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7663A -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57663A KR20130057663A KR1020110123522A KR20110123522A KR20130057663A KR 20130057663 A KR20130057663 A KR 20130057663A KR 1020110123522 A KR1020110123522 A KR 1020110123522A KR 20110123522 A KR20110123522 A KR 20110123522A KR 20130057663 A KR20130057663 A KR 2013005766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system
- gis
- information
- facilities
- facilit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3/00—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 G01R13/02—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for displaying measured electric variables in digital form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1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using digital techniqu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또한, 본 발명은 무의미한 다수의 관련 데이터 제거 및 중복 데이터를 병합시키는 동적 모델링의 실시로 보다 효과적이면서 공학적으로 양산된 전력계통도를 2차원 그래픽 또는 3차원 그래픽으로 다양하게 구현함을 통해 전력계통도와 관련된 다양한 영상들을 실시간으로 보고자 하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 2는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가 도시된 전력계통도를 한 화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가 도시된 전력계통도를 좀 더 자세히 나타낸 다른 도면이다.
도 4는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가 도시된 전력계통도를 더욱 확대시켜 나타낸 또 다른 도면이다.
도 5는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가 비옥하게 배치된 전력계통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일예를 들어 서로 다른 전력계통 설비간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전력계통도이다.
도 7은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를 3D 형태로 화면 표출시킨 전력계통도이다.
도 8은 전력계통 설비를 GIS 상에서 2D로 형상화시키는데 사용되는 Vector graphic 를 소개한 도면이다.
도 9는 기동 중인 발전기와 정지 중인 발전기를 도식화시킨 도면이다.
도 10은 기동 중인 S.C와 정지 중인 S.C를 도식화시킨 도면이다.
도 11은 송전탑 위치정보 파악으로 GIS상에 표현되는 선로 모양을 형상화시킨 도면이다
도 12는 송전탑 위치정보를 파악으로 송전선로를 GIS 상에서 3차원 그래픽으로 구현시킨 도면이다.
도 13은 송전탑 위치정보를 파악으로 송전선로를 GIS 상에서 3차원 그래픽으로 구현시킨 다른 도면이다.
도 14는 송전탑 위치를 기준으로 연결된 송전선로를 GIS 상에서 구현시킨 도면이다.
도 15는 GIS 상에 2D나 3D로 표기되는 선로 및 모션에 관한 특성상태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선로 양단 모션의 공칭 전압에 따라 2차원 그래픽으로 달리 표현되는 선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전력 조류 흐름이 애니메이션 형태로 동적 모델링된 도면이다.
도 18은 양산된 전력이 수도권과 대도시로 흘러들어가는 실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양산된 전력이 수도권과 대도시로 흘러들어가는 실제 모습을 좀 더 구체적으로 도시한 상세도면이다.
도 20은 선로 부하율 크기에 따라 색상 또는 높이를 달리해 2D 혹은 3D 형태로 표현된 도면이다.
도 21은 전력계통 설비와 특성상태 정보가 3D로 구현된 도면이다.
도 22는 변전소별 부하량, 발전소별 부하량을 3D 막대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Vector graphic를 이용하여 전력계통 설비에 대한 특성상태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전력계통 설비에 대한 특성상태 정보(a), 모션정보(b) 및 선로정보(c)를 각기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00 : 정보 취득부 110 :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DB)
200 : 전력계통 분석부 250 : GIS(지리정보시스템)
300 : 위치 결정부 400 : 전력계통 설비 구현부
500 : 정보 표시부
Claims (23)
- 전력계통 구성정보를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입수하는 정보 취득부;
상기 전력계통 구성정보로부터 확인되는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 간의 연결 관계를 분석하여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가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상에서 하나의 설비망으로 모델링된 전력계통도를 생성하는 전력계통 분석부;
상기 전력계통도에 도시될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 간의 연결 방향 및 상호 연관 관계를 파악해 상기 GIS 상에 구성되는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와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 간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
상기 위치 결정된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를 상기 GIS 상에서 2차원 그래픽 또는 3차원 그래픽으로 구현시키는 전력계통 설비 구현부; 및
상기 전력계통도와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에 대한 각각의 특성상태 정보를 상기 GIS 상에 표시하는 정보 표시부를 포함하는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 정보 취득부는,
