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6878A - 침대 은폐형 다용도 가구 - Google Patents

침대 은폐형 다용도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6878A
KR20130056878A KR1020130029579A KR20130029579A KR20130056878A KR 20130056878 A KR20130056878 A KR 20130056878A KR 1020130029579 A KR1020130029579 A KR 1020130029579A KR 20130029579 A KR20130029579 A KR 20130029579A KR 20130056878 A KR20130056878 A KR 20130056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rail
access
space
concea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9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환
Original Assignee
김진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환 filed Critical 김진환
Priority to KR1020130029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6878A/ko
Publication of KR20130056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68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52Cabinet beds; Table beds, or like beds; Wardrobe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52Cabinet beds; Table beds, or like beds; Wardrobe beds
    • A47C17/58Cabinet beds; Table beds, or like beds; Wardrobe beds with extensible mattress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47C19/025Direct mattress support frames, Cross-ba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1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everal cushions, mattresses or the like, to be put together in one cov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대 은폐형 다용도 가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책상 및 책꽂이를 비롯한 수납장 기능과, 침대를 분리 가능하게 은폐하여 수납시킬 수 있도록 새로운 구조의 침대 은폐형 다용도 가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단 일측공간의 책상 및 책꽂이와, 상단 타측공간의 수납장과, 하단공간의 침대 은폐장이 일체형 구조로 제작된 가구본체와; 상기 침대 은폐장의 상판 및 좌우측판이 이루는 은폐공간내에 침대의 분리 및 은폐 이송을 위하여 이단 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중 프레임 구조물과; 상기 이중 프레임 구조물 위에 접힘 가능하게 적재되는 침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은폐형 다용도 가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침대 은폐형 다용도 가구{Furniture having hidden type bed}
본 발명은 침대 은폐형 다용도 가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책상 및 책꽂이를 비롯한 수납장 기능과, 침대를 분리 가능하게 은폐하여 수납시킬 수 있도록한 새로운 구조의 침대 은폐형 다용도 가구에 관한 것이다.
실내 면적 및 공간에 제약이 많은 주거 공간(예를 들어, 고시원 룸, 자취를 위한 원룸 형태 등)에는 책상, 침대, 수납장(장롱) 등을 별도로 배치할 경우, 실제생활을 위한 동선 및 공간이 부족하여 매우 불편함을 느낄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취침시에만 펼칠 수 있는 접이식 침대가 출시되고 있지만, 침대가 차지하는 면적만을 줄일 수 있을 뿐, 책상 및 책꽂이, 수납장이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지 못함에 따라, 공간적 불편함을 해소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제한된 실내 공간을 보다 폭넓게 활용하기 위한 방편으로 책상과 침대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제시되어 있는데, 그 일례로서 등록특허(10-0669365(2007,01,09))에는 침대 겸용 책상이 개시되어 있고, 등록특허(10-0418123(2004,01,29)에는 책상이 구비된 침대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침대가 평상시에도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침대에 먼지 등이 계속 쌓일 수밖에 없고, 또한 별도의 수납장이 없어 협소한 주거공간에 대한 맞춤 가구로서 부족한 면이 있다.
