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6264A -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6264A
KR20130056264A KR1020130050108A KR20130050108A KR20130056264A KR 20130056264 A KR20130056264 A KR 20130056264A KR 1020130050108 A KR1020130050108 A KR 1020130050108A KR 20130050108 A KR20130050108 A KR 20130050108A KR 20130056264 A KR20130056264 A KR 20130056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obacillus plantarum
lactic acid
cells
acid bacteria
cjlp133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0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6168B1 (ko
Inventor
김봉준
정헌웅
황세희
이진희
이강표
황광우
원태준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KR1020130050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6168B1/ko
Publication of KR20130056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6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6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6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Lactobacillus plantarum CJLP133) KCTC 11403BP, 상기 유산균을 포함하는 장질환 치료용 조성물, 및 상기 유산균을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Novel lactobacillus plantarum and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규한 락토바실리러스 플란타룸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장질환 및 면역 질환의 예방 치료에 유용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김치와 같은 전통 발효 음식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유산균은 인체의 소화계에 공생하면서 섬유질 및 복합 단백질들을 분해하여 중요한 영양 성분으로 만드는 역할을 담당하며, 이와 같이 사람을 포함한 동물의 위장관 내에서 숙주의 장내 미생물 환경을 개선하여 숙주의 건강에 유익한 영향을 주는 살아있는 미생물을 통칭하여 프로바이오틱스라고 한다. 프로바이오틱스로서 효과가 있기 위해서는 경구로 섭취하여 소장에 도달해서 장 표면에 부착하여 유지되어야 하므로, 기본적으로 내산성, 내담즙산성, 및 장상피세포 부착능력이 우수하여야 한다.
김치와 같은 전통발효식품에서 발견되는 대표적인 프로바이오틱스로서 락토바실러스 속 (Lactobacillus sp.) 유산균이 있다. 락토바실러스속 미생물은 동형 또는 이형발효를 하는 젖산 간균으로서 사람을 포함한 동물의 장관 및 유제품이나 채소의 발효과정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락토바실러스속 미생물은 장내 pH를 산성으로 유지시켜 대장균(E. coli)이나 클로스트리디움(Clostridium)과 같은 유해균의 번식을 억제하고 설사와 변비를 개선할 뿐만 아니라 비타민 합성, 항암 작용, 혈청콜레스테롤 저하 등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젖산 간균에 의해 생산되는 아시도필린(acidophillin)은 이질균, 살모넬라균, 포도상 구균, 대장균 등의 성장을 저해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설사 원인균의 증식을 억제하고 장내균총을 정상화함으로 설사를 멈추게 하는 작용을 한다(Michael and Philippe, Probiotics and prebiotics: Effects on diarrhea, The journal of nutrition, Volume 137, March 2007, pages 803S-811S; Roberfroid, Prebiotics and probiotics: Are they functional foods?,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Volume 71, June 2000, pages 1682S-1687S).
락토바실러스속 미생물의 상기 특성을 이용하여 생균제 및 가축사료로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가축의 세균성 설사병은 증체율 감소와 폐사를 유발한다. 따라서, 이를 예방하여 가축의 생산을 높이고자 사료에 항생제를 첨가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널리 행해져 왔다. 그러나, 항생물질에 대한 내성균의 출현과 축산물 내 잔류 항생물질 등의 문제 때문에 사료내 항생물질의 사용을 규제하고 유기적인 가축 사양법이 강조되고 있는 추세이다(한국특허공개 1998-78358)(McEwen and Fedorka-Cray, Antimicrobial use and resistance in animals, Clinical infectious Diseases, Volume 34, June 2002, pages S93-S106).
또한, 락토바실러스속 미생물과 같은 유산균은 면역 증강 효과를 갖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최근 전세계적으로 환경 오염과 인스턴트 식품 섭취의 증가 등의 영향으로 예측되는 면역조절이상과 관련된 알레르기 및 아토피 질환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고, 한국에서도 마찬가지로 이러한 질환이 증가 추세에 있다. 최근 유럽에서는 유산균을 경구투여하여 병을 치료하는 미생물 치료(bacteriotheraphy)의 일환으로 유산균으로 병의 증상을 완화하거나 개선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 GG(Lactobacillus rhamnosus GG)를 유아에 투여 시 아토피 발생이 절반 수준으로 감소하였고(Kalliomaki et . al ., Probiotics in primary prevention of atopic disease: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Lancet, Volume 357, April 2001, pages 1076-1079), 이미 아토피 습진이 진행 중인 어린이에게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Lactobacillus rhamnosus)와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 reuteri)를 투여하는 경우 습진 부위 및 정도가 감소한다는 보고가 있다(Rosenfeldt et . al., Effect of probiotic Lactobacillus strains in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 Dermatologic and ocular diseases, Volume 111, February 2003, pages 389-395).
이러한 유산균의 면역 증강 효과에 대한 메커니즘(mechanism)에 대해서 계속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구체적인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대체적으로 경구적으로 유입되고 장내에서 서식함으로 장관 면역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요구르트를 통한 유산균 섭취는 Peyer's patch의 림프구들의 항균 활성을 증가시킨다고 알려져 있고, 실험 동물 및 사람을 대상으로 실행된 일부 연구들에 따르면 유산균은 IgA의 반응을 강화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유산균은 선천 면역 및 적응 면역 모두에 영향을 미친다. 장관 면역계의 선천 면역 반응(innate immunity)에서는 병원균을 탐식하여 사멸시킴으로써 감염에 대항하여 건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적응 면역(adaptive immunity)에서는 항원을 분해하여 T 림프구에 제시하는 역할을 하는 마크로파지를 활성화하여 다양한 사이토카인, 특히 인터루킨 IL-12, IL-18 생산을 증가시키는데, 이는 유산균 세포벽 구성 성분 중 일부가 마크로파지에서 NF-κB, STAT 신호 전달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사이토카인의 생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유산균은 전문적인 항원제시세포로서 림프절 및 소화기계의 점막에 많이 존재하는 수상 세포(dendritic cell)에서 IL-12, IL-18, TNF-α 생성을 증가시키는 것은 물론 MHC class II 및 B7-2와 같이 T 림프구를 활성화시키는 표면 분자의 발현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ross et . al.,Anti-allergy properties of fermented foods: an important immunoregulatory mechanism of lactic acid bacteria?, International Immunopharmacology, Volume 1, May 2001, pages 891-901).
T 림프구는 적응 면역(adaptive immunity)의 중심이 되는 세포로서, 적응 면역은 세포성 면역인 Th1 반응과 항체성 면역인 Th2 반응으로 나눌 수 있다. Th1 및 Th2 각각의 반응에서 항원제시세포(Antigen Presenting Cell)가 생산하는 사이토카인이 서로 다르며, Th1 반응에서는 IL-12, IL-18, 인터페론(IFN) 생산이 우세하고 Th2 반응에서는 PGE2, IL-4, IL-10 생산이 우세하다. 이러한 Th1 반응 및 Th2 반응은 적절한 균형이 이루어져야 하며, 균형이 깨질 경우 각종 면역질환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Th1 세포는 주로 감염증과 싸우는 반면에 Th2 세포는 주로 알레르기와 염증성 반응에 관여한다. 이들이 정상적으로 작용할 때에는 Th2 세포는 먼지 및 기타 원치 않는 물질로부터 신체를 보호하지만, 만일 이들 세포가 과도한 활성을 나타낼 경우 IgE 항체 생산이 증가되어 인체에 위협이 되지 않았던 단백질(예: 꽃가루, 음식물 등)에 알러지 반응을 유발시킨다. 따라서, Th1 반응과 Th2 반응은 반드시 균형을 유지하여야 하며, 만일 이중 하나가 과잉이거나 다른 하나가 부족하면 질병이 유발된다. 또한, 계속되는 스트레스로 인하여 코르티솔이 지속적으로 유리되면 Th1 반응이 저하하고 Th2 반응이 증가하게 되어, 암, 아토피, 알레르기, 및 자가 면역 질환이 유발된다(Elenkov and Chrousos, Stress hormones, Th1/Th2 patterns, pro/anti-inflammatory cytokines and susceptibility to disease, Trends in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ume 10, November 1999, pages 359-368).
