선행 기술문헌에 개시된 기술적 구성 및 특징은 환자의 구강에서 지지되기 어려운 문제점과 더불어 균일하게 치료용 빔을 구강 내측으로 조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10-0124083호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구강에 대한 지지력을 증가시키고, 구강에 일정하게 치료용 빔을 조사하기 위해 구조가 개선된 구강 치료용 마우스피스 및 이를 갖는 구강 치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구강 치료용 마우스피스에 있어서, 상기 구강에 삽입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며 환자의 입술과 치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물림되어 상기 구강에 대해 상기 몸체를 지지하는 물림부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치료용 빔을 발생하는 빔 생성부와, 상기 빔 생성부와 상기 몸체의 개방 영역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빔 생성부로부터 발생된 빔을 상기 구강 내측으로 균일하게 확장하는 빔 확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치료용 마우스피스에 의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바람직하게 상기 빔 생성부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치료용 빔은 830nm 파장일 수 있다.
상기 빔 생성부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상기 빔 생성부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배치된 LED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는 상기 물림부로부터 상기 구강 내측을 향해 단면적이 확장되는 쐐기형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빔 생성부로부터 조사된 상기 치료용 빔을 확산시킬 수 있다.
상기 물림부는 환자의 입술과 치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물림되는 물림몸체와, 상기 물림몸체의 양측에 상기 물림몸체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고 연장 형성되어 환자의 입술과 치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양측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구강 치료장치에 있어서, 본체와, 환자의 구강 내부에 삽입되는 전술한 구성의 마우스피스와,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마우스피스를 작동하는 신호를 인가하는 입력부와,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인가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마우스피스의 상기 빔 생성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치료장치에 의해서도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본체와 상기 마우스피스는 케이블로 연결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마우스피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가 마련될 수 있다.
반면, 상기 본체와 상기 마우스피스는 무선 통신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마우스피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가 마련되고 상기 마우스피스는 상기 전원공급부와 연결 시 전원이 충전되는 충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와 상기 마우스피스는 각각 상호 무선 통신을 위한 송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치료용 마우스피스 및 이를 갖는 구강 치료장치는 몸체 및 물림부의 구조를 가짐으로써 환자가 용이하게 물수 있고, 그리고 구강 내측으로 치료용 빔을 균일하게 조사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치료 효과 상승과 더불어 환자의 치료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구강 치료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구강 치료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구강 치료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구강 치료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강 치료용 마우스피스 및 이를 갖는 구강 치료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치료장치는 제1 내지 제4실시 예로 구분되며, 제1 및 제2실시 예는 빔 생성부의 구성만 상이하고 동일한 구성을 사용하므로 동일한 도면부호로 기재하고 제3 및 제4실시 예도 제1 및 제2실시 예와 같이 빔 생성부의 구성만 상이하고 동일한 구성을 사용하므로 동일한 도면부호로 기재하였음을 미리 밝혀둔다.
즉,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 예에 따른 구강 치료장치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본 발명의 제3 및 제4실시 예는 제1 및 제2실시 예의 도면부호는 상이하지만 상호 도면부호를 동일하게 사용하였다.
<제1 및 제2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구강 치료장치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구강 치료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치료장치(1)는 구강 치료용 마우스피스(10) 및 본체(50)를 포함한다. 여기서, 환자의 구강에 삽입되는 구강 치료용 마우스피스(10)와 구강 치료용 마우스피스(10)에 전원 및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본체(50)는 케이블에 의해 연결된다.