또한, 공개특허(2005-0092353(2005,09,21))에는 수납장과 책상을 겸비한 침대가 개시되어 있지만, 마찬가지로 침대가 항상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먼지 등이 쌓이는 단점이 있고, 수납장이 협소하여 좁은 주거공간에 대한 맞춤 가구로서 부족한 면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상단 일측공간은 책상 및 책꽂이로 구비하고, 상단 타측공간은 수납장으로 구비하며, 하단공간은 침대를 분리 가능하게 은폐시킬 수 있는 은폐공간으로 구비하여, 협소한 주거공간에 대한 맞춤형 가구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침대 은폐형 다용도 가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단 일측공간의 책상 및 책꽂이와, 상단 타측공간의 수납장과, 하단공간의 침대 은폐장이 일체형 구조로 제작된 가구본체와; 상기 침대 은폐장의 상판 및 좌우측판이 이루는 은폐공간내에 침대의 분리 및 은폐 이송을 위하여 이단 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단 출입용 프레임 구조물과; 상기 이단 출입용 프레임 구조물 위에 접힘 및 펼침 가능하게 적재되는 침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은폐형 다용도 가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이단 출입용 프레임 구조물은: 상기 은폐공간을 이루는 좌우측판 하단에 장착되는 직사각틀과, 이 직사각틀의 양측단 상면에 전후방향을 따라 장착되는 제2랙으로 구성되는 고정구조체; 골격 역할을 하는 제1골격틀과, 제1골격틀의 상부에 얹혀져 고정되는 침대지지판과, 제1골격틀의 후단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제1고정프레임의 제2랙에 맞물리는 제1피니언과, 제1골격틀의 저면 양측부에 전후방향을 따라 장착되는 한 쌍의 제1랙과, 제1골격틀의 저부에서 제1랙의 바깥쪽 위치에 구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롤러로 구성되는 제1출입구조체; 골격 역할을 하는 제2골격틀과, 제2골격틀의 후단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제1출입구조체의 제1랙에 맞물리는 제2피니언과, 제2골격틀의 전단부에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접힘 가능하게 힌지 장착되어 은폐공간을 가려주는 동시에 펼쳐진 침대를 지지해주는 전판과, 제2골격틀의 전단부 양측 저면에 구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롤러로 구성되는 제2출입구조체;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이단 출입용 프레임 구조물은: 상기 은폐공간을 이루는 좌우측판 하단에 장착되는 레일고정체와, 레일고정체 상면에 고정되는 제1고정레일로 구성되는 고정구조체; 직사각 판체의 침대지지판과, 침대지지판의 양측단 저면에 장착되어 제1고정레일과 제1중간슬라이딩 레일을 매개로 인출입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이송레일과, 침대지지판의 저면에서 제1이송레일의 안쪽 위치에 장착되는 레일고정체와, 레일고정체의 저면에 고정되는 제2고정레일과, 침대지지판의 저면 양측에 구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롤러와, 침대지지판의 전단면에는 걸림턱 역할을 하도록 일체로 부착되는 거치대로 구성되는 제1출입구조체; 골격 역할을 하는 골격로드와, 골격로드의 양측 저면에 구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롤러와, 골격로드의 상단부에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접힘 가능하게 힌지 장착되어 은폐공간을 가려주는 동시에 펼쳐진 침대를 지지해주는 전판과, 골격로드의 후면 양측에 장착되어 제2고정레일과 제2중간슬라이딩 레일을 매개로 인출입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이송레일로 구성되는 제2출입구조체;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은폐공간내의 천정면 모서리 부분에는 책상 및 수납장의 하중을 보강하기 위한 직사각틀 형상의 보강구조체가 더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이단 출입용 프레임 구조물의 제2골격틀의 전단부에 가스쇼바 실린더가 힌지 장착되고, 상기 전판의 후면에는 가스쇼바의 피스톤로드가 힌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침대는: 제1출입구조체의 침대지지판에 안착 고정되는 내측침대와; 내측침대 위에 적층되거나, 제2출입구조체의 수평 접힘된 상태의 전판 위에 펼쳐지는 외측침대;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구본체의 책상은 책상 상판과, 책상 상판의 아래쪽 공간내에 출입 가능하게 내설되는 서랍판과, 서랍판의 내부공간에 인출입 가능하게 내설되는 무릅 서랍을 포함하는 것으로 채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단 일측공간의 책상 및 책꽂이와, 상단 타측공간의 수납장과, 하단공간의 침대 은폐장이 일체형 구조로 제작된 가구본체로 구성하되, 침대 은폐장내에 이단 출입 가능한 이단 출입용 프레임 구조물을 설치하여 침대의 인출 및 은폐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책상 및 책꽂이와, 수납장과, 침대 은폐장을 일체형 구조로 구비하고, 침대은폐장내에 침대를 은폐 저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협소한 주거공간에 대한 맞춤형 가구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침대 사용시 2단 인출입 동작에 의하여 침대를 꺼내어 쉽게 펼칠 수 있으므로, 협소한 공간에서도 짧은 시간내에 안락한 수면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침대 은폐형 다용도 가구의 외관 및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 은폐형 다용도 가구의 침대 은폐 및 인출을 위한 이단 출입용 프레임 구조물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내지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이단 출입용 프레임 구조물에 의하여 침대 은폐 및 인출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설명하는 측단면도,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침대 은폐형 다용도 가구의 침대 은폐 및 인출을 위한 이단 출입용 프레임 구조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 내지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의 이단 출입용 프레임 구조물에 의하여 침대 은폐 및 인출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설명하는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 은폐형 다용도 가구의 책상 구조를 설명하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실내 면적 및 공간에 제약이 많은 주거 공간을 고려하여, 책상, 침대, 수납장(장롱) 등을 일체로 구조로 제작한 점, 특히 책상 및 수납장의 아래쪽 공간에 침대 은폐장을 일체형 구조로 제작하여 침대 사용시 침대 은폐장으로부터 인출시켜 사용하고, 미사용시 침대은폐장에 다시 은폐 가능하게 수납시킬 수 있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다용도 가구로서, 첨부한 도 1 및 도 2에서 보듯이 상단 일측공간의 책상(102) 및 책꽂이(104)와, 상단 타측공간의 수납장(110)과, 하단공간의 침대 은폐장(120)이 일체로 구조로 제작된 가구본체(100)를 제공하고, 침대 은폐장(120)내에는 이단 출입용 프레임 구조물(200,300)을 매개로 침대(400)가 인출입 가능하게 수납된다.