In vivo 실험에 따르면 유산균은 T 림프구에서 Th1 사이토카인인 IFN-γ의 생성을 증가시키고, Th2 사이토카인인 IL-4, IL-5 생성을 억제한다고 한다(Matsuzaki et . al ., The effect of oral feeding of Lactobacillus casei strain Shirota on immunoglobulin E production in mice, Journal of Dairy Science, Volume 81, January 1998, pages 48-53). 또, 다른 실험에서도 Th2 반응 동물 모델인 오브알부민을 투여하여 Th2 반응으로 편향된 마우스(ovalbumin-primed mice)에 유산균을 경구 투여 시 비장세포(splenocyte)에서 IFN-γ가 증가하였고, IL-4, IL-5 및 IgE가 감소하였으며 오브알부민을 투여하여 Th2 반응으로 편향된 마우스에서 적출한 비장세포를 유산균과 함께 배양 시에도 사이토카인 및 IgE의 변화가 경구 투여 실험과 동일하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T 림프구만을 유산균과 배양 시 IFN-γ 생성이 유의성 있게 증가하지 않았으므로 T 림프구의 IFN-γ 생성에는 마크로파지, 수상세포와 같은 항원제시세포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여겨진다(Kato et . al ., Lactic acid bacterium potently induces the production of interleukin-12 and interferon-gamma by mouse splenocytes, International Journal of Immunopharmacology, Volume 21, February 1999, pages 121-131). 한편 IL-12 및 IL-18는 Th0 림프구를 Th1 림프구로 분화시키는데 중요한 사이토카인으로서 마크로파지 또는 수상세포에서 생성되며, 비장세포 또는 마크로파지 배양 시 유산균을 처리하면 농도 의존적으로 IL-12, IL-18 및 IFN-α 등의 생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유산균은 마크로파지에서 IL-12, IL-18 및 IFN-α등의 생성을 증가시키므로 Th1 세포로의 분화를 촉진하고 이들의 IFN-γ 생성을 유도하므로, Th2가 우세한 상황에서 Th1/Th2 균형을 맞추는 작용을 한다(Cross et . al., Anti-allergy properties of fermented foods: an important immunoregulatory mechanism of lactic acid bacteria?, International Immunopharmacology, Volume 1, May 2001, pages 891-901). 따라서, 유산균은 Th2 반응 과잉으로 인한 Th1/Th2 불균형으로 유발되는 암, 아토피, 알레르기, 및 자가 면역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 공지되어 있는 유산균에 비해서 Th2 반응 과잉으로 인한 Th1/Th2 불균형을 조절하는 효과가 매우 우수한 새로운 유산균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 전통 발효 식품으로부터 신규한 락토바실러스속 유산균 균주를 분리, 동정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로바이오틱스로서의 기본 성질인 내산성, 내담즙산성, 장상피세포 부착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면역 증강 효과, 특히 Th2 반응 과잉으로 인한 Th1/Th2 불균형을 조절하는 효과가 우수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속 유산균 균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신규한 락토바실러스속 유산균 균주를 포함하는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신규한 락토바실러스속 유산균 균주를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Lactobacillus plantarum CJLP133)(기탁기관: 생명공학연구원 유전자은행, 기탁일: 2008.10.16, 수탁번호: KCTC 11403BP)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을 포함하는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을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Lactobacillus plantarum CJLP133)은 전통 발효 식품으로부터 분리 및 동정된 락토바실러스 플라타룸의 신규한 균주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통 발효 식품으로는 김치, 채소 발효물, 된장, 간장, 청국장 또는 젓갈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은 미생물의 동정 및 분류를 위한 16S rRNA 염기서열 분석 결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표준균주(Lactobacillus plantarum NBRC15891T, GenBank accession number AB326351)와 가장 높은 상동성(99.9%)을 나타내어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과 가장 높은 분자계통학적 유연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상기 미생물을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동정하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으로 명명하였으며, 생명공학연구원 유전자은행에 2008년 10월 16일자로 기탁하였다(수탁번호 KCTC 11403BP).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의 16S rRNA유전자의 염기서열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염기서열목록 SEQ ID NO. 1과 같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은 그람양성균이며 호기적 조건과 혐기적 조건에서 모두 성장이 가능한 통성 혐기성(facultive anaerobe)이며 포자를 형성하지 않고 운동성이 없으며 세포의 형태는 간균이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의 보다 구체적인 형태 및 생리학적 특성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방법에 따라 분석한 결과 하기 표 1과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형태 및 생리, 생화학적 특성 결과
형태 (Morphology) 간균 (Rod)
운동성 (Motility) -
포자 (Spore) -
카탈라제 -
호모- 헤테로 발효 통성 헤테로 발효
15℃에서의 증식 +
45℃에서의 증식 -
NaCl 3%에서의 증식 +
혐기성 증식 +
포도당 이용 CO2생성 -
당 발효 특성
글리세롤 -
에리쓰리톨 -
D-아라비노오스 -
L-아라비노오스 -
리보오스 +
D-자일로오스 -
L-자일로오스 -
아도니톨 -
자일로사이드 -
갈락토오스 +
D-글루코오스 +
D-프럭토오스 +
D-만노오스 +
L-소르보오스 -
람노오스 -
둘시톨 -
이노시톨 -
만니톨 +
솔비톨 +
D-만노사이드 -
D-글로코사이드 -
글루코사민 +
아미그달린 +
알부틴 -
에스큘린 +
살리신 +
셀로비오스 +
말토오스 +
락토오스 +
멜리비오스 +
사카로오스 +
트레할로오스 +
이뉼린 -
멜리지토오스(melizitose) +
D-라피노오스 +
아미돈(amidon) -
글리코겐 -
자일리톨 -
겐티오비오스 +
D-투라노오스 -
D-릭소오스 -
D-타가토오스 -
D-푸코오스 -
L-푸코오스 -
D-아라비톨 -
L-아라비톨 -
글루코네이트 -
2-글루코네이트 -
5-글루코네이트 -
+ : 양성 반응
- : 음성 반응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은 장기간 안정적으로 보존하기 위해서는 물에 글리세롤 성분을 일정량 혼합하여 만든 보관용액에 균체를 풀어 -70℃에서 보관하거나 멸균된 10% 탈지유에 현탁하여 동결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은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유산균의 일반적인 정장 효과 및 면역증강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프로바이오틱스(porbiotics)'는 '사람을 포함한 동물의 위장관내에서 숙주의 장내 미생물 환경을 개선하여 숙주의 건강에 유익한 영향을 주는 살아있는 미생물' 의미로 이해된다. 프로바이오틱스는 프로바이오틱 활성을 갖는 살아있는 미생물로 단일 또는 복합균주 형태로 사람이나 동물에 건조된 세포 형태나 발효산물 형태로 급여될 경우, 숙주의 장내 균총에 유익한 영향을 미칠수 있다. 이와 같은 프로바이오틱 미생물이기 위해서는 첫째로, 위액과 담즙에서의 영향을 적게 받으면서 위를 통과하여 장에서 생존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며, 장내에 정착하여 생존이 가능한 지를 확인하여 숙주의 장내 균총에 유익한 영향을 미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위산에 대한 내산성, 담즙산에 대한 내담즙산성, 및 장상피세포에 대한 부착성을 가져야 한다. 둘째로, 프로바이오틱 미생물이기 위해서는, 미생물의 안전성에 문제가 없어야 하며, 이와 관련해서는 일반적으로 젤라틴 액화반응검사, 페닐알라닌탈아민 생성 검사, 암모니아 생성검사, 용혈성 실험검사 등이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은 우수한 내산성, 담즙산에 대한 내담즙산성, 및 장상피세포에 대한 부착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젤라틴 액화반응검사, 페닐알라닌탈아민 생성 검사, 및 암모니아 생성검사에서 음성으로 나타났으며, 용혈성 실험검사에서는 병원성과 무관한 것으로 판정되는 α-용혈로 확인되어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은 내산성, 내담즙산성, 및 장상피세포 부착성이 매우 우수하여 정장효과가 예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른 측면에 있어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을 포함하는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을 포함하는 장질환 치료용 조성물은 사람을 포함한 포유동물의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소, 말, 돼지와 같은 가축을 포함한다. 상기 '장질환'으로는 장 위해 세균 감염 및 염증성 장질환을 모두 포함하며, 예를 들어 병원성 미생물(대장균, 살모넬라, 클로스트리디움 등)에 의한 감염성 설사, 위장염, 염증성 장질환, 신경성 장염 증후군, 소장 미생물과성장증, 장 급이성 설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장질환 치료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은 생균체 또는 사균체로서 존재할 수도 있으나, 생균체로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생균체는 장내 세균총의 이상발효에 의하여 야기되는 제반 증상을 치료하고 개선하는 효과가 있으며 사람 및 동물에 투여하면 장내의 소화관 벽에 밀집, 정착하여 유해균이 정착하지 못하게 하는 작용을 하며, 유산을 생성하여 장내의 pH를 낮추어서 유해세균이 증식하지 못하게 한다. 또한, 투여된 생균체는 박테리오신(bacteriocin)과 과산화물을 생성하여 병원균의 증식을 억제하며 영양분의 흡수를 담당하는 장융모의 활동을 도와준다. 이밖에도, 영양소의 흡수와 이용을 돕는 물질을 생성하고, 동물에 있어서 사료 요구율을 개선시키며, 병원균이 생성하는 독성물질을 중화하는 물질을 생성하기도 한다.