상기 전력계통 구성정보를 기설정된 지정시간을 주기로 하여 상기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 위치 결정부는,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 간의 연결 방향 및 상호 배치 관계를 고려해 계산된 GIS 표준좌표 테이블을 생성한 후,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가 상기 GIS 상에서 서로 미교차되거나 미중첩되도록 상기 GIS 상에 배치될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의 상대적 위치를 상기 GIS 표준좌표 테이블을 참조해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그래픽 구현은,
상기 GIS 상에서 Image, Symbol 및 Vector graphic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를 2D 형태로 화면 표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그래픽 구현은,
상기 GIS 상에 3D Model, Line, Cube 및 Cylinder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를 3D 형태로 화면 표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상태 정보는,
상기 GIS 상에서 2D 또는 3D 형태로 표시될 뿐만 아니라, 색상변경이나 크기변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계통 설비 구현부는,
상기 선로 상에 놓인 송전탑 위치정보가 상기 위치 결정부에 의해 파악됨에 따라, 상기 전력계통 설비 양단을 직선으로 연결하는 방법 및 상기 송전탑 위치정보를 이용해 상기 선로의 모양을 도식화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선로 및 상기 선로의 모양을 상기 GIS상에서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 상기 전력계통 설비 구현부는,
상기 특성상태 정보 중 하나인 전력조류 정보로부터 파악되는 전력 조류가 상기 2차원 그래픽 또는 3차원 그래픽으로 표현된 선로 상에서 흘러가도록 애니메이션 형태로 구현하고, 상기 전력 조류의 크기에 따라 색상을 달리하는 상기 전류 조류를 상기 선로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
- 제 8 항에 있어, 상기 전력계통 설비 구현부는,
상기 특성상태 정보 중 다른 하나인 선로 부하율을 크기에 따라 색상을 달리해 구별하고, 상기 선로 부하율을 상기 선로에 수직인 방향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 상기 전력계통 설비 구현부는,
상기 특성상태 정보 중 또 다른 하나인 설비 제한치가 기설정된 기준제한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색상 변화, 크기 변화, Image, Vector graphic, Marker, 3D Mode 및 에니메이션 기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를 대상으로 상기 설비 제한치의 위반사항을 상기 GIS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 상기 전력계통 설비 구현부는,
상기 특성상태 정보 중 설비 발전량, 설비 사용율 또는 설비 부하량을 크기에 따라 색상을 달리해 구별하고, 상기 설비 발전량, 설비 사용율 또는 설비 부하량을 출력하는 당해 전력계통 설비의 수직 방향으로 상기 설비 발전량, 설비 사용율 또는 설비 부하량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 상기 정보 표시부는,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에 대한 모션 심볼릭(Motion Symbolic), 모션의 특성상태를 나타내는 모션정보 및 선로의 특성상태를 나타내는 선로정보를 상기 GIS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
- 제 12 항에 있어, 상기 정보 표시부는,
상기 전력계통 설비가 단일로 형성된 경우이면 상기 모션 정보와 상기 전력계통 설비에 대한 특성상태 정보를 상기 GIS 상에 표시하고, 상기 전력계통 설비가 복수로 연결된 경우이면 복수의 전력계통 설비에 대한 특성상태 정보, 상기 전력계통 설비 양단에 연결된 모션정보 및 선로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
- 정보 취득부가 전력계통 구성정보를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입수하는 단계;
전력계통 분석부가 상기 전력계통 구성정보로부터 확인되는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 간의 연결 관계를 분석하여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가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상에서 하나의 설비망으로 모델링된 전력계통도를 생성하는 단계;
위치 결정부가 상기 전력계통도에 도시될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 간의 연결 방향 및 상호 연관 관계를 파악해 상기 GIS 상에 구성되는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와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 간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전력계통 설비 구현부가 상기 위치 결정된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를 상기 GIS 상에서 2차원 그래픽 또는 3차원 그래픽으로 구현시키는 단계; 및
정보 표시부가 상기 전력계통도와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에 대한 각각의 특성상태 정보를 상기 GIS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의 구동방법.
- 제 14 항에 있어, 정보 취득부가,
상기 전력계통 구성정보를 기설정된 지정시간을 주기로 하여 상기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함하는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의 구동방법.
- 제 14 항에 있어, 위치 결정부가,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 간의 연결 방향 및 상호 배치 관계를 고려해 계산된 GIS 표준좌표 테이블을 생성한 후,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가 상기 GIS 상에서 서로 미교차되거나 미중첩되도록 상기 GIS 상에 배치될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의 상대적 위치를 상기 GIS 표준좌표 테이블을 참조해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의 구동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가 상기 선로 상에 놓인 송전탑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계통 설비 구현부가 상기 전력계통 설비 양단을 직선으로 연결하는 방법 및 상기 송전탑 위치정보를 이용해 상기 선로의 모양을 도식화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선로 및 상기 선로의 모양을 상기 GIS상에서 구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의 구동방법.