상기 침대 은폐장(120)은 책상(102) 및 수납장(110)의 하부공간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판(122) 및 좌우측판(124,126)으로 구성되고, 상판(122) 및 좌우측판(124,126)에 의하여 형성되는 은폐공간(128)내에 침대(400)가 수납된다.
특히, 상기 침대(400)는 은폐공간(128)내에 설치되는 이단 출입용 프레임 구조물(200,300)에 의하여 사용시 바깥쪽으로 인출되고, 미사용시 은폐공간(128)내로 이송되어 은폐 저장된다.
이때, 상기 은폐공간(128)내의 천정면 즉, 상판(122)의 모서리 부분에는 책상(102) 및 수납장(110)으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을 견디기 위한 보강수단으로서, 직사각틀 형상의 보강구조체(130)가 일체로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구본체(100)의 책상(102)은 여러가지 형태로 설계 가능하나, 첨부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협소한 주거공간에서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가구본체(100)내에 책상 상판(103)이 위치하고, 책상 상판(103)의 아래쪽 공간내에 서랍판(105) 및 무릅 서랍(106)이 출입 가능하게 장착된 형태의 것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단 출입용 프레임 구조물에 대한 구성을 첨부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단 출입용 프레임 구조물(200)은 침대 은폐장(120)의 은폐공간(128)내에 랙과 피니언 구동방식으로 설치되어, 침대를 바깥쪽으로 이단 인출하거나 은폐공간(128)내에 은폐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먼저, 침대 은폐장(120)의 은폐공간(128)을 이루는 좌우측판(124,126) 하단에 고정구조체(210)가 장착된다.
상기 고정구조체(210)는 목재 또는 금속재로 된 여러개의 일자형 프레임을 서로 다른 길이의 것으로 구비하여 상호 조립시킨 직사각틀(212)과, 이 직사각틀(212)의 양측단 상면에 전후방향을 따라 장착되는 제2랙(214)으로 구성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구조체(210)의 직사각틀(212)의 양측단쪽 프레임의 측면이 침대 은폐장(120)의 좌우측판(124,126) 하단 내면에 일체로 조립되고, 이때 직사각틀(212)의 양측단쪽 프레임의 상면에는 제2랙(214)이 전후방향을 따라 일체로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구조체(210)에 제1출입구조체(220)가 인출입 가능하게 얹혀진다.
상기 제1출입구조체(220)는 목재 또는 금속재로 된 여러개의 일자형 프레임을 서로 다른 길이의 것으로 구비하여 상호 조립시킨 직사각틀 형상의 제1골격틀(221)를 골격체로 하고, 이 제1골격틀(221)의 상부에는 침대(400)가 적층 가능하게 올려지는 침대지지판(222)이 얹혀져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1골격틀(221)의 후단 양측면에는 고정구조체(210)의 제2랙(214)에 맞물리는 제1피니언(223)이 자유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제1골격틀(221)의 저면 양측부에는 수직 절곡된 형태의 안내프레임(226)이 일체로 조립되어, 하기의 제2출입구조체(230)의 제2피니언(232)의 이송경로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상기 안내프레임(226) 위쪽의 제1골격틀(221) 저면에는 하기의 제2출입구조체(230)의 제2피니언(232)과 맞물리는 한 쌍의 제1랙(224)이 전후방향을 따라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제1골격틀(221)의 앞단 양측 저면 즉, 각 제1랙(224)의 전단부 바깥쪽 위치에는 제1롤러(225)가 장착되며, 이 제1롤러(225)는 제1출입구조체(220)의 출입 이동시 바닥에 지지되어 구름 운동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제1출입구조체(220)에는 제2출입구조체(230)가 출입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2출입구조체(230)도 목재 또는 금속재로 된 여러개의 일자형 프레임을 서로 다른 길이의 것으로 구비하여 상호 조립시킨 직사각틀 형상의 제2골격틀(231)를 골격체로 한다.