상기 본 발명의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투여방법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경구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여량은 장질환의 종류, 질환의 정도, 연령, 성별, 인종, 치료 또는 예방 목적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성인을 기준으로 하루에 1천만 마리에서 1000억 마리를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은 정장 효과 이외에도 종래의 유산균에 비해 현저히 우수한 면역증강효과를 갖는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은 비장세포(splenocyte)에서 Th1 반응을 유도하는 IL-12의 생성을 증가시키고, Th2 반응을 유도하는 IL-4의 생성을 억제한다. 또한, 항원제시세포로서 T 세포 면역반응을 조절하는 마크로파지 및 수상 세포와 같은 면역 조절 관련된 세포를 자극하여 Th0 림프구의 Th1 림프구로의 분화를 유도하는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촉진시켜 Th2 반응의 과잉으로 인한 Th1/Th2 불균형을 조절할 수 있는 면역 조절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의 면역 증강 효과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은 음성 대조군에 비해, 오브알부민(OVA)을 투여하여 Th2 반응으로 편향된 마우스의 비장세포(splenocyte)에 처리시 Th1 반응 유도 사이토카인인 IL-12를 7.3-9.5배 높게 생성하였으며, Th2 반응 유도 사이토카인인 IL-4의 생성을 3.2-12.1 % 수준으로 억제하였으며, 이는 다른 전형적인 유산균 Lactobacillus rhamnosus GG(KCTC 5033), Lactobacillus casei(KCTC 3109), Lactobacillus sakei CJLS118(KCTC 13416)에 대비하여서 현저히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은 Th2 반응을 억제하고 Th1 반응을 촉진하여, Th2 반응의 과잉으로 인한 Th1/Th2 불균형을 조절하는 면역 조절력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Lactobacillus plantarum CJLP133)을 마크로파지 세포주 RAW264.7 및 수상세포 JAWSII에 처리한 결과, 유산균 수가 증가됨에 따라 마크로파지 세포주를 자극하여 면역반응을 증강시킨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마크로파지 세포주 RAW264.7과 수상세포 세포주 JAWSII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를 처리한 결과, Th1 분화 유도 사이토카인인 IL-12, IL-18 생성을 촉진하고 Th1 분화 유도 억제 사이토카인인 IL-10은 IL-12의 생성양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게 생성함으로써 Th1분화 유도를 촉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실험 결과로부터도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은 Th2 반응을 억제하고 Th1 반응을 촉진하여, Th2 반응의 과잉으로 인한 Th1/Th2 불균형을 조절하는 면역 조절력이 있다고 할 수 있다.
IL-4는 Th2 세포에서 유래하며 특이적으로 세포 면역 반응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며 Th1 세포의 사이토카인인 IL-12의 생산을 억제하는 항염증성 사이토카인 (anti-inflammatory cytokine)기능을 가진다. 근래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말초 혈액과 피부병변에는 IL-4, IL-5등을 주로 생산하는 Th2세포가 상대적으로 증가한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Miraglia et . al, Immune dysregulation in atopic dermatitis, Allergy and Asthma Proceedings, Volume 27, November-December 2006, pages 451-455). 따라서, Th2 반응 과잉으로 인한 Th1/Th2 의 불균형은 아토피와 같은 질환을 유발한다. 또한, 앞서 살펴보았듯이, Th1 반응과 Th2 반응 중 하나가 과잉이거나 다른 하나가 부족하면 질병이 야기되며, Th1 반응이 저하되고 Th2 반응이 증가 시, 암, 아토피, 알레르기, 및 자가면역 질환이 야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Elenkov and Chrousos, Stress hormones, Th1/Th2 patterns, pro/anti-inflammatory cytokines and susceptibility to disease, Trends in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ume 10, November 1999, pages 359-368).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은 면역조절과 관련된 Th1세포, Th2 세포, 마크로파지, 및 수상세포가 생산하는 사이토카인을 조절하여 Th2 반응 과잉으로 인한 Th1/Th2의 불균형을 조절함으로써, 아토피, 알레르기와 같은 같은 질병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암 및 자가면역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른 측면에 있어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을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면역 증강용 조성물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이 유산균으로서 상기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유산균의 면역 증강작용 효과로 인해 면역 증강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면역 증강용 조성물은 하기 실시예에서 입증된 바와 같이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이 Th1 반응의 촉진효과를 가져 Th2 반응 과잉으로 인한 Th1/Th2의 불균형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Th2 반응 과잉으로 인한 Th1/Th2의 불균형으로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상기 면역 증강용 조성물은 아토피, 알레르기, 암 및 자가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자가면역질환으로는 천식, 고초열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 발명의 면역 증강용 조성물의 투여방법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경구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여량은 면역 증강이 필요한 질환의 종류, 질환의 정도, 연령, 성별, 인종, 치료 또는 예방 목적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성인을 기준으로 하루에 1천만 마리에서 1000억 마리를 투여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을 포함하는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면역 증강용 조성물은 안전성이 입증된 유산균을 포함하므로 부작용 등의 우려 없이 의약품,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사료, 또는 사료첨가제로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의약품으로서 이용될 경우에는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통상적인 약제학적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의약품은 바람직하게는 경구 제형을 제제화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액제, 현탁제,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엑스제와 같은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제형으로 제제화 시, 각각의 제형의 제조에 필요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첨가제를 부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 시 상기 담체로서 희석제, 활택제, 결합제, 붕해제, 감미제, 안정제, 및 방부제 중에서 1 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첨가제로는 향료, 비타민류, 및 항산화제 중에서 1 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및 첨가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것은 모두 가능하며, 구체적으로 희석제로는 유당, 옥수수 전분, 대두유, 미정질 셀룰로오스, 또는 만니톨, 활택제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또는 탈크, 결합제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또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가 바람직하다.  또한, 붕해제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칼슘, 전분글리콜산나트륨, 폴라크릴린칼륨, 또는 크로스포비돈, 감미제로는 백당, 과당, 솔비톨, 또는 아스파탐, 안정제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백납, 또는 잔탄검, 방부제로는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또는 솔빈산칼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성분 이외에도 공지의 첨가제로서 미각을 돋구기 위하여, 매실향, 레몬향, 파인애플향, 허브향 등의 천연향료, 천연과즙, 클로로필린, 플라보노이드 등의 천연색소, 과당, 벌꿀, 당알코올, 설탕과 같은 감미성분, 또는 구연산, 구연산 나트륨과 같은 산미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제화 방법 및 제제화시 필요한 담체 및 첨가제에 대해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식품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은 건강기능식품 뿐만 아니라, 인간이 널리 통상적으로 매일 섭취하는 일반적인 식품을 포함하는 것이다.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이용될 경우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첨가제와 함께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통상적인 건강기능식품의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예를 들어 산제, 과립제, 정제, 캅셀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제, 액제, 엑스제, 차, 젤리, 또는 음료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첨가제는 제조하고자 하는 제형의 제조에 당해 기술분야에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담체 또는 첨가제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아토피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지므로, 화장품으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화장품으로서 이용될 경우에는 당해 화장품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통상적인 제형의 다양한 화장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제형으로 제제화 시, 각각의 제형의 제조에 필요한 화장품의 제조에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첨가제를 부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사료첨가제 또는 사료로서 이용될 수 있다.