구강 치료용 마우스피스(10)는 몸체(12), 물림부(14), 빔 생성부(16) 및 빔 확장부(18)를 포함한다. 구강 치료용 마우스피스(10)는 환자의 구강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이에 따라, 구강 치료용 마우스피스(10)는 생체적합성 재질로 제작되어야 하며, 소독이 용이한 제품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그리고, 구강 치료용 마우스피스(10)는 본체(50)에 대해 적어도 하나가 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개 내지 5개의 구강 치료용 마우스피스(10)는 본체(50)에 연결되어 제어될 수 있고, 물론, 구강 치료용 마우스피스(10)의 개수는 본체(50)의 처리 능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몸체(12)는 환자의 구강에 삽입된다. 몸체(12)는 생체적합성 재질, 예를 들면 생체 적합성 실리콘 재질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몸체(12)는 구강에 삽입되며, 내부에는 치료용 빔을 생성하는 빔 생성부(16) 및 빔을 균일하게 확장하는 빔 확장부(18)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몸체(12)는 구강 내측, 즉 환자의 입술로부터 인후 쪽으로 단면적이 더 커지는 쐐기형 단면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렇게, 몸체(12)는 실질적으로 치료용 빔이 조사되는 측이 빔 생성부가 수용된 영역보다 더 넓은 단면적을 가짐으로써, 구강으로 치료용 빔이 보다 확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림부(14)는 몸체(12)로부터 연장되며 환자의 입술에 의해 물림되어 구강에 대해 몸체(12)를 지지한다. 본 발명의 물림부(14)는 물림몸체(14a)와 지지부(14b)를 포함한다. 물림몸체(14a)는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며 환자의 상하 입술에 물림된다. 그리고, 지지부(14b)는 물림몸체(14a)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마련되어 환자의 입술 내외측을 지지한다. 지지부(14b)는 물림몸체(14a)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가진 원판 형상으로 마련된다. 여기서, 물림부(14)는 환자의 입술에 접촉되므로 몸체(12)와 같이 생체적합성 재질로 마련되고, 환자의 입술 움직임에 순응되도록 연성재질 또는 탄성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빔 생성부(16)는 몸체(12)의 내부에 배치되어 치료용 빔을 발생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의 빔 생성부(16)는 레이저 다이오드가 사용된다. 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의 빔 생성부(16)는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LED)가 배치된 LED 모듈이 사용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 예의 빔 생성부(16)는 830nm 파장을 갖는 치료용 빔이 조사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 예의 빔 생성부(16)에서 생성되는 830nm의 파장을 갖는 치료용 빔은 일 실시 예일 뿐, 830nm 파장 미만 또는 초과하는 치료용 빔이 생성될 수도 있다.
빔 확장부(18)는 몸체(12)의 개방 영역, 즉 물림부(14)와 대향된 몸체(12)의 일측부와 빔 생성부(16) 사이에 배치된다. 빔 확장부(18)는 빔 생성부(16)로부터 발생된 빔을 구강 내측으로, 특히 인후 측으로 균일하게 확장한다. 빔 확장부(18)는 빔 생성부(16)로부터 생성된 치료용 빔을 균일하게 하는 시준렌즈와 같은 다양한 공지된 렌즈가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 예의 본체(50)는 구강 치료용 마우스피스(10)와 케이블로 연결된다. 본체(50)는 입력부(52), 전원공급부(54), 구동부(56) 및 제어부(58)를 장착 또는 수용한다. 여기서, 본체(5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구강 치료용 마우스피스(10)가 한 개 연결되나. 한 개를 초과하여 복수개의 구강 치료용 마우스피스(10)가 연결될 수 있다.
입력부(52)는 구강 치료용 마우스피스(10)가 작동되는 작동 신호를 인가한다. 입력부(5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본체(50)에 배치되어 있으나, 구강 치료용 마우스피스(10)에도 배치될 수 있다. 입력부(52)는 단순히 ON 또는 OFF 신호를 인가하는 스위치로 마련될 수 있고, 구강 치료용 마우스피스(10)에서 조사되는 치료용 빔의 세기 또는 파장을 조절할 수 있는 추가 버튼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원공급부(54)는 본체(50) 내부에 배치되어, 구강 치료용 마우스피스(10)의 작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구동부(56)는 입력부(52)로부터 인가된 신호에 기초하여 구강 치료용 마우스피스(10)의 작동을 위한 구동 신호를 발생한다. 정확하게 설명하면, 구동부(56)는 빔 생성부(16)의 작동을 위한 구동 신호를 발생한다.