- 제 14 항에 있어, 상기 전력계통 설비 구현부가,
상기 특성상태 정보 중 하나인 전력조류 정보로부터 파악되는 전력 조류가 상기 2차원 그래픽 또는 3차원 그래픽으로 표현된 선로 상에서 흘러가도록 애니메이션을 구현시키고, 상기 전력 조류의 크기에 따라 색상을 달리하는 상기 전류 조류를 상기 선로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의 구동방법.
- 제 18 항에 있어, 상기 전력계통 설비 구현부가,
상기 특성상태 정보 중 다른 하나인 선로 부하율을 크기에 따라 색상을 달리해 구별한 후, 상기 선로 부하율을 상기 선로에 수직인 방향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의 구동방법.
- 제 14 항에 있어, 상기 전력계통 설비 구현부가,
상기 특성상태 정보 중 또 다른 하나인 설비 제한치가 기설정된 기준제한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색상 변화, 크기 변화, Image, Vector graphic, Marker, 3D Mode 및 에니메이션 기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를 대상으로 상기 설비 제한치의 위반사항을 상기 GIS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의 구동방법.
- 제 14 항에 있어, 상기 전력계통 설비 구현부가,
상기 특성상태 정보 중 설비 발전량, 설비 사용율 또는 설비 부하량을 크기에 따라 색상을 달리해 구별한 후, 상기 설비 발전량, 설비 사용율 또는 설비 부하량을 출력하는 당해 전력계통 설비의 수직 방향으로 상기 설비 발전량, 설비 사용율 또는 설비 부하량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의 구동방법.
- 제 14 항에 있어, 상기 정보 표시부가,
상기 다수의 전력계통 설비에 대한 모션 심볼릭(Motion Symbolic), 모션의 특성상태를 나타내는 모션정보 및 선로의 특성상태를 나타내는 선로정보를 상기 GIS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의 구동방법.
- 제 22 항에 있어,
전력계통 설비가 단일로 형성된 경우이면, 상기 정보 표시부가 상기 모션 정보와 상기 전력계통 설비에 대한 특성상태 정보를 상기 GIS 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
전력계통 설비가 복수로 연결된 경우이면 상기 정보 표시부가 상기 복수의 전력계통 설비에 대한 특성상태 정보, 상기 전력계통 설비 양단에 연결된 모션정보 및 선로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의 구동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23522A KR101274168B1 (ko) | 2011-11-24 | 2011-11-24 |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23522A KR101274168B1 (ko) | 2011-11-24 | 2011-11-24 |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57663A true KR20130057663A (ko) | 2013-06-03 |
KR101274168B1 KR101274168B1 (ko) | 2013-06-13 |
Family
ID=48857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23522A Active KR101274168B1 (ko) | 2011-11-24 | 2011-11-24 |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74168B1 (ko)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200274A1 (ko) * | 2013-06-12 | 2014-12-18 | 주식회사 아이뱅크컨설턴츠 | 모바일 지아이에스 공간정보 제공방법 및 모바일 지아이에스 공간정보 제공 시스템 |
KR101503703B1 (ko) * | 2013-09-30 | 2015-03-19 | 한국전력공사 | 전력 계통 시각화 장치 및 방법 |
KR101505073B1 (ko) * | 2013-10-30 | 2015-03-23 |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 변전소의 사활선 표시 시스템 및 그 방법 |
CN107064686A (zh) * | 2017-04-25 | 2017-08-18 |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 一种异常断电判断方法、装置及系统 |
CN108171616A (zh) * | 2017-11-29 | 2018-06-15 | 南京南瑞信息通信科技有限公司 | 一种三维电网应用平台 |
CN109120069A (zh) * | 2018-10-15 | 2019-01-01 |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临沧供电局 | 一种配电网运维管控平台及方法 |
CN111915726A (zh) * | 2019-05-10 | 2020-11-10 | 中国电力科学研究院有限公司 | 一种架空输电线路三维场景的构建方法 |
CN112952799A (zh) * | 2021-01-29 | 2021-06-11 |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科学研究院 | 一种用于配电网智能运维的台账信息动态建模方法 |
US20220052552A1 (en) * | 2019-04-26 | 2022-02-17 |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 System for designing a low-voltage distribution network at a secondary unit substation |
KR20220092279A (ko) * | 2020-12-24 | 2022-07-01 | 주식회사 크로커스 | 전력 계통의 시각적 추상화 분석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80685B1 (ko) | 2015-07-09 | 2019-05-22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전력 계통 해석 장치 및 전력 계통 해석 방법 |
KR102820598B1 (ko) * | 2023-08-09 | 2025-06-17 | 주식회사 플럭시티 | 디지털 트윈 기반의 에너지 물리량 시각화를 제공하는 전력계통 관제 방법 및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65238B1 (ko) | 1999-12-30 | 2002-12-18 | 한국전력공사 | 배전계통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