사료 첨가제로서 이용될 경우, 상기 조성물은 20 내지 90% 고농축액이거나 분말 또는 과립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사료 첨가제는 구연산, 후말산, 아디픽산, 젖산, 사과산 등의 유기산이나 인산나트륨, 인산칼륨, 산성 피로인산염, 폴리인산염(중합인산염) 등의 인산염이나, 폴리페놀, 카테킨, 알파-토코페롤, 로즈마리 추출물, 비타민 C, 녹차 추출물, 감초 추출물, 키토산, 탄닌산, 피틴산 등의 천연 항산화제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사료로서 이용될 경우, 상기 조성물은 통상의 사료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으며, 통상의 사료 성분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료 첨가제 및 사료는 곡물, 예를 들면 분쇄 또는 파쇄된 밀, 귀리, 보리, 옥수수 및 쌀; 식물성 단백질 사료, 예를 들면 평지, 콩, 및 해바라기를 주성분으로 하는 사료; 동물성 단백질 사료, 예를 들면 혈분, 육분, 골분 및 생선분; 당분 및 유제품, 예를 들면 각종 분유 및 유장 분말로 이루어지는 건조 성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영양 보충제, 소화 및 흡수 향상제, 성장 촉진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료 첨가제는 동물에게 단독으로 투여하거나 식용 담체 중에서 다른 사료 첨가제와 조합하여 투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사료 첨가제는 탑 드레싱으로서 또는 이들을 동물 사료에 직접 혼합하거나 또는 사료와 별도의 경구 제형으로 용이하게 동물에게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사료 첨가제를 동물 사료와 별도로 투여할 경우,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용 담체와 조합하여, 즉시 방출 또는 서방성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식용 담체는 고체 또는 액체, 예를 들어 옥수수 전분, 락토오스, 수크로오스, 콩 플레이크, 땅콩유, 올리브유, 참깨유 및 프로필렌글리콜일 수 있다. 고체 담체가 사용될 경우, 사료 첨가제는 정제, 캡슐제, 산제, 트로키제 또는 함당정제 또는 미분산성 형태의 탑 드레싱일 수 있다. 액체 담체가 사용될 경우, 사료 첨가제는 젤라틴 연질 캡슐제, 또는 시럽제나 현탁액, 에멀젼제, 또는 용액제의 제형일 수 있다.
상기 사료는 동물의 식이 욕구를 충족시키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단백질-함유 유기 곡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백질-함유 곡분은 통상적으로 옥수수, 콩 곡분, 또는 옥수수/콩 곡분 믹스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사료 첨가제 및 사료는 보조제, 예를 들어 보존제, 안정화제, 습윤제 또는 유화제, 용액 촉진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사료 첨가제는 침투, 분무 또는 혼합하여 동물의 사료에 첨가하여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또는 사료 첨가제는 포유류, 가금 및 어류를 포함하는 다수의 동물 식이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포유류로서 돼지, 소, 양, 염소, 실험용 설치 동물, 및 실험용 설치 동물 뿐만 아니라, 애완 동물(예: 개, 고양이) 등에게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가금류로서 닭, 칠면조, 오리, 거위, 꿩, 및 메추라기 등에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어류로서 송어 등에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규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은 프로바이오틱스로서 내산성, 내담즙산성, 및 장상피세포 부착성이 매우 우수하여 정장효과를 가지며, Th1 반응을 촉진키는 효과가 있어 Th2 반응 과잉으로 인한 Th1/Th2의 불균형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신규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은 장질환 치료용 조성물, 및 면역 증강용 조성물로서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Th2 반응 과잉으로 인한 Th1/Th2의 불균형으로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이다.
도 1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의 내산성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의 내담즙산성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의 장 상피세포 부착능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 균주를 오브알부민을 투여하여 Th2 반응으로 편향된 마우스의 비장세포에 처리한 다음 Th1 반응 유도 사이토카인인 IL-12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다른 유산균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 균주를 오브알부민을 투여하여 Th2 반응으로 편향된 마우스의 비장세포에 처리한 다음 Th2 반응 유도 사이토카인인 IL-4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다른 유산균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 균주를 마크로파지 세포주 RAW264.7에 처리한 다음, IL-12 및 IL-10의 농도를 ELISA로 측정한 결과를 다른 유산균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 균주를 수상세포 세포주 JAWSII에 처리한 다음, IL-12 및 IL-10의 농도를 ELISA로 측정한 결과를 다른 유산균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 균주를 마크로파지 세포주 RAW264.7에 처리한 다음, IL-12p40 및 IL-18 mRNA의 발현을 RT-PCR로 측정한 결과를 다른 유산균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 균주를 수상세포 세포주 JAWSII에 처리한 다음, IL-12p40 및 IL-18 mRNA의 발현을 RT-PCR로 측정한 결과를 다른 유산균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a는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NC/Nga 마우스에 유산균을 투여한 다음 적출한 피부의 피부 두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b는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NC/Nga 마우스에 유산균을 투여한 다음 적출한 피부에서의 염증 조직 내 림프구의 축적 정도를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11a는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NC/Nga 마우스에 유산균을 투여한 다음 적출한 피부에서의 에오시노필의 세포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b는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NC/Nga 마우스에 유산균을 투여한 다음 적출한 피부에서의 에오시노필의 침윤 정도를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12a는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NC/Nga 마우스에 유산균을 투여한 다음 적출한 피부에서의 비만세포의 세포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b는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NC/Nga 마우스에 유산균을 투여한 다음 적출한 피부에서의 비만세포의 침윤 정도를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13a는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NC/Nga 마우스에 유산균을 투여한 다음 적출한 피부에서의 신경섬유 개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b는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NC/Nga 마우스에 유산균을 투여한 다음 적출한 피부에서의 신경섬유의 침투 정도를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14는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NC/Nga 마우스에 유산균을 투여한 다음 적출한 액와 림프절(A) 및 비장(B)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15는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NC/Nga 마우스에 유산균을 투여한 다음 적출한 액와 림프절(a) 및 비장(b)에서의 총 세포수를 카운팅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6은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NC/Nga 마우스에 유산균을 투여한 다음 적출한 액와 림프절(a) 및 비장(b)에서의 T-세포 세포수를 카운팅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7은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NC/Nga 마우스에 유산균을 투여한 다음 적출한 액와 림프절(a) 및 비장(b)에서의 B-세포 세포수를 카운팅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8은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NC/Nga 마우스에 유산균을 투여한 다음 적출한 액와 림프절(a) 및 비장(b) 각각에서 얻어진 단일 세포 부유액에 집먼지 진드기 추출물을 가하여 배양 후 IL-12의 양을 ELISA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9는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NC/Nga 마우스에 유산균을 투여한 다음 적출한 액와 림프절(a) 및 비장(b) 각각에서 얻어진 단일 세포 부유액에 집먼지 진드기 추출물을 가하여 배양 후 IFN-γ의 양을 ELISA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미생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 균주의 분리 및 동정
김치에서 분리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 균주를 1.5% 한천(agar)이 포함된 MRS 고체 배지(Difco, USA)에 도말하여 37℃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순수 분리되었음이 확인된 집락을 백금이(loop)로 취하여 MRS 액체 배지(Difco, USA)에서 37℃ 18-24시간 배양하였다.
그런 다음, CJLP133 균주의 형태 및 생리학적 특성을 Kim 등 (Kim et . al., Leuconostoc inhae sp. nov., a lactic acid bacterium isolated from kimchi, 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and Evolutional Microbiology, Volume53, July 2003, pages 1123-1126)의 방법과 API50CH 및 API50CHL키트(바이오메리오사 제품)을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그 결과 확인된 CJLP133 균주의 형태 및 생리학적 특성을 상기 표 1에 정리하였다.
또한, 유산균 동정 및 분류를 위한 16S rRNA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16S 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 결정 및 분석은 Kim 등(Kim et . al., Leuconostoc kimchii sp. nov., a new species from kimchi. 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and Evolutional Microbiology, Volume50, September 2000, pages 1915-1919)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확인된 CJLP133의 16S 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은 서열목록에 기재하였다(SEQ ID NO: 1).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 균주는 16S rRNA 염기서열 분석 결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표준균주(Lactobacillus plantarum NBRC15891T, GenBank accession number AB326351)와 가장 높은 상동성(99.9%)을 나타내어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동정하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으로 명명하였으며, 생명공학연구원 유전자은행에 2008년 10월 16일자로 기탁하였다(수탁번호 KCTC 11403BP).
실시예 2: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 균주의 인공 위액에서의 내산성 실험 및 인공 담즙에서의 내담즙성 실험
인공 위액에서의 내산성 실험은 Kobayashi 등(Kobayashi et . al., Studies on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Lactobacillus: II. Tolerance of the multiple antibiotic resistance strain, L. casei PSR3002, to artificial digestive fluids. Japan Journal of Microbiology. Volume 29, July 1974, pages 691-697)의 실험을 변형하여 제조한 인공 위액을 사용하여 진행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인공 위액은 MRS 액체 배지를 1N HCl로 pH 2.5가 되도록 조정하고 펩신을 1000 유닛/㎖가 되도록 첨가한 다음 멸균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 및 동정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을 MRS 액체 배지에서 37℃, 18 시간 동안 배양한 균체를 원심분리하여 유산균주를 침전시키고 다시 멸균 식염수(0.85% NaCl)로 2회 세척한 후 균체 현탁액을 대조군 배지와 인공 위액에 각각 약 107 cfu/㎖ 수준으로 접종시키고 37℃에서 배양시키면서 접종 후 0 및 3 시간 후에 생존 균수를 측정하였다. 총균수는 KH2PO4, Na2HPO, L-시스테인, HCl, Tween 80 등이 함유된 인산 완충액(pH 6.8)로 10 배수 희석하여 측정하였다.