제어부(58)는 입력부(52)로부터 인가된 작동 신호에 기초하여, 구강 치료용 마우스피스(10)의 빔 생성부(16)의 작동을 제어한다. 정확하게는, 제어부(58)가 입력부(52)로부터 인가된 작동 신호에 기초하여, 빔 생성부(16)의 작동 신호를 제공하는 구동부(56)를 제어하는 것이다. 제어부(58)는 입력부(52)가 단순히 구강 치료용 마우스피스(10)의 작동을 ON 또는 OFF하도록 마련되면 구동부(56)가 ON 또는 OFF의 작동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동부(56)를 제어한다. 반면, 제어부(58)는 입력부(52)가 ON 또는 OFF의 전원 신호이외에 빔 생성부(16)의 파장 및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버튼이 마련되면 구동부(56)가 전원 신호와 조절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동부(56)를 제어할 수 있다.
<제3 및 제4실시 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구강 치료장치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구강 치료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촤 같이, 본 발명의 제3 및 제4실시 예에 따른 구강 치료장치(100)는 구강 치료용 마우스피스(110) 및 본체(1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및 제4실시 예에 따른 구강 치료장치(100)는 제1 및 제2실시 예의 기술적 구성과 유사하나, 본 발명의 제3 및 제4실시 예에 따른 구강 치료장치(100)는 제1 및 제2실시 예와 달리 무선 방식으로 마련된다.
구강 치료용 마우스피스(110)는 몸체(111), 물림부(112), 빔 생성부(113), 빔 확장부(114), 충전부(115), 제1송수신부(116) 및 구동부(117)를 포함한다. 구강 치료용 마우스피스(110)는 제1 및 제2실시 예와 달리, 본체(150)와 케이블로 연결되지 않고 무선 방식으로 작동된다.
몸체(111)는 제1 및 제2실시 예와 같이, 쐐기형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물림부(112)는 몸체(111)의 일측에 물림몸체(112a) 및 지지부(112b)로 구성되어 마련된다. 빔 생성부(113) 및 빔 확장부(114)는 각각 몸체(111)의 내부에 배치되어, 치료용 빔을 생성 및 생성된 치료용 빔을 균일하게 조사한다.
충전부(115)는 몸체(111)의 내부에 배치되어 구강 치료용 마우스피스(110)의 빔 생성부(113)가 작동될 수 있는 전원을 공급한다. 충전부(115)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리튬 충전지가 사용될 수 있다. 충전부(115)는 구강 치료용 마우스피스(110)와 본체(150)의 연결 시 커넥터(미도시)를 통해 전원공급부(154)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는다. 충전부(115)는 몸체(111)의 크기에 순응하여 환자 1명이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의 충전량을 갖는 크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송수신부(116)는 본체(150)로부터 구동신호를 수신하도록 마련된다. 제1송수신부(116)는 몸체(111) 내부에 수용되도록 극소형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송수신부(116)는 본체(150)의 제2송수신부(156)와 양방향 통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부(117)는 몸체(111)의 내부에 배치되어, 제1송수신부(116)로부터 수신된 제어부(158)의 신호에 따라 제어된다. 구동부(117)는 빔 생성부(113)가 작동될 수 있는 구동신호를 발생한다. 구동부(117)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몸체(111) 내부에 배치되나 본체(150)에 배치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본체(150)는 입력부(152), 전원공급부(154), 제2송수신부(156) 및 제어부(158)를 포함한다. 입력부(152)는 제1 및 제2실시 예와 같이, ON 또는 OFF 신호만 인가할 수 있거나, ON 또는 OFF의 전원신호 및 빔 생성부(113)로부터 생성되는 치료용 빔의 파장 및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신호를 인가하는 버튼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전원공급부(154)는 구강 치료용 마우스피스(110)의 충전부(115)의 충전을 위한 구강 치료용 마우스피스(110)와 본체(150)의 연결 시, 충전부(115)로 충전이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제2송수신부(156)는 구강 치료용 마우스피스(110)와 통신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제2송수신부(156)는 제1송수신부(116)와 페어링 되어 본체(150)의 제어부(158)로부터의 신호를 제1송수신부(116)로 전송한다. 제어부(158)는 제1 및 제2실시 예와 같이, 입력부(152)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부(117)의 작동을 제어한다. 제어부(158)는 제1 및 제2실시 예와 상이점이 있다면, 제어부(158)는 구강 치료용 마우스피스(110)와 본체(150)가 통신 가능하도록 제1송수신부(116) 및 제2송수신부(156)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2실시 예에 따른 구강 치료장치(1)에 대해 이하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하기에 앞서, 제1 및 제2실시 예와 제3 및 제4실시 예는 유무선 방식의 차이가 있고, 제1실시 예와 제2실시 예는 빔 생성부(16)의 구성만 차이가 있으므로, 대표적으로 제1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구강의 치료가 필요한 환자는 구강 치료용 마우스피스(1)를 구강으로 삽입한다. 이때, 환자는 자신의 양 입술로 물림부(14) 물어 구강 치료용 마우스피스(1)의 몸체(12)를 지지한다.