상기 제2골격틀(231)의 후단 양측에는 제1출입구조체(220)의 제1랙(224)에 맞물리는 동시에 안내프레임(226)을 따라 이송되는 제2피니언(232)이 자유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특히, 상기 제2골격틀(231)의 전단부에는 전판(233)이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접힘 가능하게 힌지 장착되는 바, 이 전판(233)은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 침대은폐장(120)의 은폐공간(128)을 가려주는 역할을 하고, 수평으로 펼쳐지게 되면 침대(400)를 지지해주는 지지판 역할을 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첨부한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골격틀(231)의 전단부에 가스쇼바(240)의 실린더(242)가 힌지 장착되고, 전판(233)의 후면에는 가스쇼바(240)의 피스톤로드(244)가 힌지 장착되어, 전판(233)이 수직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각회전할 때의 충격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골격틀(231)의 전단부 양측 저면에는 제2출입구조체(230)의 출입 이동시 바닥면에 지지되며 구름 운동하는 제2롤러(234)가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단 출입용 프레임 구조물에 대한 작동 흐름을 첨부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침대 은폐장(120)의 은폐공간(128)내에 침대(400)를 비롯하여 제1 및 제2출입구조체(220,230)가 존재하는 동시에 제2출입구조체(230)의 전판(233)이 수직으로 세워져 은폐공간(128)을 가려주는 상태에서, 침대를 인출시키기 위하여 제2출입구조체(230)의 전판(233)을 앞쪽으로 당겨준다.
따라서, 첨부한 도 4에서 보듯이 제2출입구조체(230)의 제2피니언(232)이 제1출입구조체(220)의 제1랙(224)을 따라 자유회전하는 동시에 전방 이송을 하게 되고, 이때 제2출입구조체(230)의 제2골격틀(231)의 전단부 양측 저면에 장착된 제2롤러(234)가 바닥을 따라 구름운동함으로써, 제2출입구조체(230)의 전방 인출이 완료된다.
다음으로, 첨부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상태의 전판(233)을 수평 방향으로 각회전시켜서, 전판(233)의 끝단이 제1출입구조체(220)의 제1골격틀(221)의 전단부에 형성된 단차면에 거치되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제2출입구조체(230)를 전방으로 더 잡아당기게 되면, 제1출입구조체(220)가 전방으로 이송된다.
즉, 첨부한 도 6에서 보듯이 제1출입구조체(220)의 제2피니언(2230)이 고정구조체(210)의 제2랙(214)을 따라 자유회전하는 동시에 전방 이송을 하게 되고, 이때 제1출입구조체(220)의 제1골격틀(221)에 장착된 제1롤러(225)가 바닥을 따라 구름운동함으로써, 제1출입구조체(220)의 전방 인출이 완료된다.
이에, 상기 제1출입구조체(220)의 전방 인출이 완료되면, 제1출입구조체(220)의 침대지지판(222)에 얹혀져 고정된 2단 접힘 기능의 침대(400)가 노출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침대(400)는 제1출입구조체(220)의 침대지지판(222)에 안착 고정되는 내측침대(402)와, 상기 내측침대(402) 위에 적층되거나 제2출입구조체(230)의 전판(233) 위에 펼쳐지는 외측침대(404)로 구성된다.