인공 담즙에서의 내담즙성 실험은 Casey 등(Casey et . al .,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Salmonella lactic acid bacteria from the porcine gastrointestinal tract, Letters in Applied Microbiology. Volume 39, 2004, pages 431-438)의 방법에 따라 진행하였으며 상기 내산성 평가에서 사용된 MRS액체 배지에 황소 담즙을 0.3% 첨가한 후, 상기 내산성 평가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유산균 접종 후 0 시간, 12시간, 24 시간 후에 생존 균수를 측정하였다.
상기 내산성 평가 및 내담즙산성 평가 모두에서 전형적인 유산균인 Lactobacillus casei (KCTC 3109), Lactobacillus sakei CJLS118(KCTC 13416), 및 Lactobaillus rhamnosus GG(KCTC 5033)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비교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1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의 내산성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의 내담즙성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 및 도 2의 결과에 따르면,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은 비교실험한 다른 유산균 모두에 비해 동등 이상의 내산성 및 내담즙산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신규 균주가 체내에서 위액의 영향을 받지 않고 장까지 도달할 수 있으며 장내에서는 담즙의 영향을 받지 않고 생존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실시예 3: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 균주의 장상피세포에 대한 부착능 실험
장 상피세포 부착능 시험을 위한 동물세포로서 HT-29를 한국 세포주은행 (KCLB)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으며, 실험방법은 김 등 (Kim et . al ., Probiotic properties of Lactobacillus and Bifidobacterium strains isolated from porcine gastrointestinal tract, Applied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olume 74, April 2007, pages 1103-1111)과 Hirano 등(Hirano et . al ., The effect of Lactobacillus rhamnosus on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infection of human intestinal cells in vitro, Microbiology and Immunology, Volume 47, 2003, pages 405-109)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HT-29 세포는 열 비활성화된 10% 우태아혈청(FBS), 1% L-글루타민, 페니실린 G (100 IU/mL), 그리고 스트렙토마이신(100 mg/mL)이 첨가된 RPMI 1640(Gibco, USA) 배지를 이용하여 5% CO2 존재 하에서 37℃에서 배양시켰다. 부착능 실험과 부착 억제능 실험을 위해 HT-29 세포는 웰당 1.0×105 세포/mL의 수가 되도록 24 웰-플레이트에 분주하였고 격일로 배지를 교환하며 완전하게 단일층(monolayer)을 형성할 때까지 배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완전 단일층을 형성한 HT-29 세포는 25℃의 PBS 완충용액을 이용하여 5 회 세척하고 항생제가 첨가되지 않은 RPMI 1640 배지 0.5 mL를 첨가하였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은 각각 약 1.0×109 cfu/mL의 농도가 되도록 RPMI에 현탁한 다음 상기 웰 플레이트에 접종하고 5% CO2 존재 하에서 37℃에서 2 시간동안 배양을 실시하였다. 배양이 완료된 후 부착되지 않은 유산균의 제거와 세척에 따른 부착 능력을 확인하기 위해 3 분씩 200 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PBS 완충용액을 사용하여 3 회 세척을 실시하였다. 세척이 완료된 후 0.2% 트립신-EDTA를 분주하여 부착되어 있는 세포를 떼어내고 펩톤(peptone) 수를 이용하여 연속희석법으로 MRS-아가(agar)에 평판 도말하고 37℃에서 24 시간동안 배양하여 균수를 측정하였다.
별도로, 일부 부착 확인을 위하여 70% 알코올에 하루 정도 담궈 완전 살균된 커버글라스를 페트리 디쉬 바닥에 부착시킨 후 HT-29 세포를 배양하여 위와 동량의 유산균을 첨가하여 실험하였다. 세척에 의해 씻겨 내려가지 않고 HT-29 세포에 부착된 유산균주는 건조한 뒤 Gram 염색을 하여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균수를 측정하였다. Lactobacillus sakei CJLS118(KCTC 13416), 및 Lactobaillus rhamnosus GG(KCTC 5033)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비교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의 장 상피세포 부착능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의 결과에 따르면,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은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로 상업적으로 잘 알려진 Lactobacillus rhamnosus GG (KCTC 5033)와 Lactobacillus sakei CJLS118(KCTC 13416)에 비해 24 시간 경과 후 장 상피세포 부착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Lactobacillus sakei CJLS118(KCTC 13416)에 비해 장 상피세포 부착능이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신규 균주가 장상피세포에 부착하여 장내 환경을 개선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실시예 4: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 균주의 안전성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된 균주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한국바이오벤처협회 단체표준에서 제시한 안전성 평가 시험법에 따라 용혈 현상 검사, 젤라틴 액화 반응 검사, 유해 대사산물(암모니아) 생성 확인, 페닌알라닌탈아민 검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의 안전성 평가 결과
균주 항목
  젤라틴 액화반응검사 페닐알라닌탈아민 용혈성실험결과 암모니아생성
CJLP133 음성 음성 α-용혈, 안전함 음성
상기 결과에 따르면,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Lactobacillus plantarum CJLP133)은 젤라틴 액화 반응, 유해 대사산물 (암모니아) 생성, 페닌알라닌탈아민 생성에 대해 음성이었으며, 용혈현상 검사에서는 병원성과 무관한 것으로 판정되는 α-용혈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은 인체에 투여할 수 있는 안전한 균주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5: 마우스 비장세포 처리 후 IL - 12생성 촉진력 평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Lactobacillus plantarum CJLP133) 균주를,
오브알부민을 투여하여 Th2 반응으로 편향된 마우스의 비장세포에 처리 시 Th1 반응 유도 사이토카인인 IL-12 생성 촉진력을 평가하기 위해, Fujiwara 등(Fujiwara et. al .A double-blind trial of Lactobacillus paracasei strain KW3110 administration for immunomodulation in patients with pollen allergy, Allergology International, 2005, volume 54, pages 143-149)과 Fujiwara 등(Fujiwara et . al ., The anti-allergic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are strain dependent and mediated by effects on both Th1/Th2 cytokine expression and balance, International Archives of Allergy and Immunology, 2004, Volume135, pages 205-215)을 참고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을 진행하였다.
면역화(immunization)는 6 주령의 암컷 Balb/c 마우스 5 마리를 구입하여, alum hydroxide(Sigma) 13 mg/mL 용액 1.538 mL, 오브알부민 10 mg 및 PBS 0.4615 mL와 잘 혼합하고 상온에서 20 분간 반응시킨 혼합액을 마우스당 0.2 mL (1 mg OVA + 2 mg alum)씩 복강에 주사하였으며 동일한 양을 6 일째 되는 날에 다시 복강에 주사하여 부스팅(boosting)하였다. 마우스를 13 일째 희생시키고 비장을 적출하였으며 이로부터 얻어진 비장세포(splenocyte) 100 ㎕(4x106 세포/mL)와 시험 대상균의 사균 50 ㎕와 오브알부민 50 ㎕(4 ㎎/㎖)를 세포배양 웰 플레이트(cell culture well plate)에 가하고 DMEM-10 배지 중에서 7 일간 10%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7 일간 배양한 다음, 상청액을 취하여 IL-12 ELISA 키트로 어세이(Biosource)를 수행하여 IL-12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시험 대상균의 사균은 다음과 같이 획득하였다.