시술자는 본체(50)의 입력부(52)에 신호를 인가한다. 그러면, 제어부(58)는 구동부(56)의 작동을 제어하고, 이에 따라 구동부(56)는 구동신호를 구강 치료용 마우스피스(1)의 빔 생성부(16)에 인가하여 빔 생성부(16)를 작동시킨다.
빔 생성부(16)에서 생성된 치료용 빔은 입구가 확장된 쐐기형의 몸체(12)로 확산된다. 그리고, 확산된 치료용 빔은 빔 확장부(18)를 통과하면서 균일하게 구강 내측으로 조사된다.
이에, 몸체 및 물림부의 구조를 가짐으로써 환자가 용이하게 물수 있고, 그리고 구강 내측으로 치료용 빔을 균일하게 조사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치료 효과 상승과 더불어 환자의 치료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100: 구강 치료장치 10, 110: 구강 치료용 마우스피스
12, 111: 몸체 14, 112: 물림부
14a, 112a: 물림몸체 14b, 112b: 지지부
16, 113: 빔 생성부 18, 114: 빔 확장부
50, 150: 본체 52, 152: 입력부
54, 154: 전원공급부 56: 구동부
58, 158: 제어부 115: 충전부
116; 제1송수신부 117: 구동부
156: 제2송수신부

Claims (10)

  1. 구강 치료용 마우스피스에 있어서,
    상기 구강에 삽입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며, 환자의 입술과 치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물림되어 상기 구강에 대해 상기 몸체를 지지하는 물림부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치료용 빔을 발생하는 빔 생성부와;
    상기 빔 생성부와 상기 몸체의 개방 영역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빔 생성부로부터 발생된 빔을 상기 구강 내측으로 균일하게 확장하는 빔 확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치료용 마우스피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 생성부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치료용 빔은 830nm 파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치료용 마우스피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 생성부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치료용 마우스피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 생성부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배치된 LED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치료용 마우스피스.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물림부로부터 상기 구강 내측을 향해 단면적이 확장되는 쐐기형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빔 생성부로부터 조사된 상기 치료용 빔을 확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치료용 마우스피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물림부는,
    환자의 입술과 치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물림되는 물림몸체와;
    상기 물림몸체의 양측에 상기 물림몸체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고 연장 형성되어, 환자의 입술과 치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양측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치료용 마우스피스.
  7. 구강 치료장치에 있어서,
    본체와;
    환자의 구강 내부에 삽입되는 제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의 마우스피스와;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마우스피스를 작동하는 신호를 인가하는 입력부와;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인가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마우스피스의 상기 빔 생성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치료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마우스피스는 케이블로 연결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마우스피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치료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마우스피스는 무선 통신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마우스피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가 마련되고, 상기 마우스피스는 상기 전원공급부와 연결 시 전원이 충전되는 충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치료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마우스피스는 각각 상호 무선 통신을 위한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치료장치.