따라서, 첨부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침대(400)의 외측침대(404) 즉, 내측침대(402) 위에 적층된 외측침대(404)를 수평 상태로 펼쳐진 전판(233) 위에 펼쳐줌으로써, 사용자가 누울 수 있는 내측 및 외측침대(402,404)가 동일 평면을 이루게 되고, 이에 사용자가 협소한 공간에서도 상기와 같은 동작으로 침대(400)를 인출시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단 출입용 프레임 구조물에 대한 구성을 첨부한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단 출입용 프레임 구조물(300)은 침대 은폐장(120)의 은폐공간(128)내에 슬라이딩 레일 구동방식으로 설치되어, 침대를 바깥쪽으로 이단 인출하거나 은폐공간(128)내에 은폐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먼저, 침대 은폐장(120)의 은폐공간(128)을 이루는 좌우측판(124,126) 하단에 고정구조체(310)가 장착된다.
상기 고정구조체(310)는 목재 또는 금속재로 된 여러개의 일자형 프레임을 수평바 및 수직다리 형태로 조립하여 은폐공간(128)을 이루는 좌우측판(124,126) 하단에 장착시킨 레일고정체(312)를 포함하고, 이 레일고정체(312) 상면에는 전후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고정레일(314)이 일체로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구조체(310)에 제1출입구조체(320)가 인출입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1출입구조체(320)는 목재 또는 금속재로 된 직사각 판체의 침대지지판(321)을 골격체로 하며, 이 침대지지판(321)의 상면에는 침대(400)가 적층 가능하게 올려지며, 침대지지판(321)의 전단면에는 후술하는 전판(333)의 수평 상태 펼침시 걸림턱 역할을 하도록 한 거치대(327)가 일체로 장착된다.
상기한 일 실시예와 같이 침대지지판(321)에 적층된 침대(400)는 제1출입구조체(320)의 침대지지판(321)에 안착 고정되는 내측침대(402)와, 내측침대(402) 위에 적층되거나 제2출입구조체(330)의 수평 접힘된 상태의 전판(333) 위에 펼쳐지는 외측침대(404)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직사각 판체의 침대지지판(321)의 양측단 저면에는 상기 고정구조체(310)의 제1고정레일(314)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체결되는 제1이송레일(323)이 일체로 장착된다.
이때, 상기 제1고정레일(314)과 제1이송레일(323)내에는 제1중간슬라이딩 레일(322)이 동시에 삽입되는 바, 이 제1중간슬라이딩 레일(322)은 제1고정레일(314)로부터 제1이송레일(323)이 인출되거나 제1고정레일(314)내에 제1이송레일(323)이 삽입될 때, 일종의 볼 베어링과 같은 슬라이딩 매개체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침대지지판(321)의 저면에서 각 제1이송레일(323)의 안쪽 위치에는 또 다른 레일고정체(324)가 장착되고, 이 레일고정체(324)의 저면에는 제2고정레일(325)이 일체로 장착된다.
이때, 상기 침대지지판(321)의 저면 양측에는 제1출입구조체(320)의 출입시 바닥면에 지지되며 구름 운동하는 제1롤러(326)가 장착된다.
한편, 상기한 구성의 제1출입구조체(320)에는 제2출입구조체(330)가 인출입 가능하게 연결 조립된다.
상기 제2출입구조체(330)는 수평바 형태의 골격로드(331)가 골격 역할을 하는 바, 이 골격로드(331)의 양측 저면에는 제2출입구조체(330)의 출입시 바닥면에 지지되며 구름 운동하는 제2롤러(332)가 장착된다.
특히, 상기 골격로드(331)의 상단부에는 전판(333)이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접힘 가능하게 힌지 장착되는 바, 이 전판(333)은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 침대은폐장(120)의 은폐공간(128)을 가려주는 역할을 하고, 수평으로 펼쳐지게 되면 침대(400)를 지지해주는 지지판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골격로드(331)의 후면 양측에는 제1출입구조체(320)의 제2고정레일(325)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체결되는 제2이송레일(335)이 장착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고정레일(325)과 제2이송레일(335)내에는 제2중간슬라이딩 레일(334)이 동시에 삽입되는 바, 이 제2중간슬라이딩 레일(334)도 제2고정레일(325)로부터 제2이송레일(335)이 인출되거나 제2고정레일(325)내에 제2이송레일(335)이 삽입될 때, 일종의 볼 베어링과 같은 슬라이딩 매개체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단 출입용 프레임 구조물에 대한 작동 흐름을 첨부한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침대 은폐장(120)의 은폐공간(128)내에 침대(400)를 비롯하여 제1 및 제2출입구조체(320,330)가 존재하는 동시에 제2출입구조체(330)의 전판(333)이 수직으로 세워져 은폐공간(128)을 가려주는 상태에서, 침대를 인출시키기 위하여 제2출입구조체(330)의 전판(333)을 앞쪽으로 당겨준다.