KR101064509B1 (ko) * | 2009-05-14 | 2011-09-14 |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 지리 정보 기반 전력 계통 데이터의 전력 계통 해석 시스템 및 해석 방법 |
-
2011
- 2011-11-24 KR KR1020110123522A patent/KR101274168B1/ko active Active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200274A1 (ko) * | 2013-06-12 | 2014-12-18 | 주식회사 아이뱅크컨설턴츠 | 모바일 지아이에스 공간정보 제공방법 및 모바일 지아이에스 공간정보 제공 시스템 |
KR101503703B1 (ko) * | 2013-09-30 | 2015-03-19 | 한국전력공사 | 전력 계통 시각화 장치 및 방법 |
KR101505073B1 (ko) * | 2013-10-30 | 2015-03-23 |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 변전소의 사활선 표시 시스템 및 그 방법 |
CN107064686A (zh) * | 2017-04-25 | 2017-08-18 |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 一种异常断电判断方法、装置及系统 |
CN108171616A (zh) * | 2017-11-29 | 2018-06-15 | 南京南瑞信息通信科技有限公司 | 一种三维电网应用平台 |
CN109120069A (zh) * | 2018-10-15 | 2019-01-01 |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临沧供电局 | 一种配电网运维管控平台及方法 |
US20220052552A1 (en) * | 2019-04-26 | 2022-02-17 |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 System for designing a low-voltage distribution network at a secondary unit substation |
CN111915726A (zh) * | 2019-05-10 | 2020-11-10 | 中国电力科学研究院有限公司 | 一种架空输电线路三维场景的构建方法 |
CN111915726B (zh) * | 2019-05-10 | 2024-03-19 | 中国电力科学研究院有限公司 | 一种架空输电线路三维场景的构建方法 |
KR20220092279A (ko) * | 2020-12-24 | 2022-07-01 | 주식회사 크로커스 | 전력 계통의 시각적 추상화 분석 방법 |
CN112952799A (zh) * | 2021-01-29 | 2021-06-11 |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科学研究院 | 一种用于配电网智能运维的台账信息动态建模方法 |
CN112952799B (zh) * | 2021-01-29 | 2023-06-23 |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科学研究院 | 一种用于配电网智能运维的台账信息动态建模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74168B1 (ko) | 2013-06-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74168B1 (ko) | Gis 기반의 전력계통 동적 모델링 및 시각화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 |
CN106802993B (zh) | 一种在三维场景下电网潮流运行的展现方法 | |
CN103837796B (zh) | 一种基于Web和GIS的输电线路故障可视化通报方法及系统 | |
CN103093663B (zh) | 水电站三维精确建模及可视化仿真培训系统及其实施方法 | |
CN105225566B (zh) | 一种电网应急演练可视化仿真推演系统 | |
CN103066698B (zh) | 在调配系统中自动生成可视化的电网潮流图的实现方法 | |
CN102169412A (zh) | 电网实时三维可视化系统 | |
CN109214653A (zh) | 基于三维实景的b、c类区域中压电网规划设计平台 | |
CN106410965A (zh) | 一种基于接线图的智能低压配用电监控系统 | |
Manchado et al. | Visibility analysis and visibility software for the optimisation of wind farm design | |
CN103699960B (zh) | 一种中压配电网运行态势可视化方法 | |
CN105139714A (zh) | 一种电气化铁路牵引变电所的可视化仿真培训系统及方法 | |
CN110504754A (zh) | 一种基于地理信息自动生成三维分层结构的电网监控方法 | |
CN103679559A (zh) | 可视化电网系统及其故障辨识方法 | |
CN108711329A (zh) | 输电线路带电作业中进入等电位的模拟训练系统及方法 | |
CN104682560B (zh) | 一种配电网模型异动的图形化校核方法 | |
WO2012069562A1 (en) |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control of an industrial system | |
CN105929770B (zh) | 一种基于cim模型的变电站运行工况可视化方法 | |
CN102194058B (zh) | 基于广域测量系统wams的电网安全稳定可视化方法 | |
CN108133510A (zh) | 高压输电线路等电位带电作业吊篮法进入模拟系统及方法 | |
CN108074280A (zh) | 高压输电线路等电位带电作业模拟吊篮移动轨迹的方法 | |
CN102946069A (zh) | 特高压输电线路三维可视化智能监控系统 | |
CN104766362A (zh) | 一种3d能耗展示方法、装置及系统 | |
CN205721989U (zh) | 一种基于虚拟仿真技术的3d变电站全景实时调控系统 | |
CN104240461A (zh) | 一种电力系统智能告警三维图形动态展示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1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0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6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6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6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2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53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