KR1020110123563A 2011-11-24 2011-11-24 구강 치료용 마우스피스 및 이를 갖는 구강 치료장치 KR201300576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563A KR20130057692A (ko) 2011-11-24 2011-11-24 구강 치료용 마우스피스 및 이를 갖는 구강 치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563A KR20130057692A (ko) 2011-11-24 2011-11-24 구강 치료용 마우스피스 및 이를 갖는 구강 치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692A true KR20130057692A (ko) 2013-06-03

Family

ID=48857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3563A KR20130057692A (ko) 2011-11-24 2011-11-24 구강 치료용 마우스피스 및 이를 갖는 구강 치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7692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727B1 (ko) * 2015-04-08 2015-06-11 이정교 치아 미백장치
KR102025614B1 (ko) 2019-08-02 2019-09-27 주식회사 참사람덴탈 Led 파장대를 활용한 구강 치료기
KR102116453B1 (ko) 2019-10-22 2020-05-28 웰스메디텍 주식회사 구내염 치료기
KR20220118652A (ko) 2021-02-19 2022-08-26 박인수 플렉스블 red oled가 구비된 상부와 하부 가짜 치아 (이빨 커버)로 이루어진 구강치료장치
KR20220138178A (ko) * 2021-04-05 2022-10-1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구인두 광조사 치료장치
KR20240028630A (ko) 2022-08-25 2024-03-05 주식회사 피테크 4파장 레이저 광을 이용한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
KR20240028631A (ko) 2022-08-25 2024-03-05 주식회사 피테크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727B1 (ko) * 2015-04-08 2015-06-11 이정교 치아 미백장치
KR102025614B1 (ko) 2019-08-02 2019-09-27 주식회사 참사람덴탈 Led 파장대를 활용한 구강 치료기
KR102116453B1 (ko) 2019-10-22 2020-05-28 웰스메디텍 주식회사 구내염 치료기
WO2021080072A1 (ko) 2019-10-22 2021-04-29 웰스메디텍 주식회사 구내염 치료기
KR20220118652A (ko) 2021-02-19 2022-08-26 박인수 플렉스블 red oled가 구비된 상부와 하부 가짜 치아 (이빨 커버)로 이루어진 구강치료장치
KR20220138178A (ko) * 2021-04-05 2022-10-1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구인두 광조사 치료장치
WO2022215861A1 (ko) * 2021-04-05 2022-10-13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구인두 광조사 치료장치
KR20240028630A (ko) 2022-08-25 2024-03-05 주식회사 피테크 4파장 레이저 광을 이용한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
KR20240028631A (ko) 2022-08-25 2024-03-05 주식회사 피테크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57692A (ko) 구강 치료용 마우스피스 및 이를 갖는 구강 치료장치
US8317848B1 (en) Vestibular implant and method for optical stimulation of nerves
CN104379087B (zh) 口内光疗装置及其使用方法
JP2021049323A (ja) 口内光線療法デバイス
US9974630B2 (en) Laser orthodontic devices
KR101478118B1 (ko) 구강 삽입형 광 치료장치
CN113226457A (zh) 口腔炎治疗仪
KR101448860B1 (ko) 유브이 및 레이저 복합형 휴대용 핸드피스 치료 장치
WO2010060097A3 (en) Photothermal treatment of soft tissues
US200900293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hitening teeth
KR101543270B1 (ko) 구강 삽입형 광 치료 장치
EP1853347A4 (en) LIGHT THERAPEUTIC DEVICE FOR THE TREATMENT OF BONE DISORDERS AND BIO TIMULATION OF BONES AND SOFT PARTS
KR20110132688A (ko) 이동식 치주질환 광치료장치
KR101554721B1 (ko) 구강용 광조사 장치
IT201800005693A1 (it) Apparecchiatura per trattamenti biofotonici tissutali
KR20120055000A (ko) 개방형 귀 치료 모듈
KR20150037007A (ko) 광섬유 발광시트를 이용한 광요법 치료모자
KR20120079828A (ko) 세척기 복합형의 이동식 치주질환 광치료 장치 및 그 작동방법
KR102151527B1 (ko) 마우스피스형 광 조사장치
KR20230106028A (ko) 치아와 치아사이 잇몸 국소 부위용 광조사기
KR102137124B1 (ko) 레이저 치과 치료기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치과 치료 시스템
WO2013172859A1 (en) Apparatus for maintaining treatment of peripheral neuropathy
KR20210074750A (ko) 광조사부가 구비된 구강 치료 장치
KR20210008961A (ko) 교정촉진수단이 설치된 얼라이너 교정장치
WO2023186737A1 (en) Photodynamic light therapy apparatus and methods for treating oral dise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