따라서, 첨부한 도 9에서 보듯이 상기 제2출입구조체(330)의 제2이송레일(335)이 제1출입구조체(320)의 제2고정레일(325)로부터 빠져나오되, 제2중간슬라이딩 레일(334)의 베어링 작용에 의하여 제2이송레일(335)이 제2고정레일(325)로부터 용이하게 슬라이딩되며 인출되는 동시에 제2롤러(332)가 바닥을 따라 구름운동함으로써, 제2출입구조체(330)의 전방 인출이 완료된다.
다음으로, 첨부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상태의 전판(333)을 수평 방향으로 각회전시켜서, 전판(333)의 끝단이 제1출입구조체(320)의 침대지지판(321) 전단부에 형성된 거치대(327) 위에 거치되며 안착되는 상태가 된다.
이어서, 상기 제2출입구조체(330)를 전방으로 더 잡아당기게 되면, 제1출입구조체(320)가 전방으로 이송된다.
즉, 첨부한 도 11에서 보듯이 제2출입구조체(330)의 제1이송레일(323)이 고정구조체(310)의 제1고정레일(314)로부터 빠져나오되, 제1중간슬라이딩 레일(322)의 베어링 작용에 의하여 제1이송레일(323)이 제1고정레일(314)로부터 용이하게 슬라이딩되며 인출되는 동시에 침대지지판(321)의 저면 양측에 장착된 제1롤러(326)가 바닥을 따라 구름운동함으로써, 제1출입구조체(320)의 전방 인출이 완료된다.
이에, 상기 제2출입구조체(330)를 비롯하여 제1출입구조체(320)까지 전방 인출이 완료되면, 제1출입구조체(320)의 침대지지판(321)에 얹혀져 고정된 2단 접힘 기능의 침대(400)가 노출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첨부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침대(400)의 외측침대(404) 즉, 내측침대(402) 위에 적층된 외측침대(404)를 수평 상태로 펼쳐진 전판(333) 위에 펼쳐줌으로써, 사용자가 누울 수 있는 내측 및 외측침대(402,404)가 동일 평면을 이루게 되고, 이에 사용자가 협소한 공간에서도 상기와 같은 동작으로 침대(400)를 인출시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100 : 가구본체 102 : 책상
103 : 책상 상판 104 : 책꽂이
105 : 서랍판 106 : 무릅 서랍
110 : 수납장 120 : 침대 은폐장
122 : 상판 124 : 좌측판
126 : 우측판 128 : 은폐공간
130 : 보강구조체
200 : 이단 출입용 프레임 구조물 210 : 고정구조체
212 : 직사각틀 214 : 제2랙
220 : 제1출입구조체 221 : 제1골격틀
222 : 침대지지판 223 : 제1피니언
224 : 제1랙 225 : 제1롤러
226 : 안내프레임 230 : 제2출입구조체
231 : 제2골격틀 232 : 제2피니언
233 : 전판 234 : 제2롤러
240 : 가스쇼바 242 : 실린더
244 : 피스톤로드
300 : 이단 출입용 프레임 구조물 310 : 고정구조체
312 : 레일고정체 314 : 제1고정레일
320 : 제1출입구조체 321 : 침대지지판
322 : 제1중간슬라이딩 레일 323 : 제1이송레일
324 : 레일고정체 325 : 제2고정레일
326 : 제1롤러 327 : 거치대
330 : 제2출입구조체 331 : 골격로드
332 : 제2롤러 333 : 전판
334 : 제2중간슬라이딩 레일 335 : 제2이송레일
400 : 침대 402 : 내측침대
404 : 외측침대

Claims (2)

  1. 상단 일측공간의 책상(102) 및 책꽂이(104)와, 상단 타측공간의 수납장(110)과, 하단공간의 침대 은폐장(120)이 일체형 구조로 제작된 가구본체(100)와;
    상기 침대 은폐장(120)의 상판(122) 및 좌우측판(124,126)이 이루는 은폐공간(128)내에 침대의 분리 및 은폐 이송을 위하여 이단 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단 출입용 프레임 구조물(200,300)과;
    상기 이단 출입용 프레임 구조물(200,300) 위에 접힘 및 펼침 가능하게 적재되는 침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단 출입용 프레임 구조물(300)은:
    상기 은폐공간(128)을 이루는 좌우측판(124,126) 하단에 장착되는 레일고정체(312)와, 레일고정체(312) 상면에 고정되는 제1고정레일(314)을 포함하는 고정구조체(310);
    직사각 판체의 침대지지판(321)과, 침대지지판(321)의 양측단 저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1고정레일(314)과 제1중간슬라이딩 레일(322)을 매개로 인출입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이송레일(323)과, 침대지지판(321)의 저면에서 제1이송레일(323)의 안쪽 위치에 장착되는 레일고정체(324)와, 레일고정체(324)의 저면에 고정되는 제2고정레일(325)과, 침대지지판(321)의 저면 양측에 구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롤러(326)와, 침대지지판(321)의 전단면에는 걸림턱 역할을 하도록 일체로 부착되는 거치대(327)를 포함하는 제1출입구조체(320);