시험 대상균은 MRS 액체배지(Difco)에 접종하여 37℃에서 24 시간 배양 하였으며 13,000 rpm에서 1 분간 원심분리하여 얻은 균체를 생리 식염수에 2 회 세척 후 균체만 취하였다. 회수된 균체는 동물세포주 접종 시험을 위하여 원 배양액 부피와 동일 부피의 멸균 증류수에서 100℃에서 10 분간 가열하였으며 13,000 rpm에서 1 분간 원심분리를 한 다음 회수하고 DMEM 배지에 적당량 희석하여 세포주 배양액 부피 기준으로 50 ㎍/㎖와 5 ㎍/㎖의 농도의 균체가 되도록 하였다. 시험 대상균으로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를 사용하였으며, Lactobaillus rhamnosus GG(KCTC 5033), Lactobacillus casei (KCTC 3109), Lactobacillus sakei CJLS118(KCTC 13416)에 대해서도 동일한 실험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상기 IL-12 ELISA 키트를 이용한 IL-12 어세이는 IL-12 ELISA 키트에 제공된지시사항에 따라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ELISA reader에서 측정된 O.D.값을 측정하여 키트에 제공된 IL-12 대조 샘플에 대한 검량식에 따라 IL-12 생성양을 환산하였다. 그리하여, 얻어진 측정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 균주를 오브알부민을 투여하여 Th2 반응으로 편향된 마우스의 비장세포에 처리한 다음 Th1 반응 유도 사이토카인인 IL-12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다른 유산균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의 결과에 따르면,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은 Th1 반응 유도 사이토카인인 IL-12의 생성을 다른 유산균에 비해 현저히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은 Th2 반응으로 편향된 마우스에서 Th1 반응을 효과적으로 유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마우스 비장세포 처리 후 IL - 4생성 억제력 평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Lactobacillus plantarum CJLP133) 균주를, 오브알부민을 투여하여 Th2 반응으로 편향된 마우스의 비장세포에 처리 시 Th2 반응 유도 사이토카인인 IL-4의 생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5의 방법에서 IL-12 키트 대신 IL-4 키트(Biosource)를 사용하는 것만 다르고 나머지 조건은 동일하게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리하여 측정한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 균주를 오브알부민을 투여하여 Th2 반응으로 편향된 마우스의 비장세포에 처리한 다음 Th2 반응 유도 사이토카인인 IL-4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다른 유산균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은 Th2 반응 유도 사이토카인인 IL-4 사이토카인을 억제함으로써 Th2 반응으로 편향된 마우스 비장세포에서 Th2 반응에 대한 억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7: 마크로파지 및 수상세포에서 Th1 림프구 분화 유도 사이토카인 IL-12p40 및 IL-18의 발현과 Th1 림프구 분화 억제 사이토카인 사이토카인인 IL-10 발현 확인 실험
마크로파지 및 수상세포와 같은 항원제시세포(antigen presenting cell, APC)는 IL-12 및 IL-18을 생성하여 Th0 림프구를 Th1 림프구로 분화를 유도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IL-10을 생성하여 Th1 림프구로 분화 유도를 억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산균이 마크로파지 및 수상세포의 IL-12, IL-10, IL-18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대상균을 마크로파지 세포주인 RAW264.7에 5×107/mL 농도로 처리하고 37℃, 10% CO2 배양을 48 시간 동안 수행한 후 배지를 취하여 ELISA 방법으로 IL-12p40 및 IL-10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수상세포 세포주인 JAWSII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 대상균을 접종 및 배양한 다음 배지를 취하여 IL-12p40 및 IL-10의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상기 시험 대상균으로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를 사용하였으며, 양의 대조군으로서 리포폴리사카라이드를 사용하였고, Lactobaillus rhamnosus GG(KCTC 5033), Lactobacillus casei (KCTC 3109), Lactobacillus sakei CJLS118(KCTC 13416)에 대해서도 동일한 실험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상기 ELISA 방법에 의한 농도 측정은 IL-12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IL-12p40 키트(BD Biosciences, USA) 및 IL-10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IL-10 키트(BD Biosciences, USA)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수행하였다. 그리하여, 측정된 각각의 결과를 도 6 및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6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 균주를 마크로파지 세포주 RAW264.7에 처리한 다음, IL-12 및 IL-10의 농도를 ELISA로 측정한 결과를 다른 유산균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 균주를 수상세포 세포주 JAWSII에 처리한 다음, IL-12 및 IL-10의 농도를 ELISA로 측정한 결과를 다른 유산균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 및 7의 결과에 따르면,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은 Th1 분화 유도 사이토카인인 IL-12 사이토카인을 생성시키고 Th1 분화 억제 사이토카인 IL-10의 생성은 IL-12에 비해 현저히 적게 생성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다른 유산균에 비해 IL-12의 생성을 현저히 증가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전자 수준(level)에서의 IL-12 및 IL-18의 생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험 대상균을 마크로파지 세포주인 RAW264.7에 5×107/mL 농도로 처리하고, 37℃, 10% CO2 배양을 6시간 동안 수행한 후 총 RNA를 추출하여 RT-PCR 방법으로 IL-12와 IL-18 mRNA의 생성양을 측정하였다. 수상세포 세포주인 JAWSII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 대상균을 접종 및 배양한 다음 RNA를 추출하여 RT-PCR 방법으로 IL-12와 IL-18 mRNA의 생성양을 측정하였다.
그리하여, 측정된 각각의 결과를 도 8 및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8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 균주를 마크로파지 세포주 RAW264.7에 처리한 다음, IL-12p40 및 IL-18 mRNA의 발현을 RT-PCR로 측정한 결과를 다른 유산균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 균주를 수상세포 세포주 JAWSII에 처리한 다음, IL-12p40 및 IL-18 mRNA의 발현을 RT-PCR로 측정한 결과를 다른 유산균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 및 9의 결과에 따르면,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은 Th1 분화 유도 사이토카인인 IL-12 및 IL-18의 생성을 지시하는 mRNA의 생성을 촉진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IL-12 mRNA의 발현 촉진에 있어서 다른 유산균에 비해 현저히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8: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 균주의 아토피성 피부질환에 대한 in vivo 시험
1) 실험 동물 사육 및 실험군 분류
4 주령의 암컷 NC/Nga 마우스를 구입하여 1 주일 간 안정화시킨 후 유산균 균주의 경구 투여를 시작하였다. 사육 환경은 24±2℃, 명암 주기는 12시간 간격을 유지하고 사료는 항생제가 첨가되지 않은 분말 사료를 사용하였다. 유산균을 분말 사료에 고르게 혼합하여 10 주 동안 마우스가 섭취하도록 하였고(1×1010 cfu/마리), 유산균 투여 후 6 주째부터 5주 동안 Biostar AD(Biostir, Japan) 연고를 도포하여 아토피를 유발시켰다. 실험군은 아토피를 유발하지 않는 비유도군(non-induction group), 아토피를 유발한 대조군(control group), 아토피를 유발하고 유산균 균주를 투여한 실험군으로 나누고 각 군마다 마우스를 8 마리씩 분류하였다(표 3). 유산균으로는 종래 공지된 전형적인 유산균인 Lactobacillus sakei CJLS118(KCTC 13416), Lactobacillus rhamnosus GG(KCTC 5033), 본 발명의 출원인이 개발한 균주 CJLP55(KCTC 11401BP), CJLP56(KCTC 11402BP), CJLP136(KCTC 11404BP) 및 본 발명에 따른 균주 CJLP133(KCTC 11403BP)를 대상으로 하였다.
투여 유산균 아토피 유발
비유도(non-induction) - ×
대조군 -
GG GG(KCTC 5033)
LP55 CJLP55(KCTC 11401BP)
LP56 CJLP56(KCTC 11402BP)
LP133 CJLP133(KCTC 11403BP)
LP136 CJLP136(KCTC 11404BP)
LS118 CJLS118(KCTC 13416)
LA12 CJLA12
2) 아토피 유발
NC/Nga 마우스의 등 쪽, 귓바퀴 윗부분까지 제모기로 최대한 제모하고 제모크림을 이용하여 털을 완벽히 제거하였다. 도포 부위에 4% SDS 수용액을 분무하여 피부의 지방 성분을 제거하고 약 1시간 동안 완전히 건조시킨 후 편편한 스틱을 이용하여 Biostir AD 연고(Biostir, Japan) 100 mg을 등쪽, 귓바퀴 부분에 균일하게 도포하였다. Biostir AD 연고 도포는 주 2회로 5 주간 총 10회 실시하였다.
3) 조직 염색
아토피 피부염에서는 반복되는 염증 반응에 따라 피부의 두께가 증가하고 림프구, 단핵구, 에오시노필, 비만세포 등 주요 면역세포가 조직 내로 많이 침윤하여 염증 반응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신경 섬유가 비정상적으로 표피층까지 확장되어 가려움증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아토피 유발 마우스의 피부를 적출하여 상기 면역세포 및 신경세포의 수를 카운팅하고 관찰하였다.
5 주간의 아토피 유발 후 마우스를 급살하고 등 피부를 적출하여 Accustain formalin-free fixative 용액으로 조직을 고정한 후 파라핀 블록(paraffin block)을 제작하였다. 5μm 두께로 얇게 자른 후 헤마톡실린/에오신(hematoxylin/eosin) 염색을 시행하여 피부(표피+진피) 두께의 변화를 관찰하고 염증 조직 내 림프구의 축적 정도를 광학 현미경 하 2×2mm 범위에서 관찰하였다. 또한 비만세포(mast cell) 확인을 위해 톨루이딘 블루(toluidine blue)로 염색하고, 에오시노필(eosinophil) 확인을 위해 콩고 레드(Congo red)로 염색하고 광학 현미경 하 2×2mm 범위에서 관찰하여 표피에서부터 근육조직 사이 피부에 존재하는 비만세포 또는 에오시노필 세포수를 카운트하였다. 피부 조직 내 신경 섬유의 침입을 면역조직염색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앞서 고정시킨 조직에 신경섬유를 인식하는 anti-protein gene product (PGP9.5) 항체를 반응시키고 이어서 biotin-conjugated goat anti-rabbit 항체 및 peroxidase-conjugated streptavidin을 순서대로 반응시키고 퍼옥시다제(peroxidase) 효소 반응으로 발색시켰다.