    골격 역할을 하는 골격로드(331)와, 골격로드(331)의 양측 저면에 구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롤러(332)와, 골격로드(331)의 상단부에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접힘 가능하게 힌지 장착되어 은폐공간(128)을 가려주는 동시에 펼쳐진 침대(400)를 지지해주는 전판(333)과, 골격로드(331)의 후면 양측에 장착되어 제1출입구조체(320)의 제2고정레일(325)과 제2중간슬라이딩 레일(334)을 매개로 인출입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이송레일(335)를 포함하는 제2출입구조체(33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은폐형 다용도 가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침대(400)는:
    제1출입구조체(220,320)의 침대지지판(222,321)에 안착 고정되는 내측침대
    (402)와;
    상기 내측침대(402) 위에 적층되거나, 제2출입구조체(230,330)의 수평 접힘된 상태의 전판(233,333) 위에 펼쳐지는 외측침대(404);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은폐형 다용도 가구.
KR1020130029579A 2013-03-20 2013-03-20 침대 은폐형 다용도 가구 KR201300568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579A KR20130056878A (ko) 2013-03-20 2013-03-20 침대 은폐형 다용도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579A KR20130056878A (ko) 2013-03-20 2013-03-20 침대 은폐형 다용도 가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2044A Division KR20130056433A (ko) 2011-11-22 2011-11-22 침대 은폐형 다용도 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878A true KR20130056878A (ko) 2013-05-30

Family

ID=48664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9579A KR20130056878A (ko) 2013-03-20 2013-03-20 침대 은폐형 다용도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687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231B1 (ko) * 2013-08-16 2014-09-29 유진 다기능 가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231B1 (ko) * 2013-08-16 2014-09-29 유진 다기능 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9750B2 (en) Furniture objects for storing foldable beds
US11136771B2 (en) Modular booth
US9782012B2 (en) Concealable bed system
US10111519B2 (en) Expandable furniture
US9549618B1 (en) Folding bed and filing cabinet
CN204427323U (zh) 学生寝室高低床
JP4750468B2 (ja) 準個室化設備及びこれを備えた医療・介護施設
JP2018175731A (ja) リビングベッド
KR20130056433A (ko) 침대 은폐형 다용도 가구
KR101771079B1 (ko) 수납장이 구비된 접이식 매트리스
KR20130056878A (ko) 침대 은폐형 다용도 가구
CN106088666A (zh) 一种超薄便携式集成全折叠住宅及住宅系统
KR101274910B1 (ko) 소파 겸 침대기능을 갖는 다용도 가구
JP2010007288A (ja) 空間構成体
RU155984U1 (ru) Кровать с подъёмным механизмом и ящиком для белья
KR20150102458A (ko) 다기능 복합 가구
JP3178672U (ja) 折り畳みデスク
KR102367460B1 (ko) 수납형 침대가 구비된 책상
CN216907388U (zh) 一种高效利用空间的多功能寝室家具
JP5681752B2 (ja) 収納付き椅子及び玄関構造
CN209733004U (zh) 橱柜
KR101747952B1 (ko) 수납의자를 구비한 서가
JP2000157359A (ja) システム収納装置
KR20130004872U (ko) 다목적 가구
JP3121011U (ja) 経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