그 결과를 도 10 내지 도 13에 나타내었다.
도 10a는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NC/Nga 마우스에 유산균을 투여한 다음 적출한 피부의 피부 두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b는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NC/Nga 마우스에 유산균을 투여한 다음 적출한 피부에서의 염증 조직 내 림프구의 축적 정도를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11a는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NC/Nga 마우스에 유산균을 투여한 다음 적출한 피부에서의 에오시노필의 세포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b는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NC/Nga 마우스에 유산균을 투여한 다음 적출한 피부에서의 에오시노필의 침윤 정도를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12a는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NC/Nga 마우스에 유산균을 투여한 다음 적출한 피부에서의 비만세포의 세포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b는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NC/Nga 마우스에 유산균을 투여한 다음 적출한 피부에서의 비만세포의 침윤 정도를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13a는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NC/Nga 마우스에 유산균을 투여한 다음 적출한 피부에서의 신경섬유 개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b는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NC/Nga 마우스에 유산균을 투여한 다음 적출한 피부에서의 신경섬유의 침투 정도를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를 촬영한 사진이다.
상기 결과에 따르면, 아토피를 유발한 NC/Nga 마우스의 대부분의 실험군에서 100μm 정도의 피부 두께가 나타나는 반면 CJLP133 투여군에서는 절반 수준인 50μM의 두께를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도 10a), 림프구 및 단핵구의 침윤을 관찰하였을 때 대조군(control) 및 GG군에서 수많은 면역 세포들이 보라색으로 염색되어 나타났지만, CJLP133 투여군에서는 현저히 적은 수의 면역 세포가 관찰되었다(도 10b).
염증 조직 내 에오시노필과 비만세포의 침윤을 확인한 결과, 아토피 유발 시(대조군) 비유도(non-induction)군보다 에오시노필과 비만세포의 수가 증가하였으나, CJLP133을 투여한 군에서는 대조군 및 다른 유산균 투여군에 비해 에오시노필과 비만세포의 수가 현저히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도 11a 및 12a). 실제 염색 사진에서도 대조군과 GG 투여군에서 많은 수의 청남색 에오시노필, 적갈색 비만세포가 각각 관찰되는 반면 CJLP133 투여군에서는 적은 수의 에오시노필 및 비만세포가 관찰되었다(도 11b 및 도 12b).
면역조직 염색 방법으로 신경 섬유의 침투를 확인한 결과 비유도군에서는 신경섬유의 침투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대조군에서는 갈색의 신경 섬유가 다수 나타났고(도 13a), 유산균을 투여한 군 모두에서 피부에 침투한 신경 섬유의 개수가 감소하였으며 특히 CJLP55, CJLP133, CJLP136 투여군에서 신경섬유의 개수가 현저히 적게 나타났다(도 13b).
4) 액와림프절 비장세포 조성 확인
액와림프절(ALN)는 만성 아토피 질환 동물 모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면역 기관으로서, 일부 심각한 만성 아토피 환자의 경우 액와림프절의 크기가 증가되었다는 보고가 있고, 집먼지진드기로 유발된 아토피 동물 모델 NC/Nga 마우스의 경우 많은 연구 보고에서 액와림프절을 직접적인 표적 림프절로 정하여 관찰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5주 동안의 아토피 유발 후 액와림프절은 물론 주요 면역 기관인 비장을 적출하여 크기 및 세포 조성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5 주간의 아토피 유발 후 마우스를 급살하고 액와림프절(axillary lymph node)과 비장을 적출하여 크기를 비교한 다음, 적혈구를 제거하고 각 조직의 단일 세포 부유액을 얻었다. FACS 튜브 당 1×106 세포가 되도록 분주하고 각각 항-Thy1.2-FITC, 항-CD19-FITC, 항-F4/80-FITC, 항-CD11c-FITC 항체로 염색하고 FACS 분석하여 T 림프구 및 B 림프구 조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14 내지 도 17에 나타내었다.
도 14는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NC/Nga 마우스에 유산균을 투여한 다음 적출한 액와 림프절(A) 및 비장(B)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15는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NC/Nga 마우스에 유산균을 투여한 다음 적출한 액와 림프절(a) 및 비장(b)에서의 총 세포수를 카운팅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6은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NC/Nga 마우스에 유산균을 투여한 다음 적출한 액와 림프절(a) 및 비장(b)에서의 T-세포 세포수를 카운팅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7은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NC/Nga 마우스에 유산균을 투여한 다음 적출한 액와 림프절(a) 및 비장(b)에서의 B-세포 세포수를 카운팅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결과에 따르면, 액와 림프절은 아토피 질환을 유발한 대조군에서 크기가 증가하였으며 GG 투여군에서도 대조군과 유사한 크기로 관찰되었지만, CJLP55, CJLP56, CJLP133, CJLP136, 및 CJLS118 각각의 투여군에서는 액와 림프절의 크기가 대조군보다는 작은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14A). 비장의 경우 실험군에 따른 큰 차이가 거의 없었다(도 14B). 액와 림프절에서 세포를 분리하여 세포수를 측정한 결과 비유도군에 비하여 대조군에서는 4.5배 이상 세포수가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CJLP55, CJLP133, CJLP136 투여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세포수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도 15A). 비장의 경우 크기와 마찬가지로 세포수에서 큰 변화가 없었다(도 15B).
액와 림프절과 비장에서의 T 림프구 및 B 림프구를 각각 염색하여 FACS 분석법으로 확인한 결과에 따르면, 액와 림프절에서 T 림프구와 B 림프구의 경우 아토피를 유발한 대조군에서 5배 정도 세포수가 증가하였고, CJLP55, CJLP56, CJLP133, CJLP136 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적으로 세포수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CJLP133 투여군이 다른 유산균 투여군보다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16a 및 17a). 비장의 T 림프구와 B 림프구 세포수는 크게 변화가 없었다(도 16b 및 17b).
5) 액와림프절 세포와 비장세포의 사이토카인 생성능
마크로파지에서 주로 생성되는 IL-12는 ThO 림프구를 Th1 림프구로 분화 유도하고, Th1 림프구에서 생성되는 IFN-γ는 마크로파지를 활성화시킬 뿐만 아니라 Th2 림프구의 분화와 활성을 억제하므로, IL-12 및 IFN-γ 생성량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상기 4) 액와림프절 및 비장세포 조성 확인 실험에서 액와림프절 및 비장세포로부터 얻은 각 조직의 단일 세포 부유액을 24 웰-플레이트에 각 5×106 세포씩 분주하고 집먼지 진드기(Dermatophagoides farinae body, Dfb) 추출물을 최종 농도 10μg/ml이 되도록 넣어주었다. 37℃에서 48시간 배양 후 상층액을 취하여 IFN-γ 및 IL-12 생성량을 ELISA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내었다.
도 18은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NC/Nga 마우스에 유산균을 투여한 다음 적출한 액와 림프절(a) 및 비장(b) 각각에서 얻어진 단일 세포 부유액에 집먼지 진드기 추출물을 가하여 배양 후 IL-12의 양을 ELISA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9는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NC/Nga 마우스에 유산균을 투여한 다음 적출한 액와 림프절(a) 및 비장(b) 각각에서 얻어진 단일 세포 부유액에 집먼지 진드기 추출물을 가하여 배양 후 IFN-γ의 양을 ELISA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결과에 따르면, CJLP133 투여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액와 림프절 및 비장 모두에서 IL-12의 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였으며(도 18), IFN-γ의 생성량 또한 현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19). 뿐만 아니라, 다른 공지의 유산균에 비해서도 IFN-γ 및 IL-12 생성량의 증가가 현저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1) 내지 5)의 실험 결과를 종합해 보면, CJLP55, CJLP56, CJLP133, CJLP136 투여군 모두 아토피성 피부염의 증상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내고, 특히 CJLP133 투여군은 그 효과가 뛰어나 액와 림프절의 크기 및 액와 림프절에서의 세포수, 피부 염증 조직으로의 면역 세포 침윤 및 신경세포 침투, Th1 / Th2 사이토카인 균형 등 세포 및 분자적 기전 모두에서 종래의 유산균에 비해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효과가 현저히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9: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 Lactobacillus plantarum CJLP133)를 포함하는 생균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동정된 프로바이오틱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Lactobacillus plantarum CJLP133)을 의약품, 식품, 사료, 사료 첨가제, 또는 화장품의 원료로 적용하기 위하여 대량 생산하고 이를 동결 건조하여 생균제화 하였다.
균의 생산을 위하여 MRS 액체배지(Difco)에서 25% NaOH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6.0으로 조절하면서 37℃에서 약 18 시간 배양을 하고 원심분리를 수행하여 균체를 회수하였다. 회수한 균체는 덱스트린 5%와 탈지우유 10%를 동결 보호제로 사용하여 -40℃에서 동결 후 37℃에서 건조한 균체를 믹서로 갈아서 분체화 하였다. 분체화한 생균은 목표로 하는 균수에 맞추고 보관을 하기 위하여 적당양의 포도당, 유당, 탈지우유 등과 같은 부형제와 혼합하여 밀봉되는 알루미늄 파우치에 담아 포장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생균제는 사료에 원료로 쓰이는 곡물가루와 혼합하여 사료용 생균제로 활용하거나, 담체 또는 첨가제 등을 혼합하여 정제, 캡슐 등의 의약품, 건강기능식품용 생균제로 활용하거나, 화장품에 사용되는 원료에 일정양을 혼합함으로써 의약품, 식품, 사료, 화장품 등 다양한 분야에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활용할 수 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1403BP 20081016
<110> CJ Cheiljedang Corporation <120> Novel Lactobacillus plantarum and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130> pn084437 <160> 1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1486 <212> DNA <213> Lactobacillus plantarum <400> 1 agtcgaacga actctggtat tgattggtgc ttgcatcatg atttacattt gagtgagtgg 60 cgaactggtg agtaacacgt gggaaacctg cccagaagcg ggggataaca cctggaaaca 120 gatgctaata ccgcataaca acttggaccg catggtccga gtttgaaaga tggcttcggc 180 tatcactttt ggatggtccc gcggcgtatt agctagatgg tgaggtaacg gctcaccatg 240 gcaatgatac gtagccgacc tgagagggta atcggccaca ttgggactga gacacggccc 300 aaactcctac gggaggcagc agtagggaat cttccacaat ggacgaaagt ctgatggagc 360 aacgccgcgt gagtgaagaa gggtttcggc tcgtaaaact ctgttgttaa agaagaacat 420 atctgagagt aactgttcag gtattgacgg tatttaacca gaaagccacg gctaactacg 480 tgccagcagc cgcggtaata cgtaggtggc aagcgttgtc cggatttatt gggcgtaaag 540 cgagcgcagg cggtttttta agtctgatgt gaaagccttc ggctcaaccg aagaagtgca 600 tcggaaactg ggaaacttga gtgcagaaga ggacagtgga actccatgtg tagcggtgaa 660 atgcgtagat atatggaaga acaccagtgg cgaaggcggc tgtctggtct gtaactgacg 720 ctgaggctcg aaagtatggg tagcaaacag gattagatac cctggtagtc cataccgtaa 780 acgatgaatg ctaagtgttg gagggtttcc gcccttcagt gctgcagcta acgcattaag 840 cattccgcct ggggagtacg gccgcaaggc tgaaactcaa aggaattgac gggggcccgc 900 acaagcggtg gagcatgtgg tttaattcga agctacgcga agaaccttac caggtcttga 960 catactatgc aaatctaaga gattagacgt tcccttcggg gacatggata caggtggtgc 1020 atggttgtcg tcagctcgtg tcgtgagatg ttgggttaag tcccgcaacg agcgcaaccc 1080 ttattatcag ttgccagcat taagttgggc actctggtga gactgccggt gacaaaccgg 1140 aggaaggtgg ggatgacgtc aaatcatcat gccccttatg acctgggcta cacacgtgct 1200 acaatggatg gtacaacgag ttgcgaactc gcgagagtaa gctaatctct taaagccatt 1260 ctcagttcgg attgtaggct gcaactcgcc tacatgaagt cggaatcgct agtaatcgcg 1320 gatcagcatg ccgcggtgaa tacgttcccg ggccttgtac acaccgcccg tcacaccatg 1380 agagtttgta acacccaaag tcggtggggt aaccttttag gaaccagccg cctaaggtgg 1440 gacagatgat tagggtgaag tcgtaacaag tatgccgttg cccccc 1486

Claims (5)

  1.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Lactobacillus plantarum CJLP133) KCTC 11403BP를 포함하는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2.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Lactobacillus plantarum CJLP133) KCTC 11403BP를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Th2 반응 과잉으로 인한 Th1/Th2 불균형으로 유발되는 면역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 질환은 알레르기성 질환, 아토피, 암, 및 자가면역질환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의약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30050108A 2013-05-03 2013-05-03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406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108A KR101406168B1 (ko) 2013-05-03 2013-05-03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108A KR101406168B1 (ko) 2013-05-03 2013-05-03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67015A Division KR101486999B1 (ko) 2009-07-22 2009-07-22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9275A Division KR20140048911A (ko) 2014-03-12 2014-03-12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264A true KR20130056264A (ko) 2013-05-29
KR101406168B1 KR101406168B1 (ko) 2014-06-13

Family

ID=48664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0108A KR101406168B1 (ko) 2013-05-03 2013-05-03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616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2848A (ko) * 2015-09-15 2017-03-2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양한 기능성을 가진 신규 유산균 및 이의 용도
KR20200081878A (ko) * 2018-12-28 2020-07-08 씨제이제일제당 (주)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연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김치
US11344588B2 (en) 2018-05-03 2022-05-31 Cj Cheiljedang Corporation Lactobacillus plantarum CJLP17 having antiviral and immunomodulatory efficacies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KR102430927B1 (ko) * 2021-09-27 2022-08-10 주식회사 아이씨바이오 병풀 유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crc-l43 균주 및 그의 항염증, 항알레르기, 피부 미생물 조절, 피부 진정 용도
US11458175B2 (en) 2018-07-13 2022-10-04 Cj Cheiljedang Corporation Composition comprising Lactobacillus plantarum CJLP475 strain and Lactobacillus plantarum CJLP243 strain and use thereof
US11491195B2 (en) 2018-07-13 2022-11-08 Cj Cheiljedang Corporation Composition comprising Lactobacillus plantarum CJLP475 strain and Lactobacillus plantarum CJLP17 strain and use thereof
US11492589B2 (en) 2018-07-13 2022-11-08 Cj Cheiljedang Corporation Lactobacillus plantarum CJLP475 strain having antiviral and immunomodulatory effects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013B1 (ko) * 2006-01-25 2007-08-10 주식회사 알엔에이 알러지 질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유산균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2848A (ko) * 2015-09-15 2017-03-2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양한 기능성을 가진 신규 유산균 및 이의 용도
EP3351617A4 (en) * 2015-09-15 2019-05-08 University - Industry Cooperation Group of Kyung Hee University NOVEL LACTOBACILLUS WITH VARIOUS FUNCTIONS AND USE THEREOF
US11202811B2 (en) 2015-09-15 2021-12-21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Group Of Kyung Hee University Lactobacillus having various functions, and use thereof
US11771725B2 (en) 2015-09-15 2023-10-03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Group Of Kyung Hee University Lactobacillus having various functions, and use thereof
US11344588B2 (en) 2018-05-03 2022-05-31 Cj Cheiljedang Corporation Lactobacillus plantarum CJLP17 having antiviral and immunomodulatory efficacies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US11458175B2 (en) 2018-07-13 2022-10-04 Cj Cheiljedang Corporation Composition comprising Lactobacillus plantarum CJLP475 strain and Lactobacillus plantarum CJLP243 strain and use thereof
US11491195B2 (en) 2018-07-13 2022-11-08 Cj Cheiljedang Corporation Composition comprising Lactobacillus plantarum CJLP475 strain and Lactobacillus plantarum CJLP17 strain and use thereof
US11492589B2 (en) 2018-07-13 2022-11-08 Cj Cheiljedang Corporation Lactobacillus plantarum CJLP475 strain having antiviral and immunomodulatory effects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KR20200081878A (ko) * 2018-12-28 2020-07-08 씨제이제일제당 (주)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연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김치
KR102430927B1 (ko) * 2021-09-27 2022-08-10 주식회사 아이씨바이오 병풀 유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crc-l43 균주 및 그의 항염증, 항알레르기, 피부 미생물 조절, 피부 진정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6168B1 (ko) 2014-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9486B2 (en) Lactobacillus plantarum and composition comprising same
US10844443B2 (en) Lactobacillus plantarum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US9962418B2 (en) Lactobacillus plantarum and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US9962417B2 (en) Lactobacillus plantarum and composition containing same
KR101406168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075558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40048911